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239A -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239A
KR20190112239A KR1020180033918A KR20180033918A KR20190112239A KR 20190112239 A KR20190112239 A KR 20190112239A KR 1020180033918 A KR1020180033918 A KR 1020180033918A KR 20180033918 A KR20180033918 A KR 20180033918A KR 20190112239 A KR20190112239 A KR 20190112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floating
floating devices
jellyfish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7096B1 (ko
Inventor
이재철
김종성
Original Assignee
이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철 filed Critical 이재철
Priority to KR1020180033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09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2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에 따라 유영하는 해파리를 효과적으로 포획할 수 있는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는 그물과, 그물의 상측 라인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그물을 고정하며, 그물을 수면이나 수면에 근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하며, 상하 이동되는 고정닻을 각각 구비하는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와, 그물의 상측 라인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고정하며, 그물을 수면이나 수면에 근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하며, 상하 이동되는 고정닻을 구비하는 제 3 부유 장치와, 그물의 하측 라인 및 포획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부를 구비하며,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유 장치는 조류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조류 방향과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에 의한 방향선의 방향이 수직이거나 수직에 근접한 정도의 차이 이내에 포함되고, 제 1 내지 제 2 부유 장치 사이의 간격이 기설정된 개방폭만큼 이격되는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 간의 기설정된 위치 관계를 유지시키고,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 각각은 고정닻을 하강시킨다.

Description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STATIONARY TYPE JELLYFISH CAP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류에 따라 유영하는 해파리를 효과적으로 포획할 수 있는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환경오염이 원인이 되어 원양에서 서식하는 해파리가 근해로 접근함으로 인하여 주변 인근의 어획량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고, 그물을 이용하여 조업을 하는 경우 그물에는 대다수의 해파리가 딸려 올라오는 문제로 인하여 어민들은 해파리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노동력을 투입하여야 하고, 때에 따라서는 그물이 파손되는 등 해파리에 의한 피해가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해파리는 약 200여종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중 식용이 가능한 해파리는 약 4종에 불과하기 때문에 육지로 접근하는 해파리는 대부분 식용이 불가능한 해파리에 해당한다. 해파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깔때기 모양의 그물을 설치하여 입구를 넓게 하여 해파리가 자연스럽게 그물 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해파리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해파리의 양이 크게 급증한 관계로 그물이 찢어져 파손되어 활용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그물 속에 해파리가 포획되었다고 하더라도 그물의 크기가 수십, 수백 미터에 이르는 대형이므로 그물 안에 갇혀 있는 해파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동력과 비용이 소요되어, 어민들에게는 큰 부담이 되고, 그물을 설치하는 것은 어업에 방해요소로 작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비용 또는 천문학적인 금액을 요구하므로 실효성이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34744호 "해파리 제거장치"
본 발명은 조류에 따라 유영하는 해파리의 포획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는 그물과, 그물의 상측 라인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그물을 고정하며, 그물을 수면이나 수면에 근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하며, 상하 이동되는 고정닻을 각각 구비하는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와, 그물의 상측 라인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고정하며, 그물을 수면이나 수면에 근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하며, 상하 이동되는 고정닻을 구비하는 제 3 부유 장치와, 그물의 하측 라인 및 포획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부를 구비하며,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유 장치는 조류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조류 방향과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에 의한 방향선의 방향이 수직이거나 수직에 근접한 정도의 차이 이내에 포함되고, 제 1 내지 제 2 부유 장치 사이의 간격이 기설정된 개방폭만큼 이격되는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 간의 기설정된 위치 관계를 유지시키고,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 각각은 고정닻을 하강시킨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는 전자 통신 기기와의 통신 또는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들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고정닻 각각을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부와, 부유 장치의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부와, 조류의 방향을 감지하는 조류 감지부와,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들 중에서도 적어도 2개 이상 간의 간격 및 방향을 감지하는 거리 감지부, 조류 감지부로부터의 감지값과 거리 감지부로부터의 감지값에 따라 이동부를 제어하여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 간의 기설정된 위치 관계를 유지하고, 기설정된 위치 관계가 유지된 상태에서 구동부를 제어하여 고정닻을 하강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조류에 따라 떠서 이동하는 해파리의 특성을 이용하여 조류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그물의 개방 부분의 방향을 조절하여 해파리 포획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내지 제3 부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a 및 3b는 도 1의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들과 도면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의 사시도로서, 고정식 해파티 포획 장치가 해수에 고정 설치된 때의 도면이며, 해수의 표시는 생략된다.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는 수면 위에 또는 수면에 떠 있을 수 있는 장치에 해당되며, 제 1 부유 장치(10L)는 그물(30)의 상측 라인(TL)의 좌측부에 연결되어 그물(30)을 고정하고, 제 2 부유 장치(10R)는 그물(30)의 상측 라인(TL)의 우측부에 연결되어 그물(30)을 고정하고, 제 3 부유 장치(10C)는 그물(30)의 상측 라인(TL)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그물(30)을 고정하여, 그물(30)의 상측 라인(TL)이 수면이나 수면에 근접한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그물(30)의 상측 라인(TL)의 중앙에 부유부(32)가 설치되며, 이 부유부(32)는 예를 들면, 부이나 부표에 해당되며, 상측 라인(TL)의 중앙이 수면이나 수면에 근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제 3 부유 장치(10c)는 연결선(41c)에 의해 부유부(32)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그물(M)의 하측 라인(BL)에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하측 라인(BL)이 수면의 일정 깊이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는 제 1 내지 제 3 중량부(m1 ~ m3)이 구비되어, 그물(30)의 하측 라인(BL)과 수면 사이를 통하여 해파리가 그물(30)의 포획부(M) (그물(30)의 중앙 부분)에 조류의 힘에 의해 포획되도록 한다. 그물(30)의 포획부(M)에도 제 4 중량부(m4)가 구비되어 포획부(M)가 수면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해파리가 포획되도록 한다.
그물(30)의 상측 라인(TL)의 개방폭은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L, 10R)의 간격에 의해 조절되며, 해파리의 포획을 위해 개방폭이 과도하게 넓어서도 안되며, 개방폭이 과도하게 좁아서도 안 된다.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L), (10R) 중의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해파리의 포획 효과를 고려하여 기설정된 개방폭이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L, 10R) 가 기설정된 개방폭 만큼 이격되어 유지된다.
또한, 해파리가 조류에 의해 떠 다니는 점을 이용하기 위해, 상측 라인(TL)의 개방폭의 개방 라인(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L, 10R) 사이의 방향선(OL)은 조류 방향에 수직이거나 수직에 근접하여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방 라인과 조류 방향 간의 각도 유지를 위해,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유 장치가 이동된다.
또한, 조류의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안 해파리의 포획을 위해,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는 각각 고정닻(42L, 42R, 42C)을 구비한다.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는 각각 고정닻(42L, 42R, 42c)에 각각 연결된 연결선(40L, 40R, 40C)에 대한 감김 동작과 풀림 동작을 수행하여 고정닻(42L, 42R, 42C)을 해수면에 대하여 상승 방향 및 하강 방향으로 이동시키다. 상측 라인(TL)의 개방폭의 개방 라인은 조류 방향에 수직이거나 수직에 근접한 각도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는 연결선(40L, 40R, 40C)에 대한 풀림 동작을 수행하여 고정닻(42L, 42R, 42C)이 해저면에 닿도록 하여 그물(30)이 조류에 의해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상측 라인(TL)의 개방폭의 개방 라인은 조류 방향에 수직에 근접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물(30)의 개방 라인을 이동(회전을 포함)시켜야 하므로,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는 연결선(40L, 40R, 40C)에 대한 감김 동작을 수행하여 고정닻(42L, 42R, 42C)을 상승시킨 후에, 그물(30)의 개방 라인(OL)을 이동 및/또는 회전시킨다.
도 2는 도 1의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의 구성도이다.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는 도 2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그 일부의 구성요소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는 부유 장치(10)로 통칭될 수 있다.
부유 장치(10)는 사용자의 전자 통신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와의 통신 및/또는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들(10L, 10R, 10C)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와, 고정닻(42L, 42R, 42C) 각각을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부(3)와, 부유 장치(10)의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부(5)와, 조류의 방향을 감지하는 조류 감지부(7)와,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들(10L, 10R, 10C) 중에서도 적어도 2개 이상 간의 간격 및 방향을 감지하는 거리 감지부(8)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상측 라인(TL)의 개방폭의 개방 라인이 조류 방향에 수직이거나 수직에 근접하여 유지되는 경우에는 고정닻(42L, 42R, 42C)이 해저면에 닿도록 하고, 상측 라인(TL)의 개방폭의 개방 라인(OL)은 조류 방향에 수직에 근접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물(30)의 개방 라인을 이동시키는 제어부(9)를 포함한다. 다만, 전원부(미도시)의 경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당연히 인식되는 정도의 기술에 해당되어, 그 설명이 생략된다.
부유 장치(10)는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상될 수 있도록 하는 재질 및 구조의 케이스를 구비한다.
통신부(1)는 사용자의 전자 통신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와의 통신 및/또는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들(10L, 10R, 10C)의 통신부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해당된다.
구동부(3)는 고정닻(42L, 42R, 42C)에 연결된 연결선(40L, 40R, 40C)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부와, 권취부를 회전시켜 연결선(40L, 40R, 40C)을 감거나 풀리도록 하는 모터부 등을 포함한다.
이동부(5)는 부유 장치(10)를 수면에서 이동시키는 프로펠러를 동작시키는 모터부 등을 포함한다.
조류 감지부(7)는 조류의 방향이나, 방향의 변화를 감지하는 소자에 해당되며, 널리 알려진 조류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거리 감지부(8)는 이웃하는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 간의 간격들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및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소자에 해당되며, 음파나 소리, 빛,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간격 및 방향들을 산정한다.
제어부(9)는 조류 방향에 따른 해파리 포획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L, 10R) 사이의 개방폭이 기설정된 개방폭으로 유지하는 유지 과정과, 유지 과정 이후에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L, 10R)이 고정닻(42L, 42R)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과정 및, 유지 과정과 고정 과정의 수행 중에 조류 방향을 확인하는 조류 방향 확인 과정, 조류 방향에 따라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L, 10R)를 이동시키는 이동 과정 등을 수행한다. 유지 과정, 고정 과정, 조류 방향 확인 과정 및 이동 과정은 순차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수행된다.
초기에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L, 10R) 각각의 제어부(9)는 각각의 거리 감지부(8)로부터의 거리 감지값을 기준으로 하여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L, 10R) 간의 개방폭을 산정하고, 기설정된 개방폭과 산정된 개방폭을 비교한다. 만약 기설정된 개방폭과 산정된 개방폭이 상이하다면, 제어부(9) 각각은 각각의 이동부(5)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L, 10R) 각각을 이동시켜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L, 10R) 간의 개방폭이 기설정된 개방폭과 동일하거나 일정한 범위의 오차 내에서 동일하도록 하는 유지 과정을 수행한다. 이 유지 과정 중에, 제 3 부유 장치(10C)의 제어부(9)는 거리 감지부(8)를 제어하여 그물(30)이 기설정된 체적으로 펼쳐지도록 이동부(5)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된 유지 과정에서,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의 각각의 제어부(9)는 기설정된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 간의 위치 관계(삼각 관계)를 기준으로 하여 유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유지 과정에서,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 각각의 제어부(9)는 각각의 통신부(1)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여, 각각의 이동부(5)의 이동 동작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이동 거리, 이동 방향, 회전 각도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동작에 대한 정보의 송수신과, 거리 감지부(8)의 감지값을 이용하여, 각각의 제어부(9)는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를 이동시켜 기설정된 개방폭과 체적이 성취되도록 한다. 상술된 유지 공정의 수행 중에, 각각의 제어부(9)는 구동부(3)를 제어하여 연결선(40L, 40R, 40C)의 감김 동작이나 감김 상태의 유지를 수행하여 고정닻(42L, 42R, 42C)이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된 유지 공정의 수행 중에 또는 수행 이후에, 적어도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 중의 적어도 하나의 부유 장치의 제어부(9)는 조류 방향 확인 과정을 수행한다. 제어부(9)는 조류 감지부(7)로부터의 감지값에 따라 조류 방향을 확인하고, 거리 감지부(8)로부터의 감지값에 따라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L, 10R)의 방향을 확인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L, 10R)의 방향은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L, 10R)의 중심들을 연결하는 방향선(OL)의 방향에 해당된다. 제어부(9)는 확인된 조류방향과,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L, 10R)의 방향 간의 각도를 연산하여, 이 연산된 각도가 수직이거나 수직에 근접한 정도의 차이(예를 들면, ±10°) 내에 포함된 경우, 이동 과정을 수행할 필요 없이 해파리를 포획하기 효과적인 방향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하여 고정 과정을 수행한다. 만약 이 연산된 각도가 수직이 아니거나 수직에 근접한 정도의 차이(예를 들면, ±10°)를 초과한다면, 제어부(9)는 이동부(5)를 제어하여 이동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고정 과정의 경우,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의 각각의 제어부(9)는 구동부(3)를 제어하여 풀림 동작을 수행하여 고정닻(42L, 42R, 42C)이 해저면에 닿도록 한 후 구동부(3)를 제어하여 고정닻(42L, 42R, 42C)의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의 이동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이동 과정에서,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의 각각의 제어부(9)는 이동부(5)를 제어하여, 확인된 조류방향과,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L, 10R)의 방향 간의 각도가 수직이거나 수직에 근접한 정도의 차이(예를 들면, ±10°) 내에 포함되도록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 중의 적어도 하나의 부유 장치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 과정에서, 제어부(9)는 조류 방향 감지 과정을 함께 수행한다. 또한, 이동 과정의 수행 중에,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의 각각의 제어부(9)는 유지 과정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된 이동 과정의 수행 중에, 각각의 제어부(9)는 구동부(3)를 제어하여 연결선(40L, 40R, 40C)의 감김 동작이나 감김 상태의 유지를 수행하여 고정닻(42L, 42R, 42C)이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동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의 각각의 제어부(9)는 상술된 고정 과정을 수행한다.
도 3a 및 3b는 도 1의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에서 조류 방향과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L, 10R)의 방향선(OL) 사이에 이루는 각도가 90°이다가, 도 3a의 동작 설명도에서 조류 방향이 변화된 것이 도시된다. 즉, 각도(∠A)가 직각 또는 직각에 근접한 정도의 각도(80°~ 100°)의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러한 조류 방향의 변경 시에,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는 고정 과정을 수행 중에, 조류 방향 확인 과정을 수행하여 조류 방향의 변경을 확인한다.
제어부(9)는 조류 방향의 변경의 확인을 통하여, 조류 방향과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10L, 10R)의 방향선(OL) 사이에 이루는 각도가 되도록 구동부(3)를 제어하여 고정닻(42L, 42R, 42C)에 대한 감김 동작을 수행한 후, 이동부(5)를 제어하여 기설정된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10L), (10R), (10C) 간의 위치 관계(삼각 관계)를 기준으로 하여 유지 과정을 수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부유 장치 30: 그물

Claims (2)

  1. 그물과;
    그물의 상측 라인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그물을 고정하며, 그물을 수면이나 수면에 근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하며, 상하 이동되는 고정닻을 각각 구비하는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와;
    그물의 상측 라인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고정하며, 그물을 수면이나 수면에 근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하며, 상하 이동되는 고정닻을 구비하는 제 3 부유 장치와;
    그물의 하측 라인 및 포획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부를 구비하며,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유 장치는 조류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조류 방향과 제 1 및 제 2 부유 장치에 의한 방향선의 방향이 수직이거나 수직에 근접한 정도의 차이 이내에 포함되고, 제 1 내지 제 2 부유 장치 사이의 간격이 기설정된 개방폭만큼 이격되는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 간의 기설정된 위치 관계를 유지시키고,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 각각은 고정닻을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는 전자 통신 기기와의 통신 또는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들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고정닻 각각을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부와, 부유 장치의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부와, 조류의 방향을 감지하는 조류 감지부와,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들 중에서도 적어도 2개 이상 간의 간격 및 방향을 감지하는 거리 감지부, 조류 감지부로부터의 감지값과 거리 감지부로부터의 감지값에 따라 이동부를 제어하여 제 1 내지 제 3 부유 장치 간의 기설정된 위치 관계를 유지하고, 기설정된 위치 관계가 유지된 상태에서 구동부를 제어하여 고정닻을 하강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
KR1020180033918A 2018-03-23 2018-03-23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 KR102087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918A KR102087096B1 (ko) 2018-03-23 2018-03-23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918A KR102087096B1 (ko) 2018-03-23 2018-03-23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239A true KR20190112239A (ko) 2019-10-04
KR102087096B1 KR102087096B1 (ko) 2020-03-11

Family

ID=6820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918A KR102087096B1 (ko) 2018-03-23 2018-03-23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0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463U (ko) * 1988-08-23 1990-02-27
JPH1118615A (ja) * 1997-07-07 1999-01-26 Jatco Corp 海洋移動体および海洋移動体管理システム
KR20080034744A (ko) 2006-10-17 2008-04-22 김정택 해파리 제거장치
KR101374175B1 (ko) * 2013-10-02 2014-03-17 대한민국 비치용 해파리 차단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1463U (ko) * 1988-08-23 1990-02-27
JPH1118615A (ja) * 1997-07-07 1999-01-26 Jatco Corp 海洋移動体および海洋移動体管理システム
JP3488365B2 (ja) * 1997-07-07 2004-01-19 ジヤトコ株式会社 海洋移動体および海洋移動体管理システム
KR20080034744A (ko) 2006-10-17 2008-04-22 김정택 해파리 제거장치
KR101374175B1 (ko) * 2013-10-02 2014-03-17 대한민국 비치용 해파리 차단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096B1 (ko)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5084B2 (en) Tidal flow power generation
US20030037602A1 (en) Variable depth automated dynamic water profiler
IT201900017105A1 (it) Macchinario per il recupero e la rimozione di rifiuti o detriti galleggianti da corsi d’acqua
RU2375247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зврата подвод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US5720573A (en) Adjustable porous groynes and method for shoreline reclamation
KR102382732B1 (ko) 해상 양식 가두리 설비 및 그 설비의 설치 방법
US10429184B2 (en)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n underwater sensor assembly
ES2805548T3 (es) Método y sistema de fondeo autónomo para cimentaciones de estructuras offshore
KR101627827B1 (ko) 부유식교량 설치시스템
JP5690116B2 (ja) 水流発電設備
KR101025872B1 (ko) 파랑 관측이 가능한 부이에서의 해수 연직구조 관측장치
KR102087096B1 (ko)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
JP5122241B2 (ja) バ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ブロック回収方法
JP6768611B2 (ja) 防潮堤
KR20190037642A (ko) 반잠수식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3124761B1 (ja) 水中観測機器の昇降装置
KR102534379B1 (ko) 수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77774B1 (ko)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자동 계선계류 시스템
KR20150024755A (k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작업선의 해상파일 접안 방법 및 시스템
JP5898468B2 (ja) 水中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及び装置
KR200199564Y1 (ko) 다용도 수중 점검 장치
KR102022366B1 (ko) 이동식 해파리 포획 시스템
KR102139251B1 (ko) 트롤 피해 방지용 지능형 해저면 계류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213508329U (zh) 自动调节高度的破冰系统以及水闸设备
US11821158B2 (en) Autonomous modular breakwat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