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547A -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547A
KR20190111547A KR1020180033835A KR20180033835A KR20190111547A KR 20190111547 A KR20190111547 A KR 20190111547A KR 1020180033835 A KR1020180033835 A KR 1020180033835A KR 20180033835 A KR20180033835 A KR 20180033835A KR 20190111547 A KR20190111547 A KR 20190111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xterior panel
film
deposition
home appli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도연
김영우
정혜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3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1547A/ko
Priority to US17/040,741 priority patent/US11623437B2/en
Priority to PCT/KR2019/002766 priority patent/WO2019182275A1/ko
Publication of KR20190111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15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metall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2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6Vapour de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6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me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9/00Household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05Removing selectively parts of at least the upper layer of a multi-layer article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패널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면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심부에 형성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기재층의 가장자리의 상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및 그 제조방법{external panel for home applianc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냉장고,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에 적용되는 외장패널은 심미적 효과를 주기 위해 메탈의 질감을 살리도록 제조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기재층의 상면에 금속층과 코팅층을 형성하여, 외장패널이 형성된다.
한국 공개 특허공보 10-2010-0054116호에는 '무증착 미러 칼라 코팅물'이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무증착 미러 칼라 코팅물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증착 미러 칼라 코팅물은, 기재(1)와, 상기 기재(1) 상부에 형성된 하도 코팅층(2)과, 상기 하도 코팅층(2) 상부에 형성된 미러 칼라 코팅층(3), 및 상기 미러 칼라 코팅층(3) 상부에 형성된 상도 코팅층(4)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층(2,3,4)들은 모두 도장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어 매우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기재(1)에 먼저 하도 코팅층(2)을 도장한 후, 그 상부에 미러 칼라 코팅층(3)을 도장하고 그 다음 상도 코팅층(4)을 도장함으로써 미러 칼라감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미러 칼라감은 기존에 하도 코팅층 없이 실버 락카 도장 후 상도용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도장한 것과 대비할 때 디자인 및 휘도에서 매우 우수하며, 증착과 유사한 디자인 및 휘도를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경우, 금속 증착층의 단면이 외부로 노출 되어 세제, 수분 및 이물질에 의한 증착층의 변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증착에 적용되는 금속이 세제에 의해 변색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겨울철 VCM(vinyl coated metal)의 필름(film) 수축에 따라 증착층과 필름층의 박리가 발생된다. 종래의 경우, 증착층과 필름층은 접착 또는 점착이 아닌 단지 증착에 의한 안착된 상태이므로 결합력이 약한 상태이고, 박리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금속 증착부위의 단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수분 및 이물질에 의한 증착층의 변색 및 박리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가전제품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경계부분의 증착층이 제거됨에 따라 금속층이 필름과 곧바로 접착되면서, 경계부분에서의 결합력이 확보되어, 필름과 금속층이 분리되지 않고, 접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가전제품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경계부분에서 금속 증착층이 제거되더라도, 해당 영역에 금속 증착층과 유사한 컬러와 질감을 갖는 소재를 인쇄하여, 소재의 통일감을 구현할 수 있는 가전제품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전제품용 외장 패널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상면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심부에 형성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증착층과, 상기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기재층의 가장자리의 상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증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기재층의 가장자리에는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인쇄층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은, 실버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은, 금속층과, 상기 금속층의 상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층은, 아연도금강판(GI)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착층과 인쇄층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 또는 상기 코팅층에는 헤어라인(hair line)이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전제품용 외장 패널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필름의 일면에 스트리퍼블 도료를 이용해서, 소정의 패턴을 인쇄하는 인쇄단계와,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의 일면 전체에 금속층을 증착시키는 증착단계와, 상기 필름에 형성된 스트리퍼블 도료 및 그 상면에 증착된 금속층을 제거하는 제거단계와, 상기 필름의 일면에 기재층을 접착하는 접합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쇄단계는, 상기 필름의 일면에, 실버 재질로 패턴을 인쇄하고, 상기 실버 패턴의 상면에 스트리퍼블 도료를 인쇄한다.
또한, 상기 인쇄단계 이전에는, 상기 필름에 헤어라인(hair line)을 가공하는 가공단계가 진행된다.
또한, 상기 제거단계는, 세척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단계는, 접착 테이프를 스트리퍼블 도료 및 그 상면에 증착된 금속층에 붙였다가 떼어내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단계는, 마스킹 후, 에칭액에 침지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단계 이후에는, 상기 금속층의 상단에 프라이머(primer)를 코팅하는 제1코팅단계와, 상기 기재층의 상단에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코팅하는 제2코팅단계가 진행되고, 상기 접합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단계 이후에는, 상기 필름을 단위별로 자르는 커팅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가전제품용 외장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금속 증착부위의 단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수분 및 이물질에 의한 증착층의 변색 및 박리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계부분의 증착층이 제거됨에 따라 금속층이 필름과 곧바로 접착되면서, 경계부분에서의 결합력이 확보되어, 필름과 금속층이 분리되지 않고, 접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경계부분에서 금속 증착층이 제거되더라도, 해당 영역에 금속 증착층과 유사한 컬러와 질감을 갖는 소재를 인쇄하여, 소재의 통일감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무증착 미러 칼라 코팅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경계부분의 증착증 제거가 진행되지 않은 가전제품용 외장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패널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가전제품용 외장패널의 제조방법에서, 각 단계별 적층체의 단면도를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패널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패널(10)은, 냉장고,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일부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기재층(100)과, 상기 기재층(100)의 상면 가장자리(도 2의 A구간)를 제외한, 중심부(도 2의 B구간)에 형성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증착층(210)과, 상기 증착층(210), 및 상기 증착층(210)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기재층(100)의 가장자리(도 2의 A 구간)의 상면에 형성되는 코팅층(220)을 포함한다.
상기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패널(10)의 중심부(도 2의 B구간)에는, 기재층(100), 증착층(210), 코팅층(220)이 순서대로 적층된 형태를 취하는 반면, 가장자리(도 2의 A구간)에는, 기재층(100), 코팅층(220)이 적층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다만, 상기의 경우, 증착층(210)이 형성된 부분과, 증착층(21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색깔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증착층(210)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기재층(100)의 가장자리(도 3의 A구간)에는 인쇄층(24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220)은 상기 인쇄층(24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240)은 증착층(2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증착층(210)과 유사한 질감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코팅층의 상측)에서 봤을 때, 증착층(210)이 형성된 중심부(도 3의 B구간)와, 증착층(210)이 형성되지 않은 가장자리(도 3의 A구간)가 구분되어 보이지 않고, 하나의 재질처럼 보일 수 있다.
상기의 경우, 가전제품용 외장패널(10)의 중심부(도 3의 B구간)에는, 기재층(100), 증착층(210), 코팅층(220)이 적층된 형태를 취하는 반면, 가장자리(도 3의 A구간)에는, 기재층(100), 인쇄층(240), 코팅층(220)이 적층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인쇄층(240)은, 실버(Ag)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재층(10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금속층(110)과, 상기 금속층(110)의 상면에 형성된 접착층(120)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층(120)은 상기 금속층(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20)은 상기 증착층(210)과의 결합력 확보를 위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증착층(210)의 저면(접착층과 접하는 면)에는 상기 접착층(120)과의 반응하여 접합력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층(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금속층(110)과 증착층(210)을 높을 결합력으로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속층(110)은, 아연도금강판(GI)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착층은(210)은, 알루미늄(Al), 스테인레스 스틸(SUS), 니켈(Ni), 크롬(Cr), 인듐(In)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착층(210)은 단일 금속을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고, 멀티 금속을 증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상기 증착층(210)은, E-beam type, 스퍼터링 type, Thermal type, CVD, PVD 등의 모든 증착 방법 또는 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재층(100) 또는 상기 코팅층(220)에는 헤어라인(hair line)이 가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가느다란 실선 형태의 헤어라인(hair line)이 가공되면, 외측(코팅층의 상측)에서 바라봤을 때 외장패널(10)의 질감이 더욱더 금속처럼 보일 수 있다.
도 4는 경계부분의 증착증 제거가 진행되지 않은 가전제품용 외장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경계부분에서 증착층의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아, 증착층(210)의 단면이 외부로 노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분 및 이물질에 의한 증착층(210)의 변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증착에 적용되는 금속이 세제에 의해 변색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겨울철 필름으로 구비된 코팅층(220)의 수축에 의해 증착층(210)과 코팅층(220)의 박리가 발생된다. 종래의 경우, 증착층(210)과 코팅층(220)은 접착 또는 점착이 아닌 단지 증착에 의한 결합된 상태이므로 결합력이 약한 상태이고, 박리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부위의 증착층(210)을 제거하여, 증착층(210)의 단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수분 및 이물질에 의한 증착층의 변색 및 박리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경계부분의 증착층(210)이 제거됨에 따라 금속층(110)이 필름 형태의 코팅층(220)이 곧바로 접착되면서, 경계부분에서의 결합력이 확보되어, 코팅층(220)의 수축이 발생되더라도, 코팅층(220)과 금속층(110)이 분리되지 않고, 접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경계부분에서 증착층(210)이 제거되더라도, 증착층(210)이 제거된 영역에 증착층(210)과 유사한 컬러와 질감을 갖는 인쇄층(240)을 형성하여, 소재의 통일감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패널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7은 가전제품용 외장패널의 제조방법에서, 각 단계별 적층체의 단면도를 보인 개념도이다.
참고로, 후술되는 필름은 전술한 코팅층(220)을 의미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제조방법은, 인쇄단계, 증착단계, 제거단계, 접합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인쇄단계는, 필름(220)의 일면에 스트리퍼블 도료를 이용해서, 소정의 패턴(P)을 인쇄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그리고, 증착단계는, 상기 인쇄단계에서 패턴(P)이 인쇄된 필름(220)의 일면 전체에 증착층(210)을 증착시키는 단계를 의미한다. 또한, 제거단계는 상기 증착단계를 거치면서 스트리퍼블 도료를 이용해서 상기 필름(220)에 형성된 패턴(P) 및 그 패턴(P)의 상면에 증착된 증착층(210)을 제거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접합단계는 상기 제거단계를 거친 상기 필름(220)의 일면에 기재층(100)을 접착하는 단계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가전제품용 외장패널의 제조방법의 일 예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필름(220)은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220)은 롤(roll) 형태로, 권취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필름(220)은 권출되면서, 가이드 롤러(311)에 의해 평면을 유지하고 이동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평면의 상태로 이동하는 필름(220)은 인쇄단계 이전에, 헤어라인(hair line)을 가공하는 가공단계가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필름(220)은 헤어라인(hair line)을 가공하는 가공롤러(31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가공롤러(312)는 동력원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태이며, 그 표면에 헤어라인(hair line)을 가공용 핀 또는 커터(312a) 등이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공단계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필름(220)에 헤어라인(HL)이 가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가느다란 실선 형태의 헤어라인(hair line)이 가공되면, 외측(코팅층의 상측)에서 바라봤을 때 외장패널(10)의 질감이 더욱더 금속처럼 보일 수 있다.
이후, 필름(220)의 일면(하면)에는 스트리퍼블 도료(strippable paint)가 인쇄된다. 상기 스트리퍼블 도료(strippable paint)는 추후, 벗겨낼 목적으로 사용되는 도료이다.
일 예로, 스트리퍼블 도료(321)가 담긴 용기(322)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는 인쇄롤러(323)에 의해 필름(220)의 일면(하면)에는 스트리퍼블 도료(strippable paint)가 소정의 패턴(P)으로 인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턴(P)의 형태는 최종적으로 완성되는 가정제품용 외장패널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외장패널이 사각형상일 경우, 패턴(P)의 형태 역시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필름(220)에 스트리퍼블 도료(strippable paint)가 인쇄되어 패턴(P)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패턴(P)은 최종적으로 완성되는 가정제품용 외장패널의 경계라인을 형성한다.
이후, 패턴(P)이 형성된 필름(220)의 일면(하면)에는 증착층(210)이 증착된다.
상세히, 진공챔버(330)의 내부로 필름(220)을 통과시키면서, 챔버(330)의 내측 하부에서, 금속을 가열 증발시키면서, 패턴(P)이 형성된 필름(220)의 일면(하면)에 금속을 얇은 막으로서 응착시킨다.
상기 증착층(210)은, E-beam type, 스퍼터링 type, Thermal type, CVD, PVD 등의 모든 증착 방법 또는 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패턴(P)이 형성된 필름(220)의 일면(하면)에 증착층(210)이 증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패턴(P)이 형성된 필름(220)의 일면(하면)에 증착층(210)이 형성되면, 필름(220)은 가이드 롤러를 따라 세척조(340)로 이동한다.
이후, 적어도 하나의 세척조(340)를 거치면서, 필름(220)의 일면에 스트리퍼블 도료로 인쇄된 패턴(P) 및 패턴(P)의 상면에 증착된 증착층(210)이 제거된다.
상세히, 상기 증착층(210)이 형성된 필름(220)은 제1세척조(341)와 제2세척조(342)를 통과하면서, 스트리퍼블 도료로 인쇄된 패턴(P) 및 패턴(P)의 상면에 증착된 증착층(210)이 제거될 수 있다.
일때, 상기 제1세척조(341) 또는 제2세척조(342) 중 적으로 어느 하나에는, 세척력 확보를 위해 브러시(34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의 (d)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세척조(340)를 통과한 필름(220)은, 그 일면(하면)에 증착층(210)이 증착된 상태이나, 패턴(P')이 형성되었던 부분의, 스트리퍼블 도료(strippable paint)와 증착층(210)은 제거된다.
이 밖에도, 상기 제거단계는, 접착 테이프를 증착층(210)의 일면(하면)에 붙였다가 떼어내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이때, 필름(220)의 일면에 인쇄된 스트리퍼블 도료 및 그 상면에 증착된 증착층(210)은 접착 테이프와 함께 필름(220)에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단계는, 패턴(P)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마스킹 후, 에칭액에 침지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이때, 마스킹이 이루어지지 않은 패턴(P) 영역에 인쇄된 스트리퍼블 도료 및 그 상면에 증착된 증착층(210)은 제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패턴(P)이 제거되면, 증착층(210)이 형성된 필름(220)과 기재층(100)을 접합(lamination)하는 접합단계가 진행된다.
이때, 상기 기재층(100)와 증착층(210)의 결합력 확보를 위해, 기재층(100)과 증착층(210) 사이에는 접착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거단계 이후, 접합단계가 진행되지 전, 상기 증착층(210)의 일면(하면)에는 프라이머(primer)를 코팅하여 프라이머층(230)을 형성하는 제1코팅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세히, 프라이머(352)가 담긴 용기(351)에 적어도 일부가 침지된 롤러(353)가 회전하면서, 그 상부를 통과하는 증착층(210)의 일면(하면)에 프라이머(primer)를 코팅하여, 프라이머층(2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단계 이후에는, 접합단계가 진행되지 전, 기재층(100)을 형성하는 금속층(110)의 일면(하면)에 라네이트용 접착제를 코팅하여 접착층(120)을 형성하는 제2코팅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세히, 라네이트용 접착제(362)가 담긴 용기(361)에 적어도 일부가 침지된 롤러(363)가 회전하면서, 그 상부를 통과하는 금속층(110)의 일면(하면)에 라네이트용 접착제를 코팅하여, 접착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금속층(110)은 롤(roll) 형태로, 권취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금속층(110)은 권출되면서, 가이드 롤러에 의해 평면을 유지하고 이동하다가 접착층(12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증착층(210)의 일면(하면)에 프라이머층(230)이 형성되고, 금속층(110)의 일면(하면)에 접착층(120)이 형성된 상태에서, 프라이머층(230)과 접착층(120)이 접촉하도록, 금속층(110)과 필름(220)을, 가압롤러(370) 사이로 통과시키면, 프라이머층(230)과 접착층(120)이 반응하면서 접착력이 확보되고, 결과적으로 필름(220)과 금속층(110)의 접합이 진행될 수 있다.
도 6의 (e)를 참조하면, 기재층(100)은 금속층(110)을 포함하고, 금속층(110)과 증착층(210) 사이에는 프라이머층(230)과 접착층(12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금속층(110)은 증착층(210) 및 필름(220)과 하나의 패널 형태로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합단계 이후에는, 상기 금속층(110)과 필름(220)이 접합된 패널을 일정한 길이로 자르는 커팅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세히, 금속층(110), 접착층(120), 프라이머층(230), 증착층(210), 필름(220)이 접합된 상태의 패널이 연달아 생산되면, 커터(380) 등을 통해서, 일정한 길이의 단위체(10')로 절단시킨다.
상기와 같이 절단된 단위체(10')는 추후, 상기 패턴(P)의 경계를 따라 다시 한번 절단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P)이 형성된 부분을 구부리는 굽힘가공이 추가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턴(P)이 형성된 부분은 외장패널(10)과 마주보는 면에서 바라봤을때 노출되지 않게된다.
또한, 패턴(P)이 형성되었던 부분의 경우, 증착층(210)이 제거된 상태이며, 외부에서 바라봤을 때, 패턴(P)이 형성되었던 부분을 통해서 금속층(110)의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증착층(210)과 금속층(110)이 구분되면서, 통일감이 저하되고, 외적 심미감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증착층(210)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 즉 패턴(P)이 형성되었던 위치에 인쇄층(240)을 형성한다.
상기 인쇄층(240)은 증착층(2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증착층(210)과 유사한 질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코팅층의 상측)에서 봤을 때, 증착층(210)과 인쇄층(240)이 하나의 재질처럼 보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인쇄층(240)이 형성되기 위해서, 상기 인쇄단계에서, 상기 필름(220)의 일면에, 실버 재질로 패턴(P1)을 1차적으로 인쇄하고, 상기 실버 재질의 패턴(P1)의 상면에 스트리퍼블 도료의 패턴(P)을 인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거단계에서, 스트리퍼블 도료 패턴(P) 및 그 상면에 증착된 증착층(210)이 제거되더라도, 필름(220)에 인쇄된 실버 재질의 패턴(P1)은 필름(220)에 남아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증착층(210)과 인쇄층(240,P1)의 일면(하면)에 프라이머층(230)을 코팅하고, 금속층(110)의 일면(상면)에 코팅된 접착층(120)과 프라이머층(230)을 접착시키면, 금속층(110)과 필름(220)이 접합되면서, 그 사이의 중심부에는 증착층(210)이 접합되고, 경계부에는 인쇄층(240, P1)이 접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 조립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경계부분에 스트리퍼블 도료를 적용하여, 경계부분에서 금속 증착을 생략하고, 필름(220)을 금속층(110)에 곧바로 접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경계부분에 형성된 금속 증착층(210)의 박리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필름(220)과 금속층(110)의 결합력이 장시간 확보되면서, 필름(220)과 금속층(110)의 박리가 예방될 수 있다.
또한, 금속 증착이 제거된 부분에 증착층(210)과 유사 컬러와 질감을 갖는 인쇄층(240)을 형성하여, 통일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외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5)

  1.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상면 가장자리를 제외한, 중심부에 형성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증착층;
    상기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기재층의 가장자리의 상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기재층의 가장자리에는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인쇄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실버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금속층;
    상기 금속층의 상면에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아연도금강판(GI)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과 인쇄층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또는 상기 코팅층에는 헤어라인(hair line)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8. 필름의 일면에 스트리퍼블 도료를 이용해서, 소정의 패턴을 인쇄하는 인쇄단계;
    상기 패턴이 인쇄된 필름의 일면 전체에 금속층을 증착시키는 증착단계;
    상기 필름에 형성된 스트리퍼블 도료 및 그 상면에 증착된 금속층을 제거하는 제거단계;
    상기 필름의 일면에 기재층을 접착하는 접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패널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단계는,
    상기 필름의 일면에, 실버 재질로 패턴을 인쇄하고, 상기 실버 패턴의 상면에 스트리퍼블 도료를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패널 제조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단계 이전에는,
    상기 필름에 헤어라인(hair line)을 가공하는 가공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패널 제조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단계는, 세척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패널 제조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단계는, 접착 테이프를 스트리퍼블 도료 및 그 상면에 증착된 금속층에 붙였다가 떼어내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패널 제조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단계는, 마스킹 후, 에칭액에 침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제조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단계 이후에는, 상기 금속층의 상단에 프라이머(primer)를 코팅하는 제1코팅단계와, 상기 기재층의 상단에 라미네이트용 접착제를 코팅하는 제2코팅단계가 진행되고, 상기 접합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패널 제조방법.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단계 이후에는, 상기 필름을 단위별로 자르는 커팅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품용 외장패널 제조방법.
KR1020180033835A 2018-03-23 2018-03-23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154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835A KR20190111547A (ko) 2018-03-23 2018-03-23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17/040,741 US11623437B2 (en) 2018-03-23 2019-03-08 Exterior panel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CT/KR2019/002766 WO2019182275A1 (ko) 2018-03-23 2019-03-08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835A KR20190111547A (ko) 2018-03-23 2018-03-23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547A true KR20190111547A (ko) 2019-10-02

Family

ID=6798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835A KR20190111547A (ko) 2018-03-23 2018-03-23 가전제품용 외장패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23437B2 (ko)
KR (1) KR20190111547A (ko)
WO (1) WO20191822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314B1 (ko) * 2020-01-21 2021-02-04 (주) 씨엠에스 Pvd 코팅판을 이용한 차량용 스피커그릴의 제조방법
WO2022124556A1 (ko) * 2020-12-07 2022-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코팅강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656B2 (ja) 1990-10-01 2000-09-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金属化粧板の製造方法
JPH08118539A (ja) * 1994-10-24 1996-05-14 Dainippon Printing Co Ltd 金属化粧板
KR20000049764A (ko) * 2000-04-28 2000-08-05 정연택 유사 스텐레스 폴리에스테르 필름 적층 금속판체의 제조방법
GB2367788A (en) * 2000-10-16 2002-04-17 Seiko Epson Corp Etching using an ink jet print head
JP2003145673A (ja) * 2001-11-13 2003-05-20 Katani Sangyo Kk 金属調化粧シート
KR100830449B1 (ko) 2001-12-05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의 표면에 부착되는 인쇄필름
US6720065B1 (en) * 2003-05-29 2004-04-13 Dupont Teijin Films U.S. Limited Partnership Decorative laminated panel with high distinctness of image
KR20100120500A (ko) * 2009-05-06 2010-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장패널 및 외장패널이 구비된 가전기기
KR101795609B1 (ko) 2010-01-28 2017-12-04 아크조노벨코팅스인터내셔널비.브이. 무증착 미러 칼라 코팅물
JP4820452B1 (ja) 2010-06-29 2011-11-24 株式会社三和スクリーン銘板 金属調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当該金属調化粧シートを用いたインサート成形体の製造方法
KR101265003B1 (ko) 2011-06-28 2013-05-15 디케이동신주식회사 필름표면에 헤어라인 처리된 필름을 적층한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314B1 (ko) * 2020-01-21 2021-02-04 (주) 씨엠에스 Pvd 코팅판을 이용한 차량용 스피커그릴의 제조방법
WO2022124556A1 (ko) * 2020-12-07 2022-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코팅강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23437B2 (en) 2023-04-11
WO2019182275A1 (ko) 2019-09-26
US20210016556A1 (en)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5351B1 (en) A coated plastic sheet, a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housing using same
EP2467257B1 (en) Decorative film to be attached to outside surface of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1670742B (zh) 一种片材及其制作方法和产品外壳
US11623437B2 (en) Exterior panel for home appli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4995325A (zh) 表面涂覆钢板及其生产方法
EP280816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ase frame
KR101601668B1 (ko) 바이메탈 적층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JP3643904B1 (ja) 金属蒸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金属蒸着フィルム
CN210026868U (zh) 一种贴膜盖板及终端
CN110225994B (zh) 掩模、掩模套件、制膜方法以及制膜装置
JP3756171B1 (ja) 酸化防止層を備えた金属蒸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酸化防止層を備えた金属蒸着フィルム
JP5640428B2 (ja) インサート成形用光学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JP4815293B2 (ja) 成形同時加飾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88508B2 (ja) 加飾成形体の製法
US20080173388A1 (en) Method for making an architectural laminate
KR20180046155A (ko) 발색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N207984431U (zh) 玻璃盖板用装饰薄膜
CN216782932U (zh) 一种新型环保有触感装饰板
CN202319142U (zh) Pet-pet仿不锈钢复合膜
JPH0435335B2 (ko)
JP2925059B2 (ja) 拡大鏡付き鏡の製法
JP5023223B2 (ja) 転写材、ラベルおよびラベルの製造方法
JP2001205732A (ja) 化粧板の製造方法
KR200365949Y1 (ko) 홀로그램을 갖는 튜브용 시트
JP2011068081A (ja) インサート成形用金属蒸着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