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440A -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440A
KR20120076440A KR1020100138097A KR20100138097A KR20120076440A KR 20120076440 A KR20120076440 A KR 20120076440A KR 1020100138097 A KR1020100138097 A KR 1020100138097A KR 20100138097 A KR20100138097 A KR 20100138097A KR 20120076440 A KR20120076440 A KR 20120076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conditioner
terminal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8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6440A/ko
Publication of KR20120076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정보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단말기에서 입력된 정보에 따라 구동여부가 결정되는 필터 청소유닛; 상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통신부; 및 상기 필터 청소유닛을 구동시키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이렇게 공기조화기와 같은 생활의 편의 제품이 점차적으로 확대, 사용되면서 소비자들은 높은 에너지 사용 효율과, 성능향상 및 사용에 편리한 제품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의 분리 여부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를 각각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하나의 장치로 결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설치 모습에 따라,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 및 액자형 공기조화기와, 거실에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된 슬림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실내기의 용량에 따라, 하나의 실내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되어 가정집과 같이 좁은 장소에서 이용되도록 구성된 싱글형 공기조화기와, 회사 또는 음식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매우 큰 용량으로 구성된 중대형 공기조화기와, 다수개의 실내기를 충분히 구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된 멀티 공기조화기 등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작동상태를 변경하고자 할 때, 공기 조화기(일반적으로 실내기)에 다가서서 직접 입력 버튼을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조화기를 원격 조정할 수 있는 리모컨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상기 리모컨은 상기 공기 조화기와의 사이에서, 단순히 소정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계적 기구에 불과한 면이 있었다.
그리고, 리모컨의 통신(신호 송수신) 거리에 제한이 있으며, 공기 조화기와 리모컨의 사이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통신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리모컨에는 공기 조화기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를 모두 구비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다양한 기능 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만을 원격 제어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공기 조화기에는, 실내 공기가 정화되도록 하는 필터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에 흡입된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은 상기 필터를 거치면서 정화되며, 정화된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다시 토출된다. 물론, 공기는 토출되기 이전에 열교환기에서 가열 또는 냉각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공기 조화기가 일정시간 구동되면 청소 또는 교체되어야 하는데, 필터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가 필터청소 또는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웹 서버로부터 미리 설정된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정보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단말기에서 입력된 정보에 따라 구동여부가 결정되는 필터 청소유닛; 상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통신부; 및 상기 필터 청소유닛을 구동시키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 및 공기 중 이물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단말기에 통신 연결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일 기능으로서 필터상태 확인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필터를 청소하는 필터 청소유닛의 운전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및 상기 필터 청소유닛이 이전에 구동된 후 경과된 시간이 설정 기준시간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 청소의 수행여부가 결정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와 단말기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말기는 웹 서버로부터 특정 정보를 다운로드 할 수 있으며, 다운로드된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는 효과기 있다.
또한, 다운로드 된 정보에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를 위한 다양한 기능이 포함되므로,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기 조화기의 기능을 손쉽게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와 공기 조화기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과정에서 암호 또는 인증기능이 설정되므로, 통신에 관련된 보안이 강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운전 정보 또는 공기 조화기 주변의 공기 오염도 감지에 따라, 필터의 청결상태가 효과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공기 조화기의 필터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자동 또는 수동의 제어 설정에 따라 필터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의 관리가 편리해지고, 필터 상태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관련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공기 조화기의 통신 연결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공기 조화기의 통신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공기 조화기의 통신 연결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공기 조화기 사이에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관련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에는, 실내 공기의 조화를 위하여 제공되는 공기 조화기(100) 및 상기 공기 조화기(100)와 통신 가능하게 제공되는 단말기(2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200)에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형 단말기가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200)를 통하여 특정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다른 사용자와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가 가능하며, 다른 단말기와의 관계에서 특정 데이터를 전송(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0)에는,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실내기를 제어하기 위한 실내기 제어부(110) 및 상기 실내기 제어부(110)에 연결되며 상기 단말기(200)와 통신되기 위한 수단으로서 구비되는 제 1 통신모듈(120)이 포함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100)가 분리형 공기 조화기일 경우 상기 제 1 통신모듈(120)은 실내기 제어부(110)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조화기(100)가 일체형 공기 조화기일 경우 상기 제 1 통신모듈(120)은 공기 조화기 또는 실내기의 제어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통신모듈(120)은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어느 하나의 제어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 제어부(110)와 제 1 통신모듈(120)은 직렬통신 방식(a)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직렬통신 방식에는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UART 방식에는, 전송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노이즈에 강하고 전송거리를 늘려줄 수 있는 인터페이스 IC (Line driver/receiver)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IC에는, RS232, RS422, RS485등이 포함된다.
통신 방식(a)은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내부, 즉 상기 실내기 제어부(110)와 제 1 통신모듈(120) 사이에 규정되어 정보가 전달되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에는, 단말기의 작동 제어를 위한 단말기 제어부(210) 및 상기 단말기 제어부(210)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 조화기(100)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구비되는 제 2 통신모듈(220)이 포함된다.
상기 단말기 제어부(210)와 제 2 통신모듈(220)은 직렬통신 방식(c)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방식(c)은 상기 통신 방식(a)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방식(c)은 상기 단말기(200)의 내부, 즉 상기 단말기 제어부(210)와 제 2 통신모듈(220) 사이에 규정되어 정보가 전달되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모듈(120)과 제 2 통신모듈(220)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모듈(120) 및 제 2 통신모듈(220)은 상기 공기 조화기(100) 및 단말기(200)를 각각 접속하여 주는 일종의 게이트웨이(Gateway)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 통신모듈(120)과 제 2 통신모듈(220)간의 통신방식(b)은 무선 통신방식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Ad-hoc 또는 지그비(Zigbee)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방식(b)은 상기 공기조화기(100)와 단말기(200) 사이에 규정되어 정보가 전달되는 "제 3 통신 인터페이스"라 이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200)는 인터넷에 연결 가능하며, 외부로부터 특정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단말기(200)에는, 특정 내용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201)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에는, 상기 단말기(200)의 작동을 위하여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선택부가 표시된다.
상기 선택부에는, 웹 서버에 연결되어 특정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웹 마켓 선택부(202)가 포함된다. 상기 웹 마켓 선택부(202)가 실행되면, 상기 단말기(200)는 인터넷에 연결되며 특정 웹서버(일례로, 특정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웹 마켓)에 접속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1)를 터치하는 방식에 의하여 특정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웹 마켓 선택부(202)를 포함한 다수의 선택부를 실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터치 펜 또는 손가락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웹 마켓 선택부(202)를 실행한 후 공기 조화기의 제어 프로그램(일례로,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할 수 있다. 다운로드 받고자하는 제어 프로그램명(일례로, "WHISEN")을 검색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에는 검색결과가 표시된다.
상기 검색결과를 선택하여 실행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에는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절차에 관한 내용(일례로, pop-up 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된 내용에 따라 조작하여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에는, 제어 어플리케이션(207)을 나타내는 표시부(아이콘)가 생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에는, 특정 무선통신 방식이 연결되었음을 표시하는 블루투스 표시부(203) 및 와이파이 표시부(204)가 포함된다. 상기 단말기(200)의 연결된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표시부(203) 또는 와이파이 표시부(204)가 활성화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200)가 다른 기기와의 관계에서 블루투스 연결되었다면 상기 블루투스 표시부(203)가 활성화 되며, 와이파이 연결되었다면 상기 와이파이 표시부(204)가 활성화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블루투스 표시부(203) 및 와이파이 표시부(204)가 동시에 활성화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에는, 상기 단말기(200)에 저장된 특정 정보, 예를 들어 특정 프로그램이 업데이트할 정보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업데이트 표시 알림부(205)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 어플리케이션(207)과 관련하여,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추가 또는 수정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업데이트 표시 알림부(205)는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웹 서버(웹 마켓)을 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업데이트 하는 방법의 일례로서, 상기 웹 마켓 실행부(202)를 선택하면, 상기 단말기(200)에 저장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중 업데이트 사항이 발생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업데이트가 있습니다"라는 표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업데이트 메세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추가 또는 수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공기 조화기의 통신 연결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상기 공기 조화기(200)에 통신 연결된 후, 공기 조화기(100)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상기 단말기(200)가 블루투스 방식에 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2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200)에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되어 있는 상태에서, 단말기(200)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100)의 제어모드가 시작될 수 있다(S10).
상세히, 상기 단말기(200)와 공기 조화기(100)간에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초기 단계로서 페어링(pairing)이 수행된다.
상기 "페어링"이란, 2개의 블루투스 장비간에 영구적인 연결을 만드는 절차로서 보안을 위하여 상기 2개의 장비간에 암호 키(pin code)를 교환함으로써 성립되는 절차이다.
상기 페어링은, 블루투스 연결을 위하여 초기에 한번만 실행되며, 페어링에 따른 관련정보는 상기 단말기(200)의 블루투스 장치 목록에 기억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120)에는 페어링 스위치가 구비된다. 블루투스 페어링을 위하여, 상기 페어링 스위치를 일정 시간 조작하여 장치 검색가능 모드로 돌입한다. 만약, 상기 페어링 스위치가 눌러지지 않으면 블루투스 연결을 위한 장치 검색이 수행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암호 키를 입력함으로써 페어링이 완료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페어링이 실패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0) 또는 단말기(200)에는 페어링 실패 메세지가 표시될 수 있다(S11).
상기 공기 조화기(100)와 단말기(200)간에 페어링이 수행된 후, 상기 단말기(200)를 통하여 제어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S12).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페어링 된 장치를 검색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조화기에 블루투스 연결이 시도될 수 있다. 만약,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조화기가 여러 대일 경우, 통신을 수행할 일 공기 조화기가 선택될 수 있다.
2개의 장치(단말기 및 공기 조화기)간에 블루투스의 연결이 시도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01)에는 "에어컨에 연결 중입니다"라는 메세지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루투스의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에는 "실내기와 연결되었습니다"라는 메세지가 표시될 수 있다(S13).
상기 단말기(200)와 공기 조화기(100)간에 블루투스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기(200)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기능 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0)에 설정된 상태값이 반영되는 동기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과정에는, 기능 동기화 및 설정값 동기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S14).
상기 단말기(200)에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기능 또는 설정값 동기화가 이루어지면, 상기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운전이 제어될 수 있다(S15).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공기 조화기의 통신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공기 조화기의 통신 연결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에는, 공기 조화기(100)와, 단말기(200)와, 상기 공기 조화기(100) 및 단말기(200)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무선 공유기(AP,300)가 포함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100)와 단말기(200)는 와이파이 방식에 의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 조화기(100)에는, 공기 조화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실내기 제어부(110) 및 상기 실내기 제어부(110)와 연결되며 상기 단말기(200)와 통신되는 제 1 와이파이 통신모듈(122)이 포함된다.
상기 단말기(200)에는, 상기 단말기(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210) 및 상기 단말기 제어부(210)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와이파이 통신모듈(122)과 통신되는 제 2 와이파이 통신모듈(22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와이파이 통신모듈(122) 및 제 2 와이파이 통신모듈(222)은 상기 무선 공유기(300)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한 환경이 설정된다. 상기 무선 공유기(300)는 인터넷 회선과 연결하여 무선 랜 환경을 만들어주는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공기 조화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드를 시작할 경우(S21), 와이파이 통신방식의 무선 공유기 연결을 설정한다.
상세히, 상기 무선 공유기(300)의 암호화/인증 등 보안 기능이 설정될 수 있다. 무선 공유기(300)의 사용자는 무선 공유기(300)의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0)를 제어하고자 할 경우, 상기 무선 공유기(300)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무선 인터넷 사용환경을 설정한 후, 상기 무선 공유기(300)로부터 상기 공기 조화기(100)를 검색하여 통신 연결을 수행할 준비를 할 수 있다.
물론, 통신 연결 가능한 공기 조화기(100)는 다수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통신 가능한 다수의 공기 조화기가 검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가능한 다수의 공기 조화기(100)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단말기(2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S22).
여기서, 상기 무선 인터넷 사용환경이 설정되지 않거나, 상기 단말기(200)와 공기 조화기(100)간에 통신 연결설정이 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기(200) 또는 공기 조화기(100)에는 통신 에러 표시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0) 및 단말기(200)가 와이파이 통신방식으로 연결설정된 후 제어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S23).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또는 동기화 대상이 되는) 일 공기 조화기가 검색(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일 공기 조화기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S24).
상기 일 공기 조화기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기능 및 설정값 동기화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기능 및 설정값이 상기 단말기(200)에 반영될 수 있다(S25).
상기 단말기(200)에 상기 공기 조화기의 기능 및 설정값의 동기화가 이루어지면, 상기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운전이 제어될 수 있다(S26).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위 실시예는 상기 공기 조화기(100)와 단말기(200)가 무선 공유기(300)를 거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또는 Ad-hoc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0)와 단말기(200)가 직접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선 공유기(30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조화기(100)와 단말기(200) 중 일 기기는 다른 기기에 대하여 직접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공기 조화기 사이에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100)와 단말기(200) 간에 통신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기(200)에는 공기 조화기(100)의 정보를 불러오는 동기화가 수행된다.
상기 동기화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가져오는 기능 동기화 및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설정 상태값을 가져오는 설정값 동기화가 포함된다. 상기 기능 동기화 및 설정값 동기화는 동기화시키는 대상이 다를 뿐, 동기화되는 과정은 유사하다.
상기 기능 동기화 목록에는, 공기 조화기(100)의 운전모드, 바람세기, 온도범위, 온도제어 방법, 제품군, 설정풍량, 바람방향, 부가기능, 예약기능, 예약 설정시간 및 범위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설정값 동기화 목록에는, 공기 조화기(100)의 운전모드, 설정온도, 바람세기, 설정풍량, 바람방향, 부가기능 및 예약기능과 관련된 설정 상태값이 포함될 수 있다.
동기화 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공기 조화기(100)를 향하여 동기화 요청 메세지가 송신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시간(t1, 일례로 100ms) 이내에 상기 공기 조화기(100)로부터 상기 단말기(200)로 확인 메세지가 수신되면 동기화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기화 요청 메세지가 송신되었더라도, 상기 t1 이내에 확인 메세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설정 횟수만큼 상기 동기화 요청 메세지를 재송신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재송신 과정에서도,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확인 메세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에는 동기화 오류 메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공기 조화기의 기능 동기화 또는 설정값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상기 단말기(200)가 동기화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100)가 확인 메세지를 송신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공기 조화기(100)가 동기화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200)가 확인 메세지를 송신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공기 조화기(100)의 설정값 동기화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일 설정값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설정값 동기화가 수행될 수 있다. 즉, 공기 조화기(100)의 설정값이 변경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0)는 변경된 내용을 상기 단말기(200)로 송신하며,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0)로 확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기(200)에는, 변경된 내용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조화기의 설정값 동기화는, 상기 기능 동기화가 완료된 후, 어플리케이션의 운전이 온/오프 전환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01)가 오프에서 온 상태로 변경되었을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설정값이 변경되었을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20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다가 중지하고 타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다시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복귀하는 경우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 전화, 문자 메세지 등의 인터럽트(interrupt) 발생후 다시 어플리케이션으로 복귀하였을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기능 중 로봇 청소 또는 자동 건조가 수행되거나, 예약 수행이 완료되었을 경우에도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설정값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0)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130)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 프레임(140) 및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150)이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130,140,150)들은 공기 조화기(100)의 "본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130)의 하부 측면에는, 설치 공간(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135) 및 상기 흡입구(135)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흡입 패널(136)이 제공된다. 상기 흡입구(135) 및 흡입 패널(136)은 상기 전면 프레임(130)의 양측에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130)의 상부 측면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측면 토출구(133) 및 상기 측면 토출구(133)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측면 패널(134)이 제공된다. 상기 흡입구(135) 및 흡입 패널(136)은 상기 전면 프레임(130)의 양측에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130)의 상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상부 토출구(131) 및 상기 상부 토출구(131)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상부 패널(132)이 제공된다.
상기 전면 프레임(130)의 전방에는,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전면 패널(145)이 제공된다. 상기 전면 패널(145)의 전면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6)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135)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복수의 필터부(151,155) 및 상기 복수의 필터부(151,155)의 전방을 차폐하는 하부 패널(147)이 포함된다.
상기 필터부(151,155)에는, 상기 본체의 하부 중앙부에 배치되는 중앙 필터(151) 및 상기 흡입구(135)의 내측에 제공되는 흡입 필터(155)가 포함된다.
상기 중앙 필터(151)는, 공기 유동을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팬 모터(미도시)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필터 장착부(15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흡입구(135)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상기 중앙 필터(151) 및 팬 모터를 거치며, 열교환기(미도시)를 통과한 후 상기 상부 토출구(131) 또는 측면 토출구(133)를 통하여 실내 공간으로 토출된다.
상기 흡입 필터(155)는, 상기 흡입 패널(136)의 내측면에 제공된다. 상기 흡입구(135)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 필터(155)를 거친 후, 상기 중앙 필터(151)로 이동된다.
상기 흡입 필터(155)는, 공기가 상기 중앙 필터(151)를 거치기 전 1차적으로 필터링을 해주는 프리필터(pre-filter)로서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이 필터링 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중앙 필터(151)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이물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상기 흡입 필터(155)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 필터(155)에 누적된 이물을 청소하기 위한 필터 청소유닛(16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터 청소유닛(160)이 상기 흡입 필터(155)측에만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와는 달리, 상기 필터 청소유닛(160)이 상기 중앙 필터(151)에만 제공되거나, 아니면 상기 흡입 필터(155) 및 중앙 필터(151) 모두에 제공될 수 있음은 충분히 짐작 가능하다.
상기 필터 청소유닛(160)에는, 상기 흡입 필터(155)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흡입 필터(155)의 이물을 흡입하는 필터 클리너 키트(161)와, 상기 필터 클리너 키트(161)에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키트 흡입력 발생부(163)와, 상기 필터 클리너 키트(161)에서 흡입된 공기 중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이물 분리부(165) 및 상기 이물 분리부(165)에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집진부(167)가 포함된다.
상기 필터 클리터 키트(161)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흡입 필터(155)에 누적된 이물은 상기 필터 클리너 키트(161)로 흡입되며, 흡입된 이물은 상기 이물 분리부(165)를 거쳐 상기 집진부(167)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청소유닛(160)에 의한 필터 청소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 설정 또는 공기 조화기(100)의 자동 설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에는, 실내 공간의 공기를 조화하기 위하여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는 공기 조화기(100) 및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단말기(200)가 포함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100)에는, 통신수단(통신부)으로서 구비되는 제 1 통신모듈(12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200)에는, 상기 제 1 통신모듈(120)과 통신하는 제 2 통신모듈(220)이 포함된다.
상기 제 1,2 통신모듈(120,220)을 통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 또는 제어된 결과에 기초한 제어 정보등이 통신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0)에는, 조화될 공기의 정화를 위한 흡입필터(155) 및 상기 필터(130)가 장착되었는지 여부가 감지되는 필터 장착 감지부(135)가 포함된다. 상기 필터 장착 감지부(135)는 상기 필터(130)의 장착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필터(130)가 장착되었음을 수동으로 입력하는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0)에는, 상기 흡입필터(155)를 청소하기 위한 필터 청소유닛(160) 및 상기 필터 청소유닛(160)의 청소 수행후 경과된 시간을 적산하는 타이머(171)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 청소유닛(160)의 상세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공기 조화기(100)에는, 상기 필터 청소유닛(160)이 청소를 수행한 횟수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72)와, 상기 필터 청소유닛(160)의 청소시작 또는 청소 종료등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73) 및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메모리부(172)에 저장되는 청소횟수 정보는, 상기 필터 청소유닛(160)의 전원이 온/오프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적산된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청소횟수 정보가 미리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집진부(167)에 저장된 이물을 비울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표시부(173) 또는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01)에는, "이물 비움알림" 표시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외측에는, 토출구(131,133)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오염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오염 감지부(174)가 제공된다. 상기 오염 감지부(174)는 상기 상부 토출구(131) 및/또는 상기 측면 토출구(133)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염 감지부(174)는, 상기 토출구(131,133)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이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이물의 양 또는 크기가 설정 기준값보다 큰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흡입필터(155)에 누적된 이물이 많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흡입필터(155)에 누적된 이물이 많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필터 청소유닛(160)이 구동되어 상기 흡입필터(155)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에는, 통신연결 되는 공기 조화기(100)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단말기 메모리부(2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단말기 메모리부(240)에는, 블루투스 연결시 페어링 된 공기 조화기 정보 또는 와이파이 연결시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정보(통신모듈 주소, 제품 번호)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메모리부(240)에는, 상기 필터 청소유닛(160)의 구동에 관한 정보, 즉 상기 공기 조화기(10)로부터 전달받은 필터 청소유닛(160)의 구동 이후 경과된 시간 또는 필터 청소유닛(160)의 구동횟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와, 제어 대상이 될 공기 조화기를 통신 연결하기 위한 사전 설정을 수행한다.
즉, 통신 방법으로서 블루투스를 이용할 경우에는 블루투스 페어링을 설정하며(도 4, S11 참조), 와이파이를 이용할 경우에는 와이파이의 무선 공유기 연결을 설정한다(도 6, S21 참조)(S31).
그리고, 상기 단말기(200)에 다운로드 및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사전 설정된 통신 상태를 점검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즉, 통신 방법으로서 블루투스를 이용할 경우 페어링 상태(단말기와 페어링 된 공기 조화기가 있는지 여부)를 점검하며, 와이파이를 이용할 경우 무선 공유기 및 공기 조화기가 검색되는지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S32).
제어 대상이 되는 공기 조화기(100)를 검색한 후, 상기 단말기(200)와 공기 조화기(100)간에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S33).
상기 단말기(200)와 일 공기 조화기(100)가 서로 통신 연결되면,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기능 및 설정값을 단말기(200)로 불러오는 동기화 작업을 수행한다 (도 4의 S14, 도 6의 S25 참조)(S35).
동기화 작업 이후, 상기 본체(101)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 상태를 확인하는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일 기능으로서 "필터 상태 확인모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 상태 확인모드"를 선택 또는 실행할 수 있다(S35).
상기 필터 상태 확인모드가 실행되면, 이러한 실행 명령이 상기 공기 조화기(100)에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운전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운전 정보는 상기 필터 청소유닛(160)의 구동과 관련한 정보로서, 상기 필터 청소유닛(160)의 구동 횟수 또는 동작 시간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단말기(200)에 상기 집진부(167)의 "먼지비움"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 청소유닛(160)이 이전에 청소를 수행한 후 경과된 경과시간이 기준시간보다 큰 지 여부가 판단된다(S37). 상기 경과시간이 상기 기준시간보다 큰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흡입필터(155)의 청소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 정보는 상기 제 1,2 통신모듈(120,220)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20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01)에는, 필터의 상태 즉 필터의 "청소필요 상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에 필터 상태가 표시되는 방법에는, "증강 현실" 기법이 포함될 수 있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가상 현실의 한 분야로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에는, 실제 형상의 공기 조화기에 가상의 필터 형상이 합성되는 것에 의하여, 필터의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상태는 그 청결유무에 따라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을 것이다(S38).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에 필터 상태가 표시된 이후, 필터 청소가 수동 또는 자동을 실행될 수 있다. 필터 청소의 수동 또는 자동실행 여부는, 상기 공기 조화기(100) 또는 단말기(200)를 통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청소가 수동 실행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필터 청소유닛(160)의 구동여부를 문의한다. 일례로, 상기 단말기(200)에는, "필터 청소를 실행하시겠습니까?"라는 메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확인" 버튼등을 누르면, 필터 청소 실행명령이 상기 공기 조화기(100)에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필터 청소유닛(160)의 구동을 제어한다.
반면에, 상기 필터 청소가 자동 실행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필터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에 표시한 이후, 자동으로 상기 필터 청소유닛(160)의 구동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에서 필터 청소의 자동실행이 설정되었다면, 자동실행 명령이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공기 조화기(100)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필터 청소유닛(160)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공기 조화기(100) 자체에서 필터 청소의 자동실행이 설정되었다면, 필터 상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에 표시된 이후, 상기 제어부(180) 자체에서 상기 필터 청소유닛(160)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S39).
S37 단계에서, 이전 필터청소 후 경과시간이 기준시간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오염 감지부(174)를 통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 또는 본체(130,140,150)의 주변 오염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40).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주변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토출구(131,133)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오염도가 심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라 상기 흡입필터(155)의 필터 청소가 필요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S38 단계 및 S39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41).
반면에,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주변 오염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기준값보다 작은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토출구(131,133)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오염도가 정상적인 범위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라 상기 흡입필터(155)의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인식된다.
필터의 상태가 "양호"하다는 정보는 상기 단말기(200)로 전달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에는, 일례로, 필터상태 "양호"라는 표시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작동 정보 및 공기 조화기 주변의 공기 오염도 정보에 따라, 필터의 상태가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의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감지되면 필터의 청소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의 필터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이전의 필터 청소수행 후 경과되는 시간에 따라 필터 청소의 시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필터 청소를 수행한 횟수에 따라서 집진부의 비움시기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필터의 총 사용시간을 카운팅 하여,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를 알리는 제어방법도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필터 청소를 수행한 횟수 및 이전 필터 청소이후 경과된 시간을 모두 고려하면, 필터가 공기 조화기에 장착된 이후 사용된 총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필터장착 감지부(157)에서 감지된 시각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고려하여도 필터의 총 사용시간이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필터의 총 사용시간을 결정하는 방법에는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결국, 필터의 총 사용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총 사용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도 11의 기준시간을 제 1 기준시간이라 할 경우, 제 2 기준시간이라 이름할 수 있음)을 초과할 경우, 상기 필터의 교체 시기임을 인식하고, 상기 단말기(200)에 이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의 수명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필터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필터의 관리가 용이하고, 필터의 필터링 성능이 향상되어 깨끗한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80)와, 상기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제1통신모듈(120)과,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작동 조건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90)와, 작동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73)와,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155)와, 상기 필터(155)의 상태를 감지하는 필터상태 감지부(192)와, 필터상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72)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200)는, 단말기 제어부(210)와, 상기 제1통신모듈(120)과 통신할 수 있는 제2통신모듈(220), 적어도 상기 공기조화기(100)와 관련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1)와,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상태 감지부(192)는 상기 필터(155)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필터상태 감지부(192)에서 감지된 상기 필터(155)의 상태는 상기 단말기(200)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필터상태 감지부(192)는 전기 전도도를 이용한 반도체식 센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필터상태 감지부(192)는, 상기 필터의 영상을 취득하기 위한 촬영장치일 수 있다.
상기 촬영장치에서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필터(155)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필터상태 감지부(192)는 상기 필터(155)를 통과한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오염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필터(155)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상태 감지부(192)의 감지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공기조화기(100)로 필터의 상태 정보를 요청한다(S51). 상기 필터의 상태 정보 요청은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태 정보 요청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40)에는 통신 가능한 공기조화기의 영상이 저장될 수 있고, 상기 단말기(200)로 상기 공기조화기를 촬영하여, 기 저장된 영상과 촬영된 영상의 비교 과정을 통하여 필터상태 정보 요청을 할 수 있다. 이 때, 기 저장된 영상이 촬영된 영상과 매칭되면,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공기조화기(100)로 필터 상태 정보 요청을 하게 된다.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공기조화기(100)로 필터 상태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상기 단말기(200)로 필터 상태 정보를 송신한다(S52). 이 때, 상기 필터상태 감지부(192)는 주기적으로 상기 필터(155)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필터 상태 정보는 상기 메모리부(172)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200)에서 필터 상태 정보를 요청하게 되면, 상기 메모리부(172)에 저장된 필터 상태 정보가 상기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공기조화기(100)로 필터 상태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필터상태 감지부(192)가 상기 필터(155)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가 상기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가 상기 필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01)에서 필터 상태 정보가 표시된다(S53). 일 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에서는 상기 필터(155)의 형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필터(155)의 상태에 대응하는 필터의 색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155)의 오염도가 클수록 필터(155)의 색상이 어두울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에서는 상기 필터(155)의 상태 정보가 문자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필터(155)의 상태는, "우수, 양호, 보통, 불량"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각 상태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색상이 규정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우수"라고 기재된 영역은 파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양호, 보통, 불량"이라고 기재된 영역은 각각 녹색, 노란색, 주황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에서 표시되는 필터 상태 정보의 종류 및 정보 표시 방법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일 례로 상기 필터상태 감지부(192)가 촬영장치인 경우에는 상기 촬영장치에서 획득된 영상 또는 획득된 영상에서 가공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에 표시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단말기(200)에서는, 필터 정보 확인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54). 상기 필터 정보 확인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01)에서는 필터 정보가 표시된다(S55). 여기서, 상기 필터 정보는, 현재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필터의 고유정보(필터 종류 등), 현재 공기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는 필터 종류 정보(집진필터, 탈취필터, 황사필터 등), 현재 환경 상태에 맞는 추천 필터 정보, 신규 제조 필터, 필터 판매 순위별 목록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상기 필터의 고유정보를 수신하거나, 수신된 공기조화기의 자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기조화기와 대응되는 필터 고유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1)에서 표시된 필터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특정 필터의 구매 주문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단말기(200)에서는 필터 구매 신청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6). 상기 구매 신청 명령이 입력되면(S57),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제조사 또는 상기 공기조화기(100)에 설치된 필터의 제조사의 서버와 연결된다.
이와 달리, 상기 단말기(200)에서 필터 정보 확인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조사 또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필터의 제조사의 서버에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200)에서 필터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필터(155)의 구매 신청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단말기(200)에서는 필터 구매를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특정 정보를 입력하여, 필요한 필터를 구매할 수 있다. 입력되는 정보는, 일 례로, 구매할 필터의 종류, 배송일,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의 주문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기(200)에서는 주문한 필터 정보 및 주문 완료 정보가 표시된다(S58).
다른 예로서, 상기 단말기(200)에서 필터 주문이 완료되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조사 또는 상기 필터의 제조사로 주문 완료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조사 또는 상기 필터의 제조사의 서버에 주문 완료가 저장될 수 있다.
필터의 주문이 완료되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제조사 또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필터의 제조사에서 필터 구매 주문이 접수되고, 접수된 필터를 주문자로 배송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공기조화기(100)에 설치된 필터(155)의 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지 않고, 상기 단말기(200)에서 상기 필터(155)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필터(155)의 청소 또는 교체 시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현재 설치된 필터 또는 다른 필터를 주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터를 방문 구매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단말기(200)에서 필터의 구매를 위한 정보를 표시되고,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필터를 주문하는 것에 기술적 의의가 있으며, 구체적인 필터의 구매를 위한 주문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필터상태 감지부(192)는 상기 필터(155)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감지한다(S61). 감지된 필터 상태 정보는 공기조화기의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에서는 감지된 필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필터의 교체가 필요한지 여부가 판단된다(S62). 즉, 상기 제어부(180)에서는 필터의 교체 시기가 도래하였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만약, 필터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필터 교체 필요 정보가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에서 필터 청소 필요 알림 정보(필터의 상태와 관련한 정보 중 하나임)가 표시된다(S63).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100)에서는 상기 필터가 교체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이 때, 상기 필터 교체 감지는, 사용자가 필터가 교체되었다는 정보를 상기 단말기 또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입력하거나, 필터 장착을 감지하는 감지부에서 필터 제거 및 장착을 감지하여 필터가 교체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필터가 교체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필터 상태 정보는 초기화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의 교체 알림 정보가 표시된 후에,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필터의 구매를 위한 주문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된 각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시된 다수의 실시 예의 조합에 의해서 도출될 수 있는 실시 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00 : 공기 조화기 110 : 실내기 제어부
120 : 제 1 통신모듈 130 : 필터
155 : 흡입필터 160 : 필터 청소유닛
171 : 타이머 174 : 오염 감지부
200 : 단말기 210 : 단말기 제어부
220 : 제 2 통신모듈 240 : 단말기 메모리부

Claims (14)

  1.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정보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단말기에서 입력된 정보에 따라 구동여부가 결정되는 필터 청소유닛;
    상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통신부; 및
    상기 필터 청소유닛을 구동시키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정보에는,
    상기 필터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공기 조화기에 요청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 필터부가 청소된 이후 경과된 시간에 기초하여 인식되는 필터의 상태정보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의 양 또는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필터의 상태정보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청소유닛이 구동된 이후 경과된 시간을 적산하는 타이머; 및
    상기 본체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본체 주변의 공기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 감지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필터부의 청소 시기 또는 교체 시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필터 청소유닛의 구동이후 경과된 시간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필터 청소유닛의 구동횟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제 1 통신부와 블루투스, AP를 이용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와이파이, Ad-hoc 또는 Zig-bee 방식에 의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통신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8.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 및 공기 중 이물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단말기에 통신 연결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일 기능으로서 필터상태 확인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필터를 청소하는 필터 청소유닛의 운전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및
    상기 필터 청소유닛이 이전에 구동된 후 경과된 시간이 설정 기준시간 이상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 청소의 수행여부가 결정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과된 시간이 상기 설정 기준시간보다 크면, 상기 단말기에는 필터 청소가 필요하다는 메세지가 출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과된 시간이 상기 설정 기준시간보다 작으면, 상기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 주변의 오염도가 감지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가 설정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단말기에는 필터 청소가 필요하다는 메세지가 출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가 설정 기준값 보다 작으면, 상기 단말기에는 필터 상태가 양호하다는 메세지가 출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 9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청소가 필요하다는 메세지가 출력된 이후,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상기 필터 청소유닛의 청소 수행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행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단말기를 이용하여, 필터 구매신청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00138097A 2010-12-29 2010-12-29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76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097A KR20120076440A (ko) 2010-12-29 2010-12-29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097A KR20120076440A (ko) 2010-12-29 2010-12-29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440A true KR20120076440A (ko) 2012-07-09

Family

ID=4671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097A KR20120076440A (ko) 2010-12-29 2010-12-29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644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74859A (zh) * 2013-11-12 2014-02-12 中国联合网络通信有限公司物联网研究院 基于物联网的室内节能换气装置
WO2015199286A1 (ko) * 2014-06-26 2015-12-30 비나텍 주식회사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실내용 조명 장치 및 그의 필터 교환 알람 방법
KR20180040977A (ko) * 2016-10-13 201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의 필터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855680B1 (ko) * 2018-01-08 2018-05-09 주식회사 에프엠텔레콤 다중회귀 분석과 시계열 평가를 활용해 필터 최적 교체점 제시에 따른 공조기 팬 동력을 이용한 에너지저감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864424A (zh) * 2018-08-07 2020-03-0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及其自清洁的方法
KR102091945B1 (ko) * 2018-11-07 2020-03-20 정연경 엘리베이터 전용 공기청정기 관리 방법
JPWO2022049746A1 (ko) * 2020-09-05 2022-03-10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74859A (zh) * 2013-11-12 2014-02-12 中国联合网络通信有限公司物联网研究院 基于物联网的室内节能换气装置
WO2015199286A1 (ko) * 2014-06-26 2015-12-30 비나텍 주식회사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실내용 조명 장치 및 그의 필터 교환 알람 방법
KR20180040977A (ko) * 2016-10-13 201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의 필터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855680B1 (ko) * 2018-01-08 2018-05-09 주식회사 에프엠텔레콤 다중회귀 분석과 시계열 평가를 활용해 필터 최적 교체점 제시에 따른 공조기 팬 동력을 이용한 에너지저감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864424A (zh) * 2018-08-07 2020-03-0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及其自清洁的方法
KR102091945B1 (ko) * 2018-11-07 2020-03-20 정연경 엘리베이터 전용 공기청정기 관리 방법
JPWO2022049746A1 (ko) * 2020-09-05 2022-03-10
WO2022049746A1 (ja) * 2020-09-05 2022-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保守管理システム、保守管理方法、および保守管理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6440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08212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22266B1 (ko) 가전기기, 가전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47855B1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5098622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US9423145B2 (en) Air conditioner and remote controller with bidirectional communication
CN104956154A (zh) 空气调节系统
WO2020186758A1 (zh) 家电设备控制器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存储介质
JP6320528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20070726A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EP3406984B1 (en)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JP6380981B2 (ja) 室内機の制御装置、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室内機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2017163221A (ja) 機器情報管理システム
CN108758987A (zh) 一种空调控制系统
KR102032223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JP5787842B2 (ja) 空調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ー、室内機、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JP6111988B2 (ja) 空気調和機
JP6167968B2 (ja) 電気掃除機
JP2018021710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20080079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47083A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KR20200112433A (ko)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84477A (ko) 공기조화기의 보안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04523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공기 조화 시스템
JP2002196821A (ja) 自走式移動体、情報端末及び機器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