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565A - 차량용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565A
KR20190107565A KR1020190008065A KR20190008065A KR20190107565A KR 20190107565 A KR20190107565 A KR 20190107565A KR 1020190008065 A KR1020190008065 A KR 1020190008065A KR 20190008065 A KR20190008065 A KR 20190008065A KR 20190107565 A KR20190107565 A KR 20190107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ata
application
function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922B1 (ko
Inventor
유지 니나가와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90107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0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 G05B23/0213Modular or universal configu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e.g. monitoring system having modules that may be combined to build monitoring program; monitoring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legacy systems; adaptable monitoring system; using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13Details regarding a bu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97Interconnection with oth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065Real time diagno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차량에 탑재되고 또한 차 내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된 복수의 ECU간의 데이터 통신, 및 복수의 ECU와 차 밖 장치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제어 장치로서, 소정의 기능을 실현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와, 애플리케이션의 일부인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취득 및 소거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를 구비하고,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취득 또는 소거함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플렉시블하게 추가 또는 삭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제어 장치{VEHICL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일본공개특허 특개2010-191786호 공보) 및 특허 문헌 2(일본공개특허 특개2003-046536호 공보)에, 서버로부터 갱신 프로그램을 취득하여, 대상기기의 프로그램을 갱신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제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차량에 탑재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기능을 이후에 차량에 추가하거나,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기존의 기능을 삭제하거나 하려고 한 경우, 처리의 대상이 되는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의 프로그램을 갱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수십 개의 ECU가 탑재되는 차량에 있어서 추가나 삭제에 의한 기능의 변경이 발생할 때마다 개개의 ECU 프로그램을 갱신하고 있던 것으로는, 갱신의 시간이나 손이 많이 갈 뿐만 아니라, 정규의 ECU를 조합시킨 상품 번호가 증가하여 관리가 힘들어진다. 이 때문에, 기능의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의 ECU 프로그램의 갱신에 대해서는, 가일층의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ECU 프로그램을 갱신하지 않고, 차량에 대하여 새로운 기능의 추가나 기존 기능의 삭제를 실시할 수 있는 차량용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차량에 탑재되고 또한 차 내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된 복수의 ECU간의 데이터 통신, 및 복수의 ECU와 차 밖 장치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제어 장치로서, 소정의 기능을 실현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와, 애플리케이션의 일부인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취득 및 소거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를 구비하고, 애플리케이션 관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취득 또는 소거함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플렉시블하게 추가 또는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일 양태에서는, 게이트웨이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제어 장치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기능과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취득 및 소거를 관리하는 기능을 구비하게 한다. 이 기능에 의해, 장치가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임의로 취득 및 소거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ECU의 프로그램을 갱신하지 않고, 차량에 대하여 새로운 기능의 추가나 기존 기능의 삭제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일 양태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추가한 기능에 의거하여, 소정의 ECU에 소정의 차량 제어를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차 내 네트워크에 송출할 수 있다.
이 일 양태의 차량용 제어 장치에서는, 기존의 ECU 프로그램인 채로 , 소정의 ECU에 소정의 차량 제어를 행하게 하는 것과 같은 새로운 동작이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일 양태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추가한 기능에 의거하여, 복수의 ECU로부터 차 내 네트워크에 송출되는 복수의 데이터 중, 소정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차 밖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추가한 기능에 의거하여, 차 밖 장치로부터 수집 데이터의 연산 결과를 수신하고, 소정의 ECU가 실행하는 소정의 차량 제어에 당해 연산 결과를 반영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차 내 네트워크에 송출해도 된다.
이 양태의 차량용 제어 장치에서는, 당초에는 차 밖 장치의 수집 대상이 아니었던 데이터를 새롭게 수집 대상으로 하여 차 밖 장치가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차 밖 장치가 수집한 데이터로부터 연산한 결과를 차량용 제어 장치측으로 되돌림으로써, 연산 결과를 임의의 ECU의 차량 제어에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일 양태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실행부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가 추가한 기능에 의거하여, 복수의 ECU로부터 차 내 네트워크에 송출되는 복수의 데이터 중, 소정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소정의 기억 영역에 기억할 수 있다.
이 일 양태의 차량용 제어 장치에서는, 당초에는 차량으로의 기록 대상이 아니었던 다이어그노스틱 데이터(diagnostics data)를 새롭게 기록 대상으로 하여, 차량이 기록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차량용 제어 장치에 의하면, ECU 프로그램을 갱신하지 않고, 차량에 대하여 새로운 기능의 추가나 기존 기능의 삭제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효과는, 첨부의 도면과 대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탑재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5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추가 기능에 의거하여 차량용 제어 장치가 실행하는 제어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개요]
본 발명은, 복수의 ECU간의 데이터 통신 및 복수의 ECU와 차 밖 장치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제어 장치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기능과 애플리케이션을 임의로 취득 및 소거하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ECU의 프로그램을 갱신하지 않고, 차량에 대하여 새로운 기능의 추가나 기존 기능의 삭제를 실시한다.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제어 장치(10)를 포함하는 차량 탑재 네트워크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차량 탑재 네트워크 시스템(1)은, 차량용 제어 장치(10)와, 복수의 ECU(21~24)와, 복수의 통신 버스(31~34)를 구비하고, 외부 네트워크(50)을 개재하여 외부 장치(40)와 접속된 구성이다.
복수의 ECU(21~24)는, 차량에 탑재된 다양한 전자 제어 장치이다. 이 복수의 ECU(21~24)는, 소속되는 시스템(제어계, 바디계, 안전계, 정보계 등)에 대응한 통신 버스(31~34)에 접속되어, 각각 차 내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복수의 통신 버스(31~34)는, 예를 들면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방식에 준거한 네트워크 버스이다. 통신 버스(31)는 하나 이상의 ECU(21)를, 통신 버스(32)는 하나 이상의 ECU(22)를, 통신 버스(33)는 하나 이상의 ECU(23)를, 통신 버스(34)는 하나 이상의 ECU(24)를, 차량용 제어 장치(10)와 통신 가능하게 각각 접속한다.
외부 장치(40)는, 차량의 외부에 마련되는 설비 기기 등이며, 차량용 제어 장치(10)와 외부 네트워크(50)를 개재한 소정의 통신(IP 통신 등)을 행하여, ECU(21~24)나 차량용 제어 장치(10)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ECU(21~24)나 차량용 제어 장치(10)에 지시나 정보의 제공을 행하거나 할 수 있다. 외부 네트워크(50)는, 예를 들면 인터넷이나 전화 회선망 등이다.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차량 탑재 네트워크 시스템(1)에서 행해지는 통신을 중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소정의 기능을 플렉시블하게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게이트웨이 기능부(11)와,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2)와,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3)와, 통신 기능부(14)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소정의 정보를 기억하는 영역인 스토리지(17)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게이트웨이 기능부(11)는, 복수의 통신 버스(31~34)를 접속하여, 복수의 ECU(21~24)의 상호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 기능부(11)는, 통신 기능부(14)를 개재하여, 차 내의 ECU(21~24)와 외부 장치(40)간에서 행해지는 데이터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이 게이트웨이 기능부(11)는, 예를 들면 CAN 기능을 탑재한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2)는, 차량용 제어 장치(10)가 가지고 있는 각종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2)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 미들웨어, 드라이버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에 의해 구성된다.
차량용 제어 장치(10)가 가지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차량용 제어 장치(10)가 미리 보지(保持)하고, 차량용 제어 장치(10)로부터의 소거가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하 「표준 어플」이라고 함)(15)과, 차량용 제어 장치(10)로의 취득 또는 차량용 제어 장치(10)로부터의 소거가 가능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이하 「특정 어플」이라고 함)(16)으로 구분된다. 애플리케이션의 일례로서는, Java 가상 머신상의 OSGi(Open Services Gateway initiative) 프레임워크상에서 동작하는 번들, Java 가상 머신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릿, 브라우저상에서 동작하는 Java 스크립트, Lua 스크립트 엔진상에서 동작하는 Lua 스크립트 등을 포함하고, 차량용 제어 장치(10)에 소정의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지령이나 데이터이다.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3)는, 특정 어플(16)의 취득 및 소거를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3)는, 표준 어플(15)로는 실현할 수 없는 소정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특정 어플(16)로 하여 새롭게 취득함으로써, 당해 소정의 기능을 차량에 추가하는 것을 행한다. 특정 어플(16)의 취득은, 외부 장치(40)로부터 외부 네트워크(50)를 개재하여 무선으로 행해져도 되고, 차량에 유선 접속되는 서비스 툴(도시 생략) 등을 개재하여 행해져도 된다. 외부 장치(40)로부터 특정 어플(16)을 취득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3)는, 외부 장치(40)로부터 소정의 지시를 받음으로써 취득해도 되고, 스스로 정기적 또는 부정기로 외부 장치(40)에 문의함으로써 취득해도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3)는, 취득이 끝난 특정 어플(16)을 소거함으로써, 당해 소거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현하고 있던 기능을 차량으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행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2) 및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3)는, 예를 들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서술의 가상 머신이나 브라우저 등에 실장할 수 있다.
통신 기능부(14)는, 표준 어플(15) 또는 특정 어플(16)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에 의거하여, 외부 장치(40)와 외부 네트워크(50)를 개재한 소정의 통신을 행하여, 수집 데이터를 외부 장치(40)로 송신하거나, 외부 장치(40)로부터 수집 조건이나 제어 지시나 정보를 수신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40)와 차량용 제어 장치(10)와의 통신에는, 통신 기능부(14) 대신에, 차량에 탑재된 네비게이션 장치나 데이터 통신기기(DCM)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서술한 차량 탑재 네트워크 시스템(1)으로 나타낸 애플리케이션(표준 어플(15), 특정 어플(16))의 수, 통신 버스(31~34)의 수, 및 ECU(21~24)의 수는 일례로서, 각각 도면에서 나타낸 이외의 수를 구비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기능 추가예]
이어서, 도 2 내지 도 5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제어 장치(10)가 실행하는 제어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특정 어플(16)에 의해 새롭게 추가된 기능에 의거하여, 차량용 제어 장치(10)가 실행하는 제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정 어플(16)은,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3)에 의해 외부 네트워크(50)를 개재하여 외부 장치(40)로부터 이미 취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A. 통신 버스를 흐르는 데이터를 제어하여 차량 제어에 반영시키는 기능(도 2)
(1) 외부 장치(40)는,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면, 소정의 지시를 차량용 제어 장치(10)에 송신한다.
(2)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외부 장치(40)로부터 소정의 지시를 수신하면, 추가된 기능에 의거하여, 지시에 따른 CAN 데이터를 새롭게 생성하여 통신 버스(30)에 흘린다(또는 이미 흐르고 있는 CAN 데이터를 개변한다)
(3) 이 CAN 데이터의 수신처가 되는 ECU(20)는, 현행의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소정의 차량 제어를 실행한다.
일례로서, 리모트로 차량의 트렁크를 록/언록하는 기존의 시스템을, 차량 택배라고 하는 새로운 서비스에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제어 장치(10)에는, 외부 장치(40)로부터 트렁크 잠금 해제 지시를 받으면 차량의 트렁크를 언록하는 CAN 데이터를 통신 버스(30)에 흘린다고 하는 기능을 특정 어플(16)에 추가해 둔다.
구체적인 처리로서는, 차량의 곁에 왔다는 것을 택배업자로부터 연락을 받은(소정의 조건이 성립한) 외부 장치(40)가, 차량용 제어 장치(10)에 트렁크 잠금 해제 지시를 송신한다.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외부 장치(40)로부터 수신하는 트렁크 잠금 해제 지시에 따라, 트렁크의 언록을 지시하는 CAN 데이터를 통신 버스(30)에 흘린다. 이 CAN 데이터를 수신한 ECU(20)는, 트렁크를 언록한다. 이 일련의 처리에 의해, 이용자의 차량의 트렁크에 짐을 배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버스(30)에 트렁크 클로즈를 나타내는 CAN 데이터가 흐르는 것을 받아, 차량용 제어 장치(10)가, 트렁크의 록을 지시하는 CAN 데이터를 통신 버스(30)에 흘리는 기능이 추가되어도 된다. 또한,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외부 장치(40)로부터의 트렁크 잠금 해제 지시의 수신 대신에, 택배업자에 의한 소정의 차량 조작에 의거하여 발생한 CAN 데이터를 검출함으로써, 트렁크의 언록을 지시하는 CAN 데이터를 통신 버스(30)에 흘리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기능의 추가에 의해, 당초에는 행해지고 있지 않던 새로운 동작이나 처리를, 현행의 ECU 프로그램인 채로 임의의 ECU(20)에 실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모든 유저(전체 대상 차량)를 대상으로 하는 것은 아니고, 특정의 유저(일부의 대상 차량)에 한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B. 차량의 데이터를 외부 장치가 수집하는 기능(도 3)
(1)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추가된 기능에 의거하여, 통신 버스(30)를 흐르는 CAN 데이터 중에서 소정의 데이터를 기능이 정하는 조건에 따라 선택하여 수집한다.
(2)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수집한 데이터를 외부 장치(40)에 송신한다.
구체예로서는,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소정의 ECU가 요구하는 제어 전류의 요구값이 소정값 이상으로 증가하였을 때에, 이 요구값이 증가한 타이밍의 전후 몇 초간의 선별 없이 전체 데이터를 수집하여 외부 장치(40)에 송신한다. 외부 장치(40)는, 수집한 데이터를 해석하여, 금후의 제어에 활용한다. 또는,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소정의 장소를 주행하고 있을 때에, 각종의 센서에 의해 인식하고 있는 정보(물표 등)를 수집하여 외부 장치(40)에 송신한다. 외부 장치(40)는, 수집한 정보를 해석하여, 지도 정보의 갱신에 활용한다. 이 일련의 처리에 의해, 외부 장치(40)는, 지금까지는 수집할 수 없었던 데이터나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기능의 추가에 의해, 통신 비용이나 필요한 데이터 저장 용량을 억제하면서, 외부 장치(40)에 의한 데이터 수집을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수집한 데이터를 소정의 공통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외부 장치(40)에 송신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외부 장치(40)는, 탑재하는 센서나 시스템 등의 차이에 의해 차종이나 차량마다 상이한 데이터를, 공통 형식화된 데이터로서 수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공통 형식화에 의해, 외부 장치(40)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개별 처리가 불필요해질 뿐만 아니라, 이미 발매된 다양한 차량의 데이터를 갖출 수 있기 때문에, 수집한 데이터의 편리성이 높아진다.
C. 외부 장치가 차량으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여 데이터 연산한 결과를 차량 제어에 반영시키는 기능(도 4)
(1)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추가된 기능에 의거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ECU(20)로부터 소정의 CAN 데이터를 수신한다.
(2)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ECU(20)로부터 수신한 CAN 데이터에 필요한 정보를 부가한 신호를, 외부 장치(40)에 송신한다.
(3) 외부 장치(40)는, 차량용 제어 장치(1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에 의거하여 소정의 연산을 행하고, 연산의 결과를 차량용 제어 장치(10)에 회신한다.
(4)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외부 장치(40)로부터 수신하는 연산의 결과에 근거한 CAN 데이터를, 통신 버스(30)를 개재하여 ECU(20)에 송신한다.
(5) CAN 데이터를 수신한 ECU(20)는, 현행의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연산의 결과를 반영시킨 처리를 실행한다.
일례로서, 차량에 있어서의 특정의 제어량(예를 들면 EFI 제어량)을, 차량의 현재 위치나 타차량에 의한 제어 이력 등에 의거하여 변경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제어 장치(10)에는, ECU(20)로부터 취득한 제어량을 외부 장치(40)에 송신하고, 외부 장치(40)로부터 응답 수신하는 목표 제어량을 ECU(20)에 송신한다고 하는 기능을 특정 어플(16)에 추가해 둔다.
구체적인 처리로서는,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ECU(20) 등으로부터 통신 버스(30)에 송출된 제어량이나 센서값 등의 CAN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취득한 제어량이나 센서값에 위치 정보(고도)나 차량 정보나 드라이버 정보 등의 정보를 부가한 신호를, 외부 장치(40)에 송신한다. 외부 장치(40)는, 차량용 제어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통계 처리 등의 소정의 연산을 행하고, 연산의 결과를 차량용 제어 장치(10)에 송신한다.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외부 장치(40)로부터 수신하는 연산 결과에 의거하여 권장되는 목표 제어량을 산출하고, 목표 제어량을 제어 대상이 되는 ECU(20)에 지시하는 CAN 데이터를 통신 버스(30)에 흘린다. 이 CAN 데이터를 수신한 ECU(20)는, 제어량을 제어한다.
이러한 기능의 추가에 의해, 특정 어플(16)을 ECU(20)와 외부 장치(40)와의 통신의 가교 역할로서 기능시킴으로써, 당초에는 설정 외였던 차량 제어를 실행시키는 것과 같은 새로운 동작이나 처리를, 현행의 ECU 프로그램인 채로 제어 대상의 ECU(20)에 실행시킬 수 있다.
D. 차량의 다이어그 데이터를 스토리지에 수집하는 기능(도 5)
(1)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추가된 기능에 의거하여, 통신 버스(30)를 흐르는 CAN 데이터 중에서 소정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2)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수집한 데이터를 소정의 스토리지(17)에 기록한다.
구체예로서는,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지금까지 기록하고 있던 다이어그 데이터에 더해, 특정의 차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다이어그 데이터와 연결시켜 스토리지(17)에 기록한다. 이와 같은 기능의 추가에 의해, 개개의 차량 상태에 따라 필요한 정보만을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이어그 데이터를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작용·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제어 장치(10)는, 복수의 ECU(21~24) 및 차 밖 장치(40)의 상호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기능부(11)에 더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2)와 특정 어플(16)의 취득 및 소거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차량용 제어 장치(10)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2)가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임의로 취득 및 소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차량을 판매한 후에 발생하는 고객 니즈에 대응한 새로운 기능이나 서비스 등을, 복수의 ECU(21~24)의 프로그램을 갱신하지 않고, 차량에 대하여 새로운 기능의 추가나 기존 기능의 삭제를 플렉시블하고 또한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제어 장치(10)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3)에 의해 추가된 기능에 의거하여, 소정의 CAN 데이터를 통신 버스(31~34)에 송출하고, 이 CAN 데이터를 수신한 ECU에 소정의 차량 제어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ECU 프로그램인 채로, 당초에는 행해지고 있지 않던 차량 제어를 행하게 하는 것과 같은 새로운 동작이나 처리를, 임의의 ECU에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제어 장치(10)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3)에 의해 추가된 기능에 의거하여, 통신 버스(31~34)에 흐르는 복수의 CAN 데이터 중, 소정의 CAN 데이터를 수집하여 차 밖 장치(4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당초에는 차 밖 장치(40)의 수집 대상이 아니었던 데이터를 새롭게 수집 대상으로 하여, 차 밖 장치(40)가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제어 장치(10)에 의하면, 수집한 CAN 데이터의 연산 결과를 차 밖 장치(40)로부터 수신하고, 이 연산 결과에 의거한 CAN 데이터를 통신 버스(31~34)에 흘려, 이 CAN 데이터를 수신한 ECU가 실행하는 차량 제어에 연산 결과를 반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차 밖 장치(40)가 수집한 데이터로부터 연산한 결과를 차량용 제어 장치(10)측으로 되돌림으로써, 연산 결과를 임의의 ECU의 차량 제어에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된 차량용 제어 장치(10)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3)에 의해 추가된 기능에 의거하여, 통신 버스(31~34)에 흐르는 복수의 CAN 데이터 중, 소정의 CAN 데이터를 수집하여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3)가 관리하는 스토리지(60)에 기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당초는 차량으로의 기록 대상이 아니었던 다이어그 데이터를 새롭게 기록 대상으로 하여, 차량이 기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게이트웨이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제어 장치에 애플리케이션을 임의로 취득하여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ECU의 프로그램을 갱신하거나 ECU에 메모리를 추가하거나 하지 않고, ECU의 기존 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제어를 용이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탑재 시에는 시스템에 내장되어 있지 않았던 제어, 예를 들면 새로운 서비스에 대응한 기능을 ECU에 실행시키거나, 차량으로부터 흥미가 있는 정보를, 편리성이 높은 예를 들면 빅 데이터로서 활용하기 쉬운 바람직한 형식으로, 수집하거나 하는 제어를, 시스템 구축 후에도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하는 것만으로 임의로 추가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이상,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해 왔지만, 상기 서술의 설명은 모든 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에 지나지 않고, 그 범위를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개량이나 변형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5)

  1. 차량에 탑재되고 또한 차 내 네트워크(31~34)에 의해 접속된 복수의 ECU(21~24)간의 데이터 통신, 및 당해 복수의 ECU(21~24)와 차 밖 장치(40)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기능(11)을 구비한 차량용 제어 장치(10)로서,
    소정의 기능을 실현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2)와,
    상기 애플리케이션(15, 16)의 일부인 특정 애플리케이션(16)의 취득 및 소거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3)를 구비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3)는,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16)을 취득 또는 소거함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플렉시블하게 추가 또는 삭제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2)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3)가 추가한 기능에 의거하여, 소정의 ECU에 소정의 차량 제어를 실행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차 내 네트워크(31~34)에 송출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1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2)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3)가 추가한 기능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ECU(21~24)로부터 상기 차 내 네트워크(31~34)에 송출되는 복수의 데이터 중, 소정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차 밖 장치(40)에 송신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1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2)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3)가 추가한 기능에 의거하여, 상기 차 밖 장치(40)로부터 수집 데이터의 연산 결과를 수신하고, 소정의 ECU가 실행하는 소정의 차량 제어에 당해 연산 결과를 반영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차 내 네트워크(31~34)에 송출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1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부(12)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관리부(13)가 추가한 기능에 의거하여, 상기 복수의 ECU(21~24)로부터 상기 차 내 네트워크(31~34)에 송출되는 복수의 데이터 중, 소정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소정의 기억 영역(17)에 기억하는 차량용 제어 장치(10).
KR1020190008065A 2018-03-12 2019-01-22 차량용 제어 장치 KR102125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44234A JP7201329B2 (ja) 2018-03-12 2018-03-12 車両用制御装置
JPJP-P-2018-044234 2018-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565A true KR20190107565A (ko) 2019-09-20
KR102125922B1 KR102125922B1 (ko) 2020-06-23

Family

ID=6541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065A KR102125922B1 (ko) 2018-03-12 2019-01-22 차량용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280893A1 (ko)
EP (1) EP3540595A1 (ko)
JP (1) JP7201329B2 (ko)
KR (1) KR102125922B1 (ko)
CN (1) CN1102624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4005B2 (ja) 2017-10-30 2021-10-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7440294B2 (ja) * 2020-02-28 2024-02-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制御方法
CN112286170B (zh) * 2020-10-29 2021-10-22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车辆ecu刷写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859809A (zh) * 2021-01-11 2021-05-28 上海星融汽车科技有限公司 车辆ecu刷写方法、系统及车辆诊断设备的下位机
JP2022154943A (ja) * 2021-03-30 2022-10-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8219A (ja) * 2013-01-31 2014-09-1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アクセス制限装置、車載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9416B2 (ja) * 1997-10-17 2004-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車載機器制御装置
US7092803B2 (en) * 2000-08-18 2006-08-15 Idsc Holdings, Llc Remote monitoring, configuring, programming and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s and vehicle components
JP4942261B2 (ja) 2001-07-31 2012-05-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中継装置、及び、車内通信システム
JP2006226788A (ja) * 2005-02-16 2006-08-31 Fuji Heavy Ind Ltd バッテリ管理システム
US20100107150A1 (en) * 2007-03-20 2010-04-29 Tomihisa Kamada Terminal having application update managing function, and application update managing program and system
WO2010019568A1 (en) * 2008-08-11 2010-02-18 Telcordia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networked mobile devices in vehicles
JP2010191786A (ja) 2009-02-19 2010-09-02 Fujitsu Ten Ltd 車載装置
JP5855974B2 (ja) * 2012-02-27 2016-02-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制御システム
JP6056424B2 (ja) * 2012-11-29 2017-01-1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プログラム更新装置
CN106469072B (zh) * 2015-08-19 2019-12-2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程序更新系统及车辆程序更新方法
JP7043736B2 (ja) * 2016-06-02 2022-03-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子制御装置及び車両用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
CN107450518A (zh) * 2017-08-16 2017-12-08 北京车和家信息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车载以太网构架的程序升级装置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8219A (ja) * 2013-01-31 2014-09-1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アクセス制限装置、車載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62445A (zh) 2019-09-20
KR102125922B1 (ko) 2020-06-23
JP7201329B2 (ja) 2023-01-10
US20190280893A1 (en) 2019-09-12
JP2019159661A (ja) 2019-09-19
EP3540595A1 (en)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7565A (ko) 차량용 제어 장치
RU2643864C2 (ru) Бортовая система регистрации
US11685359B2 (en) Vehicle device
CN105791386B (zh) 高效的远程信息处理数据上传
US20210344700A1 (en) Vehicle security monitoring apparatu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6874026B (zh) 用于经由空中接口稳健地更新车辆的固件的方法和设备
CN106603620B (zh) 车载记录系统以及车载控制装置
CN102594594B (zh) 连接装置及其连接控制方法
JP5712845B2 (ja) 車両用故障診断装置
CN110214312A (zh) 共享备用单元和控制系统
AU771219B2 (en) Configuration of a remote data collec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210237668A1 (en) On-board communication device, on-board communication system, and specific processing prohibition method for a vehicle
CN112003784B (zh) 车辆数据传输方法、设备、存储介质及装置
JP2006256457A (ja) 車載データ管理装置、及び、車両情報供給システム
US20120330480A1 (en) Vehicular electronic control device, related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060782B2 (ja) 中継装置
US10572542B1 (en) Identifying a vehicle based on signals available on a bus
CN115657647B (zh) 故障确定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US20220189214A1 (en) Module for collecting data relating to a device of a vehicle
US20150073649A1 (en) Managing diagnostic trouble codes in a vehicle
CN109308802A (zh) 异常车辆管理方法及装置
US20230195445A1 (en) On-board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7399185B2 (ja) 安全なテレオペレート運転のためのシステム
KR20090063024A (ko) 진단 코드에 따른 정비소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47298A (ko)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