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436B1 - 더블 라벨링장치 - Google Patents

더블 라벨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436B1
KR102629436B1 KR1020230097304A KR20230097304A KR102629436B1 KR 102629436 B1 KR102629436 B1 KR 102629436B1 KR 1020230097304 A KR1020230097304 A KR 1020230097304A KR 20230097304 A KR20230097304 A KR 20230097304A KR 102629436 B1 KR102629436 B1 KR 102629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label
supply unit
label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7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일
Original Assignee
조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일 filed Critical 조광일
Priority to KR1020230097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4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 B65C3/0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 B65C3/08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 B65C3/14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 B65C3/1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by rolling the labels onto cylindrical containers, e.g. bottles
    • B65C3/163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by rolling the labels onto cylindrical containers, e.g. bottles where the label is of the wrap-aroun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65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 B65C9/1869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adhering on a backing strip and being transferred directly from the backing strip onto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6Devices for applying labels
    • B65C9/34Flexible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2009/0087Details of handling backing sheets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라벨지를 부착시키는 라벨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라벨지와 제2라벨지를 연속하여 용기에 부착시키는 더블 라벨링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컴팩트한 구조를 갖고, 직경을 달리하는 여러 종류의 용기에 라벨링이 가능한 더블 라벨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라벨링장치는 용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제1라벨지를 공급하는 제1공급유닛; 제2라벨지를 공급하는 제2공급유닛; 상기 이송유닛에서 이송 중인 용기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1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제1라벨지를 용기의 표면에 부착시키고, 상기 제2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제2라벨지를 용기의 또 다른 표면에 부착시키는 라벨링유닛; 상기 제1공급유닛에서 제1라벨지가 제1이형필름에서 이형되는 제1이형부와, 상기 제2공급유닛에서 제2라벨지가 제2이형필름에서 이형되는 제2이형부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더블 라벨링장치{Double label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용기에 라벨지를 부착시키는 라벨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라벨지와 제2라벨지를 연속하여 용기에 부착시키는 더블 라벨링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컴팩트한 구조를 갖고, 직경을 달리하는 여러 종류의 용기에 라벨링이 가능한 더블 라벨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 식품, 약품 등의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의 표면에는 소비자에게 내용물의 명칭, 성분, 사용방법 등을 알려주는 라벨지가 부착된다.
원통형 용기에 라벨지를 부착시키는 라벨링장치에 관한 등록특허 10-0859351 "라벨링기", 등록특허 10-1776678 "테이핑 및 라벨링 자동화 장치"를 보면, 용기가 회전하고, 회전하는 용기의 표면으로 라벨지가 공급되고, 공급되는 라벨지를 용기의 표면으로 가압밀착시켜서 라벨지가 용기의 표면(즉, 외주연)에 부착되도록 한다.
용기 중에는 라벨지 두 장이 용기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용기가 있다.
용기의 양측면에 두 장의 라벨지를 부착시키는 일반적인 방법은 제1라벨링장치에서 제1라벨지를 용기의 한 표면에 부착시키고, 제1라벨지가 부착된 용기를 제2라벨링장치에 투입하여 제2라벨링장치가 제1라벨지가 부착된 것을 센서로 감지하여 정확하게 반대편에 제2라벨지를 용기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라벨링장치를 두 대 사용하게 되어 설비투자 비용이 늘어나 부담되고, 넓은 작업공간을 필요로 하고, 라벨링 작업 속도가 느린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발명으로서,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하나의 라벨링장치에서 제1라벨지와 제2라벨지를 연속하여 용기에 부착하여 설비투자비용을 절감하고, 설치공간을 적게차지하고, 라벨링속도를 높일 수 있는 더블 라벨링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라벨링장치는
용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제1라벨지를 공급하는 제1공급유닛;
제2라벨지를 공급하는 제2공급유닛;
상기 이송유닛에서 이송 중인 용기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1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제1라벨지를 용기의 표면에 부착시키고, 상기 제2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제2라벨지를 용기의 또 다른 표면에 부착시키는 라벨링유닛;
상기 제1공급유닛에서 제1라벨지가 제1이형필름에서 이형되는 제1이형부와, 상기 제2공급유닛에서 제2라벨지가 제2이형필름에서 이형되는 제2이형부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라벨링유닛은
용기의 표면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밀착된 상태로 순환회전하여 용기를 회전시키는 상부순환벨트와 하부순환벨트,
상기 상부순환벨트와 하부순환벨트 반대편에서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수평이동 및 고정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 위에서 회전 및 고정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 위에 직설되고, 상부에 상기 제1이형부가 연결되는 마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적재된 용기들을 일정 간격을 두고 하나씩 상기 이송유닛으로 투입시키는 투입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라벨링장치는 제1라벨지와 제2라벨지의 라벨링이 하나의 라벨링 장치에서 연속으로 행해지도록 컴팩트한 구조를 갖고, 사이즈가 다른 여러 종류의 용기도 라벨링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높고, 설비투자비용 절감, 좁은 설치공간, 라벨링 속도 향상 등의 장점을 갖는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라벨링장치의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더블 라벨링장치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유닛과 투입조절유닛을 요부로 하는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유닛과 라벨링유닛을 요부로 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조절유닛을 요부로 하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의 구조와 작동매커니즘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라벨링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라벨링장치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라벨링장치는 프레임(10), 이송유닛(20), 제1공급유닛(30), 제2공급유닛(40), 투입조절유닛(50), 라벨링유닛(60), 간격조절유닛(70)의 구성요소로 대별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이송유닛(20), 라벨링유닛(60), 투입조절유닛(50) 등이 장착된다.
상기 이송유닛(20)은 용기(1)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유닛(20)은 순환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21)와, 상기 컨베이어벨트(2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풀리(미도시)와, 양측의 두 풀리 중 어느 한 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와,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상부에 배열되어 용기(1)가 쓰러지거나 컨베이어벨트(21)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바(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투입조절유닛(50)은 상기 이송유닛(20)에 의한 용기(1)의 이송경로 상으로 용기(1)의 투입구측에 위치하고, 내부로 유입되는 용기(1)들을 일렬로 임시 적재시키고, 적재된 용기(1)들을 하나씩 일정 간격을 두고 유출시켜 이송유닛(20)으로 투입시킨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투입조절유닛(50)은 상기 컨베이어벨트(21)의 양측으로 배열되고, 순환회전하는 한 쌍의 투입조절벨트(51)와, 상기 투입조절벨트(5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풀리(53)와, 양측의 두 풀리(53) 중 어느 한 풀리(53)를 회전시키는 모터(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투입조절유닛(50)은 적재된 용기(1)들을 하나씩 일정 간격을 두고 유출시키기 위해서, 상기 투입조절벨트(51)의 유출구측에 구비되는 풀리는 상기 투입조절벨트(51)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동심원 구조가 아닌 편심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중심에서 반지름이 일정하지 아니한 편심원 구조를 갖는다. 그래서 풀리(53)의 지지부에서 반지름이 큰 부위가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한 쌍의 투입조절벨트(51)의 간격은 좁게 되고, 한 쌍의 투입조절벨트(51)는 컨베이어벨트(21)로 이송되려는 용기(1)를 막아 유출되지 않도록 막고, 풀리(53)의 지지부에서 반지름 작은 부위가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한 상의 투입조절벨트(51)는 용기(1)에 비접촉되면서 용기(1)는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어 간격조절유닛(70)에서 유출된다. 그래서 유출구측의 상기 풀리(53)가 한 바퀴 회전할 때마다 용기(1)는 유출된다. 즉, 투입조절유닛(50) 내의 용기(1)들은 하나씩 일정 간격을 두고 이송유닛(20)으로 투입된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투입조절유닛(50)은 적재된 용기(1)들을 하나씩 일정 간격을 두고 유출시키기 위해서, 유출구측의 풀리(53)가 수평방향으로 전후진될 수 있다. 풀리(53)가 전진하면 한 쌍의 투입조절벨트(51)의 간격이 좁아져 용기(1)의 유출을 막고, 풀리(53)가 후진하면 한 쌍의 투입조절벨트(51)의 간격이 넓어져 용기(1)가 유출되도록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투입조절유닛(50)은 적재된 용기(1)들을 하나씩 일정 간격을 두고 유출시키기 위해서, 투입조절벨트(51)의 두께를 달리하여, 두꺼운 부위에서는 용기(1)의 유출을 막고, 얇은 부위에서는 용기(1)가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투입조절벨트(51)에서 어느 한 투입조절벨트(51)는 전후진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한 쌍의 투입조절벨트(51) 간의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는 직경이 달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용기(1)에 대해 사용 가능하도록 호환성을 부여한다.
상기 라벨링유닛(60)은 상기 이송유닛(20)의 컨베이어벨트(21)를 타고 이송되는 용기(1)를 회전시켜서 용기(1)의 표면에 라벨지(2, 4)를 부착시킨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라벨링유닛(60)은 용기(1)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밀착된 상태로 순환회전하여 용기(1)를 회전시키는 상부순환벨트(61)와 하부순환벨트(62), 상기 상부순환벨트(61)와 하부순환벨트(6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풀리(63)와, 양측의 두 풀리(63) 중에서 어느 한 풀리(63)를 회전시키는 모터(64)와, 상기 상부순환벨트(61)와 하부순환벨트(62) 반대편에서 용기(1)를 지지하여 용기(1)가 상부순환벨트(61)와 하부순환벨트(62)에 밀착되도록 하는 지지판(6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순환벨트(61)는 높낮이가 조절 가능하여 상하 사이즈가 다른 용기(1)들도 회전시킬 수 있는 호환성을 갖고, 상기 지지판(65)은 수평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여 상기 상부순환벨트(61) 및 하부순환벨트(62)와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직경 사이즈가 다른 용기(1)들도 회전시킬 수 있는 호환성을 갖는다.
상기 제1공급유닛(30)과 제2공급유닛(40)은 각각 제1라벨지(2)와 제2라벨지(4)를 상기 라벨링유닛(60)으로 공급하여서, 제1라벨지(2)가 용기(1)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하고, 제2라벨지(4)가 제1라벨지(2)가 부착되지 않은 용기(1)의 다른 표면에 부착되도록 한다. 제1,2공급유닛(30, 40)에 더하여 제3공급유닛, 제4공급유닛 등을 더 구비하면 더 많은 종류의 라벨지를 용기(1)에 부착시킬 수 있다.
제1라벨지(2)와 제2라벨지(4)는 각각 제1이형필름(3)과 제2이형필름(5)에 연속배열되도록 부착되어 제공된다.
상기 제1공급유닛(30)과 제2공급유닛(40)의 구성은 동일한 바, 이하에서는 이들의 구분이 필요하지 않으면 제1과 제2는 생략한다.
도1과 도4를 참조하면, 상기 공급유닛(30, 40)은 라벨지(2, 4)가 부착된 이형필름(3, 5)이 감겨 있는 공급드럼(31, 41)과, 라벨지(2, 4)가 제거된 이형필름(3, 5)이 감기는 회수드럼(32, 42)과, 상기 공급드럼(31, 41)과 회수드럼(32, 42) 사이에 배치되어서 이형필름(3, 5)이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송되도록 하는 인장롤러(33, 43)들과, 상기 상부순환벨트(61)와 하부순환벨트(62) 사이에 위치하고 이형필름(3, 5)의 이송방향이 반대방향으로 전환되도록 하여 라벨지(2, 4)가 이형필름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이형부(34, 44)와, 상기 이형부(34, 44)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형부(34, 44)는 직경이 작은 롤러나 핀을 사용할 수 있다.
이형필름(3, 5)에 부착된 라벨지(2, 4)는 이형부(34, 44)를 지나면서 이형필름(3, 5)에서 분리되어 상기 상부순환벨트(61)와 하부순환벨트(62) 사이로 전진투입되고, 전진투입된 라벨지(2, 4)는 상기 라벨링유닛(60)에 의해 회전하며 이송되는 용기(1)의 표면에 부착된다.
상기 간격조절유닛(70)은 상기 제1공급유닛(30)의 제1이형부(34)와 제2공급유닛(40)의 제2이형부(44) 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용기(1)의 직경, 라벨지(2, 4)의 폭, 그리고 용기(1)에 부착된 제1라벨지(2)와 제2라벨지(4)의 간격 등에 따라 상기 제1이형부(34)와 제2이형부(44)의 간격이 달라져야 하고, 상기 간격조절유닛(70)이 이들(34, 44)의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 간격조절유닛(70)은 상기 제1이형부(34)나 제2이형부(44) 중 하나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제1이형부(34)와 제2이형부(44) 모두의 위치를 조절하여서, 제1이형부(34)와 제2이형부(44)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간격조절유닛(70)은 레일(71)을 따라 좌우로 수평이동 가능하고 특정 위치에서 고정되는 이동판(72)과, 상기 이동판(72) 위에서 회전 가능하고 특정 위치에서 고정되는 회전판(73)과, 상기 회전판(73) 위에 직설되고 상부에 상기 이형부(34, 44)가 연결되는 마운트(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판(73)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이형부(34, 44)가 상기 상부순환벨트(61)와 하부순환벨트(62) 사이로 전진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이동판(72)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제1이형부(34)와 제2이형부(44)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73)의 회전각도 조절을 위해 상기 회전판(73)의 양측으로는 호형상의 체결공(75)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판(72)에는 원형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73)의 체결공(75)과 상기 이동판(72)의 체결공에는 체결부재가 관통되어 체결되어서, 회전판(73)은 호형상의 체결공(75) 만큼 회전이 가능하고, 체결부재가 회전판(73)을 이동판(72)에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종래기술은 제1라벨링장치가 제1라벨지를 부착 된 것을 센서로 감지하여 정확하게 반대편에 제2라벨링장치가 제2라벨을 부착해야 하거나 또는 제1라벨링장치에 제1라벨지/제2라벨지/제1라벨지/제2라벨지을 공급하여 제자리에서 용기를 회전시켜 용기 양면에 제1라벨,제2라벨을 부착하였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하나의 라벨링장치에서 용기가 회전하며 이송되는 과정에서 용기의 양측면에 제1라벨지와 제2라벨지가 연속하여 부착되어, 라벨지가 용기의 정확한 위치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부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더블 라벨링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프레임 20 : 이송유닛
21 : 컨베이어벨트 23 :가이드바
30 : 제1공급유닛 40 : 제2공급유닛
31/41 : 공급드럼 32/42 : 회수드럼
33/43 : 인장롤러 34/44 : 제1,2이형부
50 : 투입조절유닛 51 : 투입조절벨트
53 : 풀리 55 : 모터
60 : 라벨링유닛 61 : 상부순환벨트
62 : 하부순환벨트 63 : 풀리
64 : 모터 65 : 지지판
70 : 간격조절유닛 71 : 레일
72 : 이동판 73 : 회전판
74 : 마운트 75 : 체결공

Claims (4)

  1. 용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제1라벨지를 공급하는 제1공급유닛;
    제2라벨지를 공급하는 제2공급유닛;
    상기 이송유닛에서 이송 중인 용기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1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제1라벨지를 용기의 표면에 부착시키고, 상기 제2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제2라벨지를 용기의 또 다른 표면에 부착시키는 라벨링유닛;
    상기 제1공급유닛에서 제1라벨지가 제1이형필름에서 이형되는 제1이형부와, 상기 제2공급유닛에서 제2라벨지가 제2이형필름에서 이형되는 제2이형부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
    적재된 용기들을 일정 간격을 두고 하나씩 상기 이송유닛으로 투입시키는 투입조절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더블 라벨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수평이동 및 고정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 위에서 회전 및 고정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 위에 직설되고, 상부에 상기 제1이형부가 연결되는 마운트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조절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의 양측으로 배열되고, 순환회전하는 한 쌍의 투입조절벨트와,
    상기 투입조절벨트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풀리와,
    양측의 두 풀리 중 어느 한 풀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조절벨트의 유출구측에 구비되는 풀리는 상기 투입조절벨트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편심원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라벨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링유닛은
    용기의 표면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밀착된 상태로 순환회전하여 용기를 회전시키는 상부순환벨트와 하부순환벨트,
    상기 상부순환벨트와 하부순환벨트 반대편에서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라벨링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30097304A 2023-07-26 2023-07-26 더블 라벨링장치 KR102629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7304A KR102629436B1 (ko) 2023-07-26 2023-07-26 더블 라벨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7304A KR102629436B1 (ko) 2023-07-26 2023-07-26 더블 라벨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9436B1 true KR102629436B1 (ko) 2024-01-25

Family

ID=8972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7304A KR102629436B1 (ko) 2023-07-26 2023-07-26 더블 라벨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4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0111A (ja) * 2002-06-06 2004-01-15 Osaka Sealing Printing Co Ltd ラベル貼付装置
JP2014012549A (ja) * 2012-07-05 2014-01-23 Toppan Tdk Label Co Ltd 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0111A (ja) * 2002-06-06 2004-01-15 Osaka Sealing Printing Co Ltd ラベル貼付装置
JP2014012549A (ja) * 2012-07-05 2014-01-23 Toppan Tdk Label Co Ltd 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9783B1 (en)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KR102118880B1 (ko) 2중 레이블 제조장치
JP2019522368A (ja) 可撓性のスタンプによって個別の基板をインプリントするための装置
US4425181A (en) Outsert applicator apparatus
US7603830B2 (en) Apparatus for automatic belt pressure adjustment for coupon separation
KR20120019719A (ko) 라벨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벨부착 방법
US5643389A (en) Stacked pressure seal method
KR102629436B1 (ko) 더블 라벨링장치
US4683707A (en) System for packaging, weighing and labeling articles
AU705758B2 (en) High capacity stacker/separating device
TW201010926A (en) Inserting apparatus for discrete objects into envelopes and related methods
US10569971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positionally stable transport of containers
US20110030890A1 (en) Labelling machine
KR101769763B1 (ko) 파우치 낱장 인쇄 장치
CN207726494U (zh) 一种智能热缩管分卷设备
JP2002053115A (ja) ラベル貼り付け装置
US6860086B2 (en)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use of a packaging apparatus
KR920701026A (ko) 시트처리장치
JP2003058848A (ja) カード状データキャリアの製造装置
EP0445333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heet feeding apparatus
JP6829634B2 (ja) ラベル装着装置
JP2003081472A (ja) シート送出装置
CN209972983U (zh) 一种可调式圆柱转角控制贴标机
US10822134B1 (en) High speed label applicator systems and methods
JP2006076723A (ja) 容器の間隔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