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980A - 웨어러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980A
KR20190109980A KR1020180031734A KR20180031734A KR20190109980A KR 20190109980 A KR20190109980 A KR 20190109980A KR 1020180031734 A KR1020180031734 A KR 1020180031734A KR 20180031734 A KR20180031734 A KR 20180031734A KR 20190109980 A KR20190109980 A KR 20190109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
pole
circular
band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3139B1 (ko
Inventor
안경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1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139B1/ko
Priority to PCT/KR2018/016741 priority patent/WO2019182232A1/ko
Priority to EP18910875.6A priority patent/EP3754454A4/en
Priority to CN201880091530.8A priority patent/CN111886559B/zh
Priority to US16/981,233 priority patent/US11416026B2/en
Publication of KR20190109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부품들을 수용하는 하우징; 적어도 하나의 밴드; 및 상기 밴드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밴드의 적어도 일부분과 맞물리는 스퍼 기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퍼 기어와 동축이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휠; 상기 휠과 동축이며, 상기 휠에 형성된 원형 리세스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원형 플레이트; 및 상기 원형 플레이트에 형성된 리세스 가이드 채널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원형 리세스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 1 폴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전자 장치{WEARABLE ELECTRONIC DEVICE}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목적의 전자 장치, 예컨대,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등은 일반적으로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나 배터리의 형상으로 인해 바형, 폴더형, 슬라이딩형의 외관을 가지고 있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배터리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소형화되어, 손목(wrist)이나 두부(head)와 같은 신체의 일부에 착용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전자 장치를 신체의 일부에 착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전자 장치를 신체의 일부에 착용하기 위한 스트랩, 밴드와 같은 체결부를 사용자가 원활히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전자 장치를 신체의 일부에 착용하기 위해서, 휠을 이용하여 조이거나 풀고, 전자 장치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 푸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일 방향으로 휠을 돌려 밴드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경우, 종래의 경우에는 휠을 조이는 장치와 풀어주는 장치가 따로 구비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떨어질 수 있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휠이 구비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는 휠을 조이기 위해 지정된 방향 또는 휠을 풀기 위해 지정된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휠을 돌릴 수 있다. 이 경우, 밴드가 의도치 않게 조여지거나 풀어지게 되어 불편이 초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이 구비된 전자 장치의 경우, 상기 버튼을 반드시 눌러야만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설계된 것도 있어, 불편을 초래 하기도 하였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다양한 불편이 개선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밴드 길이의 조정이 용이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한손으로도 조작이 용이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부품들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밴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구조는, 상기 하우징의 제 1 영역(a first region)에 연결된 제 1 단부(a first end portion), 및 제 1 랙기어를 포함하는 제 2 단부(a second end portion)를 포함하는 제 1 밴드; 상기 하우징의 제 2 영역(a second region, 202b)에 연결된 제 3 단부(a third end portion), 및 상기 제 1 랙기어와 평행한 제 2 랙기어를 포함하는 제 4 단부(a fourth end portion)를 포함하는 제 2 밴드; 및 상기 제 2 단부 및 제 4 단부에 맞물려 움직일 수 있는, 조절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제 1 밴드, 커넥터 및 제 2 밴드가 함께 폐루프를 형성하며,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구조; 상기 커넥터 하우징 구조 내부에 배치된 스퍼 기어(spur gear);로서, 제 1 랙기어 및 제 2 랙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스퍼기어, 상기 스퍼 기어와 동축이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구조 밖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 구조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휠로서, 상기 휠은, 상기 제 1 랙기어 및 제 2 랙기어를 마주보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은 제 1 환형부를 포함하는 환형의 내벽을 형성하는 원형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환형부는, 서로 반대 방향에 놓인 제 1 리세스 캠 구조 및 제 2 리세스 캠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세스 캠 구조 및 제 2 리세스 캠 구조 각각은 대칭 엣지들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구조에 포함되는 제 2 환형부로서, 상기 제 2 환형부는, 제 1 슬로프(a first slope)를 갖는 제 1 엣지 및 상기 제 1 슬로프보다 큰 제 2 슬로프(a second slope)를 갖는 제 2 엣지를 가지는 비대칭 라쳇 치형들(ratchet tooth)을 포함하는 내부 라쳇 링을 형성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원형 리세스에 배치되는 원형 플레이트로서,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스퍼 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리세스 가이드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세스 캠 구조 및 제 2 리세스 캠 구조 사이의 상기 가이드 채널 내에서 직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제 1 폴(a first pawl)로서, 상기 제 1 폴은 제 1 단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부면은, 상기 제 1 리세스 캠 구조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 1 형상을 갖는 제 1 포션; 및 상기 비대칭 라쳇 치형들 중 하나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 2 형상을 갖는 제 2 포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폴 및 제 2 리세스 캠 구조 사이의 상기 가이드 채널 내에서 직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제 2 폴(second pawl)로서, 상기 제 2 폴은 제 2 단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부면은, 상기 제 2 리세스 캠 구조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 3 형상을 갖는 제 3 포션; 및 상기 제 2 형상을 갖는 제 4 포션을 포함하고, 상기 라쳇 링, 제 2 포션 및 제 4 포션은, 상기 휠이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되, 상기 제 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도록 하고, 상기 제 1 리세스 캠 구조, 제 2 리세스 캠 구조 및 제 1 포션과 제 2 포션은, 상기 제 1 폴 및 제 2 폴이 상기 라쳇 링로부터 멀어지도록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상기 휠을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부품들을 수용하는 하우징; 적어도 하나의 밴드; 및 상기 밴드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밴드의 적어도 일부분과 맞물리는 스퍼 기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퍼 기어와 동축이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휠; 상기 휠과 동축이며, 상기 휠에 형성된 원형 리세스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원형 플레이트; 및 상기 원형 플레이트에 형성된 리세스 가이드 채널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원형 리세스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 1 폴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밴드; 및 상기 밴드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비대칭 라쳇 치형들을 갖는 라쳇 구조 및 대칭 엣지를 갖는 리세스 캠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라쳇 구조에 일부가 대응하여 맞물리고, 상기 리세스 캠 구조에 적어도 다른 일부가 맞물리는 제 1 폴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나의 휠로 조임과 풀림의 길이 조정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길이 조정에 있어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릴리즈용 버튼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조임을 신속하게 풀 수도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밴드 구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밴드, 제 2 밴드 및 스퍼 기어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퍼기어, 원형 플레이트 및 커넥터 하우징 구조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폴, 제 2 폴 및 커넥터 하우징 구조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폴(pawl)에 대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밴드 구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밴드 구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휠 및 원형 플레이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휠의 배면도이다.
도 7c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원형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8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환형부에 폴이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환형부에 폴이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폴이 움직일 때, 제 1 환형부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부, 링크, 제 1 폴 및 제 2 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부, 링크, 제 1 폴 및 제 2 폴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임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6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풀림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7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급속 풀림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 198 또는 제 2 네트워크 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의 사시도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101)는, 전자 부품들을 수용하는 하우징(200) 및 밴드 구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200)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외형을 구성할 수 있고, 신체의 일부에 장착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캡-형(cap-type) 또는 밴드-형(band-type)과 같이 하우징(200)의 중앙 부분에 신체의 머리(head)가 위치하면, 하우징(200)이 머리를 둘러싸도록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하우징(200)은 내부에 하우징(200)의 치수(또는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예: 밴드 구조)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00)은 다양한 재질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조물, 가죽, 러버, 우레탄, 금속, 세라믹, 형상 기억 합금,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에 의하여, 하우징(200) 내부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이 서로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거나, 형상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이 폐쇄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하우징(200)의 길이 방향에 하나 이상의 분절부가 형성되거나, 하우징(200)의 일단과 타단이 이격되어 오픈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00)은 전방 하우징(201a)과 후방 하우징(2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200)의 치수(또는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예: 밴드 구조)가 전방 하우징(201) 또는 후방 하우징(202)에 적어도 일부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가 두부 착용형 웨어러블 전자 장치인 경우에는, 하우징(200)의 치수(또는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예: 밴드 구조)가 후방 하우징(202)에 수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후방 하우징(202)은 최후방 영역에 형성되는 가상의 중심선(L)을 기준으로, 좌측의 제 1 영역(202a)과 우측의 제 2 영역(202b)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의 치수(또는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예: 밴드 구조)이 후방 하우징(202)에 적어도 일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수단(예: 밴드 구조)의 일측의 단부는 제 1 영역(202a)에 위치될 수 있으며, 타측의 단부는 제 2 영역(202b)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영역(202a)과 제 2 영역(202b) 사이에는 제 3 영역(202c)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 3 영역(202c)에는 버튼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영역(202c)과 버튼부(210) 사이에 릴리즈 스프링(220)이 추가로 구비되어, 버튼부(210)에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버튼부(210)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이후에는, 버튼부(210)는 릴리즈 스프링(220)에 의해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밴드 구조(3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밴드(310), 제 2 밴드(320) 및 스퍼기어(410)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스퍼기어(410), 원형 플레이트(430) 및 커넥터 하우징 구조(401)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폴(440), 제 2 폴(450) 및 커넥터 하우징 구조(401)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밴드 구조(30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안정적으로 착용하도록 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쉽게 탈거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밴드 구조(300)는 하우징(예: 도 2의 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단,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밴드 구조(300)가 하우징(예: 도 2의 200)의 외부에서 제 1 영역(202a) 및 제 2 영역(202b)에 각각 연결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문서의 도면에 표시된 좌표축은 어떤 구성요소가 향하는 방향을 지칭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의 좌표축은 3차원 공간 상의 좌표축(X축, Y축, Z축)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X축은 제 1 밴드(310) 및/또는 제 2 밴드(32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축일 수 있고, Y축은 커넥터(400)의 폭 방향에 평행한 축일 수 있으며, Z축은 커넥터(400)의 높이 방향에 평행한 축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도면들과 그에 포함된 좌표축들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401b)의 후면(408)이 보이도록 도시되어 있고, 도 4a에서는 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401b)의 전면(405)이 보이도록 도시되어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밴드 구조(300)는 적어도 하나의 밴드 및 커넥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드는 적어도 일부가 커넥터(4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동작 중 커넥터(400)로 더욱 인입되거나, 커넥터(400)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밴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밴드(310) 및 제 2 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밴드(310) 및 제 2 밴드(320)는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밴드일 수 있으며, 커넥터(400)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밴드(310)와 제 2 밴드(3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400)를 기준으로 대칭하여 배치된'레일(rail)' 형태의 밴드 구조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밴드(310)는 하우징(200)의 제 1 영역(예: 도 2의 제 1 영역(202a)에 연결된 제 1 단부(a first end portion, 3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밴드(310)는 제 1 랙기어(313)를 포함하는 제 2 단부(a second end portion, 3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밴드(320)는 하우징(200)의 제 2 영역(예: 도 2의 제 2 영역, 202b)에 연결된 제 3 단부(a third end portion, 32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밴드(320)는 제 2 랙기어(323)를 포함하는 제 4 단부(a fourth end portion, 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밴드(310)와 제 2 밴드(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제 1 단부(311) 및 제 3 단부(321)는 각각 하우징(200)의 제 1 영역(202a) 및 제 2 영역(202b)에 연결되고, 제 2 단부(312) 및 제 4 단부(322)는 커넥터(4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넥터(400)는 커넥터(400)와 밴드(예: 제 1 밴드(310) 또는 제 2 밴드(32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position)를 조절하거나, 제 1 밴드(310) 및 제 2 밴드(32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adjustable)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400)와 밴드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한다는 것은, 커넥터(400) 내부에 밴드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경우, 밴드가 수용되는 길이(length)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넥터(400)는, 밴드 구조(30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제 1 밴드(310)의 제 1 단부(311) 및 제 2 밴드(320)의 제 3 단부(3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밴드(310) 및 제 2 밴드(320)는 도 3에 도시된 X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데, 커넥터(400)가 제 2 단부(312) 및 제 4 단부(322)에 맞물려 움직임으로써, 제 1 밴드(310) 및 제 2 밴드(320)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랙기어(313) 및 제 2 랙기어(323)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 수 있으며, 각각 복수의 치형들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랙기어(313) 및 제 2 랙기어(323) 사이에는, 제 1 랙기어(313) 및 제 2 랙기어(323)에 형성된 복수의 치형들(teeth)에 대응되는 치형들(teeth)을 가진 가진 커넥터(40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400)의 일 부분이 제 1 랙기어(313)와 맞물리고, 커넥터(400)의 다른 부분이 제 2 랙기어(323)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호 작용(interaction)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400)는, 커넥터 하우징 구조의 적어도 일부(예: 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401b)), 스퍼 기어(410), 휠(420), 원형 플레이트(430), 제 1 폴(440), 제 2 폴(4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터 하우징 구조는 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401a)와 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4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401a)는 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401b)에 체결부(402)(예: 리벳 구조, 나사/볼트 구조 등)를 통해 연결(coupled)될 수 있다. 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401a) 및 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401b)가 결합되면, 여기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스퍼 기어(410), 휠(420)의 적어도 일부, 원형 플레이트(430), 제 1 폴(440), 제 2 폴(45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401a) 및/또는 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401b) 에는 복수의 홀(403, 404)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홀(403, 404)은, 예를 들면, 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401a) 및/또는 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401b)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앞서 살펴본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이, 상기 휠(420)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401a)는 제 1 밴드(310) 및 제 2 밴드(320)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 1 밴드(310)는 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401a)의 일 측을 관통하여, 적어도 일 부분이 커넥터(400) 내부에서 진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밴드(320)는 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401a)의 타측을 관통하여, 이 또한 적어도 일 부분이 커넥터(400) 내부에서 진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401b, 이하 '커버'라 함)는 휠(420), 원형 플레이트(430),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이 안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401b)는 커넥터(400)를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 또는 이물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3에는 커버(401b)의 후면(408)이 도시되고, 도 4b와 도 4c에는 커버의 전면(예: 커버 제 1 면(405), 커버 제 1-1 면(406))이 도시된다. 도 4b와 도 4c를 참조하면, 커버의 제 1 면(405)과 제 1-1 면(406)은 소정의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제 1-1 면(406)에 휠(420)이 안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퍼 기어(410)는, 도 4a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 1 밴드(310)의 제 1 랙기어(313)와, 제 2 밴드(320)의 제 2 랙기어(323)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퍼 기어(410), 제 1 랙기어(313) 및 제 2 랙기어(323)는 랙 앤 피니언(rack and pinion) 구조를 이루며, 스퍼 기어(410)가 회전하면, 제 1 랙기어(313)와 제 2 랙기어(323)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휠(420)은 제 1 랙기어(313) 및 제 2 랙기어(323)를 마주보는 제 1 면(421) 그리고 제 1 면(421)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422)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제 2 면(422)이 보이도록 도시되며, 도 4a에는 제 1 면(421)이 보이도록 도시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휠의 제 1 면(421) 및 커버의 전면(405)을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a를 함께 살펴보면, 휠(420)은 스퍼 기어(410)와 동축(coaxial)으로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휠(420)은 스퍼 기어(410)의 직경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휠(420)의 둘레에는 사용자가 휠(420)을 조작할 때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도트(또는 홈, 420D)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b에는 도 4a에서 제 1 밴드(310), 제 2 밴드(320) 및 휠(420)을 생략한 모습이 도시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원형 플레이트(430)의 일 면에 스퍼기어(410)가 배치되며, 스퍼 기어(410)와 원형 플레이트(430)는 동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형 플레이트(430)가 회전하는 경우 스퍼 기어(410)는 원형 플레이트(43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퍼 기어(410)와 원형 플레이트(430)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형 플레이트(430)는 휠(420)의 제 2 면(422)을 마주보는 제 1 면(431), 그리고 원형 플레이트(430)의 제 1 면(431)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432) 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도 3에는 원형 플레이트의 제 2 면(432)이 보이도록 도시되며, 도 4b에는 원형 플레이트(430)의 제 1 면(431)이 보이도록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 플레이트(430)의 제 1 면(431)에는 비 원형 돌출부(4310)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휠(420)에 형성된 비 원형 리세스(예: 도 3의 4226)에 비 원형 돌출부(43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휠(420)의 회전 시, 비 원형 돌출부(4310)와 비 원형 리세스(예: 도 3의 4226)가 서로 접촉되어 움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형 플레이트(430)의 제 1 면(431)과 제 2 면(예: 도 3의 432) 사이에 형성된 측면에는, 홈(433)이 형성될 수 있다. 홈(43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폴(예: 제 1 폴(44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형 플레이트(430) 내부에 폴(예: 제 1 폴(440)이 수용되면, 폴(예: 제 1 폴(4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홈(433)을 통해 원형 플레이트(4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형 플레이트(430)는 커버(401b)의 제 1-1 면(406) 상에 배치되는 제 2 환형부(4222)(또는 라쳇 링)의 내측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도 4c에는 도 4b에서 원형 플레이트(430)를 생략한 모습이 도시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의 예로서, 제 1 폴(a first pawl, 440)과 제 2 폴(a second pawl, 450)이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문서에서는 두 개의 폴(440, 450)을 참조로 설명하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함을 유의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한 개의 폴을 이용할 수 있고, 또는 세 개 이상의 폴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은 원형 플레이트(예: 도 4b의 430)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운용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은 서로 독립적인 개체일 수 있으며, 제 1 폴(440)과 제 2 폴(450)은 원형 플레이트(예: 도 4b의 430)의 가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는 폴(pawl)(예: 440, 450)에 대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5에서는, 예시적으로 제 1 폴(440)의 평면도(top view), 측면도(side view), 배면도(bottom view), 전면도(front view), 제 1 사시도(perspective view 1), 제 2 사시도(perspective view 2)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폴(a first pawl, 440)은, 제 1 단부면(441)과 몸체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부면(441)은 몸체부(442)로부터 연장되어, 원형 플레이트(430)의 주변에 배치된 구성에 맞물리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단부면(441)은 후술하는 제 1 리세스 캠 구조(예: 도 7의 4223)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 1 형상을 갖는 제 1 포션(4411)과, 비대칭 라쳇 치형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 2 형상을 갖는 제 2 포션(441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포션(4411) 및 제 2 포션(4412)이 결합된 형태를 보면,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진 두 개의 블록이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포션(4411) 및 제 2 포션(4412)의 형상 또는 치수(예: 폭 또는 길이 등)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평면도(top view)와 배면도(bottom view)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포션(4411)의 폭이 제 2 포션(441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제 1 포션(4411)의 최대 길이가 제 2 포션(4412)에서 최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측면도(side view)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포션(4412)의 높이가 제 1 포션(4411)의 높이보다 높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는 일 예시에 불과할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포션(4411)과 제 2 포션(4412)의 구체적인 형상 및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포션(4411) 및 제 2 포션(4412)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진 두 개의 블록이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제 1 포션(4411), 제 2 포션(4412) 그리고 몸체부(442)를 포함한 전체 구성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폴(440)의 몸체부(442)는 대체로 제 1 포션(4411) 및 제 2 포션(4412)의 폭보다 넓고, 제 1 포션(4411) 및 제 2 포션(4412)을 합한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442) 내부에 경사면(4421)과 경사홈(4422)이 구비될 수 있다. 경사홈(442)에는 후술하는 경사 레그(leg)(예: 도 14의 473)가 삽입되어, 경사면(4421)과 경사 레그(예: 도 14의 473) 간의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상의 설명은 제 2 폴(45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폴(450)의 제 3 포션(4511)은 제 2 리세스 캠 구조(4224)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 3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 4 포션(4512)은 상기 비대칭 라쳇 치형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 2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폴(450)의 제 3 포션(4511)은, 제 1 폴(440)의 제 1 포션(4411)의 형상과 무관하게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제 4 포션(4512)은 제 1 폴(440)의 제 2 포션(441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 및/또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밴드 구조(300)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밴드 구조(3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와 도 6b에서는 도 4a 내지 도 4c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반대편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앞서 살펴본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도 6b는 도 6a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401b), 탄성 부재(예: 도 3의 460)와 링크 부재(예: 도 3의 470) 등을 생략한 도면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휠(420)의 제 2 면(422)에는 원형 리세스(4220)가 형성될 수 있다. 원형 리세스(4220)는 휠(420)의 중앙부에서 내측방향으로 넓게 인입(lead in)된 부분일 수 있다. 원형 리세스(4220)에는 원형 플레이트(43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 리세스(4220)의 면적은 원형 플레이트(430)의 제 1 면(예: 도 4의 431)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도 6b에는 원형 플레이트(430)의 제 2 면(예: 도 3의 432)이 보이도록 도시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원형 플레이트(430)의 제 2 면(예: 도 3의 432)에는, 원형 플레이트(430)의 중심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리세스 가이드 채널(43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 가이드 채널(4320)은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이 삽입되는 오목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리세스 가이드 채널(4320)은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이 공간 상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의 움직임을 직선적으로(straightforward)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리세스 가이드 채널(4320) 내에서,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은 원형 플레이트(430)의 직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 가이드 채널(4320)은 원형 플레이트(430)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원형 플레이트(430)가 회전하면, 리세스 가이드 채널(4320)에 배치되는,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은 원형 플레이트(430)가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휠(420)의 원형 리세스(4220)에는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제 2 환형부(4222)(또는 라쳇 링)가 삽입될 수 있다. 도 6b에 제 2 환형부(4222)(또는 라쳇 링)가 삽입된 상태가 되면, 라쳇 구조를 이용한 밴드 조정 장치의 조임/풀림 동작 등이 가능해질 수 있다. 조임/풀림 등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도 10 이하에서 후술한다.
도 7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휠(420) 및 원형 플레이트(43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도(bottom view)이다. 도 7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휠(420)의 배면도(bottom view)이다. 도 7c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원형 플레이트(430)의 평면도(top view)이다. 도 8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환형부(4222)에 폴(440, 45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환형부(4221)에 폴(예: 도 8a의 44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폴(440)이 움직일 때, 제 1 환형부(4221)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휠(420), 원형 플레이트(430),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이 결합된 모습(combination)이 도시된다. 도 7a에서 휠(420) 및 원형 플레이트(430)가 결합된 구성은, 도 7b 및 도 7c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도 7b와 함께 도 8b에는 제 1 환형부(4221)의 일 실시 형태가 도시될 수 있고, 도 8a에는 제 2 환형부(4222)의 일 실시 형태가 도시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휠(420)은 제 1 환형부(4221)를 포함하는 원형 리세스(4220)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 리세스(4220)는 대체로 편평한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원형 리세스(4220)는 휠(420)의 제 2 면(422)으로부터 인입(lead-in)되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내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측벽은 제 1 환형부(4221)일 수 있다. 제 1 환형부(4221)는 후술하는 제 2 환형부와 함께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의 일 단부가 맞닿는 부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환형부(4221)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에 놓인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 및 제 2 리세스 캠 구조(42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 에는 대칭 엣지들(4223a, 4223b)이 형성될 수 있고, 이와 유사하게 제 2 리세스 캠 구조(4224)에도 대칭 엣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환형부(4221)는 원형 리세스(4220)의 가장자리에서, 휠(4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휠(420)에는 비 원형 리세스(4226)가 형성될 수 있고, 원형 플레이트(430)에는 비 원형 돌출부(43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함께 참조하면, 비 원형 리세스(4226)는 휠(420)의 제 2 면(422)에 형성될 수 있고, 비 원형 돌출부(4310)는 원형 플레이트(430)의 제 1 면(431)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휠(420)과 원형 플레이트(430)가 서로 마주보며 조립되었을 때, 비 원형 돌출부(4310)는 비 원형 리세스(422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기서 비 원형 돌출부(4310)는 비 원형 리세스(4226)에 끼워맞춤되지 않도록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 원형 리세스(4226)의 면적이 비 원형 돌출부(4310)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 원형 돌출부(4310)가 비 원형 리세스(422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 갭(gap, 예: 도 11의 g)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갭(gap)이 존재함으로써, 비 원형 돌출부(4310)가 비 원형 리세스(422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삽입되더라도 완전히 끼워맞춤되지는 않을 수 있다. 다만, 어떤 실시예에서는, 휠(420)이 회전하는 경우에 있어서, 비 원형 돌출부(4310)가 비 원형 리세스(4226)를 접촉 및 지지함으로써, 휠(420)의 회전력이 원형 플레이트(43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비 원형 리세스(4226)는 제 1 엣지(4226a)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비 원형 돌출부(4310)는 제 1 엣지(4310a)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 원형 리세스(4226)는 제 1 엣지(4226a)뿐만 아니라, 제 2 엣지(4226b)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비 원형 돌출부(4310)는 제 2 엣지(4310b)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 원형 돌출부(4310)의 제 1 엣지(4310a)와 비 원형 리세스(4226)의 제 1 엣지(4226a)가 접촉하면, 비 원형 돌출부(4310)의 제 2 엣지(4310b)와 비 원형 리세스(4226)의 제 2 엣지(4226b) 사이에는 갭(gap, 예: 도 11의 g)이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비 원형 돌출부(4310)의 제 2 엣지(4310b)와 비 원형 리세스(4226)의 제 2 엣지(4226b)가 접촉하면, 비 원형 돌출부(4310)의 제 1 엣지(4310a)와 비 원형 리세스(4226)의 제 1 엣지(4226a) 사이에 갭(gap, 예: 도 11의 g)이 형성될 수 있다. 비 원형 리세스(4226)의 제 1 엣지(4226a), 제 2 엣지(4226b) 및 비 원형 돌출부(4310)의 제 1 엣지(4310a), 제 2 엣지(4310b)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상호 작용에 대해서는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통해 후술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 2 환형부(4222)는 제 1 슬로프(a first slope)를 갖는 제 1 엣지(4225a) 및 상기 제 1 슬로프보다 큰 경사를 갖는 제 2 슬로프(a second slope)를 갖는 제 2 엣지(4225b)를 가지는 비대칭 라쳇 치형들(asymmetric rachet teeth, t)을 포함하는 내부 라쳇 링(4225)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엣지(4225a)는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제 2 엣지(4225b)는 상대적으로 급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함께 참조하면, 제 2 환형부(4222)는, 제 1 환형부(4221)와 분리된 구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환형부(4222)는 링 형태(이하 '라쳇 구조' 또는'라쳇 링(4225)'이라 할 수 있음)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환형부(4222)는 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예: 도 3의 401b)에 포함될 수 있으며, 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예: 도 3의 401b)로부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환형부(4222)는 휠(420)에 원형 플레이트(430)가 배치되어 있을 때, 휠(420)과 원형 플레이트(430) 사이의 공간(예: 도 6b의 원형 리세스(4220)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넥터(400)의 조립 과정에서 제 1 환형부(4221)의 상면(4221a)에 제 2 환형부(4222)가 적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환형부(4221)가 마련된 원형 리세스(4220)에 원형 플레이트(430)를 배치하고, 원형 플레이트(430)의 리세스 가이드 채널(4320)에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 2 환형부(4222)를 제 1 환형부(4221)의 상면(4221a)에 적층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조립된 커넥터(400)에서, 제 1 폴(440)의 제 1 포션(4411)은, 제 1 환형부(4221)에 형성된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에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폴(440)의 제 2 포션(4412)은 제 2 환형부(4222)에 형성된 비대칭 라쳇 치형들(t)에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폴(450)의 제 3 포션(4511)은, 제 1 환형부(4221)에 형성된 제 2 리세스 캠 구조(4224)에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폴(450)의 제 4 포션(4512)은 제 2 환형부(4222)에 형성된 비대칭 라쳇 치형들(t)에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포션(4411)은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형상(예: 대칭 엣지)을 가질 수 있는 반면, 제 2 포션(4412)은 비대칭 라쳇 치형들(t)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형상(예: 비대칭 엣지)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포션(4411)은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에 맞물린 상태에서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더라도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제 1 포션(4411)은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에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력을 받으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의 대칭 엣지를 따라 소정량만큼 슬립(slip)될 수 있다. 이때, 제 1 폴(440)은 리세스 가이드 채널(4320) 내에서 리세스 가이드 채널(4320)의 중심 방향으로 다소간 후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포션(4412)은 휠(4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대칭 엣지를 가지는 제 2 포션(4412)이 상기 비대칭 라쳇 치형에서 경사가 상대적으로 경사가 완만한 제 1 엣지(4225a)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 2 포션(4412)은 비대칭 라쳇 치형들(t)의 인접한 치형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포션(4412)이 경사가 급한 제 2 엣지(4225b)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 2 엣지(4225b)에 의해 가로막혀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폴(440)에 대한 설명은 제 2 폴(45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포션(4411) 및 제 3 포션(4511)은 대칭 엣지를 가지는 리세스 캠 구조(4223)(4224)에 대응하여 맞물리고, 제 2 포션(4412) 및 제 4 포션(4512)은 비대칭 라쳇 치형들(t)과 대응하여 맞물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포션(4412)은 제 1 포션(4411)에 적층되고, 제 4 포션(4512)은 제 3 포션(4511)에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 2 포션(4412) 및 제 4 포션(4512)이 각각 비대칭 엣지를 가진 라쳇 치형에 맞물리는 동작에 의해,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의 전체적인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포션(4411)은 지정된 이격 거리(C)를 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이격 거리(C)는 제 1 폴(440)이 회전 중 복귀 가능한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포션(4411)이 지정된 이격 거리(C)를 넘을 만큼 슬립(slip)되면 제 1 폴(440)이 제자리로 복원되지 않을 수 있다. 풀림 동작에 대한 설명은 이하 도 12를 참조로 후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비대칭 라쳇 치형들(t)을 가진 라쳇 구조에 하나 이상의 폴(예: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이 대응하여 맞물린 상태에서, 휠(420)의 움직임에 대한 폴의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420)이 어느 특정한 방향(예: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은 휠(420)에 대하여 상대적인 움직임(예: 회전 또는 전/후 진퇴)을 가질 수 있다. 만약, 상기 특정한 방향과 반대 방향(예: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은 라쳇 구조에 걸리는 상태가 되어, 휠(420)에 대하여 상대적인 움직임(예: 회전 또는 전/후 진퇴)이 제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본 발명 제 1 환형부(4221) 및 제 2 환형부(4222)의 형상 및 치수에 따라 다양한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는 제 1 환형부(4221)의 어떠한 하나의 지점(point)에 형성되고, 제 2 리세스 캠 구조(4224)는 제 1 환형부(4221)에서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가 형성된 지점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비대칭 라쳇 치형들(t)이 제 2 환형부(4222)의 원주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는 것과 달리,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와 제 2 리세스 캠 구조(4224)는 각각 1 개소만 마련될 수 있고,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문서에 개시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휠(420)은 원형 리세스(4220)의 중심에 개구(423)를 포함하고, 스퍼 기어(예: 도 4b의 410)는 개구(423)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퍼 기어(예: 도 4b의 410)는 개구(423)를 통해 휠(420)의 제 1 면(예: 도 4a의 421)과 마주보는 제 1 밴드(310) 및 제 2 밴드(3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400)는, 추가적으로 탄성 부재(460)와 링크 부재(4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살펴보면, 탄성 부재(460)는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460)는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들과 함께 리세스 가이드 채널(4320)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460)는 제 1 단부면(예: 도 5의 441)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 1 폴(440)의 타단부와 접촉하고, 제 2 단부면(예: 451)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 2 폴(450)의 타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탄성 부재(460)는,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이 각각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 및 제 2 리세스 캠 구조(4224)에 대하여 후퇴 동작을 하더라도,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 및 제 2 리세스 캠 구조(4224)를 향해 복원되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링크 부재(470)는,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을 마주보는 제 1 면과, 제 1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47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일 실시예로서, 커버(401b)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 2 면(472)이 도시되어 있다. 링크 부재(470)는 버튼부(420)를 통한 외부 입력을 커넥터(4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링크 부재(470)의 제 1 면에는 경사 레그(예: 도 13의 473)가 구비되어 있으며, 경사 레그(473)는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에 형성된 경사홈(4422)에 삽입된 상태에서 경사면(4421)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크 부재(470)와 관련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설명은 이하 후술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400)의 정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와 도 1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4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400)의 조립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의 정면도(front view)에는, 커넥터(400)를 포함하는 조립 구조로서, 전방 커넥터 하우징(401a)과 커버(401b)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고, 휠(420)이 외부에 노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단면도(cross section view)에는, 조립된 커넥터(400)로서, 제 1 밴드(310), 제 2 밴드(320), 스퍼 기어(410), 휠(420), 원형 플레이트(430), 제 1 폴(440), 제 2 폴(450), 비 원형 돌출부(4310) 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의 도면은, 도 10에 도시된 커넥터(400)를 포함하는 조립 구조를 도 10에 도시한 line A, line B, line C, line D를 따라 자른 단면(Section A, Section B, Section C, Section D)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이 구비된 실시예를 개시하지만, 본 문서에 개시된 권리범위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 도시된 예와 달리, 단일의 폴(제 1 폴(440) 또는 제 2 폴(450)) 또는 셋 이상의 폴이 구비되는 실시예도 포함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의 동작으로서, 락킹(Locking) 동작, 조임 동작, 풀림 동작, 급속 풀림 동작(또는 완전 풀림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Locking 동작은, 예를 들면, 외력에 의해 하우징(예: 도 2의 200)이 일 순간 당겨지는 상황에서, 밴드 구조(예: 도 3의 밴드 구조(300))의 조임이 쉽게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동작일 수 있다.
락킹(Locking) 동작과 관련하여, 하우징(예: 도 2의 200)에 외력이 작용하여 제 1 밴드(310)와 제 2 밴드(320)가 강제적으로 서로 벌어지도록 힘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비대칭 라쳇 치형들(t)에 폴(예: 제 1 폴(440) 또는 제 2 폴(45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걸려 있으므로, 밴드 구조(예: 도 3의 300)의 조임이 쉽게 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력이 작용하여 밴드 구조(예: 도 300)의 제 1 단부(311)와 제 3 단부(321)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고, 이로 인해 스퍼기어(예: 도 4의 410)가 회전하려고 하면 폴(예: 제 1 폴(440) 또는 제 2 폴(450) 중 적어도 하나)이 비대칭 라쳇 치형들(t) 중 경사가 급한 제 2 엣지(4225b) 에 걸려 있으므로 스퍼기어(예: 도 4의 41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임 동작은 하우징(예: 도 2의 200)의 치수(또는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예: 도 3의 밴드 구조(300))을 이용하여 치수를 줄이고자 할 때의 동작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400)의 조임 동작이 도시될 수 있다.
조임 동작과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휠(420)이 시계 방향으로 돌면, Section A-1에 도시된 예와 같이, 상기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의 단부는 제 1 엣지(4225a)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Section B를 참조하면,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은 각각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 및 리세스 캠 구조(4224)에 대응하여 맞물려 있을 수 있다. Section C를 참조하면, 조임 동작에서는, 비 원형 리세스(4226) 및 상기 비 원형 돌출부(4310)가 서로 맞닿아 있을 수 있다. 여기서는 비 원형 리세스(4226)의 일 부분(예: 제 1 엣지(4226a))과 비 원형 돌출부(4310)의 일 부분(예: 제 1 엣지(4310a))이 접촉 및 지지되어, 휠(420)의 회전력이 곧장(directly) 비 원형 돌출부(4310)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Section A-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 및 리세스 캠 구조(4224)에 각각 대응하여 맞물려 있던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은 라쳇 구조의 제 1 엣지(4225a)를 따라 슬립(slip)되면서 후방으로 밀릴 수 있다. 따라서,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은 리세스 가이드 채널(예: 4320)의 중심 방향으로 일부 후퇴할 수 있다. 비 원형 돌출부(4310)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은, Section D를 참조하면, 스퍼 기어(410)를 통해 제 1 밴드(310) 및 제 2 밴드(320)로 전달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조임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임 동작은,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이 복수의 라쳇 치형들(t) 중 어느 하나의 치형에서 인접한 다른 치형으로 이동할 때마다 수행될 수 있다.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의 단부가 제 1 엣지(4225a)에 슬립된 이후,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이 인접한 다른 치형으로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의 단부는 다시 제자리로 복원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임 동작은 단속적(discretely)으로 이뤄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풀림 동작은 하우징(예: 도 2의 200)의 치수(또는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예: 도 3의 밴드 구조(300))을 이용하여 치수를 늘리고자 할 때의 동작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400)의 풀림 동작이 도시될 수 있다.
풀림 동작과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휠(420)이 반시계 방향으로 돌면, Section A-1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은 경사가 급한 제 2 엣지(4225b)에 접촉할 수 있다. Section C-1을 참조하면, 풀림 동작에서는, 비 원형 리세스(4226) 및 상기 비 원형 돌출부(4310)가 서로 맞닿아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때, Section B-1을 참조하면,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은 각각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 및 리세스 캠 구조(4224)에 대응하여 맞물려 있을 수 있다. 풀림동작에서는, Section C-2에 도시된 예와 같이, 비 원형 리세스(4226)와 비 원형 돌출부(4310) 사이의 갭(g)만큼 휠(420)이 먼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갭(g)만큼 휠(420)이 회전하면, 비 원형 리세스(4226)의 제 2 엣지(4226b)와 비 원형 돌출부의 제 2 엣지(4310b)가 맞닿을 수 있다. 이때, Section B-2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 및 제 2 리세스 캠 구조(4224)에 각각 삽입되어 있던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의 단부가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 및 제 2 리세스 캠 구조(4224)의 엣지에서 슬립되면서,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이 리세스 가이드 채널(4320)의 중심 방향으로 일부 후퇴할 수 있다. Section A-2를 참조하면,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은, 비 원형 리세스(4226)의 제 2 엣지(4226b)와 비 원형 돌출부의 제 2 엣지(4310b)가 맞닿아 있는 동안, 리세스 가이드 채널(4320)의 중심 방향으로 후퇴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비 원형 돌출부(4310)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은, Section D를 참조하면, 스퍼 기어(410)를 통해 제 1 밴드(310) 및 제 2 밴드(320)로 전달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풀림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풀림 동작에서는, Section A-2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 1 폴(440) 및 제 2 폴이 리세스 가이드 채널(4320)의 중심 방향으로 후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풀림 동작은 연속적(continuosly)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풀림동작에서는, Section A-2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 1 폴(440) 및 제 2 폴이 리세스 가이드 채널(4320)의 중심 방향으로 후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회전하다가 목표된 최종 위치에 도달하면,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 및 제 2 리세스 캠 구조(4224)의 엣지에 의해 슬립되었던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은, Section B-1에 도시된 예와 같이,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 및 리세스 캠 구조(4224)에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복원될 수 있다. 이때, 비 원형 리세스(4226) 및 상기 비 원형 돌출부(4310) 사이에는, Section C-1에 도시된 예와 같이, 다시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 사이의 리세스 가이드 채널(4320)에는 탄성부재(예: 도 3의 460)가 구비되어,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이 제자리로 복원되도록 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와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풀림 동작에서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이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 및 제 2 리세스 캠 구조(4224)의 대칭 엣지(4223a, 4223b, 4224a, 4224b)에 슬립되는 거리(이하 '슬립량'이라 함)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의 대칭 엣지(4223a, 4223b) 중심으로부터 대칭 엣지(4223a, 4223b)가 끝나는 지점의 경계 사이를 지정된 슬립량으로 할 수 있으며, 제 1 폴(440)이 상기 지정된 슬립량 범위 내에서만 슬립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정된 슬립량을 넘어서는 경우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은 복원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예: 도 3의 400)를 설계함에 있어서,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이 상기 지정된 슬립량을 넘어 슬립되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슬립량은 제 1 폴(440), 제 2 폴(450), 제 1 리세스 캠 구조(4223), 제 2 리세스 캠 구조(4224), 또는 비 원형 리세스(4226)와 비 원형 돌출부(4310) 사이의 갭(g)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급속 풀림 동작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상기 급속 풀림 동작은 예를 들면, 휠(420)을 회전시키면서 제 3의 동작(예: 버튼 누름 동작)을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풀림 동작 보다 신속하게 상기 하우징(예: 도 2의 200)의 치수(또는 길이)를 줄일 수 있는 동작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부(210), 링크 부재(470),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버튼부(210), 링크 부재(470),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과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버튼부(210)의 버튼 레그(211)가 커넥터(예: 도 3의 400)의 내부에 구비된 링크 부재(470)와 연결될 수 있고, 링크 부재(470)는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과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버튼부(210)를 누르면, 버튼부(210)의 눌림 작용에 의해 링크 부재(470)가 눌려지고, 링크부재(470)에 형성된 경사 레그(473)에 의해, 제 1 폴(440) 및 제 2폴(450)이 리세스 가이드 채널(예: 도 11, 12의 4320)의 중심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은 휠(4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라쳇 구조 및 캠 구조에 맞물려 있지 않는 상태, 예를 들어, 언-락킹(Un-Locking) 상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락킹(Un-Locking) 상태에서는 제 1 폴(440) 및 제 2 폴(450)이 라쳇 구조에 걸리지 않은 상태이므로, 풀림 동작이 보다 빠르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임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6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풀림 동작(제 1 풀림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7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급속 풀림 동작(제 2 풀림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자 부품들을 수용하는 하우징(예: 도 3의 200) 제 1 밴드(예: 도 3의 310) 및 제 2 밴드(예: 도 3의 320)를 포함하는 밴드 구조(예: 도 3의 300) 및 제 1 밴드(예: 도 3의 310) 및 제 2 밴드(예: 도 3의 320)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 가능한 커넥터(예: 도 3의 400) 를 포함하고, 커넥터(예: 도 3의 400)는, 제 1 밴드(예: 도 3의 310) 및 제 2 밴드(예: 도 3의 320)와 맞물리는 스퍼 기어(예: 도 3의 410), 커넥터(예: 도 3의 400)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휠(예: 도 11의 420), 휠(예: 도 3의 420)에 형성된 원형 리세스(예: 도 3의 422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원형 플레이트(예: 도 3의 430), 원형 리세스(예: 도 3의 4220)의 가장 자리에 형성되며, 복수의 비대칭 라쳇 치형들이 형성된 제 2 환형부(예: 도 4b의 4222), 및 원형 플레이트(예: 도 3의 430)에 형성된 리세스 가이드 채널(예: 도 3의 4320) 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며, 제 2 환형부(예: 도 4b의 4222)에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폴(예: 도 3의 440)을 포함하며, 휠(예: 도 3의 420)은 원형 리세스(예: 도 3의 4220) 보다 더 오목하게 형성된 비 원형 리세스(예: 도 3의 4226)를 포함하고, 원형 플레이트(예: 도 3의 430)는 상기 비 원형 리세스(예: 도 3의 422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비 원형 돌출부(예: 도 4b의 4310)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비 원형 리세스(예: 도 3의 4226)와 비 원형 돌출부(예: 도 4b의 4310)의 접촉 상태, 폴(예: 도 3의 440)과 제 2 환형부(예: 도 4b의 4222)의 결합 상태 및/또는 휠(예: 도 3의 4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조임 동작 또는 풀림 동작이 구현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101)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501에서, 휠(예: 도 3의 420)은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예: 도 3의 420)은 사용자에 의해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503에서, 비 원형 리세스(예: 도 3의 4226) 및 비 원형 돌출부(예: 도 4b의 4310)가 서로 접하여 상기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임 동작에서는 휠(예: 도 3의 420)이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비 원형 리세스(예: 도 3의 4226) 및 비 원형 돌출부(예: 도 4b의 4310)가 접촉되어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비 원형 리세스(예: 도 3의 4226) 및 비 원형 돌출부(예: 도 3의 4310)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휠(예: 도 3의 420)을 돌리면, 휠(예: 도 3의 420)의 회전력은 비 원형 돌출부(예: 도 4b의 4310)에 곧바로(directly)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505에서, 폴(예: 도 3의 440)은 리세스 가이드 채널(예: 도 7a의 4320)의 중심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 원형 돌출부(예: 도 4b의 4310)가 회전할 때, 폴(예: 도 3의 440)의 제 2 포션(예: 도 8a의 4412)은 비 대칭 라쳇 치형들 중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제 1 엣지(예: 도 8a의 4225a)에 의해 슬립되고, 폴(예: 도 3의 440)의 제 1 포션(예: 도 8a의 4411)은 리세스 캠 구조(예: 도 8b 4223)의 대칭 엣지에 의해 슬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예: 도 3의 440)은 전체적으로 리세스 가이드 채널(예: 도 3의 4320)의 중심방향으로 일부 후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507에서, 비 원형 돌출부(예: 도 4b의 4310)의 회전력은 스퍼 기어(예: 도 4a의 410)를 통하여, 밴드 구조(예: 도 3의 300)에 전달될 수 있다. 조임 동작에서는 제 1 밴드(예: 도 3의 310)의 제 1 단부(311) 및 제 2 밴드(예: 도 3의 320)의 제 3 단부(312)가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부(예: 도 3의 311) 및 제 3 단부(예: 도 3의 321)가 가까워지면 하우징(예: 도 2의 200)의 치수(또는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풀림 동작(또는 제1풀림 동작)은, 동작 1601에서, 상기 휠(예: 도 3의 420)을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풀림 동작은 동작 1603에서, 상기 휠(예: 도 3의 420)이 상기 비 원형 리세스(예: 도 3의 4226)와 비 원형 돌출부(예: 도 4b의 4310) 사이의 갭(예: 도 11의 g)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풀림 동작은 동작 1605에서, 비 원형 리세스(예: 도 3의 4226) 및 비 원형 돌출부(예: 도 4b의 4310)가 서로 접하여 상기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풀림 동작에서는, 휠(예: 도 2의 420)이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할 때, 비 원형 리세스(예: 도 3의 4226) 및 비 원형 돌출부(예: 도 4b의 4310)가 접촉되어 있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비 원형 리세스(예: 도 3의 4226) 및 비 원형 돌출부(예: 도 4b의 4310)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휠(예: 도 3의 420)을 돌리면, 휠(예: 도 3의 420)의 회전력은 갭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회전한 다음에 비로소 비 원형 돌출부(예: 도 4b의 4310)에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풀림 동작은 동작 1607에서, (예: 도 4b의 4310)의 제 2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폴(예: 도 3의 440)이 리세스 가이드 채널(예: 도 3의 4320)의 중심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비 원형 돌출부(예: 도 4b의 4310)가 회전할 때, 폴(예: 도 3의 440)의 제 2 포션(예: 도 8a의 4412)은 비 대칭 라쳇 치형 중 상대적으로 급한 경사를 가지는 제 2 엣지(예: 도 8a의 4225b)에 의해 가로막혀 슬립이 제한될 수 있고, 폴(예: 도 3의 440)의 제 1 포션(예: 도 8a의 4411)은 리세스 캠 구조(예: 도 8b 4223)의 대칭 엣지에 의해 슬립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2 포션(예: 도 8a의 4412)은 비대칭 라쳇 치형 중 제 2 엣지에 의해 가로막혀 슬립이 제한되더라도, 제 1 포션(예: 도 8a의 4411)은 대칭 엣지와 맞닿으며 적어도 지정된 슬립량만큼은 슬립이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풀림 동작에서도, 폴(예: 도 3의 440)은 전체적으로 리세스 가이드 채널(예: 도 3의 4320)의 중심방향으로 일부 후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풀림 동작은 동작 1609에서, 비 원형 돌출부(예: 도 4b의 4310)의 회전력은 스퍼 기어(예: 도 4a의 410)를 통하여 밴드 구조(예: 도 3의 300)에 전달될 수 있다. 풀림 동작에서는 상기 제 1 밴드(예: 도 3의 310)의 제 1 단부(예: 도 3의 311) 및 제 2 밴드(예: 도 3의 320)의 제 3 단부(예: 도 3의 321)가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상기 조임 동작의 경우 휠(예: 도 3의 420)의 회전력이 비 원형 돌출부(예: 도 4b의 4310)에 곧바로(directly) 전달되어 시간차가 존재 하지 않지만, 풀림 동작의 경우 휠(예: 도 3의 420)의 회전력이 비 원형 리세스(예: 도 3의 4220)와 비 원형 돌출부의 갭(예: 도 11의 g)만큼 보상한 다음 전달되기 때문에 시간차가 존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회전 방향과 제 2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으며, 휠(예: 도 3의 420)이 어떤 방향으로 회전할 때, 조임 동작이 발생하는 지 또는 풀림 동작이 발생하는 지 여부는, 비대칭 라쳇 치형에서 제 1 엣지(예: 도 8a의 4225a) 및 제 2엣지(예: 도 8a의 4225b)가 형성된 위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 1 회전 방향(시계방향)일 때 풀림 동작이 발생하고, 제 2 회전 방향(반시계방향)일 때 조임 동작이 발생할 수도 있다.
도 17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급속 풀림 동작(제 2 풀림 동작)은, 동작 710에서, 버튼부(예: 도 3의 210)를 누르는 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720에서, 상기 버튼부가 눌러짐에 따라, 커넥터(예: 도 3의 40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버튼부에 연결된 링크 부재(예: 도 3의 470)가 눌려질 수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730에서링크 부재(예: 도 3의 470)의 눌림에 따라, 상기 폴(예: 도 3의 440)이 상기 리세스 가이드 채널(예: 도 7a의 4320)의 중심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1701및 동작 1703과 관련하여, 버튼부(예: 도 3의 210)는 링크 부재(예: 도 3의 470)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버튼부(예: 도 3의 210)의 눌림 동작은 링크 부재(예: 도 3의 470)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동작 1705와 관련하여, 링크 부재(예: 도 3의 470)에는 경사 레그(예: 도 13의 473)가 형성되고, 폴(예: 도 3의 440)에는 경사홈(예: 도 5의 4422) 및 경사면(예: 도 5의 44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링크 부재(예: 도 3의 470)가 수직방향으로 눌리는 동작에 의해 폴(예: 도 3의 440)은 리세스 가이드 채널(예: 도 3의 4320)의 중심 방향으로 수평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급속 풀림 동작에 따르면, 버튼부(예: 도 3의 210)가 눌리고 있는 동안, 폴(예: 도 3의 440)은 항상 리세스 가이드 채널(예: 도 3의 4320)의 중심 방향으로 후퇴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버튼부(예: 도 3의 210)가 눌리고 있는 동안 휠(420)이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면, 폴(예: 도 3의 440)의 단부가 비대칭 라쳇 치형에 걸려 있는 지 여부에 상관없이, 풀림 동작을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부품들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밴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구조는, 상기 하우징의 제 1 영역(a first region)에 연결된 제 1 단부(a first end portion), 및 제 1 랙기어를 포함하는 제 2 단부(a second end portion)를 포함하는 제 1 밴드; 상기 하우징의 제 2 영역(a second region, 202b)에 연결된 제 3 단부(a third end portion), 및 상기 제 1 랙기어와 평행한 제 2 랙기어를 포함하는 제 4 단부(a fourth end portion)를 포함하는 제 2 밴드; 및 상기 제 2 단부 및 제 4 단부에 맞물려 움직일 수 있는, 조절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제 1 밴드, 커넥터 및 제 2 밴드가 함께 폐루프를 형성하며,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구조; 상기 커넥터 하우징 구조 내부에 배치된 스퍼 기어(spur gear);로서, 제 1 랙기어 및 제 2 랙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스퍼기어, 상기 스퍼 기어와 동축이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구조 밖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 구조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휠로서, 상기 휠은, 상기 제 1 랙기어 및 제 2 랙기어를 마주보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은 제 1 환형부를 포함하는 환형의 내벽을 형성하는 원형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환형부는, 서로 반대 방향에 놓인 제 1 리세스 캠 구조 및 제 2 리세스 캠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세스 캠 구조 및 제 2 리세스 캠 구조 각각은 대칭 엣지들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구조에 포함되는 제 2 환형부로서, 상기 제 2 환형부는, 제 1 슬로프(a first slope)를 갖는 제 1 엣지 및 상기 제 1 슬로프보다 큰 제 2 슬로프(a second slope)를 갖는 제 2 엣지를 가지는 비대칭 라쳇 치형들(ratchet tooth)을 포함하는 내부 라쳇 링을 형성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원형 리세스에 배치되는 원형 플레이트로서,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스퍼 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리세스 가이드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세스 캠 구조 및 제 2 리세스 캠 구조 사이의 상기 가이드 채널 내에서 직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제 1 폴(a first pawl)로서, 상기 제 1 폴은 제 1 단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부면은, 상기 제 1 리세스 캠 구조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 1 형상을 갖는 제 1 포션; 및 상기 비대칭 라쳇 치형들 중 하나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 2 형상을 갖는 제 2 포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폴 및 제 2 리세스 캠 구조 사이의 상기 가이드 채널 내에서 직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제 2 폴(second pawl)로서, 상기 제 2 폴은 제 2 단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부면은, 상기 제 2 리세스 캠 구조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 3 형상을 갖는 제 3 포션; 및 상기 제 2 형상을 갖는 제 4 포션을 포함하고, 상기 라쳇 링, 제 2 포션 및 제 4 포션은, 상기 휠이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되, 상기 제 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도록 하고, 상기 제 1 리세스 캠 구조, 제 2 리세스 캠 구조 및 제 1 포션과 제 2 포션은, 상기 제 1 폴 및 제 2 폴이 상기 라쳇 링로부터 멀어지도록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상기 휠을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1 폴 및 제 2 폴 사이에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휠은 상기 원형 리세스와 동축인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퍼 기어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 1 밴드 및 제 2 밴드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휠은 상기 원형 리세스에서 스퍼 기어 방향으로 상기 원형 리세스보다 더 오목하게 형성된 비 원형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스퍼 기어를 향해 돌출된 비 원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 원형 돌출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 원형 리세스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비 원형 돌출부의 제 1 엣지(a first edge) 및 상기 비 원형 리세스의 제 1 엣지(a first edge)는, 상기 휠이 상기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서로 접촉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비 원형 돌출부의 상기 제 1 엣지(a first edge) 및 상기 비 원형 리세스의 상기 제 1 엣지(a first edge)는, 상기 휠이 상기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비 원형 돌출부의 제 2 엣지(a second edge) 및 상기 비 원형 리세스의 제 2 엣지(a second edge)들은, 상기 휠이 상기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서로 접촉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비 원형 돌출부의 상기 제 2 엣지(a second edge) 및 상기 비 원형 리세스의 상기 제 2 엣지(a second edge)는, 상기 휠이 상기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사이의 제 3 영역에, 버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버튼부를 상기 커넥터와 연결시키는 링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제 1 폴 및 제 2 폴을 마주보는 제 1 면; 상기 제 1 폴 및 제 2 폴을 마주보는 제 1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폴 및 제 2 폴의 내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경사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버튼부의 눌림 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 및 제 2 폴을 상기 리세스 가이드 채널의 중심 방향으로 후퇴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1 환형부는 상기 제 2 환형부와 적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 2 환형부는 상기 휠 및 원형 플레이트 사이에 접합, 체결, 또는 끼워맞춤되어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환형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부품들을 수용하는 하우징; 적어도 하나의 밴드; 및 상기 밴드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밴드의 적어도 일부분과 맞물리는 스퍼 기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퍼 기어와 동축이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휠; 상기 휠과 동축이며, 상기 휠에 형성된 원형 리세스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원형 플레이트; 및 상기 원형 플레이트에 형성된 리세스 가이드 채널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원형 리세스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 1 폴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주면에 비대칭 라쳇 치형들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원형 리세스의 내주면에 상기 비대칭 라쳇 치형들과 적층구조를 이루는, 대칭 엣지를 가지는 리세스 캠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폴은 일측의 단부면이 상기 비대칭 라쳇 치형들 및 리세스 캠 구조 대응하여 맞물리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원형 리세스에는, 상기 원형 리세스 보다 더 오목하게 형성된 비 원형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플레이트에는, 상기 비 원형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비 원형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밴드; 및 상기 밴드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비대칭 라쳇 치형들을 갖는 라쳇 구조 및 대칭 엣지를 갖는 리세스 캠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라쳇 구조에 일부가 대응하여 맞물리고, 상기 리세스 캠 구조에 적어도 다른 일부가 맞물리는 제 1 폴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 전자 장치 200 : 하우징
201 : 제 1 하우징 202 : 제 2 하우징
202a : 하우징의 제 1 영역 202b : 하우징의 제 2 영역
202c : 하우징의 제 3 영역 210 : 버튼부
300 : 밴드 구조 310 : 제 1 밴드
311 : 제 1 단부 312 : 제 2 단부
313 : 제 1 랙기어 320 : 제 2 밴드
321 : 제 3 단부 322 : 제 4 단부
323 : 제 2 랙기어 400 : 커넥터
401a : 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 401b: 후방 커넥터 하우징 구조(커버)
402 : 체결부 403, 404 : 복수의 홀
405 : 커버 제 1 면(전면) 406 : 커버 제 1-1 면(전면)
407 : 커버 제 1-2 면(전면) 408 : 커버 제 2 면(후면)
410 : 스퍼 기어 420 : 휠
421 : 제 1 면 422 : 제 2 면
4220 : 원형 리세스 4221 : 제 1 환형부
4221 : 제 1 환형부 상면 4222 : 제 2 환형부
4223 : 제 1 리세스 캠 구조 4223a, 4223b : 대칭 엣지
4224 : 제 2 리세스 캠 구조 4224a, 4224b : 대칭 엣지
4225 : 라쳇 링 4225a : 제 1 엣지
4225b : 제 2 엣지 4226 : 비 원형 리세스
4226a : 비 원형 리세스의 제 1 엣지 4226b : 비 원형 리세스의 제 2 엣지
423 : 개구 430 : 원형 플레이트
431 : 원형 플레이트 제 1 면 4310 : 비 원형 돌출부
4310a : 비 원형 돌출부의 제 1 엣지 4310b : 비 원형 돌출부의 제 2 엣지
432 : 원형 플레이트 제 2 면 4320 : 리세스 가이드 채널
440 : 제 1 폴(a first pawl) 441 : 제 1 단부면(an end surface)
4411 : 제 1 포션(a first portion) 4412 : 제 2 포션(a second portion)
442 : 몸체부 4421 : 경사면
4422 : 경사홈 450 : 제 2 폴(a second pawl)
451 : 제 2 단부면(ans end surface) 4511 : 제 3 포션(a third portion)
4512 : 제 4 포션(a fourth portion) 460 : 탄성 부재
470 : 링크 부재 471 : 링크 제 1 면
472 : 링크 제 2 면 473 : 경사 레그

Claims (20)

  1.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자 부품들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밴드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 구조는,
    상기 하우징의 제 1 영역(a first region)에 연결된 제 1 단부(a first end portion), 및 제 1 랙 기어(rack gear)를 포함하는 제 2 단부(a second end portion)를 포함하는 제 1 밴드;
    상기 하우징의 제 2 영역(a second region)에 연결된 제 3 단부(a third end portion), 및 상기 제 1 랙 기어와 평행한 제 2 랙 기어를 포함하는 제 4 단부(a fourth end portion)를 포함하는 제 2 밴드; 및
    상기 제 2 단부 및 제 4 단부에 맞물려 움직일 수 있는, 조절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제 1 밴드, 커넥터 및 제 2 밴드가 함께 폐루프를 형성하며,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구조;
    상기 커넥터 하우징 구조 내부에 배치된 스퍼 기어(spur gear)로서, 제 1 랙기어 및 제 2 랙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스퍼기어;
    상기 스퍼 기어와 동축이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구조 밖으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터 하우징 구조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휠로서,
    상기 휠은,
    상기 제 1 랙 기어 및 제 2 랙 기어를 마주보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은 제 1 환형부를 포함하는 환형의 내벽을 형성하는 원형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환형부는, 서로 반대 방향에 놓인 제 1 리세스 캠 구조 및 제 2 리세스 캠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세스 캠 구조 및 제 2 리세스 캠 구조 각각은 대칭 엣지들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 구조에 포함되는 제 2 환형부로서, 상기 제 2 환형부는, 제 1 슬로프(a first slope)를 갖는 제 1 엣지 및 상기 제 1 슬로프보다 큰 제 2 슬로프(a second slope)를 갖는 제 2 엣지를 가지는 비대칭 라쳇 치형들(ratchet teeth)을 포함하는 내부 라쳇링을 형성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원형 리세스에 배치되는 원형 플레이트로서,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스퍼 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된 리세스 가이드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세스 캠 구조 및 제 2 리세스 캠 구조 사이의 상기 가이드 채널 내에서 직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제 1 폴(a first pawl)로서, 상기 제 1 폴은 제 1 단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부면은,
    상기 제 1 리세스 캠 구조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 1 형상을 갖는 제 1 포션; 및 상기 비대칭 라쳇 치형들 중 하나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 2 형상을 갖는 제 2 포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폴 및 제 2 리세스 캠 구조 사이의 상기 가이드 채널 내에서 직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제 2 폴(a second pawl)로서, 상기 제 2 폴은 제 2 단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부면은,
    상기 제 2 리세스 캠 구조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 3 형상을 갖는 제 3 포션; 및 상기 제 2 형상을 갖는 제 4 포션을 포함하고,
    상기 라쳇 링, 제 2 포션 및 제 4 포션은, 상기 휠이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되, 상기 제 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도록 하고,
    상기 제 1 리세스 캠 구조, 제 2 리세스 캠 구조 및 제 1 포션과 제 2 포션은, 상기 제 1 폴 및 제 2 폴이 상기 라쳇 링로부터 멀어지도록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상기 휠을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1 폴 및 제 2 폴 사이에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상기 원형 리세스와 동축인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퍼 기어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 1 밴드 및 제 2 밴드와 연결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상기 원형 리세스에서 스퍼 기어 방향으로 상기 원형 리세스보다 더 오목하게 형성된 비 원형 리세스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스퍼 기어를 향해 돌출된 비 원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 원형 리세스에 배치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 원형 돌출부의 제 1 엣지(a first edge) 및 상기 비 원형 리세스의 제 1 엣지(a first edge)는, 상기 휠이 상기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서로 접촉하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 원형 돌출부의 상기 제 1 엣지(a first edge) 및 상기 비 원형 리세스의 상기 제 1 엣지(a first edge)는, 상기 휠이 상기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 원형 돌출부의 제 2 엣지(a second edge) 및 상기 비 원형 리세스의 제 2 엣지(a second edge)들은, 상기 휠이 상기 제 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서로 접촉하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 원형 돌출부의 상기 제 2 엣지(a second edge) 및 상기 비 원형 리세스의 상기 제 2 엣지(a second edge)는, 상기 휠이 상기 제 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사이의 제 3 영역에, 버튼부가 형성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를 상기 커넥터와 연결시키는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제 1 폴 및 제 2 폴을 마주보는 제 1 면; 상기 제 1 폴 및 제 2 폴을 마주보는 제 1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1 폴 및 제 2 폴의 내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경사 레그;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버튼부의 눌림 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 및 제 2 폴을 상기 리세스 가이드 채널의 중심 방향으로 후퇴시키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환형부는 상기 제 2 환형부와 적층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환형부는 상기 휠 및 원형 플레이트 사이에 접합, 체결, 또는 끼워맞춤되어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환형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6. 전자 부품들을 수용하는 하우징;
    적어도 하나의 밴드; 및
    상기 밴드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밴드의 적어도 일부분과 맞물리는 스퍼 기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퍼 기어와 동축이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휠;
    상기 휠과 동축이며, 상기 휠에 형성된 원형 리세스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원형 플레이트; 및
    상기 원형 플레이트에 형성된 리세스 가이드 채널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원형 리세스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 1 폴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주면에 비대칭 라쳇 치형들이 형성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리세스의 내주면에 상기 비대칭 라쳇 치형들과 적층구조를 이루는, 대칭 엣지를 가지는 리세스 캠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폴은 일측의 단부면이 상기 비대칭 라쳇 치형들 및 리세스 캠 구조 대응하여 맞물리는 형상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리세스에는, 상기 원형 리세스 보다 더 오목하게 형성된 비 원형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플레이트에는, 상기 비 원형 리세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비 원형 돌출부가 형성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20. 적어도 하나의 밴드; 및
    상기 밴드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비대칭 라쳇 치형들을 갖는 라쳇 구조 및 대칭 엣지를 갖는 리세스 캠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라쳇 구조에 일부가 대응하여 맞물리고, 상기 리세스 캠 구조에 적어도 다른 일부가 맞물리는 제 1 폴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0180031734A 2018-03-19 2018-03-19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423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734A KR102423139B1 (ko) 2018-03-19 2018-03-19 웨어러블 전자 장치
PCT/KR2018/016741 WO2019182232A1 (ko) 2018-03-19 2018-12-27 웨어러블 전자 장치
EP18910875.6A EP3754454A4 (en) 2018-03-19 2018-12-27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1880091530.8A CN111886559B (zh) 2018-03-19 2018-12-27 可穿戴电子装置
US16/981,233 US11416026B2 (en) 2018-03-19 2018-12-27 Wearab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734A KR102423139B1 (ko) 2018-03-19 2018-03-19 웨어러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980A true KR20190109980A (ko) 2019-09-27
KR102423139B1 KR102423139B1 (ko) 2022-07-21

Family

ID=6798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734A KR102423139B1 (ko) 2018-03-19 2018-03-19 웨어러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16026B2 (ko)
EP (1) EP3754454A4 (ko)
KR (1) KR102423139B1 (ko)
CN (1) CN111886559B (ko)
WO (1) WO201918223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8018B1 (en) 2020-10-12 2021-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22019452A1 (ko) * 2020-07-21 2022-0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조절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7447B (zh) * 2017-11-24 2019-09-03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调节装置及头显设备
CN114355612A (zh) * 2019-12-06 2022-04-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保护壳体及头戴式设备
CN110908118B (zh) * 2019-12-06 2021-10-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头戴式设备
CN110967838B (zh) * 2019-12-06 2022-06-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头戴式设备
CN110908120B (zh) * 2019-12-06 2021-11-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头戴式设备
CN112586847B (zh) * 2020-12-21 2022-11-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连接结构及可穿戴设备
CN113419347B (zh) * 2021-05-31 2023-01-24 潍坊歌尔电子有限公司 头戴调节装置和头戴显示设备
CN113775057A (zh) * 2021-09-30 2021-12-10 胡晓晴 一种可移动式正压层流洁净罩
CN114217437B (zh) * 2021-11-08 2022-11-15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调节装置、后绑带及头戴显示设备
CN114247105B (zh) * 2021-12-21 2022-11-18 王思阳 一种基于双腕力球系统的能量回收利用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9834A (ko) * 2008-10-21 2011-07-08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피봇식 패드를 갖는 헤드밴드
KR101150518B1 (ko) * 2010-08-13 2012-05-31 주식회사 에스탑 안전모용 머리받침밴드 조임 조절장치
WO2016136657A1 (ja) * 2015-02-27 2016-09-01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KR20170011320A (ko) * 2015-07-22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US20180003984A1 (en) * 2015-12-31 2018-01-04 Beijing Pico Technology Co., Ltd. Head mounte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3643B2 (ja) 2005-09-13 2011-06-29 ブーヘラー・モントレス・ソシエテ・アノニム 腕時計
EP2207443B1 (en) 2007-10-10 2011-09-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ead suspension having transition arms and rear support
US8714421B2 (en) 2010-12-01 2014-05-06 Phil Norling Wearable assembly for carrying devices
KR101463337B1 (ko) 2013-05-06 2014-11-18 김청균 스마트 안전모듈
US9557569B2 (en) * 2014-05-02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ed reality system eye relief adjustment mechanism
KR101692524B1 (ko) 2014-12-31 2017-01-04 서울특별시 다기능 안전면체
US10630332B2 (en) * 2015-07-22 2020-04-21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WO2017026728A1 (en) 2015-08-13 2017-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upling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48688B1 (ko) 2015-08-13 2022-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가능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68026B1 (ko) 2015-08-13 2024-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결착 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6019602B (zh) * 2016-08-03 2018-03-30 深圳酷酷科技有限公司 头戴式显示设备
KR102500141B1 (ko) * 2016-08-30 2023-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선된 체결 구조를 갖는 스트랩 및 그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CN107076995B (zh) * 2016-09-27 2019-02-12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视频眼镜的头带调节装置、头带及视频眼镜
TWI632871B (zh) * 2017-06-20 2018-08-21 宏碁股份有限公司 繫帶調整結構
CN108205202B (zh) * 2018-01-31 2023-11-03 歌尔科技有限公司 头戴显示设备及其绑带调节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9834A (ko) * 2008-10-21 2011-07-08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피봇식 패드를 갖는 헤드밴드
KR101150518B1 (ko) * 2010-08-13 2012-05-31 주식회사 에스탑 안전모용 머리받침밴드 조임 조절장치
WO2016136657A1 (ja) * 2015-02-27 2016-09-01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KR20170011320A (ko) * 2015-07-22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US20180003984A1 (en) * 2015-12-31 2018-01-04 Beijing Pico Technology Co., Ltd. Head mounted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452A1 (ko) * 2020-07-21 2022-0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조절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US11058018B1 (en) 2020-10-12 2021-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KR102274481B1 (ko) * 2020-10-12 2021-07-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80604A1 (en) * 2020-10-12 2022-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11805605B2 (en) 2020-10-12 202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86559A (zh) 2020-11-03
CN111886559B (zh) 2024-03-29
US20210041909A1 (en) 2021-02-11
EP3754454A4 (en) 2021-04-21
WO2019182232A1 (ko) 2019-09-26
KR102423139B1 (ko) 2022-07-21
US11416026B2 (en) 2022-08-16
EP3754454A1 (en)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3139B1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200141163A (ko) 스트랩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12045097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1726530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inge assembly
US10101639B2 (en) Low-profile lens mount
US9189028B2 (en) Portable computer-communicator device with rollable display
KR102509159B1 (ko)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KR20210076492A (ko) 유격 보상 구조를 포함하는 롤러블 전자 장치
KR20200129645A (ko) 슬라이드 바디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50130666A1 (en) Assembled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20210006249A (ko)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68181B1 (ko)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200134436A (ko) 카메라 팝업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73374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nector to which accessory device is attachable
KR102666320B1 (ko) 입출력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701427B1 (ko) 듀얼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
US11271304B2 (en) Multi feeding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10072949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rotary input having a rotary member enclosing and rotating with respect to a main body including a first and a second region corresponding to a first and a second attribute
KR20210004755A (ko) 폴더블 전자 장치의 케이스
KR20200022942A (ko)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키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660800B1 (ko) 회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48888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mponent tray
KR102502607B1 (ko)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33563A (ko) 방열 시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43007A (ko)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