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205A - 2중 레이블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2중 레이블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205A
KR20190106205A KR1020180027361A KR20180027361A KR20190106205A KR 20190106205 A KR20190106205 A KR 20190106205A KR 1020180027361 A KR1020180027361 A KR 1020180027361A KR 20180027361 A KR20180027361 A KR 20180027361A KR 20190106205 A KR20190106205 A KR 20190106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unit
double
stacking
un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8880B1 (ko
Inventor
류기택
Original Assignee
(주) 동방피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방피앤디 filed Critical (주) 동방피앤디
Priority to KR1020180027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88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32B37/1054Regulating the dimensions of the laminate, e.g. by adjusting the nip or platen g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1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weighted or spring-pressed mov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19/00Labels, ba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1Printing;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4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3Modifying electric properties
    • B65H2301/5133Removing electrostatic char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품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레이블에 대하여 한정된 영역 내에 보다 많은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2중으로 제작하는 동시에, 이러한 2중 레이블을 정확도 및 신뢰도 높게 제작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롤 상태로 권취된 하층 레이블(10)을 연속적으로 권출하기 위한 제1권출부(100)와; 인쇄지(21) 및 이형지(22)를 포함하되 롤 상태로 권취된 상층 레이블(20)을 연속적으로 권출하기 위한 제2권출부(200)와; 상기 제2권출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상층 레이블(20)로부터 이형지(22)를 박리시켜 인쇄지(21)만을 상기 제1권출부(100)로부터 공급되는 하층 레이블(10) 상에 가압 부착시켜, 하층 레이블(10) 및 상층 레이블(20)을 포함하는 2중 레이블(30)을 형성하는 적층부(300)와; 상기 적층부(300)에서 형성된 2중 레이블(30)을 롤 상태로 권취시키는 제1권취부(400)와; 상기 적층부(300)에서 박리된 이형지(22)를 롤 상태로 권취시키는 제2권취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적층부에서 상기 인쇄지를 상기 하층 레이블에 가압 부착시키는 압력을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중 레이블의 제작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선택적으로 기존의 단일 레이블도 제작할 수 있어 장치의 호환성을 높이는 한편, 레이블의 이송 장력을 적절하게 유지하거나 편심을 방지하는 등 다양한 부가장치를 마련하여 불량의 발생 없이 양질의 2중 레이블을 제작할 수 있어 장치의 상품성 및 시장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2중 레이블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2 layers label}
본 발명은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품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레이블에 대하여 한정된 영역 내에 보다 많은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2중으로 제작하는 동시에, 이러한 2중 레이블을 정확도 및 신뢰도 높게 제작하기 위한 장치로써, 2중 레이블의 제작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선택적으로 기존의 단일 레이블도 제작할 수 있어 장치의 호환성을 높이는 한편, 레이블의 이송 장력을 적절하게 유지하거나 편심을 방지하는 등 다양한 부가장치를 마련하여 불량의 발생 없이 양질의 2중 레이블을 제작할 수 있어 장치의 상품성 및 시장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라벨이라 지칭되는 레이블(label)은 상품용기나 포장물 등의 겉표면에 붙일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품에 관해 올바르게 알 권리를 주장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내용·품질·성분·원자재·규격·용량·제조연월일·제조 및 판매원·사용방법 등 다양한 정보가 인쇄되어 있다.
종래의 라벨 제조 장치 및 라벨 인쇄기가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2-13248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라벨 제조 장치 및 라벨 인쇄기에서 제작되는 레이블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단일의 인쇄층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 있어서 상품용기에 비해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가 많은, 예를 들어 화장품이나 의약품의 경우 레이블에 인쇄되는 내용의 폰트 크기를 작게 하는 방안을 통해 한정된 영역 내에 비교적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폰트의 크기가 작게 인쇄된 레이블은 실제로 읽기 어려울 정도로 미세한 크기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레이블에 표기된 정보를 쉽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2중 레이블 제조설비는 일반적인 단일 레이블 제조설비와는 구성상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 빈도수가 높은 단일 레이블 제조설비를 해당 분야의 당업자가 보유하고 있다 할지라도, 2중 레이블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2중 레이블 제조설비를 마련해야만 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부담이 크다는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뿐 아니라, 레이블의 제조 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레이블에 적절한 장력이 작용하지 않거나 편심 이송이 발생할 경우 양질의 레이블을 제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2-13248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2중 레이블의 제작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선택적으로 기존의 단일 레이블도 제작할 수 있어 장치의 호환성을 높이는 한편, 레이블의 이송 장력을 적절하게 유지하거나 편심을 방지하는 등 다양한 부가장치를 마련하여 불량의 발생 없이 양질의 2중 레이블을 제작할 수 있어 장치의 상품성 및 시장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2중 레이블 제작 시 작용되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레이블 두께에 상관 없이 일정한 압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2중 레이블 제조장치는, 롤 상태로 권취된 하층 레이블을 연속적으로 권출하기 위한 제1권출부와; 인쇄지 및 이형지를 포함하되 롤 상태로 권취된 상층 레이블을 연속적으로 권출하기 위한 제2권출부와; 상기 제2권출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층 레이블로부터 이형지를 박리시켜 인쇄지만을 상기 제1권출부로부터 공급되는 하층 레이블 상에 가압 부착시켜, 하층 레이블 및 상층 레이블을 포함하는 2중 레이블을 형성하는 적층부와; 상기 적층부에서 형성된 2중 레이블을 롤 상태로 권취시키는 제1권취부와; 상기 적층부에서 박리된 이형지를 롤 상태로 권취시키는 제2권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층부에서 상기 인쇄지를 상기 하층 레이블에 가압 부착시키는 압력을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적층부는, 상하 대칭적으로 위치하여 회전하면서 그 사이로 공급되는 상기 상층 레이블의 인쇄지를 상기 하층 레이블 상에 가압 부착시키는 승강 가압롤러 및 고정 가압롤러와, 상기 승강 가압롤러의 높이를 조절 가능한 승강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여기에서, 상기 승강 조절부재는 상기 상층 레이블의 인쇄지와 상기 하층 레이블 사이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소변위 조절수단과, 상기 고정 가압롤러에 대한 상기 승강 가압롤러의 접촉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대변위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추가로, 상기 승강 가압롤러는 상기 승강 조절부재의 소변위 조절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소변위 조절수단은 상기 대변위 조절수단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좋다.
게다가, 상기 제1권출부와 상기 적층부 사이에는 상기 하층 레이블에 인쇄를 실시하기 위한 제1인쇄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적층부와 상기 제1권취부 사이에는 상기 상층 레이블의 인쇄지에 인쇄를 실시하기 위한 제2인쇄부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인쇄부 및 상기 제2인쇄부는 인쇄된 표면 상에 코팅층을 추가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권출부와 상기 적층부 사이에는 상기 하층 레이블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부가 마련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적층부와 상기 제1권취부 사이에는 상기 2중 레이블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부가 마련되는 것도 좋다.
여기에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위치 고정되어 회전하는 고정 이송롤러와, 위치 가변 가능하게 회전하는 움직 이송롤러와, 상기 움직 이송롤러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 인가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권출부와 상기 적층부 사이에는 상기 하층 레이블의 이송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부가 마련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적층부와 상기 제1권취부 사이에는 상기 2중 레이블의 이송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부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방향조절부는, 상기 하층 레이블 또는 상기 2중 레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하층 레이블 또는 상기 2중 레이블의 이송 방향을 검출하는 방향 검출부재와, 상기 방향 검출부재에서 검출되는 상기 하층 레이블 또는 상기 2중 레이블의 이송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를 동일 평면 상에서 회동시켜 상기 하층 레이블 또는 상기 2중 레이블의 이송 방향을 변경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로, 상기 제1권출부와 상기 적층부 사이 또는 상기 제2권출부와 상기 적층부 사이에는 상기 하층 레이블 또는 상기 상층 레이블의 인쇄지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부가 마련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적층부와 상기 제1권취부 사이에는 접지부가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권출부와 상기 적층부 사이에는 상기 하층 레이블을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 이송부와; 상기 적층부와 상기 제1권취부 사이에는 상기 2중 레이블을 이송시키기 위한 배출 이송부가 마련되며; 상기 공급 이송부 및 상기 배출 이송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및 이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적층부에는 상기 하층 레이블 또는 상기 2중 레이블의 이송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이송속도 검출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공급 이송부 및 상기 배출 이송부는 상기 이송속도 검출부재에서 검출된 이송속도에 따라 역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이송롤러는 회전방향을 따라 중심으로부터 대칭적으로 점차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유도홈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2중 레이블의 제작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선택적으로 기존의 단일 레이블도 제작할 수 있어 장치의 호환성을 높이는 한편, 레이블의 이송 장력을 적절하게 유지하거나 편심을 방지하는 등 다양한 부가장치를 마련하여 불량의 발생 없이 양질의 2중 레이블을 제작할 수 있어 장치의 상품성 및 시장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또한, 2중 레이블 제작 시 작용되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레이블 두께에 상관 없이 일정한 압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다양한 사양의 2중 레이블 제조를 가능하게 하고, 장치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A~D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적층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적층부의 작동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장력조절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방향조절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방향조절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방향조절부의 작동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공급 이송부를 도시하는 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있어서 A~D부분에 대한 확대도로서, 도 3의 (a)는 도 2의 A부분, 도 3의 (b)는 도 2의 B부분, 도 3의 (c)는 도 2의 C부분, 도 3의 (D)는 도 2의 D부분에 각각 대응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적층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적층부의 작동을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도 5의 (a)는 승강 가압롤러(310)가 고정 가압롤러(320)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5의 (b)는 승강 가압롤러(310)가 고정 가압롤러(320)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장력조절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방향조절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방향조절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정면도로서, 도 8의 (a)는 그 평면이고, 도 8의 (b)는 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방향조절부의 작동을 도시하는 평면도로서, 도 9의 (a)는 레이블의 진행방향이 편심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9의 (b)는 방향조절부(7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9의 (c)는 레이블의 진행방향이 반대로 편심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9의 (d)는 방향조절부(7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공급 이송부를 도시하는 도로서, 도 10의 (a)는 이송롤러(902)에 형성된 유도홈(903)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의 (b)는 이송롤러(902)에 형성된 유도홈(903)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는 2중 레이블(30)의 제작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선택적으로 기존의 단일 레이블도 제작할 수 있어 장치의 호환성을 높이는 한편, 레이블의 이송 장력을 적절하게 유지하거나 편심을 방지하는 등 다양한 부가장치를 마련하여 불량의 발생 없이 양질의 2중 레이블(30)을 제작할 수 있어 장치의 상품성 및 시장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중 레이블 제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 상태로 권취된 하층 레이블(10)을 연속적으로 권출하기 위한 제1권출부(100)와; 인쇄지(21) 및 이형지(22)를 포함하되 롤 상태로 권취된 상층 레이블(20)을 연속적으로 권출하기 위한 제2권출부(200)와; 상기 제2권출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상층 레이블(20)로부터 이형지(22)를 박리시켜 인쇄지(21)만을 상기 제1권출부(100)로부터 공급되는 하층 레이블(10) 상에 가압 부착시켜, 하층 레이블(10) 및 상층 레이블(20)을 포함하는 2중 레이블(30)을 형성하는 적층부(300)와; 상기 적층부(300)에서 형성된 2중 레이블(30)을 롤 상태로 권취시키는 제1권취부(400)와; 상기 적층부(300)에서 박리된 이형지(22)를 롤 상태로 권취시키는 제2권취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적층부에서 상기 인쇄지를 상기 하층 레이블에 가압 부착시키는 압력을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는 크게, 제1권출부(100), 제2권출부(200), 적층부(300), 제1권취부(400), 그리고 제2권취부(500)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적층부(300)에서 하층 레이블(10) 상에 상층 레이블(20)의 인쇄지(21)만을 적층시킴으로써 2중 레이블(30)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2중 레이블(30)이라 함은, 두 겹의 레이블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층 레이블(10)에도 상품의 정보가 인쇄되어 있는 동시에, 이 하층 레이블(10)의 위에 부착되는 상층 레이블(20)에도 상품의 정보가 추가적으로 인쇄되어 있는 것으로, 하층 레이블(10)이 실질적으로 상품용기나 포장물 등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상층 레이블(20)에 인쇄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취득한 후, 상층 레이블(20)을 하층 레이블(10)로부터 떼어내어 제거함으로써, 하층 레이블(10)에 인쇄되어 있는 정보도 취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권출부(100)는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하층 레이블(10)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롤 상태로 권취된 상태의 하층 레이블(10)을 연속적으로 권출시키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이와 같이 제1권출부(100)에 마련되는 롤은 이전의 임의의 공정에서 하층 레이블(10)을 권취시킨 것으로, 운반이나 2중 레이블(30)의 제조 편의성을 고려하여 수 십 회에서 수 백 회 등 미리 정해진 권회수로 하층 레이블(10)이 권취된 상태로 공급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롤에 하층 레이블(10)의 권회수가 많을 경우,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한 번 장착하면 많은 양의 2중 레이블(30)을 비교적 장시간 제조할 수 있으며, 롤에 하층 레이블(10)의 권회수가 적을 경우, 운반 및 장착이 용이하여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쉽게 교환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하층 레이블(10)은 기본적으로 도 3의 (a)와 같이, 인쇄지(11)와 이형지(12)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이후에 설명할 2중 레이블(30)로 제작한 후 실제 사용 시 이형지(12)를 제거함에 따라 인쇄지(11)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층을 통해 상품용기나 포장물 등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하층 레이블(10)은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서 2중 레이블(30)로 제조되기 이전에 임의의 공정을 통해 인쇄지 상에 각종 정보가 미리 인쇄되어 있는 상태로 공급되어도 좋고, 혹은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 내에서 인쇄가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하층 레이블(10)의 저면에도 각종 정보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투명한 소재의 상품용기나 포장물 내에 투명한 액상의 내용물이 들어 있을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접착층과 함께 투명한 상품용기 및 내용물들을 투과하여 상기 하층 레이블(10)의 인쇄지(11) 저면에 인쇄되어 있는 각종 정보가 노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 내에서 보다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1권출부(100)는 도 2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층 레이블(10)을 권출시키게 되며, 상기 하층 레이블(10)은 제1권출부(100)로부터 인쇄지(11)가 위쪽에 그리고 이형지(12)가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로 권출된다.
다음으로, 제2권출부(200)는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층 레이블(20)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롤 상태로 권취된 상태의 상층 레이블(20)을 연속적으로 권출시키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이러한 제2권출부(200)에 마련되는 롤 또한 이전의 임의의 공정에서 상층 레이블(20)을 권취시킨 것으로, 운반이나 2중 레이블(30)의 제조 편의성을 고려하여 수 십 회에서 수 백 회 등 미리 정해진 권회수로 상층 레이블(20)이 권취된 상태로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상층 레이블(20) 또한 도 3의 (b)와 같이 인쇄지(21)와 이형지(22)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이후에 설명할 적층부(300)에서 이형지(22)를 제거함에 따라 인쇄지(21)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층을 통해 상술한 하층 레이블(10)의 인쇄지(11) 상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에도, 상기 상층 레이블(20)은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서 2중 레이블(30)로 제조되기 이전에 임의의 공정을 통해 인쇄지(21) 상에 각종 정보가 미리 인쇄되어 있는 상태로 공급되어도 좋고, 혹은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 내에서 인쇄가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제2권출부(200)는 도 2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층 레이블(20)을 권출시키게 되며, 상기 상층 레이블(20)은 상술한 하층 레이블(10)과는 반대로 제2권출부(200)로부터 인쇄지(21)가 아래쪽에 그리고 이형지(22)가 위쪽에 위치한 상태로 권출된다.
상술한 제1권출부(100) 및 제2권출부(200)에는 단순히 롤이 회전 가능하도록 만 지지되어 있어, 하층 레이블(10) 또는 상층 레이블(20)이 당겨지는 힘에 의하여 스스로 풀려 나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하지만, 롤을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서보구동모터를 부가함으로써 하층 레이블(10) 또는 상층 레이블(20)이 권취되어 있는 양에 따라 적절한 회전속도로 강제 권출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1권출부(100)와 제2권출부(200)의 위치에 제한은 없지만 제1권출부(100)에서 권출된 하층 레이블(10) 상에 제2권출부(200)에서 권출된 상층 레이블(20)이 적층부(300)에서 연속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있어서 도면상 좌측 하부에 상기 제1권출부(100)가 마련되고, 도면상 우측 상부에 상기 제2권출부(20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적층부(3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제2권출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상층 레이블(20)로부터 이형지(22)를 박리시켜 인쇄지(21)만을 상기 제1권출부(100)로부터 공급되는 하층 레이블(10) 상에 가압 부착시켜, 하층 레이블(10) 및 상층 레이블(20)을 포함하는 2중 레이블(30)을 실질적으로 형성하는 구성인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적층부(300)에서 형성되는 2중 레이블(30)은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층 레이블(20)의 인쇄지(21)와 하층 레이블(10)의 인쇄지(11) 및 이형지(12)를 포함하는 3개 층의 구성이 될 것이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층 레이블(20)과 하층 레이블(10)로 이루어진 2중 레이블(30)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상층 레이블(20)의 인쇄지(21)로부터 이형지(22)를 보다 원활하게 박리시키기 위하여 도 4 및 도 5에 예시한 나이프 형태의 박리 나이프(301)를 부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적층부(300)에서 형성된 2중 레이블(30)은 제1권취부(400)에서 롤 상태로 권취되며, 롤 상태로 권취된 2중 레이블(30)은 이후의 공정으로 보내지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적층부(300)에서 박리된 상층 레이블(20)의 이형지(22)는 도 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권취부(500)에서 롤 상태로 권취되며, 롤 상태로 권취된 이형지(22)는 수거되어 폐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에도, 상술한 제1권취부(400)와 제2권취부(500)의 위치에 제한은 없지만 상기 적층부(300)에서 형성된 2중 레이블(30)은 제1권취부(400)를 향하고, 상층 레이블(20)의 이형지(22)는 제2권취부(500)를 향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2에 있어서 도면상 우측 하부에 상기 제1권취부(400)가 마련되고, 도면상 좌측 상부에 상기 제2권취부(50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역상으로 공급되는 상층 레이블(20)이 하층 레이블(10) 상에 적층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미도시하였지만 상기 제1권취부(400)에는 롤을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서보구동모터를 부가함으로써 2중 레이블(30)이 권취되어 있는 양에 따라 적절한 속도로 강제 권취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미도시하였지만 상기 제2권취부(500)에도 롤을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서보구동모터를 부가함으로써 상층 레이블(20)로부터 박리된 이형지(22)가 권취되어 있는 양에 따라 적절한 속도로 강제 권취시키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권출부(100)의 하층 레이블(10)은 제2권출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상층 레이블(20)의 인쇄지(21)와 함께 적층부(300)를 통과하면서 2중 레이블(30)로 형성되어 제1권취부(400)에 권취되는 동시에, 적층부(300)에서 상층 레이블(20)로부터 박리된 이형지(22)는 제2권취부(500)에 권취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인쇄지(21)만의 상층 레이블(20)과, 인쇄지(11) 및 이형지(12)로 이루어진 하층 레이블(10)로 이루어진 2중 레이블(30)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의 기본 구성으로부터 보다 양질의 2중 레이블(30)을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부가적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대칭적으로 위치하여 회전하면서 그 사이로 공급되는 상기 상층 레이블(20)의 인쇄지(21)를 상기 하층 레이블(10) 상에 가압 부착시키는 승강 가압롤러(310) 및 고정 가압롤러(320)와, 상기 승강 가압롤러(310)의 높이를 조절 가능한 승강 조절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상기 적층부(300)는 승강 가압롤러(310), 고정 가압롤러(320), 그리고 승강 조절부재(330)를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적층부(300)는 이형지(22)를 박리시킨 상층 레이블(20)의 인쇄지(21)를 하층 레이블(10) 상에 가압하여 적층 부착시키기 위하여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고 있다.
이 한 쌍의 롤러 중 하나가 승강 가압롤러(310)이고 나머지 하나가 고정 가압롤러(320)인 것이며, 상기 고정 가압롤러(320)는 위치 고정되어 회전하는 반면, 상기 승강 가압롤러(310)는 상기 승강 조절부재(330)에 의하여 회전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 가압롤러(320)에는 도 4와 같이 서보구동모터(302)가 마련되어 이 서보구동모터(30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상기 고정 가압롤러(320)가 하측에 위치하고 그 상측에 상기 승강 가압롤러(310)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 가압롤러(320)는 그 상측으로 상기 하층 레이블(10)을 이송시키며, 상기 승강 가압롤러(310)는 그 하측으로 상기 상층 레이블(20)의 인쇄지(21)를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승강 조절부재(330)에 의하여, 상기 고정 가압롤러(320)와 상기 승강 가압롤러(310)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는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승강 가압롤러(310)가 상기 고정 가압롤러(320)에 접촉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뿐 아니라, 상기 승강 조절부재(330)에 의하여 도 5의 (b)와 같이 상기 고정 가압롤러(320)로부터 상기 승강 가압롤러(310)가 이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승강 조절부재(330)에 의하여 2중 레이블(30)을 형성하기 위하여 가해지는 적층 압력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2중 레이블(30)의 형성 여부 또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 조절부재(330)는 상기 상층 레이블(20)의 인쇄지(21)와 상기 하층 레이블(10) 사이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소변위 조절수단(331)과, 상기 고정 가압롤러(320)에 대한 상기 승강 가압롤러(310)의 접촉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대변위 조절수단(332)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하나의 높이 조절수단을 두어 상술한 바와 같은 적층 압력과 접촉 여부를 함께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변위 조절수단(331)과 대변위 조절수단(332)을 각각 마련함으로써, 적층 압력과 접촉 여부 조절이라는 두 가지 기능을 각각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소변위 조절수단(331)은 예를 들어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포함하여 소정의 탄성력이 상기 승강 가압롤러(310)에 작용하도록 하여 2중 레이블(30)을 형성하기 위한 적층 압력을 균일하게 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뿐 아니라, 상기 소변위 조절수단(331)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변환부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여기에서 변환부재는 예를 들어 랙과 피니언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나사산을 이용하여 회전에 따라 길이가 신축되는 주지의 기계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 가압롤러(310)가 상기 고정 가압롤러(320)에 접촉하는 압력을 임의로 조절하여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하층 레이블(10)과 상층 레이블(20)의 인쇄지(21)를 소망하는 압력으로 적층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대변위 조절수단(332)은 공압 또는 유압을 매개로 하거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신장 및 수축 가능한 스트로크부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전기적 신호에 따라 조절되는 이러한 스트로크부재의 예로는 솔레노이드나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소변위 조절수단(331)은 2중 레이블(30)을 형성하기 위한 적층 압력을 조절하고, 상기 대변위 조절수단(332)은 고정 가압롤러(320)와 승강 가압롤러(310)의 접촉 여부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압롤러(310)는 상기 승강 조절부재(330)의 소변위 조절수단(3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소변위 조절수단(331)은 상기 대변위 조절수단(332)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상술한 대변위 조절수단(332)에 의하여 승강 가압롤러(310)가 승강 제어되어 고정 가압롤러(320)와의 접촉 여부를 조절하는 한편, 고정 가압롤러(320)에 상기 승강 가압롤러(310)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소변위 조절수단(331)에 의하여 2중 레이블(30)을 형성하기 위한 적층 압력을 미세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2중 레이블(30)을 형성하기 위한 적층 압력의 조절과 함께 2중 레이블(30)을 형성할지 여부도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2중 레이블(30)을 형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5의 (b)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레이블 제조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2중 레이블(30)과 단일층의 일반적인 레이블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호환성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상술하였지만 상기 하층 레이블(10) 및/또는 상기 상층 레이블(20)은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공급되기 이전의 공정에서 인쇄가 미리 실시되어 있을 수도 있고,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 내에서 인쇄가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권출부(100)와 상기 적층부(300) 사이에는 상기 하층 레이블(10)에 인쇄를 실시하기 위한 제1인쇄부(830)가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적층부(300)와 상기 제1권취부(400) 사이에는 상기 상층 레이블(20)의 인쇄지(21)에 인쇄를 실시하기 위한 제2인쇄부(840)가 마련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제1인쇄부(830)나 제2인쇄부(840)는 흑색(Black)을 인쇄하기 위한 1도 인쇄로부터 적색(Cyan), 청색(Magenta), 황색(Yellow)을 각각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 인쇄하기 위한 4도 인쇄 중 하나일 것이다.
이와 같이, 제1인쇄부(830)를 통해 2중 레이블(30)의 하층 레이블(10)에 인쇄를 실시하고, 제2인쇄부(840)를 통해 2중 레이블(30)의 상층 레이블(20)에 인쇄를 각각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제1인쇄부(830)는 상기 제1권출부(100)와 상기 적층부(300) 사이에 반드시 위치하여야 하지만, 상기 제2인쇄부(840)의 경우 도면에는 상기 적층부(300)와 상기 제1권취부(400) 사이에 위치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미도시하였지만 상기 제2권출부(200)와 상기 적층부(300) 사이에 위치하여 적층 이전의 상층 레이블(20)에 인쇄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인쇄부(830) 및 상기 제2인쇄부(840)는 인쇄된 표면 상에 코팅층을 추가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제1인쇄부(830) 및 제2인쇄부(840)에서 인쇄된 표면상에 주지의 방수 혹은 긁힘 방지 코팅층을 추가 형성함으로써, 수분이나 외력에 의해 상층 레이블(20) 혹은 하층 레이블(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300)로 공급되는 하층 레이블(10)과 상기 적층부(300)로부터 배출되는 2중 레이블(30)에 적절한 장력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2중 레이블(30)의 적층 시 또는 적층 이후 하층 레이블(10)로부터 상층 레이블(20)의 인쇄지(21)가 박리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권출부(100)와 상기 적층부(300) 사이에는 상기 하층 레이블(1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부(600)가 마련되는 것이 양호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적층부(300)와 상기 제1권취부(400) 사이에는 상기 2중 레이블(3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부(600)가 마련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장력조절부(600)는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적층부(300)를 중앙에 두고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적층부(300)에 적절한 장력으로 하층 레이블(10)을 공급하는 한편, 상기 적층부(300)로부터 적절한 장력에 의해 2중 레이블(30)을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적층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 장력조절부(600)는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6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고정되어 회전하는 고정 이송롤러(610)와, 위치 가변 가능하게 회전하는 움직 이송롤러(620)와, 상기 움직 이송롤러(620)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 인가수단(630)을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우선, 상기 고정 이송롤러(610)는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기본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또는 도 6의 하우징(601)에 위치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에 반해, 상기 움직 이송롤러(620)는 탄성 인가수단(630)을 매개로 하여 상기 고정 이송롤러(610)로부터 탄력적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도면에는 3개의 고정 이송롤러(610)가 마련되고, 그 사이사이에 각각 움직 이송롤러(620)가 마련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망하는 장력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고정 이송롤러(610)나 움직 이송롤러(620)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601)에는 움직 이송롤러(620)가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602)을 상하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예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탄성 인가수단(630)의 지지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조절부재를 부가하여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에 작용하는 장력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장력조절부(600)를 적층부(300)의 직전 및 직후에 각각 마련함으로써 2중 레이블(30)의 적층이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부(300)로 공급되는 하층 레이블(10)과 상기 적층부(300)로부터 배출되는 2중 레이블(30)이 일직선을 유지하여 이송되지 않을 경우, 2중 레이블(30)의 적층 시 하층 레이블(10) 상에 상층 레이블(20)의 인쇄지(21)가 정확하게 적층되지 않을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2중 레이블(30)이 제1권취부(400)에 올바르게 권취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제1권출부(100)와 상기 적층부(300) 사이에는 상기 하층 레이블(10)의 이송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부(70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적층부(300)와 상기 제1권취부(400) 사이에는 상기 2중 레이블(30)의 이송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부(70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방향조절부(700)는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이 적절한 방향을 유지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성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70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층 레이블(10) 또는 상기 2중 레이블(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710)와, 상기 지지부재(710)에 마련되어 상기 하층 레이블(10) 또는 상기 2중 레이블(30)의 이송 방향을 검출하는 방향 검출부재(720)와, 상기 방향 검출부재(720)에서 검출되는 상기 하층 레이블(10) 또는 상기 2중 레이블(30)의 이송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710)를 동일 평면 상에서 회동시켜 상기 하층 레이블(10) 또는 상기 2중 레이블(30)의 이송 방향을 변경시키는 회동부재(730)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700)는 크게 지지부재(710), 방향 검출부재(720), 그리고 회동부재(7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우선 지지부재(710)는 수평하게 위치하여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을 지지하는 것으로, 2개의 롤러(711)(712)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면상 좌측이 입구측 롤러(711)이며, 도면상 우측이 출구측 롤러(712)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부재(710)에는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각 방향 검출부재(720)가 마련되며, 이 방향 검출부재(720)는 비접촉식으로 그 위로 이송되는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의 이송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방향 검출부재(720)는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의 폭보다 약간 바깥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고 있어, 상기 방향 검출부재(720)의 위로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이 편심 이송되고 있음을 빛 또는 기타 물리적 변화를 통해 검출하면 이는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의 이송 방향이 올바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하지만, 도 8의 (a)와 같이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의 이송 방향이 일직선을 이루어 올바르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방향 검출부재(720)는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을 검출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방향 검출부재(720)가 가급적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의 저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도 8의 (b)와 같이 별도의 지지패널(721)을 상기 지지부재(710) 내부에 소정 높이로 설치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방향 검출부재(720)를 점(point) 형태로 적용할 경우,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의 양측에 각각 2개 이상이 마련되는 것이 좋으며, 미도시하였지만 상기 방향 검출부재(720)를 선(line) 형태로 적용할 경우,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의 양측에 각각 1개씩 마련되어도 이송 방향 검출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회동부재(730)는 상기 지지부재(71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회동부재(730)를 수평하게 유지하는 상태에서 정역 회동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지지부재(710)에 연결된 그 회전축은 수직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만약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이 도 9의 (a)나 (c)와 같이 편심되게 이송될 경우, 상기 회동부재(730)가 도 9의 (b)나 (d)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710)를 편심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의 이송 방향을 올바르게 자동 보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 결과, 상기 방향조절부(700)는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의 이송 방향을 항상 올바르게 능동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권출부(100)와 상기 적층부(300) 사이 또는 상기 제2권출부(200)와 상기 적층부(300) 사이에는 상기 하층 레이블(10) 또는 상기 상층 레이블(20)의 인쇄지(21)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부(81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대전부(810)는 하층 레이블(10) 또는 상층 레이블(20)에 정전기가 발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이때 발생하는 정전기력에 의하여 하층 레이블(10)과 상층 레이블(20)의 인쇄지(21) 간에 정전기력에 의해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2중 레이블(30)의 형성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에는 롤러 형태의 대전부(810)를 승강 가압롤러(310)와 외접하도록 적용한 것으로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대전부(810)에 의하여 발생된 정전기는 2중 레이블(30)의 적층에는 바람직한 영향을 주지만, 장치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에는 스파크 등의 발생을 유발하여 장치 전반에 걸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300)와 상기 제1권취부(400) 사이에는 접지부(82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별도의 접지부(820)를 마련함에 따라 상기 대전부(810)에서 발생하거나 기타의 이유로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를 설치면에 접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운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에는 적층부(300)와 장력조절부(600) 사이에 접지부(820)를 마련한 것을 예시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제1권출부(100)와 상기 적층부(300) 사이에는 상기 하층 레이블(10)을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 이송부(910)와; 상기 적층부(300)와 상기 제1권취부(400) 사이에는 상기 2중 레이블(30)을 이송시키기 위한 배출 이송부(920)가 마련되며; 상기 공급 이송부(910) 및 상기 배출 이송부(920)는 도 10과 같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901) 및 이 구동원(901)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이송롤러(902)를 포함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즉, 구동원(901) 및 이송롤러(902)를 포함하는 공급 이송부(910)와 배출 이송부(920)를 각각 마련함으로써, 제1권출부(100)로부터의 하층 레이블(10)을 적층부(300)에 공급하거나, 상기 적층부(300)로부터 2중 레이블(30)을 제1권취부(400)로 배출시키는 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0에는 공급 이송부(910)만을 도시하였으나, 배출 이송부(920) 또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구동원(901)이란 모터와 같이 전원 공급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어도 좋고, 기어, 체인, 풀리 등과 같이 주지의 동력전달 기계요소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901)은 정역 회전이 가능한 서보구동모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원(901)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이송롤러(902)는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하게 지지되어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을 이송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롤러(902)는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져 그 사이로 마찰력을 이용하여 레이블을 이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하 한 쌍의 이송롤러(902) 중 어느 하나에만 구동원(901)이 연결되어 있어도 다른 하나의 이송롤러(902)는 마찰력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적층부(300)에는 상기 하층 레이블(10) 또는 상기 2중 레이블(30)의 이송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이송속도 검출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공급 이송부(910) 및 상기 배출 이송부(920)는 상기 이송속도 검출부재에서 검출된 이송속도에 따라 역회전 가능한 것이 좋을 것이다.
미도시하였지만 이러한 이송속도 검출부재는 상기 고정 가압롤러(320)와 상기 승강 가압롤러(310) 직전 및/또는 직후에 마련될 수 있으며, 혹은 고정 가압롤러(320)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위치할 수 있을 것이고, 주지의 엔코더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공급 이송부(910)의 이송롤러(902)에 의하여 하층 레이블(10)이 적층부(300)로 공급되는 이송 속도보다 예기치 않게 상기 적층부(300)에서의 이송속도가 느릴 경우에는 이송속도 검출부재가 이를 검출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이송속도 검출부재가 상기 공급 이송부(910)의 이송롤러(902)를 일시적으로 역회전 구동시킴으로써 공급 이송부(910)와 적층부(300) 사이에서 하층 레이블(10)이 일시적으로 정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적층부(300)와 제1권취부(400) 사이에서도 동일하게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술한 배출 이송부(920)의 이송롤러(902)에 의하여 2중 레이블(30)이 제2권취부(500)로 배출되는 이송 속도보다 예기치 않게 상기 적층부(300)에서의 이송속도가 빠를 경우에는 상기 이송속도 검출부재가 이를 검출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이송속도 검출부재가 상기 배출 이송부(920)의 이송롤러(902)를 일시적으로 역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적층부(300)와 제1권취부(400) 사이에서 2중 레이블(30)이 일시적으로 정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이송되던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이 적층부(300)의 이전 또는 이후에서 부분적으로 정체되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902)는 회전방향을 따라 중심으로부터 대칭적으로 점차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유도홈(903)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유도홈(903)은 예를 들어, 도 10의 (a)와 같이 상기 이송롤러(902)의 폭방향 양측에만 한정되어 국부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르면, 이송롤러(902)에 의해 이송되는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의 양측 모서리 부근과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이송되는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을 양측으로 퍼지도록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유도홈(903)은 예를 들어, 도 10의 (b)와 같이 상기 이송롤러(902)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르면, 이송롤러(902)에 의해 이송되는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의 전체 폭에 걸쳐 마찰력이 증대되며, 상기 유도홈(903)의 방향성에 의해 이송되는 하층 레이블(10) 또는 2중 레이블(30)의 전체 폭에 대하여 양측으로 퍼지도록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에 있어서 하층 레이블(10)은 제1권출부(100)로부터, 방향조절부(700), 제1인쇄부(830), 공급 이송부(910), 그리고 장력조절부(600)를 거쳐 적층부(300)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층 레이블(20)은 제2권출부(200)로부터, 다수의 안내롤러를 거쳐 적층부(300)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적층부(300)에서 형성된 2중 레이블(30)은 접지부(820), 장력조절부(600), 배출 이송부(920), 제2인쇄부(840), 그리고 방향조절부(700)를 거쳐 제1권취부(400)에 롤 형태로 권취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적층부(300)에서 박리된 상층 레이블(20)의 이형지(22)는 안내롤러를 거쳐 제2권취부(500)에 롤 형태로 권취되어 폐기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2중 레이블 제조장치는 2중 레이블(30)이나 혹은 기존의 단일층 레이블을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송되는 하층 레이블(10)이나 2중 레이블(30)의 장력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한편, 이송방향을 항상 올바르게 유지할 수 있어 양질의 2중 레이블(30)을 제조할 수 있다.
게다가, 다양한 부가장치를 마련하여 불량의 발생 없이 양질의 2중 레이블을 제작할 수 있어 장치의 상품성 및 시장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 하층 레이블 11 : 인쇄지
12 : 이형지 20 : 상층 레이블
21 : 인쇄지 22 : 이형지
30 : 2중 레이블 100 : 제1권출부
200 : 제2권출부 300 : 적층부
301 : 박리 나이프 310 : 승강 가압롤러
320 : 고정 가압롤러 330 : 승강 조절부재
331 : 소변위 조절수단 332 : 대변위 조절수단
400 : 제1권취부 500 : 제2권취부
600 : 장력조절부 610 : 고정 이송롤러
620 : 움직 이송롤러 630 : 탄성 인가수단
700 : 방향조절부 710 : 지지부재
720 : 방향 검출부재 730 : 회동부재
810 : 대전부 820 : 접지부
830 : 제1인쇄부 840 : 제2인쇄부
901 : 구동원 902 : 이송롤러
903 : 유도홈 910 : 공급 이송부
920 : 배출 이송부

Claims (18)

  1. 롤 상태로 권취된 하층 레이블을 연속적으로 권출하기 위한 제1권출부와;
    인쇄지 및 이형지를 포함하되 롤 상태로 권취된 상층 레이블을 연속적으로 권출하기 위한 제2권출부와;
    상기 제2권출부로부터 공급되는 상층 레이블로부터 이형지를 박리시켜 인쇄지만을 상기 제1권출부로부터 공급되는 하층 레이블 상에 가압 부착시켜, 하층 레이블 및 상층 레이블을 포함하는 2중 레이블을 형성하는 적층부와;
    상기 적층부에서 형성된 2중 레이블을 롤 상태로 권취시키는 제1권취부와;
    상기 적층부에서 박리된 이형지를 롤 상태로 권취시키는 제2권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층부에서 상기 인쇄지를 상기 하층 레이블에 가압 부착시키는 압력을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는,
    상하 대칭적으로 위치하여 회전하면서 그 사이로 공급되는 상기 상층 레이블의 인쇄지를 상기 하층 레이블 상에 가압 부착시키는 승강 가압롤러 및 고정 가압롤러와, 상기 승강 가압롤러의 높이를 조절 가능한 승강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조절부재는 상기 상층 레이블의 인쇄지와 상기 하층 레이블 사이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소변위 조절수단과, 상기 고정 가압롤러에 대한 상기 승강 가압롤러의 접촉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대변위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압롤러는 상기 승강 조절부재의 소변위 조절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소변위 조절수단은 상기 대변위 조절수단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권출부와 상기 적층부 사이에는 상기 하층 레이블에 인쇄를 실시하기 위한 제1인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와 상기 제1권취부 사이에는 상기 상층 레이블의 인쇄지에 인쇄를 실시하기 위한 제2인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쇄부 및 상기 제2인쇄부는 인쇄된 표면 상에 코팅층을 추가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권출부와 상기 적층부 사이에는 상기 하층 레이블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와 상기 제1권취부 사이에는 상기 2중 레이블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위치 고정되어 회전하는 고정 이송롤러와, 위치 가변 가능하게 회전하는 움직 이송롤러와, 상기 움직 이송롤러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 인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권출부와 상기 적층부 사이에는 상기 하층 레이블의 이송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와 상기 제1권취부 사이에는 상기 2중 레이블의 이송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절부는, 상기 하층 레이블 또는 상기 2중 레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하층 레이블 또는 상기 2중 레이블의 이송 방향을 검출하는 방향 검출부재와, 상기 방향 검출부재에서 검출되는 상기 하층 레이블 또는 상기 2중 레이블의 이송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를 동일 평면 상에서 회동시켜 상기 하층 레이블 또는 상기 2중 레이블의 이송 방향을 변경시키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권출부와 상기 적층부 사이 또는 상기 제2권출부와 상기 적층부 사이에는 상기 하층 레이블 또는 상기 상층 레이블의 인쇄지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와 상기 제1권취부 사이에는 접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권출부와 상기 적층부 사이에는 상기 하층 레이블을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 이송부와;
    상기 적층부와 상기 제1권취부 사이에는 상기 2중 레이블을 이송시키기 위한 배출 이송부가 마련되며;
    상기 공급 이송부 및 상기 배출 이송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및 이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에는 상기 하층 레이블 또는 상기 2중 레이블의 이송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이송속도 검출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공급 이송부 및 상기 배출 이송부는 상기 이송속도 검출부재에서 검출된 이송속도에 따라 역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는 회전방향을 따라 중심으로부터 대칭적으로 점차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유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레이블 제조장치.
KR1020180027361A 2018-03-08 2018-03-08 2중 레이블 제조장치 KR102118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361A KR102118880B1 (ko) 2018-03-08 2018-03-08 2중 레이블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361A KR102118880B1 (ko) 2018-03-08 2018-03-08 2중 레이블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205A true KR20190106205A (ko) 2019-09-18
KR102118880B1 KR102118880B1 (ko) 2020-06-05

Family

ID=6807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361A KR102118880B1 (ko) 2018-03-08 2018-03-08 2중 레이블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88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709B1 (ko) * 2019-11-01 2020-06-01 주식회사 디에스씨알 점착라벨 재료 권출 장치의 라인 셋팅 방법
CN111634723A (zh) * 2020-05-08 2020-09-08 深圳市燕川光电有限公司 一种防爆膜片中间产品的生产线
KR102223142B1 (ko) * 2020-05-29 2021-03-03 최돈철 멀티 로터리 다이커팅 머신
CN114311940A (zh) * 2022-01-11 2022-04-12 安徽豹子头服饰有限公司 一种抑菌抗污面料加工用热压复合机构
CN114455373A (zh) * 2022-03-11 2022-05-10 重庆归正包装技术有限公司 一种塑料包装纸印刷用传送结构
KR102464281B1 (ko) * 2022-05-11 2022-11-04 박력 광고효과를 갖는 광고지가 부착된 핫팩포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046B1 (ko) * 2020-12-15 2022-10-14 대경에이티 주식회사 장력유지 롤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3585A (ja) * 1997-03-19 2000-03-28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静電荷を利用したウエブ又はフィルム材料の組立て方法
JP2006058848A (ja) * 2004-04-28 2006-03-02 L'oreal Sa 2種類のラベルを担持したサポート
KR20120132484A (ko) 2010-02-22 2012-12-05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라벨 제조 장치 및 라벨 인쇄기
KR101253307B1 (ko) * 2011-03-11 2013-04-16 아이디피 (주) 순간 직접가열 방식의 카드 라미네이션 장치
KR20150140986A (ko) * 2014-06-09 2015-12-17 박경연 방수시트 또는 방근시트 제조장치의 장력조절유니트
KR20170087560A (ko) * 2016-01-20 2017-07-31 주식회사 아바코 필름 부착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3585A (ja) * 1997-03-19 2000-03-28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静電荷を利用したウエブ又はフィルム材料の組立て方法
JP2006058848A (ja) * 2004-04-28 2006-03-02 L'oreal Sa 2種類のラベルを担持したサポート
KR20120132484A (ko) 2010-02-22 2012-12-05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라벨 제조 장치 및 라벨 인쇄기
KR101253307B1 (ko) * 2011-03-11 2013-04-16 아이디피 (주) 순간 직접가열 방식의 카드 라미네이션 장치
KR20150140986A (ko) * 2014-06-09 2015-12-17 박경연 방수시트 또는 방근시트 제조장치의 장력조절유니트
KR20170087560A (ko) * 2016-01-20 2017-07-31 주식회사 아바코 필름 부착 장치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709B1 (ko) * 2019-11-01 2020-06-01 주식회사 디에스씨알 점착라벨 재료 권출 장치의 라인 셋팅 방법
CN111634723A (zh) * 2020-05-08 2020-09-08 深圳市燕川光电有限公司 一种防爆膜片中间产品的生产线
KR102223142B1 (ko) * 2020-05-29 2021-03-03 최돈철 멀티 로터리 다이커팅 머신
CN114311940A (zh) * 2022-01-11 2022-04-12 安徽豹子头服饰有限公司 一种抑菌抗污面料加工用热压复合机构
CN114311940B (zh) * 2022-01-11 2023-12-26 安徽豹子头服饰股份有限公司 一种抑菌抗污面料加工用热压复合机构
CN114455373A (zh) * 2022-03-11 2022-05-10 重庆归正包装技术有限公司 一种塑料包装纸印刷用传送结构
CN114455373B (zh) * 2022-03-11 2024-04-05 重庆归正包装技术有限公司 一种塑料包装纸印刷用传送结构
KR102464281B1 (ko) * 2022-05-11 2022-11-04 박력 광고효과를 갖는 광고지가 부착된 핫팩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880B1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6205A (ko) 2중 레이블 제조장치
US6086694A (en) High speed web machine
KR102192738B1 (ko) 분리막 사행 보정 기능이 개선된 이차전지 전극필름 적층장치
KR20190024609A (ko) 적층라벨체의 제조장치
KR20130019298A (ko) 롤투롤 인쇄 시스템
JP2017013438A (ja) 被印刷物供給装置、印刷物排出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CN104260552A (zh) 立式覆膜机的自动纠偏机构
CN112373167A (zh) 一种不干胶标签纸制备方法
US9278508B2 (en) Film transfer apparatus
US76613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e cutting a web
US2843378A (en) Stacking apparatus
CN113500820A (zh) 一种包装容器制作覆膜工艺
CN106004079A (zh) 标签分离装置和标签打印系统
CN217145330U (zh) 一种多烫金图案冷烫机
CN113815308A (zh) 一种电子轴印刷机及其运行方法
JP2004083286A (ja) 支持用帯材の上にパターンをプリントするための回転プレス機
EP2100735A1 (en) Device for supplying foil to be used in a printing process to a printing press
JP2023084719A (ja) 貼付装置
US20070181737A1 (en) Tape extracting unit
CN211033138U (zh) 一种多层折页说明书标签的自动化生产装置
US6652698B1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manufacturing personalized coupons
JP4895195B2 (ja) ラミネート装置
KR101800879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인쇄지의 이송장치
KR100713657B1 (ko) 금박인쇄장치
KR102629436B1 (ko) 더블 라벨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