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940A -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940A
KR20190117940A KR1020180040908A KR20180040908A KR20190117940A KR 20190117940 A KR20190117940 A KR 20190117940A KR 1020180040908 A KR1020180040908 A KR 1020180040908A KR 20180040908 A KR20180040908 A KR 20180040908A KR 20190117940 A KR20190117940 A KR 20190117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mh
duct
rib
headliner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박수균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40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7940A/ko
Publication of KR20190117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60R13/0218Roof or head liners supported by adhesion with the roof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 덕트와 FMH 리브를 일체형으로 제작하므로, FMH 리브가 일체로 이루어진 루프 덕트를 헤드라이너에 장착하는 한 과정을 통해 루프 덕트와 FMH 리브를 동시에 장착하여 헤드라이너 조립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높이면서도 제조비용도 줄일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FMH 리브를 루프 덕트와 함께 일체로 성형하므로, 루프 덕트와 FMH 리브를 각각 제작하지 않아도 되어 헤드라이너 전체 조립 공정수를 줄이면서도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FMH 리브와 루프 덕트를 사출 성형 방식으로 성형하여 일체로 제작하므로, FMH 리브나 루프 덕트의 형상과 모양이 복잡하더라도 쉽게 제작하여 헤드라이너에 쉽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HEADLINER ROOF DUC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루프패널과 마주하게 설치하는 헤드라이너에 장착하는 루프 덕트를 제작할 때, 이 헤드라이너에 장착하는 FMH(Free Motion Head-form) 리브를 함께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루프 덕트와 FMH 리브를 각각 제작하는 제작 과정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번에 루프 덕트와 FMH 리브를 쉽고 편리하게 장착하여 조립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와 탑승자를 위한 다양한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공조시설은 운전자와 함께 탑승한 탑승자에게도 시원하고 쾌적한 자동차 실내 환경을 조성하게 한다. 이에, 아래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같이, 통상적으로 공조 장치가 앞좌석에 집중되어 있으나, 뒷좌석 탑승자들에게도 쾌적한 환경 조성을 위해 헤드라이너에 루프 덕트를 장착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199683호
차량 공조용 루프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후석의 전/후, 좌/우로 풍량 배분을 고르게 하기 위한 차량 공조용 루프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차량 공조용 루프 덕트에 있어서, 후석 후열 토출구 전방의 덕트 상에 덕트 높이비가 0.3 내지 0.5인 단차부가 형성되고; 제1분기덕트와 제2분기덕트가 연통덕트로부터 분기되기 시작하는 분기영역이, 공기유입구 근처의 전방에 공기의 유입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경사 각도의 차이가 20도 이하인 경사면을 구비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0501658호
자동차용 루프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리어 에어컨으로부터 유출된 냉각공기를 차 실내에 고른 분포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루프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3열 조수석과 3열 운전석에 걸쳐 연통되어 있는 후미 덕트와, 상기 3열 조수석으로부터 2열 조수석까지 연장된 제1분기 덕트와, 상기 3열 운전석으로부터 2열 운전석까지 연장된 제2분기 덕트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루프 덕트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 덕트와 제2분기 덕트를 하나 이상의 연통 덕트로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 덕트를 제공한다.
한편, 미국에 수출하는 차량은 미국연방의 자동차 안전 기준(FMVSS)에 따라 사고나 차량이 전복되었을 때 승객의 머리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자동차 법규(FMVSS 201)를 만족해야 한다. 상기 법규(FMVSS 201)를 만족하는 한가지 방법으로, 모형 머리(Free Motion Headform)가 부딪치는 차량의 내부 부품 중에서, 헤드라이너에 FMH 리브를 장착한다. FMH 리브는, 아래의 (특허문헌 3) 및 (특허문헌 4)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38470호
자동차 헤드라이너에 부착되는 에프엠에이치(FMH)에 있어서, 상기 에프엠에이치(FMH)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리브와, 상기 리브에 설치되어 와이어링을 고정하는 와이어링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홀더 일체형 에프엠에이치(FMH)를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와이어링 홀더 일체형 에프엠에이치(FMH)를 사용하는 경우 와이어링 조립이 용이해지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특허문헌 4)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81121호
자동차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패널에 관한 것으로, 패널의 FMH, HIC의 값을 만족시키기 위한 자동차용 합성수지 패널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용 합성수지 패널의 하단부에 박스형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FMH, HIC가 요구하는 값을 만족시킬 수가 있다.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간단한 형상 구조의 변경으로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는 유용한 것이다.
하지만, 이처럼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과 운전자와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장착하는 루프 덕트와 FMH 리브는,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통상적으로 루프 덕트(D)와 FMH 리브(F)는 모두 헤드라이너(H)에 장착한다. 특히, 근래에는 헤드라이너(H)를 하나의 모듈 형태로 제작하므로, 헤드라이너 모듈에 미리 루프 덕트(D)와 FMH 리브(F) 등을 장착한 상태에서 이 헤드라이너 모듈만 루프패널에 장착하면 모든 조립이 끝나게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2) 이처럼 헤드라이너를 모듈화함에 따라, 이러한 루프 덕트와 FMH 리브를 각각 헤드라이너에 부착해야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3) 특히, 이러한 루프 덕트와 FMH 리브는 헤드라이너에 부착 위치가 모두 정해져 있으나, 때에 따라 부착 위치에 부착하지 않아 조립 불량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4) 루프 덕트와 FMH 리브를 각각 다른 공정으로 제조하여 헤드라이너에 부착해야 하므로, 그만큼 제조 공정 수가 늘어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도 늘어나게 된다.
(5) 결국, 루프 덕트와 FMH 리브를 각각 제작하여 헤드라이너에 장착함에 따라, 제조 비용 증가와 더불어 조립 생산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199683호 (등록일 : 2012.11.02) 한국등록특허 제0501658호 (등록일 : 2005.07.06)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38470호 (공개일 : 2008.05.07)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81121호 (공개일 : 2009.07.28)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루프 덕트와 FMH 리브를 일체형으로 제작하므로, FMH 리브가 일체로 이루어진 루프 덕트를 헤드라이너에 장착하는 한 과정을 통해 루프 덕트와 FMH 리브를 동시에 장착하여 헤드라이너 조립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높이면서도 제조비용도 줄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FMH 리브를 루프 덕트와 함께 일체로 성형하므로, 루프 덕트와 FMH 리브를 각각 제작하지 않아도 되어 헤드라이너 전체 조립 공정수를 줄이면서도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FMH 리브와 루프 덕트를 사출 성형 방식으로 성형하여 일체로 제작하므로, FMH 리브나 루프 덕트의 형상과 모양이 복잡하더라도 쉽게 제작하여 헤드라이너에 쉽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는,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장착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에서,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헤드라이너에는 덕트 보디(100)를 장착하되, 상기 덕트 보디(100)는, FMH 리브(110)를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덕트 보디(100)는, 상기 FMH 리브(110)와 일체로 사출 성형하거나, FMH 리브(110)를 인서트하여 사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FMH 리브(110)는, 헤드라이너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덕트 보디(100)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FMH 리브(110)는, 헤드라이너의 양쪽 가장자리 중에서 운전석과 마주하는 쪽의 가장자리는 운전석 쪽의 가장자리 끝 부분에서 뒷좌석이 위치한 곳까지 길게 덕트 보디(100)에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루프 덕트를 성형할 때 FMH 리브도 함께 일체로 성형하므로, 한 번에 두 개의 구성을 제작할 수 있어 성형 시간과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2) 특히, 본 발명에 따라 FMH 리브를 일체로 성형한 루프 덕트를 헤드라이너에 장착함에 따라 두 개 구성을 한 번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3) 게다가, FMH 리브와 루프 덕트를 일체로 제조함에 따라 이들 FMH 리브와 루프 덕트의 장착 위치를 미리 정해서 성형하므로, 이들 구성을 잘못 부착하거나 장착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4) 한편, FMH 리브와 함께 루프 덕트를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하므로, FMH 리브나 루프 덕트의 형상이 복잡하더라도, 쉽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과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5) 이때, 상기 FMH 리브는 인서트로 사용하여 인서트 방식으로 루프 덕트를 사출 성형하므로, 재질과 강성 등이 다른 FMH 리브와 루프 덕트를 쉽게 하나로 제작하여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헤드라이너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자동차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헤드라이너에 루프 덕트를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헤드라이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루프 덕트를 장착한 헤드라이너에 FMH 리브를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헤드라이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FMH 리브를 일체로 성형한 루프 덕트를 장착한 헤드라이너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는, [도 4]와 같이,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헤드라이너(H) 면에 장착하되, 운전자와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보호하는 FMH(Free Motion Head-form) 리브(110)를 일체로 성형한 덕트 보디(100)를 포함한다.
특히, 이처럼 덕트 보디(100)를 제조할 때 FMH 리브(110)를 일체로 제조하므로, 제조 공정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 번에 덕트 보디(100)와 FMH 리브(110)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을 향상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 보디(100)는 사출 성형 방식으로 FMH 리브(110)를 일체로 성형하므로, 덕트 보디(100)나 FMH 리브(110)가 복잡한 형상이더라도 쉽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덕트 보디(100)는 FMH 리브(110)를 인서트로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제작하므로, FMH리브(110)와 덕트 보디(100)의 재질이 다르더라도 쉽게 인서트 사출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H"는 자동차 실내에서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천장 면에 장착하여 마감 기능과 소음 성능을 개선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헤드라이너를 말한다.
<덕트 보디>
덕트 보디(100)는, [도 4]와 같이,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헤드라이너(H) 면에 장착하여 자동차에 설치한 에어컨디셔너에서 생성한 냉기/온기를 뒷좌석으로 송출할 수 있게 분기시켜 주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덕트를 말한다.
이러한 루프 패널(100)은 차종과 뒷좌석으로 분기하는 방식 그리고 헤드라이너(H)에 장착하는 다른 구성과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한편, 이러한 덕트 보디(100)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는, 덕트 보디(100)가 루프패널과 헤드라이너(H) 사이의 좁은 틈새 부분에 장착하며, 특히 다른 구성과 간섭이 생기지 않으면서도 냉기나 온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그 전체적인 형상과 모양이 복잡해지더라도 쉽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 FMH 리브 >
FMH 리브(110)는, [도 4]와 같이, 상술한 덕트 보디(100)와 일체로 형성한다. 이처럼 덕트 보디(100)에 FMH 리브(110)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헤드라이너(H)에 덕트 보디(100)만 장착하더라도 FMH 리브(110)를 별도로 장착하지 않고 한 번에 같이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FMH 리브(110)는 덕트 보디(100)를 성형할 때 일체로 성형하게 되는 데, 덕트 보디(100)를 성형하는 것과 같은 방법, 즉 사출 성형 방식으로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FMH 리브(110)는 덕트 보디(100)를 사출 성형할 때, 이 FMH 리브(110)를 인서트로 하여 인서트 사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덕트 보디(100)와 FMH 리브(110)의 재질이 다를 수 있고, 특히 FMH 리브(110)는 운전자와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이러한 특성에 맞는 재질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전자와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보호할 수 있는 재질과 형상으로 미리 FMH 리브(110)를 제작하고, 이 FMH 리브(110)를 인서트로 사용하여 덕트 보디(100)를 사출 성형할 때 인서트 사출함으로써, FMH 리브(110)와 덕트 보디(100)를 일체로 성형하면서도 각각의 특성에 알맞은 재질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FMH 리브(110)는, [도 4]와 같이, 헤드라이너(H)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 즉 차량의 진행 방향에서 볼 때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도록 덕트 보디(100)에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운전자뿐만 아니라 탑승자들의 머리 부분도 보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FMH 리브(110)는 운전석과 마주하는 쪽의 가장자리는 그 가장자리의 끝까지 연장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량은 주행하려면 항상 운전자가 있어야 하므로, 자동차의 충돌이나 추돌 또는 전복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덕트 보디를 성형할 때 FMH 리브를 일체로 성형하므로, 별도로 제작하고 헤드라이너에 장착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100 : 덕트 보디
110 : FMH 리브

Claims (4)

  1. 자동차의 헤드라이너에 장착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에서,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헤드라이너에는 덕트 보디(100)를 장착하되,
    상기 덕트 보디(100)는,
    FMH(Free Motion Head-form) 리브(110)를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
  2. 제1항에서,
    상기 덕트 보디(100)는,
    상기 FMH 리브(110)와 일체로 사출 성형하거나, FMH 리브(110)를 인서트하여 사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FMH 리브(110)는,
    헤드라이너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덕트 보디(100)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
  4. 제3항에서,
    상기 FMH 리브(110)는,
    헤드라이너의 양쪽 가장자리 중에서 운전석과 마주하는 쪽의 가장자리는 운전석 쪽의 가장자리 끝 부분에서 뒷좌석이 위치한 곳까지 길게 덕트 보디(100)에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
KR1020180040908A 2018-04-09 2018-04-09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 KR20190117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08A KR20190117940A (ko) 2018-04-09 2018-04-09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08A KR20190117940A (ko) 2018-04-09 2018-04-09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940A true KR20190117940A (ko) 2019-10-17

Family

ID=6842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908A KR20190117940A (ko) 2018-04-09 2018-04-09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79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106A (ko) 2019-11-19 2021-05-31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덕트 기재
KR102373518B1 (ko) 2021-11-22 2022-03-14 최영호 사양변경이 용이한 차량의 헤드라이너와 덕트의 압착조립장치
KR20230046426A (ko) 2021-09-30 2023-04-0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658B1 (ko) 2003-08-26 2005-07-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 덕트
KR20080038470A (ko) 2006-10-30 2008-05-07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와이어링 홀더 일체형 에프엠에이치
KR20090081121A (ko) 2008-01-23 2009-07-28 주식회사 프라코 자동차용 합성수지 패널의 에프엠에이치, 에이치아이씨 값감소장치
KR101199683B1 (ko) 2005-12-07 2012-11-0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용 루프 덕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658B1 (ko) 2003-08-26 2005-07-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 덕트
KR101199683B1 (ko) 2005-12-07 2012-11-0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용 루프 덕트
KR20080038470A (ko) 2006-10-30 2008-05-07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와이어링 홀더 일체형 에프엠에이치
KR20090081121A (ko) 2008-01-23 2009-07-28 주식회사 프라코 자동차용 합성수지 패널의 에프엠에이치, 에이치아이씨 값감소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106A (ko) 2019-11-19 2021-05-31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덕트 기재
KR20230046426A (ko) 2021-09-30 2023-04-06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
KR102373518B1 (ko) 2021-11-22 2022-03-14 최영호 사양변경이 용이한 차량의 헤드라이너와 덕트의 압착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6153A (en) Instrument panel assembly
US6315354B1 (en) Automotive air duct and garnish structure
JP3357569B2 (ja) ダッシュボード
US6520849B1 (en) Integrated structural HVAC system
KR20190117940A (ko)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
US20090189417A1 (en) Motor Vehicle
GB2065866A (en)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JP5797721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80028602A (ko) 자동차용 후석 공조시스템
CN111516494B (zh) 用于车辆仪表板总成的结构仪表板构件
US20110014860A1 (en) Front foot air vent for automobile
US10023023B2 (en) Cowl cross assembly structure for vehicle
CN103963603A (zh) 加热、通风和空气调节送风机
US20220410842A1 (en) Side defroster air outlet structure
US20070243818A1 (en) Air Guide for front end cooling
JP4389817B2 (ja) 車両用天井材
US20170313281A1 (en) Defrost duct with acoustic material inserts
CN210000056U (zh) 用于车辆的空调风道结构以及车辆
JPH11245650A (ja) 車両用内装部材
CN113247111A (zh) 汽车的车厢前部结构
JP2021147003A (ja) 空力特性を改善する車両
US6808218B1 (en) Dashboard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KR102584054B1 (ko)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
US20210197670A1 (en) Instrument panel structure
JP2002178794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