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794A - 커넥터용 리어 홀더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리어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794A
KR20190116794A KR1020180039829A KR20180039829A KR20190116794A KR 20190116794 A KR20190116794 A KR 20190116794A KR 1020180039829 A KR1020180039829 A KR 1020180039829A KR 20180039829 A KR20180039829 A KR 20180039829A KR 20190116794 A KR20190116794 A KR 20190116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guide
slider
connector
rea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0438B1 (ko
Inventor
강지원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438B1/ko
Publication of KR20190116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01R13/4368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가 설치된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할 수 있고,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리워크가 가능하며, 와이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용 리어 홀더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커넥터 하우징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제1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에 형성되고 와이어가 삽입되는 안착홈과, 상기 제1브래킷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브래킷과, 상기 제2브래킷에 마련되고 상기 제2브래킷의 이동 시 상기 안착홈의 개방된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용 리어 홀더{REAR HOLDER F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용 리어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고,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으로 연장된 와이어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용 리어 홀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산되는 자동차에는 성능 및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다수의 전자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자장치는 와이어와 그에 연결된 커넥터를 통해 전원 또는 다른 장치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커넥터는 전원과 장치 사이, 장치와 장치 사이에서 전류 및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의 커넥터는, 커넥터의 기계적인 연결을 위한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터미널을 포함하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프론트 홀더, 리어 홀더 및 스페이서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프론트 홀더는 커넥터 하우징의 선단에 결합되어 랜스가 탄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페이서는 커넥터 하우징의 중단에 결합되어 터미널의 위치를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리어 홀더는 커넥터 하우징의 후단에 결합되어 터미널의 이탈을 방지하고 와이어를 고정하며 수분 등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48785호(2014.10.01.)에는 리어 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는, 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 안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장착되어 상기 터미널의 후단 측을 지지하는 리어 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후단과 상기 리어 홀더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리어 홀더를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리어 홀더는 와이어를 감싸는 2개의 원통 형상부가 서로 일체화된 구조로 이루어져 하우징의 후방으로 연장된 와이어를 개별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와이어가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리어 홀더의 설치가 불가능하므로 와이어를 삽입하기 전에 리어 홀더를 장착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하우징에 설치된 리어 홀더를 리워크 하기 위해서는 하우징에 삽입된 와이어를 먼저 분리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통 형상부의 일측에 절개부를 형성한 C 타입 리어 홀더가 개발되었으나, C 타입 리어 홀더는 절개부로 인하여 와이어 지지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48785호(2014.10.0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어가 설치된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할 수 있고,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리워크가 가능하며, 와이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용 리어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리어 홀더는, 커넥터 하우징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제1브래킷과, 상기 제1브래킷에 형성되고 와이어가 삽입되는 안착홈과, 상기 제1브래킷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브래킷과, 상기 제2브래킷에 마련되고 상기 제2브래킷의 이동 시 상기 안착홈의 개방된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상기 제1브래킷에는 상기 제2브래킷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래킷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블록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가이드홀의 내벽에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슬릿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가이드슬릿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1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는 제2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가이드홀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타단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브래킷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는 앵글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앵글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의 일단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앵글의 일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구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2브래킷이 제1브래킷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이동 시 와이어가 삽입되는 안착홈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커넥터 하우징의 후단에 리어 홀더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브래킷과 제2브래킷이 격자 모양을 이루어 와이어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게 되므로, 터미널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와이어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홀더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홀더의 분해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홀더의 사용상태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홀더(10)는 커넥터 하우징(20)에 삽입된 터미널(미도시)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방으로 연장된 와이어(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메일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에 사용되는 리어 홀더(10)를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일커넥터(플러그 커넥터)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리어 홀더(10)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어 홀더(10)는, 커넥터 하우징(도 1의 2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제1브래킷(100)과, 제1브래킷(100)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브래킷(200)을 포함한다.
제1브래킷(100)은 커넥터 하우징(도 1의 20)의 후단부를 감싸는 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브래킷(100)의 전면은 개방되고 개방된 전면을 통해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단부가 삽입된다. 제1브래킷(100)의 후면은 밀폐되되 밀폐된 후면에는 안착홈(110,120)이 형성되며, 안착홈(110,120)에는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방으로 연장된 와이어(도 1의 30)가 삽입된다.
안착홈(110)은 후술할 가이드홀(160)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는 2쌍으로 구성된다. 즉, 가이드홀(160)의 상부에 위치되고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안착홈(110)과, 가이드홀(160)의 하부에 위치되며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안착홈(1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안착홈(110)은 와이어(도 2의 32)를 상부에서 삽입할 수 있도록 상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제2안착홈(120)은 와이어(도 2의 34)를 하부에서 삽입할 수 있도록 하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제1브래킷(100)의 양 측면에는 탄성편(130)이 형성되고, 제1브래킷(100)은 탄성편(130)을 통해 커넥터 하우징(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탄성편(130)의 상부와 하부에는 탄성 변형을 위한 슬릿(140)이 형성되고, 탄성편(130)에는 보강을 위한 리브(150)가 형성된다.
제1브래킷(100)의 후면, 즉 제1안착홈(110)과 제2안착홈(120)에는 제2브래킷(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160)이 형성된다.
가이드홀(160)은 제1브래킷(100)의 후면 중단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슬롯(slot) 형상이다. 가이드홀(160)의 내부에는 제2브래킷(200)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제2브래킷(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62) 및 가이드슬릿(164)이 형성된다.
가이드레일(162)은 가이드홀(160)의 내벽, 좀 더 상세하게는 가이드홀(160)의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한 쌍의 가이드레일(162) 사이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슬릿(164)이 형성된다.
가이드레일(162)은 가이드홀(160)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시작하여 가이드홀(160)의 타단까지 연장된다. 즉, 가이드홀(160)의 일단과 가이드레일(162)의 일단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공간(166)이 형성되는데, 상기 이격공간(166)에는 제2브래킷(200)의 가이드블록(250)이 삽입 및 설치된다.
이격공간(166)을 통해 설치된 가이드블록(250)은 가이드슬릿(164)을 따라 이동하며 제2브래킷(200)을 이동시킨다. 이때, 가이드슬릿(164)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블록(250)이 특정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162)의 타단에는 걸림돌기(168)가 형성된다.
걸림돌기(168)는 가이드슬릿(164)의 타단 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블록(250)은 가이드슬릿(164)의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가이드슬릿(164)의 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된다. 이는, 제2브래킷(200)이 안착홈(110,120)을 폐쇄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브래킷(100)의 후면, 즉 가이드홀(160)의 상부와 하부에는 제2브래킷(200)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제2브래킷(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대(170)와 앵글(180)이 형성된다.
받침대(170)는 가이드홀(16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제2브래킷(200)의 슬라이더(220,230)를 지지한다. 제2브래킷(200)의 슬라이더(220,230)는 그 이동 시 받침대(170)에 접촉되어 안내된다.
앵글(180)은 받침대(17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받침대(170)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220,230)의 이탈을 방지한다. 앵글(180)은 슬라이더(220,2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ㄱ자 형상을 가지며, 슬라이더(220,230)에는 앵글(180)이 삽입되는 가이드홈(222,232)이 형성된다.
한편, 앵글(180)의 일측에는 슬라이더(220,230)를 특정 위치에서 고정하는 걸림홈(190)이 형성되고, 슬라이더(220,230)에는 걸림홈(190)에 대응되는 걸림구(226,236)가 형성된다. 걸림홈(190)은 오목한 홈 형상이고, 걸림구(226,236)는 볼록한 구 형상이다.
슬라이더(220,230)의 이동 중 걸림구(226,236)가 걸림홈(190)에 삽입될 경우 슬라이더(220,230)는 해당 위치에서 이동이 제한된다. 이처럼 슬라이더(220,2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유는, 제2브래킷(200)이 안착홈(110,120)을 개방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브래킷(200)은 제1브래킷(100)의 후면을 덮는 판 형상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바(210), 제1슬라이더(220), 제2슬라이더(230)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40)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바(210)는 제2브래킷(200)의 중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바(210)의 전면 타측에는 가이드홀(160)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블록(250)이 형성된다.
가이드블록(250)은, 가이드바(210)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가이드슬릿(164)에 삽입되는 안내되는 제1부재(252)와, 제1부재(252)의 단부에서 상하로 돌출되며 가이드레일(162)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는 제2부재(254)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블록(250)은 가이드홀(160)의 이격공간(166)을 통해 삽입 및 설치되고, 가이드슬릿(164)을 따라 이동하며 제2브래킷(200)을 이동시킨다.
제1슬라이더(220)는 제2브래킷(200)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슬라이더(220)는 제2브래킷(200)의 이동 시 제1안착홈(110)의 개방된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상기 제1슬라이더(220)는 수평방향으로 상부로 개방된 C형강의 형상을 갖는다. 즉, 제1슬라이더(220)의 단면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슬라이더(220)의 상면에는 제1브래킷(100)의 앵글(180)이 삽입되는 가이드홈(222)이 형성되고, 가이드홈(222)의 일단에는 제1슬라이더(2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24)가 형성된다. 또한, 제1슬라이더(220)의 타단에는 걸림홈(190)에 대응되는 걸림구(226)가 형성된다.
제2슬라이더(230)는 제2브래킷(200)의 이동 시 제2안착홈(120)의 개방된 하단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제2슬라이더(230)는 제1슬라이더와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제2브래킷(200)의 하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로 개방되며 단면이 ∩자 형상인 C형강의 형상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브래킷(100)은 제1안착홈(110)과 제2안착홈(120)이 상하로 개방된 대략 H자 형상이고, 제2브래킷(200)은 가이드바(210), 제1 및 제2슬라이더(220)가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대략 E자 형상이다.
H자 형상의 제1브래킷(100)과 E자 형상의 제2브래킷(200)은 그 결합 시 격자 모양을 이루어 와이어(30)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도 2의 20)에 삽입된 터미널(미도시)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와이어(도 2의 3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브래킷(200)이 제1브래킷(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이동 시 와이어(30)가 삽입되는 안착홈(110,120)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30)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단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리어 홀더(10)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리어 홀더(10) 중 제2브래킷(200)을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켜 안착홈(110,120)이 개방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제1브래킷(100)을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단에 결합한다. 이때, 제1브래킷(100)은 탄성편(130)을 통해 커넥터 하우징(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단에 결합된 제1브래킷(100)의 안착홈(110,120)에 와이어(30)를 삽입한다. 상부에 위치된 와이어(32)는 제1안착홈(110)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삽입하고, 하부에 위치된 와이어(34)는 제2안착홈(120)의 개방된 하단을 통해 삽입한다.
안착홈(110,120)에 와이어(30)가 삽입되면 제2브래킷(200)을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켜 안착홈(110,120)이 폐쇄되도록 한다(도 6 참조). 이때, 제1브래킷(100)의 걸림돌기(도 4의 168)가 제2브래킷(200)의 가이드블록(250)의 이동을 제한하여 제2브래킷(200)이 안착홈(110,120)을 폐쇄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어 홀더(10)의 분리과정은 상술한 설치과정의 역순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리어 홀더 100: 제1브래킷
110: 제1안착홈 120: 제2안착홈
130: 탄성편 140: 슬릿
150: 리브 160: 가이드홀
170: 받침대 180: 앵글
190: 걸림홈 200: 제2브래킷
210: 가이드바 220: 제1슬라이더
230: 제2슬라이더 240: 연결부재
250: 가이드블록

Claims (8)

  1. 커넥터 하우징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감싸는 리어 홀더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제1브래킷;
    상기 제1브래킷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안착홈;
    상기 제1브래킷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브래킷;
    상기 제2브래킷에 마련되고 상기 제2브래킷의 이동 시 상기 안착홈의 개방된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커넥터용 리어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브래킷에는 상기 제2브래킷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래킷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블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리어 홀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가이드홀의 내벽에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슬릿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가이드슬릿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1부재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는 제2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리어 홀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가이드홀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타단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리어 홀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브래킷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는 앵글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앵글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리어 홀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일단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리어 홀더.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앵글의 일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리어 홀더.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제1브래킷의 상부로 개방된 제1안착홈과, 상기 제1브래킷의 하부로 개방된 제2안착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안착홈의 개방된 상단을 개폐하는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2안착홈의 개방된 하단을 개폐하는 제2슬라이더로 구성되며,
    상기 제1브래킷과 상기 제2브래킷이 격자 모양을 이루어 상기 와이어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리어 홀더.
KR1020180039829A 2018-04-05 2018-04-05 커넥터용 리어 홀더 KR102550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829A KR102550438B1 (ko) 2018-04-05 2018-04-05 커넥터용 리어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829A KR102550438B1 (ko) 2018-04-05 2018-04-05 커넥터용 리어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794A true KR20190116794A (ko) 2019-10-15
KR102550438B1 KR102550438B1 (ko) 2023-07-03

Family

ID=6820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829A KR102550438B1 (ko) 2018-04-05 2018-04-05 커넥터용 리어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4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4709A (ko) * 2010-08-10 2012-02-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JP2014179192A (ja) * 2013-03-14 2014-09-25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KR101448785B1 (ko) 2013-06-03 2014-10-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리어 홀더를 갖는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4709A (ko) * 2010-08-10 2012-02-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JP2014179192A (ja) * 2013-03-14 2014-09-25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KR101448785B1 (ko) 2013-06-03 2014-10-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리어 홀더를 갖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0438B1 (ko)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111B1 (ko) 커넥터 합치 보장
KR102178226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2018190625A (ja) コネクタ
JP4985206B2 (ja) コネクタ及びショート端子
US9941630B2 (en) Power source connector device
KR101916327B1 (ko) 일체형 접지단자를 구비한 매입형 콘센트
KR20120110029A (ko) 커넥터 단자 위치 보장 장치
US8888521B2 (en) In-line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having a connector apparatus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locking method thereof
US11038289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461420B2 (en) Connector holder
TW202131570A (zh) 扁平型導體用電連接器
US20200212617A1 (en) Connector
JP2014075308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20190116794A (ko) 커넥터용 리어 홀더
KR10136080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US10598869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ing system
KR102617534B1 (ko) 플러그,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KR20110109135A (ko) 암커넥터 조립체
KR20150017400A (ko) 커넥터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조립체
JP2012064414A (ja) コネクタ
KR101608365B1 (ko) 커넥터
JP4271549B2 (ja) コンセントの安全装置
JP5533625B2 (ja) コネクタ
US10756461B2 (en) Adapter for splice block openings
KR102316225B1 (ko) 플레이트 타입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