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049A - 멀티마스킹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마스킹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049A
KR20190113049A KR1020180035195A KR20180035195A KR20190113049A KR 20190113049 A KR20190113049 A KR 20190113049A KR 1020180035195 A KR1020180035195 A KR 1020180035195A KR 20180035195 A KR20180035195 A KR 20180035195A KR 20190113049 A KR20190113049 A KR 20190113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sking
masking jig
jig
de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9773B1 (ko
Inventor
하명순
허세웅
최준웅
Original Assignee
하명순
주식회사 영진텍
허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명순, 주식회사 영진텍, 허세웅 filed Critical 하명순
Priority to KR1020180035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77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3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0Substrate hol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C23C14/042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using mask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54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복수개의 증착대상물의 표면에 증착재료가 안정적으로 증착되도록 가고정됨에 따라 생산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진공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증착재료가 증착되어 표면 처리되는 증착대상물이 가고정되는 멀티마스킹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착대상물의 표면 일측이 기설정된 제1패턴을 따라 차폐되도록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외면에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1마스킹지그가 구비된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증착대상물의 표면 타측이 기설정된 제2패턴을 따라 차폐되도록 상기 제1마스킹지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마스킹지그가 구비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가 각각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호 선택적으로 평행하게 대면 배치되도록 양단부가 힌지 연결되되, 상기 증착대상물의 양측에 상기 제1마스킹지그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가 선택적으로 대면 밀착되도록 접철 가능한 플레이트연결부를 포함하는 멀티마스킹 지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마스킹 지그장치{jig apparatus for multi masking}
본 발명은 멀티마스킹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증착대상물의 표면에 증착재료가 안정적으로 증착되도록 가고정됨에 따라 생산성이 개선된 멀티마스킹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킹 지그(masking jig)란 증착대상물의 내부 및 외부에 도장이 필요한 부분과 도장이 불필요한 부분을 구분하여 도장 공정 시 도장이 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증착대상물의 도장 시 사용자의 눈에 보이는 외관 또는 특정 부분만 도장이 되고 내부 또는 특정 부분은 마스킹 지그를 이용하여 표면 처리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킹 지그는 도장 영역의 구분이 필요한 병뚜껑(bottle cap) 내지 차량용 조명장치의 리플렉터(reflector) 등의 표면 처리 공정에 사용된다. 따라서, 증착대상물이 상기 마스킹 지그에 의해 도장 영역이 구분되어 상기 증착재료가 증착됨에 따라 외관 및 디자인을 더욱 부각시키고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량용 조명장치는 통상적으로 빛을 발광하는 램프(lamp)와, 상기 램프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상기 리플렉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리플렉터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램프와 대면되는 대향면에 빛을 반사하기 위한 코팅층이 부분적으로 형성되도록 마스킹 지그(masking jig) 등을 통해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마스킹 지그는 전방지그 및 후방지그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지그 및 후방지그에는 상기 증착대상물이 형합 삽입되는 캐비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증착대상물의 도장이 필요한 부분에 대응하여 개구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스킹 지그를 통한 마스킹 표면 처리 공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상기 후방지그를 메인프레임에 장착하고 상기 증착대상물을 상기 후방지그에 전측에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증착대상물의 전측에 상기 전방지그를 배치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된 결합수단을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증착대상물은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전방지그 및 후방지그 사이에 압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착대상물이 압착 고정되면 분사장치 등이 구동되어 표면에 도장층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마스킹 지그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전방지그 및 후방지그가 장착 및 클램핑 고정되는 과정이 수작업으로 진행됨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복수개의 마스킹 지그의 장착 및 클램핑 고정을 위한 작업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됨에 따라 공정 소요시간이 증가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마스킹 지그는 상기 증착대상물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절단, 절곡, 성형 및 용접 등의 복잡한 공정 등을 통해 제조된다. 이로 인해 상기 증착대상물의 설계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다수의 마스킹 지그를 새롭게 제조함에 따라 제조 비용 및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3964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증착대상물의 표면에 증착재료가 안정적으로 증착되도록 가고정됨에 따라 생산성이 개선된 멀티마스킹 지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공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증착재료가 증착되어 표면 처리되는 증착대상물이 가고정되는 멀티마스킹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착대상물의 표면 일측이 기설정된 제1패턴을 따라 차폐되도록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외면에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1마스킹지그가 구비된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증착대상물의 표면 타측이 기설정된 제2패턴을 따라 차폐되도록 상기 제1마스킹지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마스킹지그가 구비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가 각각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호 선택적으로 평행하게 대면 배치되도록 양단부가 힌지 연결되되, 상기 증착대상물의 양측에 상기 제1마스킹지그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가 선택적으로 대면 밀착되도록 접철 가능한 플레이트연결부를 포함하는 멀티마스킹 지그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연결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단부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힌지베이스와, 상기 제1마스킹지그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의 사이 간격이 가변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호 힌지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되, 양방향 최외측에 배치되는 각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가 선택적으로 평행하게 대면 배치되도록 상기 각 힌지베이스에 각각 힌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 중 어느 일측에는 타측을 향해 수직하게 돌출되는 가이드핀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호 대향면이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상기 가이드핀의 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호 대향면에는 상기 제1마스킹지그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제1마스킹결합부 및 제2마스킹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마스킹결합부 및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완충탄성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플레이트는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수직프레임 및 제1수평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1수직프레임 및 상기 제1수평프레임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기 제1마스킹지그가 구비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는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수직프레임 및 제2수평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2수직프레임 및 상기 제2수평프레임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기 제2마스킹지그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마스킹 지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플레이트연결부의 접철시 복수개의 증착대상물이 각 제1마스킹지그 및 제2마스킹지그 사이에 한꺼번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클램핑되어 가고정되므로 종래에 비해 가고정 작업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면서도 한 번의 공정에 복수개의 증착대상물에 대한 마스킹 표면 처리가 가능하여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는 복수개의 링크부재의 양측에 각각 힌지 연결됨에 따라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각 마스킹지그의 사이 간격이 가변될 뿐만 아니라 상호 대향면이 평행하게 대면 배치되도록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므로 증착대상물의 가고정 및 분리 작업에 대한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가이드핀이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호 대향면이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회동 상태가 가이드되어 증착대상물과 각 마스킹지그의 정확한 대면 밀착이 가능하므로 증착대상물의 표면 증착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제1마스킹지그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가 상기 증착대상물의 양측에 최초 접촉시 상기 완충탄성부에 의해 탄발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스크래치 내지 과도한 가압력의 작용으로 발생하는 압흔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제품의 불량이 최소화되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마스킹 지그장치가 배치된 진공챔버의 내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마스킹 지그장치의 제1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마스킹 지그장치의 제2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마스킹 지그장치의 플레이트연결부를 나타낸 배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마스킹 지그장치에 증착대상물이 가고정되는 과정을 상측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6은 도 5b의 A 부분을 정면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마스킹 지그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마스킹 지그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마스킹 지그장치가 배치된 진공챔버의 내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마스킹 지그장치의 제1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마스킹 지그장치의 제2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마스킹 지그장치의 플레이트연결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마스킹 지그장치에 증착대상물이 가고정되는 과정을 상측에서 바라본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b의 A 부분을 정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마스킹 지그장치(100)는 제1플레이트(10), 제2플레이트(20) 그리고 플레이트연결부(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멀티마스킹 지그장치(100)는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제2플레이트(20) 사이에 증착대상물(M)이 가고정된 상태로 상기 진공챔버(1)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a)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진공챔버(1)는 상기 수용공간(1a)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 배기가 가능한 챔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멀티마스킹 지그장치(100)는 상기 진공챔버(1)의 크기 내지 상기 수용공간(1a)의 부피 등에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지그결합부(3)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에는 후술되는 제1마스킹지그(40a) 및 제2마스킹지그(40b)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증착대상물(M)이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 사이에 클램핑되어 가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a)에 배치되는 재료공급수단(2)이 구동되면 증착재료가 분출됨에 따라 상기 증착대상물(M)의 표면에 증착되어 표면 처리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착대상물(M)의 표면은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에 의해 부분적으로 차폐된다.
즉, 상기 증착대상물(M)에는 외부에 표면이 노출되어 상기 증착재료가 증착되는 증착영역(f2)과,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에 의해 차폐되는 차폐영역(f1)이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증착대상물(M)은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에 의해 차폐된 상기 차폐영역(f1)을 제외하고, 외부에 노출된 상기 증착영역(f2)에 대응하여 상기 증착재료가 증착되어 마스킹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마스킹 지그장치(100)는 병뚜껑(bottle cap) 내지 차량용 조명장치의 리플렉터(reflector) 등과 같이 상기 차폐영역(f1) 및 상기 증착영역(f2)의 구분이 필요한 증착대상물(M)의 제조 산업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병뚜껑은 프레스 몰드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일측이 오목하게 함몰되어 병의 입구측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병의 입구측에 끼움 결합되는 상기 병뚜껑의 일측면에는 끼움 결합시 발생하는 마모 내지 변형에 의한 제품의 불량이 방지되도록 내마모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코팅층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병뚜껑의 일측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타측면에는 상표, 상호 등이 표시된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마스킹 지그장치(100)에 의해 상기 병뚜껑의 타측면이 차폐된 후 상기 진공챔버(1) 내부에서 코팅층을 형성하는 증착재료가 분출되면 상기 병뚜껑의 일측면에 증착재료가 증착됨에 따라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10)는 상기 증착대상물(M)의 표면 일측이 기설정된 제1패턴을 따라 차폐되도록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외면에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1마스킹지그(40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플레이트(20)는 상기 제1플레이트(10)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증착대상물(M)의 표면 타측이 기설정된 제2패턴을 따라 차폐되도록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에 대응하여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마스킹지그(40b)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플레이트(10)는 제1베이스부(11) 및 상기 제1마스킹결합부(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플레이트(20)는 제2베이스부(21) 및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제1베이스부(11) 및 상기 제2베이스부(21)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평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호 대향되는 각각의 대향면(11a,21a)이 평탄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마스킹결합부(12)는 상기 제1베이스부(11)의 상기 제2베이스부(21)와 대향되는 대향면(11a)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는 상기 제2베이스부(21)의 상기 제1베이스부(11)와 대향되는 대향면(21a)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마스킹결합부(12) 및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다각형 내지 원형의 단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마스킹결합부(12)에는 상기 증착대상물(M)의 일측이 기설정된 제1패턴을 따라 차폐되도록 제1마스킹지그(40a)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에는 상기 증착대상물(M)의 타측이 기설정된 제2패턴을 따라 차폐되도록 제2마스킹지그(40b)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 사이에 상기 증착대상물(M)이 배치된 후 상기 증착대상물(M)의 일측 및 타측에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가 대면 밀착되면 상기 증착대상물(M)이 클램핑되어 가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의 외곽 테두리는 상기 기설정된 제1패턴에 대응되는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의 외곽 테두리는 상기 기설정된 제2패턴에 대응되는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제1패턴 및 상기 기설정된 제2패턴은 상기 증착대상물(M)의 외형 내지 설계에 따라 설정되는 차폐영역(f1)에 따라 상호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에는 상기 증착대상물(M)의 기설정된 차폐영역(f1)에 따라 상기 증착대상물(M)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패턴노출부(41)가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의 상호 대향면에는 상기 증착대상물(M)의 일측 및 타측 표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는 제1형합밀착부(42a) 및 제2형합밀착부(42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형합밀착부(42a)의 내면은 상기 증착대상물(M)의 일측에 기설정된 차폐영역(f1)에 대응되는 부분의 표면과 형합되는 프로파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형합밀착부(42b)의 내면은 상기 증착대상물(M)의 타측에 기설정된 차폐영역(f1)에 대응되는 부분의 표면과 형합되는 프로파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증착대상물(M)의 일측 및 타측이 상호 비대칭이거나 전체적으로 불규칙한 외형 프로파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1형합밀착부(42a) 및 상기 제2형합밀착부(42b)는 상호 상이한 내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가 상기 증착대상물(M)에 대면 밀착되면 상기 제1형합밀착부(42a) 및 상기 제2형합밀착부(42b)가 상기 증착대상물(M)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가 상기 증착대상물(M)에 대면 밀착된다라 함은 상기 증착대상물(M)의 기설정된 차폐영역(f1)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가 상기 증착대상물(M)의 표면에 형합 밀착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1마스킹결합부(12) 및 상기 복수개의 제2마스킹결합부(22)에 각각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에는 상기 제1마스킹결합부(12)의 단부가 삽입 및 결합되는 제1결합부(43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에는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의 단부가 삽입 및 결합되는 제2결합부(43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43a)는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의 상기 제1플레이트(10)와 대향되는 단부에 홀 내지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43b)는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의 상기 제2플레이트(20)와 대향되는 단부에 홀 내지 홈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43a) 및 상기 제2결합부(43b)는 각각 상기 제1마스킹결합부(12) 및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의 단부측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마스킹결합부(12) 및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의 단부가 상기 제1결합부(43a) 및 상기 제2결합부(43b)의 개구측을 통해 각각 형합 삽입되어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마스킹결합부(12) 및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의 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부(43a) 및 상기 제2결합부(43b)의 형합 삽입시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의 임의 회전 내지 분리가 방지되도록 요철 형상 등과 같은 기설정된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된 지그삽입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마스킹결합부(12) 및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의 단부가 상기 제1결합부(43a) 및 상기 제2결합부(43b)에 각각 끼움 삽입되면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가 상호 대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증착대상물(M)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접촉시 표면이 안정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는 상기 증착대상물(M)에 대응하여 3D 설계 및 구조 해석을 통해 3D 프린팅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형합밀착부(42a) 및 상기 제2형합밀착부(42b)는 3D 설계 및 구조 해석에 대응되는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상기 증착대상물(M)에 정확하게 대면 밀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증착대상물(M) 또한 3D 설계 및 구조 해석을 통해 제조될 수도 있으며, 상기 증착대상물(M)에 대면 밀착될 수 있는 정확한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상기 제1형합밀착부(42a) 및 상기 제2형합밀착부(42b)의 정밀한 제조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증착대상물(M)을 고려한 내마모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가 상기 증착대상물(M)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3D 설계 및 구조 해석에 대응되도록 정확하게 대면 밀착됨에 따라 상기 증착대상물(M)의 표면에 상기 증착영역(f2)에 대응하여 증착재료가 증착 내지 코팅되므로 정밀한 마스킹 표면 처리가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는 다양한 증착대상물(M)에 대응하여 신속한 제조가 가능하면서도 간편한 조립 방식으로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므로 호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는 소정의 강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증착대상물(M)이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 사이에 가고정되더라도 하중에 의한 변형 등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마스킹결합부(12) 및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완충탄성부(22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 중 상기 완충탄성부(22a)가 구비되는 어느 일측에는 그와 대응되는 마스킹결합부가 슬라이드 삽입되는 슬라이드장착홀(2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에 상기 완충탄성부(22a)가 구비된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제1마스킹결합부(12)는 상기 제1플레이트(10)의 상기 제2플레이트(20)에 대향되는 대향면(11a)에 용접 내지 결합수단 등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플레이트(20)에는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의 일단부(22b)가 슬라이드 삽입 및 결합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드장착홀(25)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드장착홀(25)은 상기 제2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다단 배열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2마스킹결합부(22)의 일단부(22b)가 각각 슬라이드 삽입된다. 즉,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는 일단부(22b)가 상기 슬라이드장착홀(25)에 삽입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의 일단부(22b)측 외주에는 이탈방지부(22c)가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22c)는 상기 마스킹결합부(22)의 일단부(22b)측 외주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는 상기 제2베이스부(21)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제1플레이트(11)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장착홀(25)을 통해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는 상기 완충탄성부(22a)의 탄성 복원시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에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슬라이드장착홀(25)의 개구측 테두리에 상기 이탈방지부(22c)가 걸림되어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부(22c)는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의 외주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2베이스부(21)에 선택적으로 걸림되어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의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장착홀(25)의 내면 프로파일은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의 일단부(22b)측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가 형합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플레이트(20)에는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의 상호 대향면 사이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상기 완충탄성부(22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완충탄성부(22a)는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의 직경 이상의 내경을 갖는 코일스프링 등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완충탄성부(22a)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면 나선형으로 권취됨에 따라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를 통해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완충탄성부(22a)는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탄성부(22a)의 길이는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의 길이 미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는 상기 중공부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도 여유 길이가 남아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드장착홀(25)에 상기 슬라이드장착홀(25)에 삽입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탄성부(22a)는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의 타단부에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가 결합되면 상기 제2베이스부(21)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의 상호 대향면에 양단부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가 상기 증착대상물(M)에 대면 밀착되어 상기 제2베이스부(2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는 상기 슬라이드장착홀(25)을 관통하여 상기 제1베이스부(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즉,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가 가압되면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드장착홀(25)을 관통하여 상기 제2베이스부(21)의 상기 제1베이스부(11)와 대향되는 대향면(21a)으로부터 반대되는 단부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탄성부(22a)는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의 상호 대향면 사이를 탄발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 사이 간격이 좁혀져 상기 증착대상물(M)의 양측에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가 상호 밀착되더라도 상기 완충탄성부(22a)에 의해 탄발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증착대상물(M)의 표면에 과도한 가압으로 인한 압흔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착대상물(M)에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가 상호 밀착된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완충탄성부(22a)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가 상기 제2베이스부(21)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22c)가 상기 슬라이드장착홀(25)의 개구측 테두리에 걸림되어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플레이트연결부(30)는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가 각각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호 선택적으로 평행하게 대면 배치되도록 양단부가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연결부(30)는 상기 증착대상물(M)의 양측에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가 선택적으로 대면 밀착되도록 접철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연결부(3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에 상하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플레이트연결부(30)는 힌지베이스(31a,31b) 및 링크부재(32,33)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힌지베이스(31a,31b)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10)의 일단부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의 일단부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한 쌍의 힌지베이스(31a,31b) 중 일측 힌지베이스(31a)는 상기 제1플레이트(10)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타측 힌지베이스(31b)는 상기 제2플레이트(20)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베이스(31a,31b)의 내부에는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32,33)는 양단부에 각각 힌지결합부(32a,32b,33a,33b)가 일체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각 힌지결합부(32a,32b,33a,33b)의 내부에는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도록 힌지홀에 대응되는 힌지연결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재(32,33)는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의 사이 간격이 가변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호 힌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방향 최외측에 배치되는 각 상기 링크부재(32,33)는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가 선택적으로 평행하게 대면 배치되도록 상기 각 힌지베이스(31a,31b)에 각각 힌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링크부재(32,33)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 상호 대향되는 단부측의 힌지결합부(32b,33a)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링크부재(32,33)가 한 쌍으로 구비된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상세히, 일측 링크부재(32)는 일단부측 힌지결합부(32a) 및 상기 일측 힌지베이스(31a)가 힌지 연결되며, 타단부에 구비된 힌지결합부(32b)는 타측 링크부재(33)의 일단부측 힌지결합부(33a)와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타측 링크부재(33)의 타단부측 힌지결합부(33b)는 상기 타측 힌지베이스(31b)와 힌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각 링크부재(32,33)는 상하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상기 일측 링크부재(32)의 타단부측 힌지결합부(32b)와 상기 타측 링크부재(33)의 일단부측 힌지결합부(33a)가 상하방향으로 중첩 배치되어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링크부재(32)의 타단부 및 상기 타측 링크부재(33)의 일단부측에 힌지 연결된 각 힌지결합부(32b,33a)는 상기 지그결합부(3)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는 상기 각 힌지베이스(31a,31b)에 힌지 연결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는 상호 대향면(11a,21a)이 평행하게 대면 배치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링크부재(32,33)는 상호 힌지 연결된 힌지결합부(32b,33a)를 중심으로 접철식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링크부재(32,33)가 상호 접철됨에 따라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의 사이 간격이 가변되어 선택적으로 대면 밀착된다.
즉, 상기 각 링크부재(32,33)가 형성하는 사이각이 커지면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 사이 간격이 넓어진다. 또한, 상기 각 링크부재(32,33)가 형성하는 사이각이 작아지면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 사이 간격이 좁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는 상호 힌지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부재(32,33)의 양측에 각각 힌지 연결됨에 따라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의 사이 간격이 손쉽게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의 상호 대향면(11a,21a)이 평행하게 대면 배치되도록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므로 상기 증착대상물(M)의 가고정 및 분리 작업에 대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멀티마스킹 지그장치(100)에 상기 증착대상물(M)이 가고정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가 상기 제1마스킹결합부(12) 및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는 마스킹 표면 처리가 요구되는 증착대상물(M)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한번 결합된 이후에는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증착대상물(M)이 걸림 안착된다. 즉, 상기 증착대상물(M)은 일측 내지 타측 중 걸림되어 안착이 용이한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착대상물(M)은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상기 제1마스킹결합부(12)의 단부가 상기 장착삽입부에 끼움 삽입되어 가고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로봇암 등을 통해 상기 제1마스킹결합부(12)에 가고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는 상기 각 링크부재(32,33)와 연결된 힌지결합부(32b,33a)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므로 "V"자 형상과 같이 사이각을 넓혀서 상기 증착대상물(M)의 안착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증착대상물(M)이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 중 어느 일측에 상기 증착대상물(M)이 걸림 안착되면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되어 사이간격이 좁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 중 어느 일측에는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가이드핀(14)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의 상호 대향면(11a,21a)이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상기 가이드핀(14)의 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부(2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플레이트(10)에 상기 가이드핀(14)이 구비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20)에 상기 가이드부(24)가 구비되는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상세히,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핀(14)은 몸통부(14b)와 헤드부(14a)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10)에는 상기 가이드핀(14)이 삽입되는 가이드걸림홀(1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걸림홀(13)은 상기 제2플레이트(20)와 대향되는 상기 제1플레이트(10)의 대향면(11a)으로부터 그와 반대되는 단부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걸림홀(13)은 바람직하게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플레이트(10)의 각 모서리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는 각 모서리부가 상기 가이드핀(14)에 의해 배치방향이 안내되어 안정적으로 평행하게 대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통부(14b)는 다각형 내지 원형의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걸림홀(13)은 상기 몸통부(14b)의 외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몸통부(14b)가 상기 가이드걸림홀(13)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14a)는 상기 몸통부(14b)의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단차지게 일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몸통부(14b)의 일단부가 상기 가이드걸림홀(13)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몸통부(14b)의 타단부에 상기 헤드부(14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14b)의 일단부에는 단부로 갈수록 중앙부를 향해 경사진 삽입경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삽입경사부는 끝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협소화되므로 끝단부측이 상기 가이드걸림홀(13), 후술되는 가이드연통홀(23) 및 가이드관통홀(24a)에 관통 삽입시 내면과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통부(14b)가 상기 가이드걸림홀(13)에 삽입되면 상기 헤드부(14a)는 상기 가이드걸림홀(13)의 개구측 테두리에 걸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플레이트(20)에는 상기 가이드핀(14)의 단부가 관통 삽입되도록 가이드연통홀(2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연통홀(23)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가이드걸림홀(1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4)는 상기 제1플레이트(10)와 대향되는 상기 제2플레이트(20)의 대향면(21a)과 반대되는 방향의 단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24)는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돌출되며 내부에 상기 가이드연통홀(23)과 연통되는 가이드관통홀(24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통홀(24a)은 상기 가이드연통홀(23)의 내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핀(14)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연통홀(23)을 경유하여 상기 가이드관통홀(24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연통홀(23) 및 상기 가이드관통홀(24a)은 상기 제2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핀(14)은 상기 몸통부(14b)가 상기 가이드걸림홀(13), 상기 가이드연통홀(23) 및 상기 가이드관통홀(24a)을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헤드부(14a)는 상기 가이드걸림홀(13)의 개구측 테두리에 걸림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연통홀(23) 및 상기 가이드관통홀(24a)이 상기 제2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핀(14)이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와 수직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는 상기 가이드핀(14)에 의해 상호 평행하게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14b)의 외면 일측이 상기 가이드걸림홀(13)의 내면에 접촉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부(24)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돌출됨에 따라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핀(14)의 길이는 상기 몸통부(14b)가 상기 가이드부(24)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10)의 두께, 상기 제1마스킹결합부(12)의 길이,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22)의 길이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의 두께를 합산한 값을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핀(14)이 상기 가이드부(24)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의 상호 대향면(11a,21a)이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회동 상태가 가이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가 상기 증착대상물(M)의 양측에 정확한 대면 밀착이 가능하므로 상기 증착대상물(M)의 표면 증착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핀(14)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몸통부(14b) 외면 일측이 상기 가이드부(24)의 내면에 지지됨에 따라 변형이 방지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가이드핀(14)은 상기 제1플레이트(1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가이드핀(14)은 상기 가이드걸림홀(13)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플레이트(20)와 대향되는 상기 제1플레이트(10)의 대향면(11a)으로부터 일체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핀(14)이 상기 각 가이드걸림홀(13)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24)에 삽입되면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는 상호 평행하게 정렬되어 대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의 양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서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증착대상물(M)의 양측에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가 각각 상호 대면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상기 제2플레이트(20)에 지속적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증착대상물(M)의 양측에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가 각각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며 도 5b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완충탄성부(22a)가 압축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는 상기 완충탄성부(22a)에 의해 탄발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드장착홈을 통해 상기 제1베이스부(11)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40b)는 상기 증착대상물(M)에 최초 접촉시 상기 완충탄성부(22a)에 의해 탄발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충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스크래치 내지 과도한 가압력의 작용으로 발생하는 압흔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제품의 불량이 최소화되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증착대상물(M)이 상기 각 제1마스킹지그(40a) 및 상기 각 제2마스킹지그(40b) 사이에 한꺼번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클램핑되어 가고정됨에 따라 종래에 비해 상기 증착대상물(M)의 가고정 작업 시간이 현저히 단축될 수 있다. 또한, 한 번의 공정에 복수개의 증착대상물(M)에 대한 표면 처리가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마스킹 지그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제1플레이트(110) 및 제2플레이트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10)는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수직프레임(116a) 및 제1수평프레임(116b)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제1수직프레임(116a) 및 상기 복수개의 제1수평프레임(116b)은 각각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되 상호 결합되어 격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플레이트(110)에는 상기 복수개의 제1수직프레임(116a) 및 제1수평프레임(116b)의 외곽부를 지지하도록 제1수평외곽프레임(115b) 및 제1수직외곽프레임(115a)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수평외곽프레임(115b)은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되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수직프레임(116a)의 장폭간격에 대응되도록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외곽프레임(115a)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각 제1수평외곽프레임(115b)의 양단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평외곽프레임(115b) 및 상기 제1수직외곽프레임(115a)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가이드핀(도 2의 14)이 관통 삽입되는 가이드걸림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제1수평외곽프레임(115b)의 양단부에는 별도의 프레임결합부(115c)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프레임결합부(115c)에는 상기 제1수평외곽프레임(115b)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홈에 상기 각 제1수직외곽프레임(115a)의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측 제1수평외곽프레임(115b)측의 프레임결합부(115c)에는 상기 삽입홈이 하측으로 개구되고 하측 제1수평외곽프레임(115b)측의 프레임결합부(115c)에는 상기 삽입홈이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수직외곽프레임(115a)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삽입홈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제1수평외곽프레임(115b) 및 상기 각 제1수직외곽프레임(115a)은 "ㅁ"자 형상의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프레임(116a)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수평외곽프레임(115b)의 단부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수직프레임(116a)은 상기 각 제1수평외곽프레임(115b) 사이 수직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양단부가 상기 각 제1수평외곽프레임(115b)에 용접 내지 별도의 체결수단 등에 의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평프레임(116b)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수직외곽프레임(115a) 및 상기 제1수직프레임(116a) 사이 또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116a) 및 그와 이웃하는 다른 제1수직프레임(116a) 사이에 각각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1수평프레임(116b)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116a)의 단부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제1수평프레임(116b)은 상기 각 제1수평외곽프레임(115b) 및 상기 각 제1수직외곽프레임(115a)의 내측에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다단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제1수평프레임(116b)의 양단부는 상호 연접하는 상기 제1수직외곽프레임(115a) 또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116a)에 각각 용접 내지 별도의 체결수단 등에 의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수직프레임(116a) 및 상기 제1수평프레임(116b)은 상호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수직프레임(116a) 및 상기 제1수평프레임(116b)이 교차되는 지점에는 제1마스킹결합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마스킹결합부(112)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수직프레임(116a) 및 상기 제1수평프레임(116b)의 각 교차 지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용접 내지 별도의 결합수단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플레이트(110)에는 복수개의 증착대상물(도 1의 M)이 가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제1수직프레임(116a) 내지 상기 각 제1수평프레임(116b) 사이에는 개구부(117)가 형성된다. 따라서, 진공챔버(도 1의 1) 내부에서 재료공급수단(도 1의 2)을 통해 증착재료가 분출되면 상기 개구부(117)를 통해 상기 증착재료가 상기 증착대상물(도 1의 M)에 인접하도록 안정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제1수직프레임(116a) 내지 상기 각 제1수평프레임(116b)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117)를 통해 상기 증착재료가 상기 증착대상물(도 1의 M)에 인접하도록 안정적으로 유동되어 증착되므로 제품의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플레이트는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수직프레임 및 제2수평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2수직프레임 및 상기 제2수평프레임이 교차되는 지점에 제2마스킹지그(도 3의 40b)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제1플레이트(110)와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제2플레이트의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제1플레이트 12: 제1마스킹결합부
14: 가이드핀 20: 제2플레이트
22: 제2마스킹결합부 22a: 완충탄성부
24: 가이드부 30: 플레이트연결부
31a,31b: 힌지베이스 32,33: 링크부재
40a: 제1마스킹지그 40b: 제2마스킹지그
100: 멀티마스킹 지그장치

Claims (5)

  1. 진공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며 증착재료가 증착되어 표면 처리되는 증착대상물이 가고정되는 멀티마스킹 지그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착대상물의 표면 일측이 기설정된 제1패턴을 따라 차폐되도록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외면에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1마스킹지그가 구비된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증착대상물의 표면 타측이 기설정된 제2패턴을 따라 차폐되도록 상기 제1마스킹지그에 대응하여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2마스킹지그가 구비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가 각각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호 선택적으로 평행하게 대면 배치되도록 양단부가 힌지 연결되되, 상기 증착대상물의 양측에 상기 제1마스킹지그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가 선택적으로 대면 밀착되도록 접철 가능한 플레이트연결부를 포함하는 멀티마스킹 지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연결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단부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힌지베이스와,
    상기 제1마스킹지그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의 사이 간격이 가변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호 힌지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되,
    양방향 최외측에 배치되는 각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가 선택적으로 평행하게 대면 배치되도록 상기 각 힌지베이스에 각각 힌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스킹 지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 중 어느 일측에는 타측을 향해 수직하게 돌출되는 가이드핀이 구비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호 대향면이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상기 가이드핀의 단부가 삽입되는 가이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스킹 지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호 대향면에는 상기 제1마스킹지그 및 상기 제2마스킹지그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제1마스킹결합부 및 제2마스킹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마스킹결합부 및 상기 제2마스킹결합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완충탄성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스킹 지그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수직프레임 및 제1수평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1수직프레임 및 상기 제1수평프레임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기 제1마스킹지그가 구비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는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수직프레임 및 제2수평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2수직프레임 및 상기 제2수평프레임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기 제2마스킹지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마스킹 지그장치.
KR1020180035195A 2018-03-27 2018-03-27 멀티마스킹 지그장치 KR102099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195A KR102099773B1 (ko) 2018-03-27 2018-03-27 멀티마스킹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195A KR102099773B1 (ko) 2018-03-27 2018-03-27 멀티마스킹 지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049A true KR20190113049A (ko) 2019-10-08
KR102099773B1 KR102099773B1 (ko) 2020-04-10

Family

ID=68208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195A KR102099773B1 (ko) 2018-03-27 2018-03-27 멀티마스킹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7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622B1 (ko) 2020-01-21 2020-05-18 주식회사 도원테크 사출 마스킹 지그 및 사출 마스킹 지그를 사용한 증착 장치
CN112830222A (zh) * 2021-01-27 2021-05-25 浙江宝鸿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镀膜机的钢板装卸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110B1 (ko) 2021-08-05 2021-09-28 주식회사 도원테크 마스킹 지그를 사용하는 증착에서 증착 대상물의 스크래치 방지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522B1 (ko) * 2005-01-05 2006-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기판 고정 트레이, 이를 이용한 기판 정렬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839644B1 (ko) 2006-08-31 2008-06-19 주식회사 이엠테크 조명등 케이스의 금속코팅방법
KR101217638B1 (ko) * 2012-11-06 2013-01-22 (주)앤피에스 기판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20140051038A (ko) * 2012-10-22 2014-04-30 (주) 세이텍 스퍼터링을 위한 플렉서블 피씨비용 지그
KR20160038553A (ko) * 2014-09-30 2016-04-07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도금용 행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522B1 (ko) * 2005-01-05 2006-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기판 고정 트레이, 이를 이용한 기판 정렬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839644B1 (ko) 2006-08-31 2008-06-19 주식회사 이엠테크 조명등 케이스의 금속코팅방법
KR20140051038A (ko) * 2012-10-22 2014-04-30 (주) 세이텍 스퍼터링을 위한 플렉서블 피씨비용 지그
KR101217638B1 (ko) * 2012-11-06 2013-01-22 (주)앤피에스 기판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20160038553A (ko) * 2014-09-30 2016-04-07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도금용 행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622B1 (ko) 2020-01-21 2020-05-18 주식회사 도원테크 사출 마스킹 지그 및 사출 마스킹 지그를 사용한 증착 장치
CN112830222A (zh) * 2021-01-27 2021-05-25 浙江宝鸿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镀膜机的钢板装卸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773B1 (ko)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3049A (ko) 멀티마스킹 지그장치
KR102106331B1 (ko) 마스크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865558B2 (en) Nozzle for a spray gun, nozzle set for a spray gun, spray guns and methods for producing a nozzle for a spray gun
EP3034677B1 (en) Door assembly for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00129585A (ko) 도장용 지그
CN101333752A (zh) 滚筒洗衣机的门
CN106583124A (zh) 喷涂治具
ITTO20100286A1 (it) Apparecchio di cottura domestico, particolarmente un forno
KR101439078B1 (ko) 도장용 더블 핀서 지그 장치
KR100968586B1 (ko) 연결구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 코팅지그
KR2010008329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 코팅지그의 덮개 연결구조
GB2072059A (en) Domestic appliance cabinet
KR101057359B1 (ko) 슬릿 다이의 도액 흐름 방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슬릿 다이 및 코팅 장치
JP6666235B2 (ja) 塗装方法
CN211734464U (zh) 镀膜治具
JP6013663B1 (ja) エアゾール容器用固定盤
TWI573161B (zh) 鍵帽及應用其之按鍵結構
CN211868045U (zh) 一种含辅助定位卡板的治具
JP7045914B2 (ja) 吐出部材
JPH0614393Y2 (ja) カラ−ブラウン管
KR20090098130A (ko) 스프레이 도장용 지그
KR20100011571U (ko) 개선된 슬릿 다이 및 이를 구비한 코팅 장치
KR200332553Y1 (ko) 스프레이건용 필터
KR100604632B1 (ko) 핸드폰 케이스 표면코팅 유무확인 장치
JP2012233232A (ja) 薄膜形成用マスキ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