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312A - 3계열의 계면활성제와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을 포함한 투명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3계열의 계면활성제와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을 포함한 투명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312A
KR20190108312A KR1020180029667A KR20180029667A KR20190108312A KR 20190108312 A KR20190108312 A KR 20190108312A KR 1020180029667 A KR1020180029667 A KR 1020180029667A KR 20180029667 A KR20180029667 A KR 20180029667A KR 20190108312 A KR20190108312 A KR 20190108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glyceryl
cosmetic composition
surfactant
cleansing water
water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근
최지영
고재건
김동휘
김용인
유영창
Original Assignee
그린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9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8312A/ko
Publication of KR2019010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클렌징 워터 화장품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알킬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 글루타믹애씨드계 계면활성제 0.1 내지 0.5 중량%,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 0.01 내지 0.25 중량%,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투명 클렌징 워터 화장품 및 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세정용 계면활성제인 알킬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 및 글루타믹애씨드계 계면활성제와 유화용 계면활성제인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메이크업 화장품에 도포시 우수한 세정력을 기대할 수 있으며, 장기간 안정도 테스트시에도 그 성상이 흐트러지지 않아 안정성 면에서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의 pH는 피부와 유사한 약산성의 산도를 가져 피부에 대한 자극도가 최소화되었다.

Description

3계열의 계면활성제와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을 포함한 투명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TRANSPARENT CLEANSING WATE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REE SERIES OF SURFACTANTS AND DIPROPYLENE GLYCOL}
본 발명은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이크업 화장품에 대한 클렌징 효과와, 우수한 사용감 및 피부 안전성, 안정한 무색 투명한 성상을 지닌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화장품을 지우는 클렌징 화장품에는 클렌징 워터, 클렌징 젤, 클렌징 로션, 클렌징 크림, 클렌징 오일 등이 있으며, 각 제품은 화장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클렌징 워터와 클렌징 젤로 대표되는 수성 클렌징 화장품은 수상부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세정력을 가지게 하는 제품이며, 물에 잘 씻기는 점과 세안 후 잔여감이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세정력이 다소 떨어지는 점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피부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클렌징 로션과 클렌징 크림으로 대표되는 에멀전 클렌징 화장품은 수성 클렌징 화장품과 유성 클렌징 화장품의 절충형으로, 수상 및 유상 적량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적절한 세정력과 마사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 이후 티슈로 닦아내는 과정이 필수이며 이후 클렌징 폼을 이용하는 등 2차 세안이 필요하여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클렌징 오일은 유성 클렌징 화장품으로, 친유성 성분 대부분에 소량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져 있어 메이크업 화장품을 지우는 데는 다른 어떤 클렌징 화장품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이지만 사용 이후 2차 세안 과정이 에멀전 클렌징 화장품보다 오래 걸리며, 단가적인 면에서도 불리한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 중 클렌징 워터는 2차 세안을 불필요하게 여기는 중국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맞춰 적절한 세정력을 갖추면서 피부에 대한 자극이 낮고 외관상의 투명성을 가진 클렌징 워터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클렌징 워터의 경우 제품에 포함된 계면활성제 성분이 응집 등의 과정을 거쳐 장기 보관시에 탁화 현상이 발생되는 등 안정성이 좋지 못한 단점을 안고 있다.
[종래 기술 문헌]
[특허 문헌]
대한민국 특허 공보 제10-1629502호(세정효과가 우수한 저자극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기술인 세정용 계면활성제를 포함시킴과 동시에 유화용 계면활성제를 포함시켜 적절한 세정력 및 롤링력을 갖추면서 외관상 투명한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화장품 조성물의 pH를 피부와 유사한 약산성으로 맞춰 피부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 한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알킬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 글루타믹애씨드계 계면활성제 0.1 내지 0.5 중량%,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 0.01 내지 0.25 중량%,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5 내지 15 중량%, 산도조절제 0.01 내지 0.25 중량%, 금속이온 봉쇄제 0.01 내지 0.1 중량%, 1,2-헥산다이올 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알킬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인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데실글루코사이드,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카프릴글루코사이드, 및 코코-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알킬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로 데실글루코사이드 및 라우릴글루코사이드를 포함할 때 적절한 세정력을 가지면서 외관의 투명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상기 글루타믹애씨드계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인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소듐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및 티이에이-코코일글루타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루타믹애씨드계 계면활성제로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를 포함할 때 적절한 세정력을 가지면서 외관의 투명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상기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인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릴-2세스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린 계면활성제로 폴리글리세릴-3카프레이트를 포함할 때 적절한 세정력을 가지면서 외관의 투명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상기 산도조절제는 일반적인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글라이콜릭애씨드, 락틱애씨드, 살리실릭애씨드, 및 시트릭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산도조절제로 시트릭애씨드를 포함할 때 피부 자극이 적으면서 적절한 사용감을 보장받을 수 있다.
상기 금속이온 봉쇄제는 일반적인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다이소듐이디티에이, 다이암모늄이디티에이, 다이포타슘이디티에이,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 트라이소듐이디티에이, 및 트라이포타슘이디티에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금속이온 봉쇄제로 다이소듐이디티에이를 포함할 때 적절한 세정력을 가지면서 외관의 투명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일반적인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1,2-헥산다이올,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카프릴릴글라이콜, 에틸헥실글리세린, 클로페네신, 및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방부제로 1,2-헥산다이올을 포함할 때 적절한 세정력을 가지면서 외관의 투명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알킬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는 화장품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로 혼합된다. 이때, 알킬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가 1 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세정제 양의 부족으로 인한 세정력 저하의 단점이 있고, 5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과다 함량의 사용에 따른 성상 불안정화 및 사용감 저하의 단점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글루타믹애씨드계 계면활성제는 화장품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0.5 중량%로 혼합된다. 이때, 글루타믹애씨드계 계면활성제가 0.1 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세정제 양의 부족으로 인한 세정력 저하의 단점이 있고, 0.5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과다 함량의 사용에 따른 성상 불안정화 및 사용감 저하의 단점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는 화장품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25 중량%로 혼합된다. 이때,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가 0.01 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유화제 부족으로 인한 세정력 보조 저하의 단점이 있고, 0.25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 자체로 인한 탁화현상 유발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은 화장품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로 혼합된다. 이때,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이 5 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롤링력 불충분으로 인한 세정력 보조 저하의 단점이 있고, 15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보습제 과다로 인한 세정 이후 잔여감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산도조절제는 화장품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25 중량%로 혼합된다. 이때, 산도조절제가 0.01 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조성물의 pH를 약산성으로 중화시킬 만큼 충분하지 않아 피부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고, 0.25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산성의 pH값을 가져 역시 피부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 pH와 유사한 값인 5 내지 6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산도조절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화장품 조성물의 pH를 확인한 다음 5 내지 6사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산도조절제의 함량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금속이온 봉쇄제는 화장품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0.1 중량%로 혼합된다. 이때, 금속이온 봉쇄제가 0.01 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금속이온 봉쇄력 불충분으로 인한 금속이온의 거품생성 방해의 단점이 있고, 0.1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잔여 금속이온 봉쇄제가 피부에서 활성화되어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방부제는 화장품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2 중량%로 혼합된다. 이때, 1,2-헥산다이올이 2 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방부력 불충분으로 인한 미생물 및 세균 번식의 염려가 있고, 2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피부에서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부 방부제의 경우 대한화장품협회에 의하여 배합한도가 정해져 있는바, 해당하는 배합한도를 넘어서는 중량%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에서 세정력 보조의 목적으로 소듐서팩틴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에서 부향의 목적으로 적량의 향료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은 2차 세안이 필요하지 않을 만큼 적절한 세정력 및 롤링력을 가지면서 외관상 투명하다. 또한, 화장품 조성물의 산도를 피부의 pH에 맞추었기 때문에 피부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데실글루코사이드 및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폴리글리세릴-3카프레이트, 및 시트릭애씨드를 포함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실시예 2)을 사이클링 체임버에 30일 동안 방치한 다음 촬영한 외관이다.
도 2는 데실글루코사이드 및 라우릴글루코사이드는 포함하지 않고,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폴리글리세릴-3카프레이트, 및 시트릭애씨드를 포함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비교예 1)을 사이클링 체임버에 30일 동안 방치한 다음 촬영한 외관이다.
도 3은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는 포함하지 않고, 데실글루코사이드 및 라우릴글루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3카프레이트, 및 시트릭애씨드를 포함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비교예 4)을 사이클링 체임버에 30일 동안 방치한 다음 촬영한 외관이다.
도 4는 폴리글리세릴-3카프에이트는 포함하지 않고, 데실글루코사이드 및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및 시트릭애씨드를 포함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비교예 7)을 사이클링 체임버에 30일 동안 방치한 다음 촬영한 외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기재한 성분으로 실시예 1의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수상부를 계량 후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45℃까지 가열하였다. 계면활성제부를 계량 후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45℃까지 가열하였다. 수상부에 계면활성제부를 투입한 다음, 600rpm으로 3분간 교반한 후 30℃까지 냉각하여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원료명 함량(g)
수상부 정제수 To 100
시트릭애씨드 0.12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5
계면활성제부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10
1,2-헥산다이올 2
카프릴릴/카프릴글루코사이드 3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0.3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12
폴리글리세릴-6올리에이트 0.12
소듐서팩틴 0.002
향료 적량
실시예 2
하기 표 2에 기재한 성분으로 실시예 2의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수상부를 계량 후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45℃까지 가열하였다. 계면활성제부를 계량 후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45℃까지 가열하였다. 수상부에 계면활성제부를 투입한 다음, 600rpm으로 3분간 교반한 후 30℃까지 냉각하여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원료명 함량(g)
수상부 정제수 To 100
시트릭애씨드 0.1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5
계면활성제부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10
1,2-헥산다이올 2
데실글루코사이드 0.75
라우릴글루코사이드 2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0.3
폴리글리세릴-3카프레이트 0.1
향료 적량
실험예 1.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 함량에 따른 비교 실험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 함량에 따른 세정력을 비교하는 실험을 하기 위해, 하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2의 화장품 조성물에서 데실글루코사이드 및 라우릴글루코사이드의 함량만을 달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여, 세정력을 평가하였다.
원료명 실시예 2(g) 비교예 1(g) 비교예 2(g) 비교예 3(g)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시트릭애씨드 0.1 0.1 0.1 0.1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10 10 10 10
1,2-헥산다이올 2 2 2 2
데실글루코사이드 0.75 - 0.3 1.2
라우릴글루코사이드 2 - 0.8 3.2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0.3 0.3 0.3 0.3
폴리글리세릴-3카프레이트 0.1 0.1 0.1 0.1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한 화장품 조성물의 세정력을 평가하기 위해 메이크업 화장품을 적용한 피부에 도포 후 1분 동안 문지른 다음 씻어낸 후의 느낌을 20 ∼ 30대의 여성 패널 20명을 대상으로 세정력 및 사용감에 대하여 5점 평가법으로 비교하여 점수의 평균치를 얻어 본 결과, 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를 2.75 중량% 및 4.4 중량% 사용했을 때에 평균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세정력 4.25 3.55 4.05 4.4
사용감 4.55 4.25 4.15 4.1
실험예 2. 글루타믹애씨드계 계면활성제 함량에 따른 세정력 비교 실험
글루타믹애씨드계 계면활성제 함량에 따른 세정력을 비교하는 실험을 하기 위해, 하기 표 5와 같이 실시예 2의 화장품 조성물에서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의 함량만을 달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4 내지 6의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여, 세정력을 평가하였다.
원료명 실시예 2(g) 비교예 4(g) 비교예 5(g) 비교예 6(g)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시트릭애씨드 0.1 0.1 0.1 0.1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10 10 10 10
1,2-헥산다이올 2 2 2 2
데실글루코사이드 0.75 0.75 0.75 0.75
라우릴글루코사이드 2 2 2 2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0.3 - 0.1 0.5
폴리글리세릴-3카프레이트 0.1 0.1 0.1 0.1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한 화장품 조성물의 세정력을 평가하기 위해 메이크업 화장품을 적용한 피부에 도포 후 1분 동안 문지른 다음 씻어낸 후의 느낌을 20 ∼ 30대의 여성 패널 20명을 대상으로 세정력 및 사용감에 대하여 5점 평가 법으로 비교하여 점수의 평균치를 얻어 본 결과, 글루타믹애씨드계 계면활성제를 0.1 중량% 및 0.3 중량% 사용했을 때에 평균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세정력 4.25 3.6 3.85 4.4
사용감 4.55 4.25 4.15 4.1
실험예 3.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 함량에 따른 투명도 비교 실험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 함량에 따른 투명도를 비교하는 실험을 하기 위해, 하기 표 7과 같이 실시예 2의 화장품 조성물에서 폴리글리세릴-6올리에이트의 함량만을 달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7 내지 9의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여, 투명도를 평가하였다.
원료명 실시예 2(g) 비교예 7(g) 비교예 8(g) 비교예 9(g)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시트릭애씨드 0.1 0.1 0.1 0.1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10 10 10 10
1,2-헥산다이올 2 2 2 2
데실글루코사이드 0.75 0.75 0.75 0.75
라우릴글루코사이드 2 2 2 2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0.3 0.3 0.3 0.3
폴리글리세릴-3카프레이트 0.1 - 0.2 0.3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시예 1 및 비교예 7 내지 9에 따라 제조한 화장품 조성물의 투명도 평가는 실시예와 비교예들을 직경 3㎝의 원기둥형 용기에 담은 다음 상온에서 1일 숙성 후, 45℃에서 24시간 작동 이후 -5℃에서 24시간 작동하게 프로그래밍한 사이클링 체임버에 30일 동안 방치한 후 일반적인 조광 상태 및 형광등 불빛에 비추어 본 상태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일반적인 조광 상태 및 형광등 불빛에 비추어도 산란 정도가 정제수와 유사할 정도로 낮음.
○: 일반적인 조광 상태에서는 투명해 보이나 형광등 불빛을 비추면 산란이 발생함
△: 일반적인 조광 상태에서도 탁도가 보이나 조성물 뒤의 사물은 식별 가능
×: 조성물 뒤의 사물을 식별하지 못할 정도로 불투명함
실시예 2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투명도
실험예 4. 폴리올 종류에 따른 세정력 비교 실험
폴리올 종류에 따른 세정력 및 사용감을 비교하는 실험을 하기 위해, 하기 표 9와 같이 실시예 2의 화장품 조성물에서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을 다른 종류의 폴리올로 교체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0 내지 12의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여, 세정력 및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원료명 실시예 2(g) 비교예 10(g) 비교예 11(g) 비교예 12(g)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시트릭애씨드 0.1 0.1 0.1 0.1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10 - - -
프로판디올 - 10 - -
프로필렌글라이콜 - - 10 -
부틸렌글라이콜 - - - 10
1,2-헥산다이올 2 2 2 2
데실글루코사이드 0.75 0.75 0.75 0.75
라우릴글루코사이드 2 2 2 2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0.3 0.3 0.3 0.3
폴리글리세릴-3카프레이트 0.1 0.1 0.1 0.1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시예 2 및 비교예 10 내지 12에 따라 제조한 화장품 조성물의 세정력을 평가하기 위해 메이크업 화장품을 적용한 피부에 도포 후 1분 동안 문지른 다음 씻어낸 후의 느낌을 20 ∼ 30대의 여성 패널 20명을 대상으로 세정력 및 사용감에 대하여 5점 평가 법으로 비교하여 점수의 평균치를 얻어 본 결과,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을 사용했을 때에 평균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비교예 10 비교예 11 비교예 12
세정력 4.25 3.6 3.8 4.05
사용감 4.55 4.25 4.15 4.1
실험예 5.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함량에 따른 세정력 비교 실험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함량에 따른 세정력 및 사용감을 비교하는 실험을 하기 위해, 하기 표 11과 같이 실시예 2의 화장품 조성물에서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의 함량만을 달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3 내지 15의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여, 세정력 및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원료명 실시예 2(g) 비교예 13(g) 비교예 14(g) 비교예 15(g)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시트릭애씨드 0.1 0.1 0.1 0.1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10 2 6 14
1,2-헥산다이올 2 2 2 2
데실글루코사이드 0.75 0.75 0.75 0.75
라우릴글루코사이드 2 2 2 2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0.3 0.3 0.3 0.3
폴리글리세릴-3카프레이트 0.1 0.1 0.1 0.1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시예 2 및 비교예 10 내지 12에 따라 제조한 화장품 조성물의 세정력을 평가하기 위해 메이크업 화장품을 적용한 피부에 도포 후 1분 동안 문지른 다음 씻어낸 후의 느낌을 20 ∼ 30대의 여성 패널 20명을 대상으로 세정력 및 사용감에 대하여 5점 평가 법으로 비교하여 점수의 평균치를 얻어 본 결과,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을 10 중량% 사용했을 때에 평균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비교예 13 비교예 14 비교예 15
세정력 4.25 3.9 4.1 4.4
사용감 4.55 4.2 4.15 4.1
제품 안정성 평가
상기 화장품 조성물 중 비교예 일부 및 실시예(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4,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의 제형 안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직경 3㎝의 원기둥형 용기에 담은 다음 상온에서 1일 숙성 후, 각각 30일 동안 각 온도 조건에서 경시변화 안정도에 대한 기준 및 시험 방법에 따라 관찰하였다. 시험 항목은 외관 상태(색조, 분리, 침전, 변취 등)와 내용물의 특성을 체크하였다. 실험 결과는 표 13과 같았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4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상온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5℃ 안정 안정 불안정 불안정 안정 안정 안정
45℃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사이클링 체임버 안정 안정 불안정 불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일광 안정 안정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안정 안정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알킬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 글루타믹애씨드계 계면활성제 0.1 내지 0.5 중량%,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 0.01 내지 0.25 중량%,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5 내지 15 중량%, 산도조절제 0.01 내지 0.25 중량%, 금속이온 봉쇄제 0.01 내지 0.1 중량%, 및 방부제 0.01 내지 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킬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는 데실글루코사이드, 라우릴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카프릴글루코사이드, 및 코코-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글루타믹애씨드계 계면활성제는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소듐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 및 티이에이-코코일글루타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2세스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도조절제는 글라이콜릭애씨드, 락틱애씨드, 살리실릭애씨드, 및 시트릭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온 봉쇄제는 다이소듐이디티에이, 다이암모늄이디티에이, 다이포타슘이디티에이, 테트라소듐이디티에이, 트라이소듐이디티에이, 및 트라이포타슘이디티에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는 1,2-헥산다이올,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카프릴릴글라이콜, 에틸헥실글리세린, 클로페네신, 및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pH는 5 내지 6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킬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는 데실글루코사이드 또는 라우릴글루코사이드이고, 상기 글루타믹애씨드계 계면활성제는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이고, 상기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는 폴리글리세릴-3카프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
KR1020180029667A 2018-03-14 2018-03-14 3계열의 계면활성제와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을 포함한 투명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 KR20190108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667A KR20190108312A (ko) 2018-03-14 2018-03-14 3계열의 계면활성제와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을 포함한 투명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667A KR20190108312A (ko) 2018-03-14 2018-03-14 3계열의 계면활성제와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을 포함한 투명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312A true KR20190108312A (ko) 2019-09-24

Family

ID=6806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667A KR20190108312A (ko) 2018-03-14 2018-03-14 3계열의 계면활성제와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을 포함한 투명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831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575A (ko) * 2019-11-25 2021-06-02 주식회사 대정스페셜티 비타민 f 함유 천연오일을 활용한 peg 및 인공방부제 프리 보습크림
KR20210092439A (ko)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익스플즌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CN114650807A (zh) * 2019-11-01 2022-06-21 丽塔公司 基本无水的浓缩表面活性剂组合物
KR102589703B1 (ko) * 2023-03-31 2023-10-17 한국콜마주식회사 초고밀도 나노 입자 구성을 위한 계면의 유화능 강화 복합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초고밀도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0807A (zh) * 2019-11-01 2022-06-21 丽塔公司 基本无水的浓缩表面活性剂组合物
KR20210063575A (ko) * 2019-11-25 2021-06-02 주식회사 대정스페셜티 비타민 f 함유 천연오일을 활용한 peg 및 인공방부제 프리 보습크림
KR20210092439A (ko)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익스플즌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KR102589703B1 (ko) * 2023-03-31 2023-10-17 한국콜마주식회사 초고밀도 나노 입자 구성을 위한 계면의 유화능 강화 복합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초고밀도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8312A (ko) 3계열의 계면활성제와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을 포함한 투명 클렌징 워터 화장품 조성물
US4426310A (en) Low-irritation shampoo
ATE137957T1 (de) Öl-in-wasser-emulsion, die einen perfluoropolyether enthält, zusammensetzung die diesen enthält, herstellungsmethode und kosmetologische und dermatologische verwendung
KR20190114797A (ko) 수용성 계면활성제 및 유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29502B1 (ko) 세정효과가 우수한 저자극 클렌징 워터 화장료 조성물
US5654341A (en) Low pH skin-treatment composition
CN116367816A (zh) 糖类同分异构体的新型用途
KR101895875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한 에멀젼 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JP2023055499A (ja) 化粧料用組成物
EP0666733B1 (en) Solubilizing agents
JP7044624B2 (ja) 温感クレンジング化粧料
CN115554182B (zh) 包含氨基酸类表面活性剂的泡沫型洗面奶化妆品组合物
JP2010229066A (ja) 洗浄剤組成物
US20220110846A1 (en) Emollient and cleansing agent
JP3532910B2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H0826955A (ja) 防臭化粧料
ES2226883T3 (es) Composicion de aseo personal y procedimiento.
KR20220084125A (ko) 친유성 펩타이드를 가지는 스킨 케어 제제
JPH07309742A (ja) クリーム状皮膚洗浄剤
JP2004196713A (ja) 二層型化粧料
KR102608660B1 (ko) 이중연속상 클렌징 조성물
JPH0782127A (ja) 化粧料
JP2003089614A (ja) 洗浄剤組成物
JP2006510767A (ja) 穏やかな洗剤混合物
JP7350282B2 (ja) 毛髪および肌洗浄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