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564Y1 - 다용도 수중 점검 장치 - Google Patents

다용도 수중 점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564Y1
KR200199564Y1 KR2020000012471U KR20000012471U KR200199564Y1 KR 200199564 Y1 KR200199564 Y1 KR 200199564Y1 KR 2020000012471 U KR2020000012471 U KR 2020000012471U KR 20000012471 U KR20000012471 U KR 20000012471U KR 200199564 Y1 KR200199564 Y1 KR 2001995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support frame
fixed
camera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민
송재성
Original Assignee
덕원 엔지니어링주식회사
송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원 엔지니어링주식회사, 송재성 filed Critical 덕원 엔지니어링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5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5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8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9Floating structures with underwater viewing devices, e.g. with windows ; Arrangements on floating structures of underwater viewing devices, e.g. on boa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4Corrosion pro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 교각, 항만, 지상 구조물 및 기타 수중 구조물의 부식상태, 파손상태, 이물질 기생상태 등을 촬영하여 점검 및 보수를 손쉽게 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다용도 수중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가로바가 전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로바의 상부에 제 1,2 및 제 3롤러를 구비한 거치대가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거치대의 일측 후부에 상기 거치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장치의 일단이 고정되는 하부 받침틀과; 상기 하부 받침틀의 상부에 일정간격 떨어져서 연결 설치되고, 그 상면에 카메라의 케이블이 감겨진 케이블 드럼이 설치되며, 전부에 설치된 가로바에 상기 조절장치의 타단이 설치되는 상부 받침틀과; 그리고 교각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수중조명장치와; 상기 수중조명장치가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수중의 교각에 접근하여 촬영가능하도록 이동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거치대에 구비된 제 1롤러와 제 3롤러를 타고 내려옴과 아울러 상기 승강수단의 일측을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그 끝단에 추가 매달린 인출선을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받침틀의 전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육상거치장치와; 상기 수중조명장치를 전기적으로 콘트롤하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콘트롤 박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수중 점검 장치 {An apparatus for checking a multipurpose}
본 고안은 교량, 교각, 항만, 지상 구조물 및 기타 수중 구조물을 점검하기 위한 다용도 수중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교량, 교각, 항만, 지상 구조물 및 기타 수중 구조물의 부식상태, 파손상태, 이물질 기생상태 등을 촬영하여 점검 및 보수를 손쉽게 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수중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만, 교량, 교각 등의 시설물중 수중에 매설되어 있는 수중 지하시설물은 매우 복잡한 형태로 불규칙한 위치에 매설되어 있으며, 그 종류가 다양하고, 매설상태가 획일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관상으로 쉽게 확인하고 점검할 수 없으므로 신속한 안전관리가 부족하였다.
또한, 수중의 지하시설물로써 설치되어 있는 교각은 매설되어 있는 위치의 유량과 유속 등으로 인해 시설물의 위치 및 매설 깊이, 매설상태 등이 매설초기와 큰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시설물의 상태를 정확히 탐사 점검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상기와 같이 교각등의 확인, 점검, 보수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써 발생한 사고로써 성수대교의 참사를 들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사고 원인은 다른 조그만한 곳에 있다고 하더라도 만약, 교각의 상태를 정확하게 점검하고, 보수할 수 있었더라면 이와 같은 큰 불행은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고, 수중의 지하 시설물을 탐사하기 위하여 정확도가 높은 탐사기법이 요구되는데, 주로 전자유도 탐사기법이 사용되어 왔다.
전자유도 탐사기법은 전도체에 전기가 흐르면 도체주변에 자장이 형성된다는 전기장 법칙에 따른 것으로, 전류가 통하는 물체는 동심원적인 자장을 형성하며, 그 크기는 전류의 강도 및 거리에 따라 좌우되는 것을 이용한다. 즉, 지반의 전자현상을 이용하여 탐사하는 방법으로 송시기로부터 송신된 전류를 수신기에 유도하여 전류를 탐지함으로써 매설된 관로와 교각의 상태 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장비조작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고 운반이 용이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의 전자유도 탐사기법은 지하에 매설된 시설물에서는 적용될 수 있었으나 수중의 교각의 부식상태, 이물질의 기생상태 등의 여러가지 상태를 점검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다.
또한, 바다, 강, 호수 등의 각종 어류의 서식 정도, 생활상태 등을 점거할 수 있는 장치로도 쓰일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하 시설물 등의 탐사 장비를 대신할 수 있는 특히, 수중에서의 교각상태, 또는 바다 또는 강 속에서의 상태 - 인공어초의 확인, 강의 수중상태, 바다 양식장에서의 어류 확인 및 양식장 상태를 용이하게 점검,확인할 수 있는 수중점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교각의 시공전에는 그 내측 및 외측부에서 확인 및 점검할 수 있고, 시공후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그 외부에서 볼 수 있는 수중점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또 다른 본 고안의 목적은 교각의 상태뿐만 아니라 수심이 깊은 바다 - 바람직하게는 수심 100m 내외의 바다에서 서식하거나 양식되고 있는 각종 어류 등의 생태와 인공어초 등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용도 수중점검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거치장치를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자동 승하강시키도록 이루어진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레이트 12,13 : 구동모터
14 : 샤프트 16 : 구동기어
18 : 종동기어 20,64 : 권취드럼
22,60,61 : 인출선 24 : 고정구
26 : 승강수단 28 : 전원공급장치
30 : 케이블 브라켓 32 : 케이블 권취드럼
34,35 : 가로바 36 : 케이블
38,39 : 이동 및 고정붐 40 : 거치대
42 : 카메라 44 : 샤프트
46 : 제1롤러 48 : 제 2롤러
50 : 제 3롤러 52 : 수중 카메라 하우징
54 : 수중 조명등 56 : 팬틸트장치
58 : 수중조명장치 62 : 레버 브라켓
66 : 레버축 68 : 레버
70 : 구동 스프로킷 72 : 종동 스프로킷
74,75 : 육상거치장치 76 : 고정 브라켓
78 : 가이드 롤러 80 : 힌지
82 : 힌지핀 84 : 고정바
86 : 이동바 88 : 안내링
90 : 추 92 : 콘트롤 박스
94 : 디스플레이 96 : 조절장치
98 : 회전레버
본 고안은 가로바가 전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로바의 상부에 제 1,2 및 제 3롤러를 구비한 거치대가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거치대의 일측 후부에 상기 거치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장치의 일단이 고정되는 하부 받침틀과; 상기 하부 받침틀의 상부에 일정간격 떨어져서 연결 설치되고, 그 상면에 카메라의 케이블이 감겨진 케이블 드럼이 설치되며, 전부에 설치된 가로바에 상기 조절장치의 타단이 설치되는 상부 받침틀과; 그리고 교각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수중조명장치와; 상기 수중조명장치가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수중의 교각에 접근하여 촬영가능하도록 이동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거치대에 구비된 제 1롤러와 제 3롤러를 타고 내려옴과 아울러 상기 승강수단의 일측을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그 끝단에 추가 매달린 인출선을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받침틀의 전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육상거치장치와; 상기 수중조명장치를 전기적으로 콘트롤하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콘트롤 박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단의 중앙에 인출선이 고정되어 승강동작하도록 아이(I)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붐과; 상기 고정붐의 상하부 양단 내측에 각각 끼워져서 좌우로 움직이며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이동붐과; 상기 인출선이 감겨진 권취드럼을 회전시켜서 상기 인출선을 풀어주거나 감아줌으로써 상기 고정붐의 일측에 고정된 수중조명장치를 승하강시키도록 하부 받침틀의 일측 상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중조명장치는 교각의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설치되는 수중카메라하우징과; 상기 수중카메라하우징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수중할로겐조명등과; 상기 수중카메라하우징에 설치된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동작시키기 위해 그 일측에 설치된 팬틸트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육상거치장치는 상기 상부 받침틀의 전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레버 브라켓과; 상기 레버 브라켓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인출선이 풀리거나 감겨질 수 있도록 권취되며, 일측단에 종동 스프로킷을 구비한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의 상부에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권취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 스프로킷을 구비한 레버축과; 상기 레버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레버축의 일단에 고정되는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와 하부 받침틀에는 상기 인출선을 원할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이드 롤러가 고정 브라켓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용도 수중점검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거치장치를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자동 승하강시키도록 이루어진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하부에는 상기 교량을 지지하도록 다수의 교각이 설치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교각의 하부에는 상기 교각보다 더 넓거나 더 큰 직경을 갖는 우물통이 형성되어 수중 깊숙이 고정되어 진다.
본 고안은 상기 교각의 하부에 형성된 우물통에 용이하게 이동하여 위치시킴과 동시에 수중조명장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부식 또는 이물질의 끼임 등 각종 교각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점검하고, 그 확인된 상태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외부에서도 볼 수 있도록 고안된 다용도 수중점검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용도 수중점검장치를 설명하여 보면, 우선, 격자모양으로 형성된 하부 받침틀(100)의 상면 우측부에 플레이트(1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일측에 구동기어(16)를 구비한 구동모터(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기어(16)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18)를 구비한 권취드럼(2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권취드럼(20)에는 인출선(22)이 감겨져 있고, 상기 인출선(22)의 일끝단은 물속에 잠긴 교각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중조명장치(58)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수단(26)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부 받침틀(100)의 윗쪽으로는 일정간격 이상 떨어져서 상부 받침틀(102)이 고정되고, 상기 상부 받침틀(102)의 상면 뒤쪽에는 상기 구동모터 (12) 및 콘트롤 박스(9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28)가 고정되어 있고, 그 앞쪽에는 케이블 브라켓(30)이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 브라켓(30)에는 케이블(36)이 감겨져 있는 케이블 권취드럼(32)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진다.
또한, 상기 상부 받침틀(102)의 전부 양측에는 레버 브라켓(62)이 각각 고정되어 있고, 상기 레버 브라켓(62)에는 적어도 어느 일측에 종동 스프로킷(72)을 구비하고, 인출선(22)이 감겨진 권취드럼(64)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권취드럼(64)의 위쪽으로는 상기 종동 스프로킷(72)과 맞물려 회전되도록 구동 스프로킷(70)이 구비된 레버축(66)이 끼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레버축(66)의 외측 돌출단에는 레버(68)가 설치된 육상거치장치(74,7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36)은 상하로 이동할 때 흔들리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승강수단(26)의 고정바(84) 일면에 고정시키고, 그 일끝단은 수중조명장치(58)의 카메라(42)에 연결시킨다.
한편, 상기 하부 받침틀(100)의 전부에 횡으로 설치된 가로바(34)에는 양단에 힌지 브라켓(80)이 고정되어 있고, 가운데 부분에는 가이드 롤러(78)가 설치된 고정 브라켓(76)이 고정되어 있다. 이때 고정붐(39)의 하단이 각각의 힌지 브라켓(80)에 세로방향으로 끼워지되, 앞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붐(39)의 하단은 힌지핀(82)에 의해 끼워져서 앞뒤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고정붐(39) 하부에는 가이드 롤러(78)가 설치된 고정 브라켓(76)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양 고정붐(39)에는 가로바(35)가 횡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로바(35)의 가운데 부분에는 가이드 롤러(78)가 설치된 고정 브라켓(76)이 고정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양 고정붐(39)은 내측이 중공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그 내측에 이동붐(38)이 각각 대응하여 끼워진다. 상기 고정붐(39)의 위에서 끼워진 이동붐(38)은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고정시에는 각종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사각기둥의 붐 형상을 이루고 있지만 붐의 구조상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형태이어도 좋다.
이때,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붐(39)의 가로바(35)와 상부 받침틀(102)의 가로바(34) 사이에는 고정붐(39)의 전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96)가 세로 방향으로 걸쳐지듯이 설치되고, 일단부에는 회전레버(98)를 설치하여 리드 스크류(부호생략함)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고정붐(39)이 당겨지거나 밀려나가도록 설치하여 각도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양쪽의 이동붐(38) 상끝단에는 샤프트(44)가 횡방향으로 고정되어지는데, 상기 샤프트(44)의 우측끝단에는 제 1롤러(46)가 끼워져서 설치되고, 중간부분에는 제 2롤러(48)가 끼워져서 설치되며, 좌측끝단에는 제 3롤러(50)가 끼워져서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권취드럼(20)으로부터 인출된 인출선(22)과 연결된 승강수단(26)은 알파벳 아이(I)자 형상의 고정바(84)와, 상기 상단부의 횡으로 고정된 고정바(84)의 양단 내측에 끼워져서 이동되는 이동바(86)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바(86)의 끝단에는 인출선(22)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안내링(88)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이동바(86)의 좌측 안내링(88)에는 육상거치장치(75)로부터 인출된 인출선(22)이 상기 좌측의 고정붐(39)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78)를 따라 위로 올라가서 상기 제 3롤러(50)를 거쳐서 상하부에 각각 끼움 설치된 이동바(86)의 안내링(88)을 통과하여 설치되며 그 끝단에는 다단으로 이루어져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추(90)가 매달려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바(86)의 우측 안내링(88)에는 육상거치장치(74)로부터 인출된 인출선(22)이 상기 우측의 고정붐(39)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78)를 따라 위로 올라가서 상기 제 1롤러(46)를 거쳐서 상하부에 각각 끼움 설치된 이동바(86)의 안내링(88)을 통과하여 설치되며 그 끝단에는 다단으로 이루어져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추(90)가 매달려서 설치된다.
상기 인출선(22)의 끝단에 매달린 추(90)는 수중점검 작업시 강바닥에 고정시키게 되는 데, 이는 수중에서의 자세를 고정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고, 장치의 이동시에는 조금 상승시켜서 이동하면 된다.
상기 육상거치장치(74)는 외부의 물살에 의해서 발생하는 영향 즉, 승강수단과 카메라 등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인출선(22)을 이용하여 장치의 움직임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육상거치장치(74)는 바람직하게는 승강수단을 수동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축(66)의 어느 일측에 모터를 연결 설치하여 미도시된 전원에 의해 모터(13)를 구동시킴으로써 자동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13)일측에는 맞물리는 한 쌍의 기어에 의해 레버축(66)과 연결 구동되거나 벨트를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는 구동수단(99)을 구비시킬 수도 있고, 상기 레버(68)를 빼고 직결시켜서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68)는 구동수단(99)의 종류에 따라 착탈이 가능하며,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26)의 고정바(84)의 뒷쪽으로는 수중조명장치(58)가 설치되어 진다.
상기 수중조명장치(58)는 물속에 잠겨있는 교각의 상태를 볼 수 있는 카메라(42)를 구비한 수중카메라하우징(52)과, 상기 수중카메라하우징(52)의 후부에 연속해서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42)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조절하는 팬틸트장치(56)와, 어두운 수중에서 빛을 밝혀주기 위한 다수의 수중할로겐조명 (5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중할로겐조명(56)은 상기 수중카메라하우징 (52)의 하부에 볼트 등에 의한 고정수단(미도시함)에 의해 장공에 고정시키되, 고정수단을 풀고 조여줌에 따라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설치구조는 카메라(42)도 동일하며 이는 상기 카메라(42)와 대응하여 움직여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42)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물속에서 꺼내어 카메라의 위치를 바꾸어줌과 동시에 조명의 위치도 함께 바꾼 후에 수중으로 하강시켜서 촬영하면 된다.
상기 카메라(42)는 상하 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데, 상하로 움직이는 각도는 180도의 움직임이 이루어지고, 좌우로는 350도의 움직임이 이루어짐으로써 교각의 원주면을 골고루 촬영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조명(56)도 카메라(42)에 따라 그 빛을 비추어주기 위해서는 상하좌우로 움직이게 되며 조명의 높낮이 및 좌우각을 맞출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수중조명장치(58)는 상기 승강수단(26)과 함께 상하로 이동되어 진다.
상기 승강수단(26)은 상기 구동모터(12)에 의해 동작되는 권취드럼(20)에 감겨진 인출선(22)과 연결되어 동작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12)가 권취드럼(20)을 회전시켜 인출선(22)을 풀어주거나 감아줌으로써 그 끝단에 연결된 상기 승강수단
(26)을 승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이용하여 교각의 우물통에 본 고안의 수중점검장치를 운반시킨 후, 30 - 50cm 간격으로 이동시켜가면서 교각의 원주면 전체를 촬영한다. 상기 촬영된 영상들은 본 고안의 외부에 설치된 콘트롤 박스(92)에 의해 다양하게 조정되며 상기 콘트롤 박스(92)에 설치된 디스플레이(94)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여 보면, 먼저, 본 고안의 다용도 수중점검장치를 교각으로 운반하여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수중점검장치의 운반 및 설치가 원할하게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 전원공급장치(28)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본 고안의 콘트롤 박스(92)에 설치된 콘트롤러(미도시함)를 동작시킨다.
이후, 전원이 공급된 구동모터(12)에 의해 권취드럼(20)이 회전하면서 인출선(22)을 서서히 풀어줌과 동시에 케이블(36)을 여유있게 풀어줌으로써 그 단부에 설치된 승강수단(26)을 수중으로 넣음과 동시에 수중조명장치(58)를 물속으로 넣어 교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계속해서, 상기 콘트롤 박스(92)의 콘트롤 기능을 이용하여 조작 전원의 단계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수중조명장치(58)에 구비된 카메라(42)가 동작될 수 있도록 온(on)시켜 주고, 기타 다른 동작스위치를 함께 온(on)시켜 준다. 그리고, 필히 장치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카메라(42)는 상하 180도의 회전이 가능하고, 좌우로는 350도의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경우 콘트롤 박스(92)의 디스플레이(94)를 조절하여 심도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셋팅하여 주고, 교량 이름을 설정하고, 날짜를 설정하여 주고, 끝으로 수중의 심도를 맞추어 준다.
상기와 같은 셋팅 동작이 이루어진 후에는 녹화장치(미도시됨)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본 고안의 수중조명장치(58)에 설치된 팬틸트장치(54)를 조정하여 카메라(42)를 상하좌우로 움직이면서 교각의 상태를 촬영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용도 수중점검장치는 크기가 크지 않고, 운반 및 설치가 쉽게 이루어지므로 상기 교각의 우물통이 물에 잠기는 경우에는 본 고안의 수중점검장치를 배에 싣고,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고안은 수중에서 사용하는 동작과 구성을 링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지상에서는 더욱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며, 이는 상기에 기술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고안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다용도 수중점검장치는 크기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고, 소형화시킴으로써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종래의 탐사장비에 있어서 한층 더 발전한 촬영장치를 구비시킴으로써 항만, 교량, 교각 및 지상 또는 수중 구조물의 최초 상태와 현재 상태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점검,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교각뿐만 아니라 심도가 100m 이내인 바다, 강, 호수 등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바다속에 설치된 인공어초의 상태와 양식장의 어류 생태와 강,호수등의 상태를 조사할수 있는 특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가로바가 전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로바의 상부에 제 1,2 및 제 3롤러를 구비한 거치대가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거치대의 일측 후부에 상기 거치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장치의 일단이 고정되는 하부 받침틀과;
    상기 하부 받침틀의 상부에 일정간격 떨어져서 연결 설치되고, 그 상면에 카메라의 케이블이 감겨진 케이블 드럼이 설치되며, 전부에 설치된 가로바에 상기 조절장치의 타단이 설치되는 상부 받침틀과; 그리고
    교각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수중조명장치와;
    상기 수중조명장치가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수중의 교각에 접근하여 촬영가능하도록 이동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거치대에 구비된 제 1롤러와 제 3롤러를 타고 내려옴과 아울러 상기 승강수단의 일측을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그 끝단에 추가 매달린 인출선을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받침틀의 전부 양측에 각각 설치된 육상거치장치와;
    상기 수중조명장치를 전기적으로 콘트롤하고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콘트롤 박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중점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단의 중앙에 인출선이 고정되어 승강동작하도록 아이(I)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붐과;
    상기 고정붐의 상하부 양단 내측에 각각 끼워져서 좌우로 움직이며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이동붐과;
    상기 인출선이 감겨진 권취드럼을 회전시켜서 상기 인출선을 풀어주거나 감아줌으로써 상기 고정붐의 일측에 고정된 수중조명장치를 승하강시키도록 하부 받침틀의 일측 상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중점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수중조명장치는 교각의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설치되는 수중카메라하우징과; 상기 수중카메라하우징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수중할로겐조명등과; 상기 수중카메라하우징에 설치된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동작시키기 위해 그 일측에 설치된 팬틸트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중점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거치장치는 상기 상부 받침틀의 전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레버 브라켓과;
    상기 레버 브라켓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인출선이 풀리거나 감겨질 수 있도록 권취되며, 일측단에 종동 스프로킷을 구비한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의 상부에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권취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 스프로킷을 구비한 레버축과;
    상기 레버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레버축의 일단에 고정되는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중점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와 하부 받침틀에는 상기 인출선을 원할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이드 롤러가 고정 브라켓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수중점검장치.
KR2020000012471U 2000-05-02 2000-05-02 다용도 수중 점검 장치 KR20019956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416A KR100342154B1 (ko) 2000-05-02 2000-05-02 다용도 수중 점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416A Division KR100342154B1 (ko) 2000-05-02 2000-05-02 다용도 수중 점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564Y1 true KR200199564Y1 (ko) 2000-10-02

Family

ID=196678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416A KR100342154B1 (ko) 2000-05-02 2000-05-02 다용도 수중 점검 장치
KR2020000012471U KR200199564Y1 (ko) 2000-05-02 2000-05-02 다용도 수중 점검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416A KR100342154B1 (ko) 2000-05-02 2000-05-02 다용도 수중 점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421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352B1 (ko) * 2002-08-22 2005-12-23 박명숙 수중구조물 촬영장치
KR101108920B1 (ko) * 2011-05-19 2012-01-31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지하수 양수작업용 이동식 자동 윈치 시스템
KR101759999B1 (ko) * 2016-02-23 2017-08-01 주식회사 영국전자 감시 카메라의 배향 조절 장치
KR102201926B1 (ko) * 2019-01-02 2021-01-12 주식회사 청출어람 시야 확보된 수중 구조물에 대한 수중 촬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8834B1 (ko) * 2019-04-11 2020-10-22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설비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평식 도금설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6794A (ja) * 1984-01-06 1985-08-02 Mitsubishi Heavy Ind Ltd 水中観察装置
JPS6337256A (ja) * 1986-07-31 1988-02-17 Mitsubishi Heavy Ind Ltd 水中構造物溶接線自動追尾探傷方法
JP2646012B2 (ja) * 1988-09-06 1997-08-25 運輸省第三港湾建設局長 水中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2154B1 (ko) 2002-07-02
KR20010102613A (ko) 200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614B1 (ko) 수중 구조물 검사장치
BR112017009746B1 (pt) Sistema e método para colocação e remoção de tubo de uma prateleira de uma plataforma de perfuração, e sistema para monitoramento das condições de conservação de uma multiplicidade de engates em um suporte tipo barra de uma plataforma de perfuração
KR100973512B1 (ko) 수중 이동이 가능한 외해 가두리 구조물
CN106926996A (zh) 闭架便携式小型水下机器人
CN109356206B (zh) 一种能适用于不同形状及大小的桥梁桩基水下检测装置
KR200199564Y1 (ko) 다용도 수중 점검 장치
IT201900017105A1 (it) Macchinario per il recupero e la rimozione di rifiuti o detriti galleggianti da corsi d’acqua
KR101254018B1 (ko) 부잔교
JP6511118B1 (ja) 浮沈式生簀及びそれを使用した魚介類の飼育方法
KR100441203B1 (ko) 수중모터를 이용한 침하식 어류양식장치
CN106973268B (zh) 一种水下建筑物摄像装置及摄像方法
KR101325525B1 (ko) 도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잔교
DE2152964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inrammen von Verankerungen für auf dem Meeresboden verlegte Rohrleitungen
FR2647604A1 (en) Device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to moored ships
CN214953052U (zh) 一种市政桥梁工程测量设备
CN211694080U (zh) 一种深海影像观测装置
CN113464803B (zh) 对海洋牧场的环境监测方法
CN211702190U (zh) 一种污水处理池的水下摄像装置
EP3923709B1 (en) Observation system comprising a submerged observation unit for a fish tank
CN114636435A (zh) 一种可升降式水下智能监测平台系统
KR20160000174A (ko) 수중등 투하 시스템
KR102087096B1 (ko)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
KR102601484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고정장치
CN110927063B (zh) 一种爬绳机器人的工作方法
CN211057910U (zh) 一种便于调节的水底淤泥拾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