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021A -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021A
KR20190109021A KR1020180030847A KR20180030847A KR20190109021A KR 20190109021 A KR20190109021 A KR 20190109021A KR 1020180030847 A KR1020180030847 A KR 1020180030847A KR 20180030847 A KR20180030847 A KR 20180030847A KR 20190109021 A KR20190109021 A KR 20190109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est virtual
virtual operating
information
unit
ope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0614B1 (ko
Inventor
정우경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0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614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45Guest-host, i.e. hypervisor is an application program itself, e.g. Virtual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어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스트 가상 운영부를 포함하는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에 있어서, 게스트 가상 운영부와 각각 연결되어 각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 정보를 전달하는 모니터링부; 게스트 가상 운영부와 각각 연결되고, 모니터링부를 통해 비정상의 게스트 가상 운영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면, 정상화를 위해 해당 게스트 가상 운영부가 재시작되도록 제어명령을 해당 게스트 가상 운영부에 전송하는 시스템 관리부; 및 게스트 가상 운영부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하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해당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정보를 정상 운영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시켜 표시하는 스크린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CONTROL DEVICE USING WIRTUAL OPERATING SYSTEM}
본 발명은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상화를 통해 운용되고 있는 주 제어장치의 장애 발생시에도 다른 게스트 가상 운영부를 통해 운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전환표시할 수 있는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제어기기들은 각각의 중앙처리장치(CPU) 또는 초소형 연산처리장치(MCU)를 통해 독립적으로 운영되었다. 이후, 하이퍼바이저(Hypervisor)와 같은 기능에 따라 종래 차량의 제어기기들은 하나의 중앙처리장치의 가상화 기능을 통해 통합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서, 하이퍼바이저는 OS(Operating System) 가상화 또는 가상화 기술의 하나의 명칭이고, 타사의 경우 MultiVisor라는 명을 사용하기도 한다.
즉, 종래 차량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하이퍼바이저(Hypervisor)와 같은 가상화 기능을 통해 각 제어기능들이 각 게스트 가상 운영부에 탑재되어 운영된다.
이러한 종래 차량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 각 게스트 가상 운영부가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게스트 가상 운영부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기능의 게스트 가상 운영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구현된다.
또한 종래 차량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각 게스트 가상 운영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감지하기 위한 워치독 매니저를 구비하고, 상기 워치독 매니저를 통해 문제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를 리셋(Reset)하여 정상화시키는 시스템 매니저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차량의 정보 제공 시스템은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에 대하여 여러번 리셋을 함에도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드웨어적인 결함으로 해당 기능이 정상적으로 사용하지 못할 경우, 주 제어장치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스트 가상 운영부를 통해 다수의 제어기를 구현하는 가상화 차량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주 제어장치를 담당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장애가 발생한 주 제어장치의 정보를 표시해줄 수 있는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는 제어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스트 가상 운영부를 포함하는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와 각각 연결되어 각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 정보를 전달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비정상의 게스트 가상 운영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면, 정상화를 위해 해당 게스트 가상 운영부가 재시작되도록 제어명령을 해당 게스트 가상 운영부에 전송하는 시스템 관리부; 및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하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해당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정보를 정상 운영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시켜 표시하는 스크린 관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관리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가 주 제어기기인지를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가 주 제어기기인 경우, 정상 운영중인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주 제어기기는, 차량의 속도 정보, RPM 정보, 냉각수 정보 및 연료 정보를 포함하는 클러스터 또는 차량의 전, 후 시계 범위 정보, 좌/우측면의 시계 범위 정보를 표시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관리부는, 상기 모니터링부로부터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에 장애가 발생됨이 확인되면, 장애가 발생한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정보를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정상적인 게스트 가상 운영부를 통해 제공하는 정보와 함께 표시함을 탑승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정보를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린 관리부는, 상기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와 상기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가 수신되면, 주행 속도 정보에 따라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를 통해 제공된 정보를 상기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확장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관리부는,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와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를 통해 제공되는 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방법은 제어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스트 가상 운영부를 포함하는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모니터링부가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와 각각 연결되어 각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시스템 관리부가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비정상의 게스트 가상 운영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면, 정상화를 위해 해당 게스트 가상 운영부가 재시작되도록 제어명령을 해당 게스트 가상 운영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스크린 관리부가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하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가 존재하면, 상기 스크린 관리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해당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정보를 정상 운영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의 안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처리하는 기기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통해 안정적으로 탑승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스크린 관리부에 따르면,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럭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크린 관리부의 표시 화면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크린 관리부의 표시 화면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크린 관리부의 표시 화면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는 복수의 게스트 가상 운영부(100-1 내지 100-n), 모니터링부(200), 시스템 관리부(300) 및 스크린 관리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게스트 가상 운영부(100-1 내지 100-n)는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제어기기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가상 운영체제이다. 이러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100-1 내지 100-n)는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복수개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게스트 가상 운영부(100-1 내지 100-n)를 통해 수행되는 기능은 클러스터, CMS와 같은 주 제어기기의 기능과 AVN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이라 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200)는 하이퍼바이저상에 구현되고,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100-1 내지 100-n)와 각각 연결되어 각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100-1 내지 100-n)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100-1 내지 100-n) 정보를 시스템 관리부(3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장애란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정상적인 동작이나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인 LCD, LED,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가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경우를 말한다.
그리고 시스템 관리부(300)는 하이퍼바이저상에서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100-1 내지 100-n)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모니터링부(200)를 통해 비정상의 게스트 가상 운영부(100-1 내지 100-n)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면, 정상화를 위해 해당 게스트 가상 운영부(100-1 내지 100-n)가 재시작되도록 제어명령을 해당 게스트 가상 운영부(100-1 내지 100-n)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스크린 관리부(400)는 하이퍼바이저상에서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100-1 내지 100-n)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500)를 통해 표시한다.
만약,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100-1 내지 100-n) 정보의 경우, 스크린 관리부(400)는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장애가 발생한 해당 게스트 가상 운영부(100-1 내지 100-n)의 정보를 정상 운영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00-1 내지 100-n)의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포함시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의 안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처리하는 기기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통해 안정적으로 탑승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스크린 관리부(400)는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100-1 내지 100-n)가 주 제어기기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주 제어기기는, 차량의 속도 정보, RPM 정보, 냉각수 정보 및 연료 정보를 포함하는 클러스터 또는 차량의 전, 후 시계 범위 정보, 좌/우측면의 시계 범위 정보를 표시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100-1 내지 100-n)가 주 제어기기인 경우, 스크린 관리부(400)는 정상 운영중인 게스트 가상 운영부(100-1 내지 100-n)의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100-1 내지 100-n)의 정보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채용된 스크린 관리부(400)에 따르면,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정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관리부(4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10)의 정보(m1)와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20)의 정보(s1)를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20)의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좌, 우로 분할하여 표시한다.
또한, 스크린 관리부(40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10)의 정보(m1)와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20)의 정보(s1)를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20)의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상, 하로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스크린 관리부(400)는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20)의 정보(s1)를 디스플레이 장치(500) 전체에 표시하고,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10)의 정보(m1)를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20)의 정보(s1)에 중첩하여 일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린 관리부(400)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20)의 정보(s1)를 백그라운드에 유지하고,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10)의 정보(m1)를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20)의 디스플레이 장치(500) 전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관리부(400)는, 상기 모니터링부(200)로부터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10)에 장애가 발생됨이 확인되면, 장애가 발생한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10)의 정보(m1)를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정상적인 게스트 가상 운영부(120)를 통해 제공하는 정보(s1)와 함께 표시함을 탑승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정보를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크린 관리부(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10)의 정보(m1)와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20)의 정보(s1)를 탑승자가 요구하는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관리부(4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 치(500)의 중앙을 중심으로 좌측에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10)의 정보(m1)(클러스터 화면)를 표시하고, 우측에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20)의 정보(s1)(AVN 화면)를 표시한다. 그리고, 스크린 관리부(400)는 클러스터 화면(m1) 일측에 CMS(Camera Monitor System, 이하 "CMS"라 함)의 좌측 화면(m2)을 AVN 화면(s1) 일측에 CMS 우측 화면(m3)을 기본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에 따라, 스크린 관리부(40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MS 좌측 화면(m2)을 AVN(Audio Video Navigation, 이하 "AVN"이라 함) 화면(s1) 내측에 이동시켜 보조석에 위치한 탑승자가 편하게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관리부(40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에 따라 AVN 화면(s1)을 클러스터 화면(m1)으로 대치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N 화면(s1) 상에 CMS 우측 화면(m3)을 중첩하여 표시할 수도 있으며,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N 화면(s1)과 클러스터 화면(m1)을 바꿔 표시할 수도 있고,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N 화면(s1)상에 CMS 우측 화면(m3)과 좌측 화면(m2)을 모두 중첩하여 표시할 수도 있으며,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스터의 화면(m1)상에 CMS의 화면(m2, m3)을 중접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관리부(4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m1)와 상기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20)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s1)가 수신되면, 주행 속도 정보에 따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N 화면(s1)상에 클러스터 화면(m1) 또는 CMS 화면(m2, m3)이 중첩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20)의 정보(s1)는 백그라운드에서 수행되고,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10)를 통해 제공된 정보(m1)가 상기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20)의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확장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크린 관리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20)의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탑승자가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10)가 표시될 수 있다.
즉, 탑승자는 상기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10)와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120)를 통해 제공되는 각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복수의 게스트 가상 운영부 200 : 모니터링부
300 : 시스템 관리부 400 : 스크린 관리부

Claims (7)

  1. 제어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스트 가상 운영부를 포함하는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와 각각 연결되어 각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 정보를 전달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비정상의 게스트 가상 운영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면, 정상화를 위해 해당 게스트 가상 운영부가 재시작되도록 제어명령을 해당 게스트 가상 운영부에 전송하는 시스템 관리부; 및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하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해당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정보를 정상 운영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시켜 표시하는 스크린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관리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가 주 제어기기인지를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가 주 제어기기인 경우, 정상 운영중인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인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기기는,
    차량의 속도 정보, RPM 정보, 냉각수 정보 및 연료 정보를 포함하는 클러스터 또는 차량의 전, 후 시계 범위 정보, 좌/우측면의 시계 범위 정보를 표시하는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관리부는,
    상기 모니터링부로부터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에 장애가 발생됨이 확인되면, 장애가 발생한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정보를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정상적인 게스트 가상 운영부를 통해 제공하는 정보와 함께 표시함을 탑승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정보를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관리부는,
    상기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와 상기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가 수신되면, 주행 속도 정보에 따라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를 통해 제공된 정보를 상기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확장시켜 표시하는 것인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관리부는,
    탑승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주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와 보조 제어기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를 통해 제공되는 각 정보를 표시하는 것인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
  7. 제어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스트 가상 운영부를 포함하는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모니터링부가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와 각각 연결되어 각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시스템 관리부가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비정상의 게스트 가상 운영부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면, 정상화를 위해 해당 게스트 가상 운영부가 재시작되도록 제어명령을 해당 게스트 가상 운영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스크린 관리부가 상기 게스트 가상 운영부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하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게스트 가상 운영부가 존재하면, 상기 스크린 관리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해당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정보를 정상 운영되는 게스트 가상 운영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방법.









KR1020180030847A 2018-03-16 2018-03-16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90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847A KR102490614B1 (ko) 2018-03-16 2018-03-16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847A KR102490614B1 (ko) 2018-03-16 2018-03-16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021A true KR20190109021A (ko) 2019-09-25
KR102490614B1 KR102490614B1 (ko) 2023-01-19

Family

ID=68068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847A KR102490614B1 (ko) 2018-03-16 2018-03-16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6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1903A1 (ko) * 2021-02-26 2022-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36369A1 (ko) * 2022-01-11 2023-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1664A (ja) * 2004-02-04 2005-08-18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マルチモニタシステム
KR20070083569A (ko) * 2004-08-18 2007-08-24 쟈루나 에스에이 운영체제
KR20110015951A (ko) * 2009-08-10 2011-0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헤드 유닛 장치와 그 동작 방법
US20160101695A1 (en) * 2014-10-10 2016-04-14 Hyundai Mobis Co., Ltd. Cluster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1664A (ja) * 2004-02-04 2005-08-18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マルチモニタシステム
KR20070083569A (ko) * 2004-08-18 2007-08-24 쟈루나 에스에이 운영체제
KR20110015951A (ko) * 2009-08-10 2011-0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헤드 유닛 장치와 그 동작 방법
US20160101695A1 (en) * 2014-10-10 2016-04-14 Hyundai Mobis Co., Ltd. Cluster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1903A1 (ko) * 2021-02-26 2022-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36369A1 (ko) * 2022-01-11 2023-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614B1 (ko)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9998B1 (en) Electronic flight bag system and method
US11492011B2 (en)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utonomous driving control of vehicles
JP5055286B2 (ja) 航空機の表示システム
WO2021114794A1 (zh) 一种自动驾驶控制系统、控制方法及设备
CN109992193B (zh) 一种车内触控屏飞屏互动方法
US20160357492A1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an aircraft
US10040353B2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KR20190109021A (ko) 가상 운영체제를 이용한 제어기기의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110121A (ko) 안전-중요 정보와 비-안전-중요 정보의 공동 표현을 위한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04678796A (zh) 用于显示飞行器信息的方法和系统
US20220073019A1 (en) Vehicle device
WO2015006171A1 (en) Standby flight display system
US11836056B2 (en) Vehicular apparatus
KR101807177B1 (ko) 항공기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JP6003536B2 (ja) 車両用表示システム
KR101138547B1 (ko) 동기화 가능한 이중 그래픽 프로세서 모듈을 가진 임무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이중 그래픽 프로세서 모듈 간의 동기화 방법
US20180261148A1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an aircraft
US201400950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vehicle checklist
US111488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screen displays
EP3896233A1 (en) Work machine
JP2014215622A (ja) プラント監視システム及びプラント監視方法
JP2017065496A (ja) モニタ制御システム、モニタ制御方法、及び、モニタ制御プログラム
US10320909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appliances aboard a vehicle
WO2020235173A1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WO2024000333A1 (zh) 电子后视镜系统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