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395A -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395A
KR20190115395A KR1020180087298A KR20180087298A KR20190115395A KR 20190115395 A KR20190115395 A KR 20190115395A KR 1020180087298 A KR1020180087298 A KR 1020180087298A KR 20180087298 A KR20180087298 A KR 20180087298A KR 20190115395 A KR20190115395 A KR 20190115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handle
lif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9335B1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PCT/KR2019/00347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94447A1/en
Publication of KR20190115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핸들과 상기 핸들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사이에 설치되는 감속기어부를 포함한 시스템을 최대한 단순하게 구성하여, 필요한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고, 동력 전달 과정에서의 고장의 원인을 줄일 수 있는 차량 도어 핸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히든 핸들과 전동식 래치를 케이블로 연결하고 히든 핸들이 인출 및 인입될 때 이동되는 것을 이용해서 전동식 래치의 전기적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 및 그 방법{Vehicle Door Handel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E-latch}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식 래치의 전기적인 오작동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도어의 내부 및 외부에는 도어의 록(lock) 및 언록(unlock), 도어 오픈(open) 및 클로즈(close) 작동을 수행하는 도어 래치(door latch), 도어 오픈 조작을 위한 인사이드 핸들과 아웃사이드 핸들, 키(key) 또는 버튼을 이용한 도어 록 및 언록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록 기구, 그리고 도어 록 상태를 수동조작하기 위한 세이프티 노브(safety knob)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도어록 기구의 키 실린더(도 2에서 도면부호 4)에 차량 키를 삽입하고 키를 회전시킬 때, 그 회전력이 기계적 및 회로적인 연결구조에 의해 도어 래치에 전달되어 도어 록 및 언록 작동이 이루어진다.
또는 리모컨(포브(fob) 키)의 버튼 조작으로 도어 록 및 언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PIC(Personal Identification Card)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에서는 운전자가 스마트키를 소지한 상태에서 차량에 접근할 경우 도어 래치에 의한 도어 록이 해제되어 운전자가 도어를 바로 오픈시킬 수 있다.
또는 스마트키를 소지한 상태에서 아웃사이드 핸들의 버튼을 눌러 도어 록을 해제한 뒤 아웃사이드 핸들을 당겨서 도어를 오픈시킨다.
또한, 도어 래치에 의한 도어 록이 해제된 상태, 즉 도어 언록 상태에서 아웃사이드 핸들을 조작할 경우 아웃사이드 핸들과 도어 래치 사이에 연결된 케이블(또는 로드)을 통해 핸들의 조작력이 도어 래치로 전달되어 도어 래치의 도어오픈 작동(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의 구속을 해제하는 작동)이 이루어지고, 이에 사용자가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게 된다.
도어 언록 상태에서 도어 오픈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아웃사이드 핸들과 도어 래치 간의 기계적 연결 구조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적 사항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아웃사이드 핸들로서 전동식 히든 핸들이 적용된 경우 핸들을 회전 작동시키는 모터가 구비되는데, 핸들 측의 모터는 핸들을 도어 해제시에만 조작될 수 있도록 도어 패널 외측으로 인출시키거나, 사용하지 않을 경우 인출되지 않도록 도어패널 내측으로 수납시키기 위한 것으로, 잠금시에는 핸들을 도어 패널로부터 인출되지 않도록 위치시킨다.
리모컨을 언록 조작하거나 스마트키를 소지한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면 모터를 구동시켜 핸들을 당김 조작 가능하게 도어 패널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도 1은 본 특허의 전동식 히든 핸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핸들(2)이 도어 패널(1)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인입된 상태를, (b)는 핸들(2)이 당김 조작 가능하게 도어 패널(1)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를, (c)는 사용자가 핸들(2)을 당김 조작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이 도어 패널(1)의 장착부 내측으로 인입되어 도어 패널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다가, 핸들(2)이 미도시된 내부 모터(3)에 의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어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도어 패널(1) 외측으로 인출된다.
종래의 전동식 히든 핸들과 도어 래치 구조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7820호'에 제시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종래의 전동식 히든 핸들과 도어 래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핸들(2)이 모터(3)에 의해 수납된 상태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핸들(2)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모터(3)가 작동하여 핸들(2)을 당김 조작 가능하게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전동식 히든 핸들이 적용된 경우에도 도어록 기구의 키 홀에 차량 키를 삽입하고 키를 회전시킬 때 그 회전력이 도어 래치(5)에 전달되어 도어 록 및 언록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리모컨(미도시)의 버튼을 조작하거나 스마트키를 소지한 상태에서 차량에 접근할 경우 도어 래치(5) 내부의 모터를 포함하는 전동 액추에이터(6)에 의해 도어 록/언록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도어 록과 언록 작동은 도어 래치 또한 자체 액추에이터(6)를 가지고 있으므로 핸들의 인출과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핸들(2)과 도어 래치(5)는 케이블(7)을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배선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7)은 도어 오픈작동을 위해 이용된다.
즉, 핸들(2) 측 모터(3)에 의해 핸들이 인출 되었을 때, 도어 언록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을 당겨주게 되면, 핸들의 조작력이 케이블(7)을 통해 도어 래치(5)로 전달되고, 이로써 케이블(7)에 의해 연결된 도어 래치(5)가 작동하여 도어를 오픈시키게 된다.
이러한 핸들(2)을 인출시키기 위한 모터(3)에는 감속기어가 연결되어 감속기어가 모터(3)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또한, 상기 감속기어는 핸들을 인출하는 시스템에 동력을 전달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핸들을 인출하는 시스템 및 감속기어의 구조가 복잡하여 부품수가 증가하거나 고장이 잦은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7820호'의 일 실시예의 핸들 구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가 작동하면 모터에 설치된 웜기어가 돌아간다. 웜기어는 윔기어에 맞물려있는 회전기어에 동력을 전달한다. 회전기어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부재가 구동부재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일단은 힌지축에 힌지 결합되어 구동부재와 연결되고 타단은 핸들에 힌지 결합된 구동암이 구동부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핸들에 동력을 전달한다.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핸들이 인입 또는 인출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7820호의 [0038],[0044] 문단 참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7820호'의 일 실시예는 다수의 힌지 결합으로 인해, 힌지가 마모될 경우 결합력이 약해져 고장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7820호'의 다른 실시예의 핸들 구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가 작동하면 모터에 설치된 기어장치에 동력이 전달된다. 기어장치는 구동축에 동력을 전달한다. 구동축의 상단부에는 제1구동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구동축의 하단부에는 제2구동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제1구동부재와 제2구동부재가 회전한다. 제1구동부재와 제2구동부재의 캠면에 접촉하며, 제1구동암의 일단과 제2구동암 일단에 각각 형성되는 돌기는 제1구동부재와 제2구동부재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을 중심으로 가이드홀을 따라 각각 외측으로 이동한다. 돌기가 이동함에 따라 제1구동부재와 제2구동부재는 각각 돌기를 중심축으로 회전한다. 제1구동부재의 타단과 제2구동부재의 타단에 각각 힌지 결합으로 연결된 핸들은 제1구동부재와 제2구동부재의 회전에 의해 인입 또는 인출 된다. 이때, 제1구동부재가 돌기와 캠면을 접하고 있을 때 돌기는 제1구동부재의 걸림홈에 들어가 있고, 제2구동부재가 돌기와 캠면을 접하고 있을 때 돌기는 제2구동부재의 걸림홈에 들어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7820호'의 다른 실시예는 걸림홈에 돌기가 분리되었다가 다시 조립되는 과정이 반복되고,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돌기와 제1구동부재 및 제2구동부재가 지속적으로 접하도록 유지하기 때문에 결합력 및 탄성력이 약해져 고장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미국특허 제8690204호'의 핸들 구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추에이터(actuator)가 작동하면 액추에이터에 연결된 회전축(rotation axis)에 동력이 전달된다. 회전축이 회전하면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베벨기어인 구동기어(drive gear)가 회전한다. 그러면 구동기어와 각각 맞물리고 스윙축(swing axis)과 연결된 피구동기어(driven gear)가 회전한다. 스윙축은 스윙암(swing arm)의 이단(second end)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스윙축이 회전하면 스윙암이 회전한다. 스윙암의 일단(first end)에는 각각 컨트롤암(control arm)이 핀 조인트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암의 일단에는 핀 조인트로 손잡이(grab bar)가 연결되어 있고, 컨트롤암의 이단에는 핀(pin)이 각각 형성되어, 슬롯(slot)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스윙암이 회전하면 컨트롤암이 슬롯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되고, 회전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손잡이가 인입 또는 인출 된다.
'미국특허 제8690204호'의 실시예는 다수의 핀 조인트 결합으로 인해, 핀이 마모될 경우 결합력이 약해져 고장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7820호'의 기술은 도어의 록과 언록만 전동 액추에이터(6)에 의해 전기적으로 작동되고 도어 오픈은 케이블(7)에 의해 기계적으로 작동된다. 도어 오픈 작동 또한 전기적으로 작동하게 하여, 기계적 수단보다 더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256175호'에 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256175호'에는 래치기어(20)의 동작에 의해 전기접점이 연결 또는 차단되는 감지센서스위치(80)가 포함된다. 감지센서스위치(80)는 래치기어(20)가 열림 상태일 때 전원을 차단하여 래치기어(20)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감지센서스위치(80)는 래치기어(20)가 닫힘 상태일 때 전기적 오작동이 발생하여 주행중 래치기어(20)가 열리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7820호 미국특허 제8690204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256175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0861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8005호 미국특허 제9080352호 미국특허 제2016-0153212호 미국특허 제2018-019532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핸들을 인출하는 시스템 및 감속기어의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히든 핸들과 전동식 래치의 기계적 연결을 통해 전동식 래치의 전기적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식 래치의 오작동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의 좌측과 우측에 상기 핸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리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의 좌측 및 우측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게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일측은 상기 장공의 타측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은 서로 높이차가 있어, 상기 리프트의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돌기가 상기 일측에 위치할 때는 상기 핸들부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타측에 위치할 때는 상기 핸들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도어를 잠그거나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래치부를 포함하며, 일측이 상기 래치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리프트에 설치되는 도어래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의 상태에 따라 기계적, 전기적으로 상기 래치부의 상태가 변경되고, 상기 리프트가 상승하여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가 당겨지면 상기 래치부는 상기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리프트가 하강하여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가 제자리로 돌아오면 상기 래치부는 상기 도어를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감속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기어부는 상기 모터에 설치되는 웜과, 상기 웜과 맞물리는 리드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는 상기 리드 스크류와 맞물리는 암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감속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기어부는 상기 모터에 설치되는 웜과, 상기 웜과 맞물리는 서브기어와, 상기 서브기어와 맞물리는 제1메인기어와 상기 제1메인기어와 맞물리는 제2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는 상기 제1메인기어 및 상기 제2메인기어와 맞물리는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부는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래치부를 구동하는 래치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1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제1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래치 모터의 전력 공급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래치부는 상기 래치부를 구동하는 래치 모터와, 상기 래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래치 메인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의 일단에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 메인 기어는 스토퍼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핸들부의 인입시 상기 홈에 위치하고, 상기 핸들부의 인출시 상기 홈에서 벗어나 상기 래치 메인기어가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는 바깥 손잡이와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깥 손잡이와 슬라이딩 부재는 후크 체결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는 상기 바깥 손잡이의 당김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는 회전중심부와, 상기 회전중심부와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좌측과 우측에 상기 슬라이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딩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리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의 좌측 및 우측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게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일측은 상기 장공의 타측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은 서로 높이차가 있어, 상기 리프트의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돌기가 상기 일측에 위치할 때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타측에 위치할 때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도어를 잠그거나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래치부 및 일측이 상기 래치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리프트에 설치되는 도어래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의 상태에 따라 기계적, 전기적으로 상기 래치부의 상태가 변경되고, 상기 리프트가 상승하여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가 당겨지면 상기 래치부는 상기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리프트가 하강하여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가 제자리로 돌아오면 상기 래치부는 상기 도어를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감속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기어부는 상기 모터에 설치되는 제1웜과, 상기 제1웜과 맞물리는 제1더블기어와, 상기 제1더블기어와 맞물리는 제2더블기어와, 상기 제2더블기어와 맞물리는 랙을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는 상기 랙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의 일측에 핸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핸들부의 타측에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핀 삽입부와, 상기 슬라이딩핀 삽입부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핀과, 상기 핸들부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하우징과, 상기 핸들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리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의 좌측 및 우측에는 상기 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핀이 삽입되게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일측은 상기 장공의 타측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은 서로 높이차가 있어, 상기 리프트의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돌기가 상기 일측에 위치할 때는 상기 핸들부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타측에 위치할 때는 상기 핸들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도어를 잠그거나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래치부 및 일측이 상기 래치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리프트에 설치되는 도어래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의 상태에 따라 기계적, 전기적으로 상기 래치부의 상태가 변경되고, 상기 리프트가 상승하여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가 당겨지면 상기 래치부는 상기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리프트가 하강하여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가 제자리로 돌아오면 상기 래치부는 상기 도어를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감속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기어부는 상기 모터에 설치되는 제1웜과, 상기 제1웜과 맞물리는 제1더블기어와, 상기 제1더블기어와 맞물리는 제2더블기어와, 상기 제2더블기어와 맞물리는 제1메인기어와, 상기 제1메인기어와 맞물리는 제2메인기어와, 상기 제1메인기어 및 상기 제2메인기어와 맞물리는 랙을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는 상기 랙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어 패널에 설치되어 필요시 외측으로 돌출되는 히든 핸들과, 상기 도어 패널을 여는 전동식 래치와, 일측이 상기 히든 핸들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전동식 래치에 설치되는 도어래치 연결부와,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전동식 래치에 전원이 인가 되어 전기적 오작동이 최소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는 상기 전동식 래치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동식 래치는 상기 전동식 래치를 구동하는 래치 모터와,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가 감지되면 상기 래치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방법은, 히든 핸들과, 전동식 래치와, 일측이 상기 히든 핸들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전동식 래치에 설치되는 도어래치 연결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히든 핸들에 의한 도어래치 연결부의 동작을 감지하는 (a)단계, 도어래치 연결부가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전동식 래치에 전원을 인가하고, 도어래치 연결부가 특정 위치에 도달하지 않으면 전동식 래치에 전원을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는 (b)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핸들부의 좌우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와, 리프트의 좌우에 상기 돌기를 삽입하여 리프트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핸들부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장공에 의해, 단순한 구조로 상기 핸들부를 슬라이딩 시키고 래치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핸들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의 구성을 모터, 웜, 리드 스크류, 암나사부의 4단계로 구성하여, 단순한 구조로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리프트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한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핸들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의 구성을 모터, 웜, 서브기어, 제1메인기어, 제2메인기어, 랙의 6단계로 구성하여, 단순한 구조로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리프트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한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핸들부의 인입과 인출에 따라 이동하는 스토퍼와, 스토퍼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센서의 구성으로 인해, 핸들부가 인입되어있을 때는 래치 모터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주행 중에는 전기적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래치 모터가 작동되어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래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래치 기어와, 핸들부의 인입과 인출에 따라 이동하고, 래치 기어의 이 사이의 홈에 삽입될 수 있는 스토퍼의 구성에 인해, 핸들부가 인입되어 있을 때는 스토퍼가 홈에 삽입되어, 기계적인 오작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전기 공급을 차단하여 래치 모터의 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핸들부가 인출되어 있을 때는 스토퍼가 홈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기계적인 오작동과 전기적인 오작동을 방지하여 2중으로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다.
바깥 손잡이와 슬라이딩 부재는 후크 체결로 고정되므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바깥 손잡이의 당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케이블을 직접 당기지 않아도 바깥 손잡이의 당김 여부를 도어 래치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바깥 손잡이를 당길 때 들어가는 힘이 줄어들어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슬라이딩 된 리프트의 일정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핸들부의 인출량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핸들부의 일측을 회전중심부로 핸들부의 타측을 슬라이딩부로 형성하여 슬라이딩부의 좌우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와, 리프트의 좌우에 상기 돌기를 삽입하여 리프트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가 전후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장공에 의해, 단순한 구조로 상기 슬라이딩부를 슬라이딩시키고 래치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핸들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의 구성을 모터, 제1웜, 제1더블기어, 제2더블기어, 랙의 5단계로 구성하여, 단순한 구조로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리프트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한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핸들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와, 핸들부의 타측에 끼워지는 슬라이딩핀과, 리프트의 좌우에 상기 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핀을 삽입하여 리프트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핸들부가 전후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장공에 의해, 단순한 구조로 상기 핸들부를 슬라이딩시키고 래치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핸들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의 구성을 모터, 제1웜, 제1더블기어, 제2더블기어, 제1메인기어, 제2메인기어, 랙의 7단계로 구성하여, 단순한 구조로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리프트에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한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리프트를 리프트의 좌우방향의 중심이 핸들부의 좌우방향의 중심에서 벗어나게 핸들부와 결합함으로써, 구동부의 위치를 좌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어, 바깥 손잡이와 차량용 도어의 밑면 사이의 공간이 좌측 혹은 우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차량용 도어에 대한 장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전동식 래치의 안전 장치를 히든 핸들과 전동식 래치와 상기 핸들과 상기 전동식 래치를 연결하는 도어래치 연결부로 구성하여 단순한 구조로 전동식 래치의 전기적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래치 연결부를 케이블로 구비하여 단순한 구조로 전동식 래치의 전기적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히든 핸들이 인출 또는 인입되는 움직임을 이용하여 도어래치 연결부를 이동시키므로 별도의 구동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지 않고도 기존의 구조로 전동식 래치의 전기적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동식 히든 핸들부의 인입과 인출 그리고 당김 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전동식 히든 핸들부와 도어 래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핸들부와 도어 래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핸들부와 도어 래치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패널을 생략한 상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정면도(하우징과 막음판을 생략한 상태).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배면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핸들부가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a)와 평면도(b)와 우측면도(c) ((a)는 하우징과 막음판을 생략한 상태, (b),(c)는 하우징을 생략한 상태).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핸들부가 인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a)와 평면도(b)와 우측면도(c) ((a)는 하우징과 막음판을 생략한 상태, (b),(c)는 하우징을 생략한 상태).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정면도(하우징을 생략한 상태).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배면 분리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핸들부가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a)와 평면도(b)와 우측면도(c) ((a)는 하우징과 막음판을 생략한 상태, (b),(c)는 하우징을 생략한 상태).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핸들부가 인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a)와 평면도(b)와 우측면도(c) ((a)는 하우징과 막음판을 생략한 상태, (b),(c)는 하우징을 생략한 상태).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핸들부가 인입 및 인출될 때 도어래치 연결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핸들부가 인입(a) 및 인출(b)될 때 래치부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핸들부가 잡아당겨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핸들부의 분리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슬라이딩 부재의 배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슬라이딩 부재의 정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구동부 커버의 정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구동부 커버의 정면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정면도(하우징과 막음판을 생략한 상태).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배면 분리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핸들부가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a)와 평면도(b)와 좌측면도(c) ((a)는 하우징과 막음판을 생략한 상태, (b) 및 (c)는 하우징을 생략한 상태).
도 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핸들부가 인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a)와 평면도(b)와 좌측면도(c) ((a)는 하우징과 막음판을 생략한 상태, (b) 및 (c)는 하우징을 생략한 상태).
도 2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하우징의 배면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하우징의 정면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슬라이딩 부재의 배면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슬라이딩 부재의 정면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구동부의 배면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모터 커버의 정면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리프트의 배면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막음판의 배면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막음판의 정면 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핸들부가 잡아당겨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핸들부의 분리 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정면도(하우징과 막음판을 생략한 상태).
도 4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배면 분리 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핸들부가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a)와 평면도(b)와 우측면도(c) ((a)는 하우징과 막음판을 생략한 상태, (b) 및 (c)는 하우징을 생략한 상태).
도 4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핸들부가 인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a)와 평면도(b)와 우측면도(c) ((a)는 하우징과 막음판을 생략한 상태, (b) 및 (c)는 하우징을 생략한 상태).
도 4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하우징의 배면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하우징의 정면 사시도.
도 4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슬라이딩 부재의 배면 사시도.
도 4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슬라이딩 부재의 정면 사시도.
도 4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구동부의 배면 사시도.
도 4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모터 커버의 배면 사시도.
도 5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모터 커버의 정면 사시도.
도 5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리프트의 배면 사시도.
도 5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리프트의 정면 사시도.
도 5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막음판의 배면 사시도.
도 5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막음판의 정면 사시도.
도 5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5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정면도(제2하우징 생략).
도 5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배면도.
도 5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히든 핸들의 인입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해든 핸들의 인출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 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의 오작동 방지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는 바깥 손잡이(800)와 래치부(200)와 도어래치 연결부(30)를 포함한다.
바깥 손잡이(800)는 히든 핸들로 구비되고, 도어래치 연결부(30)는 케이블로 구비되고, 래치부(200)는 전동식 래치로 구비된다.
바깥 손잡이(800)와 도어래치 연결부(30)와 래치부(200)는 패널(10)에 설치된다.
패널(10)은 차량용 도어 패널 전체 중에서 바깥 손잡이의 부근의 패널(10)만을 도시한 것이다.
바깥 손잡이(800)는 패널(10)의 홈에 위치하며, 인출 시 패널(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래치부(200)는 패널(10)이 열리도록 한다.
도어래치 연결부(30)는 바깥 손잡이(800)를 포함한 핸들부와 래치부(200)를 연결한다.
패널(10)이 완전히 닫혀있는 상태에서, 바깥 손잡이(800)가 패널(10) 외측으로 인출되면 바깥 손잡이(800)에 의해 도어래치 연결부(30)가 당겨진다. 도어래치 연결부(30)가 당겨지면 래치부(200) 내에서 도어래치 연결부(30)가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도어래치 연결부(200)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해, 래치부(200)는 제1센서(230)를 포함하고, 도어래치 연결부(200)는 제1센서(230)에 감지될 수 있는 스토퍼(32)를 포함할 수 있다.
바깥 손잡이(800)가 충분히 인출되어, 스토퍼(32)가 제1센서(230)가 설치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스토퍼(32)가 제1센서(230)에 의해 감지된다.
제1센서(230)의 감지 신호에 의해 래치부(200)에는 전원이 인가되어, 래치부(200)로 패널(10)을 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패널(10)이 완전히 닫혀있는 상태에서, 바깥 손잡이(800)가 패널(10)의 내측으로 인입되면 바깥 손잡이(800)에 의해 도어래치 연결부(30)가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도어래치 연결부(30)가 원위치로 이동하면 래치부(200) 내에서도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2)도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바깥 손잡이(800)가 패널(10) 외측으로 돌출되게 않게 인입되면, 스토퍼(32)가 제1센서(230)에 의해 감지되지 않게 된다.
제1센서(230)에 감지되는 것이 없으면 래치부(200)에는 전원이 차단되어, 패널(10)은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래치부(200)에 전원이 차단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되어 있는 주행 중에 래치부(200)가 전기적으로 오작동하여 패널(10)이 열리는 상황이 방지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제1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핸들부가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다르게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는 도어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 가능하다.
제1실시예에서 전후방은 차량의 좌우방향(폭방향)을 의미하며, 상하방향은 차량의 상하방향을 의미하고, 좌우방향은 차량의 전후방향(길이방향)을 의미한다.
도 4는 도3에서 패널(10)을 생략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바깥 손잡이(800)는 하우징(110)에 의해 가이드 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하우징(110)은 돌출부 관통공(111)과 전선 연결부(117)와 막음판 삽입홈(118)을 포함한다.
돌출부 관통공(111)을 통해 바깥 손잡이(800)의 좌우가 하우징(110)의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전선 연결부(117)는 하우징(110) 내부에 필요한 전원을 외부로부터 공급받거나, 제어부(미도시)와 신호를 주고받는다.
막음판 삽입홈(118)을 통해 하우징(110)의 후방에 설치되는 막음판(500, 도 5 참조)이 설치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는, 리프트(300)와 슬라이딩 부재(700)와 구동부(900)와 도어래치 연결부(30)를 포함한다.
구동부(900)는 모터(910)와 감속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기어부는 웜(921)과 리드 스크류(922)를 포함한다.
구동부(900)는 리드 스크류(922)에 의해 리프트(300)와 연결된다.
리프트(300)는 구동부(9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핸들부는 바깥 손잡이(800)와 슬라이딩 부재(700)를 포함한다.
바깥 손잡이(800)는 슬라이딩 부재(700)의 전방에 설치된다.
슬라이딩 부재(700)는 슬라이딩 부재(700)의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73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부재(700)는 돌기(730)에 의해 리프트(300)와 연결된다.
슬라이딩 부재(700)는 리프트(30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한다.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일단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된다.
걸림돌기(31)는 리프트(300)에 의해 위로 당겨지거나 원상태로 복귀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바깥 손잡이>
바깥 손잡이(8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깥 손잡이(800)의 일측과 타측 배면에는 결합부 둘레부(810)가 형성된다. 결합부 둘레부(810)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결합부 둘레부(810)는 탄성후크(811)의 상하부 및 우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결합부 둘레부(810)에는 결합고리(401)가 유입되는 유입구(812)가 형성된다. 유입구(812)는 결합부 둘레부(810)의 우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부 둘레부(810)는 돌출부(720)의 전방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둘레부 안착홈(703)에 안착된다. 둘레부 안착홈(703)은 전방 및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탄성후크(811)는 바깥 손잡이(800)에 형성되고, 결합고리(401)는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탄성후크(811)는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고, 결합고리(401)는 바깥 손잡이(8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후크(811)는 바깥 손잡이(800)의 일측과 타측의 배면에 각각 형성된다. 탄성후크(811)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탄성후크(811)의 우측에는 후크돌기가 배치되고, 좌측은 바깥 손잡이(800)에 고정된다. 탄성후크(811)는 탄성변형 가능하다. 탄성후크(811)는 돌출부(720)의 전방에 형성된 후크 안착홈(706)의 내부에 배치된다.
바깥 손잡이(800)는 지지부재(400)를 통해 슬라이딩 부재(700)에 연결된다.
지지부재(400)와 바깥 손잡이(800)는 탄성후크(811)와 탄성후크(811)가 결합되는 결합고리(401)를 통해 결합되어, 바깥 손잡이(800)의 조립이 용이해지며, 구조도 단순해진다. 결합고리(401)는 탄성후크(811)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써, 전술한 바와 다르게, 고리 형태가 아닌 구멍이나 홈의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하우징>
하우징(110)은 장치의 전방 및 양측 및 상하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하우징(110)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10)은 패널(10)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하우징(110)은 전면과, 상기 전면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면을 둘러싸는 둘레부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의 전면 상부 양측에는 돌출부(720)가 관통되는 돌출부 관통공(11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둘레부에는 하우징(110)의 양측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1가이드부(112a)가 형성되어 있다. 제1가이드부(112a)에는 돌기(73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좌측 또는 우측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가이드부(112a)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700)는 가이드 된다.
제1가이드부(112a)는 상기 둘레부의 인접한 다른 부분보다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둘레부에는 하우징(110)의 양측 상부에는 막음판 삽입홈(118)이 형성되어 있다. 막음판 삽입홈(118)은 막음판(500)의 막음판 돌출부(51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과 끼움홈이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좌측 또는 우측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홈은 가이드홈의 후방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막음판 삽입홈(118)에 의해 막음판(500)이 하우징(110)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둘레부의 우측 하단에는 전선 연결부(117)가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면의 후방에는 하우징 돌출부(112c)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돌출부(112c)는 양측의 돌출부 관통공(111) 사이에 배치된다.
하우징 돌출부(112c)는 제1관통공(70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부재(700)를 가이드 한다. 또한, 하우징 돌출부(112c)는 속이 비도록 형성되며, 하우징 돌출부(112c)의 내부에는 보강 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 리브에 패널(10)과 볼팅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를 경량화 할 수 있는 동시에 패널(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 돌출부(112c)의 양측에는 제2가이드부(112b)가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112b)는 우측 또는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112b)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112b)는 돌출부(72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2가이드부(112b)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700)는 가이드 된다.
하우징(110)의 후방 중앙부에는 리드 스크류(922)를 지지하는 리드 스크류 지지부(115)가 형성된다. 리드 스크류 지지부(115)는 하우징 돌출부(112c) 하부에 배치된다. 리드 스크류 지지부(115)는 후방으로 돌출된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판에는 리드 스크류(922)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에는 리드 스크류(922) 축의 상단이 삽입된다. 이러한 리드 스크류 지지부(115)에 의해 리드 스크류(922)는 전후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하우징(110)의 후방 중앙부 우측에는 제3센서(23)가 안착되는 제3센서 안착홈(119)이 형성된다. 제3센서 안착홈(119)은 하우징 돌출부(112c)의 하부에, 리드 스크류 지지부(115)의 우측에 배치된다.
하우징(110)의 후방 하부 좌측에는 도어래치 연결부(30)가 관통하는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116)이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116)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후방 하부에는 구동부(900)가 안착되는 구동부 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 안착부에는 상기 감속기어부가 안착되는 제1기어 안착홈(113)과 모터(910)가 안착되는 제1모터 안착홈(114)이 형성된다. 제1모터 안착홈(114)은 제1기어 안착홈(113)의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 안착부에는 제1기어 안착홈(113)을 둘러싸는 벽이 형성되고, 상기 벽에는 각 기어의 축이 안착되는 축 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 안착부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는 구동부 커버(120)와 볼팅 체결할 수 있는 커버 체결부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슬라이딩 부재>
슬라이딩 부재(700)는 도 19,20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700)는 판 형상의 걸림부(710)와 걸림부(710)의 전방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720)를 포함한다.
걸림부(710)는 돌출부(720)보다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부(710)의 중심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제1관통공(702)이 형성된다. 제1관통공(702)은 양측의 돌출부(720) 사이에 배치된다.
양측 돌출부(720)의 전방에는 바깥 손잡이(80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연결 된다.
슬라이딩 부재(700)의 양측에는 돌기(73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부재(700)는 장공(301)을 따라 양측의 돌기(730)가 슬라이딩 되게 리프트(300)와 연결된다.
돌기(730)와 슬라이딩 부재(70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가이드용 원판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부재(700)의 좌측 하단에는 제2센서 안착홈(704)이 형성된다. 제2센서 안착홈(704)은 좌측의 지지부재 안착홈(701)과 연통된다. 제2센서 안착홈(704)은 지지부재 안착홈(701)의 하부에 형성된다.
슬라이딩 부재(700)의 돌출부(720)의 전면에는 고리 인출공(705)과 후크 안착홈(706)이 형성된다. 고리 인출공(705)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지부재 안착홈(701) 및 후크 안착홈(706)에 연통 된다. 후크 안착홈(706)은 전방과 좌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 부재(700)의 하단에는 지지돌출부(721)가 형성된다. 지지돌출부(721)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지지돌출부(721)는 제1관통공(702)의 하부에 형성된다.
지지돌출부(721)는 바깥 손잡이(800)의 인출시 제3센서 안착홈(119)과 슬라이딩 부재(700)의 간섭을 방지해준다.
슬라이딩 부재(700)의 좌측 하단에는 케이블 안착홈(707)이 형성된다. 케이블 안착홈(707)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케이블 안착홈(707)의 맨 우측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홈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된 홈 바로 좌측 후방에는 좌우방향 폭이 케이블 안착홈(707)의 상하방향 폭보다 좁고, 전후방향 폭은 걸림부(710)의 전후방향 폭의 1/2보다 작은 제1판이 형성된다. 상기 제1판 바로 좌측 전방에는, 일정의 좌우방향 간격을 두고, 좌우방향 폭이 상기 제1판의 좌우방향 폭보다 크고, 전후방향 폭은 상기 제1판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 유사한 제2판이 형성된다. 상기 제2판의 바로 좌측에는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이 번갈아가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은 일정의 좌우방향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의 좌우방향 폭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돌출부(720)의 후방에는 핀 삽입홈(708)이 형성된다. 핀 삽입홈(708)은 양측 돌출부(720)에 각각 2개씩 형성된다.
제1관통공(702) 방향의 핀 삽입홈(708)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제1관통공(702)과 연통된다. 이로 인해, 제1,2핀(411,421)은 제1관통공(702)을 통해 삽입할 수 있으며, 하우징(110)과 슬라이딩 부재(700)의 조립 후엔 하우징(110)의 하우징 돌출부(112c)에 핀 삽입홈(708)이 가로막혀 제1,2핀(411,421)이 제1관통공(702) 쪽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한다.
돌기(730) 방향의 핀 삽입홈(708)은 돌기(730) 쪽 면이 막혀 있어, 삽입된 제1,2핀(411,421)이 돌기(730) 방향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한다.
돌출부(720)의 제1관통공(702) 방향에는 하우징 안착홈(709)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하우징 안착홈(709)은 핀 삽입홈(708)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다.
하우징 안착홈(709)에는 하우징(110)의 제2가이드부(112b)가 안착된다.
슬라이딩 부재(700)는 차량 도어의 패널(1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다.
슬라이딩 부재(700)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스프링>
스프링(40)은 코일 형태로 형성된다.
스프링(40)은 지지부재(400)와 슬라이딩 부재(700)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40)은 지지부재 안착홈(701)에 안착되며, 전단은 슬라이딩 부재(700)에 의해 지지되고, 후단은 지지본체(402)에 의해 지지된다.
바깥 손잡이(800)의 일측을 복귀시키는 스프링(40)으로 인해, 바깥 손잡이(800)가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다.
스프링(40)은 바깥 손잡이(800)의 타측에도 구비되어, 바깥 손잡이(800)와 제2지지부재(420)가 밀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바깥 손잡이(800)와 제2지지부재(42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부재>
지지부재(400)는 바깥 손잡이(8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410)와 바깥 손잡이(800)의 타측(우측)에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420)를 포함한다.
제1,2지지부재(410,420)는 지지본체(402)와, 지지본체(402)의 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고리(401)를 포함한다.
제1,2지지부재(410,420)의 지지본체(402)의 후방에는 제1,2핀(411,421)이 설치된다. 제1,2핀(411,421)의 양측은 슬라이딩 부재(700)의 핀 삽입홈(708)에 설치되어, 제1,2지지부재(410,420)는 슬라이딩 부재(400)보다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지 않는다.
제1,2지지부재(410,420)의 중앙 하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기의 하부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 완료된 후 슬라이딩 부재(700)의 배면보다 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기의 하면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아랫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로 인해, 제1지지부재(41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때 손쉽게 제2센서(22)를 누를 수 있다.
제1지지부재(410)는 바깥 손잡이(800)를 당기기 전에는 제2센서(22)를 누르고 있다가, 바깥 손잡이(800)를 당겨 제1지지부재(41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2센서(22)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손쉽게 바깥 손잡이(800)의 당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지지부재(400)는 슬라이딩 부재(700)의 돌출부(720)의 후방에 형성된 지지부재 안착홈(701)에 안착된다. 지지부재 안착홈(701)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재 안착홈(701)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슬라이딩 부재(700)의 내벽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는 지지부재(4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돌기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700)에 대해 지지부재(400)가 슬라이딩될 때 마찰이 감소된다.
결합고리(401)에는 탄성후크(811)가 끼워지는 구멍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결합고리(401)는 슬라이딩 부재(700)의 돌출부(720)의 전면에 형성된 고리 인출공(705)을 통해 돌출부(720) 외측으로 인출된다.
<센서부>
센서부는 제2센서(22)와 제3센서(23)를 포함한다.
제2센서(22)와 제3센서(23)는 전선을 통해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된다.
제2센서(22)는 슬라이딩 부재(700)의 제2센서 안착홈(704)에 설치된다.
제2센서(22)는 제1지지부재(410)를 통해 바깥 손잡이(800)의 당김 여부를 인식한다.
제3센서(23)는 하우징(110)의 제3센서 안착홈(119)에 설치된다.
제3센서(23)는 리프트(300)를 통해 바깥 손잡이(800)의 인출 여부를 인식한다.
<구동부>
구동부(900)는 모터(910)와, 모터(910)에 의해 회전되는 감속기어부를 포함한다.
구동부(900)는 차량 도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패널(10)의 내측에 배치된다.
구동부(900)는 슬라이딩 부재(700)의 하부에 배치된다.
모터(910)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우징(110)의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킨다.
상기 감속기어부는 모터(910)에 의해 회전되는 웜(921)과, 웜(921)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 스크류(922)와 리드 스크류(922)와 맞물리는 암나사부(923)를 포함한다.
웜(921)은 모터(910)의 축에 설치된다. 따라서 웜(921)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리드 스크류(922)는 웜과, 상기 웜에 설치되는 웜 휠을 포함한다.
리드 스크류(922)의 웜의 축과 리드 스크류(922)의 웜 휠의 축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리드 스크류(922)의 웜과 리드 스크류(922)의 웜 휠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리드 스크류(922)의 웜에서 리드 스크류(922)의 웜 휠과 마주하는 부분에는 리드 스크류(922)의 웜 휠의 기어 이를 연결하는 원판이 형성된다.
리드 스크류(922)의 웜 휠의 외경은 리드 스크류(922)의 웜의 외경과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리드 스크류(922)는 웜(921)에 의해 회전된다.
리드 스크류(922)는 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리드 스크류(922)의 웜 휠에 웜(921)이 맞물린다.
리드 스크류(922)의 전방에 웜(921)이 배치된다.
암나사부(923)는 원판과 상기 원판에 연결되는 두 개의 체결판을 포함한다.
상기 원판은 암나사를 포함한다.
상기 원판의 암나사는 상기 원판의 상하부 면의 중앙부를 상하로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체결판의 상부면의 높이가 상기 원판의 상부면의 높이와 일치 유사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체결판은 결합공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공은 상기 체결판의 상하부면의 중앙부를 상하로 관통하게 배치된다.
암나사부(923)는 리프트(300)의 암나사부 안착홈(302)에 볼트로 체결된다.
구동부(900)와 바깥 손잡이(800)는 리프트(300)와 슬라이딩 부재(700)를 통해 연결된다.
구동부(900)는 바깥 손잡이(800)를 가동시킨다. 구동부(900)는 바깥 손잡이(80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구동부 커버>
구동부 커버(120)는 도 21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구동부 커버(120)는 모터 커버(121)와 감속기어부 커버(122)를 포함한다.
모터 커버(121)는 모터(910)의 후방 및 양측 및 상하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모터 커버(121)는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모터 커버(121)의 중앙부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반원기둥의 형태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모터 커버(121)는 제2모터 안착홈(123)을 포함한다.
제2모터 안착홈(123)은 모터(910)를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 중 모터(910)의 몸체를 지지하는 격벽은 모터(910)의 몸체의 둘레를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격벽 중 모터(910)의 축을 지지하는 격벽은 모터축 안착홈(124)을 포함한다.
모터축 안착홈(124)은 모터(910)의 축의 둘레를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122)는 감속기어부의 후방 및 양측 및 상하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감속기어부 커버(122)는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122)의 좌측부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반원기둥의 형태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감속기어부의 상면엔 리드 스크류 관통홈(126)이 형성된다.
리드 스크류 관통홈(126)의 직경은 리드 스크류(92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122)는 제2기어 안착홈(125)을 포함한다.
제2기어 안착홈(125)은 리드 스크류(922)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격벽을 포함한다.
또한, 모터 커버(121)의 우측면의 상부와 하부에는 볼트 체결부(127)가 우측으로 돌출되어 각각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122)의 좌측면의 상부와 하부에는 볼트 체결부(127)가 좌측으로 돌출되어 각각 형성된다.
볼트 체결부(127)의 일단은 모터 커버(121) 및 감속기어부 커버(122)와 연결되고, 볼트 체결부(127)의 타단은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볼트 체결부(127)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구동부(900)는 하우징(110)과 구동부 커버(120) 사이에 배치된다.
구동부 커버(120)는 볼트 체결부(127)에 의해 하우징(110)의 후방 하부에 볼팅 체결 된다. 따라서 구동부 커버(120)는 하우징(1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리프트>
리프트(300)는 하면과 상기 하면의 좌우 양단에 각각 연결된 좌면과 우면을 포함한다. 상기 하면은 좌우방향으로는 길게 전후방향으로는 짧게 형성된다. 상기 좌면과 상기 우면의 전후방향 폭은 상기 하면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 유사하다. 상기 좌면의 일단은 상기 하면의 좌측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좌면의 타단은 상기 좌면의 일단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우면의 일단은 상기 하면의 우측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우면의 타단은 상기 우면의 일단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즉, 리프트(300)는 상부와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리프트(300)의 하면에는 암나사부 안착홈(302)과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03)과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04)이 형성된다.
암나사부 안착홈(302)은 리프트(300)의 하면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암나사부 안착홈(302)에는 암나사부(923)가 볼트로 체결 된다.
암나사부 안착홈(302)은 암나사부(923)의 체결시 리프트(300)의 하면의 상부면의 높이가 암나사부(923)의 상부면의 높이와 일치 유사하도록 암나사부(923)의 외형을 따라 형성된다.
암나사부 안착홈(302)은 리드 스크류(922)가 관통하는 홈을 포함한다.
상기 홈은 암나사부 안착홈(302)의 중앙부에 리프트(300)의 하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홈의 직경은 상기 원판의 직경과 동일 유사하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03)은 리프트(300)의 하면의 좌측부에 배치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03)은 암나사부 안착홈(302)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03)은 리프트(300)의 하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03)은 암나사부 안착홈(302)과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04)을 연결하는 곡선으로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03)의 폭은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의 폭보다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일단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03)의 폭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도어래치 연결부(30)가 리프트(300)의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04)은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03)의 좌측부의 배치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04)은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03)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04)은 리프트(300)의 하면에 윗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04)은 도어래치 연결부(30)가 관통되는 홈을 포함한다. 상기 홈은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04)의 중앙부에서부터 우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은 리프트(300)의 하면을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홈의 폭은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의 폭보다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04)은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가 안착되는 상부홈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홈은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04)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04)의 폭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도어래치 연결부(30)가 리프트(300)의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암나사부 안착홈(302)의 좌측에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03)이 배치되고,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03)의 좌측에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04)이 배치된다.
암나사부(923)의 암나사의 직경이 걸림돌기(31)의 직경보다 크므로, 도어래치 연결부(30)는 암나사부(923)를 조립하기 전에 암나사부(923)와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03)을 통해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04)에 설치될 수 있다.
리프트(300)의 상기 좌면과 상기 우면의 상부에는 슬라이딩 부재(700)의 돌기(730)가 관통되는 장공(301)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장공(301)의 일측은 장공의 타측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은 서로 높이차가 형성된다.
<막음판>
막음판(50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막음판(500)의 좌우방향 너비는 하우징(110)의 좌우방향 너비와 동일 유사하다.
막음판(500)은 중앙부와 좌우 양단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부의 좌우방향 너비는 슬라이딩 부재(700)의 걸림부(710)의 좌우방향 너비와 동일 유사하다.
상기 중앙부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되었을 때 걸림부(710)의 후면에 상기 중앙부의 전면이 접할 수 있게,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좌우 양단의 전면은 하우징(110)의 상기 둘레부의 좌우 후면에 접한다.
막음판(500)은 슬라이딩 부재(700)의 후방에 위치한다.
막음판(500)과 하우징(110) 사이에는 슬라이딩 부재(700)가 위치한다.
막음판(500)은 하우징(110)의 하우징 돌출부(112c)에 볼트로 체결 된다.
그로 인해 막음판(500)은 슬라이딩 부재(700)가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막음판(500)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복수의 막음판 돌출부(510)가 형성된다. 막음판 돌출부(510)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막음판 돌출부(510)는 하우징(110)의 막음판 삽입홈(118)에 끼워진다.
그로 인해 막음판(500)은 손쉽게 하우징(110)에 조립될 수 있다.
막음판(500)은 제1지지부재 관통공(501)과 제2지지부재 관통공(502)과 지지돌출부 관통공(503)을 포함한다.
제1지지부재 관통공(501)에는 바깥 손잡이(800)의 인입시 제1지지부재(410)의 돌기와, 슬라이딩 부재(700)의 제2센서 안착홈(704)과, 좌측 돌기(730)에 연결된 원판이 위치한다.
제2지지부재 관통공(502)에는 바깥 손잡이(800)의 인입시 제2지지부재(420)의 돌기와, 우측 돌기(730)에 연결된 원판이 위치한다.
지지돌출부 관통공(503)에는 바깥 손잡이(800)의 인입시 슬라이딩 부재(700)의 지지돌출부(721)가 위치한다.
그로 인해, 바깥 손잡이(800)의 인입시 막음판(500)과 지지부재(400) 또는 막음판(500)과 슬라이딩 부재(70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래치 연결부>
도어래치 연결부(30)는 래치부(200)와 리프트(300) 및 하우징(110)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래치부(200)는 종래의 도어 래치와 같이 도어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거나 도어가 잠긴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바깥 손잡이(800)를 통해 도어가 열리도록 하거나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도어래치 연결부(30)는 리프트(300)의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04)을 통해 리프트(300)와 연결된다.
도어래치 연결부(30)는 와이어와 같은 선부재의 케이블(33)을 포함한다.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외주면은 보호 튜브로 둘러싸여 있다. 상기 보호 튜브의 일측은 하우징(110)의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116)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상기 보호 튜브의 타측은 래치부(200)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일단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된다. 걸림돌기(31)의 직경이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04)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리프트(30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어래치 연결부(30)가 이동할 때, 상기 보호 튜브는 이동하지 않고 케이블(33)만 이동한다.
도어래치 연결부(30)의 타단에는 스토퍼(32)가 형성된다. 스토퍼(32)는 케이블(33)의 끝단을 둘러싸게 형성된다. 스토퍼(32)는 리프트(300)의 상하이동에 따라 케이블(33)이 이동하면, 래치부(200)의 홈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한다.
<래치부>
래치부(200)는 도어를 잠그거나 또는 잠금을 해제한다.
래치부(2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센서(230)와 래치모터(210)와 래치 메인기어(220)를 포함한다.
래치부(200)는 도어레버 연결부(600)와 연결된다.
도어레버 연결부(600)는 래치부(200)와 연결되어 있으며, 래치부(200)에 의해 도어가 잠긴 상태여도 도어레버 연결부(600)에 연결된 레버를 잡아당기면 도어가 열리게 된다.
제1센서(230)는 스토퍼(32)를 감지한다. 제1센서(230)는 스토퍼(32)보다 상부에 설치된다.
스토퍼(32)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제1센서(230)를 누르게 된다. 스토퍼(32)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스토퍼(32)가 제1센서(230)보다 좌측에 위치하게 되어 제1센서(230)가 눌리지 않는다.
래치모터(210)는 래치 메인기어(220)를 구동한다. 래치 메인기어(220)는 웜휠로 구비된다.
래치 메인기어(220)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래치 메인기어(220)는 스토퍼(32)보다 좌측에 배치된다. 래치 메인기어(220)의 이와 이 사이의 도피된 홈에는 스토퍼(32)가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32)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되어 있을 때는 래치 메인기어(220)의 홈에 위치한다. 스토퍼(32)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될 때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래치 메인기어(220)의 도피된 홈에서 벗어난다.
이처럼 바깥 손잡이(800)의 인입, 인출 상태에 따라 래치부(200)의 스토퍼(32)가 연동되어 래치 메인기어(220)의 기구적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2)와 제1센서(230)가 연동되어 전기적으로도 오작동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바깥 손잡이 인출 과정>
이하에서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키나 리모턴, 스위치 등을 통해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구동부(900)를 작동시킨다.
모터(910)가 작동되면 웜(921)이 회전하게 되고, 웜(921)이 회전함에 따라 리드 스크류(922)가 회전하게 된다.
리드 스크류(922)가 회전하면, 암나사부(923)가 윗방향으로 올라가게 된다.
암나사부(923)가 윗방향으로 올라가게 되면 암나사부(923)와 연결되어 있는 리프트(300)도 윗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리프트(300)가 윗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리프트(300)의 장공(301)에 위치해있는 슬라이딩 부재(700)의 돌기(730)가 장공(301)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돌기(730)가 장공(301)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면, 돌기(730)와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700) 및 바깥 손잡이(800)가 하우징(110) 및 패널(10)에 대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슬라이딩 부재(700)의 돌출부(720)는 돌출부 관통공(111)을 통해 패널(1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바깥 손잡이(800)도 패널(1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슬라이딩 부재(700)의 돌출부(720)가 인출될 때 걸림부(710)는 패널(10) 및 하우징(110)에 걸린다.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되면 바깥 손잡이(800)와 패널(10) 사이에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되어 사용자가 바깥 손잡이(800)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즉,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되면 바깥 손잡이(800)는 패널(10)의 외측면으로 이격 된다.
한편, 리프트(300)가 윗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300)의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04)에 의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이 당겨지게 된다. 케이블(33)이 당겨지게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2)가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완료 위치까지 돌출되게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2)를 제1센서(230)가 감지하게 된다. 제1센서(230)가 눌리게 되면, 제1센서(230)는 래치모터(210)의 전원을 인가한다.
한편,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완료 위치까지 인출 되면, 리프트(300)가 제3센서(23)를 누르게 된다. 리프트(300)가 제3센서(23)에 의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900)의 작동을 멈춘다.
<바깥 손잡이 인입 과정>
이하에서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에는 바깥 손잡이(800)의 인출과 인입에 따른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키나 리모컨, 스위치, 차량의 속도 값 등을 통해 바깥 손잡이(800)의 인입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구동부(900)를 작동시킨다.
모터(910)가 바깥 손잡이(800)의 인출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리프트(300)는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리프트(300)가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리프트(300)의 장공(301)에 위치해있는 슬라이딩 부재(700)의 돌기(730)가 장공(301)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돌기(730)가 장공(301)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면, 돌기(730)와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700) 및 바깥 손잡이(800)가 하우징(110) 및 패널(10)에 대해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슬라이딩 부재(700)의 돌출부(720)는 돌출부 관통공(111)을 통해 패널(1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바깥 손잡이(800)도 패널(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한편, 리프트(300)가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300)의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04)에 의해 당겨져 있던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상태로 돌아온다. 케이블(33)이 원상태로 돌아오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2)가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완료 위치까지 인입되게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2)가 제1센서(230)에서 벗어나게 된다. 제1센서(230)가 눌리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래치모터(210)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로 인해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되어 있을 때 래치부(200)가 전기적으로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깥 손잡이(800)와 리프트(300)가 인입 위치까지 이동되면 막음판(500)에 막혀 멈추게 되고, 구동부(900)의 전류 변동을 감지한 제어부가 전원을 차단하여 작동을 완료한다.
한편, 인입부에 별도의 위치감지 센서(미도시)를 더 추가하여 리프트(300)와 구동부(900) 작동시 부하를 줄여 좀 더 원활히 작동하게 할 수 있다.
<바깥 손잡이를 통한 도어 오픈 과정>
이하에서는 바깥 손잡이(800)를 통한 도어 오픈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에는 바깥 손잡이(800)가 당겨진 상태가 나타나 있다.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깥 손잡이(800)를 사용자 쪽으로 잡아당기면, 바깥 손잡이(800)는 바깥 손잡이(800)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바깥 손잡이(800)의 타측은 슬라이딩 부재(7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제1지지부재(410)를 통해 연결되었기 때문에, 바깥 손잡이(800)의 타측은 제1지지부재(410)와 함께 슬라이딩 부재(700) 및 패널(1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즉, 지지부재(400)와 연동된 제2센서(22)의 인식이 감지되면서 제어부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래치부(200)에 도어오픈 명령을 내린다. 이와 같이 래치부(200)가 전기신호를 받아 래치모터(210)가 작동하면, 래치부(200)의 도어 닫음이 해제(래치의 로킹이 해제)되어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사용자가 바깥 손잡이(800)를 놓게 되면 수축되었던 스프링(40)에 의해 바깥 손잡이(800)의 타측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바깥 손잡이 조립 과정>
이하에서는 바깥 손잡이(800)와 슬라이딩 부재(700)와 지지부재(400)가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에는 바깥 손잡이(800)와 슬라이딩 부재(700)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지지부재(400)의 결합고리(401)에 스프링(40)을 끼워 넣은 후에 슬라이딩 부재(700)의 지지부재 안착홈(701)에 삽입한다.
제1지지부재(410)의 후방에는 제1핀(411)을 설치하여 제1지지부재(410)가 조립시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제2지지부재(420)의 후방에는 제2핀(421)을 설치하여 제2지지부재(420)가 조립시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720)에 대해 바깥 손잡이(800)를 우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결합부 둘레부(810)는 둘레부 안착홈(703)에 안착되고, 탄성후크(811)는 결합고리(401)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단순한 동작만으로도 조립이 완료된다.
====================제2실시예=======================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는, 리프트(1300)와 슬라이딩 부재(700)와 구동부(1900)와 도어래치 연결부(30)를 포함한다.
구동부(1900)는 모터(1910)와 감속기어부를 포함하며, 감속기어부는 웜(1921)과 서브기어(1922)와 제1메인기어(1923)와 제2메인기어(1924)를 포함한다.
구동부(1900)는 제1,2 메인기어(1923,1924)에 의해 리프트(1300)와 연결된다.
리프트(1300)는 구동부(19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핸들부는 바깥 손잡이(800)와 슬라이딩 부재(700)를 포함한다.
바깥 손잡이(800)는 슬라이딩 부재(700)의 전방에 설치된다.
슬라이딩 부재(700)는 슬라이딩 부재(700)의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73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부재(700)는 돌기(730)에 의해 리프트(1300)와 연결된다.
슬라이딩 부재(700)는 리프트(130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한다.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일단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된다.
걸림돌기(31)는 리프트(1300)에 의해 위로 당겨지거나 원상태로 복귀한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
하우징(1110)은 장치의 전방 및 양측 및 상하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하우징(1110)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110)은 패널(10)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하우징(1110)은 전면과, 상기 전면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면을 둘러싸는 둘레부를 포함한다.
하우징(1110)의 전면 상부 양측에는 돌출부(720)가 관통되는 돌출부 관통공(111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둘레부에는 하우징(1110)의 양측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1가이드부(1112a)가 형성되어 있다. 제1가이드부(1112a)에는 돌기(73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좌측 또는 우측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가이드부(1112a)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700)는 가이드 된다.
제1가이드부(1112a)는 상기 둘레부의 인접한 다른 부분보다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둘레부에는 하우징(1110)의 양측 상부에는 막음판 삽입홈(1118)이 형성되어 있다. 막음판 삽입홈(1118)은 막음판(1500)의 막음판 돌출부(151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과 끼움홈이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좌측 또는 우측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홈은 가이드홈의 후방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막음판 삽입홈(1118)에 의해 막음판(1500)이 하우징(1110)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둘레부의 우측 하단에는 전선 연결부(1117)가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면의 후방에는 하우징 돌출부(1112c)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돌출부(1112c)는 양측의 돌출부 관통공(1111) 사이에 배치된다.
하우징 돌출부(1112c)는 제1관통공(70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부재(700)를 가이드 한다. 또한, 하우징 돌출부(1112c)는 속이 비도록 형성되며, 하우징 돌출부(1112c)의 내부에는 보강 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 리브에 패널(10)과 볼팅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를 경량화 할 수 있는 동시에 패널(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 돌출부(1112c)의 양측에는 제2가이드부(1112b)가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1112b)는 우측 또는 좌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이다. 제2가이드부(1112b)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1112b)는 돌출부(72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2가이드부(1112b)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700)는 가이드 된다.
하우징(1110)의 후방 중앙부에는 제1메인기어 끼움부(1115a)와 제2메인기어 끼움부(1115b)가 형성된다. 제1,2메인기어 끼움부(1115a,1115b)는 하우징 돌출부(1112c) 하부에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 끼움부(1115a)는 제2메인기어 끼움부(1115b)의 좌측에 배치된다.
제1,2메인기어 끼움부(1115a,1115b)는 후방으로 돌출된 원형의 띠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2메인기어 끼움부(1115a,1115b)에 의해 제1,2메인기어(1923,1924)는 전후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하우징(1110)의 후방 중앙부에는 제3센서(23)가 안착되는 제3센서 안착홈(1119)이 형성된다. 제3센서 안착홈(1119)은 하우징 돌출부(1112c)의 하부에, 제1,2메인기어 끼움부(1115a,1115b)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 끼움부(1115a)의 안쪽에는 도어래치 연결부(30)가 조립되는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1116)이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1116)은 후방으로 돌출된 판으로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1116)은 홈을 포함한다. 상기 홈은 포함한 판은 후방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 홈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110)의 후방 하부에는 구동부(1900)가 안착되는 구동부 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 안착부에는 상기 감속기어부가 안착되는 제1기어 안착홈(1113)과 모터(1910)가 안착되는 제1모터 안착홈(1114)이 형성된다. 제1모터 안착홈(1114)은 제1기어 안착홈(1113)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1기어 안착홈(1113)에는 각 기어의 축이 안착되는 축 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 안착부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는 구동부 커버(1120)와 볼팅 체결할 수 있는 커버 체결부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구동부>
구동부(1900)는 모터(1910)와, 모터(1910)에 의해 회전되는 감속기어부를 포함한다.
구동부(1900)는 차량 도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패널(10)의 내측에 배치된다.
구동부(1900)는 슬라이딩 부재(700)의 하부에 배치된다.
모터(1910)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우징(1110)의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킨다.
상기 감속기어부는 모터(1910)에 의해 회전되는 웜(1921)과, 웜(1921)에 의해 회전되는 서브기어(1922)와, 서브기어(1922)에 의해 회전되는 제1메인기어(1923)와, 제1메인기어(1923)에 의해 회전되는 제2메인기어(1924)를 포함한다.
웜(1921)은 모터(1910)의 축에 설치된다. 따라서 웜(1921)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서브기어(1922)는 큰 기어와 작은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큰 기어의 외경은 상기 작은 기어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큰 기어의 축과 상기 작은 기어의 축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큰 기어와 상기 작은 기어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서브기어(1922)의 축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큰 기어는 웜(1921)과 맞물리고, 상기 작은 기어는 제1메인기어(1923)와 맞물린다. 상기 큰 기어는 상기 작은 기어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1923)는 서브기어(1922)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1923)의 축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1923)의 좌측은 리프트(1300)의 랙(1302)과 맞물린다.
제2메인기어(1924)는 제1메인기어(1923)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2메인기어(1924)의 축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메인기어(1924)의 우측은 리프트(1300)의 랙(1302)과 맞물린다.
구동부(1900)와 바깥 손잡이(800)는 리프트(1300)와 슬라이딩 부재(700)를 통해 연결된다.
구동부(1900)는 바깥 손잡이(800)를 가동시킨다. 구동부(1900)는 바깥 손잡이(80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구동부 커버>
구동부 커버(1120)는 도 22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구동부 커버(1120)는 모터 커버(1121)와 감속기어부 커버(1122)를 포함한다.
모터 커버(1121)는 모터(1910)의 후방 및 양측 및 상하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모터 커버(1121)는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모터 커버(1121)의 중앙부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반원기둥의 형태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모터 커버(1121)는 제2모터 안착홈(1123)을 포함한다.
제2모터 안착홈(1123)은 모터(1910)를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 중 모터(1910)의 몸체를 지지하는 격벽은 모터(1910)의 몸체의 둘레를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격벽 중 모터(1910)의 축을 지지하는 격벽은 모터축 안착홈(1124)을 포함한다.
모터축 안착홈(1124)은 모터(1910)의 축의 둘레를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또한, 모터 커버(1121)의 우측면의 상부와 하부에는 제1볼트 체결부(1127a)가 우측으로 돌출되어 각각 형성된다.
제1볼트 체결부(1127a)의 일단은 모터 커버(1121)와 연결되고, 제1볼트 체결부(1127a)의 타단은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제1볼트 체결부(1127a)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1122)는 감속기어부의 후방 및 상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감속기어부 커버(1122)는 전방 및 양측 및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1122)의 상부는 상측이 굴곡진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1122)는 제2기어 안착홈(1125)을 포함한다.
감속기어부 커버(1122)의 후방의 상부와 하부에는 제2볼트 체결부(1127b)가 형성된다.
제2볼트 체결부(1127b)는 원형의 형태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구동부(1900)는 하우징(1110)과 구동부 커버(1120) 사이에 배치된다.
구동부 커버(1120)는 제1,2볼트 체결부(1127a,1127b)에 의해 하우징(1110)의 후방 하부에 볼팅 체결 된다. 따라서 구동부 커버(1120)는 하우징(11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리프트>
리프트(1300)는 하면과 상기 하면의 좌우 양단에 각각 연결된 좌면과 우면을 포함한다. 상기 하면은 좌우방향으로는 길게 전후방향으로는 짧게 형성된다. 상기 좌면과 상기 우면의 전후방향 폭은 상기 하면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 유사하다.
상기 좌면은 상기 하면의 좌측단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우면은 상기 하면의 우측단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리프트(1300)는 상부와 하부 그리고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리프트(1300)의 하면에는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1303)과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4)과 제3센서감지부(1310)가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1303)은 리프트(1300)의 하면의 좌측부에 배치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1303)은 리프트(1300)의 하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1303)은 원형의 홈과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1303)과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4)을 연결하는 선형의 홈을 포함한다.
상기 원형의 홈의 직경은 상기 선형의 홈의 전후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원형의 홈의 직경은 걸림돌기(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선형의 홈의 전후방향 폭은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의 폭보다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일단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된다.
상기 선형의 홈의 전후방향 폭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도어래치 연결부(30)가 리프트(1300)의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4)은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1303)의 좌측부의 배치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4)은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1303)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4)은 리프트(1300)의 하면에 윗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4)은 도어래치 연결부(30)가 관통되는 홈을 포함한다. 상기 홈은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4)의 중앙부에서부터 우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은 리프트(1300)의 하면을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의 폭은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의 폭보다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홈의 직경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도어래치 연결부(30)가 리프트(1300)의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4)은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가 안착되는 상부홈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홈은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4)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그로 인해,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1303)의 상기 원형의 홈을 통해 도어래치 연결부(30)를 아래에서 위로 삽입한 후,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1303)의 상기 선형의 홈을 따라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4)에 설치할 수 있다.
리프트(1300)의 상기 좌면과 상기 우면의 상부에는 슬라이딩 부재(700)의 돌기(730)가 관통되는 장공(1301)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장공(1301)의 일측은 장공의 타측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은 서로 높이차가 형성된다.
리프트(1300)의 상기 좌면과 상기 우면의 하부에는 제1,2메인기어(1923,1924)와 맞물리는 랙(1302)이 형성된다.
랙(1302)은 상기 좌면의 우측면과 상기 우면의 좌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리프트(1300)의 상기 좌면과 상기 우면의 하부에는 메인기어 걸림돌기(1305)가 각각 형성된다.
메인기어 걸림돌기(1305)는 랙(1302)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메인기어 걸림돌기(1305)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좌측 메인기어 걸림돌기(1305)는 제1메인기어(1923)의 좌측과 맞닿으며, 우측 메인기어 걸림돌기(1305)는 제2메인기어(1924)의 우측과 맞닿는다.
이로 인해, 메인기어 걸림돌기(1305)는 제1,2메인기어(1923,1924)의 전후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막음판>
막음판(150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막음판(1500)의 좌우방향 너비는 하우징(1110)의 좌우방향 너비와 동일 유사하다.
막음판(1500)은 중앙부와 좌우 양단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부의 좌우방향 너비는 슬라이딩 부재(700)의 좌우방향 너비와 동일 유사하다.
상기 중앙부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되었을 때 슬라이딩 부재(700)의 걸림부(710)의 후면에 상기 중앙부의 전면이 접할 수 있게,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좌우 양단은 조립시 리프트(1300)의 상기 하면보다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좌우 양단의 전면은 하우징(1110)의 상기 둘레부의 좌우 후면에 접한다.
막음판(1500)은 슬라이딩 부재(700)의 후방에 위치한다.
막음판(1500)과 하우징(1110) 사이에는 슬라이딩 부재(700)가 위치한다.
막음판(1500)은 하우징(1110)의 하우징 돌출부(1112c)에 볼트로 체결 된다.
그로 인해 막음판(1500)은 슬라이딩 부재(700)가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막음판(1500)의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복수의 막음판 돌출부(1510)가 형성된다. 막음판 돌출부(1510)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막음판 돌출부(1510)는 하우징(1110)의 막음판 삽입홈(1118)에 끼워진다.
그로 인해 막음판(1500)은 손쉽게 하우징(1110)에 조립될 수 있다.
막음판(1500)은 제1지지부재 관통공(1501)과 제2지지부재 관통공(1502)과 지지돌출부 관통공(1503)을 포함한다.
제1지지부재 관통공(1501)에는 바깥 손잡이(800)의 인입시 제1지지부재(410)의 돌기와, 슬라이딩 부재(700)의 제2센서 안착홈(704)과, 좌측 돌기(730)에 연결된 원판이 위치한다.
제2지지부재 관통공(1502)에는 바깥 손잡이(800)의 인입시 제2지지부재(420)의 돌기와, 우측 돌기(730) 연결된 원판이 위치한다.
지지돌출부 관통공(1503)에는 바깥 손잡이(800)의 인입시 슬라이딩 부재(700)의 지지돌출부(721)가 위치한다.
그로 인해, 바깥 손잡이(800)의 인입시 막음판(1500)과 지지부재(400) 또는 막음판(1500)과 슬라이딩 부재(70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바깥 손잡이 인출 과정>
이하에서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에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키나 리모컨, 스위치 등을 통해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구동부(1900)를 작동시킨다.
모터(1910)가 작동되면 웜(1921)이 회전하게 되고, 웜(1921)이 회전함에 따라 서브기어(1922)가 회전하게 되고, 서브기어(1922)가 회전함에 따라 제1메인기어(1923)가 회전하게 되고, 제1메인기어(1923)가 회전함에 따라 제2메인기어(1924)가 회전하게 된다.
제1,2메인기어(1923,1924)가 회전하면, 제1,2메인기어(1923,1924)와 맞물려 있는 리프트(1300)의 랙(1302)이 윗방향으로 올라가게 된다.
랙(1302)이 윗방향으로 올라가면 랙(1302)과 연결되어 있는 리프트(1300)도 윗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리프트(1300)가 윗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리프트(1300)의 장공(1301)에 위치해있는 슬라이딩 부재(700)의 돌기(730)가 장공(1301)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돌기(730)가 장공(1301)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면, 돌기(730)와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700) 및 바깥 손잡이(800)가 하우징(1110) 및 패널(10)에 대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슬라이딩 부재(700)의 돌출부(720)는 돌출부 관통공(1111)을 통해 패널(1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바깥 손잡이(800)도 패널(10)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슬라이딩 부재(700)의 돌출부(720)가 인출될 때 걸림부(710)는 패널(10) 및 하우징(1110)에 걸린다.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되면 바깥 손잡이(800)와 패널(10) 사이에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되어 사용자가 바깥 손잡이(800)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즉,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되면 바깥 손잡이(800)는 패널(10)의 외측면으로 이격 된다.
한편, 리프트(1300)가 윗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1300)의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4)에 의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이 당겨지게 된다. 케이블(33)이 당겨지게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2)가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완료 위치까지 돌출되게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2)를 제1센서(230)가 감지하게 된다. 제1센서(230)가 눌리게 되면, 제1센서(230)는 래치모터(210)의 전원을 인가한다.
한편,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완료 위치까지 인출 되면, 리프트(1300)가 제3센서(23)를 누르게 된다. 리프트(1300)가 제3센서(23)에 의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1900)의 작동을 멈춘다.
<바깥 손잡이 인입 과정>
이하에서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에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에는 바깥 손잡이(800)의 인출과 인입에 따른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키나 리모컨, 스위치, 차량의 속도 값 등을 통해 바깥 손잡이(800)의 인입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구동부(1900)를 작동시킨다.
모터(1910)가 바깥 손잡이(800)의 인출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리프트(1300)는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리프트(1300)가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리프트(1300)의 장공(1301)에 위치해있는 슬라이딩 부재(700)의 돌기(730)가 장공(1301)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돌기(730)가 장공(1301)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면, 돌기(730)와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700) 및 바깥 손잡이(800)가 하우징(1110) 및 패널(10)에 대해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슬라이딩 부재(700)의 돌출부(720)는 돌출부 관통공(1111)을 통해 패널(10)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바깥 손잡이(800)도 패널(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한편, 리프트(1300)가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1300)의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1304)에 의해 당겨져 있던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상태로 돌아온다. 케이블(33)이 원상태로 돌아오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2)가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완료 위치까지 인입되게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2)가 제1센서(230)에서 벗어나게 된다. 제1센서(230)가 눌리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래치모터(210)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로 인해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되어 있을 때 래치부(200)가 전기적으로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깥 손잡이(800)와 리프트(1300)가 인입 위치까지 이동되면 막음판(1500)에 막혀 멈추게 되고, 구동부(1900)의 전류 변동을 감지한 제어부가 전원을 차단하여 작동을 완료한다.
한편, 인입부에 별도의 위치감지 센서(미도시)를 더 추가하여 리프트(1300)와 구동부(1900) 작동시 부하를 줄여 좀 더 원활히 작동하게 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3과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는, 리프트(2300)와 슬라이딩 부재(2700)와 구동부(2900)와 도어래치 연결부(30)를 포함한다.
구동부(2900)는 모터(2910)와 감속기어부를 포함하며, 감속기어부는 제1웜(2921)과 제1더블기어와 제2더블기어와 랙(2926)을 포함한다.
구동부(2900)는 랙(2926)에 의해 리프트(2300)와 연결된다.
리프트(2300)는 구동부(29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핸들부는 바깥 손잡이(800)와 슬라이딩 부재(270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부재(2700)는 바깥 손잡이(800)의 좌측 후방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반대로 좌석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2700)는 바깥 손잡이(800)의 우측 후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핸들부에서 슬라이딩 부재(2700)가 설치된 쪽은 슬라이딩부가 되고, 슬라이딩 부재(2700)가 설치되지 않은 쪽은 회전중심부가 된다.
슬라이딩 부재(2700)는 슬라이딩 부재(2700)의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273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부재(2700)는 돌기(2730)에 의해 리프트(2300)와 연결된다.
슬라이딩 부재(2700)는 리프트(230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한다.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일단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된다.
걸림돌기(31)는 리프트(2300)에 의해 위로 당겨지거나 원상태로 복귀한다.
이하에서는 도 24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
하우징(2110)은 도 28 및 도 29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2110)은 장치의 전방 및 양측 및 상하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하우징(2110)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2110)은 패널(11)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하우징(2110)은 전면과, 상기 전면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면을 둘러싸는 둘레부를 포함한다.
하우징(2110)의 전면 상부 좌측에는 돌출부(2720)가 관통되는 돌출부 관통공(211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둘레부에는 하우징(2110)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1가이드부(2112a)가 형성되어 있다. 제1가이드부(2112a)에는 돌기(273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우측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가이드부(2112a)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2700)는 가이드 된다.
제1가이드부(2112a)는 상기 둘레부의 인접한 다른 부분보다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둘레부에는 하우징(2110)의 하부 및 양측 상부에는 막음판 삽입홈(2118)이 형성되어 있다. 막음판 삽입홈(2118)은 막음판(2500)의 막음판 돌출부(251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과 끼움홈이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홈은 가이드홈의 후방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막음판 삽입홈(2118)에 의해 막음판(2500)이 하우징(2110)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둘레부의 우측 하단에는 전선 연결부(2117)가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면의 후방에는 하우징 돌출부(2130)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돌출부(2130)는 돌출부 관통공(2111)의 우측에 배치된다.
하우징 돌출부(2130)는 속이 비도록 형성되며, 하우징 돌출부(2130)의 내부에는 보강 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 리브에 패널(11)과 볼팅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를 경량화 할 수 있는 동시에 패널(11)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 돌출부(2130)의 우측에는 지지부재 안착부(2131)가 하우징 돌출부(2130)의 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지지부재 안착부(2131)의 중앙부에는 지지부재 안착홈(2132)이 형성된다. 지지부재 안착홈(2132)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재 안착홈(2132)의 내부에 제2지지부재(420)가 배치되도록 지지부재 안착홈(2132)의 내벽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지지부재 안착돌기(2136)가 형성된다. 지지부재 안착돌기(2136)는 전측의 높이가 후측의 높이보다 높아서, 제2지지부재(420)가 설치되어 손잡이를 당길 때 제2지지부재(420)의 전면이 지지부재 안착돌기(2136)의 전측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지지부재 안착돌기(2136)에 의해 제2지지부재(420)는 전방으로 흘러나가지 않게 된다.
지지부재 안착부(2131)의 전방의 상부 및 하부에는 둘레부 안착홈(2133)이 형성된다. 둘레부 안착홈(2133)은 전방 및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둘레부 안착홈(2133)에는 바깥 손잡이(800)의 우측 결합부 둘레부(810)가 안착된다.
지지부재 안착부(2131)의 전면에는 고리 인출공(2134)과 후크 안착홈(2135)이 형성된다. 고리 인출공(2134)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지부재 안착홈(2132) 및 후크 안착홈(2135)에 연통 된다. 후크 안착홈(2135)은 전방과 좌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지지부재 안착부(2131)의 후방에는 핀 삽입홈(2137)이 형성된다. 핀 삽입홈(2137)은 지지부재 안착부(213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핀 삽입홈(2137) 중 우측에 형성되는 핀 삽입홈(2137)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좌측에 형성되는 핀 삽입홈(2137)은 우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핀 삽입홈(2137)은 제2핀(421)의 원활한 삽입을 위하여 하우징(2110) 둘레부의 우측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핀(421)은 핀 삽입홈(2137)을 통해 우측에서 좌측으로 삽입할 수 있으며, 조립 후엔 하우징 돌출부(2130)에 가로막힌다.
하우징 돌출부(2130)의 중앙부에는 램프 안착홈(2138)이 형성된다. 램프 안착홈(2138)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램프 안착홈(2138)의 지름은 램프(25)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램프 안착홈(2138)의 전방에는 상하좌우에 램프 걸림돌기(2139)가 형성되어 램프(25)가 전방으로 흘러나가지 않게 한다. 램프(25)는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인입, 인출, 당김 여부 또는 잠김 여부 등을 알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우징 돌출부(2130)의 좌측에는 제2가이드부(2112b)가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2112b)에는 돌기(273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좌측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2가이드부(2112b)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2700)는 가이드 된다.
돌출부 관통공(2111) 하부의 좌측 및 우측에는 제3가이드부(2112c)가 형성된다. 돌출부 관통공(2111) 하부의 좌측에는 제3가이드부(2112c)가 2개 형성되는데, 하나는 돌출부 관통공(2111)의 좌측면 바로 아래에, 나머지 하나는 돌출부 관통공(2111)의 좌측면보다 좌측 아래에 형성된다. 제3가이드부(2112c)는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후술할 리프트(2300)의 하우징 끼움홈(2307)에 삽입된다. 이러한 제3가이드부(2112c)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2700)는 가이드 된다.
제3가이드부(2112c)의 하부에는 도어래치 연결부(30)를 지지하는 도어래치 연결부 지지부(2116)가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지지부(2116)는 양 제3가이드부(2112c)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지지부(2116)는 후방으로 돌출되고 중공이 형성된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직육면체의 후단에는 도어래치 연결부(30)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래치 연결부 지지부(2116)에 의해 도어래치 연결부(30)는 전방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제3가이드부(2112c)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한 제3가이드부(2112c)의 좌측 및 후방에는 제3센서(24a,24b)가 안착되는 제3센서 안착홈(2119)이 위아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장 좌측에 위치한 제3가이드부(2112c)의 우측면과 제3센서 안착홈(2119)의 우측면은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두 제3센서 안착홈(2119)의 간격은 리프트(2300)가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는 최대거리와 동일 유사하다.
하우징(2110)의 후방 하부에는 구동부(2900)가 안착되는 구동부 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 안착부의 중앙부에는 제1더블기어 지지부(2115a)와 제2더블기어 끼움부(2115b)와 랙 끼움부(2115c)가 형성된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2115a)와 제2더블기어 끼움부(2115b)와 랙 끼움부(2115c)는 하우징 돌출부(2130) 하부에 배치된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2115a)는 제2더블기어 끼움부(2115b)의 우측에 배치되고, 제2더블기어 끼움부(2115b)는 랙 끼움부(2115c)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2115a)는 하우징(211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하에 각각 형성된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2115a)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육면체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은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는 웜 지지판(2930)이 끼워진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2115a) 중 위쪽에 형성되는 제1더블기어 지지부(2115a)는 좌측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개방된 부분에는 상기 제2더블기어의 큰 기어(2924)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1더블기어 지지부(2115a)와 웜 지지판(2930)으로 인해 상기 제1더블기어는 전후 및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제2더블기어 끼움부(2115b)는 하우징(2110)의 후방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더블기어 끼움부(2115b)의 중앙에는 구동부 커버(2120)와 볼팅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더블기어 끼움부(2115b)에 의해 제2더블기어는 전방 및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랙 끼움부(2115c)는 하우징(2110)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중공이 형성된 모서리가 둥근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랙 끼움부(2115c)는 랙(2926)의 하우징 끼움홈(2929)에 끼워진다. 이러한 랙 끼움부(2115c)에 의해 랙(2926)은 전방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 안착부에는 모터(2910)가 안착되는 모터 안착홈(2114)이 형성된다. 모터 안착홈(2114)은 제1더블기어 지지부(2115a)의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 안착부의 우측과 하부에는 구동부 커버(2120)와 볼팅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을 통해 하우징(2110)과 구동부 커버(2120)가 볼팅 체결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
슬라이딩 부재(2700)는 도 30 및 도 31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2700)는 판 형상의 걸림부(2710)와 걸림부(2710)의 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2720)를 포함한다.
걸림부(2710)는 돌출부(2720)보다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부(2720)의 전방에는 바깥 손잡이(800)의 좌측이 연결 된다.
슬라이딩 부재(2700)의 양측에는 돌기(273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되게 좌우에 각각 2개씩 돌출되어 형성된다. 슬라이딩 부재(2700)는 장공(2301)을 따라 양측의 돌기(2730)가 슬라이딩 되게 리프트(2300)와 연결된다.
돌기(2730)와 슬라이딩 부재(270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가이드용 원판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용 원판은 걸림부(271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2730) 또한 걸림부(2710)의 후방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부재(2700)의 중앙부에는 지지부재 안착홈(2701)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지지부재(410)가 지지부재 안착홈(2701)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슬라이딩 부재(2700)의 내벽의 상부와 하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지지부재 안착돌기(2707)가 형성된다. 지지부재 안착돌기(2707)는 전측의 높이가 후측의 높이보다 높아서, 제1지지부재(410)가 설치되어 손잡이를 당길 때 제1지지부재(410)의 전면이 지지부재 안착돌기(2707)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지지부재 안착돌기(2707)에 의해 제1지지부재(410)는 전방으로 흘러나가지 않게 된다.
슬라이딩 부재(2700)의 하부에는 제2센서 안착홈(2704)이 형성된다. 제2센서 안착홈(2704)은 지지부재 안착홈(2701)과 연통된다. 제2센서 안착홈(2704)은 지지부재 안착홈(2701)의 하부에 형성된다.
슬라이딩 부재(2700)의 돌출부(2720)의 전면에는 고리 인출공(2705)과 후크 안착홈(2706)이 형성된다. 고리 인출공(2705)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지부재 안착홈(2701) 및 후크 안착홈(2706)에 연통 된다. 후크 안착홈(2706)은 전방과 좌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돌출부(2720)의 후방에는 핀 삽입홈(2708)이 형성된다. 핀 삽입홈(2708)은 돌출부(272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핀 삽입홈(2708) 중 우측에 형성되는 핀 삽입홈(2708)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좌측에 형성되는 핀 삽입홈(2708)은 우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핀(411)은 핀 삽입홈(2708)을 통해 우측에서 좌측으로 삽입할 수 있으며, 조립 후엔 슬라이딩 부재(2700)의 좌측면에 가로막힌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2700)와 리프트(2300)를 조립한 후엔, 우측에 형성되는 핀 삽입홈(2708)도 리프트(2300)의 내측면에 의해 가로막혀, 제1핀(411)이 우측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돌출부(2720)의 전방의 상부 및 하부에는 둘레부 안착홈(2703)이 형성된다. 둘레부 안착홈(2703)은 전방 및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둘레부 안착홈(2703)에는 바깥 손잡이(800)의 좌측 결합부 둘레부(810)가 안착된다.
슬라이딩 부재(2700)는 차량 도어의 패널(1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다.
슬라이딩 부재(2700)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구동부>
구동부(2900)는 도 24 및 도 32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구동부(2900)는 모터(2910)와, 모터(2910)에 의해 회전되는 감속기어부를 포함한다.
구동부(2900)는 차량 도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패널(11)의 내측에 배치된다.
구동부(2900)는 하우징 돌출부(2130)의 하부에 배치된다.
모터(2910)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우징(2110)의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킨다.
상기 감속기어부는 모터(2910)에 의해 회전되는 제1웜(2921)과, 제1웜(2921)에 의해 회전되는 제1더블기어와, 상기 제1더블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제2더블기어와, 상기 제2더블기어에 의해 위아래로 슬라이딩 되는 랙(2926)을 포함한다.
제1웜(2921)은 모터(2910)의 축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1웜(2921)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더블기어는 제2웜(2923)과, 제2웜(2923)에 설치되는 웜 휠(2922)과 상기 제1더블기어의 축 양단에 끼워지는 웜 지지판(2930)을 포함한다.
제2웜(2923)의 축과 웜 휠(2922)의 축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웜(2923)과 웜 휠(2922)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제2웜(2923)과 웜 휠(2922)이 마주하는 부분에는 웜 휠(2922)의 기어 이를 연결하는 원판이 형성된다.
웜 휠(2922)의 외경은 제2웜(2923)의 외경과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더블기어는 제1웜(2921)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제1더블기어는 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웜 휠(2922)에 제1웜(2921)이 맞물린다. 상기 제1더블기어의 후방에 제1웜(2921)이 배치된다.
웜 지지판(2930)은 사각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웜 지지판(2930)의 중앙부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더블기어의 축을 끼울 수 있다. 웜 지지판(2930)은 하우징(2110)의 제1더블기어 지지부(2115a)에 끼워져, 상기 제1더블기어가 하우징(2110)에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더블기어는 큰 기어(2924)와 작은 기어(2925)를 포함한다. 큰 기어(2924)의 외경은 작은 기어(2925)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큰 기어(2924)의 축과 작은 기어(2925)의 축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큰 기어(2924)와 작은 기어(2925)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제2더블기어는 제2웜(2923)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제2더블기어의 축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큰 기어(2924)는 제2웜(2923)과 맞물리고, 작은 기어(2925)는 랙(2926)과 맞물린다. 상기 제2더블기어는 상기 제1더블기어보다 좌측에 배치되고, 큰 기어(2924)는 작은 기어(2925)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랙(2926)은 전체적으로 좌측이 절곡된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우측에는 기어 이가 형성되어 있다.
랙(2926)은 랙 돌출부(2927)와 리프트 삽입홈(2928)과 하우징 끼움홈(2929)을 포함한다.
랙 돌출부(2927)는 랙(2926)의 좌측에 좌측방향 및 후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리프트(2300)와 볼트 결합할 수 있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랙 돌출부(2927)는 리프트(2300)의 랙 삽입홈(2306)에 삽입된다.
리프트 삽입홈(2928)은 좌측 및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리프트(2300)의 리프트 돌출부(2305)가 삽입된다.
이런 랙(2926)에 의해 리프트(230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랙(2926)의 체결부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된다.
하우징 끼움홈(2929)은 랙(2926)의 중앙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하우징 끼움홈(2929)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하우징 끼움홈(2929)의 좌우방향 폭은 하우징(2110)의 랙 끼움부(2115c)의 좌우방향 폭과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하우징 끼움홈(2929)에는 하우징(2110)의 랙 끼움부(2115c)가 끼워져, 랙(2926)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때 랙(2926)을 가이드 해준다.
랙(2926)은 작은 기어(2925)와 맞물리고, 랙(2926)은 리프트(2300)와 볼트 체결된다. 랙(2926)은 큰 기어(2924)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구동부(2900)와 바깥 손잡이(800)는 리프트(2300)와 슬라이딩 부재(2700)를 통해 연결된다.
구동부(2900)는 바깥 손잡이(800)를 가동시킨다. 구동부(2900)는 바깥 손잡이(80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구동부 커버>
구동부 커버(2120)는 도 33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구동부 커버(2120)는 모터 커버(2121)와 감속기어부 커버(2122)를 포함한다.
모터 커버(2121)는 모터(2910)의 후방 및 양측 및 상하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모터 커버(2121)는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모터 커버(2121)의 중앙부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반원기둥의 형태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모터 커버(2121)는 모터 안착홈(2123)을 포함한다.
모터 안착홈(2123)은 모터(2910)를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 중 모터(2910)의 몸체를 지지하는 격벽은 모터(2910)의 몸체의 둘레를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격벽 중 모터(2910)의 축을 지지하는 격벽은 모터축 안착홈(2124)을 포함한다.
모터축 안착홈(2124)은 모터(2910)의 축의 둘레를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모터 커버(2121)는 하우징(2110)의 모터 안착홈(2114)의 측벽을 감쌀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모터 커버(2121)의 우측면에는 볼트 체결부(2129b)가 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볼트 체결부(2129b)의 일단은 모터 커버(2121)와 연결된다.
볼트 체결부(2129b)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2122)는 감속기어부의 후방 및 우측 및 상하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감속기어부 커버(2122)는 전방 및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2122)의 상부는 상기 제1더블기어와 제2더블기어의 상부 형상에 따라 우측은 평평한 형태로, 좌측은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2122)는 감속기어부 안착홈(2125)을 포함한다.
감속기어부 안착홈(2125)은 제1웜기어 안착홈(2126)과 제1더블기어 지지부(2127)와 제2더블기어 돌출부(2128)를 포함한다.
제1웜기어 안착홈(2126)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반원기둥의 형태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웜기어 안착홈(2126)은 제1웜(2921)의 축을 지지할 수 있는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고, 전방이 개방된 홈이 형성되어 제1웜(2921)의 축이 삽입된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2127)는 감속기어부 커버(2122)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하에 각각 형성된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2127)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육면체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은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는 웜 지지판(2930)이 끼워진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2127) 중 위쪽에 형성되는 제1더블기어 지지부(2127)는 좌측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개방된 부분에는 감속기어부의 큰 기어(2924)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1더블기어 지지부(2127)와 웜 지지판(2930)으로 인해 상기 제1더블기어는 전후 및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2127)는 모터 안착홈(2123)의 좌측에 배치된다.
아래쪽 제1더블기어 지지부(2127)의 좌측에는 볼트 체결부(2129c)가 형성된다.
볼트 체결부(2129c)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2더블기어 돌기부(2128)는 감속기어부 커버(2122)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더블기어 돌기부(2128)의 전면은 제2더블기어의 큰 기어(2924)의 후면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하지만 제2더블기어 돌기부(2128)는 상기 제2더블기어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도 큰 기어(2924)와 제2웜(2923), 또는 작은 기어(2925)와 랙(2926)이 맞물린 부분에 이상이 생기지 않도록 큰 기어(2924)의 후면과 충분히 가깝도록 형성된다.
제2더블기어 돌기부(2128)는 제1더블기어 지지부(2127)의 좌측에 배치된다.
제2더블기어 돌기부(2128)의 중앙부에는 볼트 체결부(2129a)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원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볼트 체결부(2129a)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은 조립 후, 하우징(2110)의 제2더블기어 끼움부(2115b)에 형성된 체결부와 연통된다.
구동부(2900)는 하우징(2110)과 구동부 커버(2120) 사이에 배치된다.
구동부 커버(2120)는 볼트 체결부(2129a,2129b,2129c)에 의해 하우징(2110)의 후방 하부에 볼팅 체결 된다. 따라서 구동부 커버(2120)는 하우징(21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리프트>
리프트(2300)는 도 24 및 도 34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리프트(2300)는 하면과 상기 하면의 좌우 양단에 각각 연결된 좌면과 우면을 포함한다. 상기 하면의 좌우방향 폭은 슬라이딩 부재(2700)의 걸림부(2710)의 좌우방향 폭보다 약간 크다. 상기 좌면과 상기 우면의 전후방향 폭은 상기 하면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 유사하다.
상기 좌면은 상기 하면의 좌측단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우면은 상기 하면의 우측단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리프트(2300)는 상부와 하부 그리고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리프트(2300)의 하면에는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2303)과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2304)이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2303)은 리프트(2300)의 하면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2303)은 리프트(2300)의 하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2303)은 원형의 홈과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2303)과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2304)을 연결하는 선형의 홈을 포함한다.
상기 원형의 홈의 직경은 상기 선형의 홈의 전후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원형의 홈의 직경은 걸림돌기(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선형의 홈의 좌우방향 폭은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의 폭보다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선형의 홈의 좌우방향 폭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도어래치 연결부(30)가 리프트(2300)의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2304)은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2303)의 전방에 배치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2304)은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2303)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2304)은 리프트(2300)의 하면에 윗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2304)은 도어래치 연결부(30)가 관통되는 홈을 포함한다. 상기 홈은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2304)의 중앙부에서부터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은 리프트(2300)의 하면을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의 폭은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의 폭보다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홈의 직경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도어래치 연결부(30)가 리프트(2300)의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2304)은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가 안착되는 상부홈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홈은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2304)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그로 인해,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2303)의 상기 원형의 홈을 통해 도어래치 연결부(30)를 아래에서 위로 삽입한 후,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2303)의 상기 선형의 홈을 따라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2304)에 설치할 수 있다.
리프트(2300)의 좌면 하부에는 제3센서 누름부(2302)가 형성된다.
제3센서 누름부(2302)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센서 누름부(2302)는 리프트(2300)가 일정이상 내려가면 아래쪽에 있는 제3센서(24a)를 누르고, 리프트(2300)가 일정이상 올라가면 위쪽에 있는 제3센서(24b)를 누른다.
제3센서 누름부(2302) 전면의 우측에는 하우징 끼움홈(2307)이 형성된다.
하우징 끼움홈(2307)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하우징 끼움홈(2307)에는 하우징(2110)의 제3가이드부(2112c)가 삽입되어 리프트(230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가이드해준다.
리프트(2300)의 상기 좌면과 상기 우면의 상부에는 슬라이딩 부재(2700)의 돌기(2730)가 관통되는 장공(2301)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장공(2301)의 일측은 장공의 타측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은 서로 높이차가 형성된다.
제3실시예의 경우 장공(2301)의 상기 일측은 상기 타측보다 아래쪽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다르게 상기 일측이 상기 타측보다 위쪽에 형성될 수도 있다.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의 전후방향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장공(2301)의 타측의 위치에 따라 상기 좌면과 우면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된 부분은 후술할 막음판(2500)의 제1지지부재 관통공(2501)에 위치하게 되어, 돌출된 길이만큼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의 전후방향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리프트(2300) 하면의 전측에는 좌우 양쪽에 하우징 끼움홈(2307)이 형성된다.
하우징 끼움홈(2307)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하우징 끼움홈(2307)에는 하우징(2110)의 제3가이드부(2112c)가 삽입되어 리프트(230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가이드해준다.
리프트(2300)의 우면 하부에는 리프트 돌출부(2305)와 랙 삽입홈(2306)이 형성된다.
리프트 돌출부(2305)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반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리프트 돌출부(2305)에는 랙(2926)과 볼트 결합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조립 후 랙(2926)의 체결부와 연통된다.
랙 삽입홈(2306)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랙 삽입홈(2306)에는 랙(2926)의 랙 돌출부(2927)가 삽입된다.
<막음판>
막음판(2500)은 도 35 및 도 36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막음판(250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막음판(2500)의 좌우방향 너비는 하우징(2110)의 좌우방향 너비와 동일 유사하다.
막음판(2500)은 하우징 지지부(2503)를 포함한다.
하우징 지지부(2503)의 좌우방향 너비는 하우징(2110)의 우측 막음판 삽입홈(2118)의 좌측면부터 하우징 돌출부(2130)의 우측면까지의 거리와 동일 유사하다.
하우징 지지부(2503)는 하우징 돌출부(2130)의 후면에 하우징 지지부(2503)의 접면이 접할 수 있게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 지지부(2503)에는 하우징(2110)과 볼트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조립 후 하우징(2110)의 하우징 돌출부(2130)의 체결부와 연통된다.
하우징 지지부(2503)의 우측부에는 제2지지부재 관통공(2502)이 형성된다. 제2지지부재 관통공(2502)에는 제2지지부재(420)의 돌기가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2지지부재(420)의 돌기와 막음판(250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 지지부(2503)의 좌측에는 제1지지부재 관통공(2501)이 형성된다. 제1지지부재 관통공(2501)에는 리프트(2300)의 후면 상부와 바깥 손잡이(800) 인입시 후방으로 이동한 슬라이딩 부재(2700)의 가이드용 원판이 위치하게 된다.
제1지지부재 관통공(2501)의 좌측에는 돌기 안착홈(2504)이 중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돌기 안착홈(2504)에는 바깥 손잡이(800) 인입시 후방으로 이동한 슬라이딩 부재(2700)의 좌측 돌기(2730)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제1지지부재 관통공(2501)과 돌기 안착홈(2504)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2700)의 돌기(2730) 및 리프트(2300)와 막음판(250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막음판(2500)에는 상술한 구멍 외에도 경량화 및 강도 보강을 위한 구멍이 다수 형성된다. 구멍과 구멍 사이에 폭이 얇게 형성되는 부분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중간에 후방이 오목하고 전방이 볼록한 부분이 형성된다.
막음판(2500)의 좌우측 및 하측에는 막음판 돌출부(2510)가 복수 개로 형성된다. 막음판 돌출부(2510)는 후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막음판 돌출부(2510)는 하우징(2110)의 막음판 삽입홈(2118)에 끼워진다.
그로 인해 막음판(2500)은 손쉽게 하우징(2110)에 조립될 수 있다.
<바깥 손잡이 인출 과정>
이하에서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6에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키나 리모컨, 스위치 등을 통해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구동부(2900)를 작동시킨다.
모터(2910)가 작동되면 제1웜(2921)이 회전하게 되고, 제1웜(2921)이 회전함에 따라 제1더블기어의 웜 휠(2922)이 회전하게 되고, 웜 휠(2922)과 함께 제2웜(2923)도 회전하게 된다.
제2웜(2923)이 회전하면 제2더블기어의 큰 기어(2924)가 회전하게 되고, 큰 기어(2924)와 함께 작은 기어(2925)도 회전하게 된다.
작은 기어(2925)가 회전하면, 작은 기어(2925)와 맞물려 있던 랙(2926)이 윗방향으로 올라가게 된다.
랙(2926)이 윗방향으로 올라가면 랙(2926)과 연결되어 있는 리프트(2300)도 윗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리프트(2300)가 윗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리프트(2300)의 장공(2301)에 위치해있는 슬라이딩 부재(2700)의 돌기(2730)가 장공(2301)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돌기(2730)가 장공(2301)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면, 돌기(2730)와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2700) 및 바깥 손잡이(800)의 슬라이딩부가 하우징(2110) 및 패널(11)에 대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슬라이딩 부재(2700)의 돌출부(2720)는 돌출부 관통공(2111)을 통해 패널(11)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바깥 손잡이(800)의 슬라이딩부도 패널(11)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이 때, 바깥 손잡이(800)의 회전중심부는 하우징(2110)의 지지부재 안착홈(2132)에 위치한 결합고리(401)에 연결되어 패널(11)의 외측으로 슬라이드 되지 않으므로, 바깥 손잡이(800)는 상기 회전중심부를 중심으로 패널(11)에 대해 비스듬하게 회전하며 인출된다.
슬라이딩 부재(2700)의 돌출부(2720)가 인출될 때 걸림부(2710)는 패널(11)에 걸린다.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되면 바깥 손잡이(800)와 패널(11) 사이에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되어 사용자가 바깥 손잡이(800)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즉,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되면 바깥 손잡이(800)는 패널(11)의 외측면으로 이격 된다.
한편, 리프트(2300)가 윗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2300)의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2304)에 의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이 당겨지게 된다. 케이블(33)이 당겨지게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2)가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완료 위치까지 인출되게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2)를 제1센서(230)가 감지하게 된다. 제1센서(230)가 눌리게 되면, 제1센서(230)는 래치모터(210)의 전원을 인가한다.
한편,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완료 위치까지 인출 되면, 리프트(2300)가 위쪽의 제3센서(24b)를 누르게 된다. 리프트(2300)가 위쪽의 제3센서(24b)에 의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2900)의 작동을 멈춘다.
<바깥 손잡이 인입 과정>
이하에서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7에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에는 바깥 손잡이(800)의 인출과 인입에 따른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키나 리모컨, 스위치, 차량의 속도 값 등을 통해 바깥 손잡이(800)의 인입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구동부(2900)를 작동시킨다.
모터(2910)가 바깥 손잡이(800)의 인출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리프트(2300)는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리프트(2300)가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리프트(2300)의 장공(2301)에 위치해있는 슬라이딩 부재(2700)의 돌기(2730)가 장공(2301)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돌기(2730)가 장공(2301)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면, 돌기(2730)와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2700) 및 바깥 손잡이(800)의 슬라이딩부가 하우징(2110) 및 패널(11)에 대해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슬라이딩 부재(2700)의 돌출부(2720)는 돌출부 관통공(2111)을 통해 패널(11)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바깥 손잡이(800)도 패널(1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한편, 리프트(2300)가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2300)의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2304)에 의해 당겨져 있던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상태로 돌아온다. 케이블(33)이 원상태로 돌아오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2)가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완료 위치까지 인입되게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2)가 제1센서(230)에서 벗어나게 된다. 제1센서(230)가 눌리지 않으면, 제1센서(230)는 래치모터(210)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로 인해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되어 있을 때 래치부(200)가 전기적으로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완료 위치까지 인입 되면, 리프트(2300)가 아래쪽의 제3센서(24a)를 누르게 된다. 리프트(2300)가 아래쪽의 제3센서(24a)에 의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2900)의 작동을 멈춘다.
<바깥 손잡이를 통한 도어 오픈 과정>
이하에서는 바깥 손잡이(800)를 통한 도어 오픈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7에는 바깥 손잡이(800)가 당겨진 상태가 나타나 있다.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깥 손잡이(800)를 사용자 쪽으로 잡아당기면, 바깥 손잡이(800)는 바깥 손잡이(800)의 회전중심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바깥 손잡이(800)의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 부재(27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제1지지부재(410)를 통해 연결되었기 때문에, 바깥 손잡이(800)의 슬라이딩부는 제1지지부재(410)와 함께 슬라이딩 부재(2700) 및 패널(11)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즉, 지지부재(400)와 연동된 제2센서(22)의 인식이 감지되면서 제어부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래치부(200)에 도어오픈 명령을 내린다. 이와 같이 래치부(200)가 전기신호를 받아 래치모터(210)가 작동하면, 래치부(200)의 도어 닫음이 해제(래치의 로킹이 해제)되어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사용자가 바깥 손잡이(800)를 놓게 되면 수축되었던 스프링(40)에 의해 바깥 손잡이(800)의 타측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바깥 손잡이 조립 과정>
이하에서는 바깥 손잡이(800)와 슬라이딩 부재(2700)와 지지부재(400)가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8에는 바깥 손잡이(800)와 슬라이딩 부재(2700)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지지부재(400)의 결합고리(401)에 스프링(40)을 끼워 넣은 후에 지지부재(400)를 하우징(2110)의 지지부재 안착홈(2132)과 슬라이딩 부재(2700)의 지지부재 안착홈(2701)에 각각 삽입한다.
제1지지부재(410)의 후방에는 제1핀(411)을 설치하여 제1지지부재(410)가 조립시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제2지지부재(420)의 후방에는 제2핀(421)을 설치하여 제2지지부재(420)가 조립시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제1지지부재(410)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좌측부가 개방되어 있고, 제2지지부재(420)는 패널(11)과의 간섭 없이 좌측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제1지지부재(410) 및 제2지지부재(420)에 대해 바깥 손잡이(800)를 우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결합부 둘레부(810)는 둘레부 안착홈(2133,2703)에 안착되고, 탄성후크(811)는 결합고리(401)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단순한 동작만으로도 조립이 완료된다.
====================제4실시예=======================
전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9 내지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는, 리프트(3300)와 슬라이딩 부재(3700)와 구동부(3900)와 도어래치 연결부(30)를 포함한다.
구동부(3900)는 모터(3910)와 감속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기어부는 제1웜(3921)과 제1더블기어와 제2더블기어와 제1메인기어(3926)와 제2메인기어(3927)와 랙을 포함한다.
구동부(3900)는 상기 랙에 의해 리프트(3300)와 연결된다.
리프트(3300)는 구동부(39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핸들부는 바깥 손잡이(800)와 슬라이딩 부재(370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부재(3700)는 바깥 손잡이(800)의 후방에 설치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는 일측에 슬라이딩 부재(37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373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부재(3700)의 타측에는 슬라이딩핀(3740)이 설치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는 돌기(3730) 및 슬라이딩핀(3740)에 의해 리프트(3300)와 연결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는 리프트(330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한다.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일단에는 걸림돌기(31)가 형성된다.
걸림돌기(31)는 리프트(3300)에 의해 위로 당겨지거나 원상태로 복귀한다.
이하에서는 도 40 내지 도 54를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
하우징(3110)은 도 44 및 도 45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3110)은 장치의 전방 및 양측 및 상하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하우징(3110)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3110)은 패널(11)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하우징(3110)은 상부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돌출된 하우징(3110)의 하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바깥 손잡이(800)와 차량용 도어의 밑면 사이의 공간이 좌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차량용 도어에 대한 장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하우징(3110)의 하부의 좌측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경사진 하우징(3110)의 좌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바깥 손잡이(800)와 차량용 도어의 밑면 사이의 공간이 좌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차량용 도어에 대한 장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하우징(3110)은 전면과, 상기 전면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면을 둘러싸는 둘레부를 포함한다.
하우징(3110)의 전면 상부 양측에는 돌출부(3720)가 관통되는 돌출부 관통공(311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둘레부에는 하우징(3110) 상부의 우측에 배치되도록 제1가이드부(3112a)가 형성되어 있다. 제1가이드부(3112a)에는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기(373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좌측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가이드부(3112a)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3700)는 가이드 된다.
제1가이드부(3112a)는 상기 둘레부의 인접한 다른 부분보다 좌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둘레부에는 하우징(3110)의 양측에는 막음판 삽입홈(3118)이 형성되어 있다. 막음판 삽입홈(3118)은 막음판(3500)의 막음판 돌출부(3514)가 삽입되는 가이드홈과 끼움홈이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홈은 상기 가이드홈의 후방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막음판 삽입홈(3118)에 의해 막음판(3500)이 하우징(3110)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둘레부의 우측 하단에는 전선 연결부(3117)가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면의 후방에는 하우징 돌출부(3112c)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돌출부(3112c)는 양측의 돌출부 관통공(3111) 사이에 배치된다.
하우징 돌출부(3112c)에는 패널(11)과 볼팅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3110)을 패널(11)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둘레부에는 하우징(3110) 상부의 좌측에 배치되도록 제2가이드부(3112b)가 형성되어 있다. 제2가이드부(3112b)에는 돌기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기의 윗면은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출부(3720)의 밑면과 맞닿는다. 상기 돌기는 하우징(3110)과 슬라이딩 부재(3700)의 접촉면적을 줄여준다. 이러한 제2가이드부(3112b)로 인해 슬라이딩 부재(3700)와 하우징(3110) 사이의 마찰력이 줄어든다.
하우징(3110)의 후방 중앙부에는 제1메인기어 끼움부(3115a)와 제2메인기어 끼움부(3115b)가 형성된다. 제1,2메인기어 끼움부(3115a,3115b)는 하우징 돌출부(3112c) 하부에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 끼움부(3115a)는 제2메인기어 끼움부(3115b)의 좌측에 배치된다.
제1,2메인기어 끼움부(3115a,3115b)는 후방으로 돌출된 원형의 띠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2메인기어 끼움부(3115a,3115b)에 의해 제1,2메인기어(3926,3927)는 전방 및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제1,2메인기어 끼움부(3115a,3115b)의 중앙에는 구동부 커버(3120)와 볼팅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하우징(3110)의 후방 하부에는 막음판(3500)과 볼팅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는 제1메인기어 끼움부(3115a)의 좌측 하부와 제2메인기어 끼움부(3115b)의 우측 하부에 형성된다.
하우징(3110)의 후방 하부에는 제3센서(24a,24b)가 안착되는 제3센서 안착홈(3119)이 위아래에 각각 형성된다. 제3센서 안착홈(3119)은 제2메인기어 끼움부(3115b)의 우측에 배치된다. 두 제3센서 안착홈(3119)의 간격은 리프트(3300)가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는 최대거리와 동일 유사하다.
하우징(3110)의 후방 하부에는 구동부(3900)가 안착되는 구동부 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 안착부에는 상기 감속기어부가 안착되는 제1더블기어 지지부(3113a)와 제2더블기어 끼움부(3113b)가 형성된다. 제2더블기어 끼움부(3113b)는 제1메인기어 끼움부(3115a)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더블기어 지지부(3113a)는 제2더블기어 끼움부(3113b)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3113a)는 하우징(311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하에 각각 형성된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3113a)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육면체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은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는 웜 지지판(3930)이 끼워진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3113a) 중 위쪽에 형성되는 제1더블기어 지지부(3113a)는 좌측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개방된 부분에는 상기 제2더블기어의 큰 기어(3924)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1더블기어 지지부(3113a)와 웜 지지판(3930)으로 인해 상기 제1더블기어는 전방 및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제2더블기어 끼움부(3113b)는 하우징(3110)의 후방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더블기어 끼움부(3113b)의 중앙에는 구동부 커버(3120)와 볼팅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더블기어 끼움부(3113b)에 의해 상기 제2더블기어는 전방 및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 안착부에는 모터(3910)가 안착되는 모터 안착홈(3114)이 형성된다. 모터 안착홈(3114)은 제1더블기어 지지부(3113a)의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 안착부의 양측에는 구동부 커버(3120)와 볼팅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을 통해 하우징(3110)과 구동부 커버(3120)가 볼팅 체결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
슬라이딩 부재(3700)는 도 46 및 도 47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3700)는 판 형상의 걸림부(3710)와 걸림부(3710)의 전방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3720)를 포함한다. 돌출부(3720) 간의 중심은 걸림부(3710)의 중심보다 좌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깥 손잡이(800)와 차량용 도어의 밑면 사이의 공간이 좌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차량용 도어에 대한 장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양측 돌출부(3720)의 전방에는 바깥 손잡이(80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연결 된다.
걸림부(3710)의 중심부에는 슬라이딩 돌출부(3702)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돌출부(3702)는 양측의 돌출부(3720) 사이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돌출부(3702)는 슬라이딩 부재(370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 돌출부(3702)의 전면도 슬라이딩 부재(370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 돌출부(3702)에는 하우징 돌출부(3112c)의 체결부에 체결된 볼트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좌우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돌출부(3702)에 의해 핸들부가 인출될 때 하우징 돌출부(3112c)가 슬라이딩 돌출부(3702)의 전방에 삽입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3700)의 양측 돌출부(3720)에는 지지부재 안착홈(3701)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2지지부재(3410,3420)가 지지부재 안착홈(3701)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슬라이딩 부재(3700)의 내벽의 좌면과 우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지지부재 안착돌기(3707)가 형성된다. 지지부재 안착돌기(3707)는 전측의 높이가 후측의 높이보다 높아서, 제1,2지지부재(3410,3420)가 설치될 때 제1,2지지부재(3410,3420)의 전면이 지지부재 안착돌기(3707)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지지부재 안착돌기(3707)에 의해 제1,2지지부재(3410,3420)는 전방으로 흘러나가지 않게 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의 우측에는 돌기(3730)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는 장공(3301)을 따라 돌기(3730)가 슬라이딩 되게 리프트(3300)와 연결된다.
돌기(3730)와 슬라이딩 부재(370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가이드용 원판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용 원판은 걸림부(371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3730) 또한 걸림부(3710)의 후방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의 좌측에는 슬라이딩핀 삽입부(3709)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핀 삽입부(3709)는 슬라이딩 돌출부(3702)와 좌측 지지부재 안착홈(3701) 사이에 배치된다.
슬라이딩핀 삽입부(3709)는 2개의 돌기가 좌우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돌기의 사이에는 전후방향 및 하부가 개방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리프트(3300)의 좌면(3320)이 삽입된다. 상기 돌기 중 우측 돌기에는 핀 삽입홈이 좌측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기 중 좌측 돌기에는 핀 삽입홈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슬라이딩핀(3740)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3700)는 장공(3301)을 따라 슬라이딩핀(3740)이 슬라이딩 되게 리프트(3300)와 연결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의 좌측에는 제2센서 안착홈(3704)이 형성된다. 제2센서 안착홈(3704)은 좌측의 지지부재 안착홈(3701)과 연통된다. 제2센서 안착홈(3704)은 지지부재 안착홈(3701)의 좌측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하우징(3110)의 전체적인 높이를 줄일 수 있으며 제1지지부재(3410)를 원활하게 감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출부(3720)의 전면에는 고리 인출공(3705)과 후크 안착홈(3706)이 형성된다. 고리 인출공(3705)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지부재 안착홈(3701) 및 후크 안착홈(3706)에 연통 된다. 후크 안착홈(3706)은 전방과 좌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돌출부(3720)의 후방에는 핀 삽입홈(3708a,3708b)이 형성된다. 핀 삽입홈(3708a)은 돌출부(3720)의 위쪽에, 핀 삽입홈(3708b)은 돌출부(3720)의 아래쪽에 각각 형성된다. 핀 삽입홈(3708a)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핀 삽입홈(3708b)은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핀 삽입홈(3708a)으로 인해, 제1,2핀(3401,3402)은 핀 삽입홈(3708a,3708b)을 통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삽입할 수 있으며, 조립 후엔 핀 삽입홈(3708b)에 가로막힌다.
핀 삽입홈(3708a)으로 인해 걸림부(3710)에는 핀 삽입홈(3708a)이 위치한 부분에 전후방향 및 상부가 개방되게 홈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2핀(3401,3402)이 조립공차에 의해 핀 삽입홈(3708a)보다 위로 노출되어도, 슬라이딩 부재(3700)가 작동될 때 제1,2핀(3401,3402)이 다른 부재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3720)의 전방의 상부 및 하부에는 둘레부 안착홈(3703)이 형성된다. 둘레부 안착홈(3703)은 전방 및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둘레부 안착홈(3703)에는 바깥 손잡이(800)의 결합부 둘레부(810)가 안착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는 차량 도어의 패널(1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다.
슬라이딩 부재(3700)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지지부재>
지지부재(3400)는 바깥 손잡이(80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지지부재(3410)와 바깥 손잡이(800)의 타측(우측)에 연결되는 제2지지부재(3420)를 포함한다.
제1,2지지부재(3410,3420)는 제1,2지지본체(3412,3422)와, 제1,2지지본체(3412,3422)의 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2결합고리(3411,3421)를 포함한다.
제1,2지지부재(3410,3420)의 제1,2지지본체(3412,3422)의 후방에는 제1,2핀(3401,3402)이 설치된다. 제1,2핀(3401,3402)의 양측은 슬라이딩 부재(3700)의 핀 삽입홈(3708a,3708b)에 설치되어, 제1,2지지부재(3410,3420)는 슬라이딩 부재(3700)보다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지 않는다.
제1지지부재(3410)의 좌측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기의 좌측은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 완료된 후 슬라이딩 부재(3700)의 배면보다 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기의 좌측면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우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로 인해, 제1지지부재(341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될 때 손쉽게 제2센서(22)를 누를 수 있다.
제1지지부재(3410)는 바깥 손잡이(800)를 당기기 전에는 제2센서(22)를 누르고 있다가, 바깥 손잡이(800)를 당겨 제1지지부재(341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2센서(22)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로 인해, 손쉽게 바깥 손잡이(800)의 당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지지부재(3400)는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출부(3720)의 후방에 형성된 지지부재 안착홈(3701)에 안착된다.
제1,2결합고리(3411,3421)에는 탄성후크(811)가 끼워지는 구멍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1,2결합고리(3411,3421)는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출부(3720)의 전면에 형성된 고리 인출공(3705)을 통해 돌출부(3720) 외측으로 인출된다.
<구동부>
구동부(3900)는 도 40 및 도 48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구동부(3900)는 모터(3910)와, 모터(3910)에 의해 회전되는 감속기어부를 포함한다.
구동부(3900)는 차량 도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패널(11)의 내측에 배치된다.
구동부(3900)는 하우징 돌출부(3112c)의 하부에 배치된다.
모터(3910)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우징(3110)의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킨다.
상기 감속기어부는 모터(3910)에 의해 회전되는 제1웜(3921)과, 제1웜(3921)에 의해 회전되는 제1더블기어와, 상기 제1더블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제2더블기어와, 상기 제2더블기어에 회전되는 제1메인기어(3926)와, 제1메인기어(3926)에 의해 회전되는 제2메인기어(3927)와, 제1,2메인기어(3926,3927)에 의해 위아래로 슬라이딩 되는 랙을 포함한다.
제1웜(3921)은 모터(3910)의 축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1웜(3921)의 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더블기어는 제2웜(3923)과, 제2웜(3923)에 설치되는 웜 휠(3922)과 상기 제1더블기어의 축 양단에 끼워지는 웜 지지판(3930)을 포함한다.
제2웜(3923)의 축과 웜 휠(3922)의 축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웜(3923)과 웜 휠(3922)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제2웜(3923)과 웜 휠(3922)이 마주하는 부분에는 웜 휠(3922)의 기어 이를 연결하는 원판이 형성된다.
웜 휠(3922)의 외경은 제2웜(3923)의 외경과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1더블기어는 제1웜(3921)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제1더블기어는 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웜 휠(3922)에 제1웜(3921)이 맞물린다. 상기 제1더블기어의 후방에 제1웜(3921)이 배치된다.
웜 지지판(3930)은 사각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웜 지지판(3930)의 중앙부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더블기어의 축을 끼울 수 있다. 웜 지지판(3930)은 하우징(3110)의 제1더블기어 지지부(3113a)에 끼워져, 상기 제1더블기어가 하우징(3110)에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더블기어를 제1웜(3921)과 상기 제2더블기어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제1웜(3921)에 상기 제2더블기어를 바로 맞물리는 구조에 비해 구동부(3900)의 감속비를 높여 고급스러운 작동감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2더블기어는 큰 기어(3924)와 작은 기어(3925)를 포함한다. 큰 기어(3924)의 외경은 작은 기어(3925)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큰 기어(3924)의 축과 작은 기어(3925)의 축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큰 기어(3924)와 작은 기어(3925)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상기 제2더블기어는 제2웜(3923)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제2더블기어의 축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큰 기어(3924)는 제2웜(3923)과 맞물리고, 작은 기어(3925)는 제1메인기어(3926)와 맞물린다. 상기 제2더블기어는 상기 제1더블기어보다 좌측에 배치되고, 큰 기어(3924)는 작은 기어(3925)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3926)는 작은 기어(3925)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3926)의 축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3926)의 좌측은 제1랙(3928)과 맞물린다.
제2메인기어(3927)는 제1메인기어(3926)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2메인기어(3927)의 축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메인기어(3927)의 우측은 제2랙(3929)과 맞물린다.
랙은 제1랙(3928)과 제2랙(3929)을 포함한다.
제1,2랙(3928,3929)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랙(3928)의 우측과 제2랙(3929)의 좌측에는 서로 대칭되게 기어 이가 형성된다.
제1랙(3928) 하부의 좌측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2랙(3928,3929)에는 리프트(3300)와 볼트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1랙(3928)은 제1메인기어(3926)와 맞물리고, 제2랙(3929)은 제2메인기어(3927)와 맞물리고, 제1,2랙(3928,3929)은 리프트(3300)와 볼트체결된다.
구동부(3900)와 바깥 손잡이(800)는 리프트(3300)와 슬라이딩 부재(3700)를 통해 연결된다.
구동부(3900)는 바깥 손잡이(800)를 가동시킨다. 구동부(3900)는 바깥 손잡이(80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구동부 커버>
구동부 커버(3120)는 도 49 및 도 50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구동부 커버(3120)는 모터 커버(3121)와 감속기어부 커버(3122a,3122b)를 포함한다.
모터 커버(3121)는 모터(3910)의 후방 및 양측 및 상하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모터 커버(3121)는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모터 커버(3121)의 중앙부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반원기둥의 형태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모터 커버(3121)는 모터 안착홈(3123)을 포함한다.
모터 안착홈(3123)은 모터(3910)를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 중 모터(3910)의 몸체를 지지하는 격벽은 모터(3910)의 몸체의 둘레를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격벽 중 모터(3910)의 축을 지지하는 격벽은 모터축 안착홈(3124)을 포함한다.
모터축 안착홈(3124)은 모터(3910)의 축의 둘레를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다.
모터 커버(3121)는 하우징(3110)의 모터 안착홈(3114)의 측벽의 일부를 감쌀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모터 커버(3121)의 우측면에는 볼트 체결부(3129b)가 우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볼트 체결부(3129b)의 일단은 모터 커버(3121)와 연결된다.
볼트 체결부(3129b)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3122a)는 감속기어부의 후방 및 좌측 및 상하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감속기어부 커버(3122a)는 전방 및 우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3122a)의 상부는 상기 제1더블기어와 제2더블기어의 상부 형상에 따라 우측은 평평한 형태로, 좌측은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3122a)는 제1웜기어 안착홈(3126)과 제1더블기어 지지부(3127)와 제2더블기어 돌기부(3128a)를 포함한다.
제1웜기어 안착홈(3126)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반원기둥의 형태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웜기어 안착홈(3126)은 제1웜(3921)의 축을 지지할 수 있는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격벽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고, 전방이 개방된 홈이 형성되어 제1웜(3921)의 축이 삽입된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3127)는 감속기어부 커버(3122a)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하에 각각 형성된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3127)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육면체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은 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는 웜 지지판(3930)이 끼워진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3127) 중 위쪽에 형성되는 제1더블기어 지지부(3127)는 좌측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개방된 부분에는 감속기어부의 큰 기어(3924)가 배치된다. 이러한 제1더블기어 지지부(3127)와 웜 지지판(3930)으로 인해 상기 제1더블기어는 전후 및 상하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제1더블기어 지지부(3127)는 모터 안착홈(3123)의 좌측에 배치된다.
아래쪽 제1더블기어 지지부(3127)의 좌측에는 볼트 체결부(3129c)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볼트 체결부(3129c)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2더블기어 돌기부(3128a)는 감속기어부 커버(3122a)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더블기어 돌기부(3128a)의 전면은 제2더블기어의 큰 기어(3924)의 후면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하지만 제2더블기어 돌기부(3128a)는 상기 제2더블기어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도 큰 기어(3924)와 제2웜(3923), 또는 작은 기어(3925)와 제1메인기어(3926)가 맞물린 부분에 이상이 생기지 않도록 큰 기어(3924)의 후면과 충분히 가깝도록 형성된다.
제2더블기어 돌기부(3128a)는 제1더블기어 지지부(3127)의 좌측에 배치된다.
제2더블기어 돌기부(3128a)의 중앙부에는 볼트 체결부(3129a)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원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볼트 체결부(3129a)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은 조립 후, 하우징(3110)의 제2더블기어 끼움부(3113b)에 형성된 체결부와 연통된다.
감속기어부 커버(3122b)는 감속기어부의 후방을 막도록 형성된다. 즉, 감속기어부 커버(3122b)는 전방 및 상하좌우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3122a)는 감속기어부의 후방 및 우측 및 상하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즉, 감속기어부 커버(3122a)는 전방 및 좌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감속기어부 커버(3122b)는 제1메인기어 돌기부(3128b)와 제2메인기어 돌기부(3128c)와 도어래치 연결부 지지부(3125)를 포함한다.
감속기어부 커버(3122b)는 모터 커버(3121)와 감속기어부 커버(3122a)의 위쪽에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 돌기부(3128b)는 감속기어부 커버(3122b)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호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메인기어 돌기부(3128b)의 전면은 제1메인기어(3926)의 후면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하지만 제1메인기어 돌기부(3128b)는 제1메인기어(3926)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도 제1메인기어(3926)와 다른 기어 사이에 맞물린 부분에 이상이 생기지 않도록 제1메인기어(3926)의 후면과 충분히 가깝도록 형성된다.
제1메인기어 돌기부(3128b)는 제2더블기어 돌기부(3128a)의 위쪽에 배치된다.
제1메인기어 돌기부(3128b)의 중앙부에는 볼트 체결부(3129d)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원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볼트 체결부(3129d)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은 조립 후, 하우징(3110)의 제1메인기어 끼움부(3115a)에 형성된 체결부와 연통된다.
제2메인기어 돌기부(3128c)는 감속기어부 커버(3122b)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메인기어 돌기부(3128c)의 전면은 제2메인기어(3927)의 후면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하지만 제2메인기어 돌기부(3128c)는 제2메인기어(3927)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도 제2메인기어(3927)와 다른 기어 사이에 맞물린 부분에 이상이 생기지 않도록 제2메인기어(3927)의 후면과 충분히 가깝도록 형성된다.
제2메인기어 돌기부(3128c)는 제1메인기어 돌기부(3128b)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2메인기어 돌기부(3128c)의 중앙부에는 볼트 체결부(3129e)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원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볼트 체결부(3129e)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홈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은 조립 후, 하우징(3110)의 제2메인기어 끼움부(3115b)에 형성된 체결부와 연통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지지부(3125)는 감속기어부 커버(3122b)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중공이 형성된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직육면체의 후단에는 도어래치 연결부(30)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래치 연결부 지지부(3125)에 의해 도어래치 연결부(30)는 전방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지지부(3125)는 감속기어부 커버(3122b) 하부의 좌측에 형성된다.
구동부(3900)는 하우징(3110)과 구동부 커버(3120) 사이에 배치된다.
구동부 커버(3120)는 볼트 체결부(3129a,3129b,3129c,3129d,3129e)에 의해 하우징(3110)의 후방 하부에 볼팅 체결 된다. 따라서 구동부 커버(3120)는 하우징(31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리프트>
리프트(3300)는 도 51 및 도 52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리프트(3300)는 하면(3310)과 하면(3310)의 좌우 양단에 각각 연결된 좌면(3320)과 우면(3330)을 포함한다. 하면(3310)의 좌우방향 폭은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기(3730)와 슬라이딩핀 삽입부(3709) 사이의 거리와 동일 유사하다. 좌면(3320)과 우면(3330)의 전후방향 폭은 하면(3310)의 전후방향 폭과 동일 유사하다.
좌면(3320)의 전방은 하면(3310)의 좌측단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하면(3310)과 연결된다. 좌면(3320)의 후방은 하면(3310)의 좌측단에서 윗방향으로만 돌출되게 하면(3310)과 연결된다. 좌면(3320)의 전방은 하부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경사진 좌면(3320)의 좌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바깥 손잡이(800)와 차량용 도어의 밑면 사이의 공간이 좌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차량용 도어에 대한 장착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우면(3330)의 전방은 하면(3310)의 우측단에서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하면(3310)과 연결된다. 우면(3330)의 후방은 하면(3310)의 우측단에서 윗방향으로만 돌출되게 하면(3310)과 연결된다.
즉, 리프트(3300)는 상부와 하부 그리고 전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하면(3310)에는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303)과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이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303)은 하면(3310)의 좌측에 배치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303)은 하면(331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303)은 원형의 홈과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303)과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을 연결하는 선형의 홈을 포함한다.
상기 원형의 홈의 직경은 상기 선형의 홈의 전후방향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원형의 홈의 직경은 걸림돌기(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선형의 홈의 전후방향 폭은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의 폭보다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선형의 홈의 전후방향 폭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도어래치 연결부(30)가 리프트(3300)의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은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303)의 좌측에 배치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은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303)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은 하면(3310)에 윗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은 도어래치 연결부(30)가 관통되는 홈을 포함한다. 상기 홈은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의 중앙부에서부터 우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은 하면(3310)을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홈의 폭은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의 폭보다 동일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홈의 직경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도어래치 연결부(30)가 리프트(3300)의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은 도어래치 연결부(30)의 걸림돌기(31)가 안착되는 상부홈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홈은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그로 인해,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303)의 상기 원형의 홈을 통해 도어래치 연결부(30)를 아래에서 위로 삽입한 후,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3303)의 상기 선형의 홈을 따라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에 설치할 수 있다.
좌면(3320)의 좌측면 하부에는 위아래방향으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우면(3330)의 우측면 상부에는 위아래방향으로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리프트(3300)와 하우징(3110)이 닿는 면적을 줄여준다. 이로 인해 리프트(3300)가 위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마찰력을 줄여준다.
좌면(3320)과 우면(3330)의 상부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된 부분이 후술할 막음판(3500)에 위치하게 된다.
좌면(3320)의 후방 하부에는 좌면 돌출부(3321)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우면(3330)의 후방 하부에는 우면 돌출부(3331)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좌면 돌출부(3321) 및 우면 돌출부(3331)의 전면은 좌면(3320)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좌면 돌출부(3321)와 좌면(3320) 사이의 공간에는 제1랙(3928)이 안착되는 랙 안착부(3305)가 형성된다. 좌면 돌출부(3321)에는 제1랙(3928)을 볼트 체결할 수 있는 홈이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우면 돌출부(3331)와 우면(3330) 사이의 공간에는 제2랙(3929)이 안착되는 랙 안착부(3305)가 형성된다. 우면 돌출부(3331)에는 제2랙(3929)을 볼트 체결할 수 있는 홈이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우면(3330) 하부에는 제3센서 누름부(3302)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센서 누름부(3302)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3센서 누름부(3302)는 리프트(3300)가 일정이상 내려가면 아래쪽에 있는 제3센서(24a)를 누르고, 리프트(3300)가 일정이상 올라가면 위쪽에 있는 제3센서(24b)를 누른다.
좌면(3320)과 우면(3330)의 상부에는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기(3730)와 슬라이딩핀(3740)이 관통되는 장공(3301)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장공(3301)의 일측은 장공의 타측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은 서로 높이차가 형성된다.
<막음판>
막음판(3500)은 도 53 및 도 54에 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막음판(3500)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막음판(3500)의 좌우방향 너비는 하우징(3110)의 좌우방향 너비와 동일 유사하다.
막음판(3500)은 후면(3510)과, 후면(3510)의 좌우 하단에 각각 연결된 좌측하면(3520) 및 우측하면(3530)과, 좌측하면(3520)의 전단에 연결되는 좌면(3521)과 우측하면(3530)의 전단에 연결되는 우면(3531)을 포함한다.
후면(3510)은 제1돌출부(3511)와, 제2돌출부(3512)와, 제3돌출부(3513)와, 제4돌출부(3515)와, 막음판 돌출부(3514)를 포함한다.
후면(3510)의 좌측부에는 제1돌출부(3511)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돌출부(3511)에는 바깥 손잡이(800)의 인입시 제2센서(22)와 슬라이딩 부재(3700)의 제2센서 안착홈(3704)이 위치한다. 이로 인해 제2센서(22) 및 제2센서 안착홈(3704)과 막음판(350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후면(3510)의 중앙부에는 제2돌출부(351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돌출부(3512)에는 리프트(3300)의 좌면(3320)과, 바깥 손잡이(800)의 인입시 슬라이딩 부재(3700)의 슬라이딩 돌출부(3702) 및 슬라이딩핀 삽입부(3709)가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좌면(3320), 슬라이딩 돌출부(3702) 및 슬라이딩핀 삽입부(3709)와 막음판(350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후면(3510)의 우측부에는 제3돌출부(3513)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돌출부(3513)에는 리프트(3300)의 우면(3330)과, 바깥 손잡이(800)의 인입시 슬라이딩 부재(3700)의 상기 가이드용 원판이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우면(3330) 및 상기 가이드용 원판과 막음판(350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후면(3510)의 하부에는 복수의 제4돌출부(3515)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4돌출부(3515)의 전면은 리프트(3300)의 하면(3310)의 후면과 접한다. 제4돌출부(3515)는 리프트(3300)와 막음판(3500) 사이의 접촉면적을 줄여주어, 리프트(330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마찰력을 줄여준다.
후면(3510)의 좌우 양측에는 복수의 막음판 돌출부(3514)가 형성된다. 막음판 돌출부(3514)는 후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막음판 돌출부(3514)는 하우징(3110)의 막음판 삽입홈(3118)에 끼워진다.
그로 인해 막음판(3500)은 손쉽게 하우징(3110)에 조립될 수 있다.
좌측하면(3520)의 전후방향 길이는 리프트(3300)의 하면(3310)의 후면부터 좌면 돌출부(3321)의 후면까지의 길이와 유사하다. 우측하면(3530)의 전후방향 길이는 좌측하면(3520)의 전후방향 길이와 동일 유사하다.
좌측하면(3520)과 우측하면(3530) 사이에는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3501)이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3501)은 막음판(3500)의 좌측에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3501)의 좌우방향 길이 및 전후방향 길이는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3501)을 통해 도어래치 연결부(30)가 간섭 없이 설치될 수 있다.
좌면(3521)은 좌측하면(3520)의 아래로 돌출되게 좌측하면(3520)과 연결된다. 좌면(3521) 상부의 좌우방향 길이는 좌측하면(3520)의 좌우방향 길이와 동일 유사하다. 좌면(3521)은 좌면(3521)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좌측의 길이가 짧아진다.
우면(3531)은 우측하면(3530)의 아래로 돌출되게 우측하면(3530)의 우측에 연결된다. 우면(3531)의 좌우방향 길이는 우측하면(3530)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짧다.
<바깥 손잡이 인출 과정>
이하에서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2에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키나 리모컨, 스위치 등을 통해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구동부(3900)를 작동시킨다.
모터(3910)가 작동되면 제1웜(3921)이 회전하게 되고, 제1웜(3921)이 회전함에 따라 제1더블기어의 웜 휠(3922)이 회전하게 되고, 웜 휠(3922)과 함께 제2웜(3923)도 회전하게 된다.
제2웜(3923)이 회전하면 제2더블기어의 큰 기어(3924)가 회전하게 되고, 큰 기어(3924)와 함께 작은 기어(3925)도 회전하게 된다.
작은 기어(3925)가 회전하면 제1메인기어(3926)가 회전하게 되고, 제1메인기어(3926)가 회전하면 제2메인기어(3927)가 회전하고, 제1랙(3928)이 윗방향으로 올라가게 된다. 제2메인기어(3927)가 회전하면, 제2랙(3929)이 윗방향으로 올라가게 된다.
제1,2랙(3928,3929)이 윗방향으로 올라가면 제1,2랙(3928,3929)과 연결되어 있는 리프트(3300)도 윗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리프트(3300)가 윗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리프트(3300)의 장공(3301)에 위치해있는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기(3730) 및 슬라이딩핀(3740)이 장공(3301)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돌기(3730) 및 슬라이딩핀(3740)이 장공(3301)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면, 돌기(3730) 및 슬라이딩핀(3740)과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3700) 및 바깥 손잡이(800)가 하우징(3110) 및 패널(11)에 대해 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출부(3720)는 돌출부 관통공(3111)을 통해 패널(11)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바깥 손잡이(800)도 패널(11)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출부(3720)가 인출될 때 걸림부(3710)는 하우징(3110)에 걸린다.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되면 바깥 손잡이(800)와 패널(11) 사이에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되어 사용자가 바깥 손잡이(800)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즉,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되면 바깥 손잡이(800)는 패널(11)의 외측면으로 이격 된다.
한편, 리프트(3300)가 윗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3300)의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에 의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이 당겨지게 된다. 케이블(33)이 당겨지게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2)가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완료 위치까지 인출되게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2)를 제1센서(230)가 감지하게 된다. 제1센서(230)가 눌리게 되면, 제1센서(230)는 래치모터(210)의 전원을 인가한다.
한편, 바깥 손잡이(800)가 인출완료 위치까지 인출 되면, 리프트(3300)가 위쪽의 제3센서(24b)를 누르게 된다. 리프트(3300)가 위쪽의 제3센서(24b)에 의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3900)의 작동을 멈춘다.
<바깥 손잡이 인입 과정>
이하에서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3에는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에는 바깥 손잡이(800)의 인출과 인입에 따른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키나 리모컨, 스위치, 차량의 속도 값 등을 통해 바깥 손잡이(800)의 인입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구동부(3900)를 작동시킨다.
모터(3910)가 바깥 손잡이(800)의 인출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리프트(3300)는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리프트(3300)가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리프트(3300)의 장공(3301)에 위치해있는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기(3730) 및 슬라이딩핀(3740)이 장공(3301)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돌기(3730) 및 슬라이딩핀(3740)이 장공(3301)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면, 돌기(3730) 및 슬라이딩핀(3740)이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 부재(3700) 및 바깥 손잡이(800)의 슬라이딩부가 하우징(3110) 및 패널(11)에 대해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슬라이딩 부재(3700)의 돌출부(3720)는 돌출부 관통공(3111)을 통해 패널(11)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바깥 손잡이(800)도 패널(1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한편, 리프트(3300)가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게 되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3300)의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3304)에 의해 당겨져 있던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케이블(33)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상태로 돌아온다. 케이블(33)이 원상태로 돌아오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2)가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완료 위치까지 인입되게 되면, 도어래치 연결부(30)의 스토퍼(32)가 제1센서(230)에서 벗어나게 된다. 제1센서(230)가 눌리지 않으면, 제1센서(230)는 래치모터(210)의 전원을 차단한다.
이로 인해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되어 있을 때 래치부(200)가 전기적으로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바깥 손잡이(800)가 인입완료 위치까지 인입 되면, 리프트(3300)가 아래쪽의 제3센서(24a)를 누르게 된다. 리프트(3300)가 아래쪽의 제3센서(24a)에 의해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어 상기 제어부는 구동부(3900)의 작동을 멈춘다.
==============================제5실시예==============================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5실시예에서 전후방은 차량의 전후방향(길이방향)을 의미하며, 상하방향은 차량의 좌우방향(폭방향)을 의미하고, 좌우방향은 차량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도 55 내지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의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의 래치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6200)와, 상기 래치(6200)에 대해 메인 열림부재(6300)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6200)를 로킹시키는 도어개폐부재와, 상기 메인 열림부재(6300)를 슬라이딩시키는 제1구동부를 포함하고, 도어의 외측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설치되는 바깥 손잡이(6020)에 연동되는 스토퍼(6050)를 포함하며, 도어 잠금 시 상기 스토퍼(6050)는 상기 제1구동부에 의해 상기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은 제1하우징(6110)과, 제1하우징(6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하우징(6130)과, 제1하우징(6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하우징(6150)을 포함한다.
제3하우징(6150)의 우측 상부에는 PCB(미도시)가 삽입되는 피씨비삽입부(6154)가 형성된다. 피씨비삽입부(6154)의 후방에는 피씨비 커버(6156)가 후크 체결을 통해 끼워진다.
제3하우징(6150)의 좌측 상부에는 이하 서술되는 래치모터(6610)가 삽입되는 모터삽입부(6151)가 형성된다. 모터삽입부(6151)의 후방에는 모터 커버(6158)가 후크 체결을 통해 끼워진다.
제3하우징(6150)의 상부에는 이하 서술되는 스토퍼(605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 설치부(6159)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스토퍼 설치부(6159)는 피씨비삽입부(6154)와 모터삽입부(6151) 사이에 배치된다.
스토퍼 설치부(6159)에는 스토퍼(6050)가 삽입되는 스토퍼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 슬라이딩 홈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스토퍼 설치부(6159)의 후방에는 스토퍼 커버(6159a)가 후크 체결을 통해 끼워진다. 상기 스토퍼 슬라이딩 홈의 후방은 스토퍼 커버(6159a)에 의해 막힌다. 또한, 스토퍼 설치부(6159)의 우측에는 이하 서술되는 도어래치 연결부(604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출부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스토퍼 설치부(6159)에는 센서 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센서 안착부는 상기 스토퍼 슬라이딩 홈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센서 안착부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센서 안착부는 전방이 개방되고 후방이 막히도록 형성된다.
래치(6200) 및 상기 도어 개폐부재의 구조와 작동 방법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0861호에 나타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바깥 손잡이(6020)는 도어의 외측에 차량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깥 손잡이(6020)는 손잡이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도어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도어의 외측으로 인출된다. 상기 손잡이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웜 및 웜기어와, 웜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손잡이 구동부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8005호' 및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7820호' 및 '미국특허 제9080352호' 등에 나타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손잡이 구동부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 중일 때에는 바깥 손잡이(6020)가 인입되도록 상기 손잡이 구동부를 제어한다.
스토퍼(6050)는 도어래치 연결부(6040)를 통해 바깥 손잡이(6020)에 연결되어, 바깥 손잡이(6020)에 연동된다. 도어래치 연결부(6040)의 양단에는 원통형상의 걸림부재가 각각 형성된다. 바깥 손잡이(6020)에는 인출방향의 반대쪽 끝단에 상기 걸림부재가 설치되는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6021)가 형성된다.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6021)는 도어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스토퍼(6050)의 상면에는 도어래치 연결부(6040)의 걸림돌기가 안착되는 걸림돌기 안착홈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바깥 손잡이(6020)가 외측으로 인출되면 스토퍼(605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바깥 손잡이(6020)가 내부로 인입되면 스토퍼(605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스토퍼(6050)와 스토퍼 커버(6159a) 사이에는 스토퍼(6050)를 복귀시키는 스토퍼 스프링(6051)이 배치된다. 스토퍼 스프링(6051)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스토퍼 스프링(6051)의 전단은 스토퍼(6050)의 후단에 의해 지지되며, 스토퍼 스프링(6051)의 후단은 스토퍼 커버(6159a)에 의해 지지된다. 스토퍼(6050)의 후단에는 스토퍼 스프링(6051)에 끼워지는 스프링 끼움돌기(6052)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부는 래치모터(6610)와, 상기 래치모터(6610)에 의해 회전되는 래치 메인기어(6630)를 포함한다.
래치 메인기어(6630)는 제1하우징(6110)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스토퍼(6050)는 래치 메인기어(663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해진다.
래치 메인기어(6630)에는 제1메인기어 감지부(6632)와 제2메인기어 감지부(6633)와 도어개폐부재 걸림부(6635)와 걸림부(6631)가 형성된다.
스토퍼(6050)는 제1메인기어 감지부(6632)의 좌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래치 메인기어(66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토퍼(6050)가 제1메인기어 감지부(6632)에 걸리게 된다. 이와 다르게, 스토퍼(6050)는 래치(6200)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래치(6200)의 일측에는 스토퍼(6050)와 연동될 수 있는 스토퍼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스토퍼(6050)는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래치 메인기어(6630)와 래치(6200)에 동시에 걸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퍼(6050)는 래치 메인기어(6630) 및/또는 래치(6200)에 걸릴 수 있다.
본 제5실시예는 바깥 손잡이(6020)의 인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6907)를 더 포함한다.
제1센서(6907)는 스토퍼(6050)의 위치를 감지하여 바깥 손잡이(6020)의 인입 여부를 감지한다.
제1센서(6907)는 제3하우징(6150)의 상기 센서 안착부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제1센서(6907)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비되며, 스토퍼(605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될 때 눌려진다.
상기 제어부는 제1센서(6907)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구동부에 공급하는 전원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1센서(6907)가 눌리지 않으면(손잡이가 인입된 상태) 래치모터(661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는 제1센서(6907)가 눌리면(손잡이가 인출된 상태) 래치모터(661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제1센서(6907)는 제어부를 거치지 않고 직접 래치모터(6610)에 직렬연결되어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센서(6907)가 눌리면 래치모터(6610)와 직렬연결된 회로가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고, 제1센서(6907)가 눌리지 않으면 상기 회로가 연결되지 않아 래치모터(661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차량이 주행 중이고 잠금 상태일 때 바깥 손잡이(6020)는 도 5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내부로 인입된다. 따라서 도어래치 연결부(6040)는 당겨지지 않은 상태가 되어, 도 5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6050)는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래치 메인기어(6630)의 제1메인기어 감지부(6632) 및/또는 래치(6200)는 스토퍼(6050)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오류 등으로 인해 래치모터(6610)가 작동되더라도 래치 메인기어(6630)는 스토퍼(6050)에 걸려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구동부는 도어개폐부재의 메인 열림부재(6300)를 슬라이딩시킬 수 없게 되어 도어를 열 수 없게 된다.
또한, 스토퍼(6050)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일 때 제1센서(6907)는 눌리지 않아서 상기 제어부는 래치모터(661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래치모터(6610)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래치모터(6610)의 전기적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래치모터(6610)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래치 메인기어(6630)가 스토퍼(6050)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 상태더라도 비상시에는 메인 열림부재(6300)에 설치되는 도어레버연결부(6800)에 연결된 레버를 잡아당기게 되면 도어는 열리게 된다.
차량이 정차되어 있고 잠금이 해제된 상태일 경우에 바깥 손잡이(6020)는 도 5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외부로 인출된다. 따라서 도어래치 연결부(6040)는 당겨지고, 도 5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6050)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이로 인해, 래치 메인기어(6630)의 제1메인기어 감지부(6632)는 스토퍼(6050)에 걸리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입력부를 통해 도어 오픈이 입력되면, 상기 제1구동부가 작동된다. 이로 인해, 래치 메인기어(6630)가 회전되면서 메인 열림부재(6300)가 슬라이딩되어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또한, 스토퍼(605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된 상태일 때 제1센서(6907)는 눌려서 래치모터(6610)에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래치모터(6610)는 작동 가능해진다.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는 종래의 히든 핸들과 종래의 전동식 래치를 결합하는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히든 핸들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7820호'에 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7820호'의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는 도어 패널 내측에 고정 설치된 모터를 포함하는 전동 액츄에이터와, 상기 전동 액츄에이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정/역 회전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결합되어 구동부재의 회전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구동암과, 상기 구동암에 힌지 결합되고 구동암의 정/역 회전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도어 패널 내부로 인입되어 수납되거나 도어 패널 외부로 돌출되어 팝업 상태가 되는 핸들을 포함한다.
상기 핸들에는 도어 래치와의 사이에 미도시된 케이블이 연결되며, 상기 핸들이 당김 조작될 때 핸들의 조작력이 케이블을 통해 도어 래치에 전달되면서 도어 오픈 작동이 이루어진다. 즉, 기계식으로 도어를 오픈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7820호'의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과 함께 기계식 래치 대신 전동식 래치를 설치하면 전동식으로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종래의 전동식 래치가 '미국특허 제2016-0153212호'에 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2016-0153212호'의 차량문용 전자 래치는 스트라이커와 캐치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라이커는 차량 프레임에 고정되게 부착되고, 상기 캐치 어셈블리는 차량문이 닫혀 있을 때 상기 차량문을 상기 차량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상기 캐치 어셈블리는 회동가능하여 상기 스트라이커에 결합 또는 이탈되는 캐치를 포함한다. 상기 캐치가 전자 신호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차량문을 열 수 있다. 상기 전자 신호가 오면, 전기 모터가 구동되고, 전기 모터에 연결된 기어, 링크 및 레버가 회전하여 상기 캐치와 레버 사이의 결합을 해제한다. 이로 인해 상기 캐치는 회전가능해진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37820호'의 핸들 장치와 '미국특허 제2016-0153212호'의 차량문용 전자 래치를 케이블로 연결하되, 상기 핸들 장치가 팝업 또는 수납함에 따라 상기 케이블이 연동되고, 상기 케이블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센서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차량문용 전자 래치의 전원이 인가 또는 차단되게 하면, 상기 차량문용 전자 래치의 전기적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이 상기 핸들 장치가 수납되어 있을 때 상기 차량문용 전자 래치의 상기 기어, 링크 또는 레버에 삽입될 수 있게 설치되면, 상기 핸들 장치가 수납되어 있을 때는 상기 차량문용 전자 래치의 동작을 저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종래의 히든 핸들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74540호'에 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74540호'의 도어 핸들 조립체는 삽입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핸들을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핸들을 상기 전개 위치로 이동시키는 모터와, 사용자가 핸들을 잡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상기 핸들을 잡을 경우, 상기 터치 센서는 차량 도어를 언래치하는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도어 핸들 조립체는 전자 도어 래치와 함께 설치된다.
또 다른 전동식 래치가 '미국특허 제2018-0195322호'에 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2018-0195322호'의 자동차 잠금장치는 로터리 래치와, 적어도 1개 이상의 폴과, 상기 폴이 상기 로터리 래치에서 풀릴 수 있게 하는 트리거링 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트리거링 레버는 전기 구동 수단에 의해 작동되어 언제든지 자동차 래치를 전기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74540호'의 도어 핸들 조립체와 '미국특허 제2018-0195322호'의 자동차 잠금장치를 케이블로 연결하되, 상기 도어 핸들 조립체가 삽입 또는 전개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이 연동되고, 상기 케이블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센서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자동차 잠금장치의 전원이 인가 또는 차단되게 하면, 상기 자동차 잠금장치의 전기적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이 상기 도어 핸들 조립체가 수납되어 있을 때 상기 자동차 잠금장치의 트리거링 레버에 삽입될 수 있게 설치되면, 상기 도어 핸들 조립체가 수납되어 있을 때는 상기 자동차 잠금장치의 동작을 저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도어 패널 2: 핸들
3: 모터 4: 키 실린더
5: 도어 래치 6: 액추에이터
7: 케이블 10: 패널
22: 제2센서 23: 제3센서
30: 도어래치 연결부 31: 걸림돌기
32: 스토퍼 33: 케이블
40: 스프링
110: 하우징 111: 돌출부 관통공
112a: 제1가이드부 112b: 제2가이드부
112c: 하우징 돌출부 113: 제1기어 안착홈
114: 제1모터 안착홈 115: 리드 스크류 지지부
116: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 117: 전선 연결부
118: 막음판 삽입홈 119: 제3센서 안착홈
120: 구동부 커버 121: 모터 커버
122: 감속기어부 커버 123: 제2모터 안착홈
124: 모터축 안착홈 125: 제2기어 안착홈
126: 리드 스크류 관통홈 127: 볼트 체결부
200: 래치부 210: 래치모터
220: 래치 메인기어 230: 제1센서
300: 리프트 301: 장공
302: 암나사부 안착홈 303: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
304: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
400: 지지부재 401: 결합고리
402: 지지본체 410: 제1지지부재
411: 제1핀 420: 제2지지부재
421: 제2핀
500: 막음판 501: 제1지지부재 관통공
502: 제2지지부재 관통공 503: 지지돌출부 관통공
510: 막음판 돌출부
600: 도어레버 연결부
700: 슬라이딩 부재 701: 지지부재 안착홈
702: 제1관통공 703: 둘레부 안착홈
704: 제2센서 안착홈 705: 고리 돌출공
706: 후크 안착홈 707: 케이블 안착홈
708: 핀 삽입홈 709: 하우징 안착홈
710: 걸림부 720: 돌출부
721: 지지돌출부 730: 돌기
800: 바깥 손잡이 810: 결합부 둘레부
811: 탄성후크 812: 유입구
900: 구동부 910: 모터
921: 웜 922: 리드 스크류
923: 암나사부
1110: 하우징 1111: 돌출부 관통공
1112a: 제1가이드부 1112b: 제2가이드부
1112c: 하우징 돌출부 1113: 제1기어 안착홈
1114: 제1모터 안착홈 1115a: 제1메인기어 끼움부
1115b: 제2메인기어 끼움부 1116: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
1117: 전선 연결부 1118: 막음판 삽입홈
1119: 제3센서 안착홈 1120: 구동부 커버
1121: 모터 커버 1122: 감속기어부 커버
1123: 제2모터 안착홈 1124: 모터축 안착홈
1125: 제2기어 안착홈 1127a: 제1볼트 체결부
1127b: 제2볼트 체결부
1300: 리프트 1301: 장공
1302: 랙 1303: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
1304: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 1305: 메인기어 걸림돌기
1310: 제3센서감지부
1500: 막음판 1501: 제1지지부재 관통공
1502: 제2지지부재 관통공 1503: 지지돌출부 관통공
1510: 막음판 돌출부
1900: 구동부 1910: 모터
1921: 웜 1922: 서브기어
1923: 제1메인기어 1924: 제2메인기어
11: 패널 24a: 제3센서
24b: 제3센서 25: 램프
2110: 하우징 2111: 돌출부 관통공
2112a: 제1가이드부 2112b: 제2가이드부
2112c: 제3가이드부 2114: 모터 안착홈
2115a: 제1더블기어 지지부 2115b: 제2더블기어 끼움부
2115c: 랙 끼움부 2116: 도어래치 연결부 지지부
2117: 전선 연결부 2118: 막음판 삽입홈
2119: 제3센서 안착홈
2120: 구동부 커버 2121: 모터 커버
2122: 감속기어부 커버 2123: 모터 안착홈
2124: 모터축 안착홈 2125: 감속기어부 안착홈
2126: 제1웜기어 안착홈 2127: 제1더블기어 지지부
2128: 제2더블기어 가이드부 2129a: 볼트 체결부
2129b: 볼트 체결부 2129c: 볼트 체결부
2130: 하우징 돌출부 2131: 지지부재 안착부
2132: 지지부재 안착홈 2133: 둘레부 안착홈
2134: 고리 돌출공 2135: 후크 안착홈
2136: 지지부재 안착돌기 2137: 핀 삽입홈
2138: 램프 안착홈 2139: 램프 걸림돌기
2300: 리프트 2301: 장공
2302: 제3센서 누름부 2303: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
2304: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 2305: 리프트 돌출부
2306: 랙 삽입홈 2307: 하우징 끼움홈
2500: 막음판 2501: 제1지지부재 관통공
2502: 제2지지부재 관통공 2503: 하우징 지지부
2504: 돌기 안착홈 2510: 막음판 돌출부
2700: 슬라이딩 부재 2701: 지지부재 안착홈
2703: 둘레부 안착홈 2704: 제2센서 안착홈
2705: 고리 돌출공 2706: 후크 안착홈
2707: 지지부재 안착돌기 2708: 핀 삽입홈
2710: 걸림부 2720: 돌출부
2730: 돌기
2900: 구동부 2910: 모터
2921: 제1웜 2922: 웜 휠
2923: 제2웜 2924: 큰 기어
2925: 작은 기어 2926: 랙
2927: 랙 돌출부 2928: 리프트 삽입홈
2929: 하우징 끼움홈 2930: 웜 지지판
3110: 하우징 3111: 돌출부 관통공
3112a: 제1가이드부 3112b: 제2가이드부
3112c: 하우징 돌출부 3113a: 제1더블기어 지지부
3113b: 제2더블기어 끼움부 3114: 모터 안착홈
3115a: 제1메인기어 끼움부 3115b: 제2메인기어 끼움부
3117: 전선 연결부 3118: 막음판 삽입홈
3119: 제3센서 안착홈
3120: 구동부 커버 3121: 모터 커버
3122a: 감속기어부 커버 3122b: 감속기어부 커버
3123: 모터 안착홈 3124: 모터축 안착홈
3125: 도어래치 연결부 지지부 3126: 제1웜기어 안착홈
3127: 제1더블기어 지지부 3128a: 제2더블기어 돌기부
3128b: 제1메인기어 돌기부 3128c: 제2메인기어 돌기부
3129a: 볼트 체결부 3129b: 볼트 체결부
3129c: 볼트 체결부 3129d: 볼트 체결부
3129e: 볼트 체결부
3300: 리프트 3301: 장공
3302: 제3센서 누름부 3303: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홈
3304: 도어래치 연결부 걸림홈 3305: 랙 안착부
3310: 하면 3320: 좌면
3321: 좌면 돌출부 3330: 우면
3331: 우면 돌출부
3400: 지지부재 3401: 제1핀
3402: 제2핀 3410: 제1지지부재
3411: 제1결합고리 3412: 제2지지본체
3420: 제2지지부재 3421: 제2결합고리
3422: 제2지지본체
3500: 막음판 3501: 도어래치 연결부 관통홈
3510: 후면 3511: 제1돌출부
3512: 제2돌출부 3513: 제3돌출부
3514: 막음판 돌출부 3515: 제4돌출부
3520: 좌측하면 3521: 좌면
3530: 우측하면 3531: 우면
3700: 슬라이딩 부재 3701: 지지부재 안착홈
3702: 슬라이딩 돌출부 3703: 둘레부 안착홈
3704: 제2센서 안착홈 3705: 고리 돌출공
3706: 후크 안착홈 3707: 지지부재 안착돌기
3708a: 핀 삽입홈 3708b: 핀 삽입홈
3709: 슬라이딩핀 삽입부 3710: 걸림부
3720: 돌출부 3730: 돌기
3740: 슬라이딩핀
3900: 구동부 3910: 모터
3921: 제1웜 3922: 웜 휠
3923: 제2웜 3924: 큰 기어
3925: 작은 기어 3926: 제1메인기어
3927: 제2메인기어 3928: 제1랙
3929: 제2랙 3930: 웜 지지판
6020: 바깥 손잡이 6021: 도어래치 연결부 설치부
6040: 도어래치 연결부 6050: 스토퍼
6051: 스토퍼 스프링 6052: 스프링 끼움돌기
6110: 제1하우징 6130: 제2하우징
6150: 제3하우징 6151: 모터삽입부
6154: 피씨비삽입부 6156: 피씨비 커버
6158: 모터 커버 6159: 스토퍼 설치부
6159a: 스토퍼 커버 6200: 래치
6300: 메인 열림부재 6370: 회동부재
6610: 래치모터 6630: 래치 메인기어
6631: 걸림부 6632: 제1메인기어 감지부
6633: 제2메인기어 감지부 6635: 도어개폐부재 걸림부
6800: 도어레버연결부 6907: 제1센서

Claims (14)

  1. 핸들부;
    상기 핸들부의 좌측과 우측에 상기 핸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
    상기 핸들부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하우징;
    상기 핸들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리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의 좌측 및 우측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게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일측은 상기 장공의 타측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은 서로 높이차가 있어, 상기 리프트의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돌기가 상기 일측에 위치할 때는 상기 핸들부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타측에 위치할 때는 상기 핸들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도어를 잠그거나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래치부; 및
    일측이 상기 래치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리프트에 설치되는 도어래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의 상태에 따라 기계적, 전기적으로 상기 래치부의 상태가 변경되고,
    상기 리프트가 상승하여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가 당겨지면 상기 래치부는 상기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리프트가 하강하여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가 제자리로 돌아오면 상기 래치부는 상기 도어를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감속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기어부는 상기 모터에 설치되는 웜과, 상기 웜과 맞물리는 리드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는 상기 리드 스크류와 맞물리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감속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기어부는 상기 모터에 설치되는 웜과, 상기 웜과 맞물리는 서브기어와, 상기 서브기어와 맞물리는 제1메인기어와 상기 제1메인기어와 맞물리는 제2메인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는 상기 제1메인기어 및 상기 제2메인기어와 맞물리는 랙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래치부를 구동하는 래치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의 일단에는 상기 제1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제1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래치 모터의 전력 공급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래치부를 구동하는 래치 모터와, 상기 래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래치 메인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의 일단에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래치 메인 기어는 상기 스토퍼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핸들부의 인입시 상기 홈에 위치하고, 상기 핸들부의 인출시 상기 홈에서 벗어나 상기 래치 메인기어가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바깥 손잡이와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깥 손잡이와 슬라이딩 부재는 후크 체결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바깥 손잡이의 당김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
  8. 핸들부;
    상기 핸들부는 회전중심부와, 상기 회전중심부와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좌측과 우측에 상기 슬라이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
    상기 슬라이딩부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하우징;
    상기 슬라이딩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리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의 좌측 및 우측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게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일측은 상기 장공의 타측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은 서로 높이차가 있어, 상기 리프트의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돌기가 상기 일측에 위치할 때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타측에 위치할 때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도어를 잠그거나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래치부; 및
    일측이 상기 래치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리프트에 설치되는 도어래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의 상태에 따라 기계적, 전기적으로 상기 래치부의 상태가 변경되고,
    상기 리프트가 상승하여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가 당겨지면 상기 래치부는 상기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리프트가 하강하여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가 제자리로 돌아오면 상기 래치부는 상기 도어를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감속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기어부는 상기 모터에 설치되는 제1웜과, 상기 제1웜과 맞물리는 제1더블기어와, 상기 제1더블기어와 맞물리는 제2더블기어와, 상기 제2더블기어와 맞물리는 랙을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는 상기 랙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
  10. 핸들부;
    상기 핸들부의 일측에 핸들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
    상기 핸들부의 타측에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핀 삽입부;
    상기 슬라이딩핀 삽입부에 삽입되는 슬라이딩핀;
    상기 핸들부의 전후방향 슬라이딩을 가이드 하는 하우징;
    상기 핸들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리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의 좌측 및 우측에는 상기 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핀이 삽입되게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의 일측은 상기 장공의 타측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은 서로 높이차가 있어, 상기 리프트의 상하이동에 의해, 상기 돌기가 상기 일측에 위치할 때는 상기 핸들부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돌기가 상기 타측에 위치할 때는 상기 핸들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도어를 잠그거나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래치부; 및
    일측이 상기 래치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리프트에 설치되는 도어래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의 상태에 따라 기계적, 전기적으로 상기 래치부의 상태가 변경되고,
    상기 리프트가 상승하여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가 당겨지면 상기 래치부는 상기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리프트가 하강하여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가 제자리로 돌아오면 상기 래치부는 상기 도어를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감속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기어부는 상기 모터에 설치되는 제1웜과, 상기 제1웜과 맞물리는 제1더블기어와, 상기 제1더블기어와 맞물리는 제2더블기어와, 상기 제2더블기어와 맞물리는 제1메인기어와, 상기 제1메인기어와 맞물리는 제2메인기어와, 상기 제1메인기어 및 상기 제2메인기어와 맞물리는 랙을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는 상기 랙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
  12. 도어 패널에 설치되어 필요시 외측으로 돌출되는 히든 핸들;
    상기 도어 패널을 여는 전동식 래치;
    일측이 상기 히든 핸들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전동식 래치에 설치되는 도어래치 연결부;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전동식 래치에 전원이 인가 되어 전기적 오작동이 최소화 되는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는 상기 전동식 래치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동식 래치는 상기 전동식 래치를 구동하는 래치 모터와,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래치 연결부가 감지되면 상기 래치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는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장치.
  14. 히든 핸들과, 전동식 래치와, 일측이 상기 히든 핸들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전동식 래치에 설치되는 도어래치 연결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a) 히든 핸들에 의한 도어래치 연결부의 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b) 도어래치 연결부가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전동식 래치에 전원을 인가하고, 도어래치 연결부가 특정 위치에 도달하지 않으면 전동식 래치에 전원을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과 전동식 래치 오작동 방지 방법.


KR1020180087298A 2018-04-02 2018-07-26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2059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3474 WO2019194447A1 (en) 2018-04-02 2019-03-26 Vehicle door handle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electric la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38033 2018-04-02
KR1020180038033 2018-04-02
KR20180070198 2018-06-19
KR1020180070198 2018-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395A true KR20190115395A (ko) 2019-10-11
KR102059335B1 KR102059335B1 (ko) 2019-12-26

Family

ID=6821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298A KR102059335B1 (ko) 2018-04-02 2018-07-26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3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602B1 (ko) * 2019-05-17 2020-04-22 박기찬 차량용 승하차 자동손잡이
CN115199159A (zh) * 2022-07-30 2022-10-18 超达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关锁功能的汽车车门锁扣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5884B (zh) 2020-04-16 2022-11-25 牛步科技有限公司 用于车门的嵌入式把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175B1 (ko) 1997-11-21 2000-05-15 조현규 자동차 전동식 도어래치
KR101637820B1 (ko)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KR20170048005A (ko) 2015-10-26 201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식 메모리 소자
KR20180020861A (ko) 2016-08-19 2018-02-28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913Y1 (ko) * 2004-05-28 2004-08-21 조재현 자동차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어셈블리
DE102013112706A1 (de) 2013-11-18 2015-05-21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aus einem Türgriff und einer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den Türgrif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175B1 (ko) 1997-11-21 2000-05-15 조현규 자동차 전동식 도어래치
KR101637820B1 (ko)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KR20170048005A (ko) 2015-10-26 201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항식 메모리 소자
KR20180020861A (ko) 2016-08-19 2018-02-28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602B1 (ko) * 2019-05-17 2020-04-22 박기찬 차량용 승하차 자동손잡이
CN115199159A (zh) * 2022-07-30 2022-10-18 超达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关锁功能的汽车车门锁扣
CN115199159B (zh) * 2022-07-30 2024-04-19 超达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关锁功能的汽车车门锁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335B1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9335B1 (ko) 차량용 도어 핸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JP6518011B2 (ja) ドアラッチシステム
EP1157182B1 (en) Power sliding vehicle door
KR102059334B1 (ko) 차량용 도어 전동개폐 통합 장치
KR101808548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1972508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US20210086699A1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KR101821243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2363862B1 (ko) 안전 장치가 있는 차량용 도어래치
ITMI961397A1 (it) Impianto di bloccaggio centralizzato con chiusure per porte di un autoveicolo di strutture uguali
CN101668916A (zh) 模块式锁具
US4824152A (en) Vehicle door latch
KR100953706B1 (ko) 캠 방식의 자동 잠금장치를 갖춘 전자식 금고
KR101936818B1 (ko) 차량 도어 핸들 어셈블리
US20020157317A1 (en) Automatic door assembly including a braking mechanism.
KR101897186B1 (ko) 차량용 트렁크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200458730Y1 (ko) 오링 내장형 동력 전달수단을 구비한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록
GB2329930A (en) Hinge for the Swivelling Adjustment of a Motor Vehicle Door
KR101781531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KR102255474B1 (ko) 도어 개폐장치
CN114562164A (zh) 用于机动车滑移门的锁装置、机动车滑移门及机动车
KR101971149B1 (ko) 도어 래치 시스템
KR102122714B1 (ko) 비상 해제 가능한 차량용 전동식 도어래치
CN217080046U (zh) 用于机动车滑移门的锁装置、机动车滑移门及机动车
CN215907653U (zh) 车门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