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075A - 미니 바로 보드 - Google Patents

미니 바로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075A
KR20150118075A KR1020150139416A KR20150139416A KR20150118075A KR 20150118075 A KR20150118075 A KR 20150118075A KR 1020150139416 A KR1020150139416 A KR 1020150139416A KR 20150139416 A KR20150139416 A KR 20150139416A KR 20150118075 A KR20150118075 A KR 20150118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oard
unit
power supply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국
Original Assignee
이재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국 filed Critical 이재국
Priority to KR1020150139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8075A/ko
Publication of KR20150118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 교구는 배선부, 전지결합부, 전지장착부 및 상기 전지결합부와 다른 방향에 위치하는 전지제거부를 포함하는 전원부; 및 전자소자결합부 및 상기 배선부와 직접 접촉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니 바로 보드{Mini Baro Board}
본 발명은 전자회로교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회로를 설계함에 있어 설계한 전자회로를 간이로 구성하여 봄으로써 설계한 전자회로가 제대로 작동하는가를 판단하기 위해 실험실등에서 브래드 보드(Bread Board)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브래드 보드는 외부에서 전원공급이 필요하고 보드 상에 접속케이블이 노출되어 있으며, X축 및 Y축으로 일정하게 형성된 삽입홀에 전자 부품의 단자 및 전선을 꽂으면 브래드 보드 내부에 형성된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설계한 전자회로를 쉽게 시연해 볼 수 있다.
별도의 전원 연결이 필요 없는 독립 전자회로교구를 제공한다.
브레드 보드가 독립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소형 전자회로교구를 제공한다.
접속케이블의 외부 노출 없이 완성된 전자회로교구를 제공한다.
전자회로교구의 외부형태를 내가 원하는 형태로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배선부(110), 전지결합부(120), 전지장착부(130) 및 상기 전지결합부(120)와 다른 방향에 위치하는 전지제거부(140)를 포함하는 전원부(100); 및 전자소자결합부(210) 및 상기 배선부(110)와 직접 접촉하는 단자부(220)를 포함하는 보드부(200);를 포함하여 브레드보드 접촉케이블이 필요 없고 그 자체가 완성품인 탁상형/스탠드식으로 독립해서 세워질 수 있다. 점퍼선도 필요 없고 전원도 결합되어 있어 별도의 건전지 홀더가 필요 없고, 전자부품을 끼우기만 하면 작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전지제거부(140)는 상기 전자결합부(120)보다 작게 형성되어, 전지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전지제거부(140)을 통하여 바깥에서 안쪽으로 미는 힘(뾰족하거나 가는 물건을 이용할 수 있음)을 가하여 전지를 전자결합부(120) 방향으로 통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전지결합부(120)는 상기 전지제거부(140)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여, 전지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전지제거부(140)을 통하여 바깥에서 안쪽으로 미는 힘(뾰족하거나 가는 물건을 이용할 수 있음)을 가하여 전지를 전자결합부(120) 방향으로 통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전원부(100)는 전지 결합시에 상기 전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전지를 전지제거부(140)측까지 끝까지 밀어넣어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배선부(110)는 상기 전지장착부(130) 상에 위치하는 제1전지접촉부(111) 및 상기 전지장착부(130) 아래에 위치하는 제2전지접촉부(112)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소형 건전지(예를 들어 원형 손목시계형 건전지)를 결합하여 전기를 통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배선부(110)는 상기 전원부(100) 상에 위치하는 제1단자접촉부(113)와 제2단자접촉부(114)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보드부(200)에 결합되는 전자소자에 직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제1단자접촉부(113)는 상기 전지결합부(130)측에 형성되는 제1단자부(221)와 접촉하고, 상기 제2단자접촉부(114)는 상기 전지제거부측(140)에 형성되는 제2단자부(222)와 접촉하여, 보드부(200)에 결합되는 전자소자에 직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보드부(200)는 상기 전원부(100) 상에 결합되어, 점퍼선도 필요 없고 전원도 결합되어 있어 별도의 건전지 홀더가 필요 없고, 전자부품을 끼우기만 하면 작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전원부(100)와 상기 보드부(200)를 결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내구성이 뛰어나고 독립적으로 전자부품을 작동 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자소자결합부(210)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독립적으로 전자부품을 작동 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자소자결합부(210) 외측에 형성되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독립적으로 전자부품을 작동 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원부(100) 또는 상기 보드부(200)의 돌출부와 상기 보드부(100) 또는 상기 전원부(200)의 홈부로 구성되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독립적으로 전자부품을 작동 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보드부(200)는 각기둥으로 형성되어 재료비를 최소화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전원부(100)는 상기 각기둥에서 일부가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재료비를 최소화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전지 결합시에 상기 전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전지를 전지제거부(140)측까지 끝까지 밀어넣어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보드부(200)는 팔각기둥으로 형성되어 재료비를 최소화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전원부(100)는 상기 팔각기둥에서 일부가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지 결합시에 상기 전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재료비를 최소화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전지 결합시에 상기 전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전지를 전지제거부(140)측까지 끝까지 밀어넣어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보드부(200)는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으로 형성되어 재료비를 최소화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전원부(100)는 상기 원기둥 또는 상기 타원기둥에서 일부가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지 결합시에 상기 전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재료비를 최소화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전지 결합시에 상기 전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전지를 전지제거부(140)측까지 끝까지 밀어넣어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단자부(220)가 수평적으로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배선부(110)가 수평적으로 연장되는 방향이 수직하도록 구성되어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점퍼선도 필요 없고 전원도 결합되어 있어 별도의 건전지 홀더가 필요 없고, 전자부품을 끼우기만 하면 작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배선부(110)가 수평적으로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전지결합부(12)에서 상기 전지제거부(140)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점퍼선도 필요 없고 전원도 결합되어 있어 별도의 건전지 홀더가 필요 없고, 전자부품을 끼우기만 하면 작동시킬 수 있다.
별도의 전원 연결이 필요 없는 독립 전자회로교구를 제공한다.
독립적으로 지지되는 전자회로교구는 완성된 형태로 보관 및 전시가 가능하다.
접속케이블의 외부 노출 없이 완성된 전자회로교구를 제공한다.
전자회로교구의 외부형태를 내가 원하는 형태로 제공한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를 일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3은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4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를 타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5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의 사시도이다.
도6은 실시예에 따른 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7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를 일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8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를 일측면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9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를 타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10은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와 보드부가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와 보드부가 결합되기 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12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와 보드부가 결합되기 전 일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13은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와 보드부가 결합되기 전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14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와 보드부가 결합되기 전 타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15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와 보드부가 결합되기 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16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와 보드부가 결합되기 전, 단자부가 보드부에 결합되기 전 일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17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와 보드부가 결합되기 전, 단자부가 보드부에 결합되기 전 타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18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와 보드부가 결합되기 전, 단자부가 보드부에 결합되기 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에 의한 전자회로교구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00)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1과 같이 전원부(100)상에 배선부(110)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선부(110)는 전원부(100)의 일측 상에 형성되는 제1단자접촉부(113)과 전원부(100)의 타측 상에 형성되는 제2단자접촉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100)의 다른 일측과 타측에 상에는 홈부(150)가 형성될 수 있어 보드부(200)와 결합시에 고정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00)를 일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2와 같이 전원부(100) 내에는 전지를 결합되었을 때 필요한 공간인 전지장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지장착부(130)에 전지를 밀어넣는 방향의 개구부가 전지결합부(120)일 수 있다. 전지결합부(120)에서 전지를 밀어넣는 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반대편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전지제거부(140)일 수 있다. 전원부(100)의 내부 공간인 전지장착부(130)의 상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는 제1전지접촉부(111)일 수 있다. 전원부(100)의 내부 공간인 전지장착부(130)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는 제2전지접촉부(112)일 수 있다.
도3은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00)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3과 같이 전원부(100) 아래에는 배선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배선부(110)는 전지장착부(130)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인 제2전지접촉부(112)가 연장되어 전원부(100) 아래를 통하여 전원부(100)를 횡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4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00)를 타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4와 같이 배선부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배선부(110)는 이 배선부(110)는 전지장착부(130)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인 제2전지접촉부(112)가 연장되어 전원부(100) 아래를 통하여 전원부(100)를 횡단하여 형성된 것이 연장되어 다시 전원부(100) 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4와 같이 전지제거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5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00)의 사시도이다.
도5와 같이 전지를 결합할 수 있는 개구인 전지결합부(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반대편에는 전지를 제거할 수 있는 개구인 전지제거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지결합부(120)와 전지제거부(140) 사이의 공간은 전지가 결합되었을 때 위치하는 전지장착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전지장착부(130) 상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인 제1전지접촉부(111)은 전원부(100) 일측 상으로 연장되는 제1단자접촉부(113)를 형성할 수 있다. 전지장착부(130) 하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인 제2전지접촉부(112)는 전원부(100) 아래로 연장되어 전원부(100)하면을 횡단하여 다시 전원부(100) 타측 상으로 연장되는 제2단자접촉부(114)를 형성할 수 있다.
전원부(100)의 다른 일측과 타측에 상에는 홈부(150)가 형성될 수 있어 보드부(200)와 결합시에 고정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도6은 실시예에 따른 보드부(200)의 사시도이다.
보드부(200)에는 전자소자를 결합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된 전자소자 결합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드부(200) 하측에는 돌출부(230)가 형성될 수 있어 전원부(100)와 결합시에 고정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도7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를 일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전원부(100)상에 보드부(200)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선부(110)는 전원부(100)를 따라 노출될 수 있으며, 전원부(200)상 및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8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를 일측면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보드부(200)상에는 전자소자를 결합할 수 있는 전자소자결합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100)에는 전지를 결합할 수 있는 개구인 전지결합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지결합부(120)의 내부 공간은 전지가 위치하는 전지장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100)는 일부 형상이 보드부(200)를 따라 형성되지만, 전지결합부(120)측의 일부가 제거되어 전지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9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를 타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9와 같이 배선부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배선부(110)는 이 배선부(110)는 전지장착부(130)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인 제2전지접촉부(112)가 연장되어 전원부(100) 아래를 통하여 전원부(100)를 횡단하여 형성된 것이 연장되어 다시 전원부(100) 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9와 같이 전지제거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10은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00)와 보드부(200)가 결합되기 전을 도시한 도면이다.
배선부(110)는 전원부(100)의 일측 상에 형성되는 제1단자접촉부(113)과 전원부(100)의 타측 상에 형성되는 제2단자접촉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100)의 다른 일측과 타측에 상에는 홈부(150)가 형성될 수 있어 보드부(200)와 결합시에 고정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드부(200) 하측에는 돌출부(230)가 형성될 수 있어 전원부(100)와 결합시에 고정부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원부(100) 내에는 전지를 결합되었을 때 필요한 공간인 전지장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지장착부(130)에 전지를 밀어넣는 방향의 개구부가 전지결합부(120)일 수 있다. 전지결합부(120)에서 전지를 밀어넣는 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반대편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전지제거부(140)일 수 있다. 전원부(100)의 내부 공간인 전지장착부(130)의 상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는 제1전지접촉부(111)일 수 있다. 전원부(100)의 내부 공간인 전지장착부(130)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는 제2전지접촉부(112)일 수 있다.
전원부(100) 내에는 전지를 결합할 수 있는 개구인 전지결합부(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반대편에는 전지를 제거할 수 있는 개구인 전지제거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지결합부(120)와 전지제거부(140) 사이의 공간은 전지가 결합되었을 때 위치하는 전지장착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전지장착부(130) 상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인 제1전지접촉부(111)은 전원부(100) 일측 상으로 연장되는 제1단자접촉부(113)를 형성할 수 있다. 전지장착부(130) 하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인 제2전지접촉부(112)는 전원부(100) 아래로 연장되어 전원부(100)하면을 횡단하여 다시 전원부(100) 타측 상으로 연장되는 제2단자접촉부(114)를 형성할 수 있다.
도11은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00)와 보드부(200)가 결합되기 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전원부(100)상에 배선부(110)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선부(110)는 전원부(100)의 일측 상에 형성되는 제1단자접촉부(113)과 전원부(100)의 타측 상에 형성되는 제2단자접촉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100)의 다른 일측과 타측에 상에는 홈부(150)가 형성될 수 있어 보드부(200)와 결합시에 고정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드부(200)상에는 전자소자를 결합할 수 있는 전자소자결합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12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00)와 보드부(200)가 결합되기 전 일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2와 같이 전원부(100) 내에는 전지를 결합되었을 때 필요한 공간인 전지장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지장착부(130)에 전지를 밀어넣는 방향의 개구부가 전지결합부(120)일 수 있다. 전지결합부(120)에서 전지를 밀어넣는 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반대편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전지제거부(140)일 수 있다. 전원부(100)의 내부 공간인 전지장착부(130)의 상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는 제1전지접촉부(111)일 수 있다. 전원부(100)의 내부 공간인 전지장착부(130)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는 제2전지접촉부(112)일 수 있다.
보드부(200) 하측에는 돌출부(230)가 형성될 수 있어 전원부(100)와 결합시에 고정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도13은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00)와 보드부(200)가 결합되기 전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전원부(100) 아래에는 배선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배선부(110)는 전지장착부(130)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인 제2전지접촉부(112)가 연장되어 전원부(100) 아래를 통하여 전원부(100)를 횡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드부(200) 하측에는 돌출부(230)가 형성될 수 있어 전원부(100)와 결합시에 고정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드부(200)는 전자소자가 결합될 수 있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전자소자결합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소자결합부(210)는 아래에서 보았을 때 일정한 간격으로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는 각각 줄을 이루어 한 줄에 단자부(220)한 개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14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00)와 보드(200)부가 결합되기 전 타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14와 같이 배선부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배선부(110)는 이 배선부(110)는 전지장착부(130)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인 제2전지접촉부(112)가 연장되어 전원부(100) 아래를 통하여 전원부(100)를 횡단하여 형성된 것이 연장되어 다시 전원부(100) 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4와 같이 전지제거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보드부(200) 하측에는 돌출부(230)가 형성될 수 있어 전원부(100)와 결합시에 고정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도15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00)와 보드부(200)가 결합되기 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15과 같이 전원부(100) 아래에는 배선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배선부(110)는 전지장착부(130)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인 제2전지접촉부(112)가 연장되어 전원부(100) 아래를 통하여 전원부(100)를 횡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드부(200)는 전자소자가 결합될 수 있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전자소자결합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소자결합부(210)는 아래에서 보았을 때 일정한 간격으로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는 각각 줄을 이루어 한 줄에 단자부(220)한 개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16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00)와 보드부(200)가 결합되기 전, 단자부(100)가 보드부(200)에 결합되기 전 일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2와 같이 전원부(100) 내에는 전지를 결합되었을 때 필요한 공간인 전지장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지장착부(130)에 전지를 밀어넣는 방향의 개구부가 전지결합부(120)일 수 있다. 전지결합부(120)에서 전지를 밀어넣는 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반대편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전지제거부(140)일 수 있다. 전원부(100)의 내부 공간인 전지장착부(130)의 상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는 제1전지접촉부(111)일 수 있다. 전원부(100)의 내부 공간인 전지장착부(130)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는 제2전지접촉부(112)일 수 있다.
보드부(200) 하측에는 돌출부(230)가 형성될 수 있어 전원부(100)와 결합시에 고정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드부(200)에는 전자소자결합부(210)에 하측에서 결합되는 단자부(220)가 위치할 수 있다.
도17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00)와 보드부(200)가 결합되기 전, 단자부(220)가 보드부(200)에 결합되기 전 타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보드부(200) 하측에는 돌출부(230)가 형성될 수 있어 전원부(100)와 결합시에 고정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드부(200)에는 전자소자결합부(210)에 하측에서 결합되는 단자부(220)가 위치할 수 있다.
전원부(100)에는 전지를 결합할 수 있는 개구인 전지결합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지결합부(120)의 내부 공간은 전지가 위치하는 전지장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100)는 일부 형상이 보드부(200)를 따라 형성되지만, 전지결합부(120)측의 일부가 제거되어 전지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17과 같이 전지를 결합할 수 있는 개구인 전지결합부(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반대편에는 전지를 제거할 수 있는 개구인 전지제거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지결합부(120)와 전지제거부(140) 사이의 공간은 전지가 결합되었을 때 위치하는 전지장착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전지장착부(130) 상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인 제1전지접촉부(111)은 전원부(100) 일측 상으로 연장되는 제1단자접촉부(113)를 형성할 수 있다. 전지장착부(130) 하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인 제2전지접촉부(112)는 전원부(100) 아래로 연장되어 전원부(100)하면을 횡단하여 다시 전원부(100) 타측 상으로 연장되는 제2단자접촉부(114)를 형성할 수 있다.
단자부(220)는 제1단자접촉부(113)와 접촉하는 제1단자부(221)와 제2단자접촉부(114)와 접촉하는 제2단자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18는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00)와 보드부(200)가 결합되기 전, 단자부(220)가 보드부에 결합되기 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15과 같이 전원부(100) 아래에는 배선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배선부(110)는 전지장착부(130)의 하측에 형성되는 배선부(110)인 제2전지접촉부(112)가 연장되어 전원부(100) 아래를 통하여 전원부(100)를 횡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드부(200)는 전자소자가 결합될 수 있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전자소자결합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소자결합부(210)는 아래에서 보았을 때 일정한 간격으로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는 각각 줄을 이루어 한 줄에 단자부(220)한 개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드부(200) 하측에는 돌출부(230)가 형성될 수 있어 전원부(100)와 결합시에 고정부 역할을 할 수 있다.
단자부(220)는 제1단자접촉부(113)와 접촉하는 제1단자부(221)와 제2단자접촉부(114)와 접촉하는 제2단자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배선부(110), 전지결합부(120), 전지장착부(130) 및 상기 전지결합부(120)와 다른 방향에 위치하는 전지제거부(140)를 포함하는 전원부(100); 및 전자소자결합부(210) 및 상기 배선부(110)와 직접 접촉하는 단자부(220)를 포함하는 보드부(200);를 포함하여 브레드보드 접촉케이블이 필요 없고 그 자체가 완성품인 탁상형/스탠드식으로 독립해서 세워질 수 있다. 점퍼선도 필요 없고 전원도 결합되어 있어 별도의 건전지 홀더가 필요 없고, 전자부품을 끼우기만 하면 작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전지제거부(140)는 상기 전자결합부(120)보다 작게 형성되어, 전지를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전지결합부(120)는 상기 전지제거부(140)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여, 전지제거부(140)의 개구를 통하여 바깥에서 안쪽으로 미는 힘(뾰족하거나 가는 물건을 이용할 수 있음)을 가하여 전지를 전자결합부(120) 방향으로 통하여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전원부(100)는 전지 결합시에 상기 전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전지를 전지제거부(140)측까지 끝까지 밀어넣어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배선부(110)는 상기 전지장착부(130) 상에 위치하는 제1전지접촉부(111) 및 상기 전지장착부(130) 아래에 위치하는 제2전지접촉부(112)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소형 건전지(예를 들어 원형 손목시계형 건전지)를 결합하여 전기를 통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배선부(110)는 상기 전원부(100) 상에 위치하는 제1단자접촉부(113)와 제2단자접촉부(114)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보드부(200)에 결합되는 전자소자에 직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제1단자접촉부(113)는 상기 전지결합부(130)측에 형성되는 제1단자부(221)와 접촉하고, 상기 제2단자접촉부(114)는 상기 전지제거부측(140)에 형성되는 제2단자부(222)와 접촉하여, 보드부(200)에 결합되는 전자소자에 직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보드부(200)는 상기 전원부(100) 상에 결합되어, 점퍼선도 필요 없고 전원도 결합되어 있어 별도의 건전지 홀더가 필요 없고, 전자부품을 끼우기만 하면 작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전원부(100)와 상기 보드부(200)를 결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내구성이 뛰어나고 독립적으로 전자부품을 작동 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자소자결합부(210)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독립적으로 전자부품을 작동 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자소자결합부(210) 외측에 형성되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독립적으로 전자부품을 작동 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원부(100) 또는 상기 보드부(200)의 돌출부와 상기 보드부(100) 또는 상기 전원부(200)의 홈부로 구성되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독립적으로 전자부품을 작동 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보드부(200)는 각기둥으로 형성되어 재료비를 최소화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전원부(100)는 상기 각기둥에서 일부가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재료비를 최소화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전지 결합시에 상기 전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전지를 전지제거부(140)측까지 끝까지 밀어넣어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보드부(200)는 팔각기둥으로 형성되어 재료비를 최소화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전원부(100)는 상기 팔각기둥에서 일부가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지 결합시에 상기 전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재료비를 최소화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전지 결합시에 상기 전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전지를 전지제거부(140)측까지 끝까지 밀어넣어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보드부(200)는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으로 형성되어 재료비를 최소화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전원부(100)는 상기 원기둥 또는 상기 타원기둥에서 일부가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지 결합시에 상기 전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재료비를 최소화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전지 결합시에 상기 전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전지를 전지제거부(140)측까지 끝까지 밀어넣어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단자부(220)가 수평적으로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배선부(110)가 수평적으로 연장되는 방향이 수직하도록 구성되어 단선에 의한 전원공급 차단을 방지하고 점퍼선도 필요 없고 전원도 결합되어 있어 별도의 건전지 홀더가 필요 없고, 전자부품을 끼우기만 하면 작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상기 배선부(110)가 수평적으로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전지결합부(120)에서 상기 전지제거부(140)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점퍼선도 필요 없고 전원도 결합되어 있어 별도의 건전지 홀더가 필요 없고, 전자부품을 끼우기만 하면 작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별도의 전원 연결이 필요 없는 독립 전자회로교구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브레드 보드가 독립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소형 전자회로교구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접속케이블의 외부 노출 없이 완성된 브레드 보드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전자회로교구는 브레드 보드의 외부형태를 내가 원하는 형태로 제공한다.
100 : 전원부
110 : 배선부
120 : 전지결합부
130 : 전지장착부
140 : 전지제거부
200 : 보드부
210 : 전자소자결합부
220 : 단자부

Claims (20)

  1. 배선부, 전지결합부, 전지장착부 및 상기 전지결합부와 다른 방향에 위치하는 전지제거부를 포함하는 전원부; 및
    전자소자결합부 및 상기 배선부와 직접 접촉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보드부;를 포함하는 전자회로교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제거부는 상기 전자결합부보다 작게 형성되는 전자회로교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결합부는 상기 전지제거부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전자회로교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전지 결합시에 상기 전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전자회로교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상기 전지장착부 상에 위치하는 제1전지접촉부 및 상기 전지장착부 아래에 위치하는 제2전지접촉부를 포함하는 전자회로교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상기 전원부 상에 위치하는 제1단자접촉부와 제2단자접촉부를 포함하는 전자회로교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접촉부는 상기 전지결합부측에 형성되는 제1단자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2단자접촉부는 상기 전지제거부측에 형성되는 제2단자부와 접촉하는 전자회로교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부는 상기 전원부 상에 결합되는 전자회로교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와 상기 보드부를 결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자회로교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자소자결합부가 형성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는 전자회로교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자소자결합부 외측에 형성되는 전자회로교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원부 또는 상기 보드부의 돌출부와 상기 보드부 또는 상기 전원부의 홈부로 구성되는 전자회로교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부는 각기둥으로 형성되는 전자회로교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각기둥에서 일부가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자회로교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부는 팔각기둥으로 형성되는 전자회로교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팔각기둥에서 일부가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자회로교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부는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으로 형성되는 전자회로교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원기둥 또는 상기 타원기둥에서 일부가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자회로교구.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가 수평적으로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배선부가 수평적으로 연장되는 방향이 수직하도록 구성되는 전자회로교구.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가 수평적으로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전지결합부에서 상기 전지제거부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전자회로교구.
KR1020150139416A 2015-10-03 2015-10-03 미니 바로 보드 KR201501180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416A KR20150118075A (ko) 2015-10-03 2015-10-03 미니 바로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416A KR20150118075A (ko) 2015-10-03 2015-10-03 미니 바로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075A true KR20150118075A (ko) 2015-10-21

Family

ID=54400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416A KR20150118075A (ko) 2015-10-03 2015-10-03 미니 바로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80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7710A (zh) * 2017-06-14 2017-08-01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积木式电子实验教具
CN111402689A (zh) * 2020-03-19 2020-07-10 苏州硬木智能科技有限公司 多功能辅助纠错实验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7710A (zh) * 2017-06-14 2017-08-01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积木式电子实验教具
CN111402689A (zh) * 2020-03-19 2020-07-10 苏州硬木智能科技有限公司 多功能辅助纠错实验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03092A1 (en) Connector
CN206878201U (zh) 基板连接器
US7367819B2 (en) Board mounted terminal construction
US8939778B2 (en) Electrcial socket with LGA type coil contacts for IC package
JP2014187100A (ja) 電子装置
TWI702077B (zh) 塑膠間隙塊及其製造方法
CN104158003A (zh) 电连接器及其组件
JP3140135U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20150118075A (ko) 미니 바로 보드
TWI789383B (zh) 點字終端機及用於點字終端機之模組
JP2023540641A (ja) 印刷回路基板に配置された電子回路の筐体
JP2010038920A (ja) バックプレート及びバックプレート付きソケット装置
US6461168B2 (en) Plug socket for a display instrument
KR101693024B1 (ko) 센서용 신호전달 조립체
JP6543020B2 (ja) 電気回路端子装置
CN101466212B (zh) 电子设备
JP3218208U (ja) アンテナモジュール自動化組付け構造
CN106469870B (zh) 电连接器
US9425555B1 (en) Plug connector
CN212162262U (zh) 公座、母座及连接器
KR102520168B1 (ko) 수직체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aoc 커넥터 어셈블리
US11749942B2 (en) Magnetic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agnetic connector
JP2015026513A (ja)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JP2009111254A (ja) 電子部品搭載基板用ケース
JP7058089B2 (ja) 基板実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