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901A - 치아 복원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치과 가공 기계 - Google Patents

치아 복원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치과 가공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901A
KR20190111901A KR1020197016751A KR20197016751A KR20190111901A KR 20190111901 A KR20190111901 A KR 20190111901A KR 1020197016751 A KR1020197016751 A KR 1020197016751A KR 20197016751 A KR20197016751 A KR 20197016751A KR 20190111901 A KR20190111901 A KR 20190111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machining
tool
machine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4322B1 (ko
Inventor
마르틴 후버
알폰스 뵈르머
Original Assignee
이보클라 비바덴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클라 비바덴트 아게 filed Critical 이보클라 비바덴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111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02Milling surfaces of revolution
    • B23C3/04Milling surfaces of revolution while revolving the wor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 기계(10), 특히 치과에서 사용하기 위한 치과 가공 기계를 사용하여 치아 복원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의 제 1 단계에서, 입구 가공 경로 및/또는 출구 가공 경로를 제외하고, 공작물(18)과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동안, 회전 가공 공구(16)가 공작물(18)을 회전 밀링, 기계 가공 또는 그라인딩하고, 가공 공구(16)가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나선형 운동으로 공작물(18)의 외부 윤곽(19)을 가공함으로써, 0 % 공기 저항을 받는다. 본 발명은 또한 치과용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아 복원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치과 가공 기계
본 발명은 제 1 항 또는 제 10 항의 전제부에 따른 치아 복원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제 12 항의 전제부에 따른 치과 가공 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치과 가공 기계는, 실질적으로 사전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공작물을 가공 또는 밀링하는 방법에 따라 공작물을 가공하고, 여기서 치과 가공 기계의 가공 공구는 사전 설정된 가공 경로를 따라 원하는 윤곽 또는 표면을 생성하도록 이동된다. 이 경우, 가공 공구는 종래 방식에 따라 공작물에 대해 이동되어, 공작물 내로 디핑되고 사전 설정된 가공 경로를 이탈한 후에 공작물을 떠나 새로운 가공 경로를 시작한다. 따라서, 가공 공구는, 치과 복원 부품이 완성될 때까지, 가공될 공작물에 대해 여러 번 부착되고 다시 이로부터 이동되어, 가공 공구를 공작물에 대해 재배치하고 새로운 가공 경로를 시작한다.
DE 10 2008 027 941 B4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 절삭 에지를 갖는 회전 밀링 공구가 공작물 회전 축에 대해 편심을 갖는 공구 회전 축 둘레로 회전하도록 구동되고, 회전 밀링 공구는 편심이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상태에서 공구 회전 축의 방향으로의 이송을 통해 공작물과 결합되는 공작물의 원형 섹션의 회전 밀링을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DE 10 2010 061 116 A1은 특히 인레이, 크라운, 브릿지, 웨브, 임플란트 위 구조 등과 같은 치과 공작물의 제조를 위한 특히 편평한 블랭크의 재료 제거 가공을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회전하는 공구에 의해 교호식으로 공작물의 크라운 내측이 상기 블랭크의 내측 위치에서 그리고 크라운 외측이 블랭크의 외측 위치에서 가공된다. 또한, 재료를 실질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공구 작동 부분의 측면을 사용하기 위해, 블랭크에서 내측 위치와 외측 위치 사이의 각도를 이등분하는 위치에서 메타도스 위치에서 추가적으로 공작물의 가공이 수행된다.
DE 10 2015 010 322 A1은 공작물을 밀링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공작물은, 밀링 커터가 공작물에 대해 밀링 경로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적어도 오목한 부분 영역에서 밀링 커터에 의해 밀링되고, 여기서 밀링 경로는 적어도 오목한 부분 영역의 밀링 중에 밀링 커터가 이동되는 영역에서 트로코이드 유사한 프로파일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 공구에 의한 공작물의 보다 효율적인 가공 경로를 제공하여, 이를 통해 가공 시간의 단축 및 가공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개선된 치아 복원 부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가공 공구를 통한 보다 효율적인 가공 경로는 공작물 마모가 감소되고 가공 중에 공작물을 칩핑할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는 이점을 또한 제공한다.
상기 목적은 특허 청구 범위 제 1 항 및 제 10 항의 특징을 갖는 치아 복원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특허 청구 범위 제 12 항의 특징을 갖는 치과 가공 기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특히 다축 공작물 아암 및 적어도 하나의 공구 스핀들을 포함하는 공작 기계, 특히 치과에서 사용하기 위한 치과 가공 기계를 사용하여 치아 복원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제 1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구 및/또는 출구 경로를 제외하고, 공작물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접촉하면서, 회전 가공 공구가 공작물을 회전 밀링하거나 또는 회전 가공하거나 또는 그라인딩하며, 가공 공구가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나선형으로 공작물의 외부 윤곽을 가공함으로써, 0 %의 공기 저항 또는 몇 %, 특히 10 % 미만의 공기 저항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해, 복잡한 3 차원 구조물도 회전 밀링될 수 있다. 나선형 축을 따라 볼 때, 나선형의 가공 프로파일이 존재하며, 여기서 다른 2 개의 차원에서 볼 때 형상은 원형과 상당히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치과 가공 기계는 즉 공작물 아암의 5 개의 이동 축 및 공구에 대한 제로를 갖는 5/0-축 기계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 중에, 즉 공작물과 가공 공구의 초기 접촉 이후 그리고 마지막 접촉 이전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들 사이에 연속적인 접촉이 존재한다. 이를 통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가공력이 항상 가해진다. 가공 라인은 장력 하에 유지되어, 만일의 구동 플레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가공 정밀도가 크게 향상된다. 개별적인 경우 접촉은 특히 복잡한 구조에서는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은데, 복잡한 구조에서는 이것이 요구도니다. 그러나, 중단의 횟수는 적고, 특히 10 회 미만, 바람직하게는 단지 1 회,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로이다. 중단 시간 및/또는 중단 경로에도 동일한 내용이 적용된다. 둘 모두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10 %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미만이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축 공작물 아암 및 적어도 하나의 공구 스핀들을 포함하는 공작 기계, 특히 치과에서 사용하기 위한 치과 가공 기계를 사용하여 치아 복원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제 1 단계에서, 회전 가공 공구는 공작물을 회전 밀링하거나 또는 회전 가공하거나 또는 그라인딩하고, 그 동안에 공작물은 볼록한, 즉 오목함이 없는 중간 제품으로 제조되며, 제 2 단계에서, 마찬가지로 회전 밀링 또는 회전 가공에 의해, 오목한 형상을 생성하도록 그 안으로 디핑을 증가시킴으로써 공작물의 캐비티가 공작물을 마무리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축 공작물 아암 및 모터 구동 공구 스핀들을 구비하고 그리고 치과 가공 기계의 가공 전략을 위한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특히 치과에서 사용하기 위한 치과 가공 기계를 구비하는 치과 가공 기계를 제공하고, 제어 장치는, 공작물의 외부 프로파일이 실질적으로 나선형으로 회전 가공됨으로써, 특히 입구 경로 및 출구 경로를 제외하고, 가공 공구와 공작물 사이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접촉을 유지하면서, 즉 0 %의 공기 저항을 가지면서 다축 공작물 아암의 이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사상은 모든 가능한 기하학적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공작물 상의 공작 기계의 가공 공구의 가공 경로를 위한 전략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가공 공구가 공작물과 연속적으로 접촉한다는 것, 즉 단일 가공 경로를 따라, 공작물에서 벗어나지 않고, 공작물의 생성될 전체 기하학적 구조를 제조한다는 본 발명에 따른 특징의 구현이다.
이러한 가공 전략은 가공 공구의 최상의 절삭 조건을 유리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방식으로 공작물의 부착 및 이탈에 의해 종래의 가공 전략에서 생성되는 요철이 회피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유리 세라믹 등과 같은 깨지기 쉬운 재료의 가공 시에 공작물을 가공하는 동안의 칩핑(chipping)이 감소될 수 있다. 이는 공작물에서 가공 공구의 나선형, 즉 코너 없는 가공 경로를 통해 유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 및 추가의 개선예는 종속 청구항 및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나타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단계에서 공작물의 캐비티가 가공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가공 공구에 의한 공작물의 나선형 가공의 전술한 가공 전략은 마찬가지로 공구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가공은 일정한 피드 속도로 수행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공작물의 일정한 재료 제거 및 이를 통해 정밀한 표면 기하학적 구조의 형성이 유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가공 단계 당 공작물과 가공 공구 사이의 최대 한 번의 접근 및 공작물과 가공 공구 사이의 최대 한 번의 멀어짐이 수행되고, 특히 치아 복원 부품의 제조를 위한 최대 2 개의 가공 단계가 치과 가공 기계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제안된다. 따라서, 최대 2 개의 가공 단계를 제공함으로써, 치아 회복 부품을 제조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유리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공작물의 외부 기하학적 구조뿐만 아니라 캐비티도 모두 효율적이고 정밀하게 생성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 동안, 공작물과 가공 기계 사이에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고, 가공의 방향 변화가 가능한 한 회피되는 것이 제공된다. 다축 공작물 아암에 공작물을 유지시키기 때문에, 공작물과 가공 공구 사이에 사전 설정된 가공 경로의 이동 중에 공작물과 가공 공구 사이에 항상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도록, 공작물은 가공 공구에 대해 공간적으로 이동되고 그리고/또는 회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공 공구에 대한 공작물의 이동 가능성으로 인해, 가공 공구의 방향 변경의 의미에서 가공의 방향 변경이 회피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작물 아암에 의해 치아 복원 부품의 모서리를 제조할 때, 공작물은 회전되어, 공작물로부터 가공 공구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은 가능한 한 적게 변화되고, 특히 가해진 가공력에 의해 가공 공구의 휨을 유지하면서, 유지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치아 복원 부품의 최대로 정밀한 기하학적 구조가 생성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추가의 제 3 단계에서, 준비 경계부, 교합면 및/또는 공작물의 연결부에서 밀링되는 수행되는 것이 제안된다. 따라서, 공작물의 연마 또는 마무리 가공이 유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특히 공작물의 치은 캐비티 상에서도, 가공 단계에서 기본적으로 나선형으로 가공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치아 복원 부품의 균일한 재료 제거 또는 균일한 표면 품질이 또한 공작물의 치은 캐비티의 영역에서도 제공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치아 복원 부품으로서 인레이, 온레이 및/또는 베니어를 사용하는 경우 에지는 가공 방향이 항상 에지를 향하는 방식으로 나선형으로 밀링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는 유리하게는 공작물의 에지가 매끄러운 또는 둥근 윤곽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 시 공작물은 가공 공구에 대해 나선형 경로를 통과하고, 단위 시간당 실질적으로 일정한 제거 체적이 제 1 단계에서 발생되고, 특히 공작물과 가공 공구 사이에 일정한 힘이 제공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될 치아 복원 부품의 정밀한 표면 기하학적 구조가 유리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이는 효과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면, 이를 통해 유리하게는 가공 시간이 단축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장치는 공작물의 가능한 치은 캐비티를 가공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치아 복원 부품의 균일한 재료 제거 또는 균일한 표면 품질이 또한 공작물의 치은 캐비티의 영역에서도 제공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치과 가공 기계는 다축 공작물 아암에 대한 5 개의 축 및 가공 공구에 대한 제로 축을 갖는 5/0 축 밀링 기계로 설계되며, 제 1 단계 동안에는 특히 4 개의 축이 사용되고 제 2 단계 동안에는 5 개의 축이 사용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공작물은 회전하는 가공 공구에 대해 임의의 사전 설정된 가공 경로를 출발할 수 있고, 이로써 치아 복원 부품의 모든 가능한 표면 기하학적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가공의 정밀도, 특히 회전 연삭은 이러한 축 분포에서 매우 우수한다. 공작물 아암의 균일한 하중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축 조인트 플레이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각 베어링은 시스템에서 일 측에서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데, 즉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가공의 정확성은 수 10 미크론으로 수행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치과 가공 기계의 피드는 일정한 절삭 조건이 존재하도록 조정되고, 특히 치과 가공 기계의 회전 속도가 2,000 내지 50,000 rpm 범위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일정한 절삭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유리한 방식으로 균일한 표면 제거가 구현될 수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따라서, 일정한 절삭 조건의 조합 및 가공 기계의 회전 속도의 적응성을 제공하여, 이에 따라 정확한 제거 결과를 위한 균일한 재료 제거를 구현한다.
설명된 실시예 및 개선예는 임의적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 개선예 및 구현예는 상술한 또는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본 발명의 특징의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조합을 또한 포함한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추가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이들은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 및 개념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실시예들 및 언급된 장점들의 많은 것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도시된 도면의 요소들은 반드시 서로 일정한 비율로 도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상의 재료 제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상의 재료 제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상의 재료 제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상의 재료 제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 가공 기계의 개략도이다.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동일한 요소, 구성 요소 또는 부품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상의 재료 제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공작 기계(도 1에 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치과 복원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제 1 단계에서 회전 가공 공구(16)가 공작물(18)을 회전 밀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이를 위해 회전 가공 공구(16)는 예컨대 공작물(18)을 회전 밀링 또는 그라인딩할 수 있다. 가공 공구(18)는 적어도 입구 및/또는 출구 경로를 제외하고 공작물(18)과 연속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가공 공구(16)는 공작물(18)의 외측 프로파일(19)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나선형으로 가공함으로써, 0 % 공기 저항을 갖는다.
공작물(18)의 가공은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피드 속도로 수행된다. 대안적으로, 가공 공구의 피드 속도는 가공 공구의 회전 속도의 함수로서 가공 기하학적 구조 또는 가공될 재료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공 단계 당, 공작물(18)과 가공 공구(16) 사이의 최대 한 번의 접근 및 공작물(18)과 가공 공구(16) 사이의 최대 한 번의 멀어짐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치과 가공 기계에 의한 치아 복원 부품의 제조를 위한 최대 2 개의 가공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높은 가공 효율 및 품질이 달성될 수 있다.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 동안, 공작물과 가공 공구 사이에는 일정한 압력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공의 방향 변경은 가능한 한 회피되어야 한다. 공작물 아암(도 1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조되는 치아 복원 부품의 모서리에서, 공작물은 바람직하게는 회전되어, 공작물로부터 가공 공구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은 가능한 한 적게 변화된다. 특히 공작물(18)로부터 가공 공구(16)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은 가해진 가공력에 의해 가공 공구(16)의 휨을 유지하면서, 유지된다.
공작물(18)은 가공 시에 가공 공구(16)에 대해 나선형 경로를 통과한다. 실질적으로 단위 시간당 일정한 제거 체적이 제 1 단계에서 생성된다. 또한, 공작물(18)과 가공 공구(16) 사이에 일정한 힘이 제공된다. 치과 가공 기계(도 1에 도시되지 않음)는 바람직하게는 5/0 축 밀링 기계로서 설계된다. 따라서 다축 공작물 아암은 5 개의 축을 포함하며, 가공 공구(16)는 제로 축을 포함한다. 제 1 단계 동안, 바람직하게는 4 개의 축이 사용되고, 제 2 단계 동안에는 5 개의 축이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상의 재료 제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치과 복원 부품의 제조 방법은, 제 1 단계에서, 회전 가공 공구(도 2에 도시되지 않음)가 공작물(18)을 회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공작물(18)은 예를 들어 회전 밀링되거나 또는 그라인딩될 수 있다.
이러한 가공에서, 공작물(18)은 볼록한, 즉 오목함이 없는 중간 제품으로 제조되며, 제 2 단계에서, 마찬가지로 회전 밀링 또는 대안적으로 회전 가공에 의해, 오목한 형상을 생성하도록 그 안으로 디핑을 증가시킴으로써 공작물(18)의 캐비티(21)가 공작물을 마무리한다. 가공은 기본적으로 나선형으로 수행된다. 또한, 단위 시간당 일정한 제거 체적이 수행되고, 특히 공작물(18)과 가공 공구 사이에 일정한 힘이 존재한다.
도 2에 도시된 밀링에서, 치아 복원 부품으로서 인레이의 경우, 에지(24)는 가공 방향이 항상 에지(24)를 향하는 방식으로 나선형으로 밀링된다. 예를 들어, 치아 복원 부품으로서 온레이 및/또는 베니어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상의 재료 제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추가적인 제 3 단계에서, 공작물(18)의 준비 경계부(22) 상에서 밀링이 수행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교합면 및/또는 공작물(18)의 연결부에서 밀링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상의 재료 제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공작물(18)의 교합면의 마무리 가공은 마찬가지로 가공 공구에 대해 공작물이 나선형 가공 경로를 횡단함으로써 수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과 가공 기계의 개략도이다. 치과 가공 기계 또는 공작 기계(10)는 다축 공작물 아암(12) 및 전동 구동 공구 스핀들(14)을 포함한다. 또한, 치과 가공 기계는 가공 기계의 가공 전략을 위한 제어 장치(26)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26)는 가공 공구(16)와 공작물(18) 사이의 연속적인 접촉 또는 이동을 유지하면서, 즉 공기 저항이 0 %인 상태로, 입구 및 출구 경로, 다축 공작물 아암(12)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이는 공작물(18)의 외부 프로파일이 실질적으로 나선형으로 회전 가공됨으로써 구실현된다. 제어 장치(26)는 또한 공작물(18)의 가능한 치은 캐비티를 가공하도록 설계된다.
치과 가공 기계는 바람직하게는 5/10 축 밀링 기계로 설계된다. 따라서 다축 공작물 아암은 5 개의 축을 포함하고, 가공 공구(16)는 제로 축을 포함한다. 여기서 특히, 제 1 단계 동안 4 개의 축이 사용되고, 제 2 단계 동안에는 5 개의 축이 사용된다. 치과 가공 기계의 피드는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절삭 조건이 존재하도록 조정될 수 있고, 특히 치과 가공 기계의 회전 속도가 2,000 내지 50,000 rpm 범위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공 경로의 치수, 특히 나선형 가공 경로의 치수가 생성될 가공품의 기하학적 구조에 적응될 수 있도록, 가공 전략 또는 사전 설정된 가공 경로가 공작물의 기하학적 구조에 적응될 수 있다. 특히, 나선형 가공 경로는 공작물 또는 생성될 치아 복원 부품의 임의의 기하학적 구조가 제조될 수 있는 방식으로 치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5)

  1. 특히 다축 공작물 아암(12) 및 적어도 하나의 공구 스핀들(14)을 포함하는 공작 기계(10), 특히 치과에서 사용하기 위한 치과 가공 기계를 사용하여 치아 복원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단계에서, 적어도 입구 및/또는 출구 경로를 제외하고, 공작물(18)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접촉하면서, 회전 가공 공구(16)가 공작물(18)을 회전 가공 또는 회전 그라인딩하며, 특히 가공 작업 중에 가공 공구와 공작물 사이의 접촉의 중단이 10 회 미만이고 그리고/또는 공작물과 가공 공구 사이에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공작물에 대한 가공 공구의 이동이 10 % 미만이며, 공작물(18)의 외측 프로파일(19)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나선형으로 가공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이들 사이에 연속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며, 상기 치과 가공 기계는 특히 상기 다축 공작물 아암(12)에 대한 5 개의 축 및 가공 공구(16)에 대한 제로 축을 갖는 5/0 축 기계로 설계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에서, 상기 공작물(18)의 캐비티(21)가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은 일정한 피드 속도 및/또는 일정한 힘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공 단계 당 공작물(18)과 가공 공구(16) 사이의 최대 한 번의 접근 및 공작물(18)과 가공 공구(16) 사이의 최대 한 번의 멀어짐이 수행되고, 특히 치아 복원 부품의 제조를 위한 최대 2 개의 가공 단계가 치과 가공 기계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단계 동안 공작물(18)과 가공 공구(16) 사이에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고, 가능한 한 가공의 방향 변화가 회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작물 아암(12)에 의해 치아 복원 부품의 모서리를 제조할 때, 상기 공작물(18)은 회전되어, 상기 공작물(18)로부터 가공 공구(16)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은 가능한 한 적게 변화되고, 특히 가해진 가공력에 의해 가공 공구(16)의 휨을 유지하면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제 3 단계에서, 준비 경계부(22), 교합면 및/또는 상기 공작물(18)의 연결부에서 밀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상기 공작물(18)의 치은 캐비티(21) 상에서도, 가공 단계에서 기본적으로 나선형으로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아 복원 부품으로서 인레이, 온레이 및/또는 베니어를 사용하는 경우 에지(24)는 가공 방향이 항상 상기 에지(24)를 향하는 방식으로 나선형으로 밀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다축 공작물 아암(12) 및 적어도 하나의 공구 스핀들(14)을 포함하는 공작 기계(10), 특히 치과에서 사용하기 위한 치과 가공 기계를 사용하여 치아 복원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 1 단계에서, 회전 가공 공구(16)는 상기 공작물(18)을 회전 밀링하거나 또는 회전 가공하거나 또는 그라인딩하고, 그 동안에 상기 공작물(18)은 볼록한, 즉 오목함이 없는 중간 제품으로 제조되며, 제 2 단계에서, 마찬가지로 회전 밀링 또는 회전 가공에 의해, 오목한 형상을 생성하도록 그 안으로 디핑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공작물(18)의 캐비티(21)가 상기 공작물(18)을 마무리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시 공작물(18)은 상기 가공 공구(16)에 대해 나선형 경로를 통과하고, 단위 시간당 실질적으로 일정한 제거 체적이 제 1 단계에서 발생되고, 특히 공작물(18)과 가공 공구(16) 사이에 일정한 힘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다축 공작물 아암(12) 및 모터 구동식 공구 스핀들(14)을 구비하고 그리고 치과 가공 기계의 가공 전략을 위한 제어 장치(22)를 구비하는, 특히 치과에서 사용하기 위한 치과 가공 기계를 구비하는 치과 가공 기계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공작물(18)의 외부 프로파일(19)이 실질적으로 나선형으로 회전 가공됨으로써, 특히 입구 경로 및 출구 경로를 제외하고, 가공 공구(16)와 공작물(18) 사이의 상대 이동 연속 접촉을 적어도 90 %까지, 특히 적어도 99 %까지의 연속적인 접촉을 유지하면서 다축 공작물 아암(12)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가공 기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22)는 상기 공작물(18)의 가능한 치은 캐비티(21)를 가공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가공 기계.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가공 기계는 상기 다축 공작물 아암(12)에 대한 5 개의 축 및 상기 가공 공구(16)에 대한 제로 축을 갖는 5/0 축 밀링 기계로 설계되며, 제 1 단계 동안에는 특히 4 개의 축이 사용되고 제 2 단계 동안에는 5 개의 축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가공 기계.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 가공 기계의 피드는 일정한 절삭 조건이 존재하도록 조정되고, 특히 치과 가공 기계의 회전 속도가 2,000 내지 50,000 rpm 범위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가공 기계.
KR1020197016751A 2016-12-12 2017-11-21 치아 복원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치과 가공 기계 KR102454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203488.8A EP3332737B1 (de) 2016-12-12 2016-12-12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dentalrestaurationsteils sowie dentalbearbeitungsmaschine
EP16203488.8 2016-12-12
PCT/EP2017/079922 WO2018108465A1 (de) 2016-12-12 2017-11-21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dentalrestaurationsteils sowie dentalbearbeitungs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901A true KR20190111901A (ko) 2019-10-02
KR102454322B1 KR102454322B1 (ko) 2022-10-12

Family

ID=5754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751A KR102454322B1 (ko) 2016-12-12 2017-11-21 치아 복원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치과 가공 기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83372B2 (ko)
EP (1) EP3332737B1 (ko)
JP (1) JP7168564B2 (ko)
KR (1) KR102454322B1 (ko)
CN (1) CN110267620B (ko)
ES (1) ES2932423T3 (ko)
WO (1) WO20181084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97731A1 (en) * 2019-09-24 2021-03-31 DENTSPLY SIRONA Inc. Dental tool having a miniaturized rfid tag
EP3797733A1 (en) * 2019-09-24 2021-03-31 DENTSPLY SIRONA Inc. Method of planning free-form tool paths for simultaneous two-sided machining with kinematic axis coupling
EP3804654B1 (en) * 2019-10-08 2023-07-26 DENTSPLY SIRONA Inc. Method of machining a dental block for manufacturing a dental restor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01600A1 (de) * 2004-11-30 2006-06-01 Follow Me! Technology System Gmbh Werkstück bzw. Formelement, Verfahren zur Material abtragenden Bearbeitung von Werkstücken, Maschinensteuerungsprogramm und Bearbeitungsvorrichtung
KR20070047738A (ko) * 2004-04-29 2007-05-07 서프웨어, 인크 물림 밀링
US20120148985A1 (en) * 2010-12-09 2012-06-14 Yunoh Jung Method for Machining a Dental Prosthesi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842U (ja) * 1992-11-30 1994-06-2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加工装置
US20050159840A1 (en) * 2004-01-16 2005-07-21 Wen-Jong Lin System for surface finishing a workpiece
US8454362B2 (en) * 2006-10-16 2013-06-04 Natural Dental Implants Ag Customized dental prosthesis for periodontal- or osseointegration,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DE102008027941B4 (de) 2008-06-12 2010-09-30 Gebr. Heller Maschinenfabrik Gmbh Drehfräsen mit spezieller Anfahrstrategie
DE102010061116B4 (de) 2010-12-08 2022-01-13 Helge Arnd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ntalen Werkstücken
DE102012106849A1 (de) * 2012-07-27 2014-05-28 Open Mind Technologies Ag Verfahren zur teilweisen oder vollständigen Bearbeitung einer beliebigen Kavität
JP6229396B2 (ja) * 2013-09-20 2017-11-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数値制御装置
DE102015010322A1 (de) 2015-08-06 2016-03-17 Daimler Ag Verfahren zum Fräsen eines Werkstüc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738A (ko) * 2004-04-29 2007-05-07 서프웨어, 인크 물림 밀링
DE102005001600A1 (de) * 2004-11-30 2006-06-01 Follow Me! Technology System Gmbh Werkstück bzw. Formelement, Verfahren zur Material abtragenden Bearbeitung von Werkstücken, Maschinensteuerungsprogramm und Bearbeitungsvorrichtung
US20120148985A1 (en) * 2010-12-09 2012-06-14 Yunoh Jung Method for Machining a Dental Prosthe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05058A1 (en) 2021-07-08
US11583372B2 (en) 2023-02-21
KR102454322B1 (ko) 2022-10-12
EP3332737B1 (de) 2022-10-12
WO2018108465A1 (de) 2018-06-21
JP2020513872A (ja) 2020-05-21
ES2932423T3 (es) 2023-01-19
EP3332737A1 (de) 2018-06-13
JP7168564B2 (ja) 2022-11-09
CN110267620A (zh) 2019-09-20
CN110267620B (zh)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4503B2 (ja) 歯状構造を製造する工作機械及び方法
KR101995784B1 (ko) 워크피스를 기계가공하기 위한 방법, 툴 장치 및 톱니 절삭 머신
US8147296B2 (en) Method and grinding machine for dressing of a grinding tool
KR100291167B1 (ko) 분할동안에기어를가공하는방법
KR102485833B1 (ko) 거친 및 미세-기계가공 기어들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JP4197831B2 (ja) 医科的嵌合体を製作する装置と方法
KR102454322B1 (ko) 치아 복원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치과 가공 기계
US11358233B2 (en) Method for generating a toothed workpiece and control program, tools and tooth-cutting machine suitable therefor
US11097364B2 (en) Method for hard finishing toothed gearing, particularly internally toothed portions and machine tool suitable therefor
JP2010030038A (ja) ワークを製造する方法及び研削機械
JP2021164988A (ja) ワークの面取り加工装置、それを備えた歯加工センタ、およびワークの面取り加工装置を用いた加工方法
JP6549164B2 (ja) 歯車の製造方法、および歯車
CN107000090A (zh) 用于机加工啮合齿的方法、工具布置和切齿机
JP4664029B2 (ja) まがりばかさ歯車用の創成方法及び機械
JP2009214290A (ja) 歯車の試作及び少数生産のための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524159B2 (ja) 丸形シェービングカッタの歯面を研削する方法および機器
JPH01252316A (ja) クラウン歯車の製作及び又は仕上げ方法
JP2004218517A (ja) スクリュウ圧縮機およびそのロータ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JP5425570B2 (ja) トリポード型等速ジョイントのトラニオンの加工方法及び装置
JP2010220714A (ja) 歯科用補綴物の製作装置および製作方法
JP3612726B2 (ja) 歯車ホーニング盤における内歯車形ホーニング砥石の機上成形方法
US20210078090A1 (en) Method for grinding a bevel gear
KR20210089733A (ko) 치과용 피팅 바디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이러한 목적을 위한 가공물
JPH04141370A (ja) 溝加工用砥石修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