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6031A - 임플란트 검사 장치 및 임플란트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검사 장치 및 임플란트 검사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6031A
KR20190116031A KR1020180095293A KR20180095293A KR20190116031A KR 20190116031 A KR20190116031 A KR 20190116031A KR 1020180095293 A KR1020180095293 A KR 1020180095293A KR 20180095293 A KR20180095293 A KR 20180095293A KR 20190116031 A KR20190116031 A KR 20190116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inspection
fastening
target impla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971B1 (ko
Inventor
박태성
이남식
Original Assignee
(주)두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드림 filed Critical (주)두드림
Publication of KR20190116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14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xam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osthes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임플란트(Implant) 검사 장치는 복수의 임플란트를 대기시키는 버퍼부, 상기 버퍼부에 대기 중인 복수의 임플란트 중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픽업하고,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체결 검사 영역으로 이송하는 제 1 이송부, 상기 제 1 이송부가 상기 체결 검사 영역에서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나사부에 대한 체결 기능을 검사하는 체결 검사부, 내부 검사 영역에서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내부 치수를 검사하는 내부 검사부 및 검사를 마친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임플란트 검사 장치 및 임플란트 검사 방법{IMPLANT INSPECTION APPARATUS AND IMPLANT INSPECTION METHOD}
본 발명은 임플란트 검사 장치 및 임플란트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Implant)는 상실된 치아를 대신할 수 있는 인공치아를 식립하는 시술을 말한다.
도 1은 임플란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매입되어 치근 역할을 하는 매식체(Fixture, 101), 매식체에 연결되고 보철물(105)에 가해진 힘을 매식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지대주(Abutment, 103) 및 지대주(103)에 연결되고 치아형태를 가진 보철물(105)를 포함한다.
도 2는 매식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매식체(101)는 치조골에 매입되기 위한 나사부(201) 및 지대주(103)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03)을 포함한다.
매식체(101)와 지대주(103)의 연결 방식으로서, 내부형(Internal type) 연결 방식의 경우, 매식체(101)의 연결부(203)는 다각형(예컨대, 육각형 또는 팔각형)의 홈을 가지고, 지대주(103)의 다각형의 돌기와 결합된다.
외부형(External type) 연결 방식의 경우에는 매식체(101)의 연결부(203)는 다각형의 돌기를 가지고, 연결부(203)의 다각형의 돌기는 지대주(103)의 다각형의 홈에 결합된다. 도 2에서는 내부형만을 도시하였다.
임플란트가 제조되면 임플란트의 검사 과정을 거치게 된다. 매식체(101)의 경우, 매식체(101)의 전장, 연결부(203)의 다각형의 홈의 사이즈와 깊이 또는 다각형의 돌기의 사이즈와 높이, 머리 부분의 지름, 몸통 부분의 지름 및 나사부(201)의 나사산의 수와 피치를 검사하게 된다.
종래의 경우, 임플란트가 제조되면 현미경(육안) 검사와 체결(기능) 검사가 수작업으로 진행되므로 검사의 신뢰성이 매우 낮고,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등록특허 10-159214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임플란트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임플란트 검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임플란트(Implant) 검사 장치가 복수의 임플란트를 대기시키는 버퍼부, 상기 버퍼부에 대기 중인 복수의 임플란트 중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픽업하고,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체결 검사 영역으로 이송하는 제 1 이송부, 상기 제 1 이송부가 상기 체결 검사 영역에서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나사부에 대한 체결 기능을 검사하는 체결 검사부, 내부 검사 영역에서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내부 치수를 검사하는 내부 검사부 및 검사를 마친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임플란트(Implant) 검사 장치에서 수행되는 임플란트 검사 방법이 복수의 임플란트를 대기시키는 단계, 상기 버퍼부에 대기 중인 복수의 임플란트 중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픽업하고,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체결 검사 영역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송부가 상기 체결 검사 영역에서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나사부에 대한 체결 기능을 검사하는 단계, 내부 검사 영역에서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내부 치수를 검사하는 단계 및 검사를 마친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임플란트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임플란트 검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임플란트 검사 장치를 통해 임플란트를 검사함으로써, 검사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검사 장치를 통해 임플란트를 검사함으로써,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임플란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픽스추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검사 항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검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얼라인 검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 검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검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검사 항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임플란트가 제조되면 검사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기능 검사, 치수 검사, 외관 검사가 수행된다.
기능 검사 과정에서는 위해 내부 나사산(⑤)이 검사되고, 치수 검사 과정에서는 내부 HEX 폭(①), 지대주의 체결 내경(②), 임플란트의 외경(③) 및 임플란트의 전장(④)이 검사된다.
또한, 외관 검사 과정에서는 외부 나나산의 찍힘, 내경 찍힘(①)이 검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검사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검사 장치(1)는 임플란트 예를 들어, 임플란트의 매식체(Fixture)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와 달리, 임플란트 검사 장치(1)는 임플란트의 지대주(Abutment)를 검사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언급하는 임플란트는 매식체 또는 지대주를 의미한다. 이때, 매식체는 내부형 및 외부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임플란트 검사 장치(1)는 버퍼부(10), 제 1 이송부(20), 얼라인 검사부(30), 체결 검사부(40), 제 1 배출부(50), 내부 검사부(60), 제 2 배출부(70) 및 제어부(80)을 포함한다.
버퍼부(10)는 복수의 임플란트를 대기시킨다. 버퍼부(10)는 복수의 임플란트가 안착되는 전동 테이블로 구성되고, 전동 테이블은 전진 및 후진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전동 테이블 상의 복수의 임플란트를 고르게 배치한다.
복수의 임플란트가 전동 테이블 상에 고르게 배치됨으로써, 후술하는 제 1 이송부(20)가 임플란트를 쉽게 픽업할 수 있다.
버퍼부(10)의 상부에는 버퍼부(10)에 대기 중인 임플란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비전 카메라(11)가 배치된다.
제 1 이송부(20)는 비전 카메라(11)의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버퍼부(10)에 대기 중인 복수의 임플란트 중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픽업하고,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체결 검사 영역으로 이송한다.
이러한 제 1 이송부(20)는 델타 로봇(Delta Robot) 또는 스카라 로봇(Scara Robot)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이송부(20)는 체결 검사 영역에서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파지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때, 후술하는 얼라인 검사 및 체결 검사가 수행된다.
임플란트 예를 들어, 매식체는 나사부(201)를 포함하는데(도 2 참조), 이러한 나사부의 나사산은 일정한 수, 피치 또는 형상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체결 기구를 임플란트의 나사부에 직접 체결하여 체결 회전수를 측정함으로써 나사부의 나사산의 수, 피치 또는 형상을 검사한다.
이때, 체결 기구와 임플란트의 나사부가 정확히 체결되기 위해서는 체결 기구와 임플란트의 중심축이 일치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얼라인 검사부(30)가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중심축의 배열을 검사하여 체결 기구와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중심축을 일치시킨다.
구체적으로, 얼라인 검사부(30)는 제 1 이송부(20)가 체결 검사 영역에서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파지한 상태에서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중심축의 배열을 검사한다.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얼라인 검사부(30)는 서로 90°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며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제 1 방향에서 촬영하는 제 1 얼라인 카메라(31) 및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에서 촬영하는 제 2 얼라인 카메라(32)를 포함한다.
여기서,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중심축은 검사 대상 임플란트가 제 1 이송부(20)에 의해 도 2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서 있을 때,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중심을 관통하는 축을 의미한다.
제 1 얼라인 카메라(31)는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제 1 방향에서 촬영하여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중심축의 제 2 방향, 예를 들어 좌우 방향(제 1 방향을 기준으로 함)으로의 배열을 검사한다.
제 2 얼라인 카메라(32)는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제 2 방향에서 촬영하여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중심축의 제 1 방향, 예를 들어 전후 방향(제 1 방향을 기준으로 함)으로의 배열을 검사한다.
이때, 제 1 이송부(20)는 제 1 얼라인 카메라(31)의 촬영 이미지 및 제 2 얼라인 카메라(32)의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중심축의 제 1 방향으로의 배열 및 제 2 방향으로의 배열을 정렬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0)는 제 1 얼라인 카메라(31) 및 제 2 얼라인 카메라(32) 각각으로부터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고, 제 1 얼라인 카메라(31)의 촬영 이미지로부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중심축의 제 2 방향으로의 틀어짐 정도를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80)는 제 2 얼라인 카메라(32)의 촬영 이미지로부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중심축의 제 1 방향으로의 틀어짐 정도를 산출한다.
이후, 제어부(80)는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중심축의 제 1 방향으로의 틀어짐 정도와 제 2 방향으로의 틀어짐 정도에 기초하여 제 1 이송부(2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80)는 제 1 얼라인 카메라(31) 및 제 2 얼라인 카메라(32)의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외관 검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80)는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임플란트의 외경(③) 및 임플란트의 전장(④)(도 3 참조)을 검사하여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혼입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외관 검사 결과 검사 대상 임플란트가 불량이거나 혼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 1 이송부(20)는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제 1 배출부(50)로 배출시킨다.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중심축의 배열이 정렬된 후,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체결 검사가 수행된다.
체결 검사부(40)는 제 1 이송부(20)가 체결 검사 영역에서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파지한 상태에서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나사부에 대한 체결 회전수를 검사한다.
구체적으로, 체결 검사부(40)는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나사부와 체결되는 측정 게이지(미도시)를 가지는 체결 기구(41) 및 체결 기구(41)를 체결 검사 영역으로부터 내부 검사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 기구(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측정 게이지는, 예를 들어 나사산 고노 게이지로서, 나사부의 외부 나사산(도 3 참조)과 직접 체결된다.
예를 들어, 체결 기구(41)는 토크 모터(torque motor)를 통해 제 1 이송부(20)에 의해 파지된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나사부와 체결하여 체결 회전수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체결 검사 과정에서 일정한 토크로 나사부와 지대주에 해당하는 체결 기구(41)를 결합 및 회전시켜 기능적인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규격화된 일정한 토크로 정해진 회전수를 완료했을 때 임플란트로서의 기능상 문제점이 없다고 판단된다.
이때, 제어부(80)는 체결 기구(41)로부터 체결 회전수를 전송받고, 체결 회전수가 기설정된 범위(예컨대, 6회 내지 7회)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나사부의 양품 여부를 결정한다.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나사부가 양품인 경우, 제 1 이송부(20)는 다른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검사를 위해 버퍼부(10)로 이동한다.
한편,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나사부가 불량인 경우, 제 1 이송부(20)는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제 1 배출부(50)로 배출시킨다.
이때, 체결 기구(41)와 체결된 검사 대상 임플란트는 제 1 이동 기구(42)에 의해 내부 검사 영역으로 이동되어 내부 검사가 수행된다.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내부 검사부(60)는 내부 검사 영역에서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내부 치수를 검사한다. 이를 위해, 내부 검사부(60)는 체결 기구(41)로부터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픽업하는 제 2 이송부(61), 검사 대상 임플란트가 안착되는 투명 테이블(63), 투명 테이블(63)의 하부에 위치하고, 투명 테이블(63)의 하부에서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내부를 촬영하는 비전 카메라(64) 및 제 2 이송부(61)를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픽업 위치로부터 투명 테이블(63) 상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 2 이동 기구(6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2 이송부(61)는 픽업 위치에서 체결 기구(41)에 의해 체결된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수취한다. 여기서, 제 2 이송부(61)는 에어 척 타입(Air Chuck Type)의 서보 척(Servo Chuck)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이송부(61)가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수취한 상태로 체결 기구(41)는 검사 대상 임플란트와의 체결을 풀고 체결 검사 영역으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제 2 이송부(61)는 제 2 이동 기구(62)에 의해 투명 테이블(63) 상의 위치로 이동된다.
투명 테이블(63)은 투명한 재질 예를 들어 유리(Glass)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이송부(61)는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내부가 투명 테이블(63)을 향하도록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회전시키고, 회전된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투명 테이블(63)에 안착시킨다.
구체적으로, 제 2 이송부(61)가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픽업할 때, 검사 대상 임플란트는 나사부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수취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이송부(61)는 나사부가 위쪽을 향하도록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180°회전시킨다.
이때,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연결부(203)(도 2 참조)가 아래쪽을 향하게 된다.
비전 카메라(64)는 투명 테이블(63)에 안착된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내부를 촬영한다.
이때, 제어부(80)는 비전 카메라(64)의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고,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내부 치수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80)는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내부 HEX 폭(①), 지대주의 체결 내경(②)(도 3 참조)을 검사한다.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내경 검사를 마친 후, 검사 대상 임플란트는 제 2 배출부(70)를 통해 임플란트 검사 장치(1)의 외부로 배출된다.
제 2 배출부(70)는 투명 테이블(63)에 안착된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픽업하는 제 3 이송부(71), 제 3 이송부(71)를 이동시키는 제 3 이동 기구(72), 양품의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배출하는 제 1 트레이(73) 및 불량의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배출하는 제 2 트레이(7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3 이송부(71)는 예를 들어, 에어 척 타입(Air Chuck Type)의 서보 척(Servo Chuck)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이송부(71)는 투명 테이블(63)에 안착된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픽업한 후, 제어부(80)의 내부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제 1 트레이(73) 또는 제 2 트레이(74)로 배출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검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검사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임플란트 검사 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수행되는 임플란트 검사 방법에도 적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00에서 복수의 임플란트가 대기된다. 단계 S710에서 버퍼부에 대기 중인 복수의 임플란트 중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픽업하고,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체결 검사 영역으로 이송된다.
단계 S720에서 제 1 이송부가 체결 검사 영역에서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파지한 상태에서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나사부에 대한 체결 회전수가 검사된다.
단계 S730에서 내부 검사 영역에서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내부 치수가 검사된다.
단계 S740에서 검사를 마친 검사 대상 임플란트가 배출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버퍼부
11: 비전 카메라
20: 제 1 이송부
30: 얼라인 검사부
31: 제 1 얼라인 카메라
32: 제 2 얼라인 카메라
40: 체결 검사부
41: 체결 기구
42: 제 1 이동 기구
50: 제 1 배출부
60: 내부 검사부
61: 제 2 이송부
62: 제 2 이동 기구
63: 투명 테이블
64: 비전 카메라
70: 제 2 배출부
71: 제 3 이송부
72: 제 3 이동 기구
73: 제 1 트레이
74: 제 2 트레이
80: 제어부

Claims (14)

  1. 임플란트(Implant) 검사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임플란트를 대기시키는 버퍼부;
    상기 버퍼부에 대기 중인 복수의 임플란트 중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픽업하고,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체결 검사 영역으로 이송하는 제 1 이송부;
    상기 제 1 이송부가 상기 체결 검사 영역에서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나사부에 대한 체결 기능을 검사하는 체결 검사부;
    내부 검사 영역에서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내부 치수를 검사하는 내부 검사부; 및
    검사를 마친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배출하는 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인, 임플란트 검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부가 상기 체결 검사 영역에서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중심축의 배열을 검사하는 얼라인 검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임플란트 검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검사부는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제 1 방향에서 촬영하는 제 1 얼라인 카메라; 및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에서 촬영하는 제 2 얼라인 카메라
    를 포함하는 것인, 임플란트 검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얼라인 카메라와 상기 제 2 얼라인 카메라는 상기 제 1 이송부에 의해 파지된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기준으로 서로 90°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것인, 임플란트 검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부는 상기 제 1 얼라인 카메라의 촬영 이미지 및 상기 제 2 얼라인 카메라의 촬영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중심축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배열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배열을 정렬하는 것인, 임플란트 검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검사부는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나사부와 체결되는 측정 게이지를 가지는 체결 기구; 및
    상기 체결 기구를 상기 체결 검사 영역으로부터 상기 내부 검사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제 1 이동 기구를 가지는 것인, 임플란트 검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검사부는 상기 체결 기구로부터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픽업하는 제 2 이송부;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가 안착되는 투명 테이블; 및
    상기 투명 테이블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투명 테이블의 하부에서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내부를 촬영하는 비전 카메라
    를 포함하는 것인, 임플란트 검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검사부는 상기 제 2 이송부를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픽업 위치로부터 상기 투명 테이블 상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 2 이동 기구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임플란트 검사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송부는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내부가 상기 투명 테이블을 향하도록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된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상기 투명 테이블 상에 안착시키는 것인, 임플란트 검사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검사부로부터 체결 회전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나사부의 양품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비전 카메라로부터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내부의 촬영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내부 치수를 측정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임플란트 검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나사부의 정상 여부 및 상기 내부 치수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양품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임플란트 검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양품의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배출하는 제 1 트레이; 및
    불량의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배출하는 제 2 트레이
    를 포함하는 것인, 임플란트 검사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임플란트는 매식체(Fixture)인 것인, 임플란트 검사 장치.
  14. 임플란트(Implant) 검사 장치에서 수행되는 임플란트 검사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임플란트를 대기시키는 단계;
    상기 버퍼부에 대기 중인 복수의 임플란트 중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픽업하고,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체결 검사 영역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송부가 상기 체결 검사 영역에서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나사부에 대한 체결 기능을 검사하는 단계;
    내부 검사 영역에서 상기 검사 대상 임플란트의 내부 치수를 검사하는 단계; 및
    검사를 마친 검사 대상 임플란트를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임플란트 검사 방법.
KR1020180095293A 2018-03-27 2018-08-16 임플란트 검사 장치 및 임플란트 검사 방법 KR102048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395 2018-03-27
KR20180035395 2018-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031A true KR20190116031A (ko) 2019-10-14
KR102048971B1 KR102048971B1 (ko) 2019-11-27

Family

ID=68171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293A KR102048971B1 (ko) 2018-03-27 2018-08-16 임플란트 검사 장치 및 임플란트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9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400A (ko) * 2020-08-18 2022-02-25 (주)헤리바이오 임플란트 검색 및 자동 식별을 수행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6560A (ko) 2022-07-29 2024-02-06 주식회사 티에스아이코리아 컴팩트한 임플란트 검사장치
KR20240016562A (ko) 2022-07-29 2024-02-06 주식회사 티에스아이코리아 임플란트 검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8146A (ja) * 1999-11-16 2001-05-22 Sugiura Seisakusho Co Ltd 雄ねじ部材と雌ねじ部材との噛み合わせ状態検査装置
JP2001343204A (ja) * 2000-06-01 2001-12-14 Honda Motor Co Ltd 雄ネジ部の自動検査方法及び自動検査装置
KR20090094508A (ko) * 2008-03-03 2009-09-08 주식회사 에프엔텍 나사산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KR20090128991A (ko) * 2008-06-12 2009-12-16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비전검사장비의 비전검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8146A (ja) * 1999-11-16 2001-05-22 Sugiura Seisakusho Co Ltd 雄ねじ部材と雌ねじ部材との噛み合わせ状態検査装置
JP2001343204A (ja) * 2000-06-01 2001-12-14 Honda Motor Co Ltd 雄ネジ部の自動検査方法及び自動検査装置
KR20090094508A (ko) * 2008-03-03 2009-09-08 주식회사 에프엔텍 나사산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KR20090128991A (ko) * 2008-06-12 2009-12-16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비전검사장비의 비전검사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기사 ‘불량품 검사, 눈·손 대신 로봇이 척척’(2017.07.30.) http://www.mk.co.kr/news/print/2017/51085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400A (ko) * 2020-08-18 2022-02-25 (주)헤리바이오 임플란트 검색 및 자동 식별을 수행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971B1 (ko)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971B1 (ko) 임플란트 검사 장치 및 임플란트 검사 방법
US8089622B2 (en) Device and method for evaluating defects in the edge area of a wafer and use of the device in inspection system for wafers
KR101665644B1 (ko) 차량용 와이어링 하네스 커넥터 단자 검사 시스템 및 방법
TWI671826B (zh) 黏晶裝置及半導體裝置的製造方法
US7764366B2 (en) Robotic die sorter with optical inspection system
US10942131B2 (en) Inspection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CN110581096B (zh) 一种led芯片光电性与外观一体化检测设备
TW201110363A (en) Method for detecting flaws in a thin wafer for a solar element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TW201715221A (zh) 運用多軸機臂的光學檢查設備
KR101997803B1 (ko) 임플란트 검사 장치
JP2020004879A (ja) 試料位置決め装置
EP1109215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lder bump inspection
KR101675467B1 (ko) 비전 검사 장치
CN110068285B (zh) 一种标准件尺寸检测系统
CN217156336U (zh) 一种边缘检测设备以及设备前端模块
US20180176549A1 (en) Multi-view-angle image capturing device and multi-view-angle image insp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330028B1 (ko) 리클라이너 조립 장치 및 방법
US20080152211A1 (en) Rotating prism component inspection system
JP7437987B2 (ja) ダイ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2666407B1 (ko) 임플란트 검사 장치 및 임플란트 검사 방법
CN113118053A (zh) 零部件筛选装置和零部件筛选方法
TWI610074B (zh) 曲面待測物表面瑕疵檢測系統
KR101347553B1 (ko) 솔레노이드 밸브 홀더의 자동 검사 방법
JP4981703B2 (ja) 外観検査装置および外観検査方法
JP3646297B2 (ja) 結晶体の自動選別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