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579A -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 - Google Patents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579A
KR20190108579A KR1020197021882A KR20197021882A KR20190108579A KR 20190108579 A KR20190108579 A KR 20190108579A KR 1020197021882 A KR1020197021882 A KR 1020197021882A KR 20197021882 A KR20197021882 A KR 20197021882A KR 20190108579 A KR20190108579 A KR 20190108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body surface
silicone rubber
less
adhesi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코 토미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90108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5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5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e.g. vin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1Preparations for care of the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과제) 체표면에 첩부함으로써 체표면을 포동포동하게 보이게 할 수 있고, 추종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체표면에 대하여 주는 부담이 적어 폭넓게 체표면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를 막 두께 50~600㎛의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로서, 실리콘 고무가 JIS K6249 규격에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A 경도계에 의한 고무 경도가 20 이하인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
본 발명은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에 관한 것이다.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피부 노화의 하나의 현상으로서 주름이 증가하지만, 미용 등의 관점으로부터 특히 여성에게 있어서 주름의 방지 및 개선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져 있다. 특히, 가령(加齡)을 포함한 피부의 고민 중에서 형상 변화가 현저히 나타나는 부위로서 입술을 들 수 있다. 입술에 관한 고민에는 입술의 거칠어짐이나 각질 등과 함께 가령에 따르는 입술의 주름의 많음이나 포동포동한 느낌의 저하라고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지지체층, 점착제층 및 세퍼레이터층을 적층해서 구비한 입술용 첩부재가 기재되어 있다. 이 입술용 첩부재는 입술의 표면에 첩부함으로써 입술 화장료를 사용하는 일 없이 입술에 색채, 윤기를 부여함과 아울러 입술의 보호 등의 효과를 입술에 부여하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립스틱 등의 입술 화장료의 화장 효과의 지속성을 개선하고, 이염이나 색 번짐을 방지하는 입술 화장료 커버용 첩부재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폴리우레탄 등의 가요성 재료제인 기재와, 피부의 수정 컬러 화상이 인쇄되어 있는 화상 형성층과, 핫멜트 접착제층과, 투수 보호층을 구비하는 화장용 적층 구조체가 기재되어 있다. 이 화장용 적층 구조체는 피부에 접착해서 피부의 결함을 은폐하는 것이다.
일본특허공개 2015-168626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5/072021호 일본특허 567730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이나 2에 기재되어 있는 입술용 첩부재는 입술을 포동포동하게 하는 것을 소구한 것이 아니고, 점착제층이 주는 입술에의 부담이나, 위화감이 크고, 추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화장용 적층 구조체도 입술을 포동포동하게 하는 것을 소구한 것이 아니고, 피부의 결함을 피부의 수정 컬러 화상이 인쇄되어 있는 화상 형성층으로 보완하는 것이며, 첩부하는 위치에 따른 화상 형성층이 필요하거나, 또한 피부에 대한 부담을 고려하면 얼굴이나 입술 등과 같은 델리케이트한 부분에의 적용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체표면에 첩부함으로써 체표면을 포동포동하게 보이게 할 수 있고, 추종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체표면에 대하여 주는 부담이 적어 폭넓게 체표면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막 두께 50~600㎛의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로서, 실리콘 고무가 JIS K6249 규격에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A 경도계에 의한 고무 경도가 20 이하인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체표면이란 몸의 모든 부분(얼굴, 손, 발, 가슴, 아랫배, 등 등)의 피부이며, 피부에는 입술이나 피부의 표피의 각질이 변화되어 경화한 손발톱도 포함되고, 상처가 있는 피부 표면도 포함된다.
고무 경도는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막 두께는 50~400㎛가 바람직하고, 또한 50~3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특히는 50㎛ 이상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입술용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눈가용이어도 좋고, 눈가용의 경우에는 막 두께가 50㎛ 이상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박리 시트를 갖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화장 키트는 상기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화장 키트는 밀착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제는 폴리부텐 또는 폴리이소부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착제에는 보습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막 두께 50~600㎛의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로서, 실리콘 고무가 JIS K6249 규격에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A 경도계에 의한 고무 경도가 20 이하인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므로 체표면에 첩부함으로써 체표면을 포동포동하게 보이게 할 수 있고, 추종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체표면에 대하여 주는 부담이 적어 폭넓게 체표면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막 두께 50~600㎛의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로서, 실리콘 고무가 JIS K6249 규격에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A 경도계에 의한 고무 경도가 20 이하인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막 두께 50~600㎛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다. 막 두께는 사용하는 부위의 움직임이나 용도에 따라 상기 범위로부터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술과 같이 빈번하게 움직이는 부위에 입술을 포동포동하게 보이게 하는 용도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막 두께는 50~4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300㎛가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는 50㎛ 이상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술과 같이 빈번하지는 않지만 움직이는 부위의 근방에 첩부하는 경우, 예를 들면 코에 첩부함으로써 코를 포동포동하게 하는, 또는 콧날에 첩부하여 코를 높게 보이게 하는 용도의 경우에는 막 두께는 50㎛ 이상 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눈 밑에 붙여 애교살(눈 바로 아래)을 포동포동하게 한다고 하는 용도, 또는 애교살이 없는 사람에게도 애교살이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고 하는 용도의 경우에는 그 목적에 따라 막 두께는 50㎛ 이상 500㎛ 이하의 범위에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발톱에 두께를 갖게 함으로써 손발톱의 요철, 편평, 종선을 눈에 띄지 않게 하는 등의 용도에 씰네일이나 젤네일과 같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막 두께는 50㎛ 이상 6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의 막 두께는 정밀 두께 측정기(OZAKI MFG.CO., LTD.제의 PEACOCK 다이얼 시크니스게이지 0.01mm 타입)를 사용하여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의 임의의 부분을 5회 측정한 평균값이다.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그 적용 부위에 따라 예를 들면, 입술에 적용하는 경우 등에는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을 얇게 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의 상기 막 두께는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의 가장 두꺼운 부분(최대 두께 부분)에 있어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측정한 평균값이다.
또한,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그 적용 부위에 따라 예를 들면, 입술이나 눈 등에 첩부하는 면에 주름이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쉽도록 슬릿 형상의 절입선을 넣어도 좋다.
실리콘 고무는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이지만, 실리콘 고무는 JIS K6249 규격에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A 경도계에 의한 고무 경도가 20 이하인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실리콘 고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고무 경도가 10 이하, 또한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고무 경도가 20 이하임으로써 체표면에 첩부했을 경우에 체표면을 포동포동하게 보이게 할 수 있고, 추종성도 좋고, 그들의 지속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체표면, 특히 잘 움직이는 입술에 적용해도 위화감이 적어 가벼운 음식에도 견뎌내는 것이 된다. 또한, 비점착성이기 때문에 체표면에 대하여 주는 부담이 적으므로 상처가 있는 피부에 적용할 수도 있고, 또한 표면을 포동포동하게 보이게 할 수 있으므로 상처를 은폐하는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고무 경도는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3 이상으로 함으로써 실리콘 고무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서는 어느 경화형의 것이어도 좋지만, 성형이 가열에 의해 단시간에 가능한 관점으로부터 부가(히드로실릴화) 반응 경화형의 실리콘 고무 조성물 또는 유기 과산화물 경화형의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가 반응 경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은 공지의 조성의 것이어도 좋고, 비닐기로 대표되는 알케닐기를 한 분자 중에 2개 이상 갖는 알케닐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SiH기를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갖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통상, 알케닐기에 대한 SiH기의 몰비가 0.5~4가 되는 양)과, 백금 또는 백금 화합물로 대표되는 백금족 금속계 부가 반응 촉매(통상, 알케닐기 함유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 대하여 1~1000ppm)를 함유하는 것이 사용된다. 또한, 유기 과산화물 경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서도 공지의 조성의 것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알케닐기를 한 분자 중에 2개 이상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 경화제로서 유기 과산화물을 경화 유효량(통상,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1~10질량부) 배합한 것이 사용된다.
상기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부가 반응 경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서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Shin-Etsu Chemical Co., Ltd.제의 LIMS(액상 실리콘 고무 사출 성형 시스템)(예를 들면, KE-1950-10A/B, KE-1950-20A/B, KE-2004-3A/B, KE-2004-5A/B 등)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이들의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막 두께 50~500㎛ 실리콘 고무이다.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12mm 두께로 포갠 상태에 있어서의 JIS K7312 규격에 규정하는 에스커 고무 경도계 C1L형으로 측정되는 경도가 51 이하이다. 대응으로서는 JIS K6249 규격에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A 경도계에 의한 고무 경도가 20인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경화시켜 100㎛ 두께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 이것을 12mm 두께로 포갠 상태에 있어서의 JIS K7312 규격에 규정하는 에스커 고무 경도계 C1L형으로 측정되는 경도가 51 이다. 또한, JIS K6249 규격에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A 경도계에 의한 고무 경도가 5인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경화시켜 100㎛ 두께로 했을 경우에 있어서 이것을 12mm 두께로 포갠 상태에 있어서의 JIS K7312 규격에 규정하는 에스커 고무 경도계 C1L형으로 측정되는 경도는 31이다.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시트)는 공지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여 압축 성형이나 주입 성형,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직접 시트를 얻는 방법이나, 인서트 성형에 의해 금속 기판, 수지 기판, 수지 필름 상에 시트를 성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인서트 성형에 의한 경우에는 후술하는 박리 시트를 사용하여 박리 시트 상에 시트를 성형해도 좋다.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취급성의 관점으로부터 박리 시트를 갖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그것 자체가 매우 얇기 때문에 정전적 작용에 의해 박리 시트에 밀착시킬 수 있다.
박리 시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취급성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그것 자체는 비점착성이기 때문에 체표면에 첩부하는 경우에는 체표면에 밀착제를 도포하고, 도포한 부분에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를 첩부한다. 밀착제로서는 피부에 부담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부텐 또는 폴리이소부텐을 포함하는 것을 적합하게 들 수 있다. 폴리부텐 또는 폴리이소부텐의 평균 분자량은 1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제는 보습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보습 성분으로서는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어 있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크실리톨, 소르비톨, 말티톨, 콘드로이틴황산, 히알루론산, 뮤코이틴황산, 카로닌산, 아텔로콜라겐, 락트산나트륨,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단쇄 가용성 콜라겐 등을 들 수 있다.
보습 성분의 비율은 밀착제 100질량%에 대하여 0.01~10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밀착제와 세트로 해서 화장 키트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를 시험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시험예 1~6)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서 Shin-Etsu Chemical Co., Ltd.제의 LIMS, KE-2004-5A/B(고무 경도: 5)를 사용하여 막 두께 50㎛, 100㎛, 200㎛, 300㎛, 400㎛, 500㎛의 입술 형상(폭 35mm, 높이 7mm의 타원 형상이며, 전체 영역에 있어서 균일한 두께)의 샘플을 제작했다. 40~50대의 여성 패널에게 폴리부텐(분자량 2650) 및 폴리이소부텐(분자량 55000)을 포함하는 밀착제를 입술에 도포 후, 제작한 샘플을 첩부하게 하여 3시간 경과 후에 식사를 하고, 식후 직후의 첩부한 상태를 목시로 확인을 행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포동포동한 느낌)
A 본연의 입술보다 주름이 눈에 띄지 않고 포동포동해 있음
B 뭉침이 약간 눈에 띄지만 본연의 입술보다 포동포동해 있음
C 뭉침이 눈에 띄고 포동포동한 느낌이 없음
(겉보기의 자연스러움)
A 첩부 개소가 눈에 띄지 않아 자연스러움을 느낌
B 첩부 개소가 약간 눈에 띄지만 멀리서 보기에는 자연스러움을 느낌
C 첩부 개소가 눈에 띄어서 자연스러움을 느끼지 못함
(추종성)
AA 전혀 들뜸이 확인되지 않음
A 입술을 오므린 상태에서 첩부재 전체의 1/3 미만의 들뜸이 확인됨
B 입술을 오므린 상태에서 첩부재 전체의 1/3 정도의 들뜸이 확인됨
C 입술을 오므린 상태에서 첩부재 전체의 1/2 이상의 들뜸이 확인됨
(지속성)
AA 전혀 벗겨져 있지 않음
A 첩부재 전체의 1/3 미만의 벗겨짐이 확인됨
B 첩부재 전체의 1/3 정도의 벗겨짐이 확인됨
C 첩부재 전체의 1/2 이상의 벗겨짐이 확인됨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예 1~5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입술을 포동포동하게 하고, 겉보기도 자연스럽고, 추종성 및 지속성도 양호했다.
(시험예 7~12)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서 Shin-Etsu Chemical Co., Ltd.제의 LIMS, KE-2004-10A/B(고무 경도: 10)를 사용하여 막 두께 50㎛, 100㎛, 200㎛, 300㎛, 400㎛, 500㎛의 입술 형상(폭 35mm, 높이 7mm의 타원 형상)의 샘플을 제작하고, 상기 (시험예 1~6)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예 7~10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입술을 포동포동하게 하고, 겉보기도 자연스럽고, 추종성 및 지속성도 양호했다.
(시험예 13~18)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서 Shin-Etsu Chemical Co., Ltd.제의 LIMS, KE-2004-20A/B(고무 경도: 20)를 사용하여 막 두께 50㎛, 100㎛, 200㎛, 300㎛, 400㎛, 500㎛의 입술 형상(폭 35mm, 높이 7mm의 타원 형상)의 샘플을 제작하고, 상기 (시험예 1~6)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3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험예 13~16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입술을 포동포동하게 하고, 겉보기도 자연스럽고, 추종성 및 지속성도 양호했다.
(실시예 1~5, 비교예 1)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서 Shin-Etsu Chemical Co., Ltd.제의 LIMS, KE-2004-5A/B(고무 경도: 3)를 사용하여 막 두께 50㎛, 100㎛, 200㎛, 300㎛, 500㎛, 650㎛의 애교살 형상(폭 15mm, 높이 2mm의 타원 형상이며, 전체 영역에 있어서 균일한 두께)의 샘플을 제작했다. 40~50대의 여성 패널에게 폴리부텐(분자량 2650) 및 폴리이소부텐(분자량 55000)을 포함하는 밀착제를 눈 밑의 애교살의 위치(애교살이 없는 사람은 애교살에 상당하는 위치)에 도포 후, 제작한 샘플을 첩부하게 하여 통상의 생활을 8시간 행하게 한 후, 목시로 확인을 행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포동포동한 느낌)
A 뭉침이 눈에 띄지 않고 눈 밑이 포동포동해 있음
B 뭉침이 약간 눈에 띄지만 눈 밑이 포동포동해 있음
C 뭉침이 눈에 띄고 포동포동한 느낌이 없음
(겉보기의 자연스러움)
A 첩부 개소가 눈에 띄지 않아 자연스러움을 느낌
B 첩부 개소가 약간 눈에 띄지만 멀리서 보기에는 자연스러움을 느낌
C 첩부 개소가 눈에 띄어 자연스러움을 느끼지 못함
(추종성)
AA 전혀 들뜸이 확인되지 않음
A 웃은 상태에서 첩부재 전체의 1/3 미만의 들뜸이 확인됨
B 웃은 상태에서 첩부재 전체의 1/3 정도의 들듬이 확인됨
C 웃은 상태에서 첩부재 전체의 1/2 이상의 들뜸이 확인됨
(지속성)
AA 전혀 벗겨져 있지 않음
A 첩부재 전체의 1/3 미만의 벗겨짐이 확인됨
B 첩부재 전체의 1/3 정도의 벗겨짐이 확인됨
C 첩부재 전체의 1/2 이상의 벗겨짐이 확인됨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4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애교살을 포동포동하게 하고, 겉보기도 자연스럽고, 추종성 및 지속성도 양호했다.
(실시예 6~10, 비교예 2)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서 Shin-Etsu Chemical Co., Ltd.제의 LIMS, KE-2004-10A/B(고무 경도: 5)를 사용하여 막 두께 50㎛, 100㎛, 200㎛, 300㎛, 500㎛, 650㎛의 애교살 형상(폭 15mm, 높이 2mm의 타원 형상이며, 전체 영역에 있어서 균일한 두께)의 샘플을 제작하고, 상기 (실시예 1~5,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5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애교살을 포동포동하게 하고, 겉보기도 자연스럽고, 추종성 및 지속성도 양호했다.
(실시예 11~15, 비교예 3)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서 Shin-Etsu Chemical Co., Ltd.제의 LIMS, KE-2004-20A/B(고무 경도: 10)를 사용하여 막 두께 50㎛, 100㎛, 200㎛, 300㎛, 500㎛, 650㎛의 애교살 형상(폭 15mm, 높이 2mm의 타원 형상이며, 전체 영역에 있어서 균일한 두께)의 샘플을 제작하고, 상기 (실시예 1~5,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6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애교살을 포동포동하게 하고, 겉보기도 자연스럽고, 추종성 및 지속성도 양호했다.
(실시예 16~20, 비교예 4)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서 Shin-Etsu Chemical Co., Ltd.제의 LIMS, KE-2004-20A/B(고무 경도: 20)를 사용하여 막 두께 50㎛, 100㎛, 200㎛, 300㎛, 500㎛, 650㎛의 애교살 형상(폭 15mm, 높이 2mm의 타원 형상이며, 전체 영역에 있어서 균일한 두께)의 샘플을 제작하고, 상기 (실시예 1~5,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07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는 애교살을 포동포동하게 하고, 겉보기도 자연스럽고, 추종성 및 지속성도 양호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입술이나 애교살에 적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의 적용 부위는 입술이나 애교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얼굴, 손, 발 등의 체표면, 상처가 있는 부위 등에도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막 두께 50~600㎛의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지는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로서, 상기 실리콘 고무가 JIS K6249 규격에 규정하는 듀로미터 타입A 경도계에 의한 고무 경도가 20 이하인 실리콘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경도가 10 이하인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막 두께가 50㎛ 이상 400㎛ 이하인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술용인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눈가용이며, 상기 막 두께가 50㎛ 이상 500㎛ 이하인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박리 시트를 갖는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를 포함하는 화장 키트.
  8. 제 7 항에 있어서,
    밀착제를 더 포함하는 화장 키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제가 폴리부텐 또는 폴리이소부텐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 키트.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제에 보습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 키트.
KR1020197021882A 2017-02-01 2018-01-30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 KR201901085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16721 2017-02-01
JPJP-P-2017-016721 2017-02-01
PCT/JP2018/002887 WO2018143169A1 (ja) 2017-02-01 2018-01-30 非粘着性体表面用貼付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579A true KR20190108579A (ko) 2019-09-24

Family

ID=6304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882A KR20190108579A (ko) 2017-02-01 2018-01-30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91703B2 (ko)
EP (1) EP3578166A4 (ko)
JP (1) JP7044722B2 (ko)
KR (1) KR20190108579A (ko)
CN (1) CN110225744B (ko)
TW (1) TW201832797A (ko)
WO (1) WO201814316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7303A (en) 1980-05-22 1981-06-25 Fuji Photo Film Co Ltd Production of ferromagnetic alloy powder
WO2015072021A1 (ja) 2013-11-15 2015-05-21 ニチバン株式会社 口唇化粧料カバー用貼付材、その使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68626A (ja) 2014-03-05 2015-09-28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口唇用貼付材、その使用方法及び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3462A (en) * 1989-01-17 1990-07-24 Semex Medical, Inc. Nail treatment device
JP4413500B2 (ja) * 2003-01-24 2010-02-10 株式会社ドクターモア 傷痕修復用シート
EP2332586B1 (en) * 2003-11-28 2013-10-30 Coloplast A/S Patch for treating Herpes labialis
JP5017575B2 (ja) * 2005-12-13 2012-09-05 アルケア株式会社 体表面用貼付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84370A (ja) * 2006-04-14 2007-11-01 Alcare Co Ltd 体表面用貼付材
WO2008139601A1 (ja) * 2007-05-14 2008-11-20 Alcare Co., Ltd. 体表面用貼付材
JP5226411B2 (ja) * 2008-07-18 2013-07-03 東洋紡株式会社 表皮材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触感が改善された複合成型体
JP5677303B2 (ja) 2009-01-30 2015-02-25 ロレアル 化粧用積層構造体
TW201111463A (en) * 2009-08-04 2011-04-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Non-halogentaed polyisobutylene-thermoplastic elastomer ble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JP2011173851A (ja) * 2010-02-25 2011-09-08 Kazki International:Kk 美容用貼付材
JP2011178693A (ja) * 2010-02-26 2011-09-15 Kose Corp 美容方法
JP2015066408A (ja) * 2013-09-26 2015-04-13 てる美 瀬谷 ぐにゃり付け爪
JP2015110294A (ja) * 2013-12-06 2015-06-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貼付用シート
JP6176851B2 (ja) * 2014-01-14 2017-08-09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治療用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WO2016104801A1 (ja) * 2014-12-26 2016-06-30 株式会社ラボ・ジュヴェルサ 貼付材、及びその貼付具
WO2016179610A1 (en) * 2015-05-05 2016-11-10 Jones Geana Skin cover and medical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7303A (en) 1980-05-22 1981-06-25 Fuji Photo Film Co Ltd Production of ferromagnetic alloy powder
WO2015072021A1 (ja) 2013-11-15 2015-05-21 ニチバン株式会社 口唇化粧料カバー用貼付材、その使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68626A (ja) 2014-03-05 2015-09-28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口唇用貼付材、その使用方法及び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25744B (zh) 2022-11-01
JPWO2018143169A1 (ja) 2019-11-21
TW201832797A (zh) 2018-09-16
WO2018143169A1 (ja) 2018-08-09
EP3578166A1 (en) 2019-12-11
CN110225744A (zh) 2019-09-10
JP7044722B2 (ja) 2022-03-30
EP3578166A4 (en) 2021-01-06
US20190374443A1 (en) 2019-12-12
US11191703B2 (en)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5468B2 (ja) 皮膚用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0839576B1 (ko) 가발용 접착제 및 이것을 이용한 가발 및 그 제조 방법
US3949741A (en) Wrinkle-reducing method
TWI392718B (zh) 化妝輔助貼附材及使用該貼附材之化妝方法
US20090234382A1 (en) Wrinkle reducing skin patch, process of manufacture and useful articles thereof
ES2061262T3 (es) Laminado autoadhesivo para uñas.
JP2011172831A (ja) 美容用貼付材及びその貼付方法
ES2305243T3 (es) Procedimiento para evaluar la eficacion de un producto cosmetico anti-envejecimiento.
JP2017099467A (ja) 人工爪用貼付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KR20190108579A (ko) 비점착성 체표면용 첩부재
US20200329849A1 (en) Protective facial patches and method of use
JP5332055B2 (ja) 皮膚用シリコーン系粘着剤組成物及び皮膚用シリコーン系貼付材
WO2016179610A1 (en) Skin cover and medical device
AU2004277820B2 (en) Disposable wig
JP7412336B2 (ja) 疑似皮膚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並びに該疑似皮膚フィルムを有する化粧キット
US20030208230A1 (en) Wrinkle free eye brows
WO2014082150A1 (pt) Processo de obtenção de película protetora para esmalte de unha e película protetora para esmalte de unha
JP2000119129A (ja) 化粧用ゲルシート
KR101871839B1 (ko) 미용용 점착 패치
JP3204695U (ja) 眉毛隠しシール
AU2016256941A1 (en) Skin cover and medical device
US20180140513A1 (en) Skin Cover and Medical Device
BR102013030788A2 (pt) processo de obtenção de película protetora para esmalte de unha e película protetora para esmalte de unha
JP2016196545A (ja) かつら用接着補助剤
JP2017158775A (ja) 貼り付け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