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168B1 -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aoc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aoc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0168B1 KR102520168B1 KR1020180005525A KR20180005525A KR102520168B1 KR 102520168 B1 KR102520168 B1 KR 102520168B1 KR 1020180005525 A KR1020180005525 A KR 1020180005525A KR 20180005525 A KR20180005525 A KR 20180005525A KR 102520168 B1 KR102520168 B1 KR 1025201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eptacle
- plug
- plug unit
- aoc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47—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with a fastener through a screw hole in the coupling devi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AOC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는, 내부에 플러그 유닛이 삽입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 내에 기 설정된 돌출길이만큼 돌출하여, 상기 플러그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내의 기 설정된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유닛과 접점을 형성하는 리셉터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AOC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와 플러그 유닛 사이의 결합 구조가 개선된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AOC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장치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또는 회로기판과 전자부품을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근래에 들어 커넥터 장치는 TV나 휴대용 단말 등의 회로기판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OLED TV, 스마트폰 등 각종 전자기기의 박형화 추세에 부응하도록 경박단소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은, 커넥터와 플러그 유닛 사이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AOC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커넥터와 플러그 유닛 사이의 정확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AOC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초박형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는 얇은 형태의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AOC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는, 내부에 플러그 유닛이 삽입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 내에 기 설정된 돌출길이만큼 돌출하여, 상기 플러그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내의 기 설정된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유닛과 접점을 형성하는 리셉터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플러그 유닛의 외형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유닛을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안착홈의 외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안착홈의 내부와 연결되는 통공을 형성하는 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플러그유닛에 포함되는 플러그 컨텍트 영역과 접촉하여 접점을 형성하는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 및 상기 접점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 유닛과 리셉터클 사이의 체결력을 제공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 주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리셉터클 자석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리셉터클 자석은 극성이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 유닛은, 상기 한 쌍의 리셉터클 자석에 대응하는 위치에 플러그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자석은 대응하는 리셉터클 자석과 반대되는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복수의 리셉터클 돌출부 또는 리셉터클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 유닛은, 상기 리셉터클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플러그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삽입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플러그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은, 가운데가 볼록하게 솟아오른 쐐기(Λ) 형상을 가지며, 상기 쐐기 형상의 경사면에 각각 복수의 리셉터클 컨텍트 핀들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 컨텍트 영역은, 가운데가 오목하게 들어간 V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V자 형상의 경사면에 각각 복수의 플러그 컨텍트 핀들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나사홈; 및 상기 플러그 유닛을 통하여 상기 나사홈에 인입되는 나사를 포함하는 추가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OC 커넥터 어셈블리는, AOC(Active Optical Cable)이 연결되며, 상기 AOC로부터 수신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학 엔진모듈을 포함하는 AOC 플러그 유닛; 및 상기 AOC 플러그 유닛이 삽입되면, 상기 AOC 플러그 유닛과 접점을 형성하여 상기 전기신호를 수신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AOC 커넥터 어셈블리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유닛 사이의 개선된 결합구조를 포함하므로,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에도 안정적으로 접점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AOC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사용자가 플러그 유닛을 리셉터클 커넥터에 정확하게 결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부정확한 결합에 의한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AOC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결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초박형의 디스플레이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유닛의 체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유닛의 체결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리셉터클 커넥터(100) 및 플러그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플러그 유닛(200)과 연결되어 커넥터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플러그 유닛(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연결된 접점을 통하여 데이터 신호 또는 전력 등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유닛(200)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수직방향에서 아래로 이동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체결될 수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유닛(200)은 얇은 판 형상으로 구현되어 리셉터클 커넥터(10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도1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홈(110), 지지부(120), 리셉터클(130), 탈착부(140) 및 추가고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110)은 내부에 플러그 유닛(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10)은 플러그 유닛(200)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플러그 유닛(200)은 안착홈(110) 내에서 유격없이 고정될 수 있다. 즉,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수직방향(z축)으로는 탈착될 수 있으나, 안착홈(110) 내에서는 x축이나 y축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안착홈(110)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돌출길이만큼 돌출하여 플러그 유닛(200)을 지지할 수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120)는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안착홈(110)의 중심부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유닛(200)은 지지부(120)에 대응하는 단차부(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차부(210)를 이용하여 지지부(120)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20)는 안착홈(110) 내의 기 설정된 깊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차부(210)의 두께를 상기 기 설정된 깊이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유닛(200)은 단차없이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체결될 수 있다.
리셉터클(130)은 지지부(120)의 기 설정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130)은 플러그 유닛(200)과 접점을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130)은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131)과 체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131)은 플러그 유닛(200)에 포함되는 플러그 컨텍트 영역(220)과 접촉하여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131)에는 복수의 리셉터클 컨텍트 핀(P1)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각각의 리셉터클 컨텍트 핀(P1)은 각각의 목적이나 용도 등에 따라 길이나 두께, 배치 간격 등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컨텍트 핀(P1)들은 각각 제1 열(A) 및 제2 열(B)을 형성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131) 내에 2개 이상의 열을 형성하거나 1개의 열만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열(A)이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제2 열(B)이 전원을 수신하도록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체결부(132)는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131)과 플러그 컨텍트 영역(220) 사이의 접점을 유지하기 위하여, 플러그 유닛(200)과 리셉터클(130) 사이의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132)는 자석을 이용하여 체결력을 제공하거나, 돌출부 및 삽입홈을 포함하는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탈착부(140)는 안착홈(110)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안착홈(110)의 내부와 연결되는 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 탈착부(140)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결착된 플러그 유닛(200)을 탈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구조로,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을 탈착부(140) 내에 삽입한 후, 플러그 유닛(200)을 들어올리는 등의 방식으로 플러그 유닛(200)을 탈착시킬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탈착부(140)는 플러그 유닛(200)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러그 유닛(200)의 측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마찰력을 제공하는 요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고정부(150)는 나사(151)와 나사홈(152)을 이용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유닛(2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즉,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홈(152)은 지지부(12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151)는 플러그 유닛(200)의 플러그 나사홈(240)을 관통하여 나사홈(152)에 인입될 수 있다. 리셉터클(130)은 체결부(132)를 이용하여 플러그 유닛(200)과의 사이에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자석이나 결합구조에 의한 체결력은 부족할 수 있다. 즉, 플러그 유닛(200)이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체결방식의 특성상, 체결력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추가고정부(150)에서는 나사(151)와 나사홈(152)을 이용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유닛(200)을 확실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유닛(200)은, 단차부(210), 플러그 컨텍트 영역(220), 플러그 체결부(230) 및 플러그 나사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유닛을 설명한다.
단차부(210)는 플러그 유닛(200)을 안착홈(110) 내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안착홈(110) 내에서 지지부(1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부(210)는 플러그 유닛(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안착홈(110) 및 지지부(130)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유닛(200)은 단차부(210)에 의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단차없이 체결될 수 있다.
플러그 컨텍트 영역(220)은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131)과 접촉하여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플러그 컨텍트 영역(220)에는 복수의 플러그 컨텍트 핀(P2)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컨텍트 핀(P2)은 리셉터클 컨텍트 핀(P1)의 길이나 두께, 배치 간격 등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컨텍트 핀(P2)들은 각각 제3열(C) 및 제4열(D)을 형성할 수 있으나, 플러그 컨텍트 핀(P2)들이 형성하는 열의 개수나 위치 등은 리셉터클 컨텍트 핀(P1)들이 형성하는 열의 개수나 위치 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플러그 체결부(230)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체결부(132)와 결합하여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131)과 플러그 컨텍트 영역(220) 사이의 접점을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체결부(230)는 체결부(132)에 대응하여 자석을 이용하여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돌출부 및 삽입홈을 포함하는 결합구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러그 나사홈(240)은 추가고정부(150)를 통하여 플러그 유닛(200)을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나사홈(240)은 나사홈(15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151)가 플러그 나사홈(240)을 통하여 나사홈(152)에 인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플러그 유닛(200)을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5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130)과 플러그 유닛(200) 사이의 체결력을 제공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먼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131)의 주변에 형성되는 체결부(132)는 한 쌍의 리셉터클 자석(M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리셉터클 자석(M1)을 이용하여 플러그 유닛(200)과 결합할 수 있다. 즉, 플러그 유닛(200)은 리셉터클 자석(M1)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체(S) 등을 구비하여, 도체(S)가 리셉터클 자석(M1)에 의하여 결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셉터클 자석(M1)이 도체(S)를 끌어당기는 인력을 이용하여 리셉터클(130)과 플러그 유닛(200) 사이의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유닛(200)의 플러그 체결부(230)에 한쌍의 플러그 자석(M2)을 포함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체결부(132)에 도체(S)를 구비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 경우, 체결부(132)에 위치하는 도체(S)가 플러그 자석(M2)의 인력에 의하여 결착되므로, 리셉터클(130)과 플러그 유닛(200) 사이의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유닛(200)이 리셉터클 자석(M1)에 대응하는 위치인 플러그 체결부(230)에 플러그 자석(M2)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리셉터클 자석(M1)과 플러그 자석(M2) 사이의 인력을 이용하여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131)과 플러그 유닛(20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리셉터클 자석(M1)들의 극성을 모두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한 쌍의 리셉터클 자석(M1)들의 사이의 극성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하나의 리셉터클 자석(M1)이 N극이면 나머지 리셉터클 자석(M1)은 S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플러그 자석(M2)은 대응하는 리셉터클 자석(M1)의 극성에 따라, 리셉터클 자석(M1)과 반대되는 극성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리셉터클 자석(M1)이 N극이면 플러그 자석(M2)은 S극, 리셉터클 자석(M1)이 S극이면 플러그 자석(M2)은 N극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자석(M1)과 플러그 자석(M2) 사이의 인력과 척력에 의하여, 리셉터클(130)과 플러그 유닛(200) 사이의 정확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들어, 플러그 유닛(200)을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131)과 어긋나게 놓는 경우에도, 리셉터클 자석(M1)과 플러그 자석(M2) 사이의 인력과 척력에 의하여, 플러그 유닛(200)은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131)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는 한 쌍의 리셉터클 자석(M1)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의 리셉터클 자석(M1)과 그에 대응하는 플러그 자석(M2)들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130) 및 플러그 유닛(200)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리셉터클(130)은 리셉터클(130)의 중앙에 하나의 체결부(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부(132)의 주위에 리셉터클 컨텍트 핀(P1)들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132)에는 리셉터클 자석(M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컨텍트 핀들은 각각 데이터 전송용 핀과 전원공급용 핀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리셉터클(130)을 커버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리셉터클을 보호하는 리셉터클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플러그 유닛(200)은 리셉터클(130)의 형상에 대응하여, 플러그 체결부(230)가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각각의 리셉터클 컨텍트 핀에 대응하도록 플러그 컨텍트 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체결부(230)에는 도체(S)를 포함하여, 리셉터클(130)과 플러그 유닛(200) 사이의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체(S) 대신에 리셉터클 자석(M1)과 반대되는 극성을 가지는 플러그 자석(M2)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 대신에 돌출부(R)와 삽입홈(H)의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체결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체결부(132)에 리셉터클 삽입홈(H1)을 형성할 수 있으며, 플러그 유닛(200)에는 리셉터클 삽입홈(H1)에 대응하는 플러그 돌출부(R2)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러그 돌출부(R2)가 리셉터클 삽입홈(H1)에 삽입되므로, 플러그 유닛(200)과 리셉터클(130) 사이의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132)에 리셉터클 돌출부(R1)를 형성하고, 플러그 유닛(200)에 리셉터클 돌출부(R1)에 대응하는 플러그 삽입홈(H2)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9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플러그 유닛(200)과 리셉터클(130) 사이의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132)에 각각 리셉터클 삽입홈(H1)과 리셉터클 돌출부(R1)를 포함하도록 하여, 플러그 유닛(200)의 정확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즉, 도11의 체결부(132)에서 일측에는 리셉터클 삽입홈(H1)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리셉터클 돌출부(R2)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러그 유닛(200)에는 리셉터클 삽입홈(H1)에 대응하는 플러그 돌출부(R2)가 위치하고, 리셉터클 돌출부(R1)에 대응하는 플러그 삽입홈(H2)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반대의 경우에는 서로 체결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플러그 유닛(200)을 리셉터클 커넥터(100) 내에 정확하게 결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체결부(132) 및 플러그 체결부(230)는 플러그 유닛(200)과 리셉터클(130) 사이에 체결력을 제공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활용가능하며,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체결부(132) 및 플러그 체결부(230)에 접착제 또는 벨크로(Velcro)를 적용하는 등의 실시예도 고려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131)은 쐐기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플러그 컨텍트 영역(220)은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131)은 도4에서 제1열(A) 및 제2열(B)의 사이가 볼록하게 솟아오른 쐐기(Λ)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열(A) 및 제2 열(B)은 쐐기 형상의 경사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컨텍트 영역(220)은 도6의 제3열(C) 및 제4열(D)의 사이가 오목하게 들어간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3 열(C) 및 제4 열(D)은 V자 형상의 경사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유닛(200)이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쐐기 형상의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131)을 V자 형상의 플러그 컨텍트 영역(220)이 덮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접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외부충격이나 진동 등에 강인하게 결합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역으로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131)이 V자 형상을 가지고, 플러그 컨텍트 영역(220)이 쐐기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플러그 유닛(200)이 AOC(Active Optical Cable) 플러그 유닛일 수 있다. 즉, 플러그 유닛(200)에 연결되는 케이블은 AOC 일 수 있으며, 플러그 유닛(200) 내에는 광학 엔진(optic engine)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엔진모듈은 AOC로부터 수신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변환된 전기신호를 리셉터클 커넥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AOC 플러그 유닛과 결합하여 AOC 커넥터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AOC 플러그 유닛은 셋탑박스가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광신호로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광신호를 광학 엔진모듈을 통하여 다시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TV 등 디스플레이장치에 구비된 리셉터클 커넥터(100)로 인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통하여 전기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AOC 플러그 유닛은 전기신호 이외에 전원도 셋탑박스로부터 수신하여 TV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OC 커넥터 모듈은 AOC 플러그 유닛과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결합시 부피를 최소화하여 얇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초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활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리셉터클 커넥터 110: 안착홈
120: 지지부 130: 리셉터클
131: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 132: 체결부
140: 탈착부 150: 추가고정부
151: 나사 152: 나사홈
200: 플러그 유닛 210: 단차부
220: 플러그 컨텍트 영역 230: 플러그 체결부
240: 플러그 나사홈
120: 지지부 130: 리셉터클
131: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 132: 체결부
140: 탈착부 150: 추가고정부
151: 나사 152: 나사홈
200: 플러그 유닛 210: 단차부
220: 플러그 컨텍트 영역 230: 플러그 체결부
240: 플러그 나사홈
Claims (12)
- 얇은 판 형상의 플러그 유닛과 연결되어 커넥터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내부에 플러그 유닛이 수직방향(z축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플러그 유닛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유닛을 고정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 내 기 설정된 깊이에, 수평방향(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기 설정된 돌출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안착홈 내에 삽입되는 상기 플러그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 내 기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리셉터클 컨텍트 핀을 노출하여, 상기 플러그 유닛과의 접점을 형성하는 리셉터클; 및
상기 안착홈의 외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안착홈의 내부와 연결되는 통공을 형성하는 탈착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컨텍트 핀이 위치하며, 상기 플러그 유닛에 포함되는 플러그 컨텍트 영여과 접촉하여 상기 접점을 형성하는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 및
상기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 주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리셉터클 자석을 포함하여, 상기 플러그 유닛과 리셉터클 사이의 체결력을 제공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인,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셉터클 자석은 극성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유닛은
상기 한 쌍의 리셉터클 자석에 대응하는 위치에 플러그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자석은 대응하는 리셉터클 자석과 반대되는 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복수의 리셉터클 돌출부 또는 리셉터클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유닛은
상기 리셉터클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플러그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삽입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플러그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컨텍트 영역은
복수의 리셉터클 컨텍트 핀들을 포함하는 제1 열 및 제2 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열과 제2 열 사이가 볼록하게 솟아올라 단면이 쐐기(Λ) 형상을 가지는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쐐기 형상의 경사면에 각각 상기 제1 열 및 제2 열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컨텍트 영역은
복수의 플러그 컨텍트 핀들을 포함하는 제3 열 및 제4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열과 제4열 사이가 오목하게 들어가 단면이 V자 형상을 가지는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V자 형상의 경사면에 각각 상기 제3열 및 제4열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는 나사홈; 및
상기 플러그 유닛을 통하여 상기 나사홈에 인입되는 나사를 포함하는 추가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 AOC(Active Optical Cable)이 연결되며, 상기 AOC로부터 수신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학 엔진모듈을 포함하는 AOC 플러그 유닛; 및
상기 AOC 플러그 유닛이 삽입되면, 상기 AOC 플러그 유닛과 접점을 형성하여 상기 전기신호를 수신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내부에 상기 AOC 플러그 유닛이 수직방향(z축 방향)으로 삽입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 내에 수평방향(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기 설정된 돌출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안착홈 내에 삽입된 상기 AOC 플러그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부 내 기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방향으로 리셉터클 컨텍트 핀을 노출하여 상기 AOC 플러그 유닛과의 접점을 형성하는 리셉터클을 포함하는 것인, AOC 커넥터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5525A KR102520168B1 (ko) | 2018-01-16 | 2018-01-16 |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aoc 커넥터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5525A KR102520168B1 (ko) | 2018-01-16 | 2018-01-16 |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aoc 커넥터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7122A KR20190087122A (ko) | 2019-07-24 |
KR102520168B1 true KR102520168B1 (ko) | 2023-04-07 |
Family
ID=67480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5525A KR102520168B1 (ko) | 2018-01-16 | 2018-01-16 |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aoc 커넥터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0168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89243B2 (ja) * | 2005-06-09 | 2012-03-07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 コネクタ装置 |
KR101348933B1 (ko) * | 2012-08-01 | 2014-01-08 | (주)대한특수금속 |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30398B2 (ja) | 1998-07-31 | 2003-07-28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KR102589304B1 (ko) * | 2016-06-22 | 2023-10-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
-
2018
- 2018-01-16 KR KR1020180005525A patent/KR1025201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89243B2 (ja) * | 2005-06-09 | 2012-03-07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 コネクタ装置 |
KR101348933B1 (ko) * | 2012-08-01 | 2014-01-08 | (주)대한특수금속 | 전자기기용 자력식 인터페이스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7122A (ko) | 2019-07-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527650B (zh) | 印刷电路板(pcb)直接连接器 | |
CN108604746B (zh) | 基板连接器 | |
US9099811B2 (en) | Self-registered connectors for devices having a curved surface | |
JP2010262294A (ja) | コネクタ装置 | |
US11404806B2 (en) | Connector having shunt structure and shunt device thereof | |
US10257961B2 (en) | Fixation of heat sink on SFP/XFP cage | |
JP2017076605A (ja) | 低背の電力およびデータ接点 | |
KR20150084563A (ko) |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 |
US9274291B2 (en) |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with printed circuit board stabilization features | |
US9954318B2 (en) | Pin alignment and protection in combined connector receptacles | |
US8435050B2 (en) | USB connector having vertical to horizontal conversion contacts | |
US20140105549A1 (en) | Plug | |
KR102520168B1 (ko) |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aoc 커넥터 어셈블리 | |
JP2016134548A (ja) | 電子機器 | |
US20110111608A1 (en) | Connector | |
JP4299855B2 (ja) | 光伝送装置アッセンブリ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 |
KR20150118075A (ko) | 미니 바로 보드 | |
KR102695676B1 (ko) | 기판 커넥터 | |
US10749361B2 (en) | Casing-type charging module with casing assembly and battery assembly for charging mobile device | |
KR102544000B1 (ko) | 리셉터클 커넥터 | |
KR20190097580A (ko) | 리셉터클 커넥터 | |
KR20190108296A (ko) | 디스플레이장치용 젠더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
CN102378520A (zh) | 电子设备及其遥控接收装置 | |
KR102627807B1 (ko) | 기판 커넥터 | |
KR101950437B1 (ko) | 디스플레이장치용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