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320B1 - 입출력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입출력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320B1
KR102666320B1 KR1020190075283A KR20190075283A KR102666320B1 KR 102666320 B1 KR102666320 B1 KR 102666320B1 KR 1020190075283 A KR1020190075283 A KR 1020190075283A KR 20190075283 A KR20190075283 A KR 20190075283A KR 102666320 B1 KR102666320 B1 KR 102666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using
insertion hole
electronic devi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229A (ko
Inventor
이선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5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320B1/ko
Priority to PCT/KR2020/008125 priority patent/WO2020262908A1/en
Priority to EP20831810.5A priority patent/EP3970243A4/en
Priority to US16/910,217 priority patent/US11146013B2/en
Priority to CN202080045577.8A priority patent/CN113994548A/zh
Publication of KR20210000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229A/ko
Priority to US17/494,928 priority patent/US1154577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2Means for accommodating flexible lead within the hol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01R13/6456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comprising keying elements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network, e.g. LAN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computer periph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자장치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납되어 인출가능하며, 외부 전자자기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케이블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배치되는 입출력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과 함께 상기 전자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에 연결된 탄성체, 및 외부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 단자가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회동에 따라 크기가 변경되는 삽입구를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소개된다. 이밖에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입출력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I/O CONNECTOR AND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입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에는 외부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입출력 커넥터가 존재한다. 입출력 커넥터는 전자장치의 설계 사양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입출력 커넥터는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모양 또는 대칭형, 비대칭형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입출력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입출력 커넥터에 다양한 케이블 단자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케이블 단자와 입출력 커넥터 사이의 삽입방향을 잘못 정렬하여 삽입됨으로써 입출력 커넥터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는 케이블 단자의 삽입방향이 잘못된 경우 입출력 커넥터에 삽입이 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는, 전자장치의 외형을 형성하고,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과 함께 상기 전자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에 연결된 탄성체, 및 외부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 단자가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회동에 따라 크기가 변경되는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자장치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납되어 인출가능하며, 외부 전자자기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케이블,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배치되는 입출력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과 함께 상기 전자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에 연결된 탄성체, 및 외부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 단자가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회동에 따라 크기가 변경되는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커넥터에 케이블 단자가 잘못 삽입(예: 역방향 삽입)되는 경우 삽입자체를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입출력 커넥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입출력 커넥터 부분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의 커버를 제거하고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제1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제2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하우징의 일부를 제거하고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에 케이블 단자가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에 케이블 단자가 삽입된 상태를 커버를 제거하고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에 케이블 단자가 잘못 삽입되는 것이 차단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에 케이블 단자가 잘못 삽입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를 커버를 제거하고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장치(예: 전자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장치(101)가 외부 전자장치(예: 전자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장치(101)가 외부 전자장치(예: 전자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장치(101)와 외부 전자장치(예: 전자장치(102), 전자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장치(101)와 외부의 전자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0)의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0)의 입출력 커넥터(200')가 배치된 부분을 정면으로 바라본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0)는 하우징(210), 입출력 커넥터(200') 및/또는 연결 케이블(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10)은 전자장치(20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다양한 전자부품을 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 도 1 참조), 메모리(130, 도 1 참조), 또는 통신 모듈(190, 도 1 참조)이 내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케이블(2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0)를 외부 전자장치(미도시)와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으로서, 외부 전자장치(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으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200')(예: 도 1의 연결 단자(178))는 이를 통해서 전자장치(200)가 외부기기(예: 도 1의 전자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의미할 수 있다. 물리적 연결을 위하여 케이블 단자(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커넥터(200')는,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2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LAN 통신을 위한 커넥터를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200', 도 2 참조)의 커버(220, 도 2 참조)를 제거하고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10)에는 개구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211)는 입출력 커넥터(20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11)는 입출력 커넥터(200')의 삽입구(23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구(230)는 개구부(211)의 일부분이 커버(220)에 의해 덮어지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200')는 커버(220), 힌지 축(221), 탄성체(223), 리브(231) 및/또는 삽입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20)는 하우징(210)의 개구부(211)를 일부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220)는 하우징(210)의 개구부(211)를 일부분 덮으며 하우징(210)과 함께 전자장치(2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220)는 하우징(210)과 함께 연속적인 표면을 형성하여 매끄러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20)는 상기 하우징(210)에 힌지 결합되어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힌지 축(221)은 하우징(210)에 결합되어 커버(220)의 회동 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힌지 축(221)은 막대 타입으로 형성될 수 도 있고, 동일 축상에 마주보며 돌출된 형태의 돌기 타입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223)는 커버(220)가 회동하여, 특정 위치에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22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과 연속적 표면을 형성하는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223)는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토션 스프링, 또는 강선 스프링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커버가 특정 위치에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구(230)는 외부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 단자(300)가 삽입되는 곳으로, 하우징(210)과 커버(2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230)는 커버(220)의 회동에 따라 그 크기가 변할 수 있다. 삽입구(230)는 제1높이(H1)를 갖는 제1영역(233)과 제2높이(H2, 도 6 참조)를 갖는 제2영역(235, 도 6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리브(231)는 삽입구(230)를 가로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 축선 상에 마주보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리브(231)는 제1영역(233)과 제2영역(235)을 구분하는 기준이 될 수 있으며, 케이블 단자(300)의 잘못된 삽입(예: 역방향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200', 도 2 참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제1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제2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20)는 하우징(210)의 개구부(211)를 일부분 덮으며 하우징(210)과 함께 전자장치(2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220)는 하우징(210)과 함께 연속적인 표면을 형성하여 매끄러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상태를 제1상태라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223, 도 4 참조)는 커버(220)가 제1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커버(22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상태에서도 삽입구(230)의 일부는 노출될 수 있으나, 노출된 삽입구(230)의 크기는 케이블 몸체(301, 도 10 참조)의 단면적(예: 도 4의 제1영역(233)) 보다 작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20)가 회동하여 삽입구(230)의 크기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커버(220)는 힌지 축(221, 도 4 참조)을 중심으로 일정범위 회동하여 삽입구(230)가 확장됨으로써 외부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 단자(300, 도 10 참조) 삽입될 수 있다. 이 상태를 제2상태라 할 수 있다.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의 변경은 케이블 단자(300)의 삽입을 위해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구(230)는 제1영역(233) 및 제2영역(235)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구(230)의 제1영역(233)과 제2영역(235)은 리브(231)를 연장하여 형성한 가상선(237)을 중심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영역(233)은 가상선(237)을 중심으로 일측(예: 도 6 도시상태 기준 하방)에 위치할 수 있고, 제2영역(235)은 가상선(237)을 중심으로 타측(예: 도 6 도시상태 기준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영역(233)은 제1높이(H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 몸체(301, 도 10 참조)의 단면 넓이에 대응될 수 있다. 제2영역(235)은 제2높이(H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의 삽입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케이블 클립(303, 도 10 참조)의 단면 넓이에 대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영역(233)은 제1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제2영역(235)은 리브(231)의 두께를 포함하여 제2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0)의 하우징(210)의 일부를 제거하고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20)가 제1상태에 있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20)가 제2상태에 있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223)는 힌지 축(221)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형성되고, 하우징(210)과 커버(220)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체(223)는 커버(220)가 하우징(210)과 함께 매끄러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제1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커버(22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커버(220)가 일정범위 회동하여 하우징(2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200')에는 커버(220)의 회동범위를 결정하는 스토퍼(225)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25)는 하우징(210) 또는 커버(220)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25)는 삽입구(230)에 케이블 단자(300)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까지 확장되도록 커버(220)를 회동시키되 그 이상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220)의 회동범위를 케이블 단자(300)의 크기에 맞추어 제한함으로써, 케이블 단자(300)가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되거나, 다른 종류의 케이블 단자(300)가 삽입되는 것을 1차 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200')를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내지 도 11은 도 9의 입출력 커넥터(200')에 케이블이 정방향으로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200')는 커버(220), 힌지 축(221), 탄성체(223), 리브(231) 및/또는 삽입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220)는 하우징(210)에 힌지 결합하여 힌지 축(221)을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 회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223)는 힌지 축(221)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하우징(210)과 커버(220)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체(223)는 커버(220)가 하우징(210)의 표면과 연속적으로 위치하여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는 제1상태를 유지하도록 커버(22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은 LAN 케이블(예: RJ45)일 수 있으며, 입출력 커넥터(200')는 LAN 케이블 삽입을 위한 커넥터일 수 있다. 케이블 단자(300)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케이블 몸체(301)와 케이블 단자(300)가 입출력 커넥터(20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케이블 클립(303)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몸체(301)의 높이는 제1영역(233)의 제1높이(H1)에 대응될 수 있고, 케이블 클립(303)의 높이는 제2영역(235)의 제2높이(H2)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리브(231)는 삽입공을 제1높이(H1)를 갖는 제1영역(233)과 제2높이(H2)를 갖는 제2영역(235)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1은 커버(220)가 제2상태로 회동하여 케이블 단자(300)가 정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케이블 단자(300)가 정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란, 케이블 몸체(301)가 제1영역(233)에 대응되고, 케이블 클립(303)이 제2영역(235)에 대응되도록 정렬되어 삽입구(230)에 삽입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리브(231)는 제1영역(233)이 제1높이(H1)를 갖도록 삽입구(230)를 분할하였는바, 케이블 몸체(301)가 제1영역(233)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케이블 클립(303)은 제2높이(H2)를 갖고 있다 하더라도, 제2영역(235)의 높이는 리브(231)의 두께를 포함하여 제2높이(H2)가 되도록 형성되었는바, 삽입되는 과정에서 리브(231)와 간섭될 수 있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브(231)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연결되어 있지 않은바 제2영역(235)에 케이블 클립(303)이 삽입될 때 리브(231)와 간섭되지 않고 삽입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200')에 케이블 단자(300)가 정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를 커버(220)를 제거하고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리브(231)는 제1영역(233)이 제1높이(H1)를 갖도록 삽입공을 분할하였는바, 케이블 몸체(301)가 제1영역(233)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브(231)는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연결되어 있지 않은바 제2영역(235)에 케이블 클립(303)이 삽입됨에 리브(231)와 간섭되지 않고 삽입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200')에 케이블 단자(300)가 잘못 삽입(예: 역방향 삽입)되는 것이 차단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200')에 케이블 단자(300)가 잘못 삽입 또는 역방향 삽입이 되는 것은 삽입구(230)의 제1영역(233)에 케이블 클립(303)이 위치하고, 제2영역(235)에 케이블 몸체(301)가 위치하도록 정렬되어 삽입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케이블 단자(300)가 역방향을 삽입되는 경우, 케이블 몸체(301) 형상의 특성상 리브(231) 사이의 공간을 케이블 몸체(301)가 통과할 수 없어, 리브(231)와 케이블 몸체(301)가 간섭되어 삽입이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200')에 케이블 단자(300)가 잘못 삽입되는 것이 차단된 상태를 커버(220)를 제거하고 나타낸 도면이다.
케이블 단자(300)가 역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 삽입구(230)의 전체 높이(H1+H2)와 케이블 단자(300)의 높이는 대응될 수 있더라도, 케이블 몸체(301) 형상의 특성상 리브(231) 사이의 공간을 케이블 몸체(301)가 통과할 수 없어, 케이블 단자(300)의 역방향 삽입이 차단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케이블 단자(300)의 잘못된 삽입으로 인한 입출력 커넥터(200')의 손상(예: 삽입구(230) 자체의 파손, 또는 커넥터 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커넥터(예: 도 2의 입출력 커넥터(200'))는, 전자장치(예: 도 2의 전자장치(200))의 외형을 형성하고,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예: 도 4의 개구부(211))를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210)),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과 함께 상기 전자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예: 도 5의 커버(220)),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에 연결된 탄성체(예: 도 7의 탄성체(223)), 및 외부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 단자(예: 도 10의 케이블 단자(300))가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회동에 따라 크기가 변경되는 삽입구(예: 도 10의 삽입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커넥터(예: 도 2의 입출력 커넥터(200'))는 상기 커버(예: 도 5의 커버(220))의 회동 중심을 제공하는 힌지 축(예: 도 10의 힌지 축(2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예: 도 7의 탄성체(223))는 상기 힌지 축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버(예: 도 5의 커버(220))는, 상기 하우징(예: 도 5의 하우징(210))과 함께 매끄러운 전자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1상태(예: 도 5 참조) 및 회동하여 상기 삽입구(예: 도 6의 삽입구(230))에 상기 케이블 단자(예: 도 10의 케이블 단자(300))가 삽입 가능하게 확장된 제2상태(예: 도 6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예: 도 7의 탄성체(223))는 상기 제1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버(예: 도 5 또는 6의 커버(220)) 또는 상기 하우징(예: 도 5 또는 6의 하우징(210))에는 상기 커버의 상기 제1상태(예: 도 5 참조)에서 상기 제2상태(예: 도 6 참조)로의 회동범위를 결정하는 스토퍼(예: 도 8의 스토퍼(2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예: 도 10의 하우징(210))에는 상기 삽입구(예: 도 10의 삽입구(230))를 바라볼 때 상기 삽입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예: 도 10의 리브(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예: 10의 리브(231))는 상기 삽입구(예: 도 10의 삽입구(230))를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정렬되어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상태(예: 도 6 참조)에서 상기 삽입구(예: 도 6의 삽입구(230))를 바라볼 때, 상기 삽입구는 상기 리브(예: 도 11의 리브(231))가 돌출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선(예: 도 6의 가상선(237))을 중심으로 일측에 위치하고, 제1높이(예: 도 6의 제1높이(H1))를 갖는 제1영역(예: 도 6의 제1영역(233)) 및 타측에 위치하고, 제2높이(예: 도 6의 제2높이(H2))를 갖는 제2영역(예: 도 6의 제2영역(2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구(예: 도 6의 삽입구(230))의 상기 제1영역(예: 도 6의 제1영역(233))은 상기 제2영역(예: 도 6의 제2영역(235))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예: 도 6의 제1영역(233))은 상기 케이블 단자(예: 도 10의 케이블 단자(300))의 단면적에 대응하고, 상기 제2영역(예: 도 6의 제2영역(235))은 상기 케이블(예: 도 2의 연결 케이블(240))의 삽입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클립(예: 도 10의 케이블 클립(303))의 단면적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커버가 상기 제1상태일 때(예: 도 5 참조), 상기 삽입구(예: 도 5의 삽입구(230))는 상기 제1영역(예: 도 6의 제1영역(233))의 크기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예: 도 2의 전자장치(200))는, 전자장치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예: 도 4의 개구부(211))를 포함하는 하우징(예: 도 2의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납되어 인출가능하며, 외부 전자자기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케이블(예: 도 2의 연결 케이블(240))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배치되는 입출력 커넥터(예: 도 2의 입출력 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과 함께 상기 전자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예: 도 5의 커버(220)),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에 연결된 탄성체(예: 도 7의 탄성체(223)), 및 외부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 단자(예: 도 10의 케이블 단자(300))가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회동에 따라 크기가 변경되는 삽입구(예: 도 10의 삽입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커넥터(예: 도 2의 입출력 커넥터(200'))는, 상기 커버(예: 도 10의 커버(220))의 회동 중심을 제공하는 힌지 축(예: 도 10의 힌지 축(2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예: 도 10의 탄성체(223))는, 상기 힌지 축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버(예: 도 5 또는 6의 커버(220))는, 상기 하우징(예: 도 5 또는 6의 하우징(210))과 함께 매끄러운 전자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1상태(예: 도 5 참조) 및 회동하여 상기 삽입구(예: 도 6의 삽입구(230))에 상기 케이블 단자(예: 도 10의 케이블 단자(300))가 삽입 가능하게 확장된 제2상태(예: 도 6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예: 도 7의 탄성체(223))는 상기 제1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버(예: 8의 커버(220)) 또는 상기 하우징(예: 도 8의 하우징(210))에는 상기 커버의 상기 제1상태(예: 도 5 참조)에서 상기 제2상태(예: 도 6 참조)로의 회동범위를 결정하는 스토퍼(예: 도 8의 스토퍼(2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예: 도 10의 하우징(210))에는 상기 삽입구(예: 도 10의 삽입구(230))를 바라볼 때 상기 삽입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예: 도 10의 리브(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예: 도 10의 리브(231))는 상기 삽입구(예: 도 10의 삽입구(230))를 가로지르는 방향에 대하여 정렬되어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상태(예: 도 6 참조)에서 상기 삽입구(예: 도 6의 삽입구(230))를 바라볼 때, 상기 삽입구는 상기 리브(예: 도 10의 리브(231))가 돌출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의 선(예: 도 6의 가상선(237))을 중심으로 일측에 위치하고, 제1높이(예: 도 6의 제1높이(H1))를 갖는 제1영역(예: 도 6의 제1영역(233)) 및 타측에 위치하고, 제2높이(예: 도 6의 제2높이(H2))를 갖는 제2영역(예: 도 6의 제2영역(2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구(예: 도 6의 삽입구(230))의 상기 제1영역(예: 도 6의 제1영역(233))은 상기 제2영역(예: 도 6의 제2영역(235))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예: 도 6의 제1영역(233))은 상기 케이블 단자(예: 도 10의 케이블 단자(300))의 단면적에 대응하고, 상기 제2영역(예: 도 6의 제2영역(235))은 상기 케이블(예: 도 2의 케이블(240))의 삽입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클립(예: 도 10의 케이블 클립(303))의 단면적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커버(예: 도 5의 커버(220))가 상기 제1상태일 때(예: 도 5 참조), 상기 삽입구(예: 도 5의 삽입구(230))는 상기 제1영역(예: 도 6의 제1영역(233))의 크기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200: 전자장치 200': 입출력 커넥터
210: 하우징 211: 개구부
220: 커버 221: 힌지 축
223: 탄성체 225: 스토퍼
230: 삽입구 231: 리브
233: 제1영역 235: 제2영역
240: 연결 케이블 300: 케이블 단자
301: 케이블 몸체 303: 케이블 클립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연결된 커넥터, 상기 커넥터는,
    힌지 축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과 함께 상기 전자 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커버;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커버에 의해 외부 커넥터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삽입구의 크기가 변경되고, 및
    상기 힌지 축을 가로질러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커버에 연결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탄성체; 상기 탄성체는 상기 외부 커넥터가 상기 삽입구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커버가 복귀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삽입구에 대한 상기 외부 커넥터의 역방향 삽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위치되고, 상기 삽입구를 바라볼 때 상기 삽입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제 1 부분, 상기 커버와 결합된 제 2 부분, 및 상기 회전 축의 일부를 둘러싸는,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 사이의 제 3 부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복귀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과 함께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전자 장치의 매끄러운 외관을 형성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넥터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가 회전될 때 상기 커버의 회전 범위를 적어도 일부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커버 또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상기 삽입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열된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넥터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가 회전되면, 상기 삽입구를 바라볼 때, 상기 삽입구는 상기 제 1 리브 및 상기 제 2 리브의 정렬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 선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 1 영역, 및 상기 가상 선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구를 바라볼 때, 상기 정렬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영역은 제 1 높이를 가지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높이와는 다른 제 2 높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외부 커넥터의 제 1 단면적에 대응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외부 커넥터의 삽입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커넥터의 클립의 제 2 단면적에 대응되는 전자 장치.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LAN용인 전자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힌지 축의 일부를 둘러싸는 곡형인 전자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넥터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면, 상기 커버는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외부 커넥터에 의해 회전되는 전자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0075283A 2019-06-24 2019-06-24 입출력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666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283A KR102666320B1 (ko) 2019-06-24 2019-06-24 입출력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PCT/KR2020/008125 WO2020262908A1 (en) 2019-06-24 2020-06-24 Input/output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0831810.5A EP3970243A4 (en) 2019-06-24 2020-06-24 INPUT/OUTPUT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T
US16/910,217 US11146013B2 (en) 2019-06-24 2020-06-24 Input/output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2080045577.8A CN113994548A (zh) 2019-06-24 2020-06-24 输入/输出连接器和包括该输入/输出连接器的电子装置
US17/494,928 US11545778B2 (en) 2019-06-24 2021-10-06 Input/output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283A KR102666320B1 (ko) 2019-06-24 2019-06-24 입출력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229A KR20210000229A (ko) 2021-01-04
KR102666320B1 true KR102666320B1 (ko) 2024-05-16

Family

ID=7403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283A KR102666320B1 (ko) 2019-06-24 2019-06-24 입출력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146013B2 (ko)
EP (1) EP3970243A4 (ko)
KR (1) KR102666320B1 (ko)
CN (1) CN113994548A (ko)
WO (1) WO2020262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320B1 (ko) * 2019-06-24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입출력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D957396S1 (en) * 2019-07-18 2022-07-12 Shenzhen Nearbyexpress Technology Development Company Limited USB hub
US11757226B2 (en) * 2022-01-06 2023-09-12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ceiver connector prot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1010A1 (en) * 2012-03-01 2013-09-05 Wistron Corporation Connector mechanism
US20140134858A1 (en) * 2012-11-09 2014-05-15 Wistron Corporation Connector mechanism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8051B2 (ja) * 1997-12-25 2002-04-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カバー付きコネクタ
KR200189657Y1 (ko) 2000-02-10 2000-07-15 신현규 마우스
KR100365926B1 (ko) * 2001-01-04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조전원공급장치
KR20050051439A (ko) 2003-11-27 2005-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유.에스.비 장치
DE202004008816U1 (de) 2004-06-03 2004-10-14 Huang, Yea Yen, Tocheng Kabelaufroller in Kobination mit einem anderen Gerät
US6971921B1 (en) * 2004-08-24 2005-12-06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Open/close type electrical connector
CN101764307B (zh) * 2008-12-23 2012-05-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M364314U (en) * 2009-03-09 2009-09-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I379468B (en) * 2009-03-25 2012-12-11 Protek Shanghai Ltd Electrical connector socket and portable electrical device using the same
KR101163703B1 (ko) * 2010-11-30 2012-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충전 플러그 고정장치
TWI455417B (zh) * 2011-08-04 2014-10-01 Wistron Corp 用來連接連接線接頭之連接器機構
CN202405499U (zh) * 2011-11-23 2012-08-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使用该电连接器的电子设备
TWM438053U (en) * 2012-04-03 2012-09-21 Wistron Corp Connector mechanism for connecting a plug
CN103729022A (zh) 2012-10-15 2014-04-16 英业达科技有限公司 可携式电子装置
TWI482382B (zh) * 2012-11-09 2015-04-21 Wistron Corp 薄型電連接器以及具有薄型電連接器的電子裝置
TWM467231U (zh) 2012-11-09 2013-12-01 J S T Mfg Co Ltd 電連接構件、可攜式電子設備及電連接器
KR20140081343A (ko) 2012-12-21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커넥터, 이어폰, 전자 장치의 주변 장치 연결 방법 및 이어폰 연결 방법
JP6127915B2 (ja) * 2013-10-30 2017-05-17 富士通株式会社 コネクタの誤挿入防止機構及びコネクタ
TWI502823B (zh) * 2013-11-01 2015-10-01 Wistron Corp 連接器機構及包含連接器機構之電子裝置
CN104659538B (zh) * 2013-11-21 2017-03-15 英业达科技有限公司 插座连接器
US9472909B2 (en) * 2014-06-13 2016-10-18 Ezra J. Ginsberg Mobile device case with retractable cable
US9153985B1 (en) * 2014-09-30 2015-10-06 Mophie, Inc. Portable charging device
KR102666320B1 (ko) * 2019-06-24 2024-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입출력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1010A1 (en) * 2012-03-01 2013-09-05 Wistron Corporation Connector mechanism
US20140134858A1 (en) * 2012-11-09 2014-05-15 Wistron Corporation Connector mechanism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94548A (zh) 2022-01-28
EP3970243A1 (en) 2022-03-23
US11545778B2 (en) 2023-01-03
US20200403348A1 (en) 2020-12-24
US11146013B2 (en) 2021-10-12
US20220029343A1 (en) 2022-01-27
EP3970243A4 (en) 2022-07-06
WO2020262908A1 (en) 2020-12-30
KR20210000229A (ko) 202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1582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applied to same
US11714451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pen
KR20200121151A (ko)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US11531378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hinge structure
KR102666320B1 (ko) 입출력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372641B1 (ko) 실링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553068B2 (en) Contac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102503982B1 (ko) 휘어진 상태로 유지되는 가요성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73871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hinge
KR20200052679A (ko) 플렉서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310354B2 (en) Fold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1433707A (zh) 铰链结构以及具有该铰链结构的电子装置
KR20200013374A (ko) 도전성 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분을 포함하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3508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배터리 공유 방법
KR102701427B1 (ko) 듀얼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
KR102693822B1 (ko) 입출력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11287855B2 (en) Connect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210022921A (ko) 슬라이딩 동작되는 전자 장치
KR20210038108A (ko) 햅틱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60800B1 (ko) 회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488889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mponent tray
KR102719967B1 (ko)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19034A (ko) 연성 인쇄 회로 기판 및 그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10848B1 (ko) 보호 구조물이 마련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32109A (ko) 전력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