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300A - Transportation device capable of vertical and slant lifting - Google Patents

Transportation device capable of vertical and slant lif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300A
KR20190115300A KR1020180038161A KR20180038161A KR20190115300A KR 20190115300 A KR20190115300 A KR 20190115300A KR 1020180038161 A KR1020180038161 A KR 1020180038161A KR 20180038161 A KR20180038161 A KR 20180038161A KR 20190115300 A KR20190115300 A KR 20190115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ifting
driving
vertic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7097B1 (en
Inventor
김창원
권오원
이동규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38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097B1/en
Publication of KR20190115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3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0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9Vertical extending columns or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A transportation device enabling vertical and slant lifting comprises: a guide rail including a first guide unit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guide unit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unit and extended at regular angles with respect to the first guide unit; a lifting mean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irst guide unit; a tilting means coupled with the lifting means to be rotatable on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means and moved alo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units; and a mounting unit which is coupled to the tilting means wherein a user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tient can be moved more stably and convenience of the patient can be increased by transferring the patient while the body of the patient declines and preventing the patient or the old from falling forward or tilting backward.

Description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TRANSPORTATION DEVICE CAPABLE OF VERTICAL AND SLANT LIFTING}TRANSPORTATION DEVICE CAPABLE OF VERTICAL AND SLANT LIFTING}

본 발명은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를 리프팅(lifting)하여 일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동 메커니즘으로 제작비용이 절감된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device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and more particularly, by lifting a patient or elderly person who is uncomfortable to walk, and stably transporting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as well as a relatively simple driving mechanis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er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with reduced manufacturing costs.

최근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거동이나 생활편의를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이송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척추 등에 문제가 있는 장애인이나 노약자를 고정한 상태에서 특정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 또는 이송 로봇들에 대한 개발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transport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assist the disabled or the elderly in their behavior or convenience of life, and in particular, various developments of transport devices or transport robots for moving the disabled or the elderly who have problems with the spine to a specific destination are fixed. Is going on.

그러나, 이러한 장애인이나 노약자를 고정한 상태에서 특정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환자용 이송 장치의 경우, 단순히 환자의 몸 또는 환자가 안착한 안장부를 수직으로 들어 올려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patient transfer device for moving to a specific destination in a fixed state of the disabled or the elderly, it is simply performing the operation of vertically lifting the body of the patient or the saddle seated by the patient.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507963호는 피사용자가 안착되는 베드유닛을 리프팅유닛을 통해 소정의 높이로 들어 올린 후 주행보조유닛을 통해 다른 장소로 이송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1507963 discloses an apparatus for lifting a bed unit on which a user is seated to a predetermined height through a lifting unit, and then transferring the bed unit to another place through a driving assistance unit.

이 경우, 피사용자의 무게중심은 상기 리프팅유닛의 무게중심 상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상기 베드유닛이 급작스레 상기 주행보조유닛에 의해 이동하게 되는 경우 피사용자가 뒤로 젖혀지는 등 피사용자의 몸에 충격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리프팅유닛이 단순히 수직으로 이동함에 따라 피사용자가 이송장치에서 침대 또는 변기 등으로, 또는 침대 또는 변기 등에서 이송장치로 위치 변환하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is not located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ing unit, when the bed unit is suddenly moved by the driving assistance unit, the user may be shocked, causing an impact on the user's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made, and as the lifting unit is simply moved vertically,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change the position from the transfer apparatus to the bed or the toilet, or from the bed or toilet to the transfer apparatus.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1701호는 의자의 높이를 조절하고 높이 조절된 의자를 뒤로 기울임으로써 환자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환자가 앞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환자이송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i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111701 has a patient transfer device that can prevent the patient from falling forward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patient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hair and tilting the height-adjusted chair backwards. It is starting.

그러나, 이러한 환자이송장치에서는 의자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액추에이터와 틸팅을 위한 공압 실린더가 각각 별도로 구비된다. 즉, 리프팅 동작과 회전 동작을 위해서 각각 리프팅 구동부와 회전 구동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각각 구동을 수행하는 기술을 개시할 뿐이다. However, in this patient transfer device, an actuator for height adjustment of the chair and a pneumatic cylinder for tilting are provided separately. That is, the lifting driving unit and the rotating driving unit are separately provided for the lifting operation and the rotating operation, respectively, and only disclose a technique of performing the driving.

이와 같이 종래 환자용 이송장치에서는 복수의 구동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구동부들이 구비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설계나 시스템의 구현이 복잡해지는 것은 물론이며, 중량이 증가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들며, 구동 모터 개수의 증가로 인한 배터리 사용 시간의 단축 등의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patient transport apparatus, a plurality of driving units must be provided to implement a plurality of driving methods. As a result, the design or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is complicated, the weight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nd the number of driving motors is increased.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shortening the battery life due to the increas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7963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0796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170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11701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를 리프팅 하여 다른 위치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환자가 안착되는 안장부의 높이 조절 동작과 회전 동작, 즉 수직 및 경사 승강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환자나 노약자가 앞으로 넘어지거나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침대나 변기 등으로의 위치 변환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구동부 또는 액추에이터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작비용이 절감된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this regar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addle portion and the rotational operation, that i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addle in which the patient is seated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patient or elderly person who is not comfortable walking And by inclined ascending and falling continuous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tient or the elderly to fall forward or lean back more stable transfer and to facilitate the position conversion to the bed or the toilet, as well as the number of drive units or actuato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apparatus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which can minimize the manufacturing cost.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리프팅 수단, 상기 리프팅 수단의 상부에서 상기 리프팅 수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을 따라 이동하는 틸팅 수단 및 상기 틸팅 수단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착석하는 안장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convey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guide part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art and with respect to the first guide part. A guide rail including a second guide portion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 lifting means moving vertically along the first guide portion, and rotatably coupled with the lifting means at an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means to guide the first and second guides; A tilting means moving along the parts and a saddle coupled to the tilting means and seated by the us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프팅 수단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상부 연장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fting means may comprise an upper extension fram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veyed along the guide rai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에는 제1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연장 프레임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되는 제1 이동부재가 고정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first slid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first guide part, and a first moving member moving along the first sliding groove may be fixed to the upper extension fram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프팅 수단은 상기 상부 연장 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틸팅 수단은 상기 리프팅 수단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fting means moves vertically as the upper extension frame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ilting means may move simultaneously as the lifting means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 수단은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를 따라 경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ilting means may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irst guide portion, and move in an inclined direction along the second guide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이드부에는 제2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 수단은 상기 제2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되는 제2 이동부재가 고정된 경사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second sliding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guide portion, and the tilting means may include an inclined guide frame to which a second moving member moving along the second sliding groove is fix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프팅 수단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연장 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drive module including a lifting unit positioned below the lifting means for moving the upper extension fram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모듈은, 구동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상부 연장 프레임을 이동시키거나, 주행유닛을 구동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module may selectively transfer the driving force provided from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upper extension frame or to drive the driv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모듈 및 상기 상부 연장 프레임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구동 모듈들은 한 쌍의 주행유닛들을 동시에 주행시키거나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을 동시에 승강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ive module and the upper extension frame are provided in pairs, respectively, the pair of drive modules may drive a pair of driving units at the same time or lift a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at the same time. .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모듈은 기 상부 연장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주행유닛을 제동하고, 상기 주행유닛을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상부 연장 프레임의 이동을 제동시키는 기어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gear brake to brake the driving unit when moving the upper extension frame, and to brake the movement of the upper extension frame when driving the driv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유닛은 제1 및 제2 기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유닛은 주행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유닛은 리프팅기어를 포함하며, 선택에 따라 상기 주행기어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거나 상기 리프팅 기어가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상기 리프팅기어 또는 상기 주행유닛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ive unit includes first and second gears, the travel unit includes a travel gear, the lifting unit includes a lifting gear, and optionally the travel gear includes the first gear. The lifting gear or the driving unit may be selectively driven as the meshing gear rotates with the second gear or the lifting gear meshes with the second gear to rotate.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 브레이크부는 상기 제1 및 제2 기어들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기어를 고정시키는 제1 기어브레이크 및 상기 제2 기어를 고정시키는 제2 기어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ear brake portion may be formed under the first and second gears, and may include a first gear brake for fixing the first gear and a second gear brake for fixing the second gear. .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프팅 수단 및 상기 틸팅 수단은 회전 조인트로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fting means and the tilting means can be combined in a rotary join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환자가 안착되는 안장부의 수직 승강 동작과 경사 승강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환자의 몸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환자를 이송함으로써 환자나 노약자가 앞으로 넘어지거나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환자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될 수 있으며 환자의 편의성도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ient or the elder falls down or leans backward by transferring the patient in a tilted state by continuously performing vertical lifting and tilting lifting operations of the saddle in which the patient is seated. It can prevent the movement of the patient can be more stable and the convenience of the patient can be improved.

또한,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에 의한 안장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환자를 이송장치에서 침대나 변기 등으로 또는 침재나 변기 등에서 이송장치로 옮기는 경우, 환자의 이송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saddle can be adjusted by a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the patient can be easily transported when moving the patient from the transport apparatus to the bed or the toilet or from the bedding or the toilet to the transport apparatus. .

또한, 제2 커버부는 제1 커버부와 서로 회전 조인트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 커버부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함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별도의 구동부가 필요 없어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낮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cover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part through a rotary join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cover part moves along the guide rail together when the first cover part moves along the guide rail, a separate driving part is not required, and thus the configuration is relatively simple. Low manufacturing cost and easy maintenance.

또한, 주행유닛 및 리프팅 유닛을 포함하여 주행 및 리프팅의 수행이 가능하여 자유도 획득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하나의 구동유닛을 통해 주행유닛 또는 리프팅 유닛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어, 구동시스템의 구조를 간략화하며 효과적인 구동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arry out driving and lifting including the driving unit and the lifting unit, thereby maximizing the degree of freedom and provid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or the lifting unit through one driving unit,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driving system. And can provide effective driving.

특히, 방향전환레버를 통해 주행기어 또는 상기 리프팅기어를 선택적으로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주행유닛 또는 상기 리프팅 유닛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traveling gear or the lifting gear may be selectively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e turning lever to selectively operate the traveling unit or the lifting unit.

이러한 선택적인 동작은, 환자용 이동 보조로봇과 같이, 주행과 리프팅이 동시에 구현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필요한 로봇 구동 메커니즘에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This selective operation can be more effectively applied to robotic driving mechanisms that require traveling and lifting to be implemented selectively, rather than simultaneously, such as a patient assisted robot.

또한, 주행기어 및 리프팅기어를 각각 고정하는 제1 및 제2 기어 브레이크들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방향전환레버가 회전되지 않는 수동 상태에서 상기 주행기어 및 상기 리프팅기어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나 노약자 등의 이송 시, 예상하지 못한 구동이나 동작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gear brakes for fixing the traveling gear and the lifting gear,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veling gear and the lifting gear from operating in the passive state in which the turning lever does not rotate. As a result, when the patient or the elderly are transferred, unexpected driving or operation can be prevented and safe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의 리프팅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의 틸팅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의 구동 모듈의 내부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6의 구동 모듈의 주행 모드를 도시한 내부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6의 구동 모듈의 리프팅 모드를 도시한 내부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의 구동 모듈의 내부를 도시한 내부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구동 모듈의 주행 모드를 도시한 내부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9의 구동 모듈의 리프팅 모드를 도시한 내부 구조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nsfer apparatus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nsfer apparatus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of FIG. 2.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lifting operation of the transfer apparatus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of FIG. 2.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tilting operation of the transfer apparatus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of FIG. 2.
6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interior of the drive module of the transfer device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lifting of FIG.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driving mode of the driving module of FIG. 6.
8 is an internal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lifting mode of the driving module of FIG. 6.
9 is an internal structur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drive module of the transfer device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internal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mode of the driving module of FIG. 9.
FIG. 11 is an internal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lifting mode of the driving module of FIG. 9.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modifications,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nsfer apparatus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nsfer apparatus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of FIG. 2.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1)는, 베이스판(10), 가이드 레일(20), 리프팅 수단(30), 틸팅 수단(40), 안장부(50), 및 구동 모듈(60)을 포함한다.1 to 3, the transfer device 1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ase plate 10, a guide rail 20, a lifting means 30, a tilting means 40, A saddle 50, and a drive module 60.

상기 베이스판(10)은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구동모듈(6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구동모듈(60)의 상측에 상기 베이스판(10)이 고정되며, 이를 통해 상기 이송장치(1)를 구현하게 된다. The base plate 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module 60 to be described later. Although not shown in FIGS. 2 to 3, the base is located above the driving module 60. The plate 10 is fixed, thereby implementing the transfer device 1.

즉,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0) 및 상기 리프팅 수단(30)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10)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 모듈(60)이 설치된다.That is, the guide rail 20 and the lifting means 30 ar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base plate 10, and the driving module 6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1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팅 수단(30)은 수직방향인 제3 방향(Z)으로 연장된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31) 및 제1 커버부(32)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lifting means 30 includes a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and a first cover part 32 extending in the third direction Z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31)은 바(bar) 형상으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단면을 관통하며 수직으로 연장된다. 다만,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31)은 상기 제1 커버부(32)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이면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in a bar shape and extend vertically through the top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However,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long as it is a structure for moving the first cover part 32.

상기 제1 커버부(32)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31)이 위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커버부(32)는 상기 한 쌍의 연장 프레임들(31)을 수용하며 상기 한 쌍의 연장 프레임들(31)과 결합한다.The first cover part 32 has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so that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are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That is, the first cover part 32 receives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31 and couples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31 to each other.

이 경우, 상기 제1 커버부(32)의 하단면에는 관통공들(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31)이 상기 관통공들을 관통하며 연장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커버부(32)는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31)의 상부 일부만을 커버하게 된다.In this case, through hole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ver part 32 such that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extend through the through holes, thereby forming the first holes. The first cover part 32 covers only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31)은 후술하는 구동 모듈(60)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may be lifted up and down by the drive module 6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itself.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31)과 상기 구동 모듈(60)의 연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다만, 상기 상부 연장 프레임(31)이 한 쌍으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구동 모듈(60)도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한 쌍의 구동 모듈(60)은 동일하게 구동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31)의 승하강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case, connection of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and the driving module 60 will be described later. However, as the upper extension frame 31 is provided in pairs, the driving module 60 may also be provided in pairs, and each pair of driving modules 60 may be driven in the same manner, thereby driving the pair of upper part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extension frames 31 may be simultaneously implemented.

상기 제1 커버부(32)는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31)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31)의 승, 하강에 따라 함께 승, 하강하게 된다.The first cover part 32 is combined with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to move up and down together as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rise and fall.

상기 제1 커버부(32)의 상단면에는 회전 조인트(33)가 형성되며, 상기 틸팅 수단(40)이 상기 회전 조인트(33)를 통해 상기 제1 커버부(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A rotary joint 33 is formed on an upper end surface of the first cover part 32, and the tilting means 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cover part 32 through the rotary joint 33. .

상기 틸팅 수단(40)은 한 쌍의 경사 가이드 프레임들(41) 및 제2 커버부(4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버부(42)가 상기 회전 조인트(33)를 통해 상기 제1 커버부(32)와 결합된다.The tilting means 40 comprises a pair of inclined guide frames 41 and a second cover part 42, the second cover part 42 being the first cover through the rotary joint 33. It is coupled with the part 32.

이에 따라, 상기 제2 커버부(42)는 상기 제1 커버부(32)가 승, 하강 하는 경우 상기 제1 커버부(32)와 함께 승, 하강하며, 상기 제1 커버부(32)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cover part 32 moves up or down, the second cover part 42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first cover part 32, and moves to the first cover part 32. Rotation is possible.

상기 제2 커버부(42)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한 쌍의 경사 가이드 프레임들(41)이 설치된다.The second cover part 42 has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the pair of inclined guide frames 41 are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한 쌍의 경사 가이드 프레임들(41)은 바(bar) 형상으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커버부(42)의 내부에 위치한다. 다만, 상기 한 쌍의 경사 가이드 프레임들(41)은 후술하는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이면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The pair of inclined guide frames 41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in a bar shape, and are located inside the second cover part 42. However, the pair of inclined guide frames 41 may be variously modified as long as the structure moves along the guide rail 2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31)과 일렬로 배열되어 상기 리프팅 수단(30)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The guide rail 20 extends above the base plate 10 and is arranged in line with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lifting means 3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제1 가이드부(21) 및 제2 가이드부(22)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guide rail 20 includes a first guide portion 21 and a second guide portion 22.

이 경우, 상기 제1 가이드부(21)는 상기 베이스판(10)을 관통하며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31)과 평행하게 수직방향인 제3 방향(Z)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이드부(22)는 상기 제1 가이드부(21)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21)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된다.In this case, the first guide part 21 penetrates through the base plate 10 and extends in a third direction Z perpendicular to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The second guide part 22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art 21 and extend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guide part 21.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21, 22)는 별개로 형성되지 않고 하나의 바디(body)로 일체로 형성되며, 설명의 편의상 구별하여 설명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21, 22)은 서로 별개로 형성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21 and 22 are not formed separately, but are integrally formed with one body, and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21 and 22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21, 22) 각각은 중앙부에 각각의 연장 방향, 즉 제3 방향(z)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홈들(23, 24)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홈들(23, 24)은 서로 연결된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parts 21 and 22 has a central portion including first and second sliding grooves 23 and 24 extending along a respective extending direction, that is, a third direction z.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grooves 23 and 2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31)은 제1 상부 연장 프레임(34)과 제2 상부 연장 프레임(35)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경사 가이드 프레임들(41)은 제1 경사 가이드 프레임(44)과 제2 경사 가이드 프레임(45)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may include a first upper extension frame 34 and a second upper extension frame 35, and the pair of inclined guide frames 41 may have a first slope. The guide frame 44 and the second inclined guide frame 45 is included.

이 경우, 상기 제1 상부 연장 프레임(34)의 일측과, 상기 제2 상부 연장 프레임(35)의 일측에는 각각 제1 이동부재(36)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프레임(44)의 일측과 상기 제2 가이드 프레임(45)의 일측에는 각각 제2 이동부재(46)가 형성된다.In this case, a first moving member 36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upper extension frame 34 and one side of the second upper extension frame 35, respectively, and on one side of the first guide frame 44. The second moving member 46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guide frame 45.

비록 도 3에는 한 개의 가이드 레일(20)만 도시하여 상기 제1 이동부재(36)가 상기 제2 상부 연장 프레임(35)의 일측에만 형성되며, 상기 제2 이동부재(46)가 상기 제2 경사 가이드 프레임(45)의 일측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가이드 레일(20)은 실질적으로 한 쌍으로 구비된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31)들 각각에 상기 제1 이동부재(36)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경사 가이드 프레임들(41) 각각에 상기 제2 이동부재(46)가 형성된다.Although only one guide rail 20 is shown in FIG. 3, the first moving member 36 is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second upper extension frame 35, and the second moving member 46 is formed on the second moving member 46. Although illustrated as being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inclined guide frame 45, the guide rail 20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pair, so that the first movement to each of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A member 36 is formed, and the second moving member 46 is formed in each of the pair of inclined guide frames 41.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이동부재들(36, 46)은 상기 가이드 레일(20)을 향하는 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20) 내에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moving members 36 and 46 protrude toward the guide rail 20, and are fastened to be movable in the guide rail 20.

상기 제1 및 제2 이동부재들(36, 46)은 예를 들어 롤러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롤러는 상기 가이드 레일(20) 내에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20)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moving members 36 and 46 may be, for example, rollers, in which case the rollers may move linearly along the guide rails 20 while rotating in the guide rails 20. .

상기 리프팅 수단(30)이 승강하는 경우, 상기 제1 이동부재(36)는 상기 제1 가이드부(21)의 상기 제1 슬라이딩홈(23)을 따라 수직방향인 제3 방향(Z)으로 승강된다.When the lifting means 30 moves up and down, the first moving member 36 moves up and down in a vertical direction Z along the first sliding groove 23 of the first guide part 21. do.

이 경우, 상기 틸팅 수단(40)도 상기 리프팅 수단(30)과 결함되어 함께 승강하며, 이때 상기 제2 이동부재(46)는 상기 제1 슬라이딩홈(23)을 통해 상기 제1 가이드부(21)를 따라 수직방향인 제3 방향(Z)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2 슬라이딩홈(34)을 통해 상기 제2 가이드부(22)를 따라 이동한다.In this case, the tilting means 40 also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lifting means 30, wherein the second moving member 46 moves through the first sliding groove 23 to the first guide part 21. After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Z) in the vertical direction (Z), it moves along the second guide portion 22 through the second sliding groove (34).

한편, 상기 제2 이동부재(46)가 형성된 상기 제2 경사 가이드 프레임(45)과 상기 제1 경사 가이드 프레임(44)은 연결봉(47)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상기 제2 이동부재(46)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경사 가이드 프레임들(44, 45)은 함께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cond inclined guide frame 45 and the first inclined guide frame 44 having the second moving member 4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rod 47, the second moving member 46 When is moved,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guide frames 44, 45 may move together.

이에 따라, 상기 제2 이동부재(46)가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홈들(23, 24)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경사 가이드 프레임들(44, 45)은 상기 제1 슬라이딩홈(23)과 상기 제2 슬라이딩홈(34)의 경계부에서 틸팅(tilting)되어 상기 리프팅 수단(30)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경사 가이드 프레임들(44, 45)과 결합한 상기 제2 커버부(42)도 상기 경계부를 기준으로 각도가 변화된다.Accordingly, when the second moving member 46 sequentially moves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grooves 23 and 24,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guide frames 44 and 45 may be moved. It is til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liding groove 23 and the second sliding groove 34 to be inclin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ifting means 30, the first and second inclined guide frame The second cover portion 42 coupled with the fields 44 and 45 also has an angle change based on the boundary portion.

나아가, 상기 제2 커버부(42)는 상기 회전 조인트(33)를 통해 상기 제1 커버부(32)와 연결됨으로써, 별도의 구동부가 필요없이, 상기 제1 커버부(32)와 함께 수직방향인 제3 방향(Z)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제2 가이드부(22)를 따라 자연스럽게 틸팅되며 이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cover part 42 is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part 32 through the rotary joint 33, so that a separate driving part is not required, and the first cover part 32 is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After moving in the third direction Z, the second guide part 22 may be naturally tilted and moved.

한편, 상기 틸팅 수단(40)의 상기 제2 커버부(42)의 일측에는 안장부(50)가 결합된다. 상기 안장부(50)는 상기 제2 커버부(42)의 연장 방향인 제3 방향(Z)에 수직인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바닥부(51)를 통해 상기 틸딩 수단(40)에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saddle 5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cover portion 42 of the tilting means (40). The saddle part 50 is the tilting means 40 through the bottom part 51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third direction Z, which i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econd cover part 42. Is coupled to.

이 경우, 상기 바닥부(51)의 일측은 상기 제2 커버부(42)와 결합하며, 타측은 환자(노약자, 장애인)의 상체, 특히 환자의 상박부를 지지할 수 있는 상체 지지부(52)와 결합한다. 상기 상체 지지부(52)는 상기 바닥부(51)의 타측에 상기 바닥부(51)의 연장 방향인 제2 방향(Y)에 수직인 방향, 즉 상기 제2 커버부(42)와 평행한 방향인 제3 방향(Z)으로 연장된다.In this case,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51 is coupled to the second cover portion 42, and the other side is the upper body support 52 that can support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elderly, disabled), in particular the upper arm of the patient and To combine. The upper body support portion 52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Y, which is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bottom portion 51,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portion 51, that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cover portion 42. Extend in the third direction (Z).

나아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51)는 상기 제2 커버부(42)와 힌지(55)를 통해 힌지 결합됨으로써 상기 안장부(50)에 환자 미 탑승 시에는 절첩될 수 있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2, the bottom part 51 is hinged through the second cover part 42 and the hinge 55 so that the bottom part 51 may be folded when the patient is not boarded to the saddle part 50. have.

상기 안장부(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틸팅 수단(40)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틸팅 수단(40)이 상기 리프팅 수단(30)과 함께 상기 제1 가이드부(21)를 따라 이동하면 상대적으로 승강됨으로써 배치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틸팅 수단(40)이 상기 제2 가이드부(22)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틸팅 수단(40)과 함께 상기 리프팅 수단(30)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틸팅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addle 50 is coupled with the tilting means 40 so that the tilting means 40 moves relatively along the first guide portion 21 together with the lifting means 30. As a result, the arrangement height is adjusted, and when the tilting means 40 moves along the second guide part 22, the tilting means 40 is tilt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ifting means 30 together with the tilting means 40.

이와 같이, 상기 안장부(50)는 상기 리프팅 수단(30)에 의해 높낮이 조절되며, 상기 틸팅 수단(40)에 의해 기울어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saddle 50 is adjusted by the lifting means 30, it can be tilted by the tilting means (40).

한편, 상기 제2 커버부(42)는 힌지(54)를 통해 받침판(53)과 결합된다. 즉, 상기 받침판(53)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대(55)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55)가 상기 제2 커버부(42)와 상기 힌지(54)를 통해 힌지 결합된다.상기 받침판(53)은 환자(5)가 상기 안장부(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경우 환자(5)의 가슴부를 지지하며, 이를 위해 상기 받침판(53)은 환자의 가슴부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환자(5)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환자(5)의 가슴부가 접촉하는 부분에 쿠션 등의 충격 흡수재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ver portion 42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53 through the hinge 54. That is, the support plate 53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s coupled with the support 55, and the support 55 is hinged through the second cover portion 42 and the hinge 54. 53 supports the chest of the patient 5 when the patient 5 is moved while seated on the saddle 50. For this purpose, the support plate 53 can comfortably support the chest of the patient. It may have a shape. In addition, a shock absorber such as a cushion may be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chest part of the patient 5 contact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patient 5.

즉, 본 실시예에서 환자(5)는 상기 틸팅수단(40)의 수직 이동 후, 틸팅이동, 즉 경사 이동에 따라 수직으로 앉은 상태에서 가슴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기울어진다. 따라서, 상기 받침판(53)이 구비됨으로써, 환자(5)가 기울어짐에 따라 가슴부를 적절히 지지할 수 있어, 환자의 이동시 편의성 및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tient 5 is inclined so that the chest part faces downward in a vertically sitting state according to the tilting movement, that is, the tilting movement, after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tilting means 40. Therefore, by providing the support plate 53, as the patient 5 is inclined, the chest can be appropriately supporte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safety when the patient moves.

또한, 상기 받침판(5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커버부(42)에 힌지 결함되는 것으로, 환자가 상기 안장부(50)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힌지(54)를 통해 상기 안장부(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53 is a hinge defect on the second cover portion 42 as described above, and the saddle portion through the hinge 54 in a state where the patient does not ride on the saddle portion 50. It can be folded in the direction toward 50.

한편,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31)의 전방에는 상기 베이스판(10)을 관통하며 연장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들, 즉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들(11, 12)이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들(11, 12)의 상단에는 지지봉(13)이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a pair of support frames extending through the base plate 10, that is, first and second support frames 11 and 12, are installed in front of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The support rods 13 may be coupled to upper ends of the pair of support frames 11 and 12.

상기 지지봉(13)은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리프팅 수단(30) 및 상기 틸팅 수단(40)과 결합된 연장 프레임(6, 도 4 참조)과 결합하여 상기 연장 프레임(6)이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The support rod 13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the extension frame 6 is combined with the extension frame 6 (see FIG. 4) coupled with the lifting means 30 and the tilting means 40. It can be positioned stably and firmly.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환자가 상기 안장부(50)에 탑승한 상태에서의 상기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의 동작들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lifting in the state in which the patient boarded the saddle 50.

도 4는 도 2의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의 리프팅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의 틸팅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lifting operation of the transfer apparatus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of FIG. 2.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tilting operation of the transfer apparatus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of FIG. 2.

환자(5)는 소파, 침대 등에서 상기 안장부(50)에 안착하여 상기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1)로 위치를 변환한다.The patient 5 is seated on the saddle 50 in the sofa, bed, etc. to convert the position to the transfer device 1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이 때, 상기 리프팅 수단(30)은 상기 안장부(50)의 배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안장부(50)가 소파, 침대 등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소파, 침대 등에 있는 환자(5)를 상기 안장부(50)로 손쉽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fting means 30 adjusts the placement height of the saddle 50 so that the saddle 50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sofa, bed, etc., the patient (5) in the sofa, bed, etc. It can be easily moved to the saddle (5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자(5)가 상기 안장부(50)에 위치하면, 상기 리프팅 수단(30)의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31)은 승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커버부(32) 및 상기 제2 커버부(42)도 상승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커버부들(32, 42)은 상기 가이드 레일(20)의 제1 가이드부(2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patient 5 is positioned in the saddle 50,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of the lifting means 30 are lifted up and thus the first cover. The portion 32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42 also rise.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cover parts 32 and 42 move along the first guide part 21 of the guide rail 20.

상기 제1 커버부(32)는 상기 제1 가이드부(21)와 상기 제2 가이드부(22)의 경계부까지 상승하고, 상기 제2 커버부(32)가 상기 경계부로부터 상시 제2 가이드부(22)를 따라 이동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커버부(42)가 소정 각도로 틸팅되므로 상기 안장부(50)도 전방을 향하여 틸팅됨으로써 상기 환자(5)도 앞으로 기울어지며, 가슴부가 상기 받침판(53)에 고정된다. The first cover part 32 is raised to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guide part 21 and the second guide part 22, and the second cover part 32 is always at the second guide part ( 22, the second cover part 42 is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in FIG. 5, so that the saddle part 50 is also tilted forward to tilt the patient 5 forward. The chest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53.

그리하여, 상기 환자(5)가 몸이 기울어지기 전보다 기울어진 후의 무게중심이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31)과 보다 근접하게 되므로, 이와 같이 환자(5)가 몸을 기울인 상태에서 상기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 장치(1)가 이동하면, 상기 환자(5)가 뒤로 젖혀지는 것이 방지되어 환자(5)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될 수 있으며 환자(5)의 편의성도 향상될 수 있다.Thus, the center of gravity after the patient 5 is tilted is closer to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than before the body 5 is tilted, and thu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atient 5 in the tilted state. And when the transfer device 1 capable of inclined elevating is moved, the patient 5 is prevented from falling back, so that the movement of the patient 5 can be more stable, and the convenience of the patient 5 can be improved.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1)에는 환자(5)가 몸이 기울어질 때 안전을 위해 사용하거나, 환자(5)의 보호자가 상기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1)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transfer device (1)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lift is used for safety when the patient (5) is inclined, or the transfer device capable of lifting the vertical and inclined by the guardian of the patient ( The handle part which can be used when moving 1) can be formed.

나아가,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환자(5)가 상기 안장부(50)에서 내리고자 할 경우, 상기 제2 커버부(42)는 먼저 상기 제2 가이드부(22)를 따라 하강하고, 이 후 상기 제1 가이드부(21)를 따라 하강함으로써, 환자(5)의 이송 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환자(5)의 몸을 기울어진 상태에서 원상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although not shown, when the patient 5 wants to get off the saddle 50, the second cover part 42 first descends along the second guide part 22, and then the By descending along the first guide portion 21,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in the inclined state by rota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when transporting the patient (5).

한편, 도 6은 도 2의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의 구동 모듈의 내부를 도시한 구조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interior of the drive module of the transfer device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lift of FIG.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0)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 모듈(60)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 모듈(60)은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31)과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31)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module 60 is provided below the base plate 10, and the driving module 60 is coupled to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to provide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can be raised and lowered.

이 경우, 상기 구동 모듈(60)은 선택적으로 리프팅유닛(300)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31)을 승하강시키거나 주행유닛(200)을 통해 상기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1)가 주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 모듈(6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구동력의 선택적 전환을 유도하여, 상기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1)에 주행 동력과 리프팅(lifting) 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drive module 60 selectively raises and lowers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through the lifting unit 300 or transfer devices capable of vertically and inclined raising and lowering through the traveling unit 200 ( 1) can be driven. That is, the drive module 60 induces selective switching of the driving force by the user's selection, and selectively provides the driving power and the lifting power to the transfer device 1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모듈(60)은 구동유닛(100), 주행유닛(200), 리프팅유닛(300) 및 방향전환레버(40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 the driving module 60 includes a driving unit 100, a driving unit 200, a lifting unit 300, and a turning lever 400.

상기 구동유닛(100)은 상기 주행유닛(200)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주행유닛(200)의 주행바퀴(230)가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주행하도록 유도하거나, 또는 상기 리프팅유닛(300)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리프팅유닛(300)의 상부 연장 프레임(31)이 승강 또는 하강되도록 유도한다. The driving unit 100 transmits power to the driving unit 200 to induce the driving wheel 230 of the driving unit 200 to travel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or to the lifting unit 300. By transmitting the upper extension frame 31 of the lifting unit 300 guides the lifting or lowering.

이러한 상기 구동유닛(100)은 동력전달부(110), 제1 회전축부(120), 제1 및 제2 기어들(130, 140) 및 헬리컬 기어(150)를 포함한다. The drive unit 100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unit 110, the first rotation shaft 120, the first and second gears 130, 140 and the helical gear 150.

상기 동력전달부(110)는 상기 제1 회전축부(120)에 동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1 및 제2 기어들(130, 140)이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동모터(미도시) 및 구동기어(113)를 포함한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0 serves to guide the first and second gears 130 and 140 to rotate by applying power to the first rotation shaft unit 120 and a drive motor (not shown). The drive gear 113 is includ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모터(111)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외부에서 전원을 제공받거나 혹은 충전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모터일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11)는 중앙부에 구동축(112)과 결합하며 회전하여 상기 구동축(112)을 회전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motor 111 serves to provide power by rotating in one direction, and may be a motor that is rot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or receiving power from a rechargeable battery. The driving motor 111 may rotate with the driving shaft 112 in combination with the driving shaft 112 in the center portion.

상기 구동축(112)에는 상기 구동기어(113)가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111)가 회전하면 상기 구동축(112)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구동기어(113)는 외면에 특정 방향으로 비틀린 기어이(齒)가 형성될 수 있다. The drive gear 113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112 so that when the drive motor 111 rotates, the drive shaft 112 rotates together with the drive shaft 112. The drive gear 113 may have a gear that is twisted in a specific direction on an outer surface thereof.

상기 제1 회전축부(120)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방향(X)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부(1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The first rotation shaft 120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X, and rotates around the rotation shaft when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10.

상기 제1 회전축부(120)는 상기 구동모터(111)가 동일선상에 형성된다면 상기 구동모터(11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형태로 상기 구동모터(111)로부터 직접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11)가 동일선상이 아닌 위치에 형성된다면 헬리컬 기어(150)를 더 형성하여 상기 구동모터(111)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If the driving motor 111 is formed on the same line, the first rotation shaft 120 may receive power directly from the driving motor 111 in a form in which the driving motor 111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111. As shown in the drawing, if the driving motor 111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is not collinear, the helical gear 150 may be further formed to receive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111.

이 경우, 상기 헬리컬 기어(150)는 상기 구동기어(113)의 상기 기어이와 맞닿도록 상기 제1 회전축부(120)에 끼워지며, 이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113)의 회전방향을 변환하여 상기 제1 회전축부(120)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helical gear 150 is fitted to the first rotating shaft portion 120 to be in contact with the gear of the drive gear 113, thereby convert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gear 113 to the first 1 Rotating shaft portion 120 to rotate about the rotation axis.

이를 위해 상기 헬리컬 기어(150)는 외면에 상기 구동기어(113)의 상기 기어이와 맞닿아서 회전함으로써 회전방향을 변환할 수 있도록 특정 방향으로 비틀린 기어이를 형성한다. To this end, the helical gear 150 has a gear teeth twisted in a specific direction so as to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by contacting and rotating the gear teeth of the drive gear 113 on the outer surface.

한편, 상기 제1 및 제2 기어들(130, 140)은 상기 제1 회전축부(120)에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끼워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회전축부(120)가 회전하면 상기 제1 및 제2 기어들(130, 140)은 상기 제1 회전축부(1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gears 130 and 140 are fit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120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ccordingly, when the first rotation shaft 120 rotates, And the second gears 130 and 140 are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rotation shaft part 120.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기어들(130, 140) 각각은 외면에 톱니가 형성된 휠(wheel)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기 주행유닛(200)의 주행기어(220) 및 리프팅유닛(300)의 리프팅기어(320) 각각과 서로 맞물림으로써 회전을 통해 상기 주행기어(220) 및 상기 리프팅기어(320) 각각을 회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ears 130 and 140 may have a wheel shape having teeth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such that the driving gear 220 and the lifting unit 300 of the driv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riving gear 220 and the lifting gear 320 may be rotated by engaging with each of the lifting gears 320).

즉, 상기 제1 및 제2 기어들(130, 140)은 상기 주행기어(220) 및 상기 리프팅기어(320)에 선택적으로 기어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gears 130 and 140 may be selectively geared to the driving gear 220 and the lifting gear 320 to transmit a driving force.

이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100)은 상기 제1 및 제2 기어들(130, 140)을 통해 상기 주행유닛(200) 및 상기 리프팅유닛(300)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후술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주행유닛(200) 또는 상기 리프팅유닛(300)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As such, the driving unit 100 may selectively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driving unit 200 and the lifting unit 30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ears 130 and 140. The control unit (not shown) to selectively provide the rotational force to the traveling unit 200 or the lifting unit 300.

상기 주행유닛(200)은 제2 회전축부(210), 주행기어(220) 및 주행바퀴(230)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200 includes a second rotating shaft unit 210, a driving gear 220 and a driving wheel 230.

이 경우, 상기 주행유닛(200)은 일 측, 즉, 좌측 또는 우측의 하나의 주행유닛을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2개 이상의 주행유닛(200)들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행유닛(200)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주행바퀴(230)를 구비하게 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팅 수단(30)도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상부 연장 프레임들(31) 한 쌍에 각각 연결된다. In this case, although the driving unit 200 shows one driving unit on one side, that is, the left or right side, in practice, two or more driving units 200 may be applied. That is, in this embodiment of the transfer device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lifting, the traveling unit 200 is provided as a pair to have a pair of driving wheels 230, as shown in Figure 2, the lifting means 30 is also provided as a pair and is connected to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respectively.

상기 제2 회전축부(2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축부(120)와 평행하게 상기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회전축부(120)로부터 회전력이 인가되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The second rotating shaft portion 2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X in parallel with the first rotating shaft portion 120 so that a rotation force is applied when the rotation force is applied from the first rotating shaft portion 120. Rotate

이 경우, 상기 주행기어(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어(130)와 상기 제2 기어(140)의 사이에 위치한다.In this case, the driving gear 220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gear 130 and the second gear 140 as shown.

다만, 상기 주행기어(220)는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기어(130)와 기어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기어(130) 측에 보다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However, the driving gear 22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gear 130 according to the selection, it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first gear 130 side.

여기서, 상기 주행기어(220)는 상기 제2 회전축부(210)에 고정되지만, 그 위치는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Here, the driving gear 220 is fix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portion 210, but the position may be moved along the first direction X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이에 따라, 상기 주행기어(220)는 상기 제1 기어(130)와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 기어(13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회전축부(210)도 함께 회전하게 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traveling gear 220 may be rotated together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130 when the traveling gear 220 is moved to the position engaged with the first gear 130, accordingly the second rotating shaft portion 210 ) Can also be rotated together.

한편, 상기 제2 회전축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50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미도시)를 관통하며 연장되고, 이때 관통하며 연장된 일측부에는 상기 주행바퀴(230)가 끼워진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portion 210 extends through an opening (not shown)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500, as shown, the driving wheel 230 is formed in one side portion extending through Is fitted.

그리하여, 상기 주행바퀴(230)는 상기 제2 회전축부(21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회전축부(210)와 함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이를 통해 상기 이송장치(1)가 전진 또는 후진으로 주행하게 된다. Thus, when the second rotating shaft portion 210 rotates about the rotating shaft, the driving wheel 230 rotates about the rotating shaft together with the second rotating shaft portion 210, thereby transmitting the transfer device 1. ) Will travel forward or backward.

상기 리프팅유닛(300)은 제3 회전축부(310), 리프팅기어(320), 제1 베벨기어(330) 및 제2 베벨기어(340)를 포함한다.The lifting unit 300 includes a third rotation shaft part 310, a lifting gear 320, a first bevel gear 330 and a second bevel gear 340.

상기 제3 회전축부(310)는 상기 제1 회전축부(120)와 평행하게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상기 제2 회전축부(210)와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The third rotation shaft portion 310 extends along the first direction X in parallel with the first rotation shaft portion 120 and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second rotation shaft portion 210.

한편, 상기 본체(50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및 제3 회전축부들(210, 310)의 총 연장길이는 상기 제1 회전축부(120)의 연장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 및 제3 회전축부들(210, 310)의 사이에 상기 방향전환레버(400)가 위치하며, 상기 방향전환레버(400)가 위치하는 공간에는 상기 제2 및 제3 회전축부들(210, 310)이 연장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Meanwhile, the total extension length of the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 parts 210 and 310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500 may be shorter than the extension length of the first rotation shaft part 120. The direction change lever 400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 portions 210 and 310, and the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 portions (a) are located in a space where the direction change lever 400 is located. This is because the 210 and 310 should not be extended.

상기 제3 회전축부(310)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력이 인가되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리프팅기어(320)는 상기 제3 회전축부(310)에 고정되며, 이 경우, 상기 리프팅기어(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어(130)와 상기 제2 기어(140)의 사이에 위치한다.The third rotation shaft part 310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and may rotate around the rotation shaft when a rotation force is applied. The lifting gear 320 is fixed to the third rotating shaft part 310, in this case, the lifting gear 32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gear 130 and the second gear 140 as shown. Located in

마찬가지로, 상기 리프팅기어(320)는 선택에 따라 상기 제2 기어(140)와 기어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기어(140) 측에 보다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Similarly, since the lifting gear 320 may be geared to the second gear 140 according to the selection, it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second gear 140 side.

여기서, 상기 리프팅기어(320)는 상기 제3 회전축부(310)에 고정되지만, 그 위치는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Here, the lifting gear 320 is fixed to the third rotation shaft portion 310, but the position may be moved along the first direction X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이에 따라, 상기 리프팅기어(320)는 상기 제2 기어(140)와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2 기어(14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3 회전축부(310)도 함께 회전하게 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fting gear 320 may be rotated together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gear 140 when the lifting gear 320 is moved to the position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140, accordingly the third rotation shaft portion 310 ) Can also be rotated together.

한편, 상기 제3 회전축부(310)에는 상기 제1 베벨기어(330)가 끼워지는데, 이 경우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리프팅기어(320), 제1 베벨기어(320) 순으로 위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bevel gear 330 is fitted to the third rotating shaft portion 310, in this case, the lifting gear 320, the first bevel gear 320 is locat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여기서, 상기 제1 베벨기어(330) 역시 상기 제3 회전축부(310)에 고정되나, 그 위치는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방향(X)으로 이동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bevel gear 330 is also fixed to the third rotation shaft portion 310, the position may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X)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또한, 상기 제1 베벨기어(330)는 상기 리프팅기어(320)가 상기 제2 기어(140)와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동시에 이동되어 상기 제2 베벨기어(340)와 맞물리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lifting gear 320 moves to a position where the lifting gear 320 is engaged with the second gear 140, the first bevel gear 330 is simultaneously moved to be engaged with the second bevel gear 340.

이와 같이, 상기 제1 베벨기어(330)가 상기 제1 방향(X)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베벨기어(340)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제2 베벨기어(340)에 회전력을 제공하면, 상기 제2 베벨기어(340)도 회전된다.As such, when the first bevel gear 330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X to contact the second bevel gear 340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second bevel gear 340, 2 bevel gear 340 is also rotated.

상기 제2 베벨기어(340)는 상기 제3 회전축부(310)의 상부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2 베벨기어(340)는 상기 제1 방향(X)으로 이동한 상기 제1 베벨기어(330)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받도록 상기 제1 베벨기어(330)와 접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한다. The second bevel gear 340 is positioned above the third rotation shaft part 3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the second bevel gear 34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bevel gear 330 to be coupled with the first bevel gear 330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X) to receive a rotational force. Located.

이와 같이 상기 제1 베벨기어(330)와 상기 제2 베벨기어(340)가 결합되면, 상기 제2 베벨기어(340)는 상기 제1 방향(X)에 수직인 제3 방향(Z)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first bevel gear 330 and the second bevel gear 340 are coupled, the second bevel gear 340 extends in a third direction Z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X. It can rotate about the rotated axis.

이 경우, 상기 상부 연장 프레임(31)은 상기 제2 베벨기어(340)와 결합되어 상기 제3 방향(Z), 즉 상기 제1 방향(X)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상부 연장 프레임(31)은 상기 본체(500)를 관통하며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2 베벨기어(340)의 회전에 따라 제3 방향(Z)으로 승하강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upper extension frame 31 is coupled to the second bevel gear 340 and extends in the third direction Z, that is,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X. That is, the upper extension frame 31 penetrates the main body 500 and extends upward, and ascends and descends in the third direction Z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bevel gear 340.

이상과 같이 구성된 상기 구동 모듈(6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레버(4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주행 또는 리프팅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module 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selectively driven or lifted by the turning lever 40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 모듈(60)은 수동 상태, 즉 주행 모드 또는 리프팅 모드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기어(220), 상기 리프팅기어(230) 모두 상기 제1 기어(130)와 상기 제2 기어(140)의의 사이에 위치한다.More specifically, the driving module 60 in the manual state, that is, the state does not perform the driving mode or lifting mode, as shown in Figure 1, both the driving gear 220 and the lifting gear 230 is the first Located between the first gear 130 and the second gear 140.

여기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주행기어(220)가 상기 제1 방향(X, 음의 제1 방향(-X))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게 되도록 하면 주행 모드가 수행되고, 상기 리프팅기어(320)가 제1 방향(X, 양의 제1 방향(X))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리게 되도록 하면 리프팅 모드가 수행된다. Herein, when the control unit moves the driving gear 220 in the first direction (X, negative first direction (-X)) to engage with the first gear, the driving mode is performed, and the lifting gear ( Lifting mode is performed when 320 is moved in a first direction X (positive first direction X) to engage the second gear.

이러한 주행 모드 또는 리프팅 모드에 대하여는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driving mode or the lifting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7은 도 6의 구동 모듈의 주행 모드를 도시한 내부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6의 구동 모듈의 리프팅 모드를 도시한 내부 구조도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driving mode of the driving module of FIG. 6. 8 is an internal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lifting mode of the driving module of FIG.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레버(4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주행기어(220)가 상기 음의 제1 방향(-X)으로 상기 제1 기어(130)의 위치까지 이동되면 상기 제1 기어(130)와 맞물리게 되어 상기 제1 기어(13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게 되어 회전하게 된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driving gear 220 is selectively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gear 130 in the negative first direction (-X) by the turning lever 400. The first gear 130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130 to receive rotation force from the first gear 130 to rotate.

상기 주행기어(2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회전축부(210)도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회전축부(210)에 끼워진 상기 주행바퀴(230)에도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주행바퀴(230)도 회전하게 됨으로써 주행 모드가 수행된다. As the driving gear 220 rotates, the second rotation shaft unit 210 also rotates. Accordingly, a rotational force is also transmitted to the driving wheel 230 fitt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unit 210 so that the driving wheel is rotated. The driving mode is performed by rotating the 230.

이와 달리, 상기 구동 모듈(60)이 리프팅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레버(4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리프팅기어(320)가 상기 양의 제1 방향(+X)으로 상기 제2 기어(140)의 위치까지 이동되면 상기 제2 기어(140)가 맞물리게 되어 상기 제2 기어(14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게 되어 회전하게 된다. In contrast, when the driving module 60 performs the lifting mode, as shown in FIG. 8, the lifting gear 320 is selectively lifted by the direction change lever 400 in the positive first direction (+). When X) is moved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gear 140, the second gear 140 is engaged to receive rotational force from the second gear 140 to rotate.

한편, 상기 리프팅기어(320)가 상기 양의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리프팅기어(320)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기 제1 베벨기어(330)도 상기 양의 제1 방향(+X)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베벨기어(330)는 상기 제2 베벨기어(340)와 맞닿는 위치까지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2 베벨기어(340)와 맞물리게 된다.Meanwhile, the first bevel gear 330 spaced apart from the lifting gear 3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the lifting gear 320 is moved in the positive first direction (+ X) also has the positive first direction (+). Move to X). In this case, the first bevel gear 330 is engaged with the second bevel gear 340 by moving to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second bevel gear 340.

이 경우, 상기 리프팅기어(320)가 상기 제2 기어(140)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리프팅기어(320)를 관통하고 있는 상기 제3 회전축부(310)도 회전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상기 제3 회전축부(310)에 끼워진 상기 제1 베벨기어(330)도 회전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lifting gear 320 rotates by the second gear 140, the third rotation shaft part 310 penetrating the lifting gear 320 also rotates. The first bevel gear 330 fitted to the part 310 also rotates.

따라서, 상기 제1 베벨기어(330)와 맞물린 상기 제2 베벨기어(340)도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 베벨기어(340)와 결합한 상기 상부 연장 프레임(31)은 상기 제2 베벨기어(340)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 즉, 상기 제3 방향(Z)으로 이동된다.Accordingly, the second bevel gear 340 meshed with the first bevel gear 330 also rotates, and the upper extension frame 31 coupled with the second bevel gear 340 is the second bevel gear 34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third direction (Z) is mov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의 구동 모듈의 내부를 도시한 내부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구동 모듈의 주행 모드를 도시한 내부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9의 구동 모듈의 리프팅 모드를 도시한 내부 구조도이다.9 is an internal structur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drive module of the transfer apparatus capable of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internal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mode of the driving module of FIG. 9. FIG. 11 is an internal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lifting mode of the driving module of FIG. 9.

본 실시예에 의한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 장치는 구동 모듈이 기어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 장치(1)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conveying apparatus 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except that the driv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gear brake unit. Reference numbers are used and duplicate explanations are omitted.

앞서 설명한 상기 구동 모듈(60)에서는 상기 제2 및 제3 회전축부들(130, 140)의 회전을 고정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상기 주행바퀴(230)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거나 경사면에 위치된 경우 경사에 의해 회전되어 주행모드가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방향전환레버(40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주행기어(220)나 상기 리프팅기어(320)가 제1 방향(X)을 따라 스스로 이동되어 주행모드 또는 리프팅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Since the driving module 60 does not include a means for fix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and third rotation shaft parts 130 and 140, for example, the driving wheel 230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or is inclined. When it is located in the driving mode may be rotated by the inclination, even if the turning lever 400 is not selectively rotated, the driving gear 220 or the lifting gear 320 in the first direction The driving mode or the lifting mode may be performed by moving itself along (X).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 장치에서의 구동 모듈(61)은 상기 본체(500)의 내부에서 상기 주행기어 및 상기 리프팅기어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어 브레이크부(600)를 더 포함한다. Therefore, the driving module 61 in the vertical and the inclined elevating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gear brake unit 600 for fixing the traveling gear and the lifting gear inside the main body 500 so as not to move. It includes more.

상기 기어 브레이크부(600)는 상기 주행기어(220)와 맞닿으며 상기 주행기어(220)를 고정하는 제1 기어브레이크(601) 및 상기 리프팅기어(320)와 맞닿으며 상기 리프팅기어(320)를 고정하는 제2 기어 브레이크(602)를 포함한다.The gear brake unit 600 abuts with the driving gear 220 and abuts with the first gear brake 601 and the lifting gear 320 to fix the driving gear 220 to contact the lifting gear 320. And a second gear brake 602 for securing.

이 경우, 상기 제1 기어브레이크(601)는 상기 음의 제1 방향(-X)을 따라 상기 주행기어(220)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기어브레이크(602)는 상기 양의 제1 방향(X)을 따라 상기 리프팅기어(320)의 외측에 위치한다.In this case, the first gear brake 601 is located outside the driving gear 220 along the negative first direction (-X), and the second gear brake 602 is in the positive first direction. It is located outside the lifting gear 320 along (X).

즉, 상기 제1 기어브레이크(601)와 상기 제2 기어 브레이크(602)의 사이에 상기 주행기어(220) 및 상기 리프팅기어(320)가 위치되며, 상기 주행기어(220)는 상기 제1 기어브레이크(601)에 보다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리프팅기어(320)는 상기 제2 기어 브레이크(602)에보다 인접하게 위치된다.That is, the driving gear 220 and the lifting gear 320 ar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ear brake 601 and the second gear brake 602, and the driving gear 220 is the first gear. It is located closer to the brake 601, and the lifting gear 320 is located closer to the second gear brake 602.

상기 기어브레이크부(600)는 상기 본체(500)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3 방향(Z)으로 연장되고 휠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주행기어(220) 또는 상기 리프팅기어(320)의 외면을 고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gear brake unit 600 may exten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500 to fix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ing gear 220 or the lifting gear 320 extending in the third direction Z and formed in a wheel shape. It is formed into a shape.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구동 모듈(61)이 주행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주행기어(220)는 상기 방향전환레버(400)에 의해 상기 음의 제1 방향(-X)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 기어브레이크(601)의 위치 보다 더 음의 제1 방향(-X)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기어(130)와 맞물리도록 위치하고, 상기 리프팅기어(220)는 상기 방향전환레버(400)에 의해 상기 양의 제1 방향(X)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 기어브레이크(602)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2 기어브레이크(602)에 의해 고정된다.When the driving module 6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erforms the driving mode, referring to FIG. 10, the driving gear 220 is moved in the negative first direction (-X) by the turning lever 400. While being moved to move in a first negative direction (-X) more negative than the position of the first gear brake 601 is positioned to engage with the first gear 130, the lifting gear 220 is the turning lever ( 400 is moved in the positive first direction X while being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ith the second gear brake 602 and fixed by the second gear brake 602.

이에 따라, 상기 리프팅기어(320)가 상기 제2 기어 브레이크(602)에 고정되어 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구동 모듈(61)이 보다 효과적으로 주행 모드만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lifting gear 320 is fixed to the second gear brake 602 and the movement is limited, the driving module 61 may perform only the driving mode more effectively.

이와 달리, 상기 구동 모듈(61)이 리프팅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리프팅기어(320)는 상기 방향전환레버(400)에 의해 상기 양의 제1 방향(X)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 기어브레이크(602)의 위치 보다 더 양의 제1 방향(X)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기어(140)와 맞물리도록 위치하고, 상기 주행기어(220)는 상기 방향전환레버(400)에 의해 상기 음의 제1 방향(-X)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 기어브레이크(601)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기어브레이크(601)에 의해 고정된다.In contrast, when the driving module 61 performs the lifting mode, referring to FIG. 11, the lifting gear 320 is moved in the positive first direction X by the turning lever 400. While moving in a positive first direction (X) than the position of the second gear brake 602 is positioned to engage with the second gear 140, the traveling gear 220 is the direction switching lever 400 By moving in the negative first direction (-X) by being position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ith the first gear brake 601 is fixed by the first gear brake 601.

이에 따라, 상기 주행기어(220)가 상기 제1 기어 브레이크(601)에 고정되어 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구동 모듈이 보다 효과적으로 리프팅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driving gear 220 is fixed to the first gear brake 601 and the movement is restricted, the driving module can perform the lifting mode more effectively.

상기와 같은 구동 모듈에서는(61) 상기 구동유닛(100), 상기 주행유닛(200) 및 상기 리프팅유닛(300)을 각각 대칭으로 한 쌍으로 형성할 수 있다. In the driving module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unit 100, the traveling unit 200, and the lifting unit 300 may be symmetrically formed in pairs, respectively.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360)은 한 쌍의 리프팅유닛(300)의 슬라이딩부(355)에 각각 연결된 것이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주행유닛(200)의 주행바퀴(230)도 한 쌍으로 구비되어 주행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60 are connected to the sliding portions 355 of the pair of lifting units 300, respec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driving wheels 230 of the traveling unit 200 are also shown. It can be provided as a pair to travel.

따라서, 주행모드에서는, 한 쌍의 상기 주행바퀴(230)가 주행됨에 따라 상기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는 상기 주행바퀴(230)의 주행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3 방향들에 모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driving mode, as the pair of driving wheels 230 are driven, the vertical and inclined lifting apparatus is vertical to both the first and third directions according to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230. It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이와 달리, 리프팅모드에서는, 상기 슬라이딩부(355)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31)도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안장부에 탑승하는 환자는 상기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31)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이동하게 되며, 환자의 몸이 기울어지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On the contrary, in the lifting mode, as the sliding part 355 is moved in the third direction,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31 also move in the third direction, and thus, the saddle part The patient is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 31, the process of tilting the body of the patient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환자가 안착되는 안장부의 수직 승강 동작과 경사 승강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환자의 몸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환자를 이송함으로써 환자나 노약자가 앞으로 넘어지거나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환자의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될 수 있으며 환자의 편의성도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atient or the elderly person falls forward or backward by transferring the patient in a tilted state of the patient by continuously performing the vertical lifting and tilting lifting operation of the saddle on which the patient is seated It can be prevented from flipping so that the movement of the patient can be more stable, and the convenience of the patient can be improved.

또한,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에 의한 안장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환자를 이송장치에서 침대나 변기 등으로 또는 침재나 변기 등에서 이송장치로 옮기는 경우, 환자의 이송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saddle can be adjusted by a pair of upper extension frames, the patient can be easily transported when moving the patient from the transport apparatus to the bed or the toilet or from the bedding or the toilet to the transport apparatus. .

또한, 제2 커버부는 제1 커버부와 서로 회전 조인트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 커버부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함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별도의 구동부가 필요 없어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낮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cover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part through a rotary join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cover part moves along the guide rail together when the first cover part moves along the guide rail, a separate driving part is not required, and thus the configuration is relatively simple. Low manufacturing cost and easy maintenance.

또한, 주행유닛 및 리프팅 유닛을 포함하여 주행 및 리프팅의 수행이 가능하여 자유도 획득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하나의 구동유닛을 통해 주행유닛 또는 리프팅 유닛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어, 구동시스템의 구조를 간략화하며 효과적인 구동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arry out driving and lifting including the driving unit and the lifting unit, thereby maximizing the degree of freedom and provid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or the lifting unit through one driving unit, there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driving system. And can provide effective driving.

특히, 방향전환레버를 통해 주행기어 또는 상기 리프팅기어를 선택적으로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주행유닛 또는 상기 리프팅 유닛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traveling gear or the lifting gear can be selectively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e direction switching lever to selectively operate the traveling unit or the lifting unit.

이러한 선택적인 동작은, 환자용 이동 보조로봇과 같이, 주행과 리프팅이 동시에 구현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필요한 로봇 구동 메커니즘에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This selective operation can be more effectively applied to robotic driving mechanisms that require traveling and lifting to be implemented selectively, rather than simultaneously, such as a patient assisted robot.

또한, 주행기어 및 리프팅기어를 각각 고정하는 제1 및 제2 기어 브레이크들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방향전환레버가 회전되지 않는 수동 상태에서 상기 주행기어 및 상기 리프팅기어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나 노약자 등의 이송 시, 예상하지 못한 구동이나 동작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gear brakes for fixing the traveling gear and the lifting gear,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veling gear and the lifting gear from operating in the passive state in which the turning lever does not rotate. As a result, unexpected movement or operation can be prevented during the transfer of the patient or the elderly, and the safety can be improv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foregoing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10 : 베이스판 20 : 가이드 레일
21 : 제1 가이드부 22 : 제2 가이드부
23 : 제1 슬라이딩홈 24 : 제2 슬라이딩홈
30 : 리프팅 수단 31 : 상부 연장 프레임들
32 : 제1 커버부 36 : 제1 이동부재
40 : 틸팅 수단 41 : 경사 가이드 프레임들
42 : 제2 커버부 46 : 제2 이동부재
50 : 안장부 53 : 받침판
100 : 구동유닛 110 : 동력전달부
120 : 제1 회전축부 130 : 제1 기어
140 : 제2 기어 150 : 헬리컬 기어
200 : 주행유닛 210 : 제2 회전축부
220 : 주행기어 230 : 주행바퀴
300 : 리프팅유닛 310 : 제3 회전축부
320 : 리프팅기어 330 : 제1 베벨기어
340 : 제2 베벨기어 500 : 본체
600 : 기어 브레이크부
10: base plate 20: guide rail
21: first guide portion 22: second guide portion
23: first sliding groove 24: second sliding groove
30 lifting means 31 upper extension frames
32: first cover portion 36: the first moving member
40: tilting means 41: inclined guide frames
42: second cover portion 46: second moving member
50: saddle 53: support plate
100: drive unit 110: power transmission unit
120: first rotating shaft portion 130: first gear
140: second gear 150: helical gear
200: traveling unit 210: second rotating shaft portion
220: driving gear 230: driving wheel
300: lifting unit 310: third rotating shaft portion
320: lifting gear 330: first bevel gear
340: second bevel gear 500: main body
600: gear brake

Claims (13)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가이드부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리프팅 수단;
상기 리프팅 수단의 상부에서 상기 리프팅 수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들을 따라 이동하는 틸팅 수단; 및
상기 틸팅 수단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착석하는 안장부를 포함하는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
A guide rail including a first guide part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guide part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art and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guide part;
Lifting means moving vertically along the first guide portion;
Tilting means rotatably coupled with the lifting means at an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means and moving alo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portions; And
Coupled to the tilting means, and vertical and inclined lifting apparatus including a saddle seated by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수단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상부 연장 프레임을 포함하는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fting means,
Vertical and inclined lifting device including a vertical extension fram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veying along the guide rai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에는 제1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연장 프레임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되는 제1 이동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sliding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guide portion,
The upper extension frame is a vertical and inclined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movable member which is moved along the first sliding groove is fix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수단은 상기 상부 연장 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틸팅 수단은 상기 리프팅 수단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lifting means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upper extension frame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tilting means moves simultaneously as the lifting means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수단은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를 따라 경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tilting means moves vertically along the first guide part and moves in an oblique direction along the second guide pa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에는 제2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 수단은 상기 제2 슬라이딩 홈을 따라 이동되는 제2 이동부재가 고정된 경사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 second sliding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guide portion,
The tilting means is a vertical and inclined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inclined guide frame is fixed to the second moving member moving along the second sliding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수단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 연장 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구동 모듈을 더 포함하는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a drive module positioned below the lifting means and including a lifting unit for moving the upper extension frame in a vertical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은,
구동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상부 연장 프레임을 이동시키거나, 주행유닛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rive module,
A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transport apparatus for selectively transferring a driving force provided from a driving unit to move the upper extension frame or to drive a driving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 및 상기 상부 연장 프레임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구동 모듈들은 한 쌍의 주행유닛들을 동시에 주행시키거나 한 쌍의 상부 연장 프레임들을 동시에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drive module and the upper extension frame are each provided in a pair,
The pair of drive modules are vertical and inclined elevating trans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riving a pair of driving units at the same time or a pair of the upper extension frame at the same tim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상부 연장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주행유닛을 제동하고, 상기 주행유닛을 구동시키는 경우 상기 상부 연장 프레임의 이동을 제동시키는 기어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는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rive module,
And a gear brake unit configured to brake the driving unit when the upper extension frame is moved, and to brake the movement of the upper extension frame when the driving unit is drive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제1 및 제2 기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주행유닛은 주행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유닛은 리프팅기어를 포함하며,
선택에 따라 상기 주행기어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거나 상기 리프팅 기어가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상기 리프팅기어 또는 상기 주행유닛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driving unit includes first and second gears,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gear, and the lifting unit includes a lifting gear,
Optionally, the lifting gear or the traveling unit is selectively driven as the traveling gear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gear or the lifting gear meshes with the second gear to rotate.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브레이크부는,
상기 제1 및 제2 기어들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기어를 고정시키는 제1 기어브레이크 및 상기 제2 기어를 고정시키는 제2 기어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gear brake portion,
Are formed below the first and second gears,
And a first gear brake for fixing the first gear and a second gear brake for fixing the second ge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수단 및 상기 틸팅 수단은 회전 조인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및 경사 승강이 가능한 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said lifting means and said tilting means are coupled by a rotary joint.
KR1020180038161A 2018-04-02 2018-04-02 Transportation device capable of vertical and slant lifting KR1020870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161A KR102087097B1 (en) 2018-04-02 2018-04-02 Transportation device capable of vertical and slant lif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161A KR102087097B1 (en) 2018-04-02 2018-04-02 Transportation device capable of vertical and slant lif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300A true KR20190115300A (en) 2019-10-11
KR102087097B1 KR102087097B1 (en) 2020-04-23

Family

ID=6821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161A KR102087097B1 (en) 2018-04-02 2018-04-02 Transportation device capable of vertical and slant lif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0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1082A (en) * 2021-04-12 2021-07-13 滨州医学院烟台附属医院 Sick bed stands up with long-term bed patient and holds up de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0246A (en) * 2012-05-11 2013-12-02 유니셉 주식회사 Break device for rail bike
KR20140050884A (en) * 2012-10-22 2014-04-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Robot of transportation for patients nursing
KR101507963B1 (en) 2013-12-04 2015-04-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Lifting Apparatus Including Rotatable Driving Assistance Wheel with Frame for Same Time
KR20150136251A (en) * 2014-05-27 2015-12-07 한국기계연구원 Transferring robot and method of transferring using the same
KR20160111701A (en) 2015-03-17 2016-09-27 채준석 Apparatus for carrying patient
KR20160142548A (en) * 2015-06-03 2016-12-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eat height adjustable motor driven wheel chair
JP2017080247A (en) * 2015-10-30 2017-05-18 株式会社安川電機 Standing auxiliary device and standing auxiliary meth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0246A (en) * 2012-05-11 2013-12-02 유니셉 주식회사 Break device for rail bike
KR20140050884A (en) * 2012-10-22 2014-04-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Robot of transportation for patients nursing
KR101507963B1 (en) 2013-12-04 2015-04-0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Lifting Apparatus Including Rotatable Driving Assistance Wheel with Frame for Same Time
KR20150136251A (en) * 2014-05-27 2015-12-07 한국기계연구원 Transferring robot and method of transferring using the same
KR20160111701A (en) 2015-03-17 2016-09-27 채준석 Apparatus for carrying patient
KR20160142548A (en) * 2015-06-03 2016-12-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eat height adjustable motor driven wheel chair
JP2017080247A (en) * 2015-10-30 2017-05-18 株式会社安川電機 Standing auxiliary device and standing auxiliary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1082A (en) * 2021-04-12 2021-07-13 滨州医学院烟台附属医院 Sick bed stands up with long-term bed patient and holds up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097B1 (en)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1954B2 (en) Stabilized mobile unit or wheelchair
CN100415194C (en) Chair and wheel chair
CN109152688B (en) Transfer device
KR101437374B1 (en) Variable type wheel chair
EP3478238B1 (en) An electric stair-climbing wheelchair with a hybrid locomotion system
KR102046151B1 (en) Electric drivr type wheelchair with stairs going up and down function
WO2015145915A1 (en) Assistance robot
JP6616834B2 (en) Assistance robot
JP6528751B2 (en) Vehicle seat
WO2010109466A1 (en) Wheelchair
KR20190115300A (en) Transportation device capable of vertical and slant lifting
US6361109B1 (en) Seat cushion height adjuster
JP2009119215A (en) Standing-sitting assist apparatus
JPH06278510A (en) Seat support device
JP6340709B2 (en) robot
KR101381576B1 (en) Seat for vehicle
KR102025523B1 (en) An electronic wheel chair for seat height control
JP2016088644A (en) Lifting device and transportation device for wheel chair using the same
KR102423485B1 (en) Auto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parapiegic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CN211187948U (en) Rehabilitation transfer nursing robot
JP6511020B2 (en) Wheelchair access device
JP2019182126A (en) Stair lift mechanism
JP2004238097A (en) Lift device
JP2003136901A (en) Traveling device
JP2004238098A (en) Lif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