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426A -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426A
KR20230046426A KR1020210129403A KR20210129403A KR20230046426A KR 20230046426 A KR20230046426 A KR 20230046426A KR 1020210129403 A KR1020210129403 A KR 1020210129403A KR 20210129403 A KR20210129403 A KR 20210129403A KR 20230046426 A KR20230046426 A KR 20230046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duct
wing
roof
attached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054B1 (ko
Inventor
권충호
김남혁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29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054B1/ko
Publication of KR20230046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4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roof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헤드 라이너의 후부 모서리 부분에 본체를 장착하되, 헤드 라이너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날개가 중첩하여 부착하지 않게 설치하고,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면에는 루프 덕트를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본체가 루프 덕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연결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기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면서도 측면 에어백이 전개할 때는 날개가 적절하게 꺾이게 하여 정확하게 측면 에어백이 동작하게 한다. 또한, 중첩 부분이 날개에 부착되지 않게 지지 부분을 헤드 라이너에 부착한 상태에서 본체 위에 루프 덕트를 부착하여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쉽고 편리하게 장착하면서도 날개가 지지 부분에 부착되지 않아 측면 에어백이 전개할 때 방해를 받지 않고 정해진 형상과 모양으로 전개하여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PLATE OF MOUNTING ROOF DUCT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 라이너에 장착되는 루프 덕트에 냉·온기를 공급하는 공급관이 연결되는 헤드 라이너의 후방 가장자리 부분에 본체를 설치하되, 측면 에어백이 설치되는 날개에는 부착되지 않고 중첩하게 설치되고,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면에는 루프 덕트를 부착하여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본체를 이용하여 루프 덕트를 견고하게 지지 고정하여 이음(異音)이나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하면서도, 측면 에어백이 전개할 때는 날개가 자동차 실내로 쉽게 꺾여 에어백 전개에 방해되지 않게 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루프패널과 마주하게 설치되는 헤드 라이너(H)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루프 덕트(D)가 설치된다. 여기서, 루프 덕트(D)는 자동차에 장착된 공기조화장치에서 형성된 냉·온기를 뒷좌석에까지 골고루 공급하게 하기 위한 덕트이다. 이러한 루프 덕트(D)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17940호
루프 덕트와 FMH 리브를 일체형으로 제작하므로, FMH 리브가 일체로 이루어진 루프 덕트를 헤드라이너에 장착하는 한 과정을 통해 루프 덕트와 FMH 리브를 동시에 장착하여 헤드라이너 조립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높이면서도 제조비용도 줄일 수 있게 한다. 특히, 이처럼 FMH 리브를 루프 덕트와 함께 일체로 성형하므로, 루프 덕트와 FMH 리브를 각각 제작하지 않아도 되어 헤드라이너 전체 조립 공정수를 줄이면서도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FMH 리브와 루프 덕트를 사출 성형 방식으로 성형하여 일체로 제작하므로, FMH 리브나 루프 덕트의 형상과 모양이 복잡하더라도 쉽게 제작하여 헤드라이너에 쉽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199683호
차량 공조용 루프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후석의 전/후, 좌/우로 풍량 배분을 고르게 하기 위한 차량 공조용 루프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차량 공조용 루프 덕트에서, 후석 후열 토출구 전방의 덕트 상에 덕트 높이비(h/H)가 0.3 내지 0.5인 단차부가 형성되고; 제1분기 덕트와 제2분기 덕트가 연통 덕트로부터 분기되기 시작하는 분기 영역이, 공기유입구 근처의 전방에 공기의 유입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경사 각도의 차이가 20도 이하인 경사면을 구비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0656030호
자동차용 루프 덕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에어컨디션 시스템과 연계되며 루프 패널과 헤드라이닝 사이에 장착되어 에어컨디션 시스템에서 조화된 공기가 이송되는 루프 덕트와, 몸체는 상기 루프 덕트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헤드라이닝에 장착되며, 하부에 루프 덕트를 통해 이송되는 공기를 자동차의 실내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되고, 이 공기배출구에 회동 가능한 다수의 날개부가 구비된 헤드라이닝 벤트 그릴과, 상기 헤드라이닝 벤트 그릴과 루프 덕트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그릴덕트 연결 마운팅 수단으로 구성되어 루프 덕트와 헤드라이닝 벤트 그릴이 연결되어 고정됨으로써 루프 덕트의 팽창이 헤드라이닝 벤트 그릴에 의해 지지가 되어 보강됨으로써 조화된 공기가 루프 덕트를 통과하면서 증대되는 공기압에 의한 루프 덕트의 팽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루프 덕트의 팽창으로 인한 루프 덕트와 루프 패널과의 접촉, 헤드라이닝의 팽창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루프 덕트, 헤드라이닝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루프 덕트와 헤드라이닝의 변형으로 공기조화 시 발생하는 소음, 헤드라이닝의 마운팅 부분 내구성 저하 등을 방지하여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고 헤드라이닝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17940호 (공개일: 2019.10.17) 한국등록특허 제10-1199683호 (등록일: 2012.11.02) 한국등록특허 제10-0656030호 (등록일: 2006.12.04)
한편, 이러한 헤드 라이너(H)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후방 모서리 부분을 통해 루프 덕트(D)에 냉·온기를 공급하는 공급관(T)이 연결된다. 이때, 공급관(T)이 연결되는 루프 덕트(D) 부분은 헤드 라이너(H)의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측면 에어백(B)을 지지하는 날개(W) 일부에 중첩하여 일체로 부착하게 설치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공급관과 루프 덕트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이 견고하게 지지가 될 수 있도록 핫멜트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해서 루프 덕트의 입구 부분을 날개에 부착한다. 이는, 루프 덕트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효과가 있으나, 이 날개에 장착된 측면 에어백이 전개할 때는 측면 에어백이 정해진 방향으로 전개되지 못하게 방해를 받는 문제가 발생한다.
(2) 즉, 측면 에어백은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면 날개가 강제로 자동차 실내 측으로 꺾이게 해서, 그 틈새를 통해 아래로 전개하여 탑승자를 보호하게 된다. 하지만, 이처럼 날개 한쪽이 루프 덕트에 부착되어 고정됨에 따라 측면 에어백이 전개할 때 날개가 정해진 형태로 꺾이지 않아 결과적으로 측면 에어백이 정해진 형태로 전개하는 것을 방해한다.
(3) 이는, 측면 충돌 사고와 같이 탑승자가 자동차 실내에서 측면에 부딪힐 우려가 있을 때 발생한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어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4) 또한, 측면 에어백이 강제로 전개함에 따라 그 틈새에 끼여 전개 도중 터지거나 원활하게 전개되지 않아 에어백의 기능을 상실할 수도 있다. 이는, 에어백이 전개하더라도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게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헤드 라이너의 후부 모서리 부분에 본체를 장착하되, 헤드 라이너와 마주하는 부분에는 날개가 중첩하여 부착하지 않게 설치하고,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면에는 루프 덕트를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본체가 루프 덕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연결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기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면서도 측면 에어백이 전개할 때는 날개가 정해진 형태로 자동차 실내를 향해 꺾이게 하여 측면 에어백이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첩 부분이 날개에 부착되지 않게 지지 부분을 헤드 라이너에 부착하여 본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그 위에 루프 덕트를 부착하여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쉽고 편리하게 장착하면서도 날개가 지지 부분에 부착되지 않아 측면 에어백이 전개할 때 방해를 받지 않고 정해진 형상과 모양으로 전개하여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는, C 필러를 통해 공급된 냉·온기를 공급하는 루프 덕트(D)가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고, 양쪽 가장자리에 뒷좌석 탑승자를 보호하는 측면 에어백이 장착되는 날개(W)가 돌출 형성된 헤드 라이너(H)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에서; 냉·온기를 공급하는 공급 관(T)이 연결되는 루프 덕트(D)의 연결 부분을 지지하도록 헤드 라이너(H)의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는 본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에는, 날개(W) 부분에 걸쳐지지 않고 헤드 라이너(H)에 부착되는 지지 부분(110); 및 상기 지지 부분(110)에서 바깥으로 연장되되, 날개(W)의 한쪽 부분에 부착되지 않고 중첩되게 설치되는 중첩 부분(12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본체(100)는, 헤드 라이너(H)와 마주하는 상기 지지 부분(110) 면에서 상기 중첩 부분(120)이 형성되지 않은 가장자리 부분이 헤드 라이너(H) 면에 부착되어 상기 중첩 부분(120)이 날개(W)에 부착되지 않고 날개(W)와 중첩하게 설치되어 측면 에어백이 전개할 때 날개(W)가 실내로 꺾여 측면 에어백 전개가 이루어지게 하고;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면에는 공급 관(T)이 연결되는 루프 덕트(D) 부분의 양쪽 가장자리가 부착되게 하여 누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체를 구성하는 중첩 부분이 측면 에어백이 설치되는 날개 부분에 부착되지 않고 중첩된 상태로 구성하므로, 측면 에어백이 전개할 때 날개가 정해진 위치에서 자동차 실내로 꺾여 측면 에어백이 신속하게 정해진 형상과 모양으로 전개하여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2) 특히, 상기 본체는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면에는 루프 덕트의 양쪽 가장자리가 부착되게 구성함으로써, 루프 덕트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진동에도 루프 덕트가 떨리거나 소음이나 이음(異音)이 발생하게 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3) 이때, 상기 본체에는 공급 관이 연결되는 루프 덕트의 연결 부분이 위치하여 조립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루프 덕트와 공급관의 연결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냉·난방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 또한, 상기 날개는 중첩 부분과 중첩하되 부착되어 있지 않음으로 이 중첩 부분의 지지를 받아 그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자동차 실내의 미관과 미감을 해치지 않게 한다.
[도 1]은 자동차 실내에서 루프패널과 마주하게 설치되는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붉은 선 박스로 표시된 후방 모서리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로, 루프 덕트와 측면 에어백이 탈거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가 장착된 헤드 라이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려고 헤드 라이너에서 루프 덕트와 와이어링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헤드 라이너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헤드 라이너 일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에는,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헤드 라이너(H)의 후방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는 본체(100)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본체(100)는 헤드 라이너(H)에 고정되는 지지 부분(110), 그리고 상기 지지 부분(110)에서 연장하여 헤드 라이너(H)에서 돌출 형성된 날개(W) 한쪽에 중첩하게 설치되는 중첩 부분(120)을 포함함으로써, 이 날개(W) 부분에 위치하게 설치된 측면 에어백이 전개하더라도 날개(W)가 쉽게 변형하게 해서 측면 에어백이 정해진 방향과 형상으로 전개하게 해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공급 관(T)이 연결되는 루프 덕트(D) 부분의 양쪽 가장자리가 부착하게 구성함으로써, 냉기나 온기가 공급될 때 누기가 발생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진동에도 쉽게 본체(100)에서 루프 덕트(D)가 분리되거나 떨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H'는 루프패널과 마주하게 장착되는 마감재인 헤드 라이너를, 'D'는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헤드 라이너 면에 장착되는 루프 덕트를, 'C'는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헤드 라이너 면에 장착되어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와이어링을 각각 나타낸다.
가. 본체
본체(10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헤드 라이너(H)의 모서리 부분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C 필러를 통해 공급되는 냉·온기를 헤드 라이너(H)에 설치된 루프 덕트(D)에 공급하는 연결 부분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이 헤드 라이너(H)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밖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날개(W)에 일부가 부착되지 않고 중첩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날개(W)는 미도시된 측면 에어백이 동작할 때 자동차 실내 측으로 꺾여 측면 에어백이 자동차 실내로 전개하게 해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게 안내하도록 헤드 라이너(H)에서 돌출된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본체(100)에는,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지지 부분(110), 그리고 중첩 부분(120)이 포함된다.
나. 지지 부분
지지 부분(110)은,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헤드 라이너(H)의 후방 모서리 부분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지지 부분(110)은 C 필러를 통해 공급 관(T)이 루프 덕트(D)에 연결되게 되므로, 이 공급 관(T)이 연결되는 루프 덕트(D)의 연결 부분이 맞닿게 장착하여 고정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분(110)은, [도 5(b)]에서 도면부호 'G'로 표시한 바와 같이, 후술할 중첩 부분(120)과 마주하는 가장자리 부분만 헤드 라이너(H) 면에 밀착하게 해서 일체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헤드 라이너(H)의 측면 가장자리에서 바깥으로 돌출하게 형성되는 날개(W)가 쉽게 꺾일 수 있도록 지지 부분(110)이 헤드 라이너(H)에 부착되는 면적을 최소화하면서도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분(110)은 헤드 라이너(H)에 부착되는 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면에는 루프 덕트(D)의 연결 부분이 위치하여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루프 덕트(D)와 공급 관(T)이 접하는 부분에서 냉기나 온기가 샐 수 있음으로, 이 연결 부분을 상기 지지 부분(110)에 견고하게 부착하여 구성함으로써, 루프 덕트(D)에 공급 관(T)을 쉽게 조립하면서도 이러한 냉기나 온기의 누기 현상을 지지 부분(110)을 통해 방지하여 냉난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지지 부분(110)의 한쪽에는,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중첩 부분(120)이 돌출 형성된다.
다. 중첩 부분
중첩 부분(12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지지 부분(110)의 한쪽에서 돌출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첩 부분(120)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헤드 라이너(H)에서 돌출된 날개(W)의 한쪽 가장자리 부분에 부착되지 않고 중첩하게 장착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가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헤드 라이너(H) 면에 장착될 때, 이 중첩 부분(120)이 날개(W) 위에 있으면서 중첩되게 함으로써, 미도시된 측면 에어백이 날개(W) 위에서 아래로 전개할 때, 자유단 형태로 헤드 라이너(H)의 측면에 형성된 이 날개(W)가 쉽게 아래로 꺾이면서 그 틈새로 측면 에어백이 쉽게 전개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체(100)는, [도 4]와 같이 중첩 부분(120)이 날개(W)에 부착되지 않고 중첩하도록 지지 부분(110)을 헤드 라이너(H)에 부착한 다음, [도 7]에서 붉은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면에는 루프 덕트(D)의 양쪽 가장자리가 견고하게 부착되게 된다. 물론, 상기 지지 부분(110)의 윗면에는 루프 덕트(D)의 입구 부분이나 루프 덕트(D)와 공급 관(T)이 분리할 수 있도록 결합한 연결 부분을 부착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루프 덕트를 고정하여 온기와 냉기가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본체를 헤드 라이너에 장착하되 한쪽 가장자리에서 돌출한 중첩 부분이 날개 부분에 부착되지 않고 중첩하게 구성함으로써, 이 날개 부분에 장착된 측면 에어백이 전개하더라도 날개 부분이 정해진 형태로 꺾이면서 그 틈새로 측면 에어백이 전개하게 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0: 본체
110: 지지 부분
120: 중첩 부분
H: 헤드 라이너
D: 루프 덕트
T: 공급관
W: 날개
C: 와이어링

Claims (2)

  1. C 필러를 통해 공급된 냉·온기를 공급하는 루프 덕트(D)가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면에 설치되고, 양쪽 가장자리에 뒷좌석 탑승자를 보호하는 측면 에어백이 장착되는 날개(W)가 돌출 형성된 헤드 라이너(H)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에서,
    냉·온기를 공급하는 공급 관(T)이 연결되는 루프 덕트(D)의 연결 부분을 지지하도록 헤드 라이너(H)의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는 본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에는, 날개(W) 부분에 걸쳐지지 않고 헤드 라이너(H)에 부착되는 지지 부분(110); 및 상기 지지 부분(110)에서 바깥으로 연장되되, 날개(W)의 한쪽 부분에 부착되지 않고 중첩되게 설치되는 중첩 부분(12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
  2. 제1항에서,
    상기 본체(100)는,
    헤드 라이너(H)와 마주하는 상기 지지 부분(110) 면에서 상기 중첩 부분(120)이 형성되지 않은 가장자리 부분이 헤드 라이너(H) 면에 부착되어 상기 중첩 부분(120)이 날개(W)에 부착되지 않고 날개(W)와 중첩하게 설치되어 측면 에어백이 전개할 때 날개(W)가 실내로 꺾여 측면 에어백 전개가 이루어지게 하고,
    루프패널과 마주하는 면에는 공급 관(T)이 연결되는 루프 덕트(D) 부분의 양쪽 가장자리가 부착되게 하여 누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
KR1020210129403A 2021-09-30 2021-09-30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 KR102584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403A KR102584054B1 (ko) 2021-09-30 2021-09-30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403A KR102584054B1 (ko) 2021-09-30 2021-09-30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426A true KR20230046426A (ko) 2023-04-06
KR102584054B1 KR102584054B1 (ko) 2023-10-05

Family

ID=8591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403A KR102584054B1 (ko) 2021-09-30 2021-09-30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0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3947A (ja) * 2000-09-29 2002-04-09 Mazda Motor Corp 車両の空調装置
KR100656030B1 (ko) 2005-09-28 2006-12-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 덕트 구조
JP2008230290A (ja) * 2007-03-16 2008-10-02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天井材への側方ダクトの配設構造
KR101199683B1 (ko) 2005-12-07 2012-11-0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용 루프 덕트
KR20190117940A (ko) 2018-04-09 2019-10-1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3947A (ja) * 2000-09-29 2002-04-09 Mazda Motor Corp 車両の空調装置
KR100656030B1 (ko) 2005-09-28 2006-12-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루프 덕트 구조
KR101199683B1 (ko) 2005-12-07 2012-11-0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용 루프 덕트
JP2008230290A (ja) * 2007-03-16 2008-10-02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天井材への側方ダクトの配設構造
KR20190117940A (ko) 2018-04-09 2019-10-17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4054B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9923B2 (en) Roof airbag for vehicle
US7350803B2 (en) Side airbag system
US7185912B2 (en) Knee protection airbag device
US8336910B1 (en) Active bolster with integrated tear seam
US7445238B2 (en)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JP5001293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用の可撓ハウジング
CN101987607B (zh) 用于车辆的侧面气囊装置
US7556285B1 (en) Airbag cover, instrument panel, airbag device and airbag casing
US20130023192A1 (en) Vehicle instrument panel
JP2004249969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ク装着車両のピラートリム設置構造
US20200406848A1 (en) Driver-side airbag device
JP6575418B2 (ja) 乗員保護装置
US8414024B1 (en) Blow-molded active side bolster with tear tabs
US6345837B1 (en) Passenger side air bag module
CN101939193B (zh) 用于改进间隙控制的改进盖-轮附接方法
JP2009056873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の配設構造
JP2000296754A (ja) 乗員拘束装置
CN201132515Y (zh) 具有一体化的管道安装座的无缝安全气囊套环
JPH0410137Y2 (ko)
US20240059244A1 (en) Vehicle Seat
KR20230046426A (ko) 자동차용 루프 덕트 장착 플레이트
JP5875025B2 (ja) 車両天井構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プレート
JP2023182771A (ja) 乗物用シート
CZ2003655A3 (cs) Palubní deska pro vozidla
KR20190117940A (ko) 자동차용 헤드라이너 루프 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