KR20190119307A -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 - Google Patents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19307A KR20190119307A KR1020180042589A KR20180042589A KR20190119307A KR 20190119307 A KR20190119307 A KR 20190119307A KR 1020180042589 A KR1020180042589 A KR 1020180042589A KR 20180042589 A KR20180042589 A KR 20180042589A KR 20190119307 A KR20190119307 A KR 201901193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x
- ribs
- long
- plate
- stack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2—Containers presenting local stacking elements protruding from the upper or lower edge of a side wall, e.g. handles, lugs, ribs, groo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5—Containers stackable in a staggered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연결되고 상부 방향으로 뻗은 좌우 양 측판; 상기 바닥판에 연결되고 상기 양 측판에 연결되는 전판 및 후판;을 포함하되, 상기 양 측판의 길이는 상기 전판 및 후판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양 측판의 상면에는 양측과 상부가 개방된 홈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는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는 바닥리브가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구성에 의해 길이가 긴 수산물을 적입시킨 상자를 십(十)자 형태처럼 교차적재하여도 적재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길이가 긴 수산물을 적입시킨 상자를 교차적재시킬 수 있는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산물 중 길이가 긴 편에 속하는 갈치를 운반할 때, 갈치의 꼬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자를 십자 형태로 교차시켜 적재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038578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게재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갈치 운반용 상자는 보통 나무재질이므로 마찰력이 좋아 상자를 상하로 적재시키더라도 상측에 적재된 상자가 미끄러지는 일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나무 재질은 위생적이지 못한 편이고, 재활용을 오래 할 수 없어 위생적이고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점차 플라스틱 상자를 이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플라스틱은 마찰력이 좋지 않아 상하로 적재된 상자가 미끄러지는 일들이 발생하여 갈치의 꼬리가 손상되거나 운반이 어려운 일이 발생되었다.
또한, 갈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상자의 중앙부에 다른 상자를 적재시키면 하측의 상자에 담긴 갈치 꼬리가 상부에 적재된 상자에 눌려 손상되기도 했다.
한편, 출원인이 선출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072082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는 갈치의 꼬리를 보호하기 위한 갈치상자용 적재보호테에 관한 기술이 게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는 어상자에 보호테를 설치하여 어상자 외곽으로 돌출된 갈치의 꼬리가 다른 상자에 닿지 않도록 하였으며, 상기 보호테의 코너 부분에는 하단돌기와 상단요홈을 형성시켜서 어상자를 상하 적재시 상기 상단요홈에 상기 하단돌기가 삽입되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시켰다.
그러나 특허문헌 2는 어상자 외에 보호테를 더 제작하여야 했고 어상자와 조립시켜야 했으므로 운반 시간 및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가 긴 수산물을 적입시킨 상자를 안정적으로 교차적재시킬 수 있는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적재된 상자가 좌우전후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는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연결되고 상부 방향으로 뻗은 좌우 양 측판; 상기 바닥판에 연결되고 상기 양 측판에 연결되는 전판 및 후판;을 포함하되, 상기 양 측판의 길이는 상기 전판 및 후판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양 측판의 상면에는 양측과 상부가 개방된 홈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는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는 바닥리브가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는, 상기 양 측판의 하측 외면에 연결된 외측리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외측리브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리브는,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양 측판과 나란하며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전후리브와, 상기 전판 및 후판과 나란하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좌우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복수 개의 좌우리브들 사이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는, 상기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가 상하로 적재되면, 하측에 적재된 상기 상자의 홈에는 상측에 적재된 상기 상자의 전후리브가 삽입되고, 하측에 적재된 상기 상자는 상기 양 측판의 양측 및 상기 홈의 양측에 상기 좌우리브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는, 상기 복수 개의 전후리브간에 간격과 상기 복수 개의 홈간에 간격이 서로 동일하므로, 상기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가 상하로 적재될 때, 상부에 적재된 상기 상자는 하부에 적재된 상기 상자의 중앙부에 교차적재되거나 상부에 적재된 상기 상자가 하부에 적재된 상기 상자의 전측 또는 후측에 편향되게 교차적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상자들을 교차적재시켜도 바닥리브가 홈(410)에 걸리므로 상부 상자가 하부 상자로부터 완전히 미끄러져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부 상자는 전후리브가 홈에 걸려 전후측으로 움직임이 제한되고, 상부 상자는 좌우리브가 하부 상자의 양측판에 걸려 좌우측으로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상부 상자는 하부 상자로부터 완전히 미끄러져버리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들을 적재시키면 하부 상자의 홈이 상부 상자의 전후리브와 맞물리는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상부 상자의 돌출부가 표시부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자의 적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는 갈치의 크기나 길이에 따라 상자들의 적재 위치를 중앙부 또는 편향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갈치의 꼬리가 손상되지 않게 운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자 적재시 바닥판을 볼 필요 없이 돌출부만 보고도 상자의 양 측판이 위치되어야 할 지점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을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상하로 교차적재시킨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양 측부에서 똑바로 바라본 상태
도 5는 도 3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3 내지 도 5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상측에서 똑바로 바라본 상태
도 8은 도 3 내지 도 7과 다른 위치에 적재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양 측부에서 똑바로 바라본 상태
도 9는 도 8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상측에서 똑바로 바라본 상태
도 11은 편향적재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상측에서 똑바로 바라본 상태
도 12는 상하로 나란하게 적재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상하로 교차적재시킨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양 측부에서 똑바로 바라본 상태
도 5는 도 3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3 내지 도 5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상측에서 똑바로 바라본 상태
도 8은 도 3 내지 도 7과 다른 위치에 적재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양 측부에서 똑바로 바라본 상태
도 9는 도 8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상측에서 똑바로 바라본 상태
도 11은 편향적재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상측에서 똑바로 바라본 상태
도 12는 상하로 나란하게 적재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를 바라본 사시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자(100), 즉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100)는, 바닥판(200), 상기 바닥판(200)에 연결되고 상부 방향으로 뻗은 좌우 양 측판(400), 상기 바닥판(200)에 연결되고 상기 양 측판(400)에 연결되는 전판 및 후판을 포함하되, 상기 양 측판(400)의 길이는 상기 전판 및 후판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양 측판(400)의 상면에는 양측과 상부가 개방된 홈(410)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200)의 하면에는 상기 홈(410)에 삽입될 수 있는 바닥리브가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자(100)들을 교차적재시켜도 바닥리브가 홈에 걸리므로 상자(100)가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100)는 상기 양 측판(400)의 하측 외면에 연결된 외측리브(4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외측리브(423)에는 돌출부(425)가 형성된다.
후술하겠지만 돌출부(425)가 형성되는 외측리브(423)는 상자(100)의 하측에 형성된 외측리브(423)이다.
상기 바닥리브는, 상기 홈(410)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양 측판(400)과 나란하며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전후리브(211)와, 상기 전판 및 후판과 나란하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좌우리브(213)를 포함한다.
상자(100)를 전후좌우에서 똑바로 볼 때 상기 바닥리브는 얇은 직육면체의 단면을 갖는다.
상자(100)를 전측 또는 후측에서 똑바로 본 모습을 기준으로 상기 전후리브(211)는 상하길이가 양측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바닥리브의 상하길이는 홈(410)의 상하폭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전후리브(211)가 홈(410)에 삽입되면 전후리브(211)의 하단이 홈(410)을 형성하는 후술될 제2면(413)과 맞닿아 상부에 적재된 상자(100b)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25)는 상기 복수 개의 좌우리브(213)들 사이 공간의 상측에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100)가 상하로 적재되면, 하측에 적재된 상기 상자(100)의 홈(410)에는 상측에 적재된 상기 상자(100)의 전후리브(211)가 삽입되고, 하측에 적재된 상기 상자(100)는 상기 양 측판(400)의 양측 및 상기 홈(410)의 양측에 상기 좌우리브(213)가 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자들을 교차적재시켜도 바닥리브가 홈(410)에 걸리므로 상부 상자(100b)가 하부 상자(100a)로부터 완전히 미끄러져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부 상자(100b)는 전후리브(211)가 하부 상자(100)a의 홈(410)에 걸려 전후측으로 움직임이 제한되고, 상부 상자(100b)는 좌우리브(213)가 하부 상자(100a)의 양 측판(400)에 걸려 좌우측으로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상부 상자(100b)는 하부 상자(100a)로부터 완전히 미끄러져버리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100)를 적재시키면 하부 상자(100a)의 홈(410)이 상부 상자(100b)의 전후리브(211)와 맞물리는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상부 상자(100b)의 돌출부(425)가 표시부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자(100)의 적재가 용이하다.
상기 복수 개의 좌우리브(213)간에 간격과 상기 복수 개의 홈(410)간에 간격이 서로 동일하므로, 상기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100)들이 적재될 때, 상부에 적재된 상기 상자(100)는 하부에 적재된 상기 상자(100)의 중앙부에 교차적재되거나 상부에 적재된 상기 상자(100)가 하부에 적재된 상기 상자(100)의 전측 또는 후측에 편향되게 교차적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100)는 갈치의 크기가 크지 않은 경우 상부 상자(100b)의 중앙부와 하측 상자(100)의 중앙부가 상하로 나란하도록 상자(100)를 교차적재시키고, 갈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상부 상자(100b)를 하측 상자(100)에 편향되게 적재시켜 갈치의 꼬리가 빠지도록 공간을 확보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100)는 갈치의 크기나 길이에 따라 상자(100)들의 적재 위치를 중앙부 또는 편향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갈치의 꼬리가 손상되지 않게 운반시킬 수 있다.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100)의 적재교차 예는 이후에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100)의 구조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바닥판(200)
바닥판(200)에는 전후리브(211)와 좌우리브(213)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으로 상자(100) 내의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
좌우리브(213)는 최외측과 내측으로 이루어진다.
전후리브(211)도 최외측과 내측으로 이루어진다.
상자(100) 당 전후리브(211)는 복수 개가 형성되므로 상자(100)들이 교차적재되면 상부 상자(100)의 하중을 하부상자(100)에 골고루 분산시킨다.
바닥리브에는 전후리브(211) 중 최외측 전후리브(211a)와 좌우리브(213) 중 최외측 좌우리브(213a)로 이루어진 대략 사각띠 형상의 테두리리브가 형성된다. 테두리리브의 코너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리브는 전후판(301,303) 및 양 측판(400)의 하측 외측리브(313,423)보다 상자(100)의 내측에 위치된다.
도 12와 같이 상자(100)를 상하로 평행하게 적재시켰을 때, 상부 상자(100)의 상기 테두리리브는 하부상자(100)의 전후판(301,303) 및 양 측판(400)과 마주보거나 접촉되어 적재된 상부 상자(100)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테두리리브 중 최외측 전후리브(211a)는 상자(100)의 평행적재시와 교차적재시에 모두 적재된 상부상자(100)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최외측 전후리브(211a)의 전후길이는 양 측판(400)의 전후길이와 거의 같고, 최외측 좌우리브(213a)의 양측길이는 전후판(301,303)의 양측길이와 거의 같다.
좌우리브(213)와 전후리브(211)는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여 격자무늬를 형성한다.
복수 개의 좌우리브(213)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서로 평행하다.
복수 개의 전후리브(211)도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서로 평행하다.
내측 좌우리브(213)들의 양측길이는 최외측 좌우리브(213a)의 양측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한편, 바닥판(200)을 똑바로 볼 때 바닥판(200)에는 바닥리브에 의해 대략 정사각형의 띠와, 상기 정사각형 띠(217)의 2배 크기의 직사각형 띠(219)가 형성된다.
직사각형 띠(219)의 좌우폭은 정사각형 띠(217)의 좌우폭의 2배이다.
상기 직사각형 띠(219)는 내측 전후리브(211)가 일부 형성되지 않으므로써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자(100) 적재시 이웃하는 홈(410)간에 간격과 이웃하는 홈(410)에 각각 위치된 전후리브(211)간에 간격이 거의 동일하게 된다. 바닥판(200)이 이렇게 형성되지 않으면 하측 상자(100)의 양 측판(400)의 상측 외측리브(421)가 상측 상자(100)의 전후리브(211) 중 일부에 걸려 하측 상자(100)의 홈(410)에 상측 상자(100)의 전후리브(211)가 삽입될 수 없다. 즉 상자(100)의 안정적인 적재가 불가능하다.
보다 자세하게 직사각형 띠(219)를 형성하는 전후리브(211)간에 간격은 상기 이웃하는 홈(410)간에 간격과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직사각형 띠(219)를 이루는 전후리브(211)들 사이 공간(S)에 상기 홈(410)과 홈(410) 사이의 양 측판(400)의 상측 외측리브(421)가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425)는 상기 직사각형 띠(219)의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100)를 적재시키면 하부 상자(100a)의 홈(410)이 상부 상자(100b)의 전후리브(211)와 맞물리는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상부 상자(100b)의 돌출부(425)가 표시부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자(100)의 적재가 용이하다. 즉 상자(100) 적재시 바닥판(200)을 볼 필요 없이 돌출부(425)만 보고도 적재시킬 상자(100)의 양 측판(400)이 위치되어야 할 지점을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일부 홈(410), 보다 자세하게는 상자(100) 중 중앙 홈(410)과 중앙 홈(410) 양측의 2 개의 홈(410)을 제외한 6 개의 홈(410)은 하측에 돌출부(425)가 위치되되, 해당 돌출부(425)보다 상자(100)의 중앙 홈(410)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홈(410)의 개수는 이후에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전후리브(211)의 높이는 홈(410)의 깊이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상자(100) 교차적재시 홈(410)에 전후리브(211)가 위치되면 상부 상자(100b)의 상측 외측리브(421)가 하부 상자(100a)의 하측 외측리브(313)와 접촉되므로, 상부 상자(100b)의 하중이 하부 상자(100a)에 골고루 분산된다.
직사각형 띠(219), 즉 상기 내측 전후리브(211)가 일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바닥판(200)을 전, 후, 중앙으로 3등분 했을 때 바닥판(200)의 전측 및 후측에 형성된다.
전후판(301,303)
전후판(301,303)의 상면에는 갈치의 꼬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305)이 형성된다. 또한 수용홈(305)은 상자(100)를 들기 위해 손을 넣는 구멍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후판(301,303)의 외면에는 격자리브, 격자리브와 연결되며 양 측판(400)의 외측리브(421,423)와 연결된 외측리브(311,313)를 포함하는 리브가 형성된다.
전후판(301,303)의 외측리브(311,313)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된다.
전후판(301,303)의 하측 외측리브(313)는 상자(100)들을 동일한 방향으로 적재시켰을 때 하측 상자(100)의 상면, 즉 전후판(301,303)의 상측 외측리브(311)와 접촉되므로 상자(100)간에 하중이 분산된다.
전후판(301,303)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복수 개 형성된다.
전후판(301,303)은 중앙부에 리브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며, 이로 인해 턱이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전후판(301,303)을 잡고 상자(10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양 측판(400)
양 측판(400)에는 리브가 형성된다.
양 측판(400)의 상기 리브는 격자리브와, 격자리브와 전후판(301,303)의 외측리브(311,313)와 연결된 외측리브(421,423)와, 곡선리브(430)를 포함한다.
양 측판(400)의 외측리브(421,423)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 중 하측 외측리브(423)에 상기 돌출부(425)가 형성된다.
하측 외측리브(423) 전체에 걸쳐 돌출부(425)가 복수 개 형성되므로 외측리브(423) 전체의 강성이 좋다.
상자(100)들을 동일한 방향으로 적재시켰을 때, 하측 외측리브(423)는 하측 상자(100)의 상면, 즉 양 측판(400)의 상측 외측리브(421)에 접촉되므로 상자(100)간에 하중이 골고루 분산될 수 있다.
곡선리브(430)는 양 측판(400)의 전후측에 2 개씩 형성되어 1 개의 상자(100) 당 총 8개가 형성된다.
곡선리브(43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자(100)의 중앙측으로 기울어진 형태이다.
2 개의 곡선리브(430) 중 상자(100)의 중앙에 가까운 내측 곡선리브(430)는 하단이 돌출부(425)의 제2면과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연결된 돌출부(425)의 상측에 위치된 홈(410)을 형성하는 제2면과 연결된다.
나머지 1 개인 외측 곡선리브(430)는 하단이 하측 외측리브(423)와 연결되고, 상단은 가장 외측에 위치된 홈(410)을 형성하는 제3면(415)의 상부와 상측 외측리브(421)의 연결지점에 연결된다.
상기 격자리브는 전후판(301,303)과 나란한 상하리브와, 상하리브와 수직으로 교차하는 좌우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리브의 하단은 하측 외측리브(423)와 연결된다.
상기 상하리브는 양 측편의 중앙을 기준으로 전측과 후측에 적어도 3 개씩 형성된다.
이하에서 상기 3 개의 상하리브는 가장 전후판(301,303)에 가까운 외측 상하리브, 상자(100)의 중앙에 가장 가까운 내측 상하리브, 외측 상하리브와 내측 상하리브 사이에 위치된 중앙 상하리브로 구분한다.
상기 외측 상하리브와 상기 중앙 상하리브 사이에 상기 외측 곡선리브(430)가 위치되고, 상기 중앙 상하리브와 상기 내측 상하리브 사이에 상기 내측 곡선리브(430)가 위치된다. 즉 상기 상하리브는 사이사이에 곡선리브(430)가 1 개씩 위치된다.
상기 외측 상하리브의 상단은 가장 외측의 홈(410)을 형성하는 제2면(413)의 중앙에 연결된다. 상기 중앙 상하리브는 외측에서 두번째 홈(410)의 제1면(411)의 상부와 상측 외측리브(421)가 만나는 지점 연결된다. 상기 내측 상하리브는 외측에서 세번째 홈(410)과 네번째 홈(410) 사이의 상측 외측리브(421)에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자(100)는 상자(100)의 강도와 강성이 확보되고, 상자(100)의 교차적재시 상부 상자(100b)의 하중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곡선리브(430)와 상기 상하리브로 골고루 분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100)에서 홈(410)은 양 측판(400)의 중앙에 1 개가 형성되고, 중앙을 기준으로 양 측판(400)의 전후측에 4 개씩 형성되어 1 개의 상자(100) 당 총 18개가 형성된다.
홈(410)은 서로 마주보는 제1면(411)과 제3면(415), 제1면(411)과 제3면(415)에 전후측이 연결된 제2면(413)에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이다.
홈(410)을 형성하는 제1면(411)과 제3면(415)은 상측 외측리브(421)에 연결된다.
제1면(411)과 제3면(415)은 전측에서 후측 또는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제2면(413)측으로 경사진 면이다.
제1면(411)과 제3면(415)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진다. 따라서 홈(410)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며, 상자(100)의 양측을 똑바로 볼 때 홈(410)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상자(100)가 교차적재되면 상부 상자(100b)의 바닥리브는 하부 상자(100a)의 홈(410) 중앙에 위치된다.
홈(410)의 전후길이는 전후리브(211)의 양측길이보다 길다. 따라서 전후리브(211)와 제1면(411)이 이격되고, 전후리브(211)와 제3면(415)이 이격되므로, 홈(410)을 통해 상자(100)의 내부 공간에 통풍이 보다 많이 이루어진다.
돌출부(425)는 양 측판(400)의 전후측에 3 개씩 형성되어 1 개의 상자(100)당 총 6개가 형성된다.
돌출부(425)는 홈(410)을 형성하는 제1면(411) 내지 제3면(415)처럼 서로 마주보는 제1면(425a)과 제3면(425c), 제1면(425a)과 제3면(425c)에 양측이 연결된 제2면(425b)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측 외측리브(423)에는 돌출부(425)에 의해 홈(410)과 유사한 형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제1면(425a)과 제3면(425c)은 하측 외측리브(423)에 연결된다.
제1면(425a)과 제3면(425c)은 전측에서 후측 또는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제2면(425b)측으로 경사진 면이다.
제1면(425a)과 제3면(425c)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진다. 따라서 상기 공간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진다.
양 측판(400)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복수 개 형성된다.
사용자는 양 측판(400)의 중앙부에 리브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양 측판(400)을 잡고 상자(10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전술한 본 실시 예의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十)'자 형, 't'자 형, 'ㄱ'자 형으로 적재시킬 수 있다.
'십(十)'자 형, 즉 상자(100)의 중앙이 상하로 나란하되 전후측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상자(100)가 교차적재되면, 하부 상자(100a)는 최외측 홈(410)에 상부 상자(100b)의 전후리브(211)가 위치되지 않고 상부 상자(100b)는 최외측 돌출부(425) 하측에 하부 상자(100a)의 홈(410)이 위치되지 않는다.
한편, 상자(100)가 다른 상자(100)의 전측판(301)에 가장 가깝게 교차적재되면 상기 상자(100) 중 후측판(303)에 가까운 홈(410) 2 개에는 다른 상자(100)의 전후리브(211)가 위치되지 않고, 상자(100)가 다른 상자(100)의 후측판(303)에 가장 가깝게 교차적재되면 상자(100) 중 전측판(301)에 가까운 홈(410) 2 개에는 다른 상자(100)의 전후리브(211)가 위치되지 않는다. 상자(100)를 이와 같이 적재시키면 'T'자 형이나 'ㄱ'자 형으로 적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상자) 200 : 바닥판
211 : 전후리브 211 : 전후리브
211a : 최외측 전후리브 213 : 좌우리브
213a : 최외측 좌우리브 217 : 정사각형 띠
219 : 직사각형 띠 S : 공간
301 : 전측판 303 : 후측판
305 : 수용홈 311 : 상측 외측리브
315 : 하측 외측리브 400 : 양 측판
410 : 홈 421 : 상측 외측리브
423 : 하측 외측리브 425 : 돌출부
100 :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상자) 200 : 바닥판
211 : 전후리브 211 : 전후리브
211a : 최외측 전후리브 213 : 좌우리브
213a : 최외측 좌우리브 217 : 정사각형 띠
219 : 직사각형 띠 S : 공간
301 : 전측판 303 : 후측판
305 : 수용홈 311 : 상측 외측리브
315 : 하측 외측리브 400 : 양 측판
410 : 홈 421 : 상측 외측리브
423 : 하측 외측리브 425 : 돌출부
Claims (4)
-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연결되고 상부 방향으로 뻗은 좌우 양 측판;
상기 바닥판에 연결되고 상기 양 측판에 연결되는 전판 및 후판;을 포함하되,
상기 양 측판의 길이는 상기 전판 및 후판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양 측판의 상면에는 양측과 상부가 개방된 홈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의 하면에는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는 바닥리브가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 측판의 하측 외면에 연결된 외측리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외측리브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리브는,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양 측판과 나란하며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전후리브와, 상기 전판 및 후판과 나란하고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좌우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복수 개의 좌우리브들 사이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가 상하로 적재되면,
하측에 적재된 상기 상자의 홈에는 상측에 적재된 상기 상자의 전후리브가 삽입되고,
하측에 적재된 상기 상자는 상기 양 측판의 양측 및 상기 홈의 양측에 상기 좌우리브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전후리브간에 간격과 상기 복수 개의 홈간에 간격이 서로 동일하므로, 상기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가 상하로 적재될 때, 상부에 적재된 상기 상자는 하부에 적재된 상기 상자의 중앙부에 교차적재되거나 상부에 적재된 상기 상자가 하부에 적재된 상기 상자의 전측 또는 후측에 편향되게 교차적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2589A KR102060325B1 (ko) | 2018-04-12 | 2018-04-12 |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2589A KR102060325B1 (ko) | 2018-04-12 | 2018-04-12 |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9307A true KR20190119307A (ko) | 2019-10-22 |
KR102060325B1 KR102060325B1 (ko) | 2019-12-30 |
Family
ID=68420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2589A KR102060325B1 (ko) | 2018-04-12 | 2018-04-12 |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032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6971B1 (ko) | 2019-12-26 | 2020-08-21 | 김봉석 | 수산물 포장용 상자 제조 방법 |
-
2018
- 2018-04-12 KR KR1020180042589A patent/KR10206032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6971B1 (ko) | 2019-12-26 | 2020-08-21 | 김봉석 | 수산물 포장용 상자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0325B1 (ko) | 2019-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K2546160T3 (en) | Pallet with support elements formed in one piece and method related thereto | |
US20080066657A1 (en) | Modular pallet device | |
EP1349801B1 (en) | Loading member | |
KR102060325B1 (ko) | 길이가 긴 수산물용 상자 | |
JP2000085773A (ja) | 運搬用容器 | |
JPH02269652A (ja) | 円筒状物品保管用パレット | |
US8679610B2 (en) | Enhanced void board | |
US20110240578A1 (en) | Stackable and nestable article holder | |
KR200416610Y1 (ko) | 구조개선된 과일 포장용 상자 | |
JP4216402B2 (ja) | 運搬用パレット | |
KR102265264B1 (ko) | 다목적 박스 | |
KR20110036718A (ko) | 조립식 상자 | |
JP7213519B2 (ja) | コンテナ | |
KR950013926A (ko) | 격자상 볼배열 패키지 저장 튜브(bag tube) | |
KR101001808B1 (ko) | 속눈썹 부착판 | |
JP3224849U (ja) | 一体型のプラスチックパレット | |
JP2000190971A (ja) | ダンボ―ル箱 | |
CN212074743U (zh) | 多功能新型木托盘 | |
JP2000128172A (ja) | 運搬用容器 | |
KR200493840Y1 (ko) | 물품용 상자 | |
JP3201581B2 (ja) | スキッドパレット | |
KR101150521B1 (ko) | 파레트 적층을 위한 모서리연결부재 | |
JP5632705B2 (ja) | 保冷容器 | |
KR101041184B1 (ko) | 조립식 상자 | |
JP4118410B2 (ja) | 運搬用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