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055A - 단자 밀어붙임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단자 밀어붙임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055A
KR20190116055A KR1020190027012A KR20190027012A KR20190116055A KR 20190116055 A KR20190116055 A KR 20190116055A KR 1020190027012 A KR1020190027012 A KR 1020190027012A KR 20190027012 A KR20190027012 A KR 20190027012A KR 20190116055 A KR20190116055 A KR 20190116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housing
contac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999B1 (ko
Inventor
토시히코 요시자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6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과제) 제1 단자와 제2 단자의 탄성 접촉부의 접촉 시에 제2 단자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제1 커넥터는, 제1 하우징과, 복수의 제1 단자를, 제2 커넥터는, 제2 하우징과, 복수의 제2 단자를 갖는다. 제2 단자는, 제2 하우징의 삽입 공간에 삽입된 제1 단자와 접촉하는 탄성 접촉부를 포함하고, 삽입 공간은, 제1 단자의 삽입 방향과 제2 단자의 단자 배열 방향의 쌍방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탄성 접촉부로부터 이간된 기준면을 갖는다. 탄성 접촉부는, 제1 단자와의 접촉을 통하여 제1 단자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기준면에 접근하는 측으로 밀어붙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은, 기준면에 접근하는 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갖고, 제2 돌출부는 제1 하우징과의 맞닿음을 통하여 제1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복수의 제1 단자를 기준면에 접근하는 측으로 밀어붙인다.

Description

단자 밀어붙임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CONNECTOR HAVING A STRUCTURE OF TERMINAL PUSHING}
본 발명은, 단자 밀어붙임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추가로 말하면,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커넥터끼리를 접속시킬 때에 커넥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에 형성된 돌출부를 이용하여 한쪽의 커넥터의 단자를 다른 한쪽의 커넥터의 소정 부분으로 밀어붙이는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5-185257호에 상기의 구조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 장치는, 서로 접속될 수 있는, 예를 들면 케이블 커넥터와 같은 제1 커넥터와, 예를 들면 기판 커넥터와 같은 제2 커넥터를 구비한다.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접속 시에, 제1 커넥터의 제1 단자는, 제2 커넥터의 제2 단자, 특히 그의 탄성 접촉부와 접촉하여, 하방으로 밀어붙여진다. 제1 단자와 제2 단자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2 커넥터의 제2 하우징에는, 제2 단자의 탄성 접촉부가 밀어붙임 방향과는 역방향, 즉, 상방으로, 환언하면, 기준면의 측으로부터 탄성 접촉부의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제1 커넥터의 제1 하우징에는, 하방으로, 환언하면, 탄성 접촉부의 측으로부터 기준면의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접속 시에는, 제1 하우징에 형성된 돌출부가, 제2 하우징에 형성된 돌출부를 타고 넘어, 이 결과,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서로 로크(lock)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이들 돌출부는, 주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서로 로크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접속 시에, 제1 단자와 제2 단자의 상대 위치는, 제1 하우징의 돌출부와 제2 하우징의 돌출부의 접촉을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추가로 말하면, 제1 단자는, 이들 돌출부의 접촉을 통하여, 상방으로, 즉, 기준면의 측으로부터 탄성 접촉부의 측으로 밀어붙여지게 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는, 상기의 구조를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5-185257호
그런데, 제1 단자가, 제2 단자의 탄성 접촉부와의 접촉을 통하여 밀어붙여지는 방향은, 당해 제1 단자가, 돌출부의 접촉을 통하여 받는 방향과는 역방향이기 때문에, 이 경우, 제2 단자의 탄성 접촉부에는, 제1 단자를 밀어붙이는 방향과는 역방향의, 추가로 말하면, 본래는 예정하고 있지 않은 불필요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고, 이 결과, 제2 단자가 손상, 또는, 열화해 버리는 위험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 장치에서는, 두께 0.2㎜ 이하, 높이 2.0㎜ 이하와 같은 작은 제2 단자의 사용도 상정되고 있는 점에서, 작은 부하라도 제2 단자에 큰 손상을 주어 버리거나, 또는, 스프링성을 열화시켜 버릴 가능성이 높고, 이 때문에, 제2 단자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하여, 제2 단자의 손상이나 열화를 가능한 한 막는 것이 소망된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단자 밀어붙임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커넥터 각각에 포함되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의 탄성 접촉부와의 접촉 시에 제2 단자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고,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삽발에 수반하는 제2 단자의 손상이나 열화를 막을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 장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하우징과, 당해 제1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복수의 제1 단자를 갖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하우징과, 당해 제2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복수의 제2 단자를 갖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기 제1 단자와 접촉하는 탄성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공간은, 당해 삽입 공간에 대한 상기 제1 단자의 삽입 방향과 복수의 상기 제2 단자의 단자 배열 방향의 쌍방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부로부터 이간된 기준면을 갖고, 상기 탄성 접촉부는, 상기 제1 단자와의 접촉을 통하여 당해 제1 단자를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에 접근하는 측으로 밀어붙이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에 접근하는 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갖고, 적어도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탄성 접촉부와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에 접근하는 측으로 밀어붙여지고 있을 때에,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돌출부의 맞닿음을 통하여 상기 제1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복수의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에 접근하는 측으로 밀어붙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서 갖는다.
이 실시 형태의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제1 단자가 탄성 접촉부와의 접촉을 통하여 밀어붙여지는 방향과, 제1 단자를 지지하는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과의 맞닿음을 통하여 밀어붙여지는 방향이 동일한 점에서, 제1 단자와 제2 단자의 탄성 접촉부와의 접촉 시에 제2 단자에 가해지는 힘을 경감시킬 수 있고,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삽발에 수반하는 제2 단자의 손상이나 열화를 막을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에 접근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돌출부를 갖고, 당해 제1 돌출부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와 맞닿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탄성 접촉부와 접촉하는 타이밍과,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2 돌출부와 맞닿는 타이밍이, 거의 동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타이밍을 거의 동시로 함으로써, 제2 단자에 가해지는 부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단자 배열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의 배열의 외측에, 및/또는, 상기 제2 단자의 배열의 중간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은,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될 때에 상기 제1 하우징이 슬라이딩 접촉되는 슬라이딩 접촉면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은, 상기 제2 하우징, 및/또는, 상기 제2 단자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부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기 제1 단자와의 접촉면이, 상기 금속판의 판두께를 형성하는 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판면을 접촉면으로 함으로써, 제2 단자가 작은 경우라도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2 단자는 각각,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탄성 접촉부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금속판의 판면끼리를 대면시킨 상태로 서로 이웃하여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의, 상기 탄성 접촉부와 접촉하는 부위에,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에 접근하는 측으로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단자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탄성 접촉부가 형성된 가동편과, 상기 가동편과 연결된 고정편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가동편은, 대략 L자 형상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된 대략 직선 형상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편과 상기 고정편은 전체적으로 측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U자 형상의 부분을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의, 적어도 상기 탄성 접촉부와 접촉하는 부위는,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어도 좋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단자 밀어붙임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커넥터 장치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커넥터 각각에 포함되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의 탄성 접촉부와의 접촉 시에 제2 단자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고,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삽발에 수반하는 제2 단자의 손상이나 열화를 막을 수 있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케이블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의 감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케이블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의 감합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케이블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케이블 하우징을 저면측으로부터 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기판 커넥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로서, 케이블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의 감합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2의 Ⅱ-Ⅱ선 단면도로서, 케이블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의 감합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2의 Ⅰ-Ⅰ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으로서, 케이블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완전하게 감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2의 Ⅱ-Ⅱ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으로서, 케이블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가 완전하게 감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하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적합한 실시 형태만을 나타내지만, 물론,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커넥터 장치(1)는, 서로 감합(끼워맞춤) 가능한 제1 커넥터로서의 케이블 커넥터와, 제2 커넥터로서의 기판 커넥터의 조(組)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이들 케이블 커넥터(20)와 기판 커넥터(50)의 감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감합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케이블 커넥터(20)는, 케이블(11)의 일단에 고정한 상태로 사용되고, 한편, 기판 커넥터(50)는, 기판(13)에 고정한 상태로 사용된다. 이들 케이블 커넥터(20)와 기판 커넥터(50)는, 각각, 좌우 대칭 형상을 갖는다.
케이블 커넥터(20)는, 주로, 단자 배열 방향(길이 방향) 「γ」로 연장되는 케이블 하우징(21)과, 이 케이블 하우징(21)에 의해 지지된, 단자 배열 방향 「γ」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동(同)형상의 케이블 단자(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단자 배열 방향」에는, 케이블 단자(40)이 일직선 상에 배열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케이블 하우징(21)은, 주로, 단자 배열 방향 「γ」로 연장되는 본체부(29)와, 본체부(29)의 전측, 환언하면, 케이블 커넥터(20)와 기판 커넥터(50)의 감합 방향 「α」에 있어서의 감합측에 형성된 감합 볼록부(22)로 이루어진다. 감합 볼록부(22)에는, 복수의 케이블 단자(40)가, 단자 배열 방향 「γ」를 따라 서로 소정의 피치로 대략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29)는, 예를 들면, 대략 상자 형상체로서, 또한, 감합 볼록부(22)는, 본체부(29)보다도 상하 방향 「β」, 환언하면, 감합 방향 「α」와 단자 배열 방향 「γ」의 쌍방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박육으로서, 또한, 단자 배열 방향 「γ」에 있어서 좁은 폭인 판 형상체로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본체부(29)와 감합 볼록부(22)에 의해, 케이블 하우징(21)은, 전체적으로 측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볼록 형상을 이룬다. 감합 볼록부(22)의 단자 배열 방향 「γ」에 있어서의 좌우 외측면에는 각각, 대략 반원 형상의 돌출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25)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감합 볼록부(22)는, 케이블 커넥터(20)와 기판 커넥터(50)를 감합시킬 때에, 감합 방향(삽입 방향) 「α」를 따라, 기판 커넥터(50)의 기판 하우징(51)에 형성된 삽입 공간(52)에 삽입된다. 이 결과, 케이블 단자(40)의 일부도 또한, 삽입 공간(52)에 삽입된다. 삽입 공간(52)에 삽입되는 감합 볼록부(22)의 상면은, 각 케이블 단자(40)의 배치 위치에 있어서 감합 방향 「α」를 따라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빗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케이블 단자(40)의 상면의 일부는, 빗살의 극간(28)으로부터 케이블 하우징(2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들 노출부 등을 통하여, 각 케이블 단자(40)는, 기판 커넥터(50)측의 단자와 접촉하게 된다.
본체부(29)의 후측에, 복수의 단자 삽통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단자(40)나, 케이블 단자(40)의 일단에 고정된 케이블(11)의 일부는, 이들 각 단자 삽통구(24)를 통하여, 감합 방향 「α」를 따라, 케이블 하우징(21)에 삽입, 설치된다.
도 3의 (a), (b)에, 케이블 단자(4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케이블 단자(40)는 각각, 1매의 금속판을 펀칭하고, 절곡함으로써, 대략 통 형상으로 형상되어 있다. 케이블(40)의, 감합 방향 「α」에 있어서의 후측에는, 케이블(11)의 일단이 수용, 설치되는 개구(45)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11)의 일단을 수용한 상태로 개구(45)를 고정함으로써, 케이블(11)은 거기에 고정된다.
한편, 케이블 단자(40)의, 감합 방향 「α」에 있어서의 전측에는, 상하 방향 「β」에 있어서 서로 이간된 상부 접촉면(47)과 저부 접촉면(46)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단자(40)는, 이들 상부 접촉면(47)과 저부 접촉면(46)의 각각의 면에 있어서, 기판 커넥터(50)의 기판 단자(60)와 접촉할 수 있다.
케이블 단자(40)의 상부 접촉면(47)에, 기판 커넥터(50)의 기판 단자(60)와의 접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기판 단자(60)의 일부가 끼워지는 오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기판 단자(60)와의 접촉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상부 접촉면(47)의 선단에는, 테이퍼(4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단자(40)의 저부 접촉면(46)의 후측에는, 계지편(43)이,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단자(40)는, 이 계지편(43)을 이용하여, 케이블 하우징(21)에 계지된다. 계지편(43)의 더욱 후측에는, 오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4)에는, 케이블 단자(40)를 케이블 하우징(21)의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 케이블 하우징(21)에 형성된 랜스(23)를 걸 수 있다.
도 4에, 케이블 하우징(21)을 저면측으로부터 본 부분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다. 랜스(23)는, 본체부(29)에 의해 외팔보 형상으로 지지된 상태로, 감합 방향 「α」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그의 선단은, 감합 볼록부(22)의, 감합 방향 「α」에 있어서의 중간 부근에 위치한다. 단자 삽통구(24)를 통하여 케이블 하우징(21)에 케이블 단자(40)가 삽입되었을 때, 랜스(23)는, 그의 탄성 작용에 의해, 케이블 단자(40)의 오목부(44)(도 3 참조)에 끼워진다. 이 결과, 케이블 단자(40)는, 케이블 하우징(21)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랜스(23)의 저면(23a)은, 감합 볼록부(22)가 삽입되는, 기판 커넥터(50)의 삽입 공간(52)의 적어도 일부의 면(56)(도 1 참조)에 대응하여 평평한 면을 이루고 있다. 마찬가지로, 감합 볼록부(22)의, 감합 방향 「α」에 있어서의 전측의 적어도 일부의 저면(27)도, 감합 볼록부(22)가 삽입되는, 기판 커넥터(50)의 삽입 공간(52)의 적어도 일부의 면(기준면)(54)(도 1 참조)에 대응하여 평평한 면을 이루고 있다.
도 5에, 기판 커넥터(50)의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 있어서의 단면 위치는, 도 2의 Ⅰ-Ⅰ선에 상당하는 것이라고 생각해도 좋다. 기판 커넥터(50)는, 주로, 단자 배열 방향 「γ」로 연장되는 기판 하우징(51)과, 이 기판 하우징(51)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동형상의 기판 단자(60) 및, 단자 배열 방향 「γ」에 있어서의 기판 하우징(51)의 좌우 외측면에 각각 형성된 보강 금구(12)를 포함한다. 기판 하우징(51)은, 기판 단자(60)나 보강 금구(12)를 통하여 기판(13)(도 1 참조)에 고정된다.
기판 단자(60)를 기판 하우징(51)에 배치하기 위해, 기판 하우징(51)의 후측에, 복수의 단자 삽통구(66)가 형성되어 있다. 각 기판 단자(60)는, 이들 단자 삽통구(66)의 각각을 통하여, 감합 방향 「α」를 따라 기판 하우징(51)에 삽입, 설치되고, 케이블 커넥터(20)의 감합 볼록부(22)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52)에 있어서, 케이블 커넥터(20)의 케이블 단자(40)의 각각에 대응하여 단자 배열 방향 「γ」를 따라 서로 소정의 피치로 대략 일렬로 배치된다.
기판 단자(60)는, 1매의 금속판을 펀칭함으로써,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판 하우징(51)에 있어서, 각각의 금속판의 판면끼리를 단자 배열 방향 「γ」에 있어서 대면시킨 상태로 서로 이웃하여 배열된다. 각 기판 단자(60)는, 지지부(61)와, 지지부(61)에 연결된 탄성 아암부(62) 및, 실장부(63)를 포함한다.
실장부(63)는, 지지부(61)와 탄성 아암부(62)의 연결부 부근에 형성된 부분으로서, 기판 단자(60)를 기판에 납땜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장부(63)를 기판의 소정 부분에 납땜함으로써, 기판 단자(60)를 기판에 고정함과 함께, 기판의 소정 부분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지지부(61)는, 고정편으로서 사용되는 부분으로서, 감합 방향 「α」를 따라 형성된 대략 직선 형상 부분을 포함하고, 실장부(63)와 동일하게 지지부(61)와 탄성 아암부(62)의 연결부 부근에, 기판 하우징(51)에 계지되는 계지 돌출부(61a)를 갖는다. 기판 단자(60)는, 계지 돌출부(61a)를 기판 하우징(51)의 단자 삽통구(66)에 압입함으로써, 기판 하우징(51)에 고정된다.
탄성 아암부(62)는, 가동편으로서 사용되는 부분으로서, 지지부(61)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는 대략 L자 형상 부분을 포함하고, 지지부(61)와 탄성 아암부(62)의 전체에서 측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U자 형상의 부분을 이룬다. 대략 U자의 내부는, 케이블 커넥터(50)의 케이블 단자(40)의 소정 부분, 특히, 그의 상부 접촉면(47)과 저부 접촉면(46)이 삽입되는 삽입 공간(65)을 형성하고 있다. 삽입 공간(65)에 삽입됨으로써, 케이블 단자(40)는 기판 단자(60)와 접촉한다. 케이블 단자(40)와의 전기적인 접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탄성 아암부(62)의 선단에 탄성 접촉부(62a)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접촉부(62a)에 있어서의 케이블 단자(40)와의 접촉면(62b)에는, 금속판의 판두께를 형성하는 면, 즉, 파단면을 사용한다. 접촉면을 파단면으로 함으로써, 기판 단자(60)가 작은 경우라도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케이블 단자(40)와의 접촉 시에, 탄성 접촉부(62a)는, 케이블 단자(40), 예를 들면, 그의 선단의 테이퍼(42)와의 접촉을 통하여 탄성 아암부(62)의 탄성 작용에 의해 상방으로 일단 들어올려지고, 그 후, 케이블 단자(40)의 상부 접촉면(47)에 형성된 오목부(41)에 끼워진다. 탄성 접촉부(62a)를 오목부(41)에 끼워넣음으로써, 기판 단자(60)와 케이블 단자(40)의 접촉을 안정시킬 수 있다. 삽입 공간(52)에는, 탄성 접촉부(62a)의 들어올려짐을 고려하여, 접촉 방지용의 릴리프 공간(57)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공간(52)에는, 감합 방향 「α」와 단자 배열 방향 「γ」의 2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평평한 기준면(슬라이딩 접촉면)(54)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공간(52)에 감합 볼록부(22)가 삽입될 때, 감합 볼록부(22)의 전측의 저면(27)(도 4 참조)은, 이 기준면(54)의 위를 감합 방향 「α」를 따라 슬라이딩 접촉하고, 최종적으로 거기에 올려놓여진다. 감합 볼록부(22)의 저면(27)을 안내하기 위해, 기준면(54)의 전측에는 테이퍼(54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면(54)은, 상하 방향 「β」에 있어서 탄성 접촉부(62a)로부터 이간시킨 상태로, 상하 방향 「β」에 있어서의 하방에 위치지어져 있다. 기준면(54)과 감합 볼록부(22)의 저면(27)은 모두 평평한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감합 볼록부(22)는, 평평한 면끼리를 슬라이딩 접촉시킴으로써, 또한, 최종적으로 기준면(54)에 올려놓여진 상태로, 삽입 공간(52)에 보유지지(保持)되게 된다.
삽입 공간(52)에는, 또한, 삽입 공간(52)에 감합 볼록부(22)가 삽입될 때에, 감합 볼록부(22)의 중간 부근에 형성된 랜스(23)의 저면(23a)(도 4 참조)이 슬라이딩 접촉하여 최종적으로 올려놓여지는 평평한 면(56)이, 감합 방향 「α」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랜스(23)의 저면(23a)을 안내하기 위해, 면(56)의 전측에는 테이퍼(56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56)과 랜스(23)의 저면(23a)은 모두 평평한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랜스(23)는, 평평한 면끼리를 슬라이딩 접촉시킴으로써, 또한, 최종적으로 면(56)에 올려놓여진 상태로, 삽입 공간(52)에 보유지지되게 된다. 또한, 감합 볼록부(22)에 있어서의 저면(27)과 랜스(23)의 저면(23a)의 단차에 대응하여, 기준면(54)은, 면(56)보다도, 상하 방향 「β」에 있어서, 약간 높은 위치에 위치지어져 있다.
삽입 공간(52)의 단자 배열 방향 「γ」에 있어서의 좌우 내측면에, 각각, 감합 볼록부(22)의 돌출부(25)에 대응하여, 대략 반원 형상의 돌출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55)는, 돌출부(25)와는 반대측으로, 환언하면, 상하 방향 「β」에 있어서 기준면(54)에 접근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돌출부(25, 55)의 기능을 설명한다. 도 6, 도 7은, 각각, 도 2의 Ⅰ-Ⅰ선 단면도와 Ⅱ-Ⅱ선 단면도로서, 케이블 커넥터(20)와 기판 커넥터(50)의 감합 후의 상태, 환언하면, 기판 단자(60)의 삽입 공간(65)에 케이블 단자(40)가 삽입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도 8, 도 9는, 각각, 도 2의 Ⅰ-Ⅰ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과 Ⅱ-Ⅱ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이지만, 도 6, 도 7과는 달리, 케이블 커넥터(20)와 기판 커넥터(50)가 완전하게 감합하기 전의 상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하우징(21)의 감합 볼록부(22)가, 기판 하우징(51)의 삽입 공간(52)에 삽입되어, 케이블 단자(40), 특히, 그의 선단에 형성된 테이퍼(42)가, 기판 단자(60)의 탄성 접촉부(62a)와 접촉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단자(40)의 테이퍼(42)가 기판 단자(60)의 탄성 접촉부(62a)와 접촉했을 때, 케이블 단자(40)는, 탄성 접촉부(62a)와의 접촉을 통하여 상하 방향 「β」에 있어서 기준면(54)에 접근하는 측으로 밀어붙여진다. 또한, 케이블 단자(40)가, 탄성 접촉부(62a)와의 접촉을 통하여 상하 방향 「β」에 있어서 기준면(54)에 접근하는 측으로 밀어붙여지고 있을 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 하우징(21)의 돌출부(25)가 기판 하우징(51)의 돌출부(55)와 맞닿고, 이 맞닿음을 통하여, 케이블 하우징(21), 추가로 말하면, 케이블 하우징(21)에 의해 지지된 케이블 단자(40)도 또한, 상하 방향 「β」에 있어서 기준면(54)에 접근하는 측으로 밀어붙여진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케이블 단자(40)가 탄성 접촉부(62a)와의 접촉을 통하여 밀어붙여지는 방향과, 케이블 하우징(21), 추가로 말하면, 케이블 하우징(21)에 의해 지지된 케이블 단자(40)가, 돌출부(25)와 돌출부(55)의 맞닿음을 통하여 밀어붙여지는 방향이 동일한 점에서, 케이블 단자(40)와 탄성 접촉부(62a)의 접촉 시에 기판 단자(60)에 가해지는 힘을 경감시킬 수 있고, 케이블 커넥터와 기판 커넥터의 삽발에 수반하는 기판 단자(60)의 손상이나 열화를 경감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블 단자(40)가 탄성 접촉부(62a)와 접촉하는 타이밍과, 케이블 하우징(21)의 돌출부(25)가 기판 하우징(51)의 돌출부(55)와 맞닿는 타이밍을, 거의 동시로 하고 있고, 이에 따라, 기판 단자(60)에 가해지는 부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단, 이들 타이밍은 반드시 동시로 할 필요는 없다.
케이블 커넥터(20)와 기판 커넥터(50)를 감합시켰을 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단자(60)의 삽입 공간(65)에 케이블 단자(40)가 삽입되고, 이 결과, 기판 단자(60)의 탄성 접촉부(62a)는, 케이블 하우징(21)으로부터 노출시킨, 케이블 단자(40)의 상부 접촉면(47)의 오목부(41)에 끼워진다. 이 결과, 기판 단자(60)와 케이블 단자(40)는, 보다 확실하게 접속된다. 또한, 케이블 단자(40)에 형성된 오목부(41)는, 탄성 접촉부(62a)가 접촉하는 부위에, 상하 방향 「β」에 있어서 기준면(54)에 접근하는 측으로 패인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기판 단자(60)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하는 작용도 갖는다. 또한, 이 오목부(41)는, 케이블 단자(40)의 하부 접촉면(46)이 아니라, 상부 접촉면(47)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케이블 단자(40)와 기판 단자(60), 추가로 말하면, 케이블 단자(40)의 하부 접촉면(46)과 기판 단자(60)의 지지부(61)의 면(61b)의 접촉을 방해하는 일은 없고, 따라서, 오목부를 형성한 경우에도 케이블 단자(40)는 기판 단자(60)의 삽입 공간(65)에 원활하게 삽입되게 된다. 케이블 커넥터(20)와 기판 커넥터(50)를 감합시켰을 때, 케이블 커넥터(20)와 기판 커넥터(50)의 감합 상태, 추가로 말하면, 기판 단자(60)와 케이블 단자(40)의 접속 상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25, 55)에 의해 로크되는 점에서, 케이블 커넥터(20)와 기판 커넥터(50)의 감합 상태를 해제하려면, 돌출부(25)와 돌출부(55)를 간섭시켜, 돌출부(25)가 돌출부(55)를 타고 넘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25, 55)는, 기판 단자(60)에 가해지는 부하를 경감 등 하는 작용을 가질 뿐만 아니라, 로크 기구로서의 기능도 다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외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위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 하우징(51)의 돌출부(55)를, 삽입 공간(52)의 단자 배열 방향 「γ」에 있어서의 좌우 내측면에, 환언하면, 단자 배열 방향 「γ」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기판 단자(60)의 배열의 외측에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었지만, 이들을 기판 단자(60)의 배열의 중간에, 또한, 좌우 내측면에 더하여 중간에, 추가로, 좌우 내측면에는 형성하는 일 없이 중간에만 배치해도 좋다.
또한, 케이블 하우징(21)의 돌출부(25)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고,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고도, 케이블 하우징(21)과 기판 하우징(51)의 돌출부(55)의 맞닿음을 통하여, 케이블 단자(40)가 기준면(54)의 측으로 밀어붙여지면 충분하다. 따라서, 케이블 하우징(21)에는, 기판 하우징(51)의 돌출부(55)와 맞닿는 부분이 존재하면 충분하다.
또한, 위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준면(54)을, 기판 하우징(51)에 형성하고 있었지만, 이를 기판 단자(60), 추가로 말하면, 기판 단자(60)의 지지부(61)에 형성된 평평한 면(61b)(도 5 참조)에 의해, 또한, 이 평평한 면(61b)과 기준면(54)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1 : 커넥터 장치
11 : 케이블
13 : 기판
20 : 케이블 커넥터(제1 커넥터)
21 : 케이블 하우징(제1 하우징)
23 : 랜스
25 : 돌출부
40 : 케이블 단자(제1 단자)
41 : 오목부
50 : 기판 커넥터(제2 커넥터)
51 : 기판 하우징(제2 하우징)
52 : 삽입 공간
54 : 기준면
55 : 돌출부
60 : 기판 단자(제2 단자)
61b : 판면
62 : 탄성 아암부(가동편)
62a : 탄성 접촉부
62b : 판면
63 : 고정부

Claims (13)

  1.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하우징과, 당해 제1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복수의 제1 단자를 갖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하우징과, 당해 제2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복수의 제2 단자를 갖고,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기 제1 단자와 접촉하는 탄성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공간은, 당해 삽입 공간에 대한 상기 제1 단자의 삽입 방향과 복수의 상기 제2 단자의 단자 배열 방향의 쌍방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부로부터 이간된 기준면을 갖고,
    상기 탄성 접촉부는, 상기 제1 단자와의 접촉을 통하여 당해 제1 단자를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에 접근하는 측으로 밀어붙이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에 접근하는 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갖고, 적어도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탄성 접촉부와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에 접근하는 측으로 밀어붙여지고 있을 때에,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된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돌출부의 맞닿음을 통하여 상기 제1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 복수의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에 접근하는 측으로 밀어붙여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에 접근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1 돌출부를 갖고, 당해 제1 돌출부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와 맞닿는, 커넥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탄성 접촉부와 접촉하는 타이밍과,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제2 돌출부와 맞닿는 타이밍이, 거의 동시인, 커넥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단자 배열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의 배열의 외측 및 상기 제2 단자의 배열의 중간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은,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될 때에 상기 제1 하우징이 슬라이딩 접촉되는 슬라이딩 접촉면인, 커넥터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은,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단자의 어느 일방 또는 양방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부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접촉부의, 상기 제1 단자와의 접촉면이, 상기 금속판의 판두께를 형성하는 면인, 커넥터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2 단자는 각각,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탄성 접촉부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금속판의 판면끼리를 대면시킨 상태로 서로 이웃하여 배열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의, 상기 탄성 접촉부와 접촉하는 부위에, 상기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에 접근하는 측으로 패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탄성 접촉부가 형성된 가동편과, 상기 가동편과 연결된 고정편을 포함하는, 커넥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편은, 대략 L자 형상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된 대략 직선 형상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편과 상기 고정편은 전체적으로 측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U자 형상의 부분을 갖는, 커넥터 장치.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의, 적어도 상기 탄성 접촉부와 접촉하는 부위는,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케이블 커넥터, 상기 제2 커넥터는, 기판 커넥터인, 커넥터 장치.
KR1020190027012A 2018-04-03 2019-03-08 단자 밀어붙임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2468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71429A JP7068896B2 (ja) 2018-04-03 2018-04-03 端子押し付け構造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JPJP-P-2018-071429 2018-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055A true KR20190116055A (ko) 2019-10-14
KR102468999B1 KR102468999B1 (ko) 2022-11-18

Family

ID=68171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012A KR102468999B1 (ko) 2018-04-03 2019-03-08 단자 밀어붙임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68896B2 (ko)
KR (1) KR102468999B1 (ko)
CN (1) CN110364893B (ko)
TW (1) TWI8026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78896A (ja) * 2021-05-21 2022-12-0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端子、電線コネクタ及び電線対基板コネクタ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2050A (ja) * 1996-02-23 1997-09-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US5810619A (en) * 1996-03-14 1998-09-22 Yazaki Corporation Double lock connector with flexible lance on spacer
WO2003015221A1 (en) * 2001-08-07 2003-02-20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CN101283485A (zh) * 2005-10-06 2008-10-08 第一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JP2012033347A (ja) * 2010-07-29 2012-02-16 Jst Mfg Co Ltd ベース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コネクタユニット
JP2012178383A (ja) * 2011-02-25 2012-09-13 Yazaki Corp 回路体及びコネクタ構造
CN104067450A (zh) * 2012-01-20 2014-09-24 矢崎总业株式会社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2015185257A (ja) 2014-03-20 2015-10-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の嵌合状態の確認が容易な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2729A (ja) * 1998-12-17 2000-06-3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低挿抜コネクタ
JP4530425B2 (ja) * 2008-01-25 2010-08-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ジャック型コネクタ
JP5301351B2 (ja) * 2009-05-20 2013-09-2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線対基板コネクタ及び電線コネクタ
JP4374074B1 (ja) * 2009-06-10 2009-12-0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4996705B2 (ja) * 2010-02-26 2012-08-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TWM493787U (zh) * 2014-05-12 2015-01-11 Tarng Yu Entpr Co Ltd 線纜連接器組合及其按壓蓋板
JP6643154B2 (ja) * 2016-03-10 2020-02-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258420B1 (ja) * 2016-07-25 2018-01-1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2050A (ja) * 1996-02-23 1997-09-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用コネクタ
CN1165415A (zh) * 1996-02-23 1997-11-19 住友电装株式会社 用于软性电路板的接插件
US5810619A (en) * 1996-03-14 1998-09-22 Yazaki Corporation Double lock connector with flexible lance on spacer
WO2003015221A1 (en) * 2001-08-07 2003-02-20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CN101283485A (zh) * 2005-10-06 2008-10-08 第一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JP2012033347A (ja) * 2010-07-29 2012-02-16 Jst Mfg Co Ltd ベース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コネクタユニット
JP2012178383A (ja) * 2011-02-25 2012-09-13 Yazaki Corp 回路体及びコネクタ構造
CN104067450A (zh) * 2012-01-20 2014-09-24 矢崎总业株式会社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JP2015185257A (ja) 2014-03-20 2015-10-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の嵌合状態の確認が容易な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85875A (ja) 2019-10-24
CN110364893A (zh) 2019-10-22
KR102468999B1 (ko) 2022-11-18
TW201943154A (zh) 2019-11-01
JP7068896B2 (ja) 2022-05-17
CN110364893B (zh) 2022-03-22
TWI802639B (zh) 202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0990B1 (en) Electric connector
EP2690713A1 (en) Wire-to-board connector
KR101701180B1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TWI496357B (zh) 電連接器
KR101655207B1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US20190229438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supports
US10374337B2 (en) Terminal block
KR20130058601A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EP3190667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EP3407428B1 (en) Metal leaf spr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EP2846411A1 (en) Contact, connector, and connecting device
US20150050820A1 (en) Wire-to-board connector
CN112652902B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US6843688B2 (en) Connector in which movement of contact portion of contact is guided by insulator
JP2019021542A (ja) コネクタ
CN111987521B (zh) 用于插头的包括显示单元的壳体
KR20190116055A (ko) 단자 밀어붙임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JP2016012567A (ja) 金具付電気コネクタ
JP6546973B2 (ja) 平型導体用コネクタ
US20070042629A1 (en) Latch for connector
JP2024041368A (ja) 補強部材、及び、補強部材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JP2013131351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