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700A -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700A
KR20190105700A KR1020180026083A KR20180026083A KR20190105700A KR 20190105700 A KR20190105700 A KR 20190105700A KR 1020180026083 A KR1020180026083 A KR 1020180026083A KR 20180026083 A KR20180026083 A KR 20180026083A KR 20190105700 A KR20190105700 A KR 20190105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ball
joint
present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오용태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26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5700A/ko
Publication of KR20190105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7Head-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를 여러 방향으로 꺾어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머리가 비대칭이거나 상처 등을 입은 탑승자에게도 가장 편안하고 쾌적하게 시트에 앉아서 편안하게 보낼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에 모니터 등을 장착하여 원하는 각도로 돌리면서 편안하게 볼 수 있게 하는 모니터 암으로 더 잘 알려진 어져스터블 암(Adjustable Arm)을 이용하거나, 볼-소켓 방식으로 관절을 연결하여 여러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탑승자의 머리 형상에 가장 알맞은 형태로 헤드레스트 위치를 조절하여 오랫동안 운전하거나 탑승하더라도 쉽게 피로를 느끼지 않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HEADREST OF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를 다관절 링크로 등받이에 장착하므로 탑승자의 부상이나 비대칭인 체형에도 알맞은 형태로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다관절 링크로 볼-소켓 방식이나 어져스트 암(Adjustable Arm) 형태로 구성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에는 탑승자가 머리 부분을 편하게 기댈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를 갖춘다. 이때,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체형에 알맞게 상하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등받이에 장착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헤드레스트를,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로 위치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한 폴딩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684319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헤드레스트의 언폴딩(업라이트)을 유지시키는 록 링크와 릴리스 레버 사이를 래칫이 연결되어, 릴리스 레버의 작동이 바로 록 링크로 전달되지 않고 래칫을 통해 록 링크로 간접 전달되게 하여 릴리스 레버의 작동이 스무스하게 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769342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와, 상기 하우징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에는 스테이로드가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조가 현저하게 단순화되며, 장치가 컴팩트해지고, 헤드레스트가 안정적으로 폴딩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22155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와, 상기 하우징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에는 스테이로드가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조가 현저하게 단순화되며, 장치가 컴팩트해지고, 헤드레스트가 안정적으로 폴딩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기존 헤드레스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등받이에 상하로 높이 조절할 수 있게 장착한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체형, 즉 앉은키에 알맞게 높이 조절하고, 전후 폴딩 작용을 통해 어느 정도 탑승자의 체형에 맞춰서 사용할 수 있다.
(2) 하지만, 기존 헤드레스트는 상하 높이 조절과 전후의 폴딩 조절이 정해진 방향에서 정해진 각도 내에서만 이루어지므로, 탑승자마다 다른 체형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3) 특히, 탑승자는 체형이나 부상 등으로 뒷머리 부분이 비대칭일 수가 있는데, 이에 기존 헤드레스트와 같이 일률적으로 폴딩 형태나 높이 조절을 통해서는 이러한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된다.
(4) 이처럼, 기존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에 따라 뒷머리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함에 따라 차량의 추돌 또는 충돌 사고가 발생했을 때, 탑승자의 부상 정도가 더 커지게 되어 인명 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5) 또한, 이렇게 불편한 자세로 오랫동안 시트에 앉아서 운전하거나 탑승하면, 목 근육이나 어깨 그리고 등 부분의 근육통 등이 생길 우려가 있다.
(6) 특히, 운전을 업으로 하는 운전자의 경우, 이처럼 오랫동안 불편한 자세로 일함에 따라 근육계 질환 등으로 이어져서 생계에 지장을 받을 수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684319호 (등록일 : 2016.12.02) 한국등록특허 제1769342호 (등록일 : 2017.08.11)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22155호 (공개일 : 2017.11.03)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등받이에 장착한 헤드레스트를 여러 방향으로 꺾어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머리가 비대칭이거나 상처 등을 입은 탑승자에게도 가장 편안하고 쾌적하게 자동차 시트에 앉아서 편안하게 보낼 수 있게 한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에 모니터 등을 장착하여 원하는 각도로 돌리면서 편안하게 볼 수 있게 하는 모니터 암으로 더 잘 알려진 어져스터블 암(Adjustable Arm)을 장착하므로, 누구든지 쉽게 헤드레스트 위치를 자신의 체형에 알맞게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를 등받이에 연결하는 관절의 연결 방식으로, 볼-소켓 방식으로 여러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소켓 안에서 볼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미세한 각도 조절도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어, 탑승자의 머리 형상에 가장 알맞은 형태로 헤드레스트 위치를 조절하여 오랫동안 운전하거나 탑승하더라도 쉽게 피로를 느끼지 않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는, 자동차의 등받이(B)에 높이 조절할 수 있게 장착하여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본체(100)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시트용 헤드레스트에서, 상기 본체(100)에는, 한쪽을 등받이(B)의 상부에 장착하고, 적어도 세 개의 제1 내지 제3 관절(111, 112, 113)로 이루어져서 여러 방향으로 꺾을 수 있는 다관절 링크(11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관절 링크(110)는, 상기 제1 내지 제3 관절(111, 112, 113)이 핀 연결과 볼-소켓 연결 방식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관절 링크(110)는, 어져스터블 암(Adjustable Ar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다관절 링크(110)는, 이웃한 두 개의 관절이 볼-소켓(Ball-Socket) 방식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적어도 세 개의 관절로 이루어진 다관절 링크로 헤드레스트를 등받이에서 각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탑승자의 머리가 신체적 결함이나 부상 등으로 비대칭이더라도 탑승자의 체형에 알맞게 헤드레스트를 조절하여 탑승자가 가장 편한 자세로 차량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2) 특히, 신체적 결합 등을 가진 탑승자의 경우, 오랫동안 자동차 안에 앉아 있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가 머리 형상에 알맞은 형태로 지지하므로, 오랫동안 앉더라도 편안하게 앉아있을 수 있다.
(3) 또한,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의 머리 체형에 알맞게 밀착하여 사용하므로, 차량의 충돌 또는 추돌 사고 등이 발생하더라도 탑승자의 머리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4)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는 모니터 암으로도 잘 알려진 어져스터블 암(Adjustable Arm)을 이용하여 여러 방향으로 방향 조절을 할 수 있도록 등받이에 장착하므로,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탑승자 자신의 머리 체형에 알맞은 위치에 헤드레스트가 놓이게 하여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5)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는 볼-소켓(Ball-Socket) 방식으로 헤드레스트를 등받이에 장착하여 헤드레스트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헤드레스트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신체적 결함이나 상처 등을 입은 탑승자에게도 최적의 지지 위치에서 헤드레스트를 이용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6)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는 핀을 이용한 관절 연결과 볼-소켓 방식을 혼합한 방식을 채택하므로, 헤드레스트를 상하 조절과 더불어 전방향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여 탑승자 체형에 알맞은 형태로 헤드레스트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를 적용한 차량의 실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를 적용한 시트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헤드레스트를 조절하게 하는 다관절 링크로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예를 보여주는 일부를 확대한 도면으로, (a)는 조절 전 상태를, (b)는 조절 후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링크로 회전과 전방향 조절을 보여주는 측면도로, (a)는 볼-소켓을 이용하여 하나의 관절을 경사지게 조절한 상태를, (b)는 (a) 상태에서 핀으로 고정한 관절로 각도를 조절한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링크로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등받이(B) 상부에 장착하는 본체(1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본체(100)는 상기 등받이(B)에 적어도 세 개의 제1 내지 제3 관절(111, 112, 113)로 이루어져서 여러 방향으로 꺾을 수 있는 다관절 링크(110)를 매개로 장착하므로, 탑승자의 체형이나 부상 등으로 머리 부분이 비대칭을 이루더라도 탑승자가 가장 편한 자세로 헤드레스트 지지를 받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이러한 여러 개의 관절을 적용한 다관절 링크(110)로, 모니터 암으로 잘 알려진 어져스터블 암(Adjustable Arm)을 채택하므로, 본체(100)를 탑승차의 체형이나 비대칭인 체형에도 가장 편리한 자세로 지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다관절 링크(110)는 이웃한 두 개의 관절(111, 112, 113)을 볼-소켓(Ball-Socket) 방식으로 연결하므로, 소켓 안에서 볼이 구름에 따라 더욱 다양한 각도 조절과 더불어 미세 조절할 수 있게 하여 탑승자에게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자세로 앉아 있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다관절 링크(110)는 이웃한 두 개의 관절 사이에 핀을 이용한 회전과 볼-소켓을 이용한 다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본체(100)의 상하 조절과 더불어 미세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B"는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를 나타내며, 도면에서는 프론트 시트의 등받이를 예로 보여준다.
< 헤드레스트 본체>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등받이(B) 상부에 장착한다. 이때, 본체(100)는 탑승자의 뒷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탑승자가 시트에 앉아서 편안하게 기댈 수 있는 재질로 제작한다.
이러한 본체(100)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헤드레스트 제작에 사용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사용하며, 후술할 다관절 링크(110)를 매개로 등받이(B)에 장착한다.
<다관절 링크>
다관절 링크(11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한쪽을 등받이(B)에 장착하고 다른 한쪽을 본체(100)에 장착하여 본체(100)가 여러 방향으로 각도 조절할 수 있게 지지한다. 이때, 상기 다관절 링크(110)는 등받이(B)에 높이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높이 조절 구성은, 등받이(B)에 슬리브를 장착하고, 이 슬리브의 입구인 다관절 링크(110)를 끼우는 끝에는 탄성 지지를 받는 스토퍼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다관절 링크(110)에는 슬리브에 끼우는 부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여러 개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스토퍼가 이들 홈 중에 어느 하나에 걸리게 하여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 헤드레스트에서 높이 조절할 때 사용하는 기술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다관절 링크(11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본체(100)가 다양한 방향으로 꺾이거나 돌아갈 수 있도록 적어도 세 개의 관절(111, 112, 113)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때, 이웃하는 두 개의 관절(111, 112, 113)은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와 같이, 제1 관절(111)과 제2 관절(112)은 볼-소켓(Ball-Socket) 방식으로 연결하여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고, 제2 관절(112)과 제3 관절(113)은 핀으로 연결하여 접힐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볼-소켓 방식은 어느 하나의 관절 끝에 볼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관절 끝에 이 볼을 감싸는 소켓을 갖춤으로써, 볼을 소켓에 끼워서 돌림에 따라 다방향으로 각도 조절할 수 있고, 특히 여러 방향으로 미세 조절할 수 있게 한 통상의 기술을 말한다.
이에, 본체(100)는 등받이(B)에 제3 관절(113)을 고정한 상태에서, 제2 관절 (112)이 자동차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고, 제2 관절(112)을 기준으로 제3 관절(113)을 회전할 수 있으므로 미세하게 회전하거나 젖히는 등 원하는 각도로 젖히거나 미세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본체(100)의 각도 조절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도 4(a)]는 제2 관절(112)을 기준으로 제1 관절(111)을 어느 한쪽으로 젖히면서 회전하여 본체(100) 위치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 4(b)]는 제3 관절(113)을 기준으로 제2 관절(112)을 어느 한쪽으로 회전한 상태를 보여준다. 그리고, [도 5]는 제3 관절(113)을 기준으로 제2 관절(112)만 회전한 상태를 보여준다. 이 외에도 핀과 볼-소켓 방식을 통해 다양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처럼 여러 개의 관절로 이루어진 상기 다관절 링크(110)는 어져스터블 암(Adjustable Arm)을 이용할 수도 있다. 어져스터블 암은 가정이나 직장 등에서 책상이나 벽 등에 모니터를 지지하게 하여 원하는 각도와 위치를 조절하거나, 산업 기계나 의료 기기 등에서 계기판 등을 장착하여 작업자나 의료인이 쉽게 계기판 등을 볼 수 있게 구성한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암을 말한다.
이처럼 어져스터블 암 방식으로 위치를 조절하는 본체(100)를 손으로 잡고서 원하는 위치로 잡아당겨서 놓기만 하면 정해진 위치에서 탑승자의 뒷머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다관절 링크(110)는 이웃한 두 개의 관절을 볼-소켓만으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볼-소켓은, 상술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관절 끝에 볼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관절 끝에 이 볼을 감싸는 소켓을 갖춘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말한다.
이처럼 볼-소켓만으로 이웃한 관절을 연결한 다관절 링크(110)는 본체(100)를 상하나 좌우 방향뿐만 아니라 제3 관절(113)을 기준으로 제2 관절(112)을 여러 방향으로 돌려서 조절할 수 있고, 동시에 제2 관절(112)을 기준으로 제1 관절(111)을 여러 방향으로 돌리면서 조절할 수 있어 본체(100)를 더욱 편하게 원하는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본체를 다관절 링크로 연결하므로, 본체를 여러 방향으로 원하는 위치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신체가 불편하거나 상처 등을 입은 탑승자도 체형에 가장 편한 자세로 헤드레스트 위치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0 : 본체
110 : 다관절 링크
111, 112, 113 : 관절

Claims (4)

  1. 자동차의 등받이(B)에 높이 조절할 수 있게 장착하여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본체(100)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시트용 헤드레스트에서,
    상기 본체(100)에는,
    한쪽을 등받이(B)의 상부에 장착하고, 적어도 세 개의 제1 내지 제3 관절(111, 112, 113)로 이루어져서 여러 방향으로 꺾을 수 있는 다관절 링크(11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2. 제1 항에서,
    상기 다관절 링크(110)는,
    상기 제1 내지 제3 관절(111, 112, 113)이 핀 연결과 볼-소켓 연결 방식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서,
    상기 다관절 링크(110)는,
    어져스터블 암(Adjustable Ar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서,
    상기 다관절 링크(110)는,
    이웃한 두 개의 관절이 볼-소켓(Ball-Socket) 방식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KR1020180026083A 2018-03-06 2018-03-06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KR20190105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083A KR20190105700A (ko) 2018-03-06 2018-03-06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083A KR20190105700A (ko) 2018-03-06 2018-03-06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700A true KR20190105700A (ko) 2019-09-18

Family

ID=68070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083A KR20190105700A (ko) 2018-03-06 2018-03-06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570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19B1 (ko) 2015-11-18 2016-12-0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1769342B1 (ko) 2016-04-26 2017-08-2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20170122155A (ko) 2017-08-10 2017-11-0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19B1 (ko) 2015-11-18 2016-12-0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1769342B1 (ko) 2016-04-26 2017-08-2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20170122155A (ko) 2017-08-10 2017-11-0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2392B2 (en) Articulated headrest
US9517708B2 (en) Seat arrangement for a vehicle
CN105667353B (zh) 可后倾座椅
US20060061169A1 (en) Seat with ergomechanics
US20150360593A1 (en) Seat For A Driver Of A Construction Machine, As Well As Construction Machine
US20040075322A1 (en) Adjusting device for a vehicle seat
US9283871B2 (en) Vehicle seat and utility motor vehicle comprising a vehicle seat
US9718384B2 (en) Vehicle seat with adjustable backrest
CN103097188B (zh) 车辆座椅的头部约束装置
JP2010036892A (ja) 自動車の座席
US20150015046A1 (en) Vehicle seat and utility motor vehicle comprising a vehicle seat
US9764667B2 (en) Foldable headrest with double hinge
JP4187439B2 (ja) ヘッドレスト装置
KR20190105700A (ko)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DE102017209880A1 (de) Fahrzeugsitz mit einer multifunktionalen elektrisch ansteuerbaren Nackenstütze
JP2021502292A (ja) チャイルドシート装置
JPH0647311Y2 (ja) レッグレスト付シート構造
US20080246322A1 (en) Seat for Vehicles
JP2015077832A (ja) 車両用シートの頚支持装置
JP2634540B2 (ja) 座席装置
KR101241856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너비 조절장치
JP2633777B2 (ja) 座席装置
JP2012126153A (ja) 車両用シート
US9132757B2 (en) Vehicle seat comprising a head restraint
KR100506026B1 (ko) 헤드 레스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