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255A - 액체 용기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체 용기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255A
KR20190109255A KR1020190026994A KR20190026994A KR20190109255A KR 20190109255 A KR20190109255 A KR 20190109255A KR 1020190026994 A KR1020190026994 A KR 1020190026994A KR 20190026994 A KR20190026994 A KR 20190026994A KR 20190109255 A KR20190109255 A KR 20190109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ontainer
temperatur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유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190109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18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rigi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27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4Coffee or tea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1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computer or a handheld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8Means for compensating acceleration forces due to movement of instru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2/00Methods or apparatus for measuring volume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9/00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42Circuits effecting compensation of thermal inertia; Circuits for predicting the stationary value of a temperature
    • G01K7/427Temperature calculation based on spatial modeling, e.g. spatial inter- or extrapo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2019/225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vessels with therm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 A47G2200/166Temperature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65D2501/24006Details relating to bottle crates
    • B65D2501/24866Other details
    • B65D2501/24872Information, identification or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80Arrangements for signal processing
    • G01F23/802Particular electronic circuits for digital processing equipment
    • G01F23/804Particular electronic circuits for digital processing equipment containing circuits handling parameters other than liquid lev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7/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 G01K2207/02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for measuring food temperature
    • G01K2207/08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for measuring food temperature with food recipients having temperature sensing capabil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oker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과제] 위생면을 배려하면서,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
[해결 수단] 용기 내의 액체를 기울여 토출하는 액체 용기로서, 용기의 경사 각도를 계측하는 경사 각도 계측부와, 토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계측된 경사 각도에 기초하여, 용기 내의 액량을 추정하는 연산 처리부를 구비하는 액체 용기.

Description

액체 용기 및 관리 시스템{Liquid container an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액체 용기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량(液量)·액온(液溫) 검지 유닛을 이용하여, 액체 용기 내의 액량 및 액온을 검지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복수의 감지 모듈에 기초하여 용기 본체에 수용된 액체에 관한 감지 정보를 측정하여, 액체 용기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9-14524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15-149074호 공보
상기의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액량·액온 검지 유닛이 액체 용기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액량·액온 검지 유닛과 액체가 접촉한다. 그 때문에, 위생면에서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또, 상기의 특허 문헌 2의 기술에서는, 항상 액체 용기의 개폐 제어가 행해져 버리기 때문에 전력의 소비가 커져 버려 편리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위생면을 배려하면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덧붙여 이러한 문제는, 음료 보존용의 용기로 한정되지 않고, 식품 용기(food container) 등 액체가 보존되는 용기 전반에 공통되는 문제이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위생면을 배려하면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용기 내의 액체를 기울여 토출시키는 액체 용기로서, 상기 용기의 경사 각도를 계측하는 경사 각도 계측부와, 토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계측된 상기 경사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용기 내의 액량을 추정하는 연산 처리부를 구비하는 액체 용기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상기의 액체 용기로서, 상기 토출 동작은 상기 용기 내의 액체를 토출하는 토출 기구를 개방하는 동작이고, 상기 연산 처리부는 상기 용기 내의 액체를 토출하는 토출 기구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계측된 상기 경사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용기 내의 액량을 추정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상기의 액체 용기로서, 상기 연산 처리부는 추정한 상기 용기 내의 액량의 추정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서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통지부는 상기 용기 내의 액량의 추정치가 상기 설정치 미만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액량이 상기 설정치 미만인 취지를 나타내는 경고를 통지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용기 내의 액체를 기울여 토출하는 액체 용기와, 상기 액체 용기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는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액체 용기는 용기의 경사 각도를 계측하는 경사 각도 계측부와, 토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계측된 상기 경사 각도의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액체 용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경사 각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용기 내의 액량을 추정하는 연산 처리부를 구비하는 관리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상기의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토출 동작은 상기 용기 내의 액체를 토출하는 토출 기구를 개방하는 동작이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용기 내의 액체를 토출하는 토출 기구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계측된 상기 경사 각도의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상기의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관리 장치의 연산 처리부는 추정된 상기 용기 내의 액량의 추정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용기 내의 액량의 추정치가 상기 설정치 미만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 상기 액량이 상기 설정치 미만인 취지를 나타내는 경고를 통지한다.
본 발명에 의해, 센서를 액체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위생면을 배려하면서, 세정도 쉬워진다. 또, 액체 용기의 경사 각도로부터 액량을 추정하기 때문에 마개를 빼내지 않고 용기 내의 액량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감이 향상된다. 또한, 토출 조작이 행해진 경우만 액량 추정을 행하기 때문에,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위생면을 배려하면서,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액체 용기(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35)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3은 액량 추정 테이블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10)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액체 용기(1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보정에 의해 액량을 추정했을 경우의 시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로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를 응용한 관리 시스템(100a)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35a)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관리 장치(4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관리 시스템(100a)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관리 장치(40)의 표시부(403)에 표시되는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관리 시스템(100a)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로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를 응용한 관리 시스템(100b)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10c)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35c)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6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10c)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35d)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8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관리 장치(40d)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9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관리 시스템(100d)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0은 제5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관리 시스템(100d)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액체 용기(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액체 용기(10)는 음료 보존용으로 사용되는 용기이다. 예를 들면, 액체 용기(10)는 물통, 휴대 머그, 텀블러, 탁상 포트, 전기 케틀 및 커피 메이커의 포트 등이다. 도 1에서는, 액체 용기(10)가 탁상 포트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
액체 용기(10)는 마개(1) 및 용기 본체(2)로 구성된다. 마개(1)는 용기 본체(2)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고, 용기 본체(2)의 개구부에 마련된다. 마개(1)에는, 토출 레버(11) 및 토출 밸브(12)가 마련된다. 토출 레버(11)는 토출 밸브(12)의 개폐에 사용되는 압압(押壓)부이다. 토출 레버(11) 내에는 자석(13)이 구비된다. 토출 밸브(12)는 토출 레버(11)가 압압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완전하게 닫혀 있지만, 토출 레버(11)가 압압됨으로써 토출 밸브(12)가 개방된다. 즉, 마개(1)는 토출 레버(11)가 압압됨으로써, 용기 본체(2) 내의 액체가 토출 가능하게 된다.
용기 본체(2)는, 예를 들면 단열층을 가지는 단열 구조로서, 상부를 개구한 내용기와 외용기의 상단(上端)끼리를 일체로 접합하고, 내용기와 외용기의 사이에 단열층을 가진다. 마개(1)는 용기 본체(2)의 개구측 주연(周緣)부에 감합(嵌合, 끼워 맞춤) 고정되고, 상호의 대향면간을 숫나사와 암나사로 나사 장착함과 아울러, 그 대향면간에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나 엘라스토머(elastomer) 등의 탄성 부재를 마련함으로써 기밀성과 지수(止水)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액체 용기(10)는 일정 온도를 유지하기 쉬운 용기로서 구성된다. 덧붙여 용기 본체(2)는 금속(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티탄) 등의 소재로 구성되어도 되고, 수지제의 소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용기 본체(2)의 파지부(3)에는 개방 검지부(31), 경사 센서(32), 표시부(33), 전지(34) 및 제어 장치(35)가 구비된다. 개방 검지부(31), 경사 센서(32), 표시부(33), 전지(34) 및 제어 장치(35)는, 하나의 장치로서 파지부(3)에 구비되어도 되고, 일부의 기능만이 하나의 장치로서 파지부(3)에 구비되어도 된다. 개방 검지부(31), 경사 센서(32), 표시부(33), 전지(34) 및 제어 장치(35)는, 예를 들면 리드선을 통해서 접속된다.
개방 검지부(31)는 자석(13)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개방 검지부(31)는, 예를 들면 자기 센서(홀 IC)이다. 개방 검지부(31)는 홀 효과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검출한다. 개방 검지부(31)는 자기장의 세기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개방 검지 정보로서 제어 장치(35) 내의 연산 처리부(351)에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출력한다(도 2 참조).
경사 센서(32)(경사 각도 계측부)는, 예를 들면, 3축 가속도 센서이다. 경사 센서(32)는 액체 용기(10)의 경사 각도를 계측한다. 경사 센서(32)는 계측 결과를 경사 각도 정보로서 제어 장치(35) 내의 연산 처리부(351)에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출력한다(도 2 참조). 덧붙여 경사 센서(32)는 3축 가속도 센서로 한정하지 않고, 액체 용기(10)의 경사 각도를 계측할 수 있는 센서이면 어떠한 센서여도 된다.
표시부(33)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이다. 표시부(33)는 용기 본체(2) 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용기 본체(2) 내에 관한 정보란 예를 들면 용기 본체(2) 내의 액량이나 이상의 유무 등이다. 표시부(33)는 터치 패널이어도 된다.
전지(34)는 개방 검지부(31), 경사 센서(32), 표시부(33) 및 제어 장치(35)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어 장치(35) 내의 연산 처리부는, 액체를 토출시키는 동작(이하 「액토출 동작」이라고 함. )이 되었을 경우에, 용기 본체(2) 내의 액량을 추정하여, 추정 결과를 표시부(33)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연산 처리부는 개방 검지부(31)의 개방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액토출 동작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연산 처리부는, 액토출 동작이 이루어졌을 경우에, 경사 센서(32)로부터 출력된 경사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용기 본체(2) 내의 액량을 추정하여, 추정 결과를 표시부(33)에 표시한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35)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35)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메모리 등이 탑재된 연산 처리부(351)를 구비하고,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입출력 제어, 액량 추정, 액량 경고 등을 행하는 장치로서 기능한다. 덧붙여 제어 장치(35)의 각 기능의 모두 또는 일부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나 PLD(Programmable Logic Device)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또, 제어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도 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예를 들면 SD 카드,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등의 휴대용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이다. 또, 제어 프로그램은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서 송수신되어도 된다.
연산 처리부(351)는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정보의 입출력을 행한다. 예를 들면, 연산 처리부(351)는 개방 검지 정보 및 경사 각도 정보를 입력받는다.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이란 연산 처리부에 대해서 정보의 입출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연산 처리부(351)는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개방 검지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개방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토출 밸브(12)의 개방을 검출한다.
연산 처리부(351)는 액량 추정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용기 본체(2) 내의 액량을 추정한다. 액량 추정 프로그램이란 연산 처리부에 대해서 용기 본체(2) 내의 액량을 추정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연산 처리부(351)는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경사 각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경사 각도 정보와, 액량 추정 테이블을 이용하여 용기 본체(2) 내의 액량을 추정한다. 액량 추정 테이블이란 경사 각도에 따른 액량의 값이 등록된 테이블이다.
도 3은 액량 추정 테이블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액량 추정 테이블은 경사 각도와 액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레코드(이하 간단하게 「레코드」라고 함. )를 복수 개 가진다. 레코드는 경사 각도 및 추정 액량의 각 값을 가진다. 경사 각도의 값은 액체 용기(10)의 경사 각도를 나타낸다. 추정 액량의 값은, 용기 본체(2) 내의 잔량으로서 추정되는 액량(ml)을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액량 추정 테이블의 최상단에 등록되어 있는 레코드는, 경사 각도의 값이 "65° 미만", 추정 액량의 값이 "800"이다. 즉, 액체 용기(10)의 경사 각도가 "65° 미만"인 경우, 연산 처리부(351)는 용기 본체(2) 내의 액량이 "800ml"라고 추정한다. 액량 추정 테이블은 메모리 등에 기억되어 있다.
도 2로 돌아가서, 제어 장치(35)의 설명을 계속한다.
연산 처리부(351)는 추정한 액량의 추정치가 액량 설정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액량 설정치는 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되고, 정기적으로 변경되어도 된다. 연산 처리부(351)는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 인터페이스(353)를 통해서 표시부(33)의 표시를 제어한다.
출력 인터페이스(353)는 연산 처리부(351)에 의한 처리에서 얻어진 결과를 표시부(33)에 출력하는 인터페이스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10)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표시부(33)는 액체 용기(10)에 액체가 주입된 후, 초기 액량을 표시한다(스텝 S101). 초기 액량은 미리 설정된 값이어도 되고, 스위치 조작 등에 의해 변경되어도 된다. 연산 처리부(351)는 액체가 액체 용기(10)에 주입된 후에 도시되지 않은 개시 스위치가 눌린 경우에 초기 액량을 표시부(33)에 표시시켜도 되고, 온도 센서에 의해 액체 용기(10) 내부 주변 온도를 검출하고, 액체가 주입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 초기 액량을 표시부(33)에 표시시켜도 되고, 표시부(33)가 터치 패널인 경우에는, 표시부(33)에 있어서 표시 지시가 이루어진 후에 초기 액량을 표시부(33)에 표시시켜도 된다.
연산 처리부(351)는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개방 검지부(31)로부터 개방 검지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102). 그 후, 연산 처리부(351)는 취득한 개방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3). 예를 들면, 개방 검지 정보에 포함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내는 값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연산 처리부(351)는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한편, 개방 검지 정보에 포함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내는 값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 연산 처리부(351)는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스텝 S103의 처리에 있어서,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스텝 S103-NO), 스텝 S102 및 스텝 S103의 처리가 반복하여 실행된다.
스텝 S103의 처리에 있어서,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스텝 S103-YES), 연산 처리부(351)는 액토출 동작이 이루어졌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연산 처리부(351)는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경사 센서(32)로부터 경사 각도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104). 덧붙여 연산 처리부(351)는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 경사 센서(32)로부터 경사 각도 정보를 취득한다.
연산 처리부(351)는 취득한 경사 각도 정보와, 액량 추정 테이블에 기초하여 용기 본체(2) 내의 액량을 추정한다(스텝 S105). 구체적으로는, 먼저 연산 처리부(351)는 액량 추정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레코드 중, 경사 각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각도에 따른 레코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연산 처리부(351)는 선택한 레코드의 추정 액량의 항목의 값을 취득한다. 연산 처리부(351)는 취득한 값을, 용기 본체(2) 내의 액량의 추정치로 한다.
덧붙여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취득된 경사 각도 정보가 복수 개 있는 경우, 연산 처리부(351)는 마지막에 취득된 경사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액량을 추정해도 되고,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취득된 경사 각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경사 각도의 평균치를 이용하여 액량을 추정해도 되고,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취득된 경사 각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최대의 경사 각도를 이용하여 액량을 추정해도 된다.
연산 처리부(351)는 액량의 추정치가 액량 설정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6). 액량의 추정치가 액량 설정치 미만인 경우(스텝 S106-YES), 연산 처리부(351)는 액량 경고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를 표시부(33)에 표시한다(스텝 S107). 액량 경고 프로그램이란 연산 처리부에 대해서 액량에 관한 경고 알림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액량의 경고는, 예를 들면 액량이 적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덧붙여 연산 처리부(351)는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를 어떠한 태양으로 표시부(33)에 표시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연산 처리부(351)는 액량의 추정치를 그래프로 표시시키고, 액량의 경고를 문자로 표시시켜도 되고, 액량의 추정치를 숫자로 표시시키고, 액량의 경고를 문자로 표시시켜도 되고, 그 외의 표시여도 된다.
한편, 액량의 추정치가 액량 설정치 미만이 아닌 경우(스텝 S106-NO), 연산 처리부(351)는 액량의 추정치를 표시부(33)에 표시한다(스텝 S108). 덧붙여 연산 처리부(351)는 액량의 추정치를 어떠한 태양으로 표시부(33)에 표시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연산 처리부(351)는 액량의 추정치를 그래프로 표시시켜도 되고, 액량의 추정치를 숫자로 표시시켜도 되고, 그 외의 표시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액체 용기(10)에 의하면, 위생면을 배려하면서,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액체 용기(10)는 액체 용기(10)의 경사 각도 정보로부터 액량을 추정하고, 추정한 액량에 기초하여 액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유저는 마개(1)를 빼내지 않고 액체 용기(10) 내의 액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액량에 따라서, 액체 용기(10) 내의 액체의 교체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액량을 추정하기 위해서, 센서를 액체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위생적이다. 그 때문에, 위생면을 배려하면서,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액체 용기(10)는 토출 밸브(12)가 개방된 것을 계기로, 경사 센서(32)로부터 정보를 취득하여 액량을 추정한다. 따라서, 액체 용기(10)는 토출 조작을 행한 경우만 경사 센서(32)로부터 정보를 취득하여 액량 추정을 행하기 때문에, 처리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액체 용기(10)는 액량의 추정치가 액량 설정치 미만인 경우에는, 액량의 추정치의 정보 외에, 액량이 적어져 있다는 취지의 경고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액체 용기(10)는 유저에 대해서, 용기 본체(2) 내의 액체의 교환이 필요하다는 취지를 통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액체 용기(10)는 액량을 추정하여 표시부(33)에 표시한다. 그 때문에, 유저는 안이 보이지 않는 용기에 있어서 마개(1)를 열지 않고도 액량을 파악할 수 있다.
또, 액량의 추정으로부터 표시를 행하는 모든 기능부가 파지부(3)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고장 등에 의해 장해가 발생했을 경우에도 수리, 교환이 용이해진다.
또, 개방 검지부(31) 및 경사 센서(32)가 통상 사용시에 액체에 닿지 않는 지점에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개방 검지부(31) 및 경사 센서(32)가 액체로 더러워지기 어렵고, 센서를 수납하고 있는 수지가 열(熱)열화되기 어렵다. 또한, 개방 검지부(31) 및 경사 센서(32)가 용기 본체(2)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세정하기 쉽다. 또한, 개방 검지부(31), 경사 센서(32), 표시부(33) 및 제어 장치(35)를 컴팩트하게 수납 가능하다.
<변형예>
액체 용기(10)는 액량의 추정치가 액량 설정치 미만인 경우, 액량의 추정치가 액량 설정치 미만인 것을 나타내는 경고를 표시함과 아울러, 표시와 상이한 통지 태양으로 유저에게 통지해도 된다. 표시와 상이한 통지 태양으로서는, 알람에 의한 통지여도 되고, 광의 발광에 의한 통지여도 되고, 음성 알림에 의한 통지여도 되고, 그 외의 통지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용기(10)의 개방의 검지 수단으로서, 자석(13)과 개방 검지부(31)를 이용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이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액체 용기(10)는 액체 용기(10)의 파지부(3)의 상부(예를 들면, 토출 레버(11)를 내렸을 때 토출 레버(11)가 근접하는 부분)에 스위치를 마련하여, 토출 레버(11)에 의한 스위치의 누름에 의해서 개방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액체 용기(10)는 자석(13)과 개방 검지부(31)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산 처리부(351)가 액토출 동작의 판정을 토출 밸브(12)의 개폐에 기초하여 행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연산 처리부(351)는 다른 방법으로 액토출 동작의 판정을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연산 처리부(351)는 용기 본체(2)가 파지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나 파지부(3)가 파지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액토출 동작이 이루어졌다고 판정한다. 용기 본체(2)가 파지되거나 또는 및 파지부(3)가 파지되었다고 판정하는 방법으로서는,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2)의 외측의 소정의 장소 또는 파지부(3)에 터치 센서를 구비하고, 연산 처리부(351)가 터치 센서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취득함으로써, 용기 본체(2)가 파지되거나 또는 파지부(3)가 파지되었다고 판정한다.
연산 처리부(351)는 경사 센서(32)로부터 취득한 경사 각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경사 각도의 값이 제1 규정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제1 규정 범위는 경사 센서(32)의 고장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판정 기준이며, 예를 들면 0~180도이다. 덧붙여 제1 규정 범위는 상기의 범위로 한정되지 않고 적당히 설정되어도 된다. 제1 규정 범위의 정보는, 연산 처리부(351)가 기억하고 있어도 되고, 메모리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연산 처리부(351)는 경사 각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경사 각도의 값이 제1 규정 범위 내인 경우에는 경사 센서(32)가 정상이라고 판정하고, 경사 각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경사 각도의 값이 제1 규정 범위 외인 경우에는 경사 센서(32)가 이상(고장)이라고 판정한다. 경사 각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경사 각도의 값이 제1 규정 범위 외인 경우, 연산 처리부(351)는 경사 센서(32)가 고장나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취지를 표시부(33)에 표시시켜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용기(10)로서 파지부(3)를 가지는 탁상 포트를 예로 설명했지만, 액체 용기(10)에 따라서는 파지부(3)를 구비하지 않은 용기도 있다. 파지부(3)를 구비하지 않은 액체 용기(10)로서는, 예를 들면 물통, 휴대 머그 및 텀블러를 들 수 있다. 이들 파지부(3)를 구비하지 않은 액체 용기(10)에서는, 도 5와 같이 구성되어도 된다. 도 5는 액체 용기(1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것처럼, 자석(13)이 액체 용기(10)의 뚜껑에 마련되고, 개방 검지부(31), 경사 센서(32), 전지(34) 및 제어 장치(35)가 용기 본체(2)에 부속(付屬)되는 수납 유닛(4)에 수납된다. 덧붙여 도 5의 예에서는, 뚜껑이 열렸을 때 자석(13)과 개방 검지부(31)가 근접하는 구성이지만, 뚜껑이 열렸을 때 자석(13)과 개방 검지부(31)가 멀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연산 처리부(351)는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검지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 절전 모드로 이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절전 모드란 장치 내의 일부의 기능의 동작을 제한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모드이다. 제1 실시 형태의 경우, 연산 처리부(351)는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검지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 경사 각도 정보의 취득의 가동을 제한한다. 구체적으로는, 연산 처리부(351)는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검지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 경사 센서(32)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그리고 연산 처리부(351)는 재차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면, 경사 센서(32)에 대해서 전력 공급을 개시하여, 경사 센서(32)를 기동시킴으로써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시의 모드로 이행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검지되고 있지 않는 동안, 경사 센서(32)는 경사 각도 정보를 취득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산 처리부(351)는 액량 추정 테이블을 이용하여 액량을 추정하는 구성을 나타냈다. 그렇지만, 액체 용기(10)의 종류에 따라서는 액량 추정 테이블을 이용하여 추정한 액량과, 실제의 액량의 오차가 커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뚜껑이 없거나 또는 토출구가 큰 액체 용기(10)와, 토출구의 크기에 의해 토출 유량이 제한되는 액체 용기(10)에서는, 액체 용기(10)의 경사 각도와 액량(잔량)의 상관 관계가 상이하다. 뚜껑이 없거나 또는 토출구가 큰 액체 용기(10)로서는, 피처, 텀블러, 탁상 머그 등을 들 수 있다. 토출구의 크기에 의해 토출 유량이 제한되는 액체 용기(10)로서는, 탁상 포트, 휴대 머그로 토출구가 작은 용기 등을 들 수 있다. 뚜껑이 없거나 또는 토출구가 큰 액체 용기(10)는, 토출시에 용기 본체(2)를 크게 기울이는 일이 없으므로, 용기 본체(2)의 경사 각도와 액량(잔량)의 상관이 강하다. 그에 대해, 토출구의 크기에 의해 토출 유량이 제한되는 액체 용기(10)는, 토출시에 경사 각도를 크게 할 가능성이 있어, 용기 본체(2)의 경사 각도와 액량(잔량)의 상관이 약하다.
그 때문에, 어느 쪽의 액체 용기(10)에 있어서도 같은 액량 추정 테이블을 이용하여 액량을 추정하면, 상관이 약한 쪽의 액체 용기(10)에 있어서는 추정한 액량과, 실제의 액량의 오차가 커져 버릴 가능성이 높다. 이에, 연산 처리부(351)는 뚜껑이 없거나 또는 토출구가 큰 액체 용기(10)에 대해서는 액량 추정 테이블을 이용하여 액량을 추정하고, 토출구의 크기에 의해 토출 유량이 제한되는 액체 용기(10)에 대해서는 경사 각도를 토출량의 상한을 기초로 보정한 후에 액량을 추정한다. 이하, 경사 각도를 토출량의 상한을 기초로 보정한 후에 액량을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시험 절차)
·액체 용기(10)의 경사 각도를 완만하게 변화시켜 토출하여 액량 추정 테이블을 작성한다.
·액체 용기(10)의 경사 각도를 극단적으로 크게 하여 토출하여, 최대 토출량을 측정하고, 단위 시간당 최대 토출량을 구한다.
·단위 시간당 최대 토출량을 단위 시간당 경사 각도의 변화로 환산한다. 이 값을 「허용 각도 변화율」이라고 한다.
·토출 전의 추정 액량에 상당하는 경사 각도를 초과한 시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허용 각도 변화율에 시작점부터의 토출 조작 시간을 곱한 것과, 상기 토출 전의 추정 액량에 상당하는 경사 각도의 합계를 「허용 각도」로 한다.
·허용 각도 변화율을 사용한 프로그램을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작성한다. 액량 추정 테이블에 있어서, 토출 전의 추정 액량에 상당하는 경사 각도보다도 큰 범위에서는, 「취득한 경사 각도 정보」가 「허용 각도」보다도 큰 경우는 「취득한 경사 각도 정보」를 「허용 각도」로 치환한다.
·「보정 경사 각도」= 「취득한 경사 각도 정보」와「허용 각도」중 작은 쪽
·토출 동작 중의 「보정 경사 각도」의 최대치와 액량 추정 테이블을 비교함으로써 액량을 추정한다. 덧붙여 액량 추정 테이블, 허용 각도 변화율, 및 허용 각도 등의 조건이나 산출 방법은, 상기로 한정하지 않고 실제의 토출량과 추정 액량의 차가 최소가 되도록 조정해도 된다.
다음에, 액량의 추정치가 600ml인 경우에, 300ml가 될 때까지 토출했을 때의 시험 데이터를 이하에 나타낸다.
·포트 용량:1000ml
·토출 전의 액량의 추정치:600ml
·액량 추정 테이블(도 3)
·단위 시간당 최대 토출량 60ml/초→허용 각도 변화율 3°/초
·허용 각도 변화율에 의한 보정은 경사 각도가 토출 전의 추정 액량(600ml)에 상당하는 경사 각도의 하한(70°)을 초과하는 시점부터
(액체 용기(10)의 경사 각도를 크게 기울여 토출한 예)
연산 처리부(351)가 액량 추정 테이블만으로부터 액량을 예측했을 경우:경사 각도 98°→추정 액량 100ml
연산 처리부(351)가 보정 경사 각도로 예측했을 경우:경사 각도 85°→추정 액량 300ml
상기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은 보정에 의해 액량을 추정했을 경우의 시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하는 것처럼, 토출 조작이 이루어진 시점의 최대의 경사 각도는 98°인데 반해, 허용 각도 변화율을 고려하여, 실제의 액량의 추정에 이용하는 경사 각도는 85°로 되어 있다.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보다 정밀도 좋게 액량을 추정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를 응용한 시스템의 제1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로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를 응용한 관리 시스템(100a)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관리 시스템(100a)은 음식 스페이스를 구비하는 시설에 적용된다. 음식 스페이스를 구비하는 시설은, 예를 들면 음식점, 유기장(遊技場) 등이다. 관리 시스템(100a)은 액체 용기(10a) 및 관리 장치(40)를 구비한다.
액체 용기(10a)는 마개(1) 및 용기 본체(2)로 구성된다. 액체 용기(10a)는 용기 본체(2)가, 제어 장치(35)를 대신하여 제어 장치(35a)를 구비하는 점, 표시부(33)를 구비하지 않는 점에서 액체 용기(10)와 구성이 상이하다. 액체 용기(10a)는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액체 용기(10)와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 장치(35a)는 경사 각도 정보를 관리 장치(40)에 송신한다.
관리 장치(4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휴대 전화, 태블릿 단말, 노트 PC,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관리 장치(40)는 액체 용기(10a)를 관리한다. 예를 들면, 관리 장치(40)는 액체 용기(10a)로부터 송신된 경사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각 액체 용기(10a)의 용기 본체(2) 내의 액량을 추정하여, 각 액체 용기(10a)의 액량의 추정치나 액량의 경고를 표시한다.
관리 시스템(100a)에는, 단수 또는 복수의 액체 용기(10a)가 구비된다. 액체 용기(10a) 및 관리 장치(40)는, Bluetooth(등록 상표)에 의해 무선 통신을 행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관리 시스템(100a)이 음식점에 적용되었을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이 경우, 액체 용기(10a)가 각 테이블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35a)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35a)는 CPU나 메모리 등이 탑재된 연산 처리부(351a) 및 통신부(354)를 구비하고.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입출력 제어를 행하는 장치로서 기능한다. 덧붙여 제어 장치(35a)의 각 기능의 모두 또는 일부는, ASIC나 PLD나 FPGA 등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또, 제어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도 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예를 들면 SD 카드, USB 메모리 등의 휴대용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이다. 또, 제어 프로그램은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서 송수신되어도 된다.
제어 장치(35a)는 통신부(354)를 새롭게 구비하는 점, 연산 처리부(351a)가 액량 추정 프로그램, 액량 경고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는 점에서 제어 장치(35)와 구성이 상이하다. 제어 장치(35a)는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제어 장치(35)와 같다. 그 때문에, 제어 장치(35a) 전체의 설명은 생략한다.
연산 처리부(351a)는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정보의 입출력을 행한다. 예를 들면, 연산 처리부(351a)는 개방 검지 정보 및 경사 각도 정보를 입력한다. 연산 처리부(351a)는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개방 검지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개방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토출 밸브(12)의 개방을 검출한다. 그리고 토출 밸브(12)의 개방이 검출되면, 연산 처리부(351a)는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경사 각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경사 각도 정보를 관리 장치(40)에 송신시킨다.
통신부(354)는 관리 장치(4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354)는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취득된 경사 각도 정보와, 자(自)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ID(이하 「용기 ID」라고 함)를 대응지어 통지 정보로서 관리 장치(40)에 송신한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관리 장치(4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관리 장치(40)는 통신부(401), 연산 처리부(402) 및 표시부(403)를 구비하고,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입출력 제어, 액량 추정, 액량 경고, 합계 액량 관리를 행하는 장치로서 기능한다. 덧붙여 관리 장치(40)의 각 기능의 모두 또는 일부는, ASIC나 PLD나 FPGA 등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또, 관리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도 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광 자기 디스크, ROM, CD-ROM 등의 휴대용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이다. 또, 관리 프로그램은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서 송수신되어도 된다.
통신부(401)는 액체 용기(10a)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401)는 액체 용기(10a)로부터 송신된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연산 처리부(402)는 통신부(401)에 의해서 수신된 통지 정보와, 액량 추정 테이블을 이용하여, 액량 추정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 액체 용기(10a)의 용기 본체(2) 내의 액량을 추정한다. 연산 처리부(402)는 액량 경고 프로그램에 의해서, 추정된 액량의 추정치가 액량 설정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연산 처리부(402)는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부(403)의 표시를 제어한다.
표시부(403)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이다. 표시부(403)는 각 액체 용기(10a)의 액량의 추정치나 액량의 경고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관리 시스템(100a)의 액량 추정 처리 및 액량 경고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덧붙여 도 10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간단화를 위해서, 액체 용기(10a)가 1개, 관리 장치(40)가 1개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액체 용기(10a)의 통신부(354)는 용기 ID와, 액체가 넣어진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지 정보를 관리 장치(40)에 송신한다(스텝 S200). 예를 들면, 통신부(354)는 액체가 넣어진 것을 나타내는 정보의 송신 지시가 연산 처리부(351a)로부터 이루어진 타이밍에서 통지 정보를 관리 장치(40)에 송신해도 된다. 관리 장치(40)의 통신부(401)는, 액체 용기(10a)로부터 송신된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연산 처리부(351a)는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개방 검지부(31)로부터 개방 검지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201).
관리 장치(40)의 표시부(403)는 각 액체 용기(10a)의 초기 액량을 표시한다(스텝 S202). 초기 액량은 미리 설정된 값이어도 되고, 스위치 조작 등에 의해 변경되어도 된다. 연산 처리부(402)는 액체가 넣어진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지 정보가 수신되었을 경우에 초기 액량을 표시부(403)에 표시시켜도 되고, 표시부(403)가 터치 패널인 경우에는, 표시부(403)에 있어서 표시 지시가 이루어진 후에 초기 액량을 표시부(403)에 표시시켜도 된다.
연산 처리부(351a)는 취득한 개방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3).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스텝 S203-NO), 스텝 S201 및 스텝 203의 처리가 반복하여 실행된다.
한편,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스텝 S203-YES), 연산 처리부(351a)는 액토출 동작이 이루어졌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 연산 처리부(351a)는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경사 센서(32)로부터 경사 각도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204). 덧붙여 연산 처리부(351a)는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 경사 센서(32)로부터 경사 각도 정보를 취득한다.
연산 처리부(351a)는 통신부(354)를 제어하여, 취득한 경사 각도 정보와, 용기 ID를 대응지어 통지 정보로서 관리 장치(40)에 송신한다(스텝 S205). 덧붙여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취득된 경사 각도 정보가 복수 개 있는 경우, 연산 처리부(351a)는 마지막에 취득된 경사 각도 정보만을 송신시켜도 되고,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취득된 모든 경사 각도 정보를 송신시켜도 된다. 혹은 취득된 경사 각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경사 각도의 평균치를 송신해도 되고, 취득된 정보에 포함되는 경사 각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최대의 경사 각도를 송신해도 된다.
관리 장치(40)의 통신부(401)는, 액체 용기(10a)로부터 송신된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연산 처리부(402)는 액량 추정 테이블과, 통신부(401)에 의해서 수신된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경사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액체 용기(10a)의 용기 본체(2) 내의 액량을 추정한다(스텝 S206).
덧붙여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경사 각도 정보가 복수 개 있는 경우, 연산 처리부(402)는 마지막에 취득된 경사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액량을 추정해도 되고,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경사 각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경사 각도의 평균치를 이용하여 액량을 추정해도 되고,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경사 각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최대의 경사 각도를 이용하여 액량을 추정해도 된다.
또, 도 10에서는, 액체 용기(10a)가 1개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연산 처리부(402)는 복수의 액체 용기(10a)로부터 통지 정보가 수신되었을 경우에는, 각 액체 용기(10a)의 용기 본체(2) 내의 액량을 추정한다. 액량의 추정 방법은, 연산 처리부(351)가 행하는 추정 방법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연산 처리부(402)는 액량의 추정치가 액량 설정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7). 액량의 추정치가 액량 설정치 미만인 경우(스텝 S207-YES), 연산 처리부(402)는 액량 경고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를 표시부(403)에 표시한다(스텝 S208).
덧붙여 연산 처리부(402)는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를 어떠한 태양으로 표시부(403)에 표시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연산 처리부(402)는 액량의 추정치를 그래프로 표시시키고, 액량의 경고를 문자로 표시시켜도 되고, 액량의 추정치를 숫자로 표시시키고, 액량의 경고를 문자로 표시시켜도 되고, 그 외의 표시여도 된다.
한편, 액량의 추정치가 액량 설정치 미만이 아닌 경우(스텝 S207-NO), 연산 처리부(402)는 액량의 추정치를 표시부(403)에 표시한다(스텝 S209). 덧붙여 연산 처리부(402)는 액량의 추정치를 어떠한 태양으로 표시부(403)에 표시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연산 처리부(402)는 액량의 추정치를 그래프로 표시시켜도 되고, 액량의 추정치를 숫자로 표시시켜도 되고, 그 외의 표시여도 된다.
관리 장치(40)에 있어서, 액체 용기(10a)가 복수 대인 경우의 표시예에 대해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관리 장치(40)의 표시부(403)에 표시되는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되는 것처럼, 표시부(403)는 화상(51)과 같은 표시를 행한다. 도 11에서는, 액체 용기(10a)가 3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 액량의 경고가 있는 액체 용기(10a)에 대해서는, 경고 표시 영역(52)에, 경고가 표시된다. 도 11에서는, 용기 ID "2"로 식별되는 액체 용기(10a)의 잔량이 적은 것이 경고로서 표시되고 있다. 덧붙여 표시예는, 이러한 표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관리 시스템(100a)에 의하면,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액체 용기(10a)는, 통지 정보를 관리 장치(40)에 송신한다. 그리고 관리 장치(40)가 통지 정보로부터 각 액체 용기(10a)의 액량의 추정치를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음식점 등에 있어서 점원은, 각 테이블에 설치되어 있는 액체 용기(10a)의 액량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용량이 적절한 용량이 아닌 경우에는 교환이 필요하다고 파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관리 시스템(100a)에서는 액량의 추정을 관리 장치(40)에서 행한다. 이것에 의해, 액체 용기(10a)의 제어 장치(35a)에 의한 연산 처리가 경감됨과 아울러, 액체 용기(10a)의 절전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전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액체 용기(10a)와 관련되는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변형예>
연산 처리부(402)는 액량의 추정치가 액량 설정치 미만인 경우, 액량의 추정치가 액량 설정치 미만인 것을 나타내는 경고를 표시함과 아울러, 표시와 상이한 통지 태양으로, 해당하는 액체 용기(10a)에 있어서 유저에게 통지해도 된다. 표시와 상이한 통지 태양으로서는, 알람에 의한 통지여도 되고, 광의 발광에 의한 통지여도 되고, 음성 알림에 의한 통지여도 되고, 그 외의 통지여도 된다.
관리 장치(40)가 액체 용기(10a)로부터의 무선 통신의 전파 강도에 의해, 액체 용기(10a)의 위치를 특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관리 시스템(100a)은 액체 용기(10a)와, 관리 장치(40)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를 구비해도 된다.
또, 연산 처리부(351a)는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검지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 절전 모드로 이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연산 처리부(351a)는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검지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 경사 각도 정보의 취득 및 통신부의 가동 중 어느 것 또는 양쪽을 제한한다.
구체적으로는, 연산 처리부(351a)는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검지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 경사 센서(32)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또, 연산 처리부(351a)는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검지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 통신부(354)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그리고 연산 처리부(351a)는 재차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면, 경사 센서(32) 및 통신부(354)에 대해서 전력 공급을 개시하여, 경사 센서(32) 및 통신부(354)를 기동시킴으로써 절전 모드로부터 통상시의 모드로 이행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검지되고 있지 않는 동안, 경사 센서(32)는 경사 각도 정보를 취득할 수 없다. 또, 통신부(354)에 의한 송수신도 정지한다. 그 때문에,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액체 용기(10a)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액체 용기(10a)는, 도 2에 나타내는 출력 인터페이스(353) 및 표시부(33)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2개의 구성 중 어느 구성으로 된다.
1. 액체 용기(10a)에 있어서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를 표시하지 않고, 관리 장치(40)에 있어서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 중 어느 것 또는 모두를 표시하는 구성
2. 액체 용기(10a) 및 관리 장치(40)의 양쪽에 있어서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 중 어느 것 또는 모두를 표시하는 구성
상기 1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이미 설명되었기 때문에 생략하고, 상기 2의 구성에 대해 도 12를 이용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관리 시스템(100a)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도 10과 같은 처리에 대해서는 도 10과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208 또는 스텝 S209의 처리 후, 관리 장치(40)는, 스텝 S207의 처리에 있어서 액량의 추정치가 액량 설정치 미만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를 포함하는 액체 정보를 액체 용기(10a)에 송신한다(스텝 S210). 덧붙여 액체 용기(10a)가 복수 개 있는 경우, 관리 장치(40)는 액체 정보를 액체 용기(10a)마다 송신한다.
한편, 관리 장치(40)는, 스텝 S207의 처리에 있어서, 액량의 추정치가 액량 설정치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액량의 추정치만을 포함하는 액체 정보를 액체 용기(10a)에 송신한다. 덧붙여 액체 용기(10a)가 복수 개 있는 경우, 관리 장치(40)는 액량의 추정치만을 포함하는 액체 정보를 액체 용기(10a)마다 송신한다.
액체 용기(10a)의 연산 처리부(351a)는, 관리 장치(40)로부터 송신된 액체 정보에 기초하여, 액체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를 표시부(33)에 표시한다(스텝 S211). 구체적으로는, 연산 처리부(351a)는 관리 장치(40)로부터 송신된 액체 정보에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가 포함되는 경우, 액량의 추정치 및 액량의 경고를 표시부(33)에 표시한다.
한편, 연산 처리부(351a)는 관리 장치(40)로부터 송신된 액체 정보에 액량의 추정치만이 포함되는 경우, 액량의 추정치를 표시부(33)에 표시한다.
연산 처리부(402)는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경사 각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경사 각도의 값이 제1 규정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제1 규정 범위의 정보는, 통지 정보에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연산 처리부(402)가 기억하고 있어도 되고, 메모리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연산 처리부(402)는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경사 각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경사 각도의 값이 제1 규정 범위 내인 경우에는 경사 센서(32)가 정상이라고 판정하고, 경사 각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경사 각도의 값이 제1 규정 범위 외인 경우에는 경사 센서(32)가 이상(고장)이라고 판정한다. 경사 각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경사 각도의 값이 제1 규정 범위 외인 경우, 연산 처리부(402)는 액체 용기(10a)의 경사 센서(32)가 고장나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취지를 표시부(33), 표시부(403) 중 어느 것, 또는 그 양쪽에 표시시켜도 된다. 덧붙여 경사 각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경사 각도의 값이 제1 규정 범위 외인 액체 용기(10a)가 복수 개 있는 경우, 액체 용기(10a)는 경사 각도의 값이 제1 규정 범위 외인 액체 용기(10a)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면, 용기 ID)를 모두 표시시켜도 되고, 전환해서 표시시켜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산 처리부(351a)가 액토출 동작의 판정을 토출 밸브(12)의 개폐에 기초하여 행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연산 처리부(351a)는 다른 방법으로 액토출 동작의 판정을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연산 처리부(351a)는 용기 본체(2)가 파지된 것을 검출했을 경우나 파지부(3)가 파지된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액토출 동작이 이루어졌다고 판정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용기(10a) 및 관리 장치(40)가, Bluetooth(등록 상표)에 의해 무선 통신을 행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의 규격은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의 규격으로서는, Wi-Fi(등록 상표), Wi-SUN(등록 상표), Zigbee(등록 상표), 특정 소전력 무선 등이 이용되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를 응용한 시스템의 제2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로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를 응용한 관리 시스템(100b)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관리 시스템(100b)은 음식 스페이스를 구비하는 시설에 적용된다. 관리 시스템(100b)은 네트워크(100a′―1), 네트워크(100a′―2), 관리 장치(40b) 및 클라우드 서버(50)를 구비한다.
네트워크(100a′―1), 네트워크(100a′―2), 관리 장치(40b) 및 클라우드 서버(50)는, 네트워크(60)를 통해서 무선 통신을 행한다. 네트워크(60)는 어떻게 구성된 네트워크여도 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60)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네트워크(100a′―1), 네트워크(100a′―2)는, 각 점포 등의 네트워크(에어리어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100a′―1), 네트워크(100a′―2)에는, 단수 또는 복수의 액체 용기(10b) 및 관리 장치(40b)가 구비된다. 관리 장치(40b)는 액체 용기(10b)의 정보를 집계 또는 분석한 결과를 클라우드 서버(50)에 송신한다. 덧붙여 액체 용기(10b) 및 관리 장치(40b)의 구성은, 관리 장치(40b)가 클라우드 서버(50)와 통신을 행하는 점 이외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10a) 및 관리 장치(40a)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면, 관리 장치(40b)는 소정의 시각(예를 들면, 12시)에, 1일의 액체 소비량을 클라우드 서버(50)에 송신한다. 클라우드 서버(50)는 관리 장치(40b)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에어리어마다 집계 또는 분석한다. 클라우드 서버(50)는 관리 장치(40b)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집계 또는 분석한 결과를 요구원의 관리 장치(40b)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각 점포에서 집계 또는 분석한 결과를 볼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50)는 액체 용기(10b)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관리 장치(40b)에 송신한다. 액체 용기(10b)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란 예를 들면 액량 추정 테이블의 갱신 정보, 제어 프로그램의 갱신 정보, 관리 프로그램의 갱신 정보 등이다. 클라우드 서버(50)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액체 용기(10b)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관리 장치(40b)에 송신한다. 소정의 타이밍은, 예를 들면, 액체 용기(10b)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가 갱신된 타이밍이어도 되고, 미리 설정된 시각이어도 되고, 그 외의 타이밍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관리 시스템(100b)에 의하면,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각 점포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10b)의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변형예>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10b) 및 관리 장치(40b)는,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변형되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이용되는 연산 처리부(402b)는,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경사 각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경사 각도의 값이 제1 규정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제1 규정 범위의 정보는 통지 정보에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연산 처리부(402)가 기억하고 있어도 되고, 메모리로부터 취득해도 되고, 클라우드 서버(50)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관리 장치(40b)는 경사 센서(32)가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그 취지를 표시부(33), 표시부(403) 중 어느 것, 또는 그 양쪽에 표시시켜도 되고, 클라우드 서버(50)에 통지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라우드 서버(50)에, 관리 장치(40b)로 액세스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액세스하는 경우에는, 클라우드 서버(50)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유저 ID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인증을 행하고, 인증이 이루어진 통신 장치만을 액세스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다른 통신 장치여도 액체 용기(10b)의 상태를 알 수 있으므로 사용 상황을 원격으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 용기(10b)가 스포츠시에 사용되는 음료 용기이면, 아이의 운동 중의 음료 섭취 상황을 부모가 확인할 수 있다. 또, 액체 용기(10b)가 개인용의 휴대 음료 용기이면, 간호 시설에 있어서 개인실의 노인의 음료 섭취 상황을 간호자가 확인할 수 있다. 또, 액체 용기(10b)가 탁상 포트이면, 혼자 생활하는 노인의 사용 상황을 친족이 확인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용기의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10c)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액체 용기(10c)는 음료 보존용으로 사용되는 용기이다. 예를 들면, 액체 용기(10c)는 물통, 휴대 머그, 텀블러, 탁상 포트, 전기 케틀 및 커피 메이커의 포트 등을 들 수 있다. 도 14에서는, 액체 용기(10c)가 탁상 포트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액체 용기(10c)는 마개(1) 및 용기 본체(2)로 구성된다. 액체 용기(10c)와 도 1에 도시한 액체 용기(10)의 구성의 차이는, 액체 용기(10c)에 제1 온도 센서(36) 및 제2 온도 센서(37)가 새롭게 구비되고, 파지부(3)에, 제어 장치(35)를 대신하여 제어 장치(35c)가 구비되어 있는 점이다. 이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 온도 센서(36)는 용기 본체(2) 내의 액체와 비접촉의 온도 센서이다. 제1 온도 센서(36)는, 예를 들면, 서미스터이다. 제1 온도 센서(36)는 용기 본체(2) 내의 액체와 비접촉하는 장소로서, 용기 본체(2)의 본체 상방의 수지 부재 내(예를 들면, 파지부(3)와 일체화되어 있는 금속 용기 주변부) 혹은 마개(1) 내에 구비된다. 제1 온도 센서(36)는 용기 본체(2) 내부 주변 온도를 용기 본체(2) 내의 액체에 접촉하지 않고 계측한다. 즉, 제1 온도 센서(36)는 용기 본체(2)의 내부 주변 온도를 용기 본체(2) 내의 액체와 비접촉으로 계측한다. 제1 온도 센서(36)는 계측한 온도를 내부 온도 정보로서 제어 장치(35c)에 출력한다.
제2 온도 센서(37)는 제1 온도 센서와 마찬가지로, 용기 본체(2) 내의 액체와 비접촉의 온도 센서이다. 제2 온도 센서(37)는, 예를 들면, 서미스터이다. 제2 온도 센서(37)는, 예를 들면 파지부(3) 등, 제1 온도 센서(36)에 비해 용기 본체(2)의 개구부로부터 먼 위치에 구비된다. 제2 온도 센서(37)는 액체 용기(10c)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의 온도를 계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온도 센서(37)는 액체 용기(10c)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의 온도를 용기 본체(2) 내의 액체와 비접촉으로 계측한다. 제2 온도 센서(37)는 계측한 온도를 외부 온도 정보로서 제어 장치(35c)에 출력한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내부 온도 정보 및 외부 온도 정보에 대해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온도 정보라고 기재한다.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35c)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35c)는 CPU나 메모리 등이 탑재된 연산 처리부(351c)를 구비하고,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입출력 제어, 액량 추정, 액량 경고, 액온 추정, 액온 경고 등을 행하는 장치로서 기능한다. 덧붙여 제어 장치(35c)의 각 기능의 모두 또는 일부는, ASIC나 PLD나 FPGA 등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또, 제어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도 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예를 들면 SD 카드, USB 등의 휴대용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이다. 또, 제어 프로그램은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서 송수신되어도 된다.
제어 장치(35c)는 연산 처리부(351c)를 구비하는 점, 제어 프로그램 내에 액온 추정 프로그램과 액온 경고 프로그램을 새롭게 구비하는 점에서 제어 장치(35)와 상이하다. 제어 장치(35c)는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제어 장치(35)와 같다. 그 때문에, 제어 장치(35c) 전체의 설명은 생략한다.
연산 처리부(351c)는 연산 처리부(351)와 같은 처리를 실행한다. 또, 연산 처리부(351c)는 내부 온도 정보와, 외부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용기 본체(2) 내의 액온을 추정한다. 그리고 연산 처리부(351c)는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부(33)의 표시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연산 처리부(351c)는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제1 온도 센서(36)로부터 용기 본체(2) 내의 내부 온도 정보를, 제2 온도 센서(37)로부터 외부 온도 정보를 취득한다. 또, 연산 처리부(351c)는 액온 추정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미리 측정된 용기 본체(2) 내의 액온와, 제1 온도 센서(36) 장착 부분의 온도(내부 온도 정보)의 상관, 및 미리 측정된 제1 온도 센서(36) 장착 부분의 온도(내부 온도 정보)와 제2 온도 센서(37) 장착 부분의 온도(외부 온도 정보)의 상관에 기초하여, 액온을 추정한다. 액온 추정 프로그램이란 연산 처리부에 대해서 용기 본체(2) 내의 액온을 추정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 연산 처리부(351c)는 액온 경고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따뜻한 음료가 용기 본체(2)에 넣어졌을 경우에는, 추정한 액온이 액온 설정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연산 처리부(351c)는 차가운 음료가 용기 본체(2)에 넣어졌을 경우에는 추정한 액온이 액온 설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덧붙여 따뜻한 음료 또는 차가운 음료 중 어느 것이 용기 본체(2)에 넣어졌는지는, 미리 입력되어 있어도 되고, 연산 처리부(351c)가 추정한 액온으로부터 판정해도 된다. 액온 설정치는 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되고, 정기적으로 변경되어도 된다. 연산 처리부(351c)는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 인터페이스(353)를 통해서 표시부(33)의 표시를 제어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액온 경고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모두 같지만, 간략화를 위해 따뜻한 음료에 대해서만 기재한다.
도 16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10c)의 액온 추정 처리 및 액온 경고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덧붙여 액량 추정 처리 및 액량 경고 처리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 액온 추정 처리 및 액온 경고 처리는, 토출 밸브(12)의 개폐의 유무에 관계없이 실행된다. 예를 들면, 액온 추정 처리 및 액온 경고 처리는, 주기적으로 실행되어도 되고, 미리 설정된 타이밍으로 실행되어도 된다.
연산 처리부(351c)는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제1 온도 센서(36) 및 제2 온도 센서(37)로부터 내부 온도 정보 및 외부 온도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301).
연산 처리부(351c)는 취득한 내부 온도 정보 및 외부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액온을 추정한다(스텝 S302). 연산 처리부(351c)는 액온의 추정치가 액온 설정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3). 액온의 추정치가 액온 설정치 미만인 경우(스텝 S303-YES), 연산 처리부(351c)는 액온 경고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액온의 추정치와, 액온의 경고를 표시부(33)에 표시한다(스텝 S304). 액온 경고 프로그램이란 연산 처리부에 대해서 액온에 관한 경고 알림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액온의 경고는, 예를 들면 액온이 낮아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덧붙여 연산 처리부(351c)는 액온의 추정치와, 액온의 경고를 어떠한 태양으로 표시부(33)에 표시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연산 처리부(351c)는 액온의 추정치를 그래프로 표시시키고, 액온의 경고를 문자로 표시시켜도 되고, 액온의 추정치를 숫자로 표시시키고, 액온의 경고를 문자로 표시시켜도 되고, 그 외의 표시여도 된다.
한편, 액온의 추정치가 액온 설정치 미만이 아닌 경우(스텝 S303-NO), 연산 처리부(351c)는 액온의 추정치를 표시부(33)에 표시한다(스텝 S305). 덧붙여 연산 처리부(351c)는 액온의 추정치를 어떠한 태양으로 표시부(33)에 표시시켜도 된다.예를 들면, 연산 처리부(351c)는 액온의 추정치를 그래프로 표시시켜도 되고, 액온의 추정치를 숫자로 표시시켜도 되고, 그 외의 표시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액체 용기(10c)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액체 용기(10c)는 액량 외에 용기 본체(2) 내의 액온의 추정치를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에 대해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래, 온도 센서를 액체 내에 삽입하여 액체 온도나 액량을 센싱하고 있는 상품이 존재한다. 이 경우, 센서가 항상 음료에 잠겨 있으므로 센서 수납부가 더러워져 버린다. 센서 수납부에는 일반적으로 수지 부재가 사용되어, 금속에 비해 더러워지기 쉽다. 특히 커피 등의 음료의 경우는 색도 침착되기 쉬워, 꼼꼼하게 세정하지 않으면 센서나 센서 수납부가 변색될 가능성도 있다. 그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온도 센서는 통상 사용의 상태에서는 액체에 잠기지 않는 위치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더러워지기 어려워 위생적이다. 여기서, 통상 사용의 상태에서는 액체에 잠기지 않는 위치란 예를 들면 수지성의 부품(예를 들면, 파지부(3), 파지부(3)와 일체화되어 있는 금속 용기 주변부, 마개(1)) 내이다. 또한, 뜨거운 커피 등 고온의 액체에 장시간 접촉함으로써, 센서 수납부의 열화가 촉진될 가능성도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또, 개방 검지부(31), 경사 센서(32), 표시부(33), 제어 장치(35) 및 제2 온도 센서(37)를 파지부(3)에 컴팩트하게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변형예>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10c)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10)와 마찬가지로 변형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온도 센서(36)를 마개(1)의 내부에 마련하고, 마개(1)를 용기 본체(2)에 장착함으로써, 제1 온도 센서(36)와 제어 장치(35c)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해도 된다.
또, 액체 용기(10c)의 연산 처리부(351c)는, 액체 용기(10c)가 단열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10c)인 경우에, 액온에 기초하는 판정으로서, 상기 외에, 액온의 추정치에 따른 이상 판정을 행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연산 처리부(351c)는, 온도 정보를 규정의 간격(예를 들면, 1분 간격)으로 취득하여 액온을 추정한다. 다음에, 연산 처리부(351c)는 일정한 기간에 추정한 액온의 변화율을 산출한다. 다음에, 연산 처리부(351c)는 산출한 액온 변화율과, 미리 설정된 액온 변화율을 비교한다. 그리고 연산 처리부(351c)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액체 용기(10c)의 단열 성능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연산 처리부(351c)는, 액온 변화율이 비교용의 액온 변화율보다 큰 경우(빨리 식음, 빨리 미지근해짐), 액체 용기(10c)의 고장(보온 성능의 불량)으로 판정한다. 덧붙여 비교용의 액온 변화율의 정보는, 연산 처리부(351c)가 기억하고 있어도 되고, 메모리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액체 용기(10c)의 고장으로 판정했을 경우, 연산 처리부(351c)는 표시부(33)에 경고를 표시한다.
한편, 액온 변화율이 비교용의 액온 변화율보다 낮은 경우, 액체 용기(10c)가 고장나 있지 않다(보온 성능의 양호)고 판정한다.
연산 처리부(351c)는 제1 온도 센서(36)로부터 취득한 내부 온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내부 주변 온도의 값 및 제2 온도 센서(37)로부터 취득한 외부 온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액체 용기(10c)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의 온도의 값이 각각 제2 규정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제2 규정 범위는 제1 온도 센서(36) 및 제2 온도 센서(37)의 고장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판정 기준이며, 예를 들면 0~100℃이다. 덧붙여 제2 규정 범위는 상기의 범위로 한정되지 않고 적당히 설정되어도 된다. 제2 규정 범위의 정보는 연산 처리부(351c)가 기억하고 있어도 되고, 메모리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연산 처리부(351c)는 내부 온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내부 주변 온도의 값 및 외부 온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액체 용기(10c)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의 온도의 값이 제2 규정 범위 내인 경우에는 제1 온도 센서(36) 및 제2 온도 센서(37)가 정상이라고 판정하고, 내부 주변 온도의 값이 제2 규정 범위 외인 경우에는 제1 온도 센서(36)가 이상(고장)이라고 판정하고, 액체 용기(10c)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의 온도의 값이 제2 규정 범위 외인 경우에는 제2 온도 센서(37)가 이상(고장)이라고 판정한다.
내부 주변 온도의 값이 제2 규정 범위 외인 경우, 연산 처리부(351c)는 제1 온도 센서(36)가 고장나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취지를 표시부(33)에 표시시켜도 된다. 액체 용기(10c)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의 온도의 값이 제2 규정 범위 외인 경우, 연산 처리부(351c)는 제2 온도 센서(37)가 고장나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취지를 표시부(33)에 표시시켜도 된다. 내부 주변 온도의 값 및 액체 용기(10c)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의 온도의 값이 제2 규정 범위 외인 경우, 연산 처리부(351c)는 제1 온도 센서(36) 및 제2 온도 센서(37)가 고장나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취지를 표시부(33)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 연산 처리부(351c)는 액온의 추정치에 따른 이상 판정을 이하와 같이 가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연산 처리부(351c)는 토출 밸브(12)의 개방이 검지된 시각과, 그 시점에 있어서의 온도 정보 및 액량의 정보를 토출 밸브(12)의 개방이 검지될 때마다 기억해 두고, 전회(前回) 토출 밸브(12)의 개방이 검지된 시각부터 새롭게 토출 밸브(12)의 개방이 검지된 시각까지의 시간과, 그 시간에 있어서의 액량의 추정치의 차 및 액온의 추정치의 차에 기초하여 시간당 액온 변화(즉 액온 변화율)를 산출한다. 다음에, 연산 처리부(351c)는 산출한 액온 변화율과, 미리 설정된 액온 변화율을 비교한다. 그리고 연산 처리부(351c)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액체 용기(10c)의 단열 성능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단열 성능이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한 판정은, 상술되어 있기 때문에 생략한다. 덧붙여 연산 처리부(351c)는 토출 밸브(12)의 개방이 검지된 타이밍으로 한정하지 않고, 임의의 타이밍에서 온도 정보 및 액량의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연산 처리부(351c)는 액토출 동작이 이루어졌을 경우에, 온도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 처리부(351c)는 액토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제1 온도 센서(36) 및 제2 온도 센서(37)로부터 내부 온도 정보 및 외부 온도 정보를 취득한다. 덧붙여 연산 처리부(351c)는 액토출 동작이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경사 각도 정보를 취득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연산 처리부(351c)는 액토출 동작이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경사 각도 정보, 내부 온도 정보 및 외부 온도 정보의 모두를 같은 타이밍에서 취득한다.
또, 연산 처리부(351c)는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검지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 절전 모드로 이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의 경우, 연산 처리부(351c)는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검지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 온도 정보의 취득의 가동을 제한한다.
구체적으로는, 연산 처리부(351c)는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검지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 제1 온도 센서(36) 및 제2 온도 센서(37)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그리고 연산 처리부(351c)는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면, 제1 온도 센서(36), 제2 온도 센서(37) 중 어느 것 또는 모두에 대해서 전력 공급을 개시하여, 제1 온도 센서(36), 제2 온도 센서(37) 중 어느 것 또는 모두를 기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검지되고 있지 않는 동안, 제1 온도 센서(36) 및 제2 온도 센서(37)는 내부 온도 정보 및 외부 온도 정보를 취득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를 응용한 시스템의 제1 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관리 시스템(100d)은, 예를 들면 음식점, 음식 스페이스를 구비하는 유기장 등에 적용된다. 관리 시스템(100d)은 액체 용기(10d) 및 관리 장치(40d)를 구비한다.
액체 용기(10d)는 마개(1) 및 용기 본체(2)로 구성된다. 액체 용기(10d)는, 용기 본체(2)가 제어 장치(35c)를 대신하여 제어 장치(35d)를 구비하는 점, 표시부(33)를 구비하지 않는 점에서 액체 용기(10c)와 구성이 상이하다. 액체 용기(10d)는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액체 용기(10c)와 같다. 그 때문에, 액체 용기(10d) 전체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 장치(35d)는 경사 각도 정보와, 온도 정보를 관리 장치(40d)에 송신한다.
관리 장치(40d)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휴대 전화, 태블릿 단말, 노트 PC,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관리 장치(40d)는 액체 용기(10d)를 관리한다. 예를 들면, 관리 장치(40d)는 액체 용기(10d)로부터 송신된 경사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각 액체 용기(10d)의 용기 본체(2) 내의 액량을 추정하고, 각 액체 용기(10d)의 액량의 추정치나 액량의 경고를 표시한다. 또, 예를 들면, 관리 장치(40d)는 액체 용기(10d)로부터 송신된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각 액체 용기(10d)의 용기 본체(2) 내의 액온을 추정하여, 각 액체 용기(10d)의 액온의 추정치나 액온의 경고를 표시한다.
관리 시스템(100d)에는 단수 또는 복수의 액체 용기(10d)가 구비된다. 액체 용기(10d) 및 관리 장치(40d)는 Bluetooth(등록 상표)에 의해 무선 통신을 행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관리 시스템(100d)이 음식점에 적용되었을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이 경우, 액체 용기(10d)가 각 테이블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7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장치(35d)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제어 장치(35d)는 CPU나 메모리 등이 탑재된 연산 처리부(351d) 및 통신부(354)를 구비하고,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입출력 제어를 행하는 장치로서 기능한다. 덧붙여 제어 장치(35d)의 각 기능의 모두 또는 일부는, ASIC나 PLD나 FPGA 등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또, 제어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도 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예를 들면 SD 카드, USB 등의 휴대용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이다. 또, 제어 프로그램은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서 송수신되어도 된다.
제어 장치(35d)는 통신부(354)를 새롭게 구비하는 점, 연산 처리부(351d)가 액량 추정 프로그램, 액량 경고 프로그램, 액온 추정 프로그램, 액온 경고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는 점에서 제어 장치(35c)와 구성이 상이하다. 제어 장치(35d)는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제어 장치(35c)와 같다. 그 때문에, 제어 장치(35d) 전체의 설명은 생략한다.
연산 처리부(351d)는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정보의 입출력을 행한다. 예를 들면, 연산 처리부(351d)는 개방 검지 정보, 경사 각도 정보, 내부 온도 정보 및 외부 온도 정보를 입력한다. 연산 처리부(351d)는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개방 검지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개방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토출 밸브(12)의 개방을 검출한다. 그리고 토출 밸브(12)의 개방이 검출되면, 연산 처리부(351d)는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경사 각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경사 각도 정보를 관리 장치(40d)에 송신시킨다. 또, 연산 처리부(351d)는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온도 정보(내부 온도 정보 및 외부 온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온도 정보를 관리 장치(40d)에 송신시킨다.
통신부(354)는 관리 장치(40d)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354)는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취득된 경사 각도 정보와, 용기 ID를 대응지어 통지 정보로서 관리 장치(40d)에 송신한다. 또, 예를 들면, 통신부(354)는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취득된 온도 정보와, 용기 ID를 대응지어 통지 정보로서 관리 장치(40d)에 송신한다.
도 18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관리 장치(40d)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관리 장치(40d)는 통신부(401), 연산 처리부(402d) 및 표시부(403)를 구비하고, 관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입출력 제어, 액량 추정, 액량 경고, 합계 액량 관리, 액온 추정 및 액온 경고를 행하는 장치로서 기능한다. 덧붙여 관리 장치(40d)의 각 기능의 모두 또는 일부는, ASIC나 PLD나 FPGA 등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또, 관리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도 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ROM, CD-ROM 등의 휴대용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이다. 또, 관리 프로그램은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해서 송수신되어도 된다.
관리 장치(40d)는 연산 처리부(402d)를 구비하는 점, 관리 프로그램 내에 액온 추정 프로그램과 액온 경고 프로그램을 새롭게 구비하는 점에서 관리 장치(40)와 상이하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관리 장치(40)와 같다. 그 때문에, 관리 장치(40d) 전체의 설명은 생략한다.
연산 처리부(402d)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산 처리부(402)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연산 처리부(402d)는 통신부(401)에 의해서 수신된 통지 정보를 이용하여, 액온 추정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 액체 용기(10d)의 용기 본체(2) 내의 액온을 추정한다. 연산 처리부(402d)는 액온 경고 프로그램에 의해서, 추정된 액온의 추정치가 액온 설정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연산 처리부(402d)는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부(403)의 표시를 제어한다.
도 19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관리 시스템(100d)의 액온 추정 처리 및 액온 경고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덧붙여 도 19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간단화를 위해서, 액체 용기(10d)가 1개, 관리 장치(40d)가 1개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또, 액량 추정 처리 및 액량 경고 처리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연산 처리부(351d)는 입력 인터페이스(352)를 통해서, 제1 온도 센서(36) 및 제2 온도 센서(37)로부터 내부 온도 정보 및 외부 온도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401). 연산 처리부(351d)는 통신부(354)를 제어하여, 취득한 온도 정보와, 용기 ID를 대응지어 통지 정보로서 관리 장치(40d)에 송신한다(스텝 S402).
관리 장치(40d)의 통신부(401)는 액체 용기(10d)로부터 송신된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연산 처리부(402d)는 통신부(401)에 의해서 수신된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액체 용기(10d)의 용기 본체(2) 내의 액온을 추정한다(스텝 S403).
또, 도 19에서는, 액체 용기(10d)가 1개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연산 처리부(402d)는 복수의 액체 용기(10d)로부터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통지 정보가 수신되었을 경우에는, 각 액체 용기(10d)의 용기 본체(2) 내의 액온을 추정한다. 액온의 추정 방법은 연산 처리부(351c)가 행하는 추정 방법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연산 처리부(402d)는 액온의 추정치가 액온 설정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404). 액온의 추정치가 액온 설정치 미만인 경우(스텝 S404-YES), 연산 처리부(402d)는 액온 경고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액온의 추정치와, 액온의 경고를 표시부(403)에 표시한다(스텝 S405). 예를 들면, 연산 처리부(402d)는 연산 처리부(351c)와 마찬가지로, 액온 경고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따뜻한 음료가 용기 본체(2)에 넣어졌을 경우에는 추정한 액온이 액온 설정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차가운 음료가 용기 본체(2)에 넣어졌을 경우에는 추정한 액온이 액온 설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따뜻한 음료에 대해서만 기재한다.
덧붙여 연산 처리부(402d)는 액온의 추정치와, 액온의 경고를 어떠한 태양으로 표시부(403)에 표시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연산 처리부(402d)는 액온의 추정치를 그래프로 표시시키고, 액온의 경고를 문자로 표시시켜도 되고, 액온의 추정치를 숫자로 표시시키고, 액온의 경고를 문자로 표시시켜도 되고, 그 외의 표시여도 된다.
한편, 액온의 추정치가 액온 설정치 미만이 아닌 경우(스텝 S404-NO), 연산 처리부(402d)는 액온의 추정치를 표시부(403)에 표시한다(스텝 S406). 덧붙여 연산 처리부(402d)는 액온의 추정치를 어떠한 태양으로 표시부(403)에 표시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연산 처리부(402d)는 액온의 추정치를 그래프로 표시시켜도 되고, 액온의 추정치를 숫자로 표시시켜도 되고, 그 외의 표시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관리 시스템(100d)에 의하면,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액체 용기(10d) 및 관리 장치(40d)는, 액량 외에 용기 본체(2) 내의 액온의 추정치를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에 대해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10d) 및 관리 장치(40d)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10a) 및 관리 장치(40a)와 마찬가지로 변형되어도 된다.
연산 처리부(402d)는 액온의 추정치가 액온 설정치 미만인 경우, 액온의 추정치가 액온 설정치 미만인 것을 나타내는 경고를 표시함과 아울러, 표시와 상이한 통지 태양으로, 해당하는 액체 용기(10d)에 있어서 유저에게 통지해도 된다. 표시와 상이한 통지 태양으로서는, 알람에 의한 통지여도 되고, 광의 발광에 의한 통지여도 되고, 음성 알림에 의한 통지여도 되고, 그 외의 통지여도 된다.
연산 처리부(402d)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산 처리부(402)와 마찬가지로,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경사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경사 센서(32)의 고장의 유무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 처리부(402d)는 경사 각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경사 각도의 값이 제1 규정 범위 외인 경우에 경사 센서(32)가 고장나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취지를 표시부(33), 표시부(403) 중 어느 것, 또는 그 양쪽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 연산 처리부(402d)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산 처리부(351c)와 마찬가지로, 제1 온도 센서(36) 및 제2 온도 센서(37)의 이상(고장)을 판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 처리부(402d)는 제1 온도 센서(36) 및 제2 온도 센서(37) 중 어느 것 또는 양쪽이 고장나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취지를 표시부(33), 표시부(403) 중 어느 것, 또는 그 양쪽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 연산 처리부(351d)는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검지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 절전 모드로 이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제5 실시 형태의 경우, 연산 처리부(351d)는, 예를 들면 경사 센서(32) 및 통신부(354) 외에, 제1 온도 센서(36), 제2 온도 센서(37)의 가동 중 어느 것 또는 모두를 제한한다. 경사 센서(32) 및 통신부(354)에 대한 가동의 제한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연산 처리부(351d)는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검지되지 않게 되었을 경우, 제1 온도 센서(36) 및 제2 온도 센서(37)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그리고 연산 처리부(351a)는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면, 제1 온도 센서(36) 및 제2 온도 센서(37)에 대해서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제1 온도 센서(36) 및 제2 온도 센서(37)를 기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토출 밸브(12)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검지되고 있지 않는 동안, 제1 온도 센서(36) 및 제2 온도 센서(37)는 내부 온도 정보 및 외부 온도 정보를 취득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액체 용기(10d)는,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와, 액온의 추정치와, 액온의 경고 중 어느 것 또는 모두를 표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액체 용기(10d)는, 도 15에 도시하는 출력 인터페이스(353) 및 표시부(33)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2개의 구성 중 어느 구성으로 된다.
1. 액체 용기(10d)에 있어서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와, 액온의 추정치와, 액온의 경고를 표시하지 않고, 관리 장치(40d)에 있어서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와, 액온의 추정치와, 액온의 경고 중 어느 것 또는 모두를 표시하는 구성
2. 액체 용기(10d) 및 관리 장치(40d)의 양쪽에 있어서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와, 액온의 추정치와, 액온의 경고 중 어느 것 또는 모두를 표시하는 구성
상기 1에 대해서는, 제5 실시 형태에서 이미 설명되었기 때문에 생략하고, 상기 2의 구성에 대해 도 20을 이용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은 제5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관리 시스템(100d)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20에 있어서, 도 19와 같은 처리에 대해서는 도 19와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405 또는 스텝 S406의 처리 후, 관리 장치(40d)는 스텝 S207의 처리에 있어서 액량의 추정치가 액량 설정치 미만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또는 스텝 S404의 처리에 있어서 액온의 추정치가 액온 설정치 미만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와, 액온의 추정치와, 액온의 경고를 포함하는 액체 정보를 액체 용기(10d)에 송신한다(스텝 S407). 덧붙여 액체 용기(10d)가 복수 개 있는 경우, 관리 장치(40d)는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와, 액온의 추정치와, 액온의 경고를 포함하는 액체 정보를 액체 용기(10d)마다 송신한다.
한편, 관리 장치(40d)는 스텝 S207의 처리에 있어서 액량의 추정치가 액량 설정치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또는 스텝 S404의 처리에 있어서 액온의 추정치가 액온 설정치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액량의 추정치와, 액온의 추정치를 포함하는 액체 정보를 액체 용기(10d)에 송신한다(스텝 S407). 덧붙여 액체 용기(10d)가 복수 개 있는 경우, 관리 장치(40d)는 액량의 추정치와, 액온의 추정치를 포함하는 액체 정보를 액체 용기(10d)마다 송신한다.
관리 장치(40d)가 액체 용기(10d)에 송신하는 액체 정보는,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와, 액온의 추정치와, 액온의 경고의 모두를 포함해도 되고, 그 중의 몇개의 조합이어도 되고, 그 중의 하나여도 된다.
액체 용기(10d)의 연산 처리부(351d)는, 관리 장치(40d)로부터 송신된 액체 정보에 기초하여, 액체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를 표시부(33)에 표시한다(스텝 S408). 구체적으로는, 연산 처리부(351d)는 관리 장치(40d)로부터 송신된 액체 정보에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와, 액온의 추정치와, 액온의 경고가 포함되는 경우,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와, 액온의 추정치와, 액온의 경고를 표시부(33)에 표시한다.
연산 처리부(351d)는 관리 장치(40d)로부터 송신된 액체 정보에 액온의 추정치만이 포함되는 경우, 액온의 추정치를 표시부(33)에 표시한다.
연산 처리부(351d)는 관리 장치(40d)로부터 송신된 액체 정보에 액온의 추정치와, 액온의 경고가 포함되는 경우, 액온의 추정치 및 액온의 경고를 표시부(33)에 표시한다.
연산 처리부(351d)는 관리 장치(40d)로부터 송신된 액체 정보에 액량의 추정치만이 포함되는 경우, 액량의 추정치를 표시부(33)에 표시한다.
연산 처리부(351d)는 관리 장치(40d)로부터 송신된 액체 정보에 액량의 추정치와 액량의 경고가 포함되는 경우, 액량의 추정치 및 액량의 경고를 표시부(33)에 표시한다.
(제6 실시 형태)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를 응용한 시스템의 제2 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관리 시스템(100e)은, 예를 들면 음식점, 음식 스페이스를 구비하는 유기장 등에 적용된다. 관리 시스템(100e)은, 도 13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다. 관리 시스템(100e)에 있어서 도 13과 상이한 점은, 액체 용기(10b) 대신에 액체 용기(10e)가 구비되고, 관리 장치(40b) 대신에 관리 장치(40e)가 구비되는 점이다.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체 용기(10e)의 내부 구성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10d)와 같다.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관리 장치(40e)의 내부 구성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관리 장치(40d)와 같다. 관리 장치(40e)가 관리 장치(40d)와 상이한 점은, 소정의 시각(예를 들면, 12시)에, 1일의 액체 소비량을 클라우드 서버(50)에 송신하는 점과, 클라우드 서버(50)로부터 액체 용기(10e)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 및 에어리어마다 집계 또는 분석된 결과를 수신하는 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관리 시스템(100e)에 의하면,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관리 시스템(100e)에서는, 액체 용기(10e)가 복수 종류 존재하는 경우, 신제품일 때 용기 ID에 대응하는 액량의 추정에 이용하는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50)로부터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고, 또한 정보 갱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조건에 대응할 수 있다.
<변형예>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10e) 및 관리 장치(40e)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용기(10b) 및 관리 장치(40b)와 마찬가지로 변형되어도 된다.
관리 장치(40e)는 경사 센서(32)가 이상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그 취지를 표시부(33), 표시부(403) 중 어느 것, 또는 그 양쪽에 표시시켜도 되고, 클라우드 서버(50)에 통지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액체 용기(10e)의 연산 처리부(351d)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산 처리부(351)와 마찬가지로,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경사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경사 센서(32)의 고장의 유무를 판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연산 처리부(351d)는 경사 각도 정보로 나타내지는 경사 각도의 값이 제1 규정 범위 외인 경우도 경사 센서(32)가 고장나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취지를 표시부(33)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 액체 용기(10e)의 연산 처리부(351d)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산 처리부(351c)와 마찬가지로, 제1 온도 센서(36) 및 제2 온도 센서(37)의 이상(고장)을 판정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액체 용기(10e)는 제1 온도 센서(36) 및 제2 온도 센서(37) 중 어느 것 또는 양쪽이 고장나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취지를 표시부(33)에 표시시켜도 되고, 관리 장치(40e)에 통지해도 되고, 클라우드 서버(50)에 통지해도 된다.
관리 장치(40e) 및 액체 용기(10e)는, 경사 센서(32), 제1 온도 센서(36) 및 제2 온도 센서(37) 중 어느 것 또는 이들 모두의 이상 판정에 이용하는 정보(예를 들면, 온도 정보, 경사 각도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50)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경사 센서(32), 제1 온도 센서(36) 및 제2 온도 센서(37)의 이상 판정을 행해도 된다.
이상, 이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등도 포함된다.
1…마개 2…용기 본체
3…파지부
10, 10a, 10b, 10c, 10d, 10e…액체 용기
11…토출 레버 12…토출 밸브
13…자석 31…개방 검지부
32…경사 센서 33…표시부
34…전지
35, 35a, 35b, 35c, 35d, 35e…제어 장치
36…제1 온도 센서 37…제2 온도 센서
40, 40a, 40b, 40d, 40e…관리 장치 351, 351a, 351c, 351d…연산 처리부
352…입력 인터페이스 353…출력 인터페이스
354…통신부 401…통신부
402, 402d…연산 처리부 403…표시부
50…클라우드 서버

Claims (6)

  1. 용기 내의 액체를 기울여 토출시키는 액체 용기로서,
    상기 용기의 경사 각도를 계측하는 경사 각도 계측부와,
    토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계측된 상기 경사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용기 내의 액량(液量)을 추정하는 연산 처리부를 구비하는 액체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 동작은 상기 용기 내의 액체를 토출하는 토출 기구를 개방하는 동작이고,
    상기 연산 처리부는 상기 용기 내의 액체를 토출하는 토출 기구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계측된 상기 경사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용기 내의 액량을 추정하는 액체 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산 처리부는 추정한 상기 용기 내의 액량의 추정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서 통지를 행하는 통지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통지부는 상기 용기 내의 액량의 추정치가 상기 설정치 미만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액량이 상기 설정치 미만인 취지를 나타내는 경고를 통지하는 액체 용기.
  4. 용기 내의 액체를 기울여 토출하는 액체 용기와, 상기 액체 용기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를 구비하는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액체 용기는
    용기의 경사 각도를 계측하는 경사 각도 계측부와,
    토출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 계측된 상기 경사 각도의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액체 용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경사 각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용기 내의 액량을 추정하는 연산 처리부를 구비하는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토출 동작은 상기 용기 내의 액체를 토출하는 토출 기구를 개방하는 동작이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용기 내의 액체를 토출하는 토출 기구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계측된 상기 경사 각도의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의 연산 처리부는 추정된 상기 용기 내의 액량의 추정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치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용기 내의 액량의 추정치가 상기 설정치 미만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 상기 액량이 상기 설정치 미만인 취지를 나타내는 경고를 통지하는 관리 시스템.
KR1020190026994A 2018-03-15 2019-03-08 액체 용기 및 관리 시스템 KR201901092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48284 2018-03-15
JP2018048284A JP2019158754A (ja) 2018-03-15 2018-03-15 液体容器及び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255A true KR20190109255A (ko) 2019-09-25

Family

ID=6790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994A KR20190109255A (ko) 2018-03-15 2019-03-08 액체 용기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285456A1 (ko)
JP (1) JP2019158754A (ko)
KR (1) KR20190109255A (ko)
CN (1) CN110269466A (ko)
CA (1) CA3036469A1 (ko)
TW (1) TWI6933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5480B1 (ja) * 2018-11-13 2020-01-29 株式会社Tree Field 抽出装置、抽出装置における表示方法、並びにシステム
USD969528S1 (en) * 2020-02-03 2022-11-15 Smeg S.P.A. Electric kettle
USD959187S1 (en) * 2020-06-11 2022-08-02 Midea Group Co., Ltd. Electric kettle
CA201082S (en) * 2020-07-30 2021-11-29 Midea Group Co Ltd Electric kettle
CA201439S (en) * 2020-07-30 2021-12-17 Midea Group Co Ltd Electric kettle
USD972357S1 (en) * 2020-08-20 2022-12-13 Midea Group Co., Ltd. Kettle
USD965371S1 (en) * 2020-08-20 2022-10-04 Midea Group Co., Ltd. Electric kettle
CN113876163A (zh) * 2021-08-23 2022-01-04 无界工场(上海)设计科技有限公司 用于饮用器具的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111933B (zh) * 2021-11-25 2022-12-02 南京智鹤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物流车辆的油位在线监测方法
WO2023120168A1 (ja) * 2021-12-20 2023-06-29 株式会社資生堂 容器に装着可能な使用検知ユニット、および化粧料使用評価システム
WO2024059907A1 (en) * 2022-09-21 2024-03-28 Breville Pty Limited An appli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5248A (ja) 2007-12-17 2009-07-02 Allgo Corp 液体容器の液量・液温検知ユニット
JP2015149074A (ja) 2013-04-03 2015-08-20 必有方投資股▲ふん▼有限公司Beyond Investment Co., Ltd. 液体摂取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26971A1 (en) * 2004-07-06 2006-02-09 Richard Sharpe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d monitoring wine temperature
TWM363268U (en) * 2009-02-19 2009-08-21 Wei-Lun Peng Liquid container capable of supplying power by itself and displaying temperature
JP5718914B2 (ja) * 2009-07-08 2015-05-1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容器内の液体体積を管理する装置及び方法
JP2012139461A (ja) * 2011-01-06 2012-07-26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ケトル
AU2013235574A1 (en) * 2012-03-23 2014-10-30 Douglas H. Fleming Lid and vapor directing baffle for beverage container
TW201420434A (zh) * 2012-11-21 2014-06-01 Chih-Fong Wang 溶液盛裝容器
CN203341464U (zh) * 2013-06-28 2013-12-18 倪月 一种带倒水提醒功能的杯座
US9788685B2 (en) * 2013-07-10 2017-10-17 Keurig Green Mountain, Inc. Beverage machine with carafe compatible drip tray
CN104819752B (zh) * 2015-05-05 2017-10-31 成都小爱未来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准确检测水杯饮水量的方法
CN105054725A (zh) * 2015-08-30 2015-11-18 武汉银龙泉科技有限公司 智能水杯
JP2018017708A (ja) * 2016-07-29 2018-02-01 章太 森脇 容器に設置するデバイスおよび該デバイスを具備する容器と該容器に関する情報を表示するシステム
CN107158516A (zh) * 2017-05-10 2017-09-15 广东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输液安全提醒方法及装置
CN107576365B (zh) * 2017-09-01 2020-02-07 一步到味(天津)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流量的液体容器及其液体流量检测方法
CN107363849A (zh) * 2017-09-13 2017-11-21 陕西来复科技发展有限公司 自动倒水机器人倒水辨识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5248A (ja) 2007-12-17 2009-07-02 Allgo Corp 液体容器の液量・液温検知ユニット
JP2015149074A (ja) 2013-04-03 2015-08-20 必有方投資股▲ふん▼有限公司Beyond Investment Co., Ltd. 液体摂取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85456A1 (en) 2019-09-19
TWI693379B (zh) 2020-05-11
TW201939000A (zh) 2019-10-01
JP2019158754A (ja) 2019-09-19
CA3036469A1 (en) 2019-09-15
CN110269466A (zh)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9255A (ko) 액체 용기 및 관리 시스템
KR20190109256A (ko) 액체 용기 및 관리 시스템
US80647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nd indicating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controlled liquids
KR20170138992A (ko) 음료용기와 금식기 및 이를 위한 능동 온도 제어 모듈
US20150245743A1 (en) Temperature monitoring beverage container
WO2017151362A1 (en) Liquid container and module for adjusting temperature of liquid in container
JP2008029849A (ja) 食物調理容器
CN106264058B (zh) 确定烹饪设备的盖子开合状态的装置、方法和烹饪设备
CN103017436A (zh) 冰箱
US20160131533A1 (en) Wine thermometer
EP1921198B1 (en) Sensing device and method
US9384650B2 (en) Organism sample measurement device and organism sample measurement sensor housing device
CN112731988A (zh) 温度控制方法及控制装置
CN212530756U (zh) 保温箱
WO2016135121A1 (en) A cup holder and the related method for identifying the fill level of a cup
TWI587251B (zh) The refrigerator uses a state detection system
CN113876163A (zh) 用于饮用器具的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74338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retrieving data stored within an associated piece of equipment
WO2014091508A1 (en) Knob for a cooking vessel lid with device for cooking temperature control
CN108709966A (zh) 一种饮品质检方法及系统
JP2018175081A (ja) 液体容器及び通信装置
CN109463980A (zh) 智能锅
KR20210078383A (ko) 진동벨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텀블러
TR201911985A2 (tr) Bir akıllı matara ve bunun için bir çalışma yöntemi.
CN114821980A (zh) 基于家电设备的人体监护方法和家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