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534B1 - 플러그,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플러그,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534B1
KR102617534B1 KR1020180065566A KR20180065566A KR102617534B1 KR 102617534 B1 KR102617534 B1 KR 102617534B1 KR 1020180065566 A KR1020180065566 A KR 1020180065566A KR 20180065566 A KR20180065566 A KR 20180065566A KR 102617534 B1 KR102617534 B1 KR 102617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lider
plug
connector assembly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052A (ko
Inventor
정석은
천기덕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5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534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 조립체를 개시한다. 커넥터 조립체는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플러그, 복수의 플러그와 일대일 대응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복수의 플러그 사이 또는 복수의 리셉터클 사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결합부는 제1대상체의 일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더 및 제1대상체와 병렬로 배치되는 제2대상체와 결합되는 면에 형성되며 제2대상체에 형성된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러그,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PLUG, RECEPTACLE AND CONNECTOR ASSEMBLY}
이하의 실시 예들은 커넥터 간에 병렬로 연결이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전기기기나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부품이다. 이러한, 커넥터는 냉장고 등의 가전 제품을 비롯한 각종 전기 장치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기 장치의 메인보드와 메인보드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는 개별 장치 및 부품 간에는 전기적 연결이 필요하여, 플러그 및 리셉터클로 구성된 커넥터가 메인보드 및 개별장치의 케이블을 상호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커넥터는 전기 장치의 다수의 전기적 연결을 각각의 커넥터를 통해 개별적으로 연결하여, 복수의 커넥터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전기 장치의 프레임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서, 추가적인 커넥터의 연결이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커넥터는 자중 또는 진동에 의한 피로에 인하여 케이블과 커넥터가 분리되어 전기 접속이 끊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6-012563호
실시 예의 목적은, 플러그 또는 리셉터클을 연결하여 전기장치의 프레임 내에 복수의 커넥터를 정합시키는 것이 용이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플러그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일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타측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다른 플러그의 슬라이더가 삽입 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홀더에 대해서 슬라이드 결합되는 결합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자른 단면이 "T"자 형상을 갖고, 상기 홀더는 상기 결합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슬라이더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자른 단면이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홀더가 형성된 면에서 상기 홀더에 삽입된 슬라이더의 일단을 고정하는 록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슬라이더의 타단을 고정하는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록킹부는 상기 홀더의 일단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홀더 쪽으로 상향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다른 플러그 쪽 면에 상기 록킹부와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되 일단 방향으로 상향경사가 형성된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리셉터클은 리셉터클 하우징,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일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타측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다른 리셉터클의 슬라이더가 삽입 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홀더에 대해서 슬라이드 결합되는 결합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자른 단면이 "T"자 형상을 갖고, 상기 홀더는 상기 결합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슬라이더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자른 단면이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리셉터클의 하우징의 홀더가 형성된 면에서 상기 홀더에 삽입된 슬라이더의 일단을 고정하는 록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슬라이더의 타단을 고정하는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록킹부는 상기 홀더의 일단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홀더 쪽으로 상향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다른 리셉터클 쪽 면에 상기 록킹부와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되 일단 방향으로 상향경사가 형성된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커넥터 조립체는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플러그, 상기 복수의 플러그와 일대일 대응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및 상기 복수의 플러그 사이 또는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사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제1대상체의 일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제1대상체와 병렬로 배치되는 제2대상체와 결합되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대상체에 형성된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 또는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중 어느 일측에만 구비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와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홀더에 대해서 슬라이드 결합되는 결합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자른 단면이 "T"자 형상을 갖고, 상기 홀더는 상기 결합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슬라이더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자른 단면이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홀더가 형성된 면에서 상기 홀더에 삽입된 슬라이더의 일단을 고정하는 록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삽입된 슬라이더의 타단을 고정하는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록킹부는 상기 홀더의 일단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홀더 쪽으로 상향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홀더 쪽 면에 상기 록킹부와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되 일단 방향으로 상향경사가 형성된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리셉터클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복수의 소켓홀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복수의 소켓홀에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플러그 핀이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플러그 핀은 2열로 구비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에는 복수의 측면 중 상기 결합부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후크가 걸림 결합되는 후크돌기가 형성되는 후크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후크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후크는 상면에 평판 형상의 누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 또는 상기 리셉터클을 다른 대상물에 고정 가능한 연결클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클립은 클립 하우징, 상기 클립 하우징의 일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다른 대상물에 고정 가능한 결속부 및 상기 클립 하우징의 타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대상체의 홀더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 또는 상기 리셉터클을 다른 대상물에 고정 가능한 연결클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클립은 클립 하우징, 상기 클립 하우징의 일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다른 대상물에 고정 가능한 결속부 및 상기 클립 하우징의 타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대상체의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르면, 플러그 또는 리셉터클을 병렬로 정렬하여 연결할 수 있어서, 전기장치의 케이블의 배열을 단순화하여 정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연결클립이 플러그 또는 리셉터클을 전기장치의 하우징 또는 프레임에 고정함으로써 커넥터 조립체의 처짐을 방지하고, 케이블과 커넥터 조립체 간에 발생하는 부하를 줄여 케이블과 커넥터 조립체 간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플러그의 일 측면측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플러그의 타 측면측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리셉터클의 일 측면측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리셉터클의 타 측면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커넥터 조립체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앞서, 플러그(10, 20)는 제1플러그(10) 및 제2플러그(20)를 통칭하고, 리셉터클(30, 40)은 제1리셉터클(30) 및 제2리셉터클(40)을 통칭한다. 또한, 대상체(10, 20, 30, 40)는 플러그(10, 20) 또는 리셉터클(30, 40)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는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플러그(10, 20), 복수의 플러그(10, 20)와 일대일 대응되게 결합되는 복수의 리셉터클(30, 40)을 포함한다. 또한, 커넥터 조립체(1)는 복수의 플러그(10, 20) 사이 또는 복수의 리셉터클(30, 40) 사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결합부(130, 230, 330, 430)가 구비된다.
결합부(130, 230, 330, 430)는 복수의 플러그(10, 20) 또는 복수의 리셉터클(30, 40) 사이 중 어느 일측에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러그(10, 20)가 리셉터클(30, 40)에 끼워지며 커넥터 조립체(1)가 병렬로 연결되어 플러그(10, 20)와 리셉터클(30, 40) 모두가 정렬되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부(130, 230, 330, 430)는 복수의 플러그(10, 20) 사이와 복수의 리셉터클(30, 40) 사이 모두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러그(10, 20) 및 리셉터클(30, 40)이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정렬되어서, 플러그(10, 20)와 리셉터클(30, 40)의 분리시에도 병렬로 정렬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결합부(130, 230, 330, 430)는 제1대상체(10, 30)와 제2대상체(20, 40)의 결합되는 면에 형성되어 제1대상체(10, 30)와 제2대상체(20, 40)를 병렬로 결합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대상체(10, 30) 및 제2대상체(20, 40)는 제1플러그(10) 및 제2플러그(20) 또는 제1리셉터클(30)과 제2리셉터클(40)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대상체로서 제1플러그(10)와, 제2대상체로서 제2플러그(20)가 병렬로 배치되고, 제1플러그(10)와 제2플러그(20) 사이에 결합부(130, 230)가 구비되어서 제1플러그(10) 및 제2플러그(20)를 병렬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대상체로서 제11리셉터클(30)과 제2대상체로서 제2리셉터클(40)이 병렬로 배치되고, 제1리셉터클(30) 및 제2리셉터클(40) 사이에 결합부(330, 430)가 구비되어서, 제1플러그(10) 및 제2플러그(20)를 병렬로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대상체(10, 20, 30, 40)를 플러그(10, 20) 한 쌍 또는 리셉터클(30, 40) 한 쌍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 많은 수의 대상체가 병렬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대상체가 병렬로 배치되고, 복수의 대상체 사이마다 복수의 결합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대상체(10, 30)의 결합부(130, 330)는 일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더(131, 331) 및 제1대상체(10, 30)와 병렬로 배치되는 제2대상체(20, 40)와 결합되는 면에 형성되며 제2대상체(20, 40)에 형성된 슬라이더(231, 431)가 슬라이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홀더(132, 332)와, 홀더(132, 332)가 형성된 면에서 홀더(132, 332)에 삽입된 제2대상체(20, 40)의 슬라이더(231, 431)의 일단을 고정하는 록킹부(133, 3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대상체(10, 20, 30, 40)의 슬라이더(131, 231, 331, 431)는 홀더(132, 232, 332, 432)에 대해서 슬라이드 결합되는 결합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결합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자른 단면이 "T"자 형상을 가진다.
대상체(10, 20, 30, 40)의 홀더(132, 232, 332, 432)는 결합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슬라이더(131, 231, 331, 431)가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자른 단면이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여기서 홀더(132, 232, 332, 432)의 타단은 "ㄱ"자 단면이 막힌 형상을 가지도록 리브(132a, 232a, 332a, 432a)가 형성되어서 삽입된 슬라이더(131, 231, 331, 431)의 타단을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30, 230, 330, 430)는 제2대상체(20, 40)의 슬라이더(231, 431)가 제1대상체(10, 30)의 홀더(132, 332)에 삽입되되 록킹부(133, 333)에서 리브(132a, 332a) 방향으로 삽입되어 제1대상체(10, 30) 및 제2대상체(20, 40)를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의 플러그(10, 20)에 대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플러그(10)를 기준으로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플러그(10, 20)가 제1플러그(10)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플러그(10) 및 제2플러그(20)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되, 제2플러그(20)는 제1플러그(10)와 비교하여 플러그 핀(112, 212)의 개수 및 플러그 하우징(110, 210)의 크기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플러그의 일 측면측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플러그의 타 측면측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플러그(10)는 플러그 하우징(110), 결합부(130) 및 후크(150)를 포함한다.
플러그 하우징(110)은 제1플러그(10)의 외관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플러그 하우징(110)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러그 하우징(110)의 형상 및 크기는 설치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110)은 플러그측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플러그측 터미널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홀(111)이 형성된다. 또한, 플러그 하우징(110)은 후술하는 제1리셉터클(30)에 삽입되는 복수의 플러그 핀(112)이 형성된다.
플러그 핀(112)은 플러그 하우징(110)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1리셉터클(3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플러그 핀(112)은 돌출된 방향을 따라 플러그 하우징(110)의 수용홀(111)이 연장 형성된다. 플러그 핀(112)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핀(112)은 2개가 상하 방향의 2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핀(212)은 제2플러그(20)와 같이 4개가 상하방향으로 2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플러그 핀(112)이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핀(112, 212)이 2열로 배치된다 함은, 플러그(10, 20)가 리셉터클(30, 40)에 결합되는 방향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플러그 핀(112, 212)이 2열로 배치된 것을 의미한다.
결합부(130)는 슬라이더(131), 홀더(132) 및 록킹부(133)를 포함한다.
슬라이더(131)는 플러그 하우징(110)의 일측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슬라이더(131)는 홀더(132)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결합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슬라이더(131)는 결합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자른 단면이 "T"자 형상을 가진다.
홀더(132)는 플러그 하우징(110)의 타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홀더(132)는 결합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홀더(132)는 결합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자른 단면이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홀더(132)는 "ㄱ"자 형상의 단면이 상호 마주보는 플렌지 형태로 구비된다. 홀더(132)는 슬라이더(131)의 상부 "T"자 형상의 단면의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끼워져 결합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록킹부(133)는 홀더(132)가 형성된 면에서 홀더(132)에 삽입된 슬라이더(131)의 일단을 고정한다. 록킹부(133)는 홀더(132)의 일단에 대응되는 위치의 홀더(132)가 형성된 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홀더(132)는 삽입된 슬라이더(131)의 타단을 고정하는 리브(132a)가 형성된다. 리브(132a)는 홀더(132)의 타단에 "ㄱ"자 단면이 막힌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록킹부(133) 및 리브(132a)는 삽입된 슬라이더(131)가 슬라이더(131)의 결합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록킹부(133)는 홀더(132) 쪽으로 상향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록킹부(133)는 홀더(132)의 반대쪽 단부가 플러그 하우징(110)의 면과 동일한 평면을 가지며, 홀더(132)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131)는 제2플러그(20) 쪽 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록킹부(133)와 대응되는 가이드 홈(131a)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131a)은 슬라이더(131)의 일단 방향으로 상향경사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홈(131a)은 슬라이더(131)의 타단에서 록킹부(133)의 돌출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되 슬라이더(131)의 일단에서 슬라이더(131)의 제2플러그(20) 쪽 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향경사가 형성된다.
슬라이더(131)는 홀더(132)에 결합될 때, 가이드 홈(131a)에 록킹부(133)가 접촉하여 슬라이드 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더(131)는 가이드 홈(131a)의 경사와 록킹부(133)의 경사로 인해 록킹부(133)의 간섭을 줄일 수 있어 홀더(132)에 용이하게 결합된다. 또한, 슬라이더(131)는 홀더(132)에 결합된 슬라이더(131)의 일단이 록킹부(133)의 홀더(132) 방향면과 경사없이 접촉함으로써 홀더(13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후크(150)는 플러그 하우징(110)의 복수의 측면 중 결합부(130) 즉, 홀더(132) 및 슬라이더(131)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후크(15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후크(150)는 연결부(151), 고리부(152) 및 누름부(153)를 포함한다.
연결부(151)는 플러그 하우징(110)의 복수의 측면 중 홀더(132) 및 슬라이더(131)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연결부(151)는 플러그 하우징(110)의 상면에서 상향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부(151)는 돌출된 단부가 제1플러그(10)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연결부(151)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바형상일 수 있다.
고리부(152)는 연결부(151)의 돌출된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고리부(152)는 후술하는 후크돌기(352)가 삽입되는 삽입홀(152a)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삽입홀(152a)은 고리부(152)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153)는 연결부(151) 또는 고리부(152)의 상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누름부(153)는 고리부(152)의 상면에 삽입홀(152a)을 간섭하지 않는 부분에서 평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리부(152)는 연결부(151)가 플러그 하우징(110)에 외팔보 형태로 연결되기 때문에 고리부(152)의 상면에 힘이 가해지면 연결부(151)를 피봇축으로 하향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후크(150)는 사용자가 누름부(153)에 힘을 가함으로써 고리부(152)를 하향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의 리셉터클(30, 40)에 대해 제1리셉터클을 기준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리셉터클(30, 40)은 제1리셉터클(3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리셉터클(40)은 제1리셉터클(30)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되, 소켓홀(311, 411)의 개수 및 리셉터클 하우징(310, 410)의 크기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리셉터클의 일 측면측 사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리셉터클의 타 측면측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리셉터클(30)은 리셉터클 하우징(310), 및 후크삽입부(35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하우징(310)은 제1리셉터클(30)의 외관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하우징(310)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셉터클 하우징(310)의 형상 및 크기는 설치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310)은 길이방향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핀(112)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켓홀(311)이 형성된다.
소켓홀(311)은 플러그 핀(112)의 삽입뿐만 아니라 리셉터클측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셉터클측 터미널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소켓홀(311)은 플러그 핀(112)의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며, 플러그 핀(112)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결합부(330)는 슬라이더(331), 홀더(332) 및 록킹부(333)를 포함한다.
슬라이더(331)는 리셉터클 하우징(310)의 일측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슬라이더(331)는 홀더(332)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결합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슬라이더(331)는 결합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자른 단면이 "T"자 형상을 가진다.
홀더(332)는 리셉터클 하우징(310)의 타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홀더(332)는 결합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홀더(332)는 결합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자른 단면이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다. 홀더(332)는 "ㄱ"자 형상의 단면이 상호 마주보는 플렌지 형태로 구비된다. 홀더(332)는 슬라이더(331)의 "T"자 형상의 단면의 상부에 위치한 돌출부가 끼워져 결합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록킹부(333)는 홀더(332)가 형성된 면에서 홀더(332)에 삽입된 슬라이더(331)의 일단을 고정한다. 록킹부(333)는 홀더(332)의 일단에 대응되는 위치의 홀더(332)가 형성된 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홀더(332)는 삽입된 슬라이더(331)의 타단을 고정하는 리브(332a)가 형성된다. 리브(332a)는 홀더(332)의 타단에 "ㄱ"자 단면이 막힌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록킹부(333) 및 리브(332a)는 삽입된 슬라이더(331)가 슬라이더(331)의 결합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록킹부(333)는 홀더(332) 쪽으로 상향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록킹부(333)는 홀더(332)의 반대쪽 단부가 리셉터클 하우징(310)의 면과 동일한 평면을 가지며, 홀더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331)는 제2리셉터클(40) 쪽 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록킹부(333)와 대응되는 가이드 홈(331a)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331a)은 슬라이더(331)의 일단 방향으로 상향경사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홈(331a)은 슬라이더(331)의 타단에서 록킹부(333)의 돌출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되 슬라이더(331)의 일단에서 슬라이더(331)의 제2리셉터클(40)쪽 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향경사가 형성된다.
슬라이더(331)는 홀더(332)에 결합될 때, 가이드 홈(331a)에 록킹부(333)가 접촉하여 슬라이드 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더(331)는 가이드 홈(331a)의 경사와 록킹부(333)의 경사로 인해 록킹부(333)의 간섭을 줄일 수 있어 홀더(332)에 용이하게 결합된다. 또한, 슬라이더(331)는 홀더(332)에 결합된 슬라이더(331)의 일단이 록킹부(333)의 홀더(332) 방향면과 경사없이 접촉함으로써 홀더(33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후크삽입부(350)는 후크(150)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후크삽입부(350)는 리셉터클 하우징(310)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되 제1리셉터클(30)에 끼워진 제1플러그(10)의 후크(15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후크삽입부(350)는 후크(150)가 삽입되는 후크삽입홀(35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후크삽입부(35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커넥터 조립체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후크삽입홀(351)의 내부에는 후크돌기(352)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후크돌기(352)는 후크삽입홀(351)의 내부상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크돌기(352)는 제1플러그(10)가 결합되는 쪽으로 하향경사가 형성되어, 고리부(152)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후크돌기(352)는 후크(150)가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단면이 삽입홀(152a) 단면과 동일하거나 삽입홀(152a)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플러그(10)는 제1리셉터클(30)에 삽입될 때, 후크(150)가 후크돌기(352)의 경사를 따라 연결부(151)를 피봇축으로 하향방향으로 이동되어, 삽입홀(152a)이 후크돌기(352)에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플러그(10)를 제2리셉터클(40)에서 분리할 때, 사용자가 누름부(153)를 파지하여 힘을 가함으로써, 후크(150)가 연결부(151)를 피봇축으로 하향방향으로 이동되어, 삽입홀(152a)이 후크돌기(352)보다 하부로 이동하여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를 참조하면, 제1플러그(10)의 홀더(132)에 제2플러그(20)의 슬라이더(231)가 삽입되어 결합되어 병렬로 연결된다. 또한, 제1리셉터클(30)의 홀더(332)에 제2리셉터클(40)의 슬라이더(431)가 삽입되어 결합되어 병렬로 연결된다. 이 때, 제2플러그(20) 및 제2리셉터클(40)의 슬라이더(231, 431)는 가이드 홈(231a, 431a)이 제1플러그(10) 및 제1리셉터클(30)의 록킹부(133, 333)를 따라 삽입방향이 안내되어 홀더(132, 332)의 내부로 삽입되며, 삽입된 슬라이더(231, 431)의 일단은 록킹부(133, 333)에 고정되고, 타단은 리브(132a, 332a)에 고정된다.
연결된 복수의 플러그(10, 20)는 각각의 플러그 핀(112, 212)이 복수의 리셉터클(30, 40)의 소켓홀(311, 411)에 결합된다. 이 때, 복수의 플러그(10, 20)의 고리부(152, 252)의 단부는 리셉터클(30, 40)의 후크돌기(352, 미도시)의 경사를 따라 하향방향으로 이동된다. 후크(150, 250)는 삽입홀(152a, 252a)에 후크돌기(352, 미도시)가 위치되면 본래의 위치로 탄성 변형되어 삽입홀(152a, 252a)에 후크돌기(352, 미도시)가 삽입되며 걸림 결합된다.
커넥터 조립체(1)는 결합부(130, 230, 330, 430)에 의해 복수의 플러그(10, 20) 및 복수의 리셉터클(30, 40)이 병렬로 견고히 결합되어서, 복수의 커넥터 조립체(1)가 전기장치의 내부에서 복잡하게 얽히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2)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커넥터 조립체(2)는 제1플러그(10), 제2플러그(20), 제1리셉터클(30), 제2리셉터클(40) 및 연결클립(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플러그(10), 제2플러그(20), 제1리셉터클(30) 및 제2리셉터클(40)은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연결클립(50)은 플러그(10, 20) 또는 리셉터클(30, 40)을 다른 대상물(미도시)에 고정 가능하다. 연결클립(50)은 플러그(10, 20)의 홀더(132, 232) 또는 리셉터클(30, 40)의 홀더(332, 432)에 삽입 결합되고, 다른 대상물(미도시)에 삽입 결합되어서 고정이 가능하다. 연결클립(50)은 플러그(10, 20) 또는 리셉터클(30, 40)을 전기장치의 프레임 또는 하우징 등의 다른 대상물에 고정함으로써 전기 장치의 케이블을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다. 또한, 연결클립(50)은 커넥터 조립체(2)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전기 장치의 케이블과 커넥터 조립체(2)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클립(50)은 클립 하우징(51), 클립 하우징(51)의 일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다른 대상물에 고정가능한 결속부(52) 및 클립 하우징(51)의 타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플러그(10, 20) 또는 리셉터클(30, 40)의 홀더(132, 232, 332, 43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 슬라이더(53)를 포함한다.
여기서, 클립 슬라이더(53)는 플러그(10, 20) 또는 리셉터클(30, 40)의 슬라이더(131, 231, 331, 431)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플러그(10, 20)의 홀더(132, 232)에 결합되는 클립 슬라이더(53)는 플러그(10, 20)의 슬라이더(131, 23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리셉터클(30, 40)의 홀더(332, 432)에 결합되는 클립 슬라이더(53)는 리셉터클(30, 40)의 슬라이더(331, 43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30, 40)의 홀더(332, 432)에 결합되는 클립 슬라이더(53)는 리셉터클(30, 40)의 홀더(332, 432)에 대해서 슬라이드 결합되는 결합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결합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자른 단면이 "T"자 형상을 가지며, 클립 가이드홈(531)이 가이드 홈(331a, 431a)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와 반대로 연결클립(50)은 클립 하우징(51), 클립 하우징(51)의 일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다른 대상물에 고정가능한 결속부(52) 및 클립 하우징(51)의 타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플러그(10, 20) 또는 리셉터클(30, 40)의 슬라이더(131, 231, 331, 43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 홀더(미도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2: 커넥터 조립체
10: 제1플러그
20: 제2플러그
30: 제1리셉터클
110, 210: 플러그 하우징
111, 211: 수용홀
112, 212: 플러그 핀
130, 230, 330, 430: 결합부
131, 231, 331, 431: 슬라이더
132, 232, 332, 432: 홀더
132a, 232a, 332a, 432a: 리브
133, 233, 333, 433: 록킹부
150, 250: 후크
151, 251: 연결부
152, 252: 고리부
152a, 252a: 삽입홀
153, 253: 누름부
20: 제2플러그
310, 410: 리셉터클 하우징
311, 411: 소켓홀
350, 450: 후크삽입부
351, 451: 후크삽입홀
352: 후크돌기
50: 연결클립
51: 클립 하우징
52: 고정가능한 결속부
53: 클립 슬라이더
531: 클립 가이드홈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플러그;
    상기 복수의 플러그와 일대일 대응되게 결합되며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상기 복수의 플러그 사이 또는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사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결합부;
    상기 복수의 플러그에 구비되는 후크; 및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에서 상기 후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서 상기 후크가 걸림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후크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하향경사면으로 형성되는 후크돌기가 형성되는 후크삽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와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중 어느 하나인 제1대상체의 일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제1대상체에 병렬로 결합되는 플러그 또는 리셉터클인 제2대상체에서, 상기 제1대상체와 결합되는 면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제1대상체가 플러그인 경우, 상기 각 플러그의 복수의 측면 중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홀더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 또는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중 어느 일측에만 구비되는 커넥터 조립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복수의 플러그와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에 각각 구비되는 커넥터 조립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홀더에 대해서 슬라이드 결합되는 결합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자른 단면이 "T"자 형상을 갖고,
    상기 홀더는 상기 결합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슬라이더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방향에 대해서 수직하게 자른 단면이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커넥터 조립체.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홀더가 형성된 면에서 상기 홀더에 삽입된 슬라이더의 일단을 고정하는 록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삽입된 슬라이더의 타단을 고정하는 리브가 형성되는 커넥터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홀더의 일단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홀더 쪽으로 상향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홀더 쪽 면에 상기 록킹부와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되 일단 방향으로 상향경사가 형성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커넥터 조립체.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복수의 소켓홀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복수의 소켓홀에 삽입 결합되는 복수의 플러그 핀이 형성되는 커넥터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러그 핀은 2열로 구비되는 커넥터 조립체.
  17. 삭제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조립체.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면에 평판 형상의 누름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조립체.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또는 상기 리셉터클을 다른 대상물에 고정 가능한 연결클립;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클립은,
    클립 하우징;
    상기 클립 하우징의 일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다른 대상물에 고정 가능한 결속부; 및
    상기 클립 하우징의 타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대상체의 홀더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 슬라이더;
    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또는 상기 리셉터클을 다른 대상물에 고정 가능한 연결클립;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클립은,
    클립 하우징;
    상기 클립 하우징의 일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다른 대상물에 고정 가능한 결속부; 및
    상기 클립 하우징의 타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대상체의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립 홀더;
    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80065566A 2018-06-07 2018-06-07 플러그,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617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566A KR102617534B1 (ko) 2018-06-07 2018-06-07 플러그,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566A KR102617534B1 (ko) 2018-06-07 2018-06-07 플러그,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052A KR20190139052A (ko) 2019-12-17
KR102617534B1 true KR102617534B1 (ko) 2023-12-26

Family

ID=69056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566A KR102617534B1 (ko) 2018-06-07 2018-06-07 플러그,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5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684Y1 (ko) 2001-04-03 2001-10-10 경신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152U (ja) * 1991-12-20 1993-07-13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コネクタを備えた電装品
KR20090006806U (ko) * 2007-12-31 2009-07-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84746B1 (ko) * 2008-10-20 2010-10-01 케이유엠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KR20160001514A (ko) 2014-06-27 201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도성 박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684Y1 (ko) 2001-04-03 2001-10-10 경신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052A (ko) 201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163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housing side wall with resilient inner arm and stationary outer arm
JP3121387U (ja) コネクタ及びガイド設置部材
KR101025638B1 (ko) 커넥터
KR100248964B1 (ko) 암형 전기 단자
US6659797B2 (en) Connector with resiliently deflectable lock arm
JPH0226348B2 (ko)
JPH06236784A (ja) 端子位置保証部材付き電気コネクター
US10886640B2 (en) Conductive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KR20140059798A (ko) 플러그 커넥터
US20110275234A1 (en) Clearance compensation unit
AU2007349106C1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dust cover
US20240170881A1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s
US20100130042A1 (en) Connector socket, a connector plug, and an appliance fitted with a connector
US10910752B2 (en) Large current terminal and connector
KR102471886B1 (ko) 커넥터 및 단자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617534B1 (ko) 플러그, 리셉터클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KR200481574Y1 (ko) 분리 방지용 커넥터
KR200437689Y1 (ko) 커넥터
KR102102588B1 (ko) 플러그 장치 및 배전 시스템
CN110710061B (zh) 连接器结构
US7927150B2 (en) Connectors including spring tabs for holding a contact module
JP6944931B2 (ja) コネクタ
CN212542840U (zh) 插头连接器和连接器组件
KR20220019482A (ko) 커넥터 및 커넥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