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718A -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718A
KR20190116718A KR1020180039681A KR20180039681A KR20190116718A KR 20190116718 A KR20190116718 A KR 20190116718A KR 1020180039681 A KR1020180039681 A KR 1020180039681A KR 20180039681 A KR20180039681 A KR 20180039681A KR 20190116718 A KR20190116718 A KR 20190116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isposed
base
hold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3859B1 (ko
Inventor
이성국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9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859B1/ko
Publication of KR20190116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718A/ko
Priority to KR1020230023198A priority patent/KR20230031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Abstract

본 실시예는 베이스; 베이스와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홀더; 홀더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베이스에 배치되는 기판; 기판에 배치되고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 및 베이스와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베이스는 롤러의 제1부분이 배치되는 제1홈과, 롤러의 제2부분이 배치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롤러는 제1홈과 제2홈 사이에 배치되고 홀더가 배치되는 제3부분을 포함하고, 롤러는 제1롤러와, 제1롤러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롤러와,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제3롤러를 포함하고, 제3롤러의 직경은 제1롤러의 직경 보다 작은 렌즈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렌즈구동장치 및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장치가 있다. 한편, 최근의 카메라장치에는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오토 포커스 기능을 갖춘 카메라장치의 경우 홀더와 베이스 사이에 가이드 부재를 배치하여 홀더의 베이스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데 홀더와 가이드 부재 사이의 마찰력이 큰 경우 홀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커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카메라장치의 소형화 추세에 의해 제한된 공간 내에 마그네트와 코일을 배치해야 하므로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을 증가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 더욱 문제 된다.
본 실시예는 오토 포커싱(AF, auto focusing) 구동을 위한 홀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롤러와 홀더 사이의 마찰력이 저감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렌즈구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렌즈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롤러의 제1부분이 배치되는 제1홈과, 상기 롤러의 제2부분이 배치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가 배치되는 제3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제3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3롤러의 직경은 상기 제1롤러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홀더 아래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코너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은 상기 기둥부에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곡면을 포함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의 상기 곡면의 단부는 상기 롤러의 상기 제3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구동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의 위에 배치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상기 상판에는 아래로 돌출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 사이에 배치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구동장치는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센서는 상기 코일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마그네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롤러 유닛과, 상기 마그네트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롤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 유닛과 상기 제2롤러 유닛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3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구동장치는 상기 코일 아래에 배치되는 금속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 각각은 상기 제3롤러와 접촉하고,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제2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의 직경은 상기 제2롤러의 직경과 같고, 상기 제1롤러의 직경과 상기 제3롤러의 직경의 차이는 0.05 mm 내지 0.2 mm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 상기 베이스와 상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제1롤러와 제2롤러; 및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볼을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제1롤러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롤러의 일측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볼과, 상기 제1롤러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제2롤러의 타측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볼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롤러의 상기 일측 단부, 상기 제2롤러의 상기 일측 단부 및 상기 제1볼이 배치되는 제1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롤러의 상기 타측 단부, 상기 제2롤러의 상기 타측 단부 및 상기 제2볼이 배치되는 제2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홈은 상기 제1볼이 내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볼의 전체 원주길이의 50%를 넘는 원주길이를 감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렌즈;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 상기 베이스와 상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롤러; 상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기판; 및 상기 제2기판에 상기 렌즈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는 상기 제1롤러의 직경과 상기 제2롤러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제3롤러 또는 서로 이격되는 2개의 볼에 의해 서로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홀더와 롤러 사이의 마찰력이 저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그네트와 코일의 크기가 축소될 수 있어 카메라장치의 전체 크기가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홀더와 롤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베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변형례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변형례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홀더와 제1롤러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변형례에서 베이스의 홈에 롤러와 볼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의 홈에 롤러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렌즈구동장치에 결합된 렌즈의 광축의 방향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광축 방향은 이미지 센서의 광축의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z축 방향' 등과 대응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은 이미지 센서에 피사체의 선명한 영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피사체의 거리에 따라 렌즈를 광축 상에서 이동시켜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기능으로 정의한다. 한편, '오토 포커스'는 'AF(Auto Focus)', '오토 포커싱' 또는 'Auto Focusing'과 혼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마그네트(300)와 코일(400) 중 어느 하나를 '제1구동부'라 칭하고 다른 하나를 '제2구동부'라 칭할 수 있다. 한편, 마그네트(300)와 코일(400)은 서로 위치를 바꾸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인쇄회로기판과 기판(500) 중 어느 하나를 '제1기판'이라 칭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2기판'이라 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네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광학기기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광학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광학기기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광학기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는 카메라장치를 수용할 수 있다. 본체의 일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체의 일면에 디스플레이부 및 카메라장치가 배치되고 본체의 타면(일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면)에 카메라장치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광학기기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본체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광학기기는 카메라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장치는 본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본체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카메라장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장치는 본체의 일면 및 본체의 타면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장치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카메라장치는 '카메라모듈'일 수 있다.
카메라장치는 렌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렌즈 및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렌즈구동장치의 홀더(200)에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홀더(200)에 나사 결합 및/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홀더(200)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카메라장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적외선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렌즈 모듈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적외선 필터는 렌즈구동장치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센서 베이스(미도시)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례로, 적외선 필터는 베이스(100)의 몸체부(110)의 홀(111)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에는 렌즈구동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인쇄회로기판과 렌즈구동장치 사이에는 센서 베이스가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렌즈구동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에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장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플립 칩(flip chip) 기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의 광축과 렌즈의 광축은 얼라인먼트(alignment) 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센서의 유효화상 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카메라장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렌즈구동장치의 코일(400)에 공급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진폭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렌즈구동장치를 제어하여 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홀센서(800)를 통해 홀더(200)의 위치를 감지하여 렌즈구동장치에 대한 오토 포커스 피드백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와 변형례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홀더와 롤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베이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일부 구성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변형례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변형례에 따른 렌즈구동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홀더와 제1롤러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베이스의 홈에 롤러와 볼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의 홈에 롤러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렌즈구동장치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일 수 있다. 렌즈구동장치는 '렌즈구동모터'일 수 있다. 렌즈구동장치는 렌즈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렌즈구동장치는 베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하우징'일 수 있다. 베이스(100)는 홀더(2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홀더(200)의 밖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홀더(2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홀더(200)와 적어도 일부에서 이격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사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몸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홀더(2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홀더(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4개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의 측면의 하단부에는 밖으로 돌출되는 단차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의 홀(111)은 홀더(200)의 홀(210)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홀(111)에는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기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부(120)는 몸체부(110)로부터 위로 연장될 수 있다. 기둥부(120)는 홀더(200)의 밖에 배치될 수 있다. 기둥부(120)는 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기둥부(120)는 몸체부(110)의 4개의 코너부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기둥부(120)는 복수의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둥부는 4개의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둥부는 제1 내지 제4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부(120)에는 롤러(600)가 배치될 수 있다. 기둥부(120)에는 롤러(600)가 수용되는 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홈(130)을 포함할 수 있다. 홈(130)은 본 실시예의 다른 홈과 구분하기 위해 '롤러 홈'으로 호칭될 수 있다. 홈(130)은 기둥부(120)에 형성될 수 있다. 홈(130)은 롤러(600)를 수용할 수 있다.
홈(130)은 제1홈(131)과 제2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홈(130)은 롤러(600)의 제1부분(일례로, 일측 단부)가 배치되는 제1홈(131)과, 롤러(600)의 제2부분(일례로, 타측 단부)가 배치되는 제2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131)과 제2홈(132) 각각은 적어도 일부에서 롤러(600)의 단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홈(131)과 제2홈(132) 각각은 롤러(600)의 단부를 감싸듯 수용할 수 있다. 롤러(600)는 제1홈(131)과 제2홈(132) 사이의 제한된 공간에 배치됨에 따라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고 회전은 가능할 수 있다. 롤러(600)의 일부는 제1홈(131)에 배치되고 롤러(600)의 다른 일부는 제2홈(132)에 배치되고 롤러(600)의 나머지 일부는 제1홈(131)과 제2홈(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600)의 제1부분은 제1홈(131)에 배치되고 롤러(600)의 제2부분은 제2홈(132)에 배치되고 롤러(600)의 제3부분은 제1홈(131)과 제2홈(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홀더(200)는 롤러(600)의 제3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홀더(200)의 돌기(220)의 곡면의 단부는 롤러(600)의 제3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단차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140)는 베이스(100)의 몸체부(110)의 측면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140)에는 커버(700)의 측판(720)의 하단이 배치될 수 있다. 단차부(140)는 커버(700)의 측판과 수직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홈(150)을 포함할 수 있다. 홈(150)은 본 실시예의 다른 홈과 구분하기 위해 '플레이트 홈'으로 호칭될 수 있다. 홈(150)은 몸체부(110)의 측면과 기둥부(12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홈(150)에는 플레이트(900)가 배치될 수 있다. 홈(150)의 적어도 일부는 플레이트(9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돌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60)는 '스토퍼'일 수 있다. 돌기(160)는 몸체부(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돌기(160)는 홀더(200)의 하면과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홀더(200)가 최하측까지 이동하면 홀더(200)의 하면과 돌기(160)의 상면이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베이스(100)의 돌기(160)는 홀더(200)의 하측 스토퍼의 일 구성으로 기능할 수 있다.
렌즈구동장치는 홀더(20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200)는 베이스(100)와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홀더(200)는 베이스(10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홀더(200)는 베이스(100)에 대하여 광축 방향(수직 방향,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홀더(200)는 렌즈 및/또는 이미지 센서의 광축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홀더(200)에는 렌즈가 결합될 수 있다.
홀더(200)는 홀(21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200)는 중심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홀(210)을 포함할 수 있다. 홀(210)에는 렌즈가 결합될 수 있다. 홀(210)을 형성하는 홀더(20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와 홀더(200)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홀더(200)는 사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홀더(200)는 돌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220)는 홀더(2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기(220)에는 롤러(600)가 배치될 수 있다. 돌기(220)는 롤러(600)의 회전에 의해 롤러(600)를 타고 이동할 수 있다. 돌기(220)는 곡률을 갖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220)의 곡면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돌기(220)의 곡면에는 롤러(600)의 중심부가 접촉될 수 있다. 돌기(220)의 곡면의 단부는 롤러(600)의 제3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220)의 곡면의 외측 단부가 롤러(600)와 접촉하므로 돌기(220)와 롤러(600)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홀더(200)와 롤러(600) 사이의 마찰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
홀더(200)는 홈(230)을 포함할 수 있다. 홈(230)은 본 실시예의 다른 홈과 구분하기 위해 '마그네트 홈'으로 호칭될 수 있다. 홈(230)은 홀더(2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홈(230)에는 마그네트(300)가 배치될 수 있다. 홈(230)에는 마그네트(3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홈(230)의 적어도 일부는 마그네트(3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홈(230)은 아래로 오픈된 형태일 수 있다.
렌즈구동장치는 마그네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300)는 홀더(200)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300)는 코일(400)과 대향할 수 있다. 코일(400)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마그네트(300)와 코일(400) 사이에는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그네트(300)와 일체로 이동하는 홀더(200)와 렌즈가 이동할 수 있다. 즉, 마그네트(300)는 코일(400)과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홀더(20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마그네트(300)와 금속의 플레이트(900)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마그네트(300)는 플레이트(900)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므로 홀더(200)가 롤러(600)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렌즈구동장치는 코일(40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400)은 기판(500)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400)은 기판(500)의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400)은 마그네트(300)와 대향할 수 있다. 코일(400)은 플레이트(9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400)은 마그네트(300)와 이격될 수 있다. 코일(400)은 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코일(400)은 기판(500)을 통해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고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코일(400)은 제1 내지 제3부분(410, 420, 43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400)은 제1부분(410)과, 제1부분(410)과 이격되어 제1부분(410)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부분(420)과, 제1부분(410)과 제2부분(420)을 연결하는 제3부분(43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400)은 제1 내지 제3부분(410, 420, 430)의 연결된 형상은 안경 형상과 대응할 수 있다. 이때, 코일(400)은 '안경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일(400)의 중심부에 이격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코일(400)의 중심부의 이격 공간에는 홀센서(800)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구동장치는 기판(5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500)은 베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50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기판(500)의 내면에는 코일(400)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500)의 내면에는 홀센서(800)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500)은 베이스(100)의 홈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500)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100)의 홈에 수용될 수 있다. 베이스(100)의 몸체부(110)의 측면과 기둥부(120)의 측면에는 기판(500)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500)은 코일(400), 홀센서(800) 및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500)은 단자(51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510)는 기판(500)의 외면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단자(510)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자는 코일(400)을 위한 2개의 단자와, 홀센서(800)를 위한 4개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단자는 총 6개의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단자(510)는 인쇄회로기판과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렌즈구동장치는 롤러(60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600)는 베이스(100)와 홀더(200)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600)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롤러(600)는 원기둥면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600)는 평면을 둥글게 말아 형성되는 원기둥면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구 형상의 볼과는 구분될 수 있다. 롤러(600)의 중심부는 홀더(200)와 접촉할 수 있다. 롤러(600)의 양단부는 베이스(100)의 홈(130)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600)의 양단부는 베이스(100)의 홈(130)에 수용될 수 있다. 롤러(600)는 베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롤러(600)는 베이스(100)에 대한 홀더(2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롤러(600)는 홀더(200)가 베이스(100)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회전하여 홀더(20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홀더(200)가 베이스(100)에 대하여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홀더(200)가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즉, 롤러(600)는 회전은 가능하지만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는 상태로 베이스(100)의 기둥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600)는 제1롤러 유닛(600-1)과 제2롤러 유닛(600-2)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600)는 마그네트(3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롤러 유닛(600-1)과, 마그네트(30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롤러 유닛(60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롤러 유닛(600-1)과 제2롤러 유닛(600-2)은 마그네트(30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롤러 유닛(600-1)과 제2롤러 유닛(600-2) 각각은 제1 내지 제3롤러(610, 620, 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롤러 유닛(600-1)은 베이스(100)의 몸체부(110)의 4개의 코너부 중 제1코너부에 배치되고, 제2롤러 유닛(600-2)은 베이스(100)의 몸체부(110)의 4개의 코너부 중 제1코너부와 인접한 제2코너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롤러 유닛(600-1)과 제2롤러 유닛(600-2) 사이에는 코일(4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롤러 유닛(600-1)과 제2롤러 유닛(600-2) 사이에는 플레이트(900)가 배치될 수 있다.
롤러(600)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롤러는 제1 내지 제3롤러(610, 620, 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롤러(610, 620, 630) 각각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롤러(610, 620, 630) 각각은 원기둥면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600)는 제1롤러(610)와, 제1롤러(610)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롤러(620)와, 제1롤러(610)와 제2롤러(620) 사이에 배치되는 제3롤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롤러(610)와 제2롤러(620) 각각은 제3롤러(630)와 접촉할 수 있다. 다만, 제1롤러(610)와 제2롤러(620)가 제3롤러(63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속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경우에 따라 제1롤러(610)와 제2롤러(620)가 제3롤러(630)와 때때로 이격될 수 있다. 제1롤러(610)의 회전축은 제2롤러(620)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롤러(610)의 회전축은 제3롤러(630)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롤러(620)의 회전축은 제3롤러(630)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롤러(610, 620, 630)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2롤러(610, 620)는 서로 크기까지 대응하고, 제3롤러(630)는 제1 및 제2롤러(610, 620)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제3롤러(630)는 제1 및 제2롤러(610, 620) 보다 직경은 작지만 폭은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롤러(610)의 직경(d1)은 제2롤러(620)의 직경(d2)과 같을 수 있다. 제1롤러(610)의 직경(d1)과 제2롤러(620)의 직경(d2)은 제3롤러(630)의 직경(d3) 보다 클 수 있다. 제3롤러(630)의 직경(d3)은 제1롤러(610)의 직경(d1)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롤러(630)는 홀더(20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홀더(200)와 제1 내지 제3롤러(610, 620, 630) 모두가 접촉할 때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서 홀더(200)와 롤러(600) 사이의 마찰력이 저감될 수 있다. 제1롤러(610)와 제2롤러(620)는 제1롤러(610)의 직경(d1)과 제2롤러(620)의 직경(d2) 보다 작은 직경(d3)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제3롤러(630) 에 의해 서로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롤러(610)의 직경(d1)과 제2롤러(620)의 직경(d2)은 0.44 ~ 0.48 mm일 수 있다. 제3롤러(630)의 직경(d3)은 0.34 ~ 0.38 mm일 수 있다. 제1롤러(610)의 직경(d1)과 제2롤러(620)의 직경(d2)은 0.46 mm일 수 있다. 제3롤러(630)의 직경(d3)은 0.36 mm일 수 있다. 제1롤러(610)의 직경(d1)과 제3롤러(630)의 직경(d3)의 차이는 0.05 mm 내지 0.2 mm일 수 있다. 만약 제1롤러(610)의 직경(d1)과 제3롤러(630)의 직경(d3)의 차이가 0.2 mm 보다 큰 경우 제1롤러(610)와 제3롤러(630) 사이의 이격 거리가 너무 좁아지고 제2롤러(620)와 기둥부(120)의 홈(130) 사이의 유격 공간이 커져 문제가 되고, 제1롤러(610)의 직경(d1)과 제3롤러(630)의 직경(d3)의 차이가 0.05 mm 보다 작은 경우 제2롤러(620)가 홀더(200)와 접촉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롤러(600)와 홀더(200) 사이의 마찰력 저감 효과가 저하되어 문제가 된다. 한편, 제3롤러(630)의 직경(d3)은 제1롤러(610)의 직경(d1)의 60 내지 90%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축 방향(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3개의 롤러(610, 620, 630) 중 중간의 롤러(630)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홀더(200)와 롤러(600)가 접촉되는 부분을 줄여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다.
렌즈구동장치는 커버(7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700)는 베이스(100)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커버(700)는 베이스(10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700)는 내부에 홀더(200)를 수용할 수 있다. 커버(700)는 렌즈구동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700)는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커버(700)는 금속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700)는 인쇄회로기판의 그라운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700)는 그라운드될 수 있다. 커버(700)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커버(700)는 'EMI 쉴드캔'으로 호칭될 수 있다.
커버(700)는 상판(710)과 측판(7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700)는 상판(710)과, 상판(710)의 외주(outer periphery) 또는 에지(edge)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판(7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710)은 베이스(1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판(710)은 홀(7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710)의 홀(711)은 홀더(200)의 홀(210) 및 베이스(100)의 홀(111)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판(710)은 돌출부(71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712)는 상판(710)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712)는 상판(7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712)는 상판(710)과 별도로 형성되어 제1홈(131)과 제2홈(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712)는 상판(710)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712)는 상판(710)에서 아래로 돌출되어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100)의 홈(130)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712)의 적어도 일부는 제1홈(131)과 제2홈(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712)는 베이스(100)의 홈(130)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712)는 베이스(100)의 홈(130)에 삽입될 수 있다. 돌출부(712)는 베이스(100)의 홈(130)에 배치된 롤러(6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측판(720)은 상판(710)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측판(720)은 복수의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판은 4개의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판은 제1 내지 제4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측판(720)의 하단은 베이스(100)의 단차부(140)에 배치될 수 있다. 측판(720)의 내면은 베이스(100)와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커버(700)의 측판(720)의 내면에는 기판(500)이 배치될 수 있다. 커버(700)의 측판(720)에는 기판(500)의 단자(510)와 대응하는 위치에 기판(500)의 단자(510)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렌즈구동장치는 홀센서(800)를 포함할 수 있다. 홀센서(800)는 기판(500)에 배치될 수 있다. 홀센서(800)는 코일(4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홀센서(800)는 코일(400)의 제1부분(410)과 제2부분(4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홀센서(800)는 마그네트(300)와 대향할 수 있다. 홀센서(800)는 마그네트(300)의 자기력을 감지할 수 있다. 홀센서(800)는 코일(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코일(400)은 홀센서(800) 둘레로 권선될 수 있다. 홀센서(800)는 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홀센서(800)는 마그네트(300)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마그네트(300)와 일체로 이동하는 홀더(200) 및 렌즈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홀센서(800)에 의해 감지된 렌즈의 위치는 오토 포커싱 피드백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렌즈구동장치는 플레이트(90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900)는 코일(4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90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900)는 자성체일 수 있다. 플레이트(900)와 마그네트(300)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플레이트(900)는 베이스(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홈(150)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900)는 막대 형상의 제1부분과, 제1부분의 양단부에서 위로 돌출되는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통해 홀더(200)의 틸트(tilt)가 최소화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플레이트(900)의 U자 형상이 홀더(200)에 결합된 마그네트(300)를 플레이트(900)의 중심 방향으로 당겨 홀더(200)에서 발생될 수 있는 틸트가 최소화될 수 있다.
변형례에서 렌즈구동장치는 제3롤러(630)를 대신하여 볼(650)을 포함할 수 있다. 볼(650)은 제1롤러(610)와 제2롤러(6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볼(650)은 구 형상일 수 있다. 볼(650)은 제1롤러(610)와 제2롤러(620)를 이격시킬 수 있다. 볼(650)은 홀더(200)와는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볼(650)은 베이스(100)의 기둥부(120)의 홈(130)에 배치될 수 있다. 볼(650)은 기둥부(120)의 홈(130)에서 회전은 가능하지만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은 불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변형례에서 2개의 롤러(610, 620) 중간의 볼(650)은 2개의 롤러(610, 620)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지지하지만 홀더(200)와는 접촉을 하지 않으므로 3개의 롤러가 홀더(200)와 접촉하는 비교예와 비교한다면 마찰력이 저감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볼(650)은 제1볼(651)과 제2볼(652)을 포함할 수 있다. 볼(650)은 제1롤러(610)의 일측 단부와 제2롤러(62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1볼(651)과, 제1롤러(610)의 타측 단부와 제2롤러(620)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는 제2볼(652)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례에서 베이스(100)의 기둥부(120)는 볼(650)을 가두는 돌기(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70)는 '턱'일 수 있다. 즉, 볼(650)이 내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베이스(100)에 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턱은 벽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벽체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 수 있다. 볼(650)은 롤러(600) 보다 직경이 클 수 있다. 베이스(100)는 제1롤러(610)의 양단부, 제2롤러(620)의 양단부, 제1볼(651) 및 제2볼(652)이 배치되는 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홈(130)은 제1롤러(610)의 직경(d1)과 제2롤러(620)의 직경(d2) 보다는 크고 제1볼(651)의 직경(d4)과 제2볼(652)의 직경(d4) 보다는 작은 이격 거리(D)를 갖는 부분을 개구된 측에서 포함할 수 있다. 즉, 개구된 부분(오픈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이격 거리(D)는 제1볼(651)과 제2볼(652)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롤러(610)의 직경(d1)과 제2롤러(620)의 직경(d2)은 0.44 ~ 0.47 mm이고 볼(650)의 직경(d4)은 0.49 ~ 0.52 mm일 수 있다. 제1롤러(610)의 직경(d1)과 제2롤러(620)의 직경(d2)은 0.46 mm이고 볼(650)의 직경(d4)은 0.5 mm일 수 있다. 상기 이격 거리(D)는 돌기(170) 사이의 거리일 수 있다. 변형례에서 볼(650)의 직경(d4) 보다 이격 거리(D)가 작기 때문에 볼(650)은 상기 이격 거리(D)의 공간으로 통과하지 못하게 되고 홈(130)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제1롤러(610)와 제2롤러(620)는 서로 이격되는 2개의 볼(650)에 의해 서로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변형례에서 상면 또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제1홈(131)은 제1볼(651)이 내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1볼(651)의 전체 원주길이의 50%를 넘는 원주길이를 감쌀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 200: 홀더
300: 마그네트 400: 코일
500: 기판 600: 롤러
700: 커버 800: 홀센서
900: 플레이트

Claims (12)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롤러의 제1부분이 배치되는 제1홈과, 상기 롤러의 제2부분이 배치되는 제2홈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가 배치되는 제3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제3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3롤러의 직경은 상기 제1롤러의 직경 보다 작은 렌즈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홀더 아래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코너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은 상기 기둥부에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곡면을 포함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의 상기 곡면의 단부는 상기 롤러의 상기 제3부분에 배치되는 렌즈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의 위에 배치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상기 상판에는 아래로 돌출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 사이에 배치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렌즈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센서는 상기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렌즈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상기 마그네트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롤러 유닛과, 상기 마그네트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롤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 유닛과 상기 제2롤러 유닛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3롤러를 포함하는 렌즈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아래에 배치되는 금속의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렌즈구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 각각은 상기 제3롤러와 접촉하고,
    상기 제1롤러의 회전축은 상기 제2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렌즈구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의 직경은 상기 제2롤러의 직경과 같고,
    상기 제1롤러의 직경과 상기 제3롤러의 직경의 차이는 0.05 mm 내지 0.2 mm인 렌즈구동장치.
  9.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
    상기 베이스와 상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제1롤러와 제2롤러; 및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볼을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제1롤러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롤러의 일측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볼과, 상기 제1롤러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제2롤러의 타측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볼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롤러의 상기 일측 단부, 상기 제2롤러의 상기 일측 단부 및 상기 제1볼이 배치되는 제1홈을 포함하는 렌즈구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롤러의 상기 타측 단부, 상기 제2롤러의 상기 타측 단부 및 상기 제2볼이 배치되는 제2홈을 포함하는 렌즈구동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홈은 상기 제1볼이 내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볼의 전체 원주길이의 50%를 넘는 원주길이를 감싸는 렌즈구동장치.
  12. 베이스;
    상기 베이스와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렌즈;
    상기 홀더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코일;
    상기 베이스와 상기 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롤러;
    상기 베이스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기판; 및
    상기 제2기판에 상기 렌즈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는 상기 제1롤러의 직경과 상기 제2롤러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제3롤러 또는 서로 이격되는 2개의 볼에 의해 서로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는 카메라장치.
KR1020180039681A 2018-04-05 2018-04-05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KR102503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681A KR102503859B1 (ko) 2018-04-05 2018-04-05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KR1020230023198A KR20230031864A (ko) 2018-04-05 2023-02-21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681A KR102503859B1 (ko) 2018-04-05 2018-04-05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198A Division KR20230031864A (ko) 2018-04-05 2023-02-21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718A true KR20190116718A (ko) 2019-10-15
KR102503859B1 KR102503859B1 (ko) 2023-02-24

Family

ID=682095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681A KR102503859B1 (ko) 2018-04-05 2018-04-05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KR1020230023198A KR20230031864A (ko) 2018-04-05 2023-02-21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198A KR20230031864A (ko) 2018-04-05 2023-02-21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385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4850A (ja) * 2007-06-11 2008-12-18 Tamron Co Ltd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
KR20100109831A (ko) * 2009-04-01 2010-10-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듈
CN102545527A (zh) * 2010-12-23 2012-07-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音圈马达、采用该音圈马达的相机模组及便携式电子装置
KR20160064941A (ko) * 2014-11-28 2016-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779817B1 (ko) * 2016-07-14 2017-09-19 (주)알비케이이엠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KR20170109767A (ko) * 2016-03-22 2017-10-10 (주)파트론 렌즈 구동 장치
KR20180007841A (ko) * 2016-07-14 2018-01-24 (주)알비케이이엠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4850A (ja) * 2007-06-11 2008-12-18 Tamron Co Ltd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
KR20100109831A (ko) * 2009-04-01 2010-10-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듈
CN102545527A (zh) * 2010-12-23 2012-07-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音圈马达、采用该音圈马达的相机模组及便携式电子装置
KR20160064941A (ko) * 2014-11-28 2016-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70109767A (ko) * 2016-03-22 2017-10-10 (주)파트론 렌즈 구동 장치
KR101779817B1 (ko) * 2016-07-14 2017-09-19 (주)알비케이이엠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KR20180007841A (ko) * 2016-07-14 2018-01-24 (주)알비케이이엠디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864A (ko) 2023-03-07
KR102503859B1 (ko) 202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33447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102586187B1 (ko)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KR20230028344A (ko) 카메라장치, 듀얼 카메라장치 및 트리플 카메라장치
KR20190117217A (ko)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US20240040253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102503859B1 (ko)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KR102614773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장치
KR20220011763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102602757B1 (ko)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KR20190134017A (ko) 렌즈구동장치 및 카메라장치
KR20190139011A (ko) 광학기기
KR20200001400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장치
US20230305362A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102524127B1 (ko) 렌즈구동장치 및 트리플 카메라장치
KR20240044928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20240057273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US20210018718A1 (en) Lens drive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KR20230109082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장치
KR20240043543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20190117215A (ko)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장치
KR20240037779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20230109081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장치
KR20240056339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20240014982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20240043544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