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000B1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000B1
KR102544000B1 KR1020180010496A KR20180010496A KR102544000B1 KR 102544000 B1 KR102544000 B1 KR 102544000B1 KR 1020180010496 A KR1020180010496 A KR 1020180010496A KR 20180010496 A KR20180010496 A KR 20180010496A KR 102544000 B1 KR102544000 B1 KR 102544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ell
insulator
receptacle connector
insertion hol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671A (ko
Inventor
이령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00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1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Abstract

본 출원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유닛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기 설정된 피치로 배열되며, 상기 삽입구 내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컨텍트 핀; 상기 인슐레이터의 외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쉘; 및 상기 하우징 쉘이 장착되는 장착홈과, 상기 하우징 쉘의 장착시 상기 삽입구의 앞단에 위치하는 가이드영역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 {Receptacle connector}
본 출원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 유닛과 리셉터클 커넥터 사이의 체결구조를 개선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장치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근래에 들어 커넥터 장치는 TV나 휴대용 단말 등의 회로기판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OLED TV, 스마트폰 등 각종 전자기기의 박형화 추세에 부응하도록 경박단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11259호
본 출원은, 플러그 유닛과 리셉터클 커넥터 사이의 체결구조를 개선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플러그 유닛을 체결할 때, 플러그 유닛이 가이드되어 보다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유닛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기 설정된 피치로 배열되며, 상기 삽입구 내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컨텍트 핀; 상기 인슐레이터의 외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쉘; 및 상기 하우징 쉘이 장착되는 장착홈과, 상기 하우징 쉘의 장착시 상기 삽입구의 앞단에 위치하는 가이드영역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홈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영역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쉘은, 상기 가이드 영역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영역에 의하여 지지되는 실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쉘은, 상기 인슐레이터의 상부면을 덮는 상부 커버;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부면을 덮는 하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영역에 놓여지는 "ㄱ"자 형상의 복수의 실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쇄회로기판은, 플러그 유닛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기 설정된 피치로 배열되며, 상기 삽입구 내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컨텍트 핀; 상기 인슐레이터의 외부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구의 앞단에 기 설정된 가이드 너비를 가지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쉘; 및 상기 하우징 쉘이 장착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 쉘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측면에서 내부로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쉘은, 상기 인슐레이터의 상부면을 덮는 상부 커버;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부면을 덮는 하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구의 앞단에 위치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하면, 플러그 유닛이 가이드 영역 또는 가이드부에 의하여 가이드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플러그 유닛을 리셉터클 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하면, 플러그 유닛이 가이드 영역 또는 가이드부에 의하여 가이드되므로, 체결시 플러그 유닛이 리셉터클 커넥터를 충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플러그 유닛이나 리셉터클 커넥터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유닛 사이의 결합 전 및 결합 후를 나타나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포함되는 실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와 플러그 유닛(Plug unit) 사이의 결합 전 및 결합 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인슐레이터(110), 컨텍트 핀(120), 하우징 쉘(130) 및 인쇄회로기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유닛(200)은 컨텍트부(210), 몸체부(220) 및 케이블(230)을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플러그 유닛(200)과 결합하여 커넥터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플러그 유닛(200)의 컨텍트부(210)를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인슐레이터(110)에 포함된 삽입구 내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인슐레이터(110) 내에 배치된 복수의 컨텍트 핀(120)들은 컨텍트부(210)의 단자들과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유닛(2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점을 형성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연결된 접점을 통하여 데이터 신호 또는 전력 등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플러그 유닛(200)이 AOC(Active Optic Cable) 플러그 유닛일 수 있다. 즉, 플러그 유닛(200)에 연결되는 케이블(230)은 AOC(Active Optic Cable)일 수 있으며, 플러그 유닛(200)의 몸체부(220)에는 광학 엔진(optic engine)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광학 엔진모듈은 케이블(230)로부터 수신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변환된 전기신호를 리셉터클 커넥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AOC 플러그 유닛과 결합하여 AOC 커넥터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AOC 플러그 유닛은 케이블(230)를 통하여 셋탑박스(set top box)가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광신호로 수신할 수 있으며, 몸체부(220)는 수신한 광신호를 광학 엔진모듈을 통하여 다시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컨텍트부(210)는 TV 등 디스플레이장치에 구비된 리셉터클 커넥터(100)로 변환된 전기신호를 인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신한 전기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AOC 플러그 유닛은 전기신호 이외에 전원을 셋탑박스로부터 수신하여 TV 등 디스플레이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슐레이터(110)는 플러그 유닛(200)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컨텍트 핀(120)을 기 설정된 피치(pitch)로 배열하여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110)는 고정홈을 이용하여 각각의 컨텍트 핀(120)들 사이의 물리적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절연재질로 형성하여 컨텍트 핀(120) 사이의 단락(short circuit)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컨텍트 핀(12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도전성 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컨텍트 핀(120)은 인슐레이터(110) 내의 고정홈에 의하여 기 설정된 피치로 배열될 수 있으며, 고정홈의 구조에 의하여 인슐레이터(110)의 삽입구 내부로 일부분이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유닛(200)의 컨텍트부(210)가 삽입구 내부로 삽입되면, 컨텍트 핀(120)은 컨텍트부(210)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컨텍트 핀(120)은 각각의 목적이나 용도 등에 따라 길이나 두께, 피치 등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고정홈은 이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쉘(130)은 인슐레이터의 외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쉘(13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인슐레이터(110)를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 쉘(130)은 인슐레이터(110)의 상부면을 덮는 상부 커버와 하부면을 덮는 하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쉘(130)은 삽입구가 형성된 전면과, 컨텍트 핀(120)이 돌출되어 인쇄회로기판(140)과 접촉하는 후면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 쉘(130)은 인쇄회로기판(140)의 장착홈(141)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40)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40)은 장착홈(141)과 가이드 영역(142)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홈(141)은 하우징 쉘(130)이 장착되는 영역으로, 인쇄회로기판(140) 내에 형성된 통공일 수 있다. 장착홈(141)은 하우징 쉘(13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우징 쉘(130)이 장착홈(141)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홈(141)은 인쇄회로기판(140)의 외측면과는 접하지 않도록, 인쇄회로기판(14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홈(141)은 인쇄회로기판(140)의 외측면으로부터 가이드 영역(142)만큼 거리를 띄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영역(142)은 장착홈(141)에 하우징 쉘(130)이 장착되는 경우, 인슐레이터(110)의 삽입구 앞단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영역(142)은 기 설정된 가이드 너비만큼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영역(142)은 플러그 유닛(200)을 연결할 때, 컨텍트부(210)가 삽입구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가이드 영역(142)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플러그 유닛(200)을 정확하게 리셉터클 커넥터(100) 내에 삽입하기 어려웠다. 즉, 컨텍트부(210) 등이 지지되는 영역이 없으므로 한번에 플러그 유닛(200)을 삽입하기 어려우며, 수차례의 실패 이후에 비로소 삽입에 성공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한번에 삽입구 내로 삽입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컨텍트부(210)가 하우징 쉘(130)이나 인슐레이터(110) 등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 쉘(130)이나 인슐레이터(110)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컨텍트부(210)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존재하였다.
반면에,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40) 상에 가이드 영역(142)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컨텍트부(210)가 먼저 가이드 영역(142)에 접촉하고, 이후 가이드 영역(142)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삽입구 내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쉘(130)이나 인슐레이터(110), 또는 컨텍트부(210)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한편, 도3에서는 가이드 영역(142)이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가이드 영역(142)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삽입구의 앞단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사다리꼴 형상, 삼각형 형상 등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영역(142)의 두께를 삽입구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얇게 하는 등 두께를 상이하게 하거나, 가이드 영역(142)의 표면에 추가적인 가이드 구조를 더 포함하는 등의 실시예도 가능하다. 즉, 가이드 영역(142)은, 컨텍트부(210)를 가이드하여 삽입구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도 적용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하우징 쉘(130)에 실장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장부(131)는 가이드 영역(142)으로 돌출되어 가이드 영역(142) 상에 놓여질 수 있으며, 하우징 쉘(130)은 실장부(131)에 의하여 가이드 영역(142)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즉, 하우징 쉘(130)이 인쇄회로기판(140)에 고정될 때, 실장부(131)의 구조를 더 포함하여, 하우징 쉘(130)이 인쇄회로기판(140) 상에 보다 견고하게 실장되도록 실장강도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장부(131)는 하우징 쉘(130)의 하부커버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실장부(131)는 하부커버로부터 "ㄱ"자 형상으로 꺽여 가이드 영역(142) 상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쉘(130)이 중력에 의하여 장착홈(142)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실장부(131)를 통하여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을 가지는 실장부(131)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실장부(131)를 가이드 영역(142) 상에 더욱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쉘(130)에 가이드부(132)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140)은 장착홈 대신에 하우징 쉘(130)이 장착되는 개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150)는 하우징 쉘(13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40)의 외측면에서 내부로 만입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3과 같이 장착홈(141)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140)을 형성한 후, 가이드 영역(142)에 해당하는 부분을 컷팅하는 방식으로 개구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장착홈(141)을 생성할 때, 장착홈(141)이 인쇄회로기판(140)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개구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 쉘(130)은 기 설정된 가이드 너비를 가지는 가이드부(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132)는 하우징 쉘(130)의 하부 커버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하우징 쉘(130)에 포함된 가이드부(132)를 이용하여 컨텍트부(210)를 가이드하여 삽입구 내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6의 인쇄회로기판(140)와 같이 개구부(150)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하우징 쉘(130)의 가이드부(132)를 활용함으로써 컨텍트부(210)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6에서는 가이드부(132)가 직사각형 형상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가이드부(132)는 컨텍트부(210)를 가이드하여 삽입구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도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리셉터클 커넥터 110: 인슐레이터
120: 컨텍트 핀 130: 하우징 쉘
131: 실장부 132: 가이드부
140: 인쇄회로기판 141: 장착홈
142: 가이드영역 150: 개구부
200: 플러그 유닛 210: 컨텍트부
220: 몸체부 230: 케이블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플러그 유닛이 삽입되는 삽입구를 형성하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기 설정된 피치로 배열되며, 상기 삽입구 내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컨텍트 핀;
    상기 인슐레이터의 외부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구의 앞단에 기 설정된 가이드 너비를 가지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쉘; 및
    상기 하우징 쉘이 장착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 쉘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측면에서 내부로 만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쉘은
    상기 인슐레이터의 상부면을 덮는 상부 커버 및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부면을 덮는 하부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부 커버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구의 앞단에 위치하는 것인 리셉터클 커넥터.
  6. 삭제
  7. 삭제
KR1020180010496A 2018-01-29 2018-01-29 리셉터클 커넥터 KR102544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496A KR102544000B1 (ko) 2018-01-29 2018-01-29 리셉터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496A KR102544000B1 (ko) 2018-01-29 2018-01-29 리셉터클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671A KR20190091671A (ko) 2019-08-07
KR102544000B1 true KR102544000B1 (ko) 2023-06-15

Family

ID=6762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496A KR102544000B1 (ko) 2018-01-29 2018-01-29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0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782B1 (ko) * 2011-11-23 2013-08-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0398B2 (ja) 1998-07-31 2003-07-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593585B1 (ko) * 2014-07-30 2016-02-15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엘시디 모듈에 직접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피시비
KR20160080446A (ko) * 2014-12-29 2016-07-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782B1 (ko) * 2011-11-23 2013-08-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671A (ko)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2801B2 (en) Cable holding member, plug connector, connector device, flat cable, and method for assembling plug connector
US20090208168A1 (en) Connector,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optical-electrical transmission module
US20200343674A1 (en) Connector
US10797414B2 (en) Cable connector for coaxial cable on thick printed-circuit board
JP2018073612A (ja) 電子機器及びコネクタ
JP2008041338A (ja) コネクタ
US20090111304A1 (en) Receptacle connector
KR102544000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190103814A (ko)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899782B2 (en)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assembly mounted structure
JP4299855B2 (ja) 光伝送装置アッセンブリ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5076439A (ja) 電子機器
TWM499690U (zh) 電連接器
KR20190097580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0322064Y1 (ko)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TWI656702B (zh) 能保護焊點的小型可插拔線纜連接器
KR101113500B1 (ko) 리셉터클과 플러그 간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KR101525169B1 (ko)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102520168B1 (ko)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aoc 커넥터 어셈블리
US9231321B2 (en) Slim-profile hard-disk drive connector
JP6032422B2 (ja) 光電気複合コネクタ装置
US20150349436A1 (en)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KR101544906B1 (ko) Pcb 실장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4563250B2 (ja)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並びに、携帯型無線端末又は小型電子機器
US7300311B2 (en) Pin holder structure of input/output 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