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1373A -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1373A
KR20190111373A KR1020180033423A KR20180033423A KR20190111373A KR 20190111373 A KR20190111373 A KR 20190111373A KR 1020180033423 A KR1020180033423 A KR 1020180033423A KR 20180033423 A KR20180033423 A KR 20180033423A KR 20190111373 A KR20190111373 A KR 20190111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air
airbag
hand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한
하정훈
손동영
Original Assignee
(주)대성마리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마리프 filed Critical (주)대성마리프
Priority to KR1020180033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1373A/ko
Priority to PCT/KR2018/004060 priority patent/WO2019182187A1/ko
Priority to CN201920363348.5U priority patent/CN210138292U/zh
Publication of KR20190111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A61H1/0288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7Nutating movement of a body part around its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09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6Control means thereof pneumatically control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길이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피치료자의 손아귀에 삽입 가능한 삽입봉(111) 및, 상기 삽입봉(111)의 측부에 장착되고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면 경직된 손가락(F)이 펴지도록 상기 손아귀 내에서 팽창하며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면 상기 손가락(F)이 접어지도록 수축하는 에어백(112)을 포함하는 동작유도부(110); 및 상기 동작유도부(110)와 에어튜브(121)로 연결되어 상기 에어백(112)에 주입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압발생기(120);를 포함하는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PEN TYPE HAND JOINT REHABILIT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관절이 경직되어 손가락이 접힌 상태에서 펴지지 않는 고도 경직환자의 수관절을 재활치료하는데 이용되는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졸증, 뇌손상 또는 뇌성마비 등과 같이 중추신경계가 손상을 입은 경우 마비를 동반한 운동장애가 발생하여 관절이 경직되면서 손가락, 팔 또는 다리 등의 마비부위를 접고 펴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관절 경직증상은 신경발달치료 접근법을 이용하여 재활치료사와 일대일 운동치료를 통해 치료하거나, 경직부위를 재활치료 기구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강제로 동작시키는 방식으로 치료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 특허문헌으로서, 본 출원인이 2009년 7월 24일에 출원하여 2011년 12월 7일에 등록받은 특허등록공보 제10-1093954호(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를 들 수 있다.
해당 특허문헌에서는 "환자의 손을 거치하는 손 거치대와, 상기 손 거치대와 힌지로 연결되며 환자의 팔을 거치하는 팔 거치대와, 상기 팔 거치대의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와 상기 손 거치대의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출입에 따라 상기 손 거치대를 회동시키고, 각각의 공기 유입호스가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에어백 및, 상기 공기 유입호스와 연결되는 에어호스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백으로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펌프가 구비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에 의하면, 뇌손상 또는 뇌졸증으로 인한 상지(손가락, 손목 및 팔꿈치) 편마비 환자의 상지를 운동으로 조절하여 재활치료를 할 수 있고, 에어백의 공기 유출입량에 따라 상지의 접힘도를 조절할 수 있어 환자의 상지 재활치료에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라고 개시하고 있다.
한편, 수관절이 경직된 경직환자는 수관절의 일부를 제한적으로 움직일 수 있거나 일부 손가락을 쥐고 펴는 동작을 할 수 있는 일반 경직환자와 수관절의 경직상태가 심하여 손가락이 접힌 상태로 굳어져 펴지지 않는 고도 경직환자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종래 특허문헌에서 개시된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와 같이 손목, 손가락을 펼친 상태로 기구에 손과 팔부분을 고정시켜 재활치료하는 방식의 경우, 상기 일반 경직환자를 대상으로 재활치료할 수 있으나 고도 경직환자는 손가락을 펼 수 없으며 손목을 굽히고 펴는 동작과 같이 큰 움직임을 동작할 수 없어 재활치료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펴지지 않는 관절부분을 무리하게 펴려고 움직임이 큰 동작을 시도하는 경우 인내나 근육이 파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93954호(2011.12.07),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이 접힌 상태에서도 피치료자의 손아귀로 펜타입의 동작유도부를 삽입하여 피치료자의 손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손아귀 내에서 공기주입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경직된 수관절을 안정적으로 재활치료할 수 있는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는, 일정길이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피치료자의 손아귀에 삽입 가능한 삽입봉(111) 및, 상기 삽입봉(111)의 측부에 장착되고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면 경직된 손가락(F)이 펴지도록 상기 손아귀 내에서 팽창하며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면 상기 손가락(F)이 접어지도록 수축하는 에어백(112)을 포함하는 동작유도부(110); 및 상기 동작유도부(110)와 에어튜브(121)로 연결되어 상기 에어백(112)에 주입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압발생기(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봉(111)은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117)의 형상이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유도부(110)는, 상기 에어백(112) 상에 배치되어 에어백(112)의 표면 일부(119)를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납하여 팽창하지 않도록 고정하며, 고정해제되면서 수납된 에어백(112)의 표면 일부(119)를 외부로 노출시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하도록 하는 팽창제한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제한부(113)는, 상기 에어백(112) 상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지퍼니(114) 및 제2지퍼니(115)와, 상기 제1지퍼니(114)와 제2지퍼니(115) 사이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동작하며 각 지퍼니(114,115)가 맞물려 치합되거나 치합된 상태를 분리하는 슬라이더(116)를 포함하는 지퍼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정크기의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경직된 손가락(F)을 감싸는 형태로 피치료자의 손에 장착되어 각 손가락(F)의 외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에어백(112)의 팽창 및 수축에 따라 손가락(F)의 펴지고 접히는 동작을 가이드하는 커버시트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시트부(130)는, 'T'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피치료자의 손목을 감싼 상태에서 상호간에 고정되는 제1손목랩부(131) 및 제2손목랩부(13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두 손목랩부(131,132)가 연장된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피치료자의 손등과 손가락(F)을 감싼 상태에서 두 손목랩부(131,132) 중 어느 하나의 손목랩부에 고정되는 커버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에 의하면, 삽입봉(111)이 일정길이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F)이 접힌 피치료자의 손아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봉(111)의 측부에는 공기가 내부에 주입되거나 배출되면서 팽창 및 수축 동작하는 에어백(112)이 배치되어 상기 에어백(112)이 팽창하면 경직된 손가락(F)의 펴는 동작을 유도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에어백(112)이 수축하면 펴진 손가락(F)의 접는 동작을 유도할 수 있어 고도 경직환자를 대상으로 경직된 수관절 부위를 안정적으로 재활치료할 수 있다.
또한, 일정크기의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시트부(130)는 경직된 손가락(F)을 감싸는 형태로 피치료자의 손에 장착되어 손가락(F)의 외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에어백(112)의 팽창에 따라 손가락(F)의 펴지는 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에어백(112)이 팽창되면서 각 손가락(F)이 벌어지거나 슬립되어 정상 회동범위 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축성에 따른 탄성력으로 각 손가락(F)을 에어백(112) 측으로 가압하여 손아귀힘이 부족하더라도 손아귀에 삽입된 삽입봉(111)이 슬립되어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시트부가 손가락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팽창제한부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100)는 손가락(F)이 접힌 상태에서도 피치료자의 좁은 손아귀로 펜타입의 동작유도부를 삽입하여 피치료자의 손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손아귀 내에서 공기주입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경직된 수관절을 안정적으로 재활치료할 수 있는 치료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유도부(110) 및 공압발생기(12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동작유도부(110)는 피치료자의 손에 장착되어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면서 경직된 부위에 움직임을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기구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봉(111) 및 에어백(112)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봉(111)은 동작유도부(110)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몸체로서 일정길이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피치료자의 손아귀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봉(111)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피치료자의 손아귀에 쉽게 파지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봉(111)은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117)의 형상이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F)이 접힌 상태에서도 좁은 손아귀의 틈새를 확장시키면서 삽입이 가능하므로 보다 용이하게 동작유도부(110)를 피치료자의 손에 장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삽입봉(111)의 일단에는 연장된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외향 확장된 확장판(118)이 구비되어 삽입봉(111)을 움켜쥔 피치료자의 손이 후미 방향으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백(112)은 피치료자의 손아귀 내에서 팽창 및 수축하며 경직된 관절에 움직임을 유발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삽입봉(111)의 측부에 장착되고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면 경직된 손가락(F)이 펴지도록 상기 손아귀 내에서 팽창하며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면 손가락(F)이 접어지도록 수축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112)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도 2의 (a)와 같이 접힌 상태로 삽입봉(111)과 함께 손아귀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봉(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손아귀 내에서 팽창하면서 검지, 중지, 약지, 소지 등의 네 손가락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압발생기(120)는 에어백(112)이 팽창, 수축하는데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동작유도부(110)와 에어튜브(121)로 연결되어 상기 에어백(112)에 주입되는 공기를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공압발생기(120)로는 수동 공기공급수단과 자동 공기공급수단을 각각 이용할 수 있는데, 고무블로워와 같은 수동 공기공급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100)를 휴대용으로 이용할 수 있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수관절 재활치료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전동펌프와 같은 자동 공기공급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정밀한 공기주입이 가능하며 에어백(112)의 신속한 팽창 및 수축 동작이 기능하여 재활치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에어튜브(121)의 일단이 삽입봉(111)의 단부에 연결되어 삽입봉(111)을 통해 에어백(112)이 공기를 공급받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에어백(112)에 에어튜브(121)가 연결되어 직접 공기가 주입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봉(111)이 일정길이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손가락(F)이 접힌 피치료자의 손아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봉(111)의 측부에는 공기가 내부에 주입되거나 배출되면서 팽창 및 수축 동작하는 에어백(112)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에어백(112)이 팽창하면 경직된 손가락(F)의 펴는 동작을 유도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에어백(112)이 수축하면 펴진 손가락(F)의 접는 동작을 유도할 수 있어 고도 경직환자를 대상으로 경직된 수관절 부위를 안정적으로 재활치료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크기의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시트부(130)는 경직된 손가락(F)을 감싸는 형태로 피치료자의 손에 장착되어 손가락(F)의 외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에어백(112)의 팽창 및 수축에 따라 손가락(F)의 펴지거나 접히는 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에어백(112)이 팽창되면서 각 손가락(F)이 측방으로 벌어지거나 슬립되어 정상 회동범위 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축성에 따른 탄성력으로 각 손가락(F)을 에어백(112) 측으로 가압하여 손아귀힘이 부족하더라도 손아귀에 삽입된 삽입봉(111)이 슬립되어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시트부(130)는 'T'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피치료자의 손목을 감싼 상태에서 상호간에 고정되는 제1손목랩부(131) 및 제2손목랩부(13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두 손목랩부(131,132)가 연장된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피치료자의 손등과 손가락(F)을 감싼 상태에서 두 손목랩부(131,132) 중 어느 하나의 손목랩부에 고정되는 커버부(133)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손가락(F)을 감싼 상태의 고정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커버시트부(130)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손목랩부(131)와 제2손목랩부(132)의 단부에는 상호간에 치합되며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고정수단(134) 및 제2고정수단(136)이 구비되어 제1손목랩부(131)이 손목의 일측을 감싸고 제2손목랩부(132)이 손목의 타측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면서 각 고정수단(134,136)이 상호 체결되면서 장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손목랩부(131) 및 제2손목랩부(132) 중 접촉부위가 외측에 배치되는 손목랩부(132)에는 제3고정수단(137)이 구비되고 커버부(133)의 단부에는 상기 제3고정수단(137)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제4고정수단(135)이 구비되어 각 손가락(F)을 감싸면서 손목부분에 배치되는 커버부(133)의 단부를 손목랩부(132) 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각 고정수단(134,135,136,137)으로 암수구조의 벨크로를 각각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밖에 스냅단추 등과 같이 다양한 착탈 체결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작유도부(110)는 에어백(112) 상에 배치되어 에어백(112)의 표면 일부(119)를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납하여 팽창하지 않도록 고정하며, 고정해제되면서 수납된 에어백(112)의 표면 일부(119)를 외부로 노출시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하도록 하는 팽창제한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팽창제한부(113)를 통해 손가락(F)의 경직상태 또는 펴질 수 있는 동작 범위를 고려하여 에어백(112)이 팽창되는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팽창제한부(113)는 에어백(112) 상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지퍼니(114) 및 제2지퍼니(115)와, 상기 제1지퍼니(114)와 제2지퍼니(115) 사이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동작하며 각 지퍼니(114,115)가 맞물려 치합되거나 치합된 상태를 분리하는 슬라이더(116)를 포함하는 지퍼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으며 팽창제한 및 제한 해제를 위한 조작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도 4의 (a)와 같이 슬라이더(116)에 의해 각 지퍼니(114,115)가 치합된 상태에서 공압발생기(12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에어백(112)의 내부로 주입되면 도 4의 (b)와 같이 각 지퍼니(114,115)에 의해 구속된 에어백(112)의 표면 일부(119)를 제외한 부분만이 팽창되며, 도 4의 (c)와 같이 슬라이더(116)에 의해 각 지퍼니(114,115)가 분리된 상태에서 에어백(112)의 내부로 주입되면 도 4의 (d)와 같이 각 지퍼니(114,115)에 의해 구속되던 표면 일부(119)까지도 함께 팽창하므로 도 4의 (b)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팽창되는 정도가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100)의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먼저, 수축된 상태의 에어백(112)을 접어 삽입봉(111)의 측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삽입봉(111)의 원추형 단부(117)를 피치료자의 손바닥과 접힌 검지손가락 사이 또는 손바닥과 접힌 소지손가락 사이의 틈새로 삽입하여 손아귀 내부에 삽입봉(111)이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시트부(130)의 제1손목랩부(131)과 제2손목랩부(132)을 손목 둘레에 감싸는 형태로 고정시키고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시트부(130)의 커버부(133)를 손등과 손가락(F)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시킨다.
이후, 공압발생기(120)를 구동시켜 에어튜브(121)를 통해 에어백(112)에 공기를 서서히 주입하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112)이 팽창하게 되고 에어백(112)에 의해 접힌 손가락(F)이 외측으로 가압되면서 손가락(F)의 펴지는 동작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적정 수준으로 손가락(F)이 펼쳐지면 공기주입을 중단하여 과도한 펴짐 동작으로 인해 통증이나 부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후 공압발생기(120)를 통해 주입된 공기를 서서히 배출시키면 팽창된 에어백(112)이 수축하게 되고 손가락(F)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가압력이 약해지면서 손가락(F)의 접히는 동작을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가락(F)을 강제로 펴고 접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피치료자의 경직된 수관절에 대한 재활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110...동작유도부
111...삽입봉 112...에어백
113...팽창제한부 114...제1지퍼니
115...제2지퍼니 116...슬라이더
120...공압발생기 130...커버시트부
131...제1손목랩부 132...제2손목랩부
133...커버부 F...손가락

Claims (6)

  1. 일정길이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피치료자의 손아귀에 삽입 가능한 삽입봉(111) 및, 상기 삽입봉(111)의 측부에 장착되고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면 경직된 손가락(F)이 펴지도록 상기 손아귀 내에서 팽창하며 주입된 공기가 배출되면 상기 손가락(F)이 접어지도록 수축하는 에어백(112)을 포함하는 동작유도부(110); 및
    상기 동작유도부(110)와 에어튜브(121)로 연결되어 상기 에어백(112)에 주입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압발생기(120);를 포함하는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봉(111)은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117)의 형상이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원추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작유도부(110)는,
    상기 에어백(112) 상에 배치되어 에어백(112)의 표면 일부(119)를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납하여 팽창하지 않도록 고정하며, 고정해제되면서 수납된 에어백(112)의 표면 일부(119)를 외부로 노출시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하도록 하는 팽창제한부(1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팽창제한부(113)는,
    상기 에어백(112) 상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지퍼니(114) 및 제2지퍼니(115)와,
    상기 제1지퍼니(114)와 제2지퍼니(115) 사이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동작하며 각 지퍼니(114,115)가 맞물려 치합되거나 치합된 상태를 분리하는 슬라이더(116)를 포함하는 지퍼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일정크기의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경직된 손가락(F)을 감싸는 형태로 피치료자의 손에 장착되어 각 손가락(F)의 외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에어백(112)의 팽창 및 수축에 따라 손가락(F)의 펴지고 접히는 동작을 가이드하는 커버시트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시트부(130)는,
    'T'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피치료자의 손목을 감싼 상태에서 상호간에 고정되는 제1손목랩부(131) 및 제2손목랩부(13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두 손목랩부(131,132)가 연장된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피치료자의 손등과 손가락(F)을 감싼 상태에서 두 손목랩부(131,132) 중 어느 하나의 손목랩부에 고정되는 커버부(1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KR1020180033423A 2018-03-22 2018-03-22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KR20190111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423A KR20190111373A (ko) 2018-03-22 2018-03-22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PCT/KR2018/004060 WO2019182187A1 (ko) 2018-03-22 2018-04-06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CN201920363348.5U CN210138292U (zh) 2018-03-22 2019-03-21 笔式手关节治疗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423A KR20190111373A (ko) 2018-03-22 2018-03-22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373A true KR20190111373A (ko) 2019-10-02

Family

ID=6798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423A KR20190111373A (ko) 2018-03-22 2018-03-22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90111373A (ko)
CN (1) CN210138292U (ko)
WO (1) WO20191821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125A (ko) * 2021-06-07 2022-12-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지력 유지 장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954B1 (ko) 2009-07-24 2011-12-15 (주)대성마리프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5711A (ja) * 2000-09-25 2002-04-02 Ikuo Mikami リハビリ具
KR20040039241A (ko) * 2004-04-14 2004-05-10 한도엠에스(주) 악력장갑
JP2008279231A (ja) * 2007-05-11 2008-11-20 Masato Tajima 拘縮した手掌・手指部を広げ治療できる補助具
JP2012016497A (ja) * 2010-07-08 2012-01-26 Sato Denki:Kk 手指関節のリハビリ用具および手指関節のリハビリ方法
US9314668B2 (en) * 2013-11-25 2016-04-19 Richard Hanks Range of motion exercis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954B1 (ko) 2009-07-24 2011-12-15 (주)대성마리프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125A (ko) * 2021-06-07 2022-12-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지력 유지 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0138292U (zh) 2020-03-13
WO2019182187A1 (ko)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280B1 (ko) 글러브 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US5056504A (en) Inflatable ball hand splint
EP2978509B1 (en) Exercise roller device with removably fixable support
KR101941089B1 (ko) 볼타입 수관절 재활치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관절 재활치료 시스템
US4619250A (en) Therapeutic appliance for improving functions of hand fingers
KR101093954B1 (ko) 수관절 재활치료 훈련기구
EP0261481B1 (en) Therapeutic appliance for improving functions of hand fingers
US4907574A (en) Prom exercise device for opposing contracture
KR20140143557A (ko) 수지 및 수부 재활운동장치
US20180093127A1 (en) Tethered Physically-Therapeutic Apparatus with an Adjustable Flexible Cord
KR101971610B1 (ko) 손가락 운동 기구
KR102227425B1 (ko) 관절재활 치료시스템
WO2011094841A1 (en) Passive exercise apparatus
JP2019004996A (ja) 手指訓練用器具
US5531668A (en) Inflatable palmar bladder
KR20190111373A (ko)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JP2008546460A (ja) 人体のための処理装置
KR101656410B1 (ko) 상지 고정용 팽창 에어백을 포함한 주관절 재활장치
KR101876075B1 (ko) 수관절 재활치료 장치
US4690402A (en) Tensile exercise device
US55184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the upper body while stretching the soft tissue around the shoulder girdle and back
CN110913821B (zh) 空气加压装备
JP5024872B2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
US20200170881A1 (en) Device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KR101359747B1 (ko) 수부 자동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