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671A -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671A
KR20190118671A KR1020197029143A KR20197029143A KR20190118671A KR 20190118671 A KR20190118671 A KR 20190118671A KR 1020197029143 A KR1020197029143 A KR 1020197029143A KR 20197029143 A KR20197029143 A KR 20197029143A KR 20190118671 A KR20190118671 A KR 20190118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sm
optical sheet
unit
guide plate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로 쯔지
Original Assignee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18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Abstract

[과제] 장시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도광판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웨트 아웃의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도광판을 손상시키는 것도 억제할 수 있는 프리즘 형태를 갖는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복수의 단위 프리즘(13)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광학 시트(1)로서, 단위 프리즘(13)은, 꼭대기부(14)의 내각(θ)이 30° 이상 80° 이하의 범위 내이고, 구성하는 2개의 프리즘면(21, 22) 중 적어도 한쪽의 프리즘면에 있어서, 꼭대기부(14)로부터 적어도 10㎛ 이내의 선단 영역(23)의 경사 각도(θ1)가 그 이외의 영역(24)의 경사 각도(θ2)보다도 크고, 단위 프리즘(14)의 능선(14)의 높이(h)는, 그 능선(14)이 연장되는 방향(X)으로 변화하고 있거나, 또는 인접하는 단위 프리즘끼리에서 다르게 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백라이트 유닛(30)은, 광학 시트(10)와, 도광판(32)과, 광원(34)을 적어도 갖고 있다.

Description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
본 발명은,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장시간 사용에 의해서도 도광판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웨트 아웃의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도광판을 손상시키는 것도 억제할 수 있는 프리즘 형태를 갖는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액정 TV 등의 액정 표시 장치는, 표면측에 설치된 액정 패널과, 뒷면측에 설치된 면 광원 장치(백라이트 유닛이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 패널이 표시한 영상 정보를 관찰자에게 시인 가능하게 제공하는 면 광원이며, 일반적으로는, 광원과 도광판과 광학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광학 시트는, 도광판과 액정 패널과의 사이에 배치된 것이며, 도광판에서 면 형상으로 퍼진 광의 진행 방향을 액정 패널측으로 편향하는 프리즘부를 적어도 갖고 있다. 프리즘부는, 삼각 단면 또는 대략 삼각 단면에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단위 프리즘이 병렬로 배치된 것이며, 기재 위에 형성되어 광학 시트를 구성하고 있다.
단위 프리즘은, 그 꼭대기부(頂部)에 능선(능선부라고도 함.)을 갖고, 그 능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 배열하여 프리즘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프리즘부를 갖는 광학 시트에는, 단위 프리즘의 능선이 액정 패널측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사용하는 타입의 것(노멀형 광학 시트라고 약칭함.)과, 단위 프리즘의 능선이 도광판측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사용하는 타입의 것(터닝형 광학 시트라고 약칭함.)이 있다. 현재는, 2장의 노멀형 광학 시트를 능선이 교차하도록 겹친 것이 많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등의 소형 태블릿 단말에 대해서는, 경량화·박형화나 대형 TV의 경량화·박형화에 의해, 1장으로 충분한 터닝형 광학 시트의 사용이 기대되고 있다.
터닝형 광학 시트에 대해서는, 간섭 무늬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능선 형상을 연구한 것(특허문헌 1 참조), 휘도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위 프리즘 형상을 연구한 것(특허문헌 2 참조), 도광판에 대한 손상을 경감하기 위해 단위 프리즘 형상이나 구성 수지를 연구한 것(특허문헌 3,4 참조) 등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8-145468호 특허문헌 2: 국제공개 WO2004/019082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309248호 특허문헌 4: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150291호
특허문헌 3,4에서는, 터닝형 광학 시트에 있어서, 도광판에 대한 손상을 경감하기 위해 단위 프리즘의 선단에 평탄부를 형성하거나 단위 프리즘에 탄성을 부여하거나 하고 있다. 단위 프리즘에 평탄부를 형성하거나 탄성을 부여하거나 하면, 단위 프리즘의 선단이 도광판에 닿아 밀착된다. 그러한 밀착은, 소위 웨트 아웃(액이 필름 사이에 스며들어가 있는 것 같은 광학 얼룩)이라는 현상을 일으키기 쉽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액정 표시 장치용의 광학 시트에 대해서는, JIS 규격에 정해진 가속 시험이 행해진다. 웨트 아웃은 특히 고온 환경 하 또는 고온·고습 환경 하에서의 가속 시험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의 소형 태블릿 단말이나 노트북 PC의 장시간 사용이 일상이 되고 있는 동시에, 액정 패널을 포함한 액정 표시 장치가 보다 한층 얇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광학 시트의 단위 프리즘 선단과 도광판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갖도록 이간하여 설치했다고 해도, 장시간의 사용에 의해 도광판의 밀려 올라감 등이 발생하여, 도광판과 터닝형 광학 시트의 단위 프리즘 선단이 밀착되기 쉬워져 웨트 아웃이 더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소형 태블릿 단말뿐만 아니라, 화면이 직립하고 있는 대화면 TV나 대화면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도 일어나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장시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도광판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웨트 아웃의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도광판을 손상시키는 것도 억제할 수 있는 프리즘 형태를 갖는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는, 복수의 단위 프리즘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광학 시트로서, 상기 단위 프리즘은, 꼭대기부의 내각이 30° 이상 80° 이하의 범위 내이며, 구성하는 2개의 프리즘면 중 적어도 한쪽의 프리즘면에 있어서 꼭대기부로부터 적어도 10㎛ 이내의 선단 영역의 경사 각도(θ1)가 그 이외의 영역의 경사 각도(θ2)보다도 크고, 상기 단위 프리즘의 능선의 높이는, 상기 능선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거나, 또는 인접하는 단위 프리즘끼리에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꼭대기부 형상의 단위 프리즘을 가지므로, 단위 프리즘의 선단이 도광판을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이 광학 시트를 도광판 위에 설치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조립할 때에, 단위 프리즘의 선단이 도광판의 표면을 문질러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단위 프리즘의 능선의 높이(본원에서는, 기재의 면으로부터의 높이. 이하 같음.)는, 능선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거나, 또는 인접하는 단위 프리즘끼리에서 다르기 때문에, 특히 장시간 사용으로 액정 표시 장치가 온도 상승하여 도광판과 단위 프리즘의 선단이 밀착하기 쉬워진 경우라도, 광학 시트와 도광판과의 사이에서 웨트 아웃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그 때의 마찰의 발생에 의한 손상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부로부터 적어도 10㎛ 이내의 선단 영역의 경사 각도(θ1)와, 그 이외의 영역의 경사 각도(θ2)와의 차(θ1-θ2)가 0.1° 이상 20° 이하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부로부터 적어도 10㎛ 이내의 선단 영역은, 곡률 반경이 30㎛ 이상 200㎛ 이하의 범위 내의 곡면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선단 영역이 곡률 반경 50㎛ 이상 100㎛ 이하의 범위 내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시트에 있어서, 상기 단위 프리즘은, 구성하는 2개의 프리즘면 중 한쪽의 프리즘면만이, 꼭대기부로부터 적어도 10㎛ 이내의 선단 영역의 경사 각도(θ1)가 그 이외의 영역의 경사 각도(θ2)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광학 시트에 있어서, 상기 능선이 연장되는 방향의 높이가 변화하는 경우에, 그 높이가 직선상, 단계상, 비직선상 및 곡선상의 형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형태로 변화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능선의 높이는 다양한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장시간 사용으로 액정 표시 장치가 온도 상승하여 도광판과 단위 프리즘의 선단이 밀착하기 쉬워진 경우에, 웨트 아웃과 손상의 발생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에 있어서, 상기 능선이, 평면에서 보아 직선 형상, 꺾인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능선이 평면에서 보아 직선 형상, 꺾인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특히 장시간 사용으로 액정 표시 장치가 온도 상승하여 도광판과 단위 프리즘의 선단이 밀착하기 쉬워진 경우에, 웨트 아웃과 손상의 발생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특히 꺾인선 형상과 곡선 형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에 있어서, 상기 능선이 연장되는 방향의 단위 프리즘의 높이가, 0.005㎜ 이상 5㎜ 이하의 범위 내의 간격(피치, 주기)으로, 0.5㎛ 이상 15㎛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화하고 있다.
(2)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와 도광판과 광원을 적어도 갖고, 상기 광학 시트를 구성하는 단위 프리즘이, 상기 도광판의 표면을 향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꼭대기부 형상의 단위 프리즘은 도광판을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이 광학 시트를 도광판 위에 설치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조립할 때에, 단위 프리즘의 선단이 도광판의 표면을 문질러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단위 프리즘이, 상기 형태의 능선으로 되어 있으므로, 특히 장시간 사용으로 액정 표시 장치가 온도 상승하여 도광판과 단위 프리즘의 선단이 밀착되기 쉬워진 경우라도, 광학 시트와 도광판과의 사이에서 웨트 아웃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그 때의 마찰의 발생에 의한 손상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이,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유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유의 단위 프리즘 형태를 가지므로, 장시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도광판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웨트 아웃의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도광판을 손상시키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일례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다른 일례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광학 시트와 도광판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웨트 아웃의 모식적인 형태도.
도 5는 단위 프리즘의 꼭대기부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단위 프리즘의 꼭대기부 형상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단위 프리즘의 능선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단위 프리즘의 능선 형상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9는 단위 프리즘의 능선 형상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0은 광 확산층을 갖는 광학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구성도.
도 11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광학 시트의 단면 사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광학 시트를 사시했을 때의 사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실시예 1, 5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광학 시트에 대하여 시험 후의 웨트 아웃의 발생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특징을 갖는 한 각종 변형이 가능하며, 이하의 설명 및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학 시트]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1)는,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 프리즘(13)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단위 프리즘(13)은, (1) 꼭대기부(14)의 내각(θ)이 30° 이상 80° 이하의 범위 내이며, (2) 구성하는 2개의 프리즘면(21, 22) 중 적어도 한쪽의 프리즘면에 있어서 꼭대기부로부터 적어도 10㎛ 이내의 영역(23)의 경사 각도(θ1)가 그 이외의 영역(24)의 경사 각도(θ2)보다도 크고, (3) 상기 단위 프리즘의 능선의 높이는, 상기 능선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거나, 또는 인접하는 단위 프리즘끼리에서 다르다. 이러한 꼭대기부 형상의 단위 프리즘을 갖는 광학 시트(1)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30)을 구성하는 도광판(32)의 표면을 향해 배치되어, 그 도광판(32)과 함께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그 결과, 장시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도광판(32)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웨트 아웃(19)(도 4 참조)의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도광판(32)을 손상시키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원에서는, 단위 프리즘(13)의 능선(14)의 높이(h)는, 기재(11)의 면(S1)으로부터의 높이를 가리키고 있고, 골(15)로부터 능선(14)까지의 높이(h')와는 다르다.
이하, 광학 시트의 각 구성 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재)
기재(1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 프리즘(13)이 병렬로 설치되는 기재이다. 이 기재(11)는, 단위 프리즘(13)으로 편향된 광을 액정 패널(52)의 측에 투과할 수 있는 광 투과성의 기재이면 좋고, 그러한 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의 광 투과율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기재(1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10㎛ 이상 300㎛ 이하의 범위 내이다.
기재(11)의 구성 재료로서는, 자외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투과하는 시트상 또는 필름상의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연한 유리판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재(11)의 구성 재료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사이클로올레핀 수지, 폴리메타크릴이미드계 수지 등의 투명 수지 시트나 필름이 바람직하다. 특히, 단위 프리즘(13)의 굴절률보다도 굴절률이 높고, 표면 반사율이 낮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와 폴리불화비닐리덴계 수지와의 혼합물,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11)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로 구성되는 단위 프리즘(13)과 기재(11)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표면에 앵커 코팅 처리 등의 밀착성 향상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기재(11)의 제작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단층 압출, 공압출, 도포 경화 기타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기재(11)는, 그 종류에 따라 연신 처리되거나 되지 않거나 한다. 연신 처리되는 경우에는, 2축 연신 처리라도 1축 연신 처리라도 좋다.
(단위 프리즘)
단위 프리즘(13)은, 도 1,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삼각 단면 또는 대략 삼각 단면으로 일방향(X)으로 길게 연장된 것이다. 이러한 단위 프리즘(13)은, 기재(11)의 한쪽의 면(S1)에 병렬로 배치되어 광학 시트(1)를 구성하고 있다. 단위 프리즘(13)의 꼭대기부는 능선부(능선이라고도 함.)(14)를 갖고, 그 능선부(14)와 직교하는 방향(Y)으로 다수 배열되어 프리즘부(12)를 구성하고 있다. 단위 프리즘(13)은, 인접하는 단위 프리즘(13)의 사이에 골(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호 14를 꼭대기부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단위 프리즘의 꼭대기부 형상)
단위 프리즘(13)은, 꼭대기부(14)의 내각(θ)이 30° 이상 80° 이하의 범위 내로 구성되어 있다. 내각(θ)을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역단위 프리즘형 광학 시트(1)로서 단위 프리즘(13)이 도광판(32)측에 배치된 경우에, 양호한 광의 편향을 실현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내각(θ)은, 50° 이상 70° 이하의 범위 내이다.
단위 프리즘(13)의 높이(h)는, 광학 시트(1)를 대형의 액정 패널과 조합하는 경우에는, 1㎛ 이상 5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소형의 액정 패널과 조합하는 경우에는 0.5㎛ 이상 3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 프리즘(13)은, 통상,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삼각 단면 또는 대략 삼각 단면이며, 또한 그 내각(θ)은 상기 범위 내이므로, 그 높이(h)와 내각(θ)에 의해, 단위 프리즘(13)의 피치(배열 간격)(P)도 용이하게 설정되게 된다. 인접하는 단위 프리즘(13)의 피치(P)는, 광학 시트(1)의 사양에 따라서도 다르고, 투광성 표시체용의 백라이트 유닛(30)에 요구되는 성능을 만족시키는 범위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피치(P)로서는, 예를 들면, 5㎛ 이상 50㎛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단위 프리즘(13)의 높이(h)는, 단위 프리즘(13)이 형성되는 기재(11)의 면(S1)(경계면)으로부터 능선(14)까지의 거리이다. 높이(h)를 기재(11)의 면(S1)으로부터의 높이로 한 것은, 기재면은 도광판(32)과 평행으로 배치되기 때문이다.
삼각 단면 또는 대략 삼각 단면의 단위 프리즘(13)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프리즘면(21, 2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프리즘면(21, 22) 중 적어도 한쪽의 프리즘면(21)에 있어서, 꼭대기부(14)로부터 적어도 10㎛ 이내의 영역(23)의 경사 각도(θ1)가, 그 이외의 영역(24)의 경사 각도(θ2)보다도 크다. 이때, 「적어도 한쪽의 프리즘면」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프리즘면(21)이다. 이 프리즘면(21)은, 도 3에 나타내는 광원(34)이 1개인 단등형의 백라이트 유닛(30)의 경우에는, 광원(34)측이 아닌 측의 프리즘면이다. 한편, 도 2에 나타내는 광원이 2개인 2등형의 백라이트 유닛의 경우에는, 여기서 말하는 「적어도 한쪽의 프리즘면」은 어느 프리즘면(21, 22)이라도 좋다.
「적어도 10㎛」란, 경사 각도(θ1)의 영역(23)이 꼭대기부(14)로부터 1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은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적어도 1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면, 꼭대기부(14)로부터 예를 들어 2㎛, 4㎛, 6㎛ 또는 10㎛ 등의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그 영역(23)은 꼭대기부 부근의 작은 영역인 경우에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고, 상한으로서는 15㎛를 들 수 있다. 「꼭대기부로부터」이므로, 꼭대기부(14)의 선단의 능선(14)으로부터의 길이이다. 「경사 각도」는, 광학 시트(1)의 기재(11)면에 직각의 법선(26)에 대한 프리즘면의 경사 각도이다. 경사 각도가 「크다」란, 법선(26)에 대한 각도가 큰 것이다. 따라서, 「영역(23)의 경사 각도(θ1)가, 그 이외의 영역(24)의 경사 각도(θ2)보다도 크다」란, 영역(23)의 법선(26)에 대한 각도의 쪽이, 영역(24)의 법선(26)에 대한 각도보다도 큰 것을 의미한다. 「그 이외의 영역(24)」이란, 경사 각도(θ1)가 큰 영역(23) 이외의 프리즘면으로서, 대부분의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이며, 적어도 프리즘면의 골측의 하반분(下半分)의 영역이 포함된다.
적어도 한쪽의 프리즘면에 있어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꼭대기부(14)로부터 적어도 10㎛ 이내의 영역(23)의 경사 각도(θ1)와, 그 이외의 영역(24)의 경사 각도(θ2)와의 차(θ1-θ2)가, 0.1° 이상 2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각도의 차는, 1° 이상 10° 이하의 범위 내이며,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꼭대기부(14)로부터 적어도 10㎛ 이내의 영역(23)을 곡면으로 한 예이다. 그 영역(23)을 곡면으로 한 경우, 그 곡면은, 곡률 반경(R1, R2)이 30㎛ 이상 20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곡면의 경사 각도(θ1)는, 곡면의 접선과 법선(26)과의 각도로 표시된다. 따라서, 꼭대기부(14)로부터 적어도 10㎛ 이내의 곡면 영역(23)의 경사 각도(θ1)는, 그 이외의 영역(24)의 경사 각도(θ2)보다도 크다. 또한, 곡률 반경(R1, R2)이 200㎛를 초과하면, 웨트 아웃(19)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바람직한 곡률 반경(R1, R2)은, 50㎛ 이상 100㎛ 이하의 범위 내이며,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단위 프리즘(13)은, 도 5의 (A) 및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하는 2개의 프리즘면(21, 22) 중 한쪽의 프리즘면만이, 「꼭대기부(14)로부터 적어도 10㎛ 이내의 영역의 경사 각도(θ1)가 그 이외의 영역의 경사 각도(θ2)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광원(34)이 1개인 단등형의 백라이트 유닛(30)의 경우에 바람직하다.
(단위 프리즘의 능선 형상)
단위 프리즘(13)은, 상기한 정각(頂角) 형상을 갖춘 데다가, 또한, (i) 그 능선(14)의 높이(h)가 능선(14)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거나, 또는, (ii) 그 능선(14)의 높이(h)가 인접하는 단위 프리즘끼리(13, 13)에서 다르다. 이러한 형태의 능선(14)으로 함으로써, 능선(14)이 도광판(32)에 닿는 위치가 적어진다. 그로 인해, 특히 장시간 사용으로 액정 표시 장치가 온도 상승하여 도광판(32)과 단위 프리즘(13)의 선단이 밀착되기 쉬워진 경우라도, 광학 시트(1)와 도광판(32)과의 사이에서 웨트 아웃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그 때의 마찰의 발생에 의한 손상도 억제할 수 있다.
(i)의 능선(14)의 높이(h)가 능선(14)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그 높이(h)가, 직선상, 단계상, 비직선상 및 곡선상의 형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능선 형태로 변화한다. 직선상으로 변화란, 1개의 직선으로 높게 하거나 낮게 하거나 하는 것이다. 단계상으로 변화란, 2개 이상의 직선으로 높게 하거나 낮게 하거나 하는 것이다. 비직선상으로 변화란, 직선과 곡선을 복합시켜서 높게 하거나 낮게 하거나 하는 것이다. 곡선상으로 변화란, 단일 또는 복수의 곡선으로 높게 하거나 낮게 하거나 하는 것이다. 이러한 능선 형태는, 단일 형태라도 좋고, 둘 이상의 능선 형태가 조합된 것이라도 좋다.
도 7의 예에서는, 단위 프리즘(13)의 능선 높이(h)가 각 단위 프리즘(13)의 길이 방향(X)을 따라 변화하고 있다. 예를 들면 단위 프리즘(13)의 길이 방향(X)에서, 최대 높이(h1) 내지 최소 높이(h2)의 범위에서 변화하는 능선(14)은, 연속된 완만한 곡선상의 요철이라도 좋고, 꺾인선 형상의 요철이라도 좋다.
능선(14)이 연장되는 방향(X)의 높이(h)는, 0.005㎜ 이상 5㎜ 이하의 범위 내의 간격(피치, 주기. 이하 같음.)으로, 0.5㎛ 이상 15㎛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화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이(h)는 0.5㎛ 이상 100㎛ 이하의 범위 내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대형의 액정 패널과 조합하는 경우의 높이는 1㎛ 이상 50㎛ 이하의 범위 내가 보다 바람직하고, 소형의 액정 패널과 조합하는 경우의 높이는 0.5㎛ 이상 30㎛ 이하의 범위 내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주기적으로 높이(h)를 변화시키는 간격은, 0.005㎜ 이상 5㎜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웨트 아웃의 발생 테스트에 따라 그 범위 내에서 바람직한 범위로 미세 조정한다. 보다 바람직한 간격은, 0.01㎜ 이상 3㎜ 이하의 범위 내이다.
(ii)의 능선(14)의 높이(h)가 인접하는 단위 프리즘끼리(13, 13)에서 다른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능선(14)이 연장되는 방향(X)의 높이(h)가 일정하고, 인접하는 단위 프리즘(13, 13)끼리의 능선(14)의 높이(h)가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것은, 서로 이웃하는 단위 프리즘의 능선의 높이가 다르도록 한 것이며, 그 높이의 차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 이상 10㎛ 이하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형태는, 상기 (i) 또는 (ii)의 경우에 있어서, 능선(14)이, 평면에서 보아 꺾인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경우이다. 또한, 능선(14)이, 평면에서 보아 직선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경우는 이미 도 7 및 도 8과 같다. 평면에서 보아 꺾인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으로 함으로써, 특히 장시간 사용으로 액정 표시 장치(50)가 온도 상승하여 도광판(32)과 단위 프리즘(13)의 선단이 밀착되기 쉬워진 경우에, 웨트 아웃(19)과 손상의 발생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그 꺾인선 형상의 꺾인 폭, 또는 곡선 형상의 구부러진 폭(W)은, 2㎛ 이상 15㎛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상기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단위 프리즘의 구성 수지)
단위 프리즘(13)의 구성 수지로서는, 광학 시트용의 구성 수지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으로 경화할 수 있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그러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은, 일반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 열이나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하여 도료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모노머로서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분자 중에 (메타)아크릴로일기(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가 있다. 이것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된다. 또한,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모노알코올의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올의 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수지 조성물로서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와 단관능 아크릴레이트와의 혼합 수지에, 라디칼성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한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적어도 1종 이상 함유하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분자 중에 1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고 또한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로일 화합물의 1종 이상을 반응시켜서 얻을 수 있다.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는, 이하에 나타내는 (a) 폴리올, (b)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c) 분자 중에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공지의 방법으로 반응시켜서 얻어진다. 또한, 후술하는 시판품의 것을 사용해도 좋다.
(a)의 폴리올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지방족 탄화수소계 폴리올, 지환족 탄화수소계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폴리올 중, 비스페놀A, 비스페놀F, 비스페놀S, 및 이것들의 알킬렌옥사이드 변성물이 바람직하다.
(b)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방향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 2-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펜탄-1,5-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사이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1,4-사이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사이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사이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4,4'-디벤질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디알킬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알킬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저점도화에 대한 관점에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굴절률의 관점에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의 분자 중에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아크릴산에스테르, 폴리부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2-하이드록시에틸프탈레이트, 페닐글리시딜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을 단독 사용 또는 복수종 병용할 수 있다.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시판의 예로서는, 쿄에이샤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AH-600(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2, 분자량 약 600), AI-600(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2, 분자량 약 600), UA-101H(무황변 타입, 메타아크릴로일기수 4, 분자량 약 600), UA-101I(무황변 타입, 메타아크릴로일기수 4, 분자량 약 700), UA-306H(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6, 분자량 약 700), UA-306I(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6, 분자량 약 800), UA-306T(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6, 분자량 약 800)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신나카무라 카가쿠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NK 올리고 U-4HA(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4, 분자량 약 600), NK 올리고 U-4H(무황변 타입, 메타아크릴로일기수 4, 분자량 약 600), NK 올리고 U-6HA(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6, 분자량 약 1,000), NK 올리고 U-6H(무황변 타입, 메타아크릴로일기수 6, 분자량 약 1,000), NK 올리고 U-108A(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2, 분자량 약 1,600), NK 올리고 U-122A(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2, 분자량 약 1,100), NK 올리고 U-2PPA(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2, 분자량 약 500), NK 올리고 UA-5201(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2, 분자량 약 1,000), NK 올리고 UA-1101H(아크릴로일기수 6, 분자량 약 1,800), NK 올리고 UA-6LPA(아크릴로일기수 6, 분자량 약 800), NK 올리고 UA-412A(아크릴로일기수 2, 분자량 약 4,700), NK 올리고 UA-4200(아크릴로일기수 2, 분자량 약 1,300), NK 올리고 UA-4400(아크릴로일기수 2, 분자량 약 1,300)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이셀·사이텍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 Ebecryl270(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2, 분자량 약 1,500), Ebecryl210(아크릴로일기수 2, 분자량 약 1,500), Ebecryl1290K(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6, 분자량 약 1,000), Ebecryl5129(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6, 분자량 약 800), Ebecryl4858(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2, 분자량 약 600), Ebecryl8210(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4, 분자량 약 600), Ebecryl8402(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2, 분자량 약 1,000), Ebecryl9270(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2, 분자량 약 1,000), Ebecryl230(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2, 분자량 약 5,000), Ebecryl8201(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3, 분자량 약 2,100), Ebecryl8804(무황변 타입, 아크릴로일기수 2, 분자량 약 1,300) 등을 들 수 있다.
단관능 아크릴레이트로서는,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쿄에이샤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라이트 에스테르E, 라이트 에스테르NB, 라이트 에스테르IB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성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자외선이나 가시광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프리라디칼이 발생하여,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라디칼 중합을 개시시키는 화합물이며, 종래부터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 알려져 있는 화합물을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벤조인, 벤조인모노메틸에테르, 벤조인모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아세토인, 아세토페논, 벤질, 벤조페논, p-메톡시벤조페논,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α-하이드록시알킬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메틸페닐글리옥실레이트, 에틸페닐글리옥실레이트,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온-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온-1,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설파이드, 테트라메틸티우람디설파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캄파퀴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로서, 본 발명의 요지(작용 효과)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임의 성분을 배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벤조페논계, 벤조인계, 티옥산톤계, 포스핀옥사이드계 등의 광 개시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 실리콘, 산화 방지제, 중합 금지제, 이형제,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소포제, 용제, 비반응성 아크릴 수지, 비반응성 우레탄 수지, 비반응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안료, 염료, 광 확산제 등도 병용할 수 있다.
단위 프리즘의 제작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수지판을 원하는 표면 구조를 갖는 틀(型) 부재를 사용하여 열 프레스함으로써 형성해도 좋고, 압출 성형이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단위 프리즘 시트를 제조할 때에 동시에 형상 부여하여 형성해도 좋다. 또한, 열 또는 광경화성 수지 등을 사용하여 렌즈 틀(型)에 의해 형상을 전사하여 형성해도 좋다. 특히, 기재(11)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단위 프리즘을 형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소정의 단위 프리즘 패턴을 형성한 렌즈 틀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흘려 넣고, 기재(11)를 포개고, 이어서, 기재(11)를 통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중합 경화하고, 그 후, 렌즈 틀로부터 박리하여 광학 시트를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렌즈 틀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황동, 철강 등의 금속제의 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ABS 수지, 불소 수지, 폴리메틸펜텐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의 틀, 이들 재료에 도금을 실시한 것이나 각종 금속분을 혼합한 재료로 제작한 틀을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조사하는 활성 에너지선의 광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케미컬 램프, 저압 수은 램프, 고압 수은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무전극 UV 램프, 가시광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등을 들 수 있으며, 임의의 조사 강도로 조사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로 제작된 단위 프리즘(13)은, 상기한 단위 프리즘의 꼭대기부 형상과 능선 형상을 갖고 있으면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지만, 소정의 범위 내의 탄성률을 갖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탄성률은, 0.5MPa 이상 15MPa 이하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이 범위 내의 탄성률을 갖는 단위 프리즘(13)은, 비교적 단단한 단위 프리즘 선단이라도, 단위 프리즘 선단으로 도광판(32)이 그다지 손상되지 않는다. 특히 이 광학 시트(1)를 도광판(32) 위에 설치하여 액정 표시 장치(50)를 조립할 때에, 단위 프리즘(13)의 선단이 도광판(32)의 표면을 문질러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탄성률은 탄성 변형에서의 응력과 변형 사이의 비례 상수(변형하기 어려움을 나타내는 물성값)이며,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나노 인덴테이션법을 사용하는 미소 압입 경도 시험기(나노 인덴테이션 테스터)로 측정할 수 있다.
단위 프리즘(13)의 탄성률이 15MPa를 초과하면, 비교적 무른 단위 프리즘 선단이 도광판(32)에 밀착하여, 웨트 아웃(19)(도 4 참조)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단위 프리즘(13)의 탄성률이 0.5MPa 미만에서는, 너무 단단해져서 단위 프리즘 선단이 도광판(32)을 문질러, 도광판(32)의 표면에 손상을 주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바람직한 범위는, 탄성률이 0.5MPa 이상 10MPa 이하의 범위 내이며, 이 바람직한 범위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 중, 특히 액정 표시 장치(50)를 조립할 때에 단위 프리즘(13)의 선단이 도광판(32)의 표면을 문질러 손상시키는 것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단위 프리즘(13)의 복원율로 특정해도 좋다. 바람직한 복원율은 30% 이상 100% 이하의 범위 내이다. 복원율은, 상기한 탄성률의 측정시에 얻어지는 파라미터이며, 예를 들면 미소 압입 경도 시험기(나노 인덴테이션 테스터)로의 측정에 있어서, 하중을 부하했을 때의 깊이(압입 깊이 hmax)와 제하(除荷)했을 때의 복원 깊이(hf)와의 차[hf/hmax]이다. 이 범위의 복원율이 되는 단위 프리즘(13)은, 적당한 탄력성을 갖는 단위 프리즘 선단이 되므로, 단위 프리즘 선단이 너무 단단하여 도광판(32)을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복원율이 30% 미만에서는, 탄력성이 부족하고, 너무 단단하여, 단위 프리즘 선단이 도광판(32)을 문질러 도광판(32)의 표면에 손상을 주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바람직한 복원율의 범위는, 50% 이상 80% 이하의 범위 내이며, 이 바람직한 범위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 중, 특히 액정 표시 장치(50)를 조립할 때에 단위 프리즘(13)의 선단이 도광판(32)의 표면을 문질러 손상시키는 것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단위 프리즘(13)의 탄성률이 0.5MPa 이상 15MPa 이하의 범위 내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단위 프리즘(13)의 탄성률이 그 범위 내가 되도록 조정된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면 좋다. 바람직한 수지 조성물로서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와 단관능 아크릴레이트와의 혼합 수지에, 라디칼성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한 수지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와 단관능 아크릴레이트의 종류에 따라,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와 단관능 아크릴레이트와의 배합비를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 프리폴리머와 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6:4로 배합한 혼합 수지로서 상기 범위의 탄성률이 되는 단위 프리즘(13)을 얻고 있다. 또한, 그 배합비는,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의 종류와 단관능 아크릴레이트의 종류에 따라 임의이다.
(기타)
광학 시트(1)에는, 광을 투과하는 동시에 확산시키는 기능(광 투과 확산 기능이라고 함.)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광 투과 확산 기능을 부여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각종 수단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시트(1)를 구성하는 기재(11)의 적어도 한쪽의 면(S1 또는 S2)에, 광 투과 확산층을 형성하거나, 소위 매트 처리하여 요철 형상을 형성하거나 할 수 있다. 도 10의 (A)는 기재(11)와 단위 프리즘(13)의 사이에 광 투과 확산층(17)을 형성한 예이며, 도 10의 (B)는 기재(11)의 면(S2)에 광 투과 확산층(17)을 형성한 예이지만,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광 투과 확산층(17)은, 광을 투과하고 또한 확산시키는 작용이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광 확산성 미립자 등의 광 확산재가 투광성 수지 중에 분산된 일반적인 광 투과 확산층을 들 수 있다. 광 투과 확산층(17)은, 기재(11)의 다른 쪽의 면(S2)과, 기재(11)의 한쪽의 면(S1)과 단위 프리즘(13)과의 사이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광 확산재를 기재(11)에 내포시켜, 기판 자체를 광 투과성 확산층으로 해도 좋다.
광 투과 확산층을 구성하는 투광성 수지 재료로서는, 상기의 기재(11)와 동일한 수지 재료, 예를 들면 아크릴,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비닐 중합체 등의 투명한 재료가 사용된다. 또한 그 광 투과 확산층 중에는, 광 확산성 미립자 등의 광 확산재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다. 광 확산재로서는, 일반적으로 광학 시트에 사용되는 광 확산성의 미립자가 사용되며, 예를 들면, 폴리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계 비즈, 폴리메타크릴산부틸계 비즈, 폴리카보네이트계 비즈, 폴리우레탄계 비즈, 나일론 비즈, 탄산칼슘계 비즈, 실리카계 비즈, 실리콘 수지 비즈 등이 사용된다.
광 투과 확산층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확산재를 투광성 바인더 수지에 분산시킨 도료를, 분사 도장, 롤 코팅 등으로 도공(塗工)하여 형성해도 좋고, 광 확산재를 분산시킨 수지 재료를 준비하고, 그 수지 재료를 기재(11)의 압출 재료와 함께 공압출하여 형성해도 좋다. 또한, 광 투과 확산층의 두께는, 통상, 0.5㎜ 이상 20㎛ 이하의 범위이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매트 처리는, 예를 들면 기재(11)의 다른쪽의 면(S2) 위에 광 투과 확산층(17)을 형성하는 대신에, 그 면(S2)에 소정의 표면 조도를 갖게 하여 광 확산 기능을 부여한 것이다. 그 수단으로서는, 표면을 샌드 블라스트 등에 의해 기계적으로 거칠게 하는 방법, 또는 입자를 포함하는 요철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광 확산재를 기재(11)에 내포시키는 경우에는, 광 확산재를 함유시킨 기재용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기재(11)를 제조하면 좋다. 또한, 기재(11)의 면(S2)에는, 반사형 편광 필름, 마이크로 렌즈 필름 등의 각종 필름을 그 목적에 따라 임의로 적층해도 좋다.
[백라이트 유닛]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백라이트 유닛(30)은, 소위 엣지 라이트형의 백라이트 유닛이며, 적어도 하나의 측단면(32A)으로부터 도입된 광을 한쪽의 면인 광 방출면(32B)으로부터 출사하는 도광판(32)과, 그 도광판(32)의 적어도 상기 하나의 측단면(32A)으로부터 내부로 광을 입사시키는 광원(34)과, 도광판(32)의 광 방출면(32B)에 형성되어, 그 광 방출면(32B)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을 투과하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1)를 갖고 있다. 이 광학 시트(1)는, 단위 프리즘(13)이 도광판(32)의 표면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광원(34)이 양 단면에 있는 2등형의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고 있고, 도 3은 광원(34)이 1개인 단등형의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고 있다.
도광판(32)은,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판상체로서, 도 2에서는 양측의 측단면(32A, 32A)으로부터, 도 3에서는 좌측의 측단면(32A)으로부터 도입된 광을, 상측의 광 방출면(32B)으로부터 출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광판(32)은, 광학 시트(1)의 재료와 동일한 투광성 재료로 형성되며, 통상,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유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그러한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표면에 광경화 수지로 특정 형상(예를 들면, 광 확산 형상 등)을 부여한 것이라도 좋다. 도광판(3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0.2㎜ 이상 0.7㎜ 이하 정도이다. 도광판(32)의 두께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 범위에서 일정해도 좋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34)측의 측단면(32A)의 위치에서 가장 두껍고, 반대 방향으로 서서히 얇아지는 테이퍼 형상이라도 좋다. 이러한 도광판(32)은, 광을 넓은 면(광 방출면(32B))으로부터 출사시키기 위해, 그 내부 또는 표면에 광 산란 기능이 부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34)은, 도광판(32)의 양측의 측단면(32A, 32A) 또는 편측의 측단면(32A)으로부터 내부로 광을 입사시키는 것이며, 도광판(32)의 측단면(32A)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광원(34)으로서는, 형광관(형광등) 등의 선 형상의 광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백열전구, LED(발광 다이오드) 등의 점 광원을 측단면(32A)을 따라 라인 형상으로 배치해도 좋다. 또한, 소형의 평면 형광 램프를 측단면(32A)을 따라 복수개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도광판(32)의 광 방출면(32B)에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1)가 설치되어 있다. 광학 시트(1)는, 그 단위 프리즘(13)의 측이 도광판(32)의 광 방출면(32B)이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광학 시트(1)의 상세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반사체(36)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광판(32)의 광 방출면(32B)과 반대측의 면에 설치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반사체(36)는, 도광판(32)의 광 방출면(32B)과 반대측의 면에 설치되는 동시에, 좌측의 측단면(32A) 이외의 측단면에 설치된다. 반사체(36)는, 광을 반사하여 도광판(32) 내로 되돌리기 위한 것이다. 반사체(36)는, 얇은 금속판에 알루미늄 등을 증착한 것,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은을 증착한 복합 필름, 다층 구조의 반사 필름, 또는 백색의 발포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이 사용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백라이트 유닛에서는, 선 형상의 광원(34), 또는 일방향에 라인 형상으로 배치한 광원(34)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 광원(34)이 연장되는 방향과,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1)가 갖는 단위 프리즘(13)의 능선(14)이 연장되는 방향은,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는, 백라이트 유닛(30)과, 평면상의 투광성 표시체인 액정 패널(52)을 조합한 액정 표시 장치(50)도 함께 나타내고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30)은, 액정 패널(52)의 뒷면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52)을 뒷면으로부터 광 조사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0)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트(1)를 구비하므로, 그 광학 시트(1)가 갖는 단위 프리즘(13)이 도광판(32)을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이 광학 시트(1)를 도광판 위에 설치하여 액정 표시 장치를 조립할 때에, 단위 프리즘(13)의 선단이 도광판(32)의 표면을 문질러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장시간 사용으로 액정 표시 장치가 온도 상승하여 도광판과 단위 프리즘(13)의 선단이 밀착되기 쉬워진 경우라도, 광학 시트(1)와 도광판(32)과의 사이에서 웨트 아웃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그 때의 마찰의 발생에 의한 손상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나타내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기재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광학 시트의 제작)
기재로서, 두께 100㎛의 PET 필름(토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코스모 샤인 A4100)을 사용했다. 단위 프리즘 틀은, 금속제 모형 표면 위에, 내각(θ)이 65°인 단위 프리즘의 선상 배열을 반전시킨 형상이 되도록, 다이아몬드 바이트를 사용하여 홈을 NC 선반으로 절삭하여 준비했다. 단위 프리즘용 수지 조성물은,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 프리폴리머(쿄에이샤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와 에틸메타크릴레이트(쿄에이샤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6:4로 배합한 혼합 수지와, 광 개시제(BASF 제조, Irgacure 184, α-하이드록시알킬페논)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준비했다. 단위 프리즘용 수지 조성물을 단위 프리즘 틀에 흘려 넣은 후, 그 위에 상기 기재를 포개고, 라미네이터로 기재 전체면을 수지 조성물에 압착했다. 이어서,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PET 기재면측으로부터 자외선 조사를 행하여,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켰다. 경화 후, 단위 프리즘 틀로부터 박리하여, 기재 위에 단위 프리즘이 형성된 광학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시트(1)는, 굴절률이 1.51 내지 1.53이며, 주 절단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이등변 삼각형인 복수의 단위 프리즘을 갖는 것이다. 단위 프리즘은, 배열 간격(P)이 37㎛이고, 높이(h)가 30㎛이고, 능선(14)을 구성하는 꼭대기점의 내각(θ)이 65.03°이며, 이등변 삼각형을 구성하는 각 변의 길이가 각각 35.00㎛와 35.03㎛였다. 또한, 배열하고 있는 단위 프리즘(13)의 능선 형상은, 능선(14)이 연장되는 방향(X)의 최대 높이(h1)와 최소 높이(h2)의 차가 4㎛이며, 그것이 1㎜ 피치(간격)로 반복되고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얻어진 광학 시트의 사진이다. 프리즘면(21, 22) 중 한쪽의 프리즘면(21)에서는, 꼭대기부(14)로부터 5㎛ 이내의 영역(23)의 경사 각도(θ1)가, 그 이외의 영역(24)의 경사 각도(θ2)보다도 크다. 구체적으로는, 그 5㎛를 포함하는 10㎛의 길이의 영역(23)의 경사 각도(θ1)는 법선에 대하여 40°이고, 그 이외의 영역(24)의 경사 각도(θ2)는 32°이며, 그 차는 8°였다. 또한, 도 12는, 경사 각도가 다른 영역(23)과 영역(24)을 가진 단위 프리즘(13)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는 사진이다.
(도광판과 백라이트 유닛의 제작)
도광판(32)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압출 성형에 의해 얻었다. 얻어진 도광판(32)은 두께가 550㎛이며, 한쪽의 면에 백반사 시트를 붙였다. 이렇게 해서 얻은 도광판(32)의 한변의 단면에 LED 광원을 배치하고, 광학 시트(1)를 도광판 위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백라이트 유닛을 제작했다.
[실시예 2]
단위 프리즘(13)의 정각 형상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의 광학 시트와 백라이트 유닛을 제작했다. 단위 프리즘의 정각 형상은, 능선(14)을 구성하는 정점의 내각(θ)을 60.0°로 하고, 또한 프리즘면(21, 22) 중 한쪽의 프리즘면(21)에서는, 꼭대기부(14)로부터 5㎛ 이내의 영역(23)을 곡률 반경(R1)이 80㎛인 곡면으로 했다. 또한, 그 5㎛를 포함하는 10㎛ 길이의 영역(23)의 곡면의 접선과 법선(26)과의 각도(θ1)는 35°이고, 그 이외의 영역(24)의 경사 각도(θ2)는 30°이며, 그 차는 5°였다. 이러한 형상은, 다이아몬드 바이트를 사용한 홈의 가공시에 미세 조정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의 한쪽의 프리즘면(21)에 형성한 경사가 다른 영역(23, 24)을, 두개의 프리즘면(21, 22)에 형성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3의 광학 시트와 백라이트 유닛을 제작했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서의 한쪽의 프리즘면(21)에 형성한 경사가 다른 영역(23, 24)을, 두개의 프리즘면(21, 22)에 형성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4의 광학 시트와 백라이트 유닛을 제작했다.
[실시예 5]
단위 프리즘용 수지 조성물을 변경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5의 광학 시트와 백라이트 유닛을 제작했다. 단위 프리즘용 수지 조성물은,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우레탄 프리폴리머(쿄에이샤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와 에틸메타크릴레이트(쿄에이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4:6으로 배합한 혼합 수지와, 광 개시제(BASF 제조, Irgacure 184, α-하이드록시알킬페논)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했다.
[비교예 1]
배열하고 있는 단위 프리즘(13)의 능선 형상을 변화시키지 않고 높이를 일정하게 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의 광학 시트와 백라이트 유닛을 제작했다.
[비교예 2]
프리즘면에 경사가 다른 영역(23, 24)을 형성하지 않았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2의 광학 시트와 백라이트 유닛을 제작했다.
[평가]
(단위 프리즘의 능선 형태의 측정)
단위 프리즘(13)의 능선 형태는, 단면이 능선(14)과 평행이 되도록, 가능한 골부(15)를 절단하여, 단위 프리즘(13)이 연장되는 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Y)에서 절단 단면을 보도록 현미경에 세팅하고, 능선(14)에 현미경의 핀트를 맞춰 관찰했다. 이 측정에서는, 기재(11)와 프리즘부(12)의 계면을 기준면으로 하여, 능선의 진폭이나 능선의 가장 높은 부분을 측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피치를 측정했다.
실측한 결과, 실시예 1의 능선 형상은, 능선(14)이 연장되는 방향(X)의 최대 높이(h1)와 최소 높이(h2)의 차가 2㎛이며, 그것이 1.3㎜ 피치(간격)로 반복되고 있었다. 비교예 1의 능선 형상은, 높이가 일정(±0.1㎛ 이하)했다.
(웨트 아웃 평가)
세로 300㎜·가로 300㎜·두께 1㎜의 질량 500g의 유리판 위에, 세로 150㎜·가로 150㎜로 절단한 두께 0.5㎜의 도광판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판을 올려놓고, 그 위에, 세로 100㎜·가로 100㎜로 절단한 실시예 1, 5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광학 시트(1)를, 단위 프리즘(13)의 능선(14)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올려놓고, 또한 그 광학 시트(1) 위에, 세로 150㎜·가로 150㎜·두께 9mmm의 질량 500g의 유리판을 올려놓았다. 이때, 광학 시트(1)에 가해지는 하중은 500gf이며, 단위 면적당 5g/㎠의 하중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80℃의 오븐과, 65℃·95%RH의 오븐에 각각 72시간 정치하고, 꺼낸 후에 웨트 아웃(19) 유무의 육안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도 13의 사진에 나타낸다.
실시예 1의 광학 시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트 아웃(19)이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5의 광학 시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아레(moire) 무늬가 발생해 버렸지만, 웨트 아웃(19)은 발생하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 1의 광학 시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도 1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트 아웃(19)이 발생했다. 또한, 시험 후에 광학 시트를 떼어 내어 도광판의 표면을 육안 관찰한 바, 실시예 1, 5의 광학 시트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비교예 1의 광학 시트를 사용한 경우의 쪽이 도광판 표면의 손상이 눈에 띄었다.
(탄성률의 측정)
광학 시트(1)의 단위 프리즘(13)의 탄성률(탄성 변형의 어려움의 물성값)은, 초미소 압입 경도 시험기(품명: 나노 인덴테이션 테스터, 형식: ENT-1100a, 가부시키가이샤 에리오닉스 제조)를 사용한 나노 인덴테이션법으로 행했다. 압입 압자는, 바코비치형의 압입 압자(대면각이 90°인 사각뿔형 압자)를 사용했다. 시험 시료는, 단위 프리즘(13)의 능선(14)이 연장되는 방향(X)에 직교하도록 미크로톰에 의해 슬라이스하여, 두께 약 50㎛로 했다. 시험 시료의 단면이 위가 되도록, 접착제로 측정반 위에 고정했다. 그리고, ISO 14577-1에 준거하여, 20℃의 온도 하에서, 단위 프리즘 시료의 10㎛ 각(角)의 영역에 압입 압자를 0 내지 1㎛의 깊이가 될 때까지 하중을 서서히 가하면서 압입했다. 최대 하중 1mN으로 1초간 유지한 후, 서서히 압자를 상승시켜서 제하하면서 부하값을 측정했다. 이러한 부하-제하 측정으로부터, 탄성률과 복원율을 구했다. 또한, 나노 인덴테이션법은, 시험력의 제하 곡선에 Oliver-Pharr의 해석법을 사용하여 접촉 깊이를 산출하고, 그 접촉 깊이로부터 접촉 투영 면적을 산출하는 방법이다.
탄성률은, 시험력과 압자의 압입 깊이와의 관계로부터 구할 수 있다. 상기 나노 인덴테이션 테스터 부속의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제하-압입 깊이 곡선의 최소 제곱 피트로부터 구한 직선의 기울기 및 그 기울기의 직선이 최대 하중을 통과할 때의 압입 깊이축과의 교점을 구하여, ISO 14577-1(A.5)에 따라 계산을 행했다. 계산시, 압자의 탄성률은 1200GPa, 압자의 푸아송비는 0.07을 사용했다.
복원율은, 시험력과 그 시험 하중으로 생긴 압입 깊이의 관계로부터 구한 전체 작업량에서 차지하는 탄성 역변형 작업량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압자의 매립에 의한 전체 작업량은, 일부 소성 변형의 작업에 소비되지만, 나머지는 전부 시험 하중 제하시에 탄성 역변형 작업으로서 해방된다. 이 복원율도, 탄성률과 마찬가지로, 부속의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을 행했다. 복원율이 높을수록, 변형 후의 형상 회복 성능이 높다고 할 수 있으므로, 복원율이 높은 것은, 형상 회복에 의해 결과적으로 내변형성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1(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 2도 같음.)의 단위 프리즘은, 탄성률이 7.0MPa이며, 복원율이 60%였다. 실시예 5의 단위 프리즘은, 탄성률이 1.4MPa이며, 복원율이 33%였다.
1 광학 시트
11 기재
12 프리즘부
13 단위 프리즘
14 능선(꼭대기부, 능선부)
15 골(골부)
17 광 투과 확산층
19 웨트 아웃
21 다른 경사를 갖는 프리즘면
22 다른 쪽의 프리즘면
23 경사 각도가 큰 선단 영역
23' 곡면
24 경사 각도가 큰 영역
25 경계
26 법선
30 백라이트 유닛
32 도광판
32A 측단면
32B 광 방출면
34 광원
36 반사체
50 액정 표시 장치
52 액정 패널
S1 기재의 한쪽의 면
S2 기재의 다른 쪽의 면
X 단위 프리즘이 선상으로 연장되는 방향(능선이 연장되는 방향)
Y 단위 프리즘의 배열 방향(능선에 교차하는 방향)
Z 광학 시트의 두께 방향
h 단위 프리즘의 능선 높이(기재의 면으로부터의 높이)
h1 능선의 최대 높이
h2 능선의 최소 높이
h' 단위 프리즘의 높이(골에서 능선까지의 높이)
θ 꼭대기부의 내각
θ1 적어도 10㎛의 영역의 각도
θ2 그 이외의 영역의 각도
P 단위 프리즘의 배열 간격(간격, 피치)
R1, R2 곡선 형상 영역의 곡률 반경
S1 프리즘부측의 기재면
S2 프리즘부의 반대측의 기재면

Claims (9)

  1. 복수의 단위 프리즘이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광학 시트에 있어서, 상기 단위 프리즘은, 꼭대기부의 내각이 30° 이상 80° 이하의 범위 내이며, 구성하는 2개의 프리즘면 중 적어도 한쪽의 프리즘면에 있어 꼭대기부로부터 적어도 10㎛ 이내의 선단 영역의 경사 각도(θ1)가 그 이외의 영역의 경사 각도(θ2)보다도 크고, 상기 단위 프리즘의 능선의 높이는, 상기 능선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거나, 또는 인접하는 단위 프리즘끼리에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부로부터 적어도 10㎛ 이내의 선단 영역의 경사 각도(θ1)와, 그 이외의 영역의 경사 각도(θ2)의 차(θ1-θ2)가 0.1° 이상 20° 이하의 범위 내인, 광학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부로부터 적어도 10㎛ 이내의 선단 영역은, 곡률 반경이 30㎛ 이상 200㎛ 이하의 범위 내의 곡면인, 광학 시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프리즘은, 구성하는 2개의 프리즘면 중 한쪽의 프리즘면만이, 꼭대기부로부터 적어도 10㎛ 이내의 선단 영역의 경사 각도(θ1)가 그 이외의 영역의 경사 각도(θ2)보다도 큰, 광학 시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능선이 연장되는 방향의 높이가 변화하는 경우에, 상기 높이가 직선상, 단계상, 비직선상 및 곡선상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형태로 변화하는, 광학 시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능선이 평면에서 보아 직선 형상, 꺾인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을 이루고 있는, 광학 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능선이 연장되는 방향의 단위 프리즘의 높이가, 0.005㎜ 이상 5㎜ 이하의 범위 내의 간격으로 0.5㎛ 이상 15㎛ 이하의 범위 내에서 변화하고 있는, 광학 시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시트와 도광판과 광원을 적어도 갖고, 상기 광학 시트를 구성하는 단위 프리즘이, 상기 도광판의 표면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이,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유리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백라이트 유닛.
KR1020197029143A 2017-03-06 2018-03-06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 KR201901186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42272 2017-03-06
JP2017042272A JP2018146809A (ja) 2017-03-06 2017-03-06 光学シート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PCT/JP2018/008454 WO2018164089A1 (ja) 2017-03-06 2018-03-06 光学シート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671A true KR20190118671A (ko) 2019-10-18

Family

ID=6344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143A KR20190118671A (ko) 2017-03-06 2018-03-06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16628A1 (ko)
JP (1) JP2018146809A (ko)
KR (1) KR20190118671A (ko)
CN (1) CN110383116A (ko)
TW (1) TW201901260A (ko)
WO (1) WO20181640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979374U (zh) * 2020-04-17 2020-11-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调光组件、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9082A1 (ja) 2002-06-24 2004-03-04 Mitsubishi Rayon Co., Ltd. 光源装置および光偏向素子
JP2006309248A (ja) 2006-05-08 2006-11-09 Mitsubishi Rayon Co Ltd レンズ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素子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JP2008145468A (ja) 2006-12-06 2008-06-26 Gamma Optical Co Ltd 光学薄膜、及び、光学薄膜を応用した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
JP2012150291A (ja) 2011-01-19 2012-08-09 Hitachi Chem Co Ltd 回折型集光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939647D1 (de) * 1998-02-18 2008-11-13 Minnesota Mining & Mfg Optischer film
US7153017B2 (en) * 2002-01-31 2006-12-26 Mitsubishi Rayon Co., Ltd. Light deflection element and light source apparatus using the same
JP4323189B2 (ja) * 2002-03-15 2009-09-0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光偏向素子及び面光源装置
TW200600919A (en) * 2004-06-22 2006-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film,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50121523A (ko) * 2004-06-22 2005-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필름과,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
JP2008304501A (ja) * 2007-06-05 2008-12-18 Asahi Kasei Chemicals Corp 拡散板
JP5789931B2 (ja) * 2010-08-25 2015-10-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プリズム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9082A1 (ja) 2002-06-24 2004-03-04 Mitsubishi Rayon Co., Ltd. 光源装置および光偏向素子
JP2006309248A (ja) 2006-05-08 2006-11-09 Mitsubishi Rayon Co Ltd レンズ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素子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JP2008145468A (ja) 2006-12-06 2008-06-26 Gamma Optical Co Ltd 光学薄膜、及び、光学薄膜を応用した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
JP2012150291A (ja) 2011-01-19 2012-08-09 Hitachi Chem Co Ltd 回折型集光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64089A1 (ja) 2018-09-13
TW201901260A (zh) 2019-01-01
JP2018146809A (ja) 2018-09-20
CN110383116A (zh) 2019-10-25
US20210116628A1 (en) 202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8672A (ko)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
JP5431679B2 (ja) シート状光学部材、光学シート用樹脂組成物、光学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340460B2 (ja) 拡散シート、光源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US20050128579A1 (en) Microstructured screen with light absorbin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9140831B2 (en) Optical sheet, optical member,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56505B1 (ko) 에지라이트형 백라이트장치 및 광확산성 부재
JP5789931B2 (ja) プリズム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5658041B2 (ja) 光学シート
JP5196335B2 (ja) 光学シート、光学部材、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046200B1 (ko) 에지라이트형 백라이트장치 및 광확산성 부재
JP5961959B2 (ja) 光学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90118671A (ko)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
JP2013171056A (ja) 光学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2128178A (ja) 光学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2133072A (ja) 光学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5200898A (ja) 光学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5699328B2 (ja) 光学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5143879A (ja) 光学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