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0861A -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0861A
KR20190110861A KR1020180032837A KR20180032837A KR20190110861A KR 20190110861 A KR20190110861 A KR 20190110861A KR 1020180032837 A KR1020180032837 A KR 1020180032837A KR 20180032837 A KR20180032837 A KR 20180032837A KR 20190110861 A KR20190110861 A KR 20190110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router
appliance
product information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2223B1 (ko
Inventor
송유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2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22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전제품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공유기와, 상기 공유기와 통신 연결 가능한 제 1 가전제품과, 상기 공유기에 통신 연결되며, 상기 제 1 가전제품에 선택적으로 통신 연결 가능한 제 2 가전제품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가전제품은, 상기 공유기와의 통신 연결이 실패할 경우, 상기 제 2 가전제품에 통신 연결을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전제품은, 상기 제 1 가전제품으로부터 통신 연결이 요청이 인식되면, 상기 제 1 가전제품의 정보를 상기 공유기에 전달하는 중계모드로 전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가전제품은 다른 가전제품을 통해 공유기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일가전제품의 설치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NETWORK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정 등의 소정 공간에서 사용되는 세탁기, 공기조화기, 청소기 등 가전제품들은 리모컨 조작을 통해 동작하거나, 가전제품에 구비된 입력버튼의 조작을 통해 동작했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실내에서 리모컨을 이용하여 공기 조화기의 목표온도를 설정할 수 있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세탁기에 구비된 입력버튼을 조작하여, 세탁기를 동작시킬 수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가전제품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비스맨이 가정에 방문하거나, 사용자가 가전제품을 들고 서비스센터에 방문했었다.
한편, 근래에는, 다양한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가정 내 다수의 가전제품이 유/무선 통신으로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게 됐다. 다수의 가전제품이 네트워크에 연결됨으로써, 사용자는 실내 공간뿐만 아니라, 실외공간에서도 네트워크에 접속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가전제품의 제품정보를 원격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됐다. 상기 제품정보는, 상기 가전제품의 운전상태 및 에러 발생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전제품의 제품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센터에 전달될 수 있게 되어, 가전제품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비스맨이 가정에 방문하거나, 사용자가 서비스 센터에 방문하는 소요가 줄어들게 됐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선행문헌인 공개특허공보 10-2012-0084846의 네트워크 시스템(공개일자: 2012년 7월 31일)에 개시된다.
상기 선행문헌의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공유기에 연결된 다수의 실내기와, 상기 다수의 실내기를 관리하는 서버와, 상기 다수의 실내기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유기와, 상기 공유기에 무선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상기 다수의 실내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선행문헌에서, 상기 공유기는 제한된 통신범위를 갖는다. 따라서, 다수의 가전제품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공유기의 통신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상기 가전제품 및 상기 공유기 간의 무선 통신은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공유기의 통신범위를 벗어난 가전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원격 조작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전제품이 상기 공유기의 통신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상기 서버에 상기 가전제품의 제품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제한되므로, 상기 서비스센터에서는 원격으로 상기 가전제품에 대한 유지보수 서비스를 지원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전제품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가전제품이 공유기의 통신범위를 벗어나더라도, 상기 가전제품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측면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공유기와, 상기 공유기와 통신 연결 가능한 제 1 가전제품과, 상기 공유기에 통신 연결되며, 상기 제 1 가전제품에 선택적으로 통신 연결 가능한 제 2 가전제품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가전제품은, 상기 공유기와의 통신 연결이 실패할 경우, 상기 제 2 가전제품에 통신 연결을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전제품은, 상기 제 1 가전제품으로부터 통신 연결이 요청이 인식되면, 상기 제 1 가전제품의 정보를 상기 공유기에 전달하는 중계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제 2 가전제품은, 운전 중에 상기 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운전이 종료된 후에 상기 중계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제 2 가전제품은,상기 제 2 가전제품이 운전 중에 상기 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설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운전 및 상기 중계모드를 번갈아가며 수행한다.
상기 공유기와 통신 연결되며, 상기 제 1 가전제품 및 상기 제 2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서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제 1 가전제품 제어를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공유기를 통해 상기 명령을 상기 제 1 가전제품으로 전달한다.
상기 명령은, 모터를 구비하는 구동부의 제어를 위한 운전명령과, 운전기록 및 상기 구동부의 상태를 포함하는 제품정보 수집을 위한 공유명령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제 1 가전제품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한다.
상기 공유기는, 상기 제 1 가전제품과의 통신 연결이 제한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 2 가전제품의 중계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명령을 상기 제 1 가전제품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 1 가전제품 및 상기 제 2 가전제품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전제품은, 상기 공유기와의 연결이 실패할 경우, 기등록된 제 2 가전제품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를 검색하여, 상기 제 2 가전제품과 통신 연결을 시도한다.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제 1 가전제품에 제품정보 공유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제 1 가전제품은 공유기 측으로 제품정보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공유기는 상기 제품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공유기 측으로 제품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가전제품 및 상기 공유기 간의 통신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가전제품 및 상기 공유기 간의 통신이 제한될 경우, 상기 제 1 가전제품은 제 2 가전제품에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전제품은 중계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 1 가전제품으로부터 상기 제품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와, 상기 제 2 가전제품은 상기 공유기에 상기 제품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가전제품은, 운전 중에 상기 제 1 가전제품으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운전이 종료된 후에 상기 중계모드를 수행할 수 이TEk.
상기 제품정보 공유명령은 상기 제 1 가전제품에 구비되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품정보 공유명령은 상기 서버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가전제품 중 일가전제품은, 공유기와의 직접적인 통신 연결이 제한되더라도, 다른 가전제품의 중계를 통해 상기 공유기에 간접적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일가전제품은 상기 다른 가전제품을 통해 상기 공유기에 바이패스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가전제품의 설치 자율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일가전제품이 로봇 청소기와 같은 이동형 가전제품일 경우에, 공유기의 통신 범위를 벗어나더라도, 다른 가전제품의 중계를 통해, 제품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가전기기 간에 통신이 수행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가전기기 간에 통신이 수행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가전기기 간에 통신이 수행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 1 실시예: 일가전제품의 제품정보를 다른 가전제품과의 통신을 통해 공유기로 전달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괄적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은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제 1 가전제품(10)과, 제 2 가전제품(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실내공간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전제품일 수 있다.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일례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는 이동형 공기정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실내공간을 주행하면서 바닥의 이물을 흡입하는 로봇 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은 실내공간 내의 어느 한 지점에 고정 설치되는 가전제품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은 실내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은 음식물을 저장하는 냉장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을 실내공간 내 위치이동이 가능한 이동형 공기 정화기인 것으로 설명하고,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을 실내공간 내 어느 한 지점에 고정설치되는 스탠드형 공기 조화기인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은 상기 제 1, 2 가전제품(10, 30)이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유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유기(50)는 상기 제 1 가전제품(10)과 무선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이 사용자에 의해 실내공간 이동 배치되더라도,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상기 공유기(50)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유기(50)는 상기 제 2 가전제품(30)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은 상기 제 1, 2 가전제품(10. 30)의 제품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 1, 2 가전제품(10, 30)을 제어할 수 있는 서버(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가전제품(10) 및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은 무선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이 상기 공유기(50)의 통신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통신 가능한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이 검색되면,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상기 제 2 가전제품(30)에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은 중계 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상기 공유기(3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는 상기 서버(70)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상기 제 2 가전제품(30)를 통해 상기 공유기(50)에 바이패스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이 상기 공유기(50)의 통신범위를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의 중계를 통해 상기 공유기(5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는 상기 서버(7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이 상기 공유기(50)의 통신범위를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사용자는 상기 서버(70)에 접속된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상기 제 1, 2 가전제품(10, 30)의 제품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이 상기 공유기(50)의 통신범위를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는 상기 제 2 가전제품(50)을 통해 상기 서버(7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센터에서는 상기 서버(70)에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의 제 1 가전제품(1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위치에 상관 없이(또는, 공유기와의 직접 통신연결되지 않더라도), 서비스센터는 사용자에게 상기 제 1 가전제품(10)에 대한 유지보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이 상기 공유기(50)의 통신범위를 벗어나더라도,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의 중계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원격 제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버(70)에 상기 제 1 가전제품(10)에 대한 제어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공유기(50)를 경유하여 상기 제 2 가전제품(30)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은 상기 중계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가전제품(10)에 상기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위치에 상관 없이(또는, 공유기와의 직접 통신연결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상기 서버(70)에 연결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 1 가전제품(10)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실내공간에서 이동 배치 가능한 제 1 가전제품>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제 1 입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입력부(110)에 입력되는 제어명령은 후술되는 제 1 마이컴(19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입력부(110)는 키패드 등의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 1 가전제품(10)에 입력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상기 제 1 입력부(110)에 입력된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제 1 출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출력부(120)는 상기 제 1 가전제품(10)에 LCD, LED 등의 출력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입력 기능과 출력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터치 센서와 출력모듈이 상호 레어어 구조를 이루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입력된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결과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된 제어명령은 상기 제 1 마이컴(19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미도시)와, 상기 바디(미도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유로를 형성하는 흡입부(미도시)와, 상기 바디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토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에는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흡입유로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이물은 상기 필터모듈에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모듈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토출부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공기 정화를 위한 제 1 구동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는 팬(미도시)과, 상기 팬에 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130)는 상기 바디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흡입구 측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가전제품(10)에 구비되는 공기 중의 이물 여과를 위한 필터모듈을 통과한 뒤, 상기 토출부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상기 공유기(50) 및 상기 제 2 가전제품(30) 중 적어도 하나에 무선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제 1 통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부(150)는 상기 공유기(50)에 와이파이(Wi-Fi, Wireless-Fidelity)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통신부(150)는 상기 제 2 가전제품(30)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통신부(150)는, ZigBee, Wi-Fi, Wi-Fi Direct, Wireless USB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가전제품(30)과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부(150) 및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이 일대일 통신 연결될 경우,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상기 제 2 가전제품(30)에 제품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입력된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위한 구동정보가 저장되는 제 1 메모리(140)와, 상기 제 1 메모리(140)를 참조하여, 제 1 가전제품(10)의 제어를 수행하는 상기 제 1 마이컴(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제 1 구동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운전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상기 서버(70)로 전달하기 위한 공유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전제품의 제품정보는 일례로, 상기 제 1 가전제품의 사용 이력 및 상기 제 1 가전제품의 각 구성(상기 제 1 입력부(110), 상기 제 1 출력부(120), 상기 제 1 구동부(130), 상기 제 1 통신부(150), 상기 제 1 메모리(140), 및 상기 제 1 마이컴(190))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상기 운전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메모리(140)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구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상기 공유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메모리(140) 및 제 1 통신부(150)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상기 공유기(5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이 상기 공유기(50)의 통신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 1 통신부(150) 및 상기 공유기(50) 간의 무선 통신 연결은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연결 차단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통신 연결이 가능한 다른 가전제품이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상기 제 1 메모리(140)에 기저장된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 Servic Set Identifier)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상기 제 1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검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기저장된 서비스 세트 식별자에 대응되는 가전제품은 제 2 가전제품(30)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인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서비스 세트 식별자가 검색되는 경우,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검색된 서비스 세트 식별자에 대응되는 가전제품의 통신부(제 2 가전제품(30)의 통신부(350))와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의 통신부(350)에 통신 연결되면,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상기 제 1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상기 제 2 가전제품(3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은 전달받은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상기 공유기(5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공유기(50)로 전달된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일례로, 상기 서버(7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전제품(30)에 의해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가 상기 공유기(50)에 전달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실내공간에서 고정 설치되는 제 2 가전제품>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은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제 2 입력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입력부(310)에 입력되는 제어명령은 후술되는 제 2 마이컴(39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입력부(310)는 키패드 등의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모듈로 상기 제 2 가전제품(3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은 상기 제 2 입력부(310)에 입력된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제 2 출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출력부(320)는 LCD, LED 등의 출력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은 입력 기능과 출력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입력된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결과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된 제어명령은 상기 제 2 마이컴(39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은 실내공간에 배치되며 외관을 형성하는 실내기 바디(미도시)와, 상기 실내기 바디(미도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유로를 형성하는 흡입부(미도시)와, 상기 실내기 바디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토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가전제품(10)은 실내 공간의 공기 조화를 위한 제 2 구동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부(330)는 팬(미도시)과, 상기 팬에 동력을 제공하는 팬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부(330)는 상기 바디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의 흡입구 측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의 실내기 바디에 구비된 열교환기와 열 교환한 이후, 상기 토출부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에는 실외공간에 배치된 실외기의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은 상기 공유기(50) 및 상기 제 1 가전제품(10) 중 적어도 하나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제 2 통신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통신부(350)는 상기 공유기(50)에 유선 케이블(cable)을 이용하여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통신부(350)는 상기 공유기(50)에 와이파이(wi-fi)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통신부(350)는 상기 제 1 가전제품(10)에 무선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통신부(350)는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상기 제 1 통신부(150)과 일대일 무선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통신부(350)는 상기 제 1 통신부(150)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ZigBee, Wi-Fi, Wi-Fi Direct, Wireless USB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은 입력된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위한 구동정보가 저장되는 제 2 메모리(340)과, 상기 제 2 메모리(340)를 참조하여, 제 2 가전제품(30)의 제어를 수행하는 상기 제 2 마이컴(3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제 2 구동부(330)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운전명령 및 상기 공유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의 제품정보는 일례로,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의 사용이력 및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의 각 구성(상기 제 2 입력부(310), 상기 제 2 출력부(320), 상기 제 2 구동부(330), 상기 제 2 통신부(350), 상기 제 2 메모리(340), 및 상기 제 2 마이컴(390))의 정상 또는 이상동작에 대한 진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상기 운전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메모리(340)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구동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상기 공유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메모리(340) 및 제 2 통신부(350)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의 제품정보를 상기 공유기(5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상기 공유기(50)에 전달하는 중계모드 전환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중계모드 전환요청은, 상기 제 1 마이컴(190)이 상기 제 1 통신부(150) 및 상기 제 2 통신부(350) 간의 통신연결을 통해 상기 제 2 마이컴(39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현재 운전명령으로 인한 상기 제 2 구동부(330)가 제어되는 일반모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상태가 일반모드인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상기 일반모드가 종료된 이후에, 상기 중계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제 1 마이컴(190)으로부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전달받은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상기 제 2 통신부(350)를 통해 상기 공유기(50)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현재 상태가 일반모드인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상기 일반모드를 중단하고 상기 중계모드로 전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중계모드가 종료되면(또는,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가 상기 공유기(50)에 전달되면), 상기 제 2 마이컴(350)은 다시 상기 일반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다른 가전제품의 정보를 공유기로 대신 전달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가전제품(10)에는,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상기 서버(70)로 전송하기 위한 공유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S1). 상기 공유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 1 마이컴(150)은 제 1 가전제품(10)의 사용 이력 및 각 구성의 현재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제 1 마이컴(150)은 제품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준비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상기 공유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통신부(150) 및 상기 공유기(50)와의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3). 상기 공유기(50)와의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상기 제 1 통신부(150) 및 상기 공유기(50)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부(150) 및 상기 공유기(50)가 통신 연결된 상태인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상기 공유기(5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S7).
상기 공유기(50)로 전달된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는 상기 서버(70)에 전달될 수 있다(S9). 상기 서버(70)는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수신받으면, 상기 공유기(70)를 통해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가 수신 완료된 알림정보를 상기 제 1 가전제품(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3에서, 상기 제 1 통신부(150) 및 상기 공유기(50)와의 통신 연결이 실패(또는, 차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이 상기 공유기(50)의 통신범위를 벗어난 장소에 위치된 경우,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 1 통신부(150) 및 상기 공유기(50)와의 통신이 실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주변에 상기 제 1 통신부(150)와 통신 가능한 다른 가전제품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S11). 상세히,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기설정된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 가능한 다른 가전 제품(이하, 제 2 가전제품)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상기 제 1 통신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가전제품(30)에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S15).
상기 통신 연결 요청이 인식되면,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의 제 2 마이컴(390)은 중계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전달받기 위해, 상기 제 1 가전제품(10)으로 통신 연결 가능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연결 메시지가 인식되면,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상기 제 1 통신부(150)를 상기 제 2 통신부(350)에 통신 연결 시킬 수 있다(S17).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상기 메모리(140)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상기 제 2 가전제품(20)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S21).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전달받은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상기 공유기(50)에 전달할 수 있다(S23). 그리고 상기 공유기(70)는 전달받은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상기 서버(70)로 전달할 수 있다(S7-S9).
한편, 단계 S25에서,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상기 제 1 가전제품(10)으로부터 추가되는 제품정보가 전달됐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추가되는 제품정보를 수신받을 때까지 설정시간 동안 중계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상기 제 1 마이컴(190)에 추가로 전달할 제품정보가 있는지 확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추가로 전달할 제품정보가 없는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중계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의 운전을 위한 일반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27). 상기 일반모드는, 기설정된 제어명령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대기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는, 실내공간에 배치된 다수의 가전제품(10, 10`, 30) 및 인터넷(internet)을 통해 서버에 연결된 상기 공유기(50)가 도시된다. 상기 실내공간은 상기 공유기(50)와의 통신이 가능한 제 1 공간(#ROOM1)과, 상기 공유기(50)와의 통신이 제한된 제 2 공간(#ROOM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ROOM2)에는,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공간(#ROOM1)에는, 상기 제 2 가전제품(30)과, 상기 제 3 가전제품(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ROOM2)에 배치된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상기 공유기(50)와의 통신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상기 제 1 공간(#ROOM1)에 배치된 상기 제 2 가전제품(30) 및 제 3 가전제품(50) 중 기저장된 서비스 세트 식별자를 가진 제품을 검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중계모드를 지원하는 가전제품을 검색할 수 있다. 중계모드를 지원하는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이 검색되면,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의 중계를 통해 상기 공유기(50)에 제품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유기(50)에 전달된 제품정보는 상기 서버(70)에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상기 공유기(50)와의 직접적인 통신 연결이 제한되더라도,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의 중계를 통해 상기 공유기(50)에 간접적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은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을 통해 상기 공유기(50)에 바이패스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설치 자율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이 로봇 청소기와 같은 이동형 가전제품일 경우에, 공유기(50)의 통신 범위를 벗어나더라도, 중계모드를 지원하는 가전제품과의 통신 연결을 통해, 제품정보를 상기 서버(70)에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 2 실시예: 중계모드 동작 중 제어명령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본 실시예는, 이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중계모드 수행과정에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경우, 제어명령 및 공유명령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 그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원용하고,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가전제품(10)에는, 상기 공유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S41).
상기 공유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상기 제 1 통신부(150) 및 상기 공유기(50)와의 통신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3).
상기 제 1 통신부(150) 및 상기 공유기(50)가 통신 가능한 경우,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상기 제 1 메모리(140)에 저장된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상기 공유기(5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S45). 상기 공유기(50)는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품정보를 상기 서버(70)에 전달할 수 있다(S47, S49).
한편, 단계 S43에서, 상기 제 1 통신부(150) 및 상기 공유기(50)와의 통신 연결이 제한되는 경우,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통신 연결 가능한 제품을 검색할 수 있다(S51).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상기 제 1 메모리(140)를 참조하여, 기저장된 중계모드를 지원하는 제품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기저장된 서비스 세트 식별자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계모드를 지원하는 제품은 제 2 가전제품(30)일 수 있다.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이 확인되면,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상기 제 2 가전제품(30)측에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S53).
상기 통신 연결을 요청받은 것이 인식되면,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의 제 2 마이컴(30)은 중계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55). 그리고 상기 제 1 통신부(150) 및 상기 제 2 통신부(170)는 서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상기 제 2 가전제품(30)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S63). 그리고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전달받은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상기 공유기(50)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S65). 상기 공유기(50)로 전달된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는 상기 서버(70)로 전달될 수 있다(S49).
한편, 상기 중계모드 수행과정에서, 상기 제 2 가전제품(30)에는 제어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S59). 상기 제어명령은 일례로, 운전을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상기 일반모드로 전환하여, 입력받은 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S61). 그리고 상기 입력받은 제어명령을 수행 완료하면,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다시 중계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61-S55).
또는,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설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일반모드 및 상기 중계모드를 번갈아가며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입력된 제어명령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상기 공유기(50)를 통해 상기 서버(7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마이컴(190)은 중계모드를 통해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우선 상기 공유기(70)측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품정보의 전달이 완료되면, 상기 제 2 마이컴(190)은 일반모드로 전환하여 입력받은 제어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모드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마이컴(190)은 중계모드가 수행되고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제 2 출력부(22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가 상기 공유기(50)측에 전달된 이후, 설정시간 동안 추가되는 제품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상기 일반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69).
[제 3 실시예: 공유기의 통신범위 밖에 위치한 가전제품이 서버를 통해 공유명령을 입력받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본 실시예는, 공유기의 통신범위 밖에 위치한 일가전제품이, 다른 가전제품의 중계를 통해 외부명령을 입력받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전 실시예의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70)에는 상기 제 1 가전제품(10)에 대한 제어명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은, 일례로, 일회적으로 상기 제 1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어명령은,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제 1 가전제품을 반복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조작을 위한 운전명령 및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어명령은, 제품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명령인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서버(70)는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와, 상기 서버(70)로부터 입력받은 제어명령 정보를 상기 공유기(50)에 전달할 수 있다(S81).
상기 공유기(50)는 기저장된 가전제품 리스트 정보를 확인하여, 입력된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와 일치하는 가전제품 정보가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S83). 아울러, 상기 공유기(50)는 현재 통신 연결된 가전제품들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이 상기 공유기(50)에 통신연결 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S85), 상기 공유기(90)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가전제품, 즉, 제 2 가전제품(30)과의 통신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전제품(30)과의 통신이 연결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공유기(50)는 상기 제 2 가전제품(30)에 중계모드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S87).
상기 중계모드 수행요청이 인식되면,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상기 중계모드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동부(310)가 대기 상태일 경우,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상기 중계모드 수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구동부(310)가 구동(또는, 운전) 상태일 경우,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상기 중계모드 수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현재 중계모드 수행이 제한되는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공유기(50) 및 서버(70)측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구동부(310)가 구동 상태일 경우,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상기 구동부(310)의 구동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중계모드로의 전환을 보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310)의 구동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중계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상기 중계모드로의 전환이 보류상태인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공유기(50) 및 상기 서버(70)측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계모드 수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상기 중계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89). 상기 중계모드에서, 상기 제 1 가전제품(10) 및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은 서로 무선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가전제품(10) 및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은 와이파이-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통신부(350)를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 1 통신부(310)와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가전제품(10) 및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 1 통신부(150) 및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의 제 2 통신부(350)이 서로 통신 연결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공유기(50)는 상기 제어명령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2 가전제품(30)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제 1 가전제품(10)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S91).
상기 제어명령이 인식되면,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품정보(또는, 결과정보)를 상기 제 2 가전제품(30) 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S93).
그리고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전달받은 상기 제품정보를 상기 공유기(50)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품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공유기(50)는 상기 제 1 가전제품 제품정보를 상기 서버(70)에 전달할 수 있다(S99).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위치가 상기 공유기(50)의 통신범위 밖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서버(70)에는,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85에서, 상기 공유기(50) 및 상기 제 1 가전제품(10)과의 통신이 연결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 2 마이컴(390)은 상기 서버(70) 측에서 요청한 제어명령을 상기 제 1 가전제품(10)으로 전달할 수 있다(S103).
상기 제 1 마이컴(190)은 전달받은 제어명령에 대응하는 제품정보를 상기 공유기(50)에 전달할 수 있다(S105).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품정보가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공유기(50)는 상기 제품정보를 상기 공유기(50)로 전달할 수 있다(S99).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통신 연결 가능한 일가전제품이 공유기의 통신범위 밖에 위치하더라도, 다른 가전제품의 중계모드를 통해 서버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가전제품은 입력받은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결과정보를 상기 다른 가전제품의 중계모드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유기의 통신범위에 관계없이 상기 일가전제품을 실내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 4 실시예: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기를 통해 제어되는 가전제품]
본 실시예는 이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기를 통해 복수의 가전제품이 제어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전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도면 및 도면부호를 원용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은 상기 인터넷(또는, 공유기에 연결된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단말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단말기는, 인터넷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 연결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모바일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70) 및 상기 공유기(50) 중 적어도 하나에 통신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공유기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가전제품(10, 3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의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가전제품(10)이 상기 공유기(50)의 통신범위 밖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가전제품(10) 및 상기 공유기(50) 간에 통신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유기(50)는 상기 통신범위 내에 위치한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이 상기 제 1 가전제품(10)과 통신 연결되는 중계모드를 수행하도록,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 2 가전제품(3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이 상기 요청 메시지에 따라 중계모드를 수행하면, 상기 제 1 가전제품(10) 및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은 서로 통신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명령은 상기 제 2 가전제품(30)을 경유하여 상기 제 1 가전제품(10)에 전달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 1 가전제품
30: 제 2 가전제품 10`: 제 3 가전제품
50: 공유기 70: 서버

Claims (14)

  1. 공유기;
    상기 공유기와 통신 연결 가능한 제 1 가전제품; 및
    상기 공유기에 통신 연결되며, 상기 제 1 가전제품에 선택적으로 통신 연결 가능한 제 2 가전제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전제품은, 상기 공유기와의 통신 연결이 실패할 경우, 상기 제 2 가전제품에 통신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제 2 가전제품은, 상기 제 1 가전제품으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이 인식되면, 상기 제 1 가전제품의 정보를 상기 공유기에 전달하는 중계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전제품은, 운전 중에 상기 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운전이 종료된 후에, 상기 중계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전제품은, 운전 중에 상기 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설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운전 및 상기 중계모드를 번갈아가며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기와 통신 연결되며, 상기 제 1 가전제품 및 상기 제 2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 1 가전제품 제어를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공유기를 통해 상기 명령을 상기 제 1 가전제품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기는,
    상기 제 1 가전제품과의 통신 연결이 제한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 2 가전제품의 중계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입력된 명령을 상기 제 1 가전제품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모터를 구비하는 구동부의 제어를 위한 운전명령; 및
    운전기록과 상기 구동부의 상태를 포함하는 제품정보 수집을 위한 공유명령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제 1 가전제품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전제품 및 상기 제 2 가전제품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전제품은, 상기 공유기와의 연결이 실패할 경우,
    기등록된 제 2 가전제품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를 검색하여, 상기 제 2 가전제품과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 1 가전제품에 제품정보 공유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제 1 가전제품은 공유기 측으로 제품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기는 상기 제품정보를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유기 측으로 제품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가전제품 및 상기 공유기 간의 통신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가전제품 및 상기 공유기 간의 통신이 제한될 경우, 상기 제 1 가전제품은 제 2 가전제품에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2 가전제품은 중계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 1 가전제품으로부터 상기 제품정보를 전달받는 단계와,
    상기 제 2 가전제품은 상기 공유기에 상기 제품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전제품은, 운전 중에 상기 제 1 가전제품으로부터 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운전이 종료된 후에, 상기 중계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정보 공유명령은 상기 제 1 가전제품에 구비되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정보 공유명령은 상기 서버로부터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80032837A 2018-03-21 2018-03-21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32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37A KR102032223B1 (ko) 2018-03-21 2018-03-21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837A KR102032223B1 (ko) 2018-03-21 2018-03-21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861A true KR20190110861A (ko) 2019-10-01
KR102032223B1 KR102032223B1 (ko) 2019-10-15

Family

ID=6820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837A KR102032223B1 (ko) 2018-03-21 2018-03-21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2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183A1 (ko) * 2022-05-11 2023-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 장치의 등록 방법 및 장치
WO2024071648A1 (ko) * 2022-09-26 202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4080542A1 (ko) * 2022-10-14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012A (ko) * 2005-06-01 2006-1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전기기 제어장치,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13101A (ko) * 2005-07-25 2007-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19144A (ko) * 2018-02-12 2018-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5012A (ko) * 2005-06-01 2006-1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전기기 제어장치,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13101A (ko) * 2005-07-25 2007-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 단말의 액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19144A (ko) * 2018-02-12 2018-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183A1 (ko) * 2022-05-11 2023-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 장치의 등록 방법 및 장치
WO2024071648A1 (ko) * 2022-09-26 202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24080542A1 (ko) * 2022-10-14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223B1 (ko) 201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98622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RU2312579C2 (ru) Домашняя сетевая система, использующая самодвижущийся робот (варианты)
KR102032223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CN110057033B (zh) 空调系统及计算机可读取的存储介质
KR102122266B1 (ko)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8317631B (zh) 家电设备、家电系统和服务器装置
JP5084502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795025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632637B2 (ja) 空調制御システム
EP1548679A2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s
JP6380981B2 (ja) 室内機の制御装置、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室内機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EP3406984B1 (en)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20050284161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7163221A (ja) 機器情報管理システム
JP2017187195A (ja) 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システム、空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76440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6257109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6196978A (ja) 空気調和機の監視システム、モバイル端末及び空気調和機の情報収集アプリケーション
KR100791928B1 (ko) 시스템 에어컨의 통신에러 진단방법
JP6688954B2 (ja) メッセージ受信装置及び画面遷移方法
JP2018197617A (ja) 機器情報管理システム
JP2021001709A (ja) 室内機、リモコン、空調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52633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3748415B (zh) 管理装置、管理方法以及计算机可读的记录介质
JP2014031957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