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580A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580A
KR20190097580A KR1020180017175A KR20180017175A KR20190097580A KR 20190097580 A KR20190097580 A KR 20190097580A KR 1020180017175 A KR1020180017175 A KR 1020180017175A KR 20180017175 A KR20180017175 A KR 20180017175A KR 20190097580 A KR20190097580 A KR 20190097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guide
plug unit
fastening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령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7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7580A/ko
Publication of KR20190097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 상의 기 설정된 커버 영역 내에 위치하는 리셉터클; 상기 커버 영역을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하여 커버하며, 상기 리셉터클과의 사이에 플러그 유닛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는 쉘 커버; 및 상기 플러그 유닛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셉터클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를 기 설정된 가이드 너비만큼 감싸는 체결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 {Receptacle connector}
본 출원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 유닛과 리셉터클 커넥터 사이의 체결구조를 개선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장치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근래에 들어 커넥터 장치는 TV나 휴대용 단말 등의 회로기판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OLED TV, 스마트폰 등 각종 전자기기의 박형화 추세에 부응하도록 경박단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11259호
본 출원은, 플러그 유닛과 리셉터클 커넥터 사이의 체결구조를 개선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플러그 유닛을 체결할 때, 리셉터클 커넥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플러그 유닛과 추가적인 접점을 형성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 상의 기 설정된 커버 영역 내에 위치하는 리셉터클; 상기 커버 영역을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하여 커버하며, 상기 리셉터클과의 사이에 플러그 유닛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는 쉘 커버; 및 상기 플러그 유닛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셉터클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를 기 설정된 가이드 너비만큼 감싸는 체결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는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에 기 설정된 피치로 배열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컨택트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단부 및 우측단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각각 기 설정된 단차두께만큼 얇은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 가이드부는 상기 단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 가이드부의 두께는 상기 단차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쉘 커버는, 상기 플러그 유닛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삽입구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구 내에 상기 플러그 유닛을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가이드부는, 상기 삽입구의 개구부에 인접하는 모서리 영역이 기 설정된 경사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거나, 상기 모서리 영역이 기 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가이드부는, 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가이드부는, 상기 리셉터클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 중에서, 기 설정된 복수의 가이드 영역을 각각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가이드부는, 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영역이 각각 상기 플러그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가이드부는, 상기 리셉터클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대하여, 각각 상부 가이드 영역 및 하부 가이드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영역 및 하부 가이드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가이드부는, 상기 삽입구의 개구부에 인접하는 모서리 영역에 형성되는 가이드 영역은 제1 가이드 너비로 형성하고, 상기 모서리 영역 이외의 가이드 영역은 제2 가이드 너비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 너비가 상기 제2 가이드 너비보다 넓을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하면, 플러그 유닛과의 충돌을 대비한 체결 가이드부를 포함하므로, 플러그 유닛의 삽입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에 대비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유닛의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등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하면, 체결 가이드부에 의하여 플러그 유닛이 가이드되므로, 사용자는 플러그 유닛을 보다 편리하게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체결 가이드부를 컨텍트 핀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에 유리하다. 또한, 체결 가이드부는 상대적으로 넓은 접점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전원 등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체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지만 리셉터클 커넥터를 얇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결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초박형의 디스플레이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유닛 사이의 결합 전 및 결합 후를 나타나내는 개략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유닛이 결합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리셉터클(120), 쉘 커버(130) 및 체결가이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설명한다.
리셉터클(120)은 플러그 유닛(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연결된 접점을 통하여 데이터 신호 또는 전력 등을 공급받을 수 있다. 리셉터클(120)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10) 상의 기 설정된 커버 영역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10)은 리셉터클 커넥터(100)가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 전자기기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120)은 플러그 유닛(20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 또는 전력 등을 인쇄회로기판(110)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등 전자기기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리셉터클(120)은 인슐레이터(121) 및 복수의 컨텍트 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121)는 컨텍트 핀(122)을 기 설정된 피치(pitch)로 배열하여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121)는 고정홈을 이용하여 각각의 컨텍트 핀(122)들 사이의 물리적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plastic) 등 절연재질로 형성하여 컨텍트 핀(122) 사이의 단락(short circuit) 등도 방지할 수 있다.
컨텍트 핀(122)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도전성 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컨텍트 핀(122)은 인슐레이터(121) 내의 고정홈에 의하여 기 설정된 피치로 배열될 수 있으며, 고정홈의 구조에 의하여 리셉터클(120)의 상부면으로 일부분이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유닛(200)이 리셉터클(120)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게 되면, 플러그 유닛(200)과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컨텍트 핀(122)은 각각의 목적이나 용도 등에 따라 길이나 두께, 피치 등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고정홈은 이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쉘 커버(130)는 리셉터클(120)이 포함된 인쇄회로기판(110)의 커버 영역을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하여 커버할 수 있다. 이 경우, 쉘 커버(130)와 리셉터클(120) 사이에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러그 유닛(200)은 삽입구로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구 내에서 리셉터클(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쉘 커버(140)는 플러그 유닛(2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플러그 유닛(200)은 삽입구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쉘 커버(13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리셉터클(120)을 보호할 수 있다.
체결가이드부(140)는 리셉터클(120)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를 기 설정된 가이드 너비만큼 감싸는 것일 수 있다. 체결가이드부(140)는 금속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리셉터클(12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유닛(200)을 체결할 때, 플러그 유닛(200)이 삽입구 내로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리셉터클(120)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는 플러그 유닛(200)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121)의 좌측 단부 및 우착단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단차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가이드부(140)는 단차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부는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기 설정된 단차두께만큼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 가이드부(140)는 상기 단차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슐레이터(121)의 양 측면에 체결 가이드부(140)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인슐레이터(121)의 두께 이상 두꺼워지지 않을 수 있다. 즉, 단차부의 구성에 의하여, 체결가이드부(140)의 추가에 불구하고 리셉터클(120)의 두께를 얇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체결가이드부(140)를 하나의 컨텍트 핀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체결가이드부(140)를 도체로 형성한 후 인쇄회로기판(110)에 연결할 수 있으며, 플러그 유닛(200)에도 체결가이드부(140)에 대응하는 컨텍트 단자 등을 구비하여 접점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체결가이드부(140)는 컨텍트 핀(12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너비가 넓으므로, 전원공급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가이드부(140)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121)의 양 측면을 전부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양 측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후 일부 영역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인슐레이터(121)의 양 측면에서, 삽입구의 개구부에 가까운 영역을 하부 가이드 영역으로 설정하고, 개구부에서 먼 영역을 상부 가이드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부 가이드 영역과 하부 가이드 영역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부 가이드과 하부 가이드 영역을 감싸도록 하여 각각의 2개의 가이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가이드 영역 및 하부 가이드 영역에 의하여 삽입되는 플러그 유닛(200)을 가이드하고, 인슐레이터(121)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부 가이드 영역과 하부 가이드 영역은, 플러그 유닛(200)과 각각 접점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2개의 전원을 동시에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슐레이터(121)의 양 측면에 복수개 형성된 각각의 가이드 영역에 체결 가이드부(140)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가이드 영역은 플러그 유닛(200)과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활용하여 다야안 데이터 신호나 전원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플러그 유닛(200)은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컨텍트부(210), 플러그 기판(220), 플러그 인슐레이터(230) 및 플러그 쉘(24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컨텍트부(21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컨텍트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후 리셉터클(120)의 컨텍트 핀(122)들과 접점을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 인슐레이터(230)는 플러그 컨텍트부(210)의 주위에 형성되어 플러그 컨텍트부(210)를 절연시킬 수 있다.
플러그 쉘(240)은 플러그 인슐레이터(2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쉘(24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컨텍트부(210)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기판(220)이 플러그 쉘(240)에 의하여 둘러싸인 영역은 리셉터클(120)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유닛(200)이 삽입홈 내로 삽입되는 경우, 플러그 쉘(240)에 의하여 삽입홈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플러그 유닛(200)은 플러그 쉘(240)에 의하여 둘러싸인 영역까지 삽입구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컨텍트부(210)는 삽입구 내에서 리셉터클(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유닛 사이의 결합 전 및 결합 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리셉터클(120)과 쉘 커버(140) 사이에 삽입구를 형성할 수 있으며, 플러그 유닛(200)은 삽입구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리셉터클(120)은 상부면에 컨텍트 핀(122)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러그 유닛(200)은 플러그 컨텍트부(210)가 리셉터클(120)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쉘 커버(140)는 삽입구가 플러그 유닛(20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유닛(200)이 결합하여 커넥터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유닛(200)은 삽입구 내에 고정되어 리셉터클(120)과 안정적으로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도8은 도6의 x-x`에 대응하는 단면으로, 도8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유닛(200)을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삽입구에 평행하게 위치한 후 수직으로 정확하게 체결하는 경우에는, 안정적으로 도8과 같이 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플러그 유닛(200)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도5와 같이 정확하게 위치시킨 후 체결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플러그 유닛(200)을 한쪽으로 기울여서 삽입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A 영역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유닛(200)의 플러그 쉘(240)은 리셉터클(120)의 측면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
만약에 체결 가이드부(140) 등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플러그 쉘(240)이 리셉터클(120)의 인슐레이터(121)에 직접 충격을 가할 수 있다. 여기서, 인슐레이터(121)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플러그 쉘(24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므로, 플러그 쉘(240)에 의하여 인슐레이터(121)가 파손될 위험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체결 가이드부(140)를 포함하므로, 삽입시 플러그 쉘(240)에 의한 충격에 대비할 수 있다. 즉, 체결 가이드부(140)는 플러그 쉘(240)과 같이 금속재질로 형성되므로, 리셉터클(1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결가이드부(140)는 플러그 쉘(240)이 삽입구에 체결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체결가이드부(140)에 접촉하는 플러그 쉘(240)은, 체결가이드부(140)에 의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이후 체결가이드부(140)를 따라 삽입구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플러그 유닛(200)을 정확하게 삽입하지 않는 경우에도, 체결가이드부(140)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플러그 쉘(240)이 정확하게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체결 가이드부(140)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구의 개구부에 인접하는 모서리 영역이 기 설정된 경사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서리 영역이 기 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개구부에 인접하는 모서리 영역의 경우, 플러그 유닛(200)과 접촉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플러그 유닛(200)을 부드럽게 가이드하고 충격을 줄이기 위하여, 모서리 영역을 경사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곡선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외에도, 체결 가이드부(140)는 경우에 따라, 가이드 너비를 상이하게 가질 수 있다. 예를들어, 삽입구의 개구부에 인접하는 모서리 영역에 형성되는 가이드 영역에는 제1 가이드 너비로 형성하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제2 가이드 너비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 너비를 제2 가이드 너비보다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즉, 개구부에 인접하는 모서리의 경우, 상대적으로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너비를 넓게하여 충격에 대비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나머지 영역의 경우 충돌이 심하지 않을 수 있으며, 대부분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상대적으로 얇은 너비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체결 가이드(140)를 컨텍트 핀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체결 가이드(140)의 역할에 따라 너비를 상이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넓은 너비로 구현하고,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얇은 너비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체결 가이드부(140)가 복수의 가이드 영역으로 구별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가이드 영역별로 전원 공급 또는 데이터 신호 전달 등으로 상이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영역별로 수행하는 각각의 기능에 따라 너비가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리셉터클 커넥터 110: 인쇄회로기판
120: 리셉터클 121: 인슐레이터
122: 컨택트 핀 130: 쉘 커버
140: 체결가이드부
200: 플러그 유닛 210: 플러그 컨텍트부
220: 플러그 기판 230: 플러그 인슐레이터
240: 플러그 쉘

Claims (10)

  1. 인쇄회로기판 상의 기 설정된 커버 영역 내에 위치하는 리셉터클;
    상기 커버 영역을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하여 커버하며, 상기 리셉터클과의 사이에 플러그 유닛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는 쉘 커버; 및
    상기 플러그 유닛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셉터클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를 기 설정된 가이드 너비만큼 감싸는 체결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는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에 기 설정된 피치로 배열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컨택트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단부 및 우측단부의 상부면 및 하부면이 각각 기 설정된 단차두께만큼 얇은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가이드부는
    상기 단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 가이드부의 두께는 상기 단차 두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 커버는
    상기 플러그 유닛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삽입구를 형성하여, 상기 삽입구 내에 상기 플러그 유닛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가이드부는
    상기 삽입구의 개구부에 인접하는 모서리 영역이 기 설정된 경사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거나, 상기 모서리 영역이 기 설정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가이드부는
    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가이드부는
    상기 리셉터클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 중에서, 기 설정된 복수의 가이드 영역을 각각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가이드부는
    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영역이 각각 상기 플러그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가이드부는
    상기 리셉터클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대하여, 각각 상부 가이드 영역 및 하부 가이드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상부 가이드 영역 및 하부 가이드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가이드부는
    상기 삽입구의 개구부에 인접하는 모서리 영역에 형성되는 가이드 영역에는 제1 가이드 너비로 형성하고,
    상기 모서리 영역 이외의 가이드 영역에는 제2 가이드 너비로 형성하며,
    상기 제1 가이드 너비가 상기 제2 가이드 너비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80017175A 2018-02-12 2018-02-12 리셉터클 커넥터 KR20190097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175A KR20190097580A (ko) 2018-02-12 2018-02-12 리셉터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175A KR20190097580A (ko) 2018-02-12 2018-02-12 리셉터클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580A true KR20190097580A (ko) 2019-08-21

Family

ID=6780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175A KR20190097580A (ko) 2018-02-12 2018-02-12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75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8996A (ko) 2022-07-12 2024-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니켈 기반의 금속간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259A (ko) 1998-07-31 2000-02-25 나가토시 다쯔미 케이블을확실하게연결하기위한케이블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259A (ko) 1998-07-31 2000-02-25 나가토시 다쯔미 케이블을확실하게연결하기위한케이블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8996A (ko) 2022-07-12 2024-01-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니켈 기반의 금속간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10457B (zh) 基板连接用电连接器
US734148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397433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JP2019220480A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US11031740B2 (en) Coaxial cable electrical connector
US8894445B2 (en) Connector receptacle with side ground contacts
KR102580251B1 (ko) 커넥터
CN108604746B (zh) 基板连接器
KR10263855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US9979122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KR20090024068A (ko) 루프 안테나 및 루프 안테나의 제조 방법
US6504727B1 (en) Earphone jack holding device
EP2015408B1 (en) Cable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JPWO2008001453A1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TWM593669U (zh) 具有側壁定位結構的插頭連接器
KR20190097580A (ko) 리셉터클 커넥터
US10476222B2 (en) Plug-integrated adaptor
KR102544000B1 (ko) 리셉터클 커넥터
JP2000298715A (ja) アンテナ付きicカード
US8465326B1 (en) Card connector
JP2006331711A (ja) コネクタ
KR101525169B1 (ko)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200126604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200125087A (ko) 커넥터
KR101544906B1 (ko)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