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296A -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296A
KR20190108296A KR1020180029626A KR20180029626A KR20190108296A KR 20190108296 A KR20190108296 A KR 20190108296A KR 1020180029626 A KR1020180029626 A KR 1020180029626A KR 20180029626 A KR20180029626 A KR 20180029626A KR 20190108296 A KR20190108296 A KR 20190108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isplay apparatus
gender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령구
김덕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9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8296A/ko
Publication of KR20190108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면을 기준으로,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컨텍트부; 및 상기 컨텍트부의 주위를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하여 커버하고, 상기 컨텍트부와의 사이에 플러그 유닛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는 쉘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gender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형화된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장치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근래에 들어 커넥터 장치는 TV나 휴대용 단말 등의 회로기판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OLED TV, 스마트폰 등 각종 전자기기의 박형화 추세에 부응하도록 경박단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11259호
본 출원은, 박형화된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강도 및 체결작업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측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면을 기준으로,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컨텍트부; 및 상기 컨텍트부의 주위를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하여 커버하고, 상기 컨텍트부와의 사이에 플러그 유닛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는 쉘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면을 기준으로, 하측면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부품이 실장되는 실장부 사이의 경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텍트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에 포함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일 영역으로, 기 설정된 피치(pitch)로 배열되는 다수의 컨텍트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는, 상기 컨텍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컨텍트부를 상기 개구부에 고정시키는 인슐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쉘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하여, 상기 인슐레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쉘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보다 두께가 얇거나 같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는, 상기 쉘 케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측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용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에 돌출되며, 내부에 삽입되는 플러그 유닛으로부터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에 커넥터 등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의 박형화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측면에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를 형성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1) 내부에 비하여 설치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높은 강도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측면에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를 형성하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플러그 유닛을 용이하게 체결하거나 탈착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와 플러그 유닛의 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용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텔레비전, 모니터 등 디스플레이장치는 점차 박형화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로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 또는 전원 등을 수신하는 커넥터를 장착할 공간이 협소해지고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 내에 커넥터를 실장하는 것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으며, 내부에 커넥터가 실장되는 경우에도, 커넥터의 강도가 취약하게 되거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플러그 유닛과의 체결작업성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의 측면에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를 외부로 돌출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유닛(200)을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로 데이터 신호 또는 전원 등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내부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종래의 커넥터를 디스플레이장치 내에 실장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측면에 형성되므로, 디스플레이장치(1) 내부의 협소한 영역에 비하여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내부에 실장되는 경우에 비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측면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므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유닛(200)을 용이하게 체결하거나 탈착시킬 수 있다. 즉, 플러그 유닛의 체결 작업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를 이용하는 경우, 커넥터를 디스플레이장치(1)의 내부에 실장하기 위하여 추가되는 두께 등이 없으므로, 디스플레이장치(1)를 더욱 얇게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2 내지 도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를 설명한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는 개구부(110), 컨텍트부(120), 인슐레이터(130), 쉘 케이스(140) 및 고정용 볼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10)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도록 개방하는 영역으로, 디스플레이장치(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1)의 측면은, 디스플레이장치(1)에서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면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의 디스플레이면은 D1 방향으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면과 수직으로 접하는 면이 디스플레이장치(1)의 측면에 해당한다. 예를들어, 도3의 S 영역은 디스플레이장치(1)의 측면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개구부(110)가 디스플레이장치(1)의 하측면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디스플레이면을 기준으로 아래방향에 위치하는 하측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하측면 중에서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3을 참조하면, 개구부(110)는 디스플레이 패널(B)과, 디스플레이장치(1)의 부품이 실장되는 실장부(A) 사이의 경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B)의 경우, LCD 또는 OLED 패널 기판 등일 수 있다. LCD 또는 OLED 패널 기판의 경우 두께가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으며, 유리 등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110)는 실장부(A)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B)과 접하는 경계면에 개구부(110)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경계면 이외에 실장부(A)의 측면에 해당하는 임의의 영역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컨텍트부(120)는 개구부(1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장치(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외부로 돌출된 컨텍트부(120)에는 기 설정된 피치(pitch)로 배열되는 다수의 컨텍트 핀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컨텍트 핀들은 플러그 유닛(200)의 플러그 컨텍트부와 접점을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컨텍트부(120)는 플러그 유닛(200)으로부터 데이터 신호 또는 전원 등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를 디스플레이장치(1)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텍트부(120)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내부에 포함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일 영역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에 포함되는 인쇄회로기판은 개구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개구부(110)를 통하여 돌출되는 영역을 컨텍트부(120)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컨텍트부(120)가 개구부(110)를 통하여 돌출되는 경우,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컨텍트부(120)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파손될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컨텍트부(120)를 보호하기 위한 인슐레이터(130), 쉘 케이스(140) 등의 구성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130)는 컨텍트부(12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컨텍트부(120)를 개구부(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130)는 컨텍트부(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컨텍트부(120)는 관통홈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컨텍트부(120)의 컨텍트 핀은 인슐레이터(13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인슐레이터(130)는 적어도 컨텍트부(120)의 컨텍트 핀들이 가려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2에 의하면, 인슐레이터(130)는 개구부(110)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측면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인슐레이터(130)는 컨텍트부(120)를 개구부(11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인슐레이터(130)의 관통홈을 컨텍트부(120)에 타이트하게 형성하여, 컨텍트부(120)가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이격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쉘 케이스(140)는 컨텍트부(120)의 주위를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하여 커버할 수 있으며, 컨텍트부(120)와의 사이에 플러그 유닛(200)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구의 내부로 삽입되는 플러그 유닛(200)은, 삽입구 내에서 컨텍트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플러그 유닛(200)의 삽입구는 플러그 유닛(2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플러그 유닛(200)을 삽입구 내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쉘 케이스(140)의 내부에는 컨텍트부(120) 및 인슐레이터(13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컨텍트부(120) 및 인슐레이터(130)는 쉘 케이스(140) 외부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컨텍트부(120) 및 인슐레이터(130)는 쉘 케이스(140)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여기서, 쉘 케이스(14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쉘 케이스(140)의 내부에는 인슐레이터(130)에 대응하는 형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쉘 케이스(140)의 내부에 인슐레이터(130)가 삽입되는 경우, 인슐레이터(130)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측면과 쉘 케이스(140)의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쉘 케이스(140)는 디스플레이장치(1)보다 두께가 얇거나 같을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1)의 두께는 측면(S)의 너비에 해당하므로, 쉘 케이스(140)는 측면(S)의 너비보다 좁거나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디자인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쉘 케이스(140)를 측면(S)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용 볼트(150)는 쉘 케이스(140)를 디스플레이장치(1)의 측면(S)에 고정시킬 수 있다. 쉘 케이스(140)에는 고정용 볼트(150)가 삽입되는 결합홈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1)의 측면(S)에는 고정용 볼트(150)가 인입되는 나사홈(P1, P2)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쉘 케이스(140)의 결합홈을 통과하여 나사홈(P1, P2)에 인입되는 고정용 볼트(150)에 의하여, 쉘 케이스(140)는 고정될 수 있다.
도2에서는 2개의 고정용 볼트(150)를 2개의 나사홈(P1, P2)에 각각 인입하여 고정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고정용 볼트(150)와 나사홈(P1, P2)의 개수를 다양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고정용 볼트(150) 이외에 다양한 체결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체결구조는 쉘 케이스(140)를 디스플레이장치(1)의 측면(S)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고정용 볼트(150)를 대신하여, 접착재, 밸크로 등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들 중에서 선택되는 복수의 체결구조를 동시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유닛(200)은, 플러그 쉘(210), 플러그 컨텍트 핀(220), 플러그 인슐레이터(230), 몸체부(240) 및 케이블(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유닛(200)을 설명한다.
플러그 쉘(210)은 플러그 컨텍트 핀(220) 및 플러그 인슐레이터(230)를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하여 커버할 수 있다. 플러그 쉘(2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포함되는 플러그 컨텍트 핀(220) 및 플러그 인슐레이터(23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플러그 쉘(210)은 쉘 케이스(140)의 삽입구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플러그 컨텍트 핀(22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도전성 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컨텍트 핀(220)은 플러그 인슐레이터(230) 내의 고정홈에 의하여 기 설정된 피치(pitch)로 배열될 수 있다. 이후, 플러그 유닛(200)이 쉘 케이스(140)의 삽입구 내로 삽입되면, 플러그 컨텍트 핀(220)은 컨텍트부(120)와 접점을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 컨텍트 핀(220)은 각각의 목적이나 용도 등에 따라 길이나 두께, 피치 등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고정홈은 이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인슐레이터(230)는 플러그 컨텍트 핀(220)을 기 설정된 피치로 배열하여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인슐레이터(230)는 고정홈을 이용하여 각각의 플러그 컨텍트 핀(220) 사이의 물리적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절연재질로 형성하여 플러그 컨텍트 핀(220) 사이의 단락(short circuit)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플러그 유닛(200)이 AOC(Active Optic Cable) 플러그 유닛일 수 있다. 즉, 플러그 유닛(200)에 연결되는 케이블(250)은 AOC(Active Optic Cable)일 수 있으며, 플러그 유닛(200)의 몸체부(240)에는 광학 엔진(optic engine)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광학 엔진모듈은 케이블(250)로부터 수신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변환된 전기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는 AOC 플러그 유닛과 결합하여 AOC 커넥터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AOC 플러그 유닛(200)은 케이블(250)를 통하여 셋탑박스(set top box)가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광신호로 수신할 수 있으며, 몸체부(240)는 수신한 광신호를 광학 엔진모듈을 통하여 다시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플러그 컨텍트 핀(220)은 TV 등 디스플레이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로 변환된 전기신호를 인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1)는 수신한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AOC 플러그 유닛(200)은 전기신호 이외에 전원을 셋탑박스로부터 수신하여 TV 등 디스플레이장치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300) 및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디스플레이장치(1) 중에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역에 해당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0)는 박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300)가 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간 커브드(curved)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는 디스플레이부(300)의 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의 내부에는 플러그 유닛(200)이 삽입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는 플러그 유닛(200)로부터 영상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로부터 영상신호 등을 제공받아 이에 대응하는 이미지 또는 영상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는, 디스플레이부(30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0)의 하측면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100)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gender) 110: 개구부
120: 컨텍트부(contact) 130: 인슐레이터(insulator)
140: 쉘 케이스(shell case) 150: 고정용 볼트(fixing bolt)
200: 플러그 유닛(plug unit) 210: 플러그 쉘
220: 플러그 컨텍트 핀 230: 플러그 인슐레이터
240: 몸체부 250: 케이블

Claims (9)

  1.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면을 기준으로,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외부로 돌출되는 컨텍트부; 및
    상기 컨텍트부의 주위를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하여 커버하고, 상기 컨텍트부와의 사이에 플러그 유닛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는 쉘 케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면을 기준으로, 하측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부품이 실장되는 실장부 사이의 경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트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에 포함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일 영역으로, 기 설정된 피치(pitch)로 배열되는 다수의 컨텍트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컨텍트부를 상기 개구부에 고정시키는 인슐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쉘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응하는 형상을 포함하여, 상기 인슐레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측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보다 두께가 얇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 케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측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용 볼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9.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에 돌출되며, 내부에 삽입되는 플러그 유닛으로부터 상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80029626A 2018-03-14 2018-03-14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190108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626A KR20190108296A (ko) 2018-03-14 2018-03-14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626A KR20190108296A (ko) 2018-03-14 2018-03-14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296A true KR20190108296A (ko) 2019-09-24

Family

ID=68068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626A KR20190108296A (ko) 2018-03-14 2018-03-14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82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912B1 (ko) 액정 표시 장치
JP5289712B2 (ja) シールドカバー取付け構造および表示装置
AU2018265974A1 (en) Splicing scree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20150078760A1 (en) Optical transceiver having inner fibers for coupling optical receptacle with transmitter and receiver modules
US8210880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adapter module
JP2010108931A (ja) コネクタ、コネクタ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US20110080721A1 (en) Shield case and image display device
US7959462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with a plurality of pin holes and connection pins extending from the housing
US20060098984A1 (en) Optical sign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optical signal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the optical signal communication apparatus
US6315609B1 (en) Structure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female socket
US20200067218A1 (en) Terminal assembly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90108296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US7445468B2 (en) Low profile structure
KR2014004867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 부품 접속 장치
US20140148048A1 (en) Display device
US9692192B2 (en) Multi connector, wi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EP1729553B1 (en) Reduced size structure
CN103959930A (zh) 接地垫片和电子设备
KR102544000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0573783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과 램프 접속 방법
KR20110139015A (ko) Hdmi 인터페이스
KR200382155Y1 (ko) Lcd패널 구동회로 조립체
KR20190097580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448508B1 (ko) 커버실드, 그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및 표시장치
KR102520168B1 (ko)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aoc 커넥터 어셈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