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412A -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 반도체 모듈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 반도체 모듈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412A
KR20190104412A KR1020197024076A KR20197024076A KR20190104412A KR 20190104412 A KR20190104412 A KR 20190104412A KR 1020197024076 A KR1020197024076 A KR 1020197024076A KR 20197024076 A KR20197024076 A KR 20197024076A KR 20190104412 A KR20190104412 A KR 20190104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emiconductor
semiconductor component
valu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2671B1 (ko
Inventor
위르겐 뵈흐머
뤼디거 클레펠
에버하르트 울리히 크라프트
안드레아스 나겔
얀 바이겔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104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4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7/04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0412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by measures taken in the control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4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7/04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0412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by measures taken in the control circuit
    • H03K17/04126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by measures taken in the control circuit in bipolar transistor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4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7/04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0412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by measures taken in the control circuit
    • H03K17/0414Anti-saturation measur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4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7/042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by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0422Anti-saturation measur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 H03K17/168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composite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 H03K17/161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 H03K17/162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163Soft switching

Landscapes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2)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제어 디바이스(2)는,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의 게이트 단자에 전압(U)을 인가하도록, 그리고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를 턴 오프하기 위해, 제1 전압 값(UB +)으로부터 제2 전압 값(UB -)으로 전압(U)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되며, 제어 디바이스(2)는,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를 턴 오프하기 위해, 먼저, 제1 전압 값(UB +)으로부터 불포화화 값(Usat)으로 전압(U)을 감소시키도록, 그리고 그런 다음, 불포화화 값(Usat)으로부터 제2 전압 값(UB-)으로 전압(U)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되며, 불포화화 값(Usat)은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의 핀치-오프 전압(UP)을 초과한다.

Description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 반도체 모듈 및 방법
본 발명은, 바이폴라 스위칭가능(bipolar switchable)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device)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제어 디바이스는,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게이트(gate) 단자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그리고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턴 오프(turn off)하기 위하여, 제1 전압 값으로부터 제2 전압 값으로 전압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된다. 부가하여, 본 발명은 이러한 제어 디바이스를 갖는 반도체 모듈(module)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또는 비-활성화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들에 관심이 집중된다. 이러한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는 특히 IGBT일 수 있다.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들을 턴 오프할 때, 전류의 흐름에 요구되는 전하 운반체들이 제거되어야 한다. 전하 운반체들을 제거함으로써, 종래의 역-전도 IGBT들이 턴 오프될(turned off) 때, 이는 높은 전기장 강도들을 야기한다. 이러한 전기장 강도 로딩(loading)의 결과로서,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는 임의의 임의적인 속도로 셧다운될(shut down) 수 없다. 또한, 부하 단자들에서의 전압의 증가율은 부하의 요건들에 의해 주로 제한된다.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에서의 전하 운반체 농도와 스위칭(switching) 속도 둘 모두가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턴 오프(turn-off) 손실들에 영향을 미친다. 손실들을 최소화하기 위해, 스위칭 속도 ―이 스위칭 속도는 유지되어야 하는 안전 동작 범위에 의해 제한됨― 는 가능한 한 높게 세팅된다(set). 이는 대개, 게이트 방전 전류의 크기의 적절한 선정에 의하여 수행된다.
턴-온된(turned-on)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게이트는 제1 전압 값을 갖는 전압으로 충전된다.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턴 오프할 때, 게이트는 제2 전압 값을 갖는 전압으로 저항기를 통해 방전된다. 그러므로, 전압은 제1 전압 값으로부터 제2 전압 값으로 감소된다. 높은 전하 운반체 농도를 갖는 전도 상태로부터 무-전압(de-energized) 상태로의 전이는 비교적 높은 턴-오프 손실들을 야기한다.
DE 39 05 645 A1은 MOS 제어 입력을 갖는 전력 반도체 스위치(switch)들의 과전류 턴-오프 거동을 개선시키기 위한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DE 102 06 392 A1은 비-래칭(non-latching) 비활성화가능 전력 반도체 스위치의 턴-오프 프로세스(process)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마지막으로, DE 10 2015 220 594 A1은 반도체 구동 유닛(unit) 및 이 반도체 구동 유닛을 사용하는 전력 컨버터(converter)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유형의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가 더욱 효율적으로 턴 오프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해결책을 특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개개의 독립 청구항들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제어 디바이스에 의하여, 반도체 모듈에 의하여 그리고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확장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발명의 요지이다.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구동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가 사용된다. 이 경우, 제어 디바이스는,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게이트 단자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그리고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턴 오프하기 위하여, 제1 전압 값으로부터 제2 전압 값으로 전압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된다. 제어 디바이스는 또한,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턴 오프하기 위해, 먼저, 제1 전압 값으로부터 불포화화(desaturation) 값으로 전압을 감소시키도록, 그리고 그런 다음, 불포화화 값으로부터 제2 전압 값으로 전압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되며, 여기서, 불포화화 값은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핀치-오프(pinch-off) 전압을 초과한다.
제어 디바이스는, 턴 온되거나 또는 턴 오프될 수 있는 바이폴라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디바이스는 제어 회로의 일부일 수 있다.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는 특히 절연 게이트 단자(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를 갖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는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게이트 전극 또는 게이트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가,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게이트 단자에 연결되는 게이트 저항기를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는, 상이한 전압 값들을 갖는 전압들을 제공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이 상이한 전압 값들을 갖는 전압들을 게이트 단자에 인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압 값을 갖는 전압이,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턴 온(turn on)하기 위하여 게이트 단자에 인가될 수 있다. 제1 전압 값을 갖는 전압이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면, 특히,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게이트-이미터(gate-emitter) 전압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 경우,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는 전도 상태에 있다.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가 턴 오프되어야 할 때, 전압은 제어 디바이스에 의하여 제1 전압 값으로부터 제2 전압 값으로 감소된다.
본 발명의 필수적인 양상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에 의하여, 게이트 단자에서의 전압이 먼저 제1 전압 값으로부터 불포화화 값으로 감소되고, 그런 다음, 제2 전압 값으로 감소되는 것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턴 오프하기 위해, 게이트 단자에서의 전압 또는 게이트-이미터 전압은 직접적으로 제2 전압 값으로 감소되는 것이 아니라, 전압은 초기에 불포화화 값으로 세팅된다. 이 불포화화 값은 제1 전압 값 미만이고, 제2 전압 값을 초과한다. 다시 말해서, 실제 턴-오프 프로세스 직전에, 게이트 단자에 불포화화 펄스(pulse)가 제공된다. 이 불포화화 펄스는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게이트 또는 게이트 단자를,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컷-오프(cut-off) 전압을 약간 초과하는 전압으로 방전시킨다. 이 컷-오프 전압은 핀치-오프 전압으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에 핀치-오프-전압이 존재하면,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하나의 채널(channel)이 제약된다(constricted). 게이트 단자에서의 전압이 먼저 불포화화 값으로 감소되기 때문에,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 내의 전하 운반체 농도는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턴-오프 프로세스 동안,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로부터 더 적은 전하가 제거될 필요가 있다. 이는,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턴 오프할 때의 턴-오프 손실들이 감소될 수 있게 하고, 그러므로 턴-오프 프로세스는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는 제1 전압 값을 갖는 전압을 게이트 단자에 인가하기 위한 제1 스위치(switch) 및 제2 전압 값을 갖는 전압을 게이트 단자에 인가하기 위한 제2 스위치를 갖는다.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는 서로 독립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제1 스위치는 제1 전압 값을 갖는 전압에 게이트 단자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스위치는 제2 전압 값을 갖는 전압에 게이트 단자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개개의 스위치들을 사용하여, 예컨대, 제1 전압 값 또는 제2 전압 값을 갖는 전압을 제공하는 전압원과 게이트 단자 사이의 전기 연결을 스위칭(switch)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게이트 단자가 스위치들에 의하여 전압 싱크(sink)에 연결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는, 제1 스위치 및/또는 제2 스위치를 주기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그리고 제1 스위치의 활성화 및/또는 제2 스위치의 활성화를 위한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특정함으로써, 전압을 불포화화 값으로 세팅(set)하도록 설계된다. 다시 말해서, 게이트 단자에서의 전압은 펄스-폭 변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게이트-이미터 전압의 하락은 펄스-폭 변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적절한 마크-스페이스 비(mark-to-space ratio)를 사용함으로써,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게이트 단자에서의 전압은 불포화화 값으로 세팅될 수 있다. 이는 게이트 단자에서의 전압의 신뢰성 있는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특정 펄스 지속기간 동안 불포화화 값을 갖는 전압을 게이트 단자에 인가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에서의 전하 운반체들의 수가 감소될 때까지, 전압이 불포화화 값으로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거나 또는 유지되는 것이 제공된다. 불포화화 값을 갖는 전압이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에 인가되는 동안, 과잉 전하는 부하 전류에 의해 즉시 제거된다. 동시에, 비록 훨씬 더 느린 레이트(rate)로 발생하지만, 전하 운반체들은 재결합한다. 이 시간 동안, 순방향 전압이 또한 증가한다. 이 경우, 불포화화 값을 갖는 전압이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에 인가되는 펄스 지속기간은 미리 정의된다. 펄스 지속기간은 예컨대 이전 측정들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는 효율적인 턴-오프 프로세스가 달성될 수 있게 한다.
추가적인 구성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는 턴-오프 프로세스 동안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게이트 단자와 이미터 단자 사이의 게이트-이미터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유닛을 포함하며, 제어 디바이스는 게이트-이미터 전압에 기초하여 펄스 지속기간을 결정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므로, 턴-오프 프로세스 동안 게이트-이미터 전압이 연속적으로 측정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게이트-이미터 전압은, 제어 디바이스에 의하여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을 설명한다. 따라서, 제어 디바이스에 의한 전압의 출력 또는 게이트-이미터 전압은 연속적으로 결정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펄스 지속기간이 정밀하게 세팅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콜렉터(collector) 단자에서의 콜렉터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유닛을 포함하며, 제어 디바이스는 콜렉터 전류에 기초하여 불포화화 값을 결정하도록 설계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불포화화 값은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핀치-오프 전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핀치-오프 전압은 콜렉터 전류와 게이트-이미터 전압 사이의 관계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턴 오프하기 전에 콜렉터 전류가 측정되며, 그리고 불포화화 값 또는 불포화화 값을 갖는 전압은, 핀치-오프 전압에 값이 매우 근접하도록 또는 핀치-오프 전압을 최소로만 초과하도록 결정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로써, 불포화화 값은 신뢰성 있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턴 오프하기 위하여, 제어 디바이스는 제1 스위치를 개방하고, 그런 다음, 제1 시간 간격 동안 제2 스위치를 폐쇄하고, 그런 다음, 제2 시간 간격 동안 제2 스위치를 개방하며, 후속하여, 제2 스위치를 폐쇄하도록 설계된다. 예컨대, 제1 스위치가 제1 시간에 폐쇄될 수 있고, 동시에 제2 스위치가 개방될 수 있다. 제1 시간 간격 후에, 제2 스위치는 다시 개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스위치는 제2 시간 간격 동안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1 시간 간격 및 제2 시간 간격은, 전체적으로 게이트 단자에서의 전압에 대한 불포화화 값이 획득되도록 선정된다. 제1 시간 간격과 제2 시간 간격의 합은 특히 펄스 지속기간에 대응한다. 제2 시간 간격은 고-임피던스(high-impedance) 활성화의 시간 간격, 또는 고-임피던스 게이트 저항으로의 스위치-오버(switch-over)를 표현한다. 그런 다음, 불포화화 펄스 후에, 게이트를 완전히 방전시키기 위하여, 제2 스위치는 제2 시간에 다시 개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를 사용하여, 게이트 단자에서의 전압이 제어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는 불포화화 값을 갖는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3 스위치를 가지며, 제어 디바이스는, 제1 시간에 제1 스위치를 개방하고 제3 스위치를 폐쇄하며, 그리고 제2 시간에 제3 스위치를 개방하고 제2 스위치를 폐쇄하도록 설계된다.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가 전도 상태에 있을 때, 제1 스위치는 폐쇄된다.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턴 오프하기 위해, 제1 시점에, 제1 스위치가 개방되고 동시에 제3 스위치가 폐쇄된다. 그러므로, 불포화화 값을 갖는 전압이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다.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에서의 전하 운반체들의 수를 감소시킨 후에, 제2 시점에, 제3 스위치가 개방되고 제2 스위치가 폐쇄된다. 그러므로, 제2 전압 값을 갖는 전압이 게이트 단자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는 감소된 스위칭 손실들로 턴 오프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제1 전압 값을 갖는 전압, 불포화화 값을 갖는 전압 및 제2 전압 값을 갖는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아날로그(analog) 증폭기를 갖는다. 아날로그 증폭기는 아날로그 전력 증폭기단으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게이트 단자에서의 전압이 연속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러한 유형의 전력 증폭기를 이용하여, 넓은 범위에 걸쳐 최적화된 게이트 전압 궤적들을 조정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그러므로, 제어될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전류 및/또는 전압 과도(transient)들의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 및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구동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가 사용된다.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는 특히 절연 게이트 전극 또는 절연 게이트 단자를 갖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그러므로,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는 IGBT로서 설계될 수 있다. 반도체 구성요소는 예컨대 컨버터일 수 있다. 특히, 불포화화 값을 갖는 전압이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에 인가되는 동안의 펄스 지속기간이 컨버터의 제어기에서 고려되는 것 ―그 이유는 이것이 부가적인 턴-오프 지연으로 작용하기 때문임― 이 제공된다.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구동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사용된다. 제어 디바이스에 의하여,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게이트 단자에 전압이 인가되며, 그리고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턴 오프하기 위하여, 전압은 제1 전압 값으로부터 제2 전압 값으로 감소된다. 이 경우,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턴 오프하기 위한 전압이 먼저 제1 전압 값으로부터 불포화화 값으로 감소되고, 그런 다음, 전압 값이 불포화화 값으로부터 제2 전압 값으로 감소되며, 불포화화 값은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핀치-오프 전압을 초과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설명된 장점들 및 개량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모듈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준용하여 적용된다.
이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기반하여 그리고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은 다음을 도시한다: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라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턴 오프할 때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게이트 방전 저항기 전의 게이트 단자에서의 전압의 시간 파형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턴 오프할 때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의 게이트 단자에서의 전압의 시간 파형이고;
도 3은 핀치-오프 전압, 및 전압의 불포화화 값의 파형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 및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반도체 모듈이고;
도 5는 시간의 함수로써 도 4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스위치들의 스위칭 특성들이고;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를 갖는 반도체 모듈이고;
도 7은 제1 실시예에서 도 6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스위치들의 스위칭 특성들이고;
도 8은 제2 실시예에서 도 6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스위치들의 스위칭 특성들이며; 그리고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를 갖는 반도체 모듈이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그리고 기능적으로 등가인 엘리먼트(element)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에 의해 표시된다.
도 1은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가 턴 오프되고 있는 동안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의 게이트 단자에 존재하는, 시간(t)의 함수로써 전압(U)의 파형을 도시한다. 전압(U)은,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의 게이트 단자와 제어 디바이스(2) 사이에 대개 배열되는 가능한 게이트 방전 저항기 전의 전압을 설명한다. 이 경우, 도 1에서 도시되는 전압(U)의 파형은 선행 기술에 따른 턴-오프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가 턴 온되면(turned on), 제1 전압 값(UB +)을 갖는 전압(U)이 게이트 단자에 존재한다. 제1 전압 값(UB +)은 양의 전압일 수 있다.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가 턴 오프될 때, 전압(U)은 제1 전압 값(UB +)으로부터 제2 전압(UB-)으로 감소된다. 제2 전압 값(UB -)에는 예컨대 음의 전압이 할당될 수 있다. 높은 전하 운반체 농도를 갖는 전도 상태로부터 무-전압 상태로의 직접적인 전이는 비교적 높은 턴-오프 손실들을 야기한다.
이와 비교하여,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오프 프로세스에 대한 시간(t)의 함수로써 전압(U)의 파형을 도시한다. 이 경우, 게이트 단자에서의 전압(U)은 먼저 제1 전압(UB +)으로부터 불포화화 값(USat)으로, 그리고 후속하여 제2 전압(UB-)으로 감소된다. 불포화화 값(USat)을 갖는 전압(U)은 미리 정의된 펄스 지속기간(tP) 동안 게이트 단자에 존재한다. 펄스 지속기간(tp)은 제1 시간(t1)에서 시작하고, 제2 시간(t2)에 종료한다. 게이트 단자에서의 전압(U)이 먼저 불포화화 값(USat)으로 감소되기 때문에, 전하 운반체 농도는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의 실제 턴-오프 프로세스 전에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턴-오프 프로세스 동안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로부터 더 적은 전하가 제거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턴-오프 손실들이 감소된다.
이 불포화화 값(USat)은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의 부하 전류-의존 컷-오프 전압(UP)을 약간 초과하는 값을 갖도록 결정된다. 이 컷-오프 전압(UP)은 또한, 핀치-오프 전압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3은 불포화화 전압 값(USat)의 파형과 함께 핀치-오프 전압 값(UP)의 파형을 도시한다. 이 경우 도 3의 다이어그램(diagram)은 콜렉터 전류(IC)의 함수로써 게이트-이미터 전압(UGE)을 도시한다. 불포화화 값(USat)은 적어도 최대 예상 핀치-오프 전압(UP)에 대응하는 특정된 레벨(level)을 가질 수 있다. 불포화화 값(USat)은 또한, 턴 오프하기 전에 콜렉터 전류(IC)가 측정되는 것에 기인하여, 핀치-오프 전압(UP)에 매우 근접하게 세팅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조정가능한 전압원 또는 전압 싱크(sink)를 필요로 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모듈(3)을 도시한다. 반도체 모듈(3)은 제어 디바이스(2) 및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를 포함한다.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는 종래의 또는 역-전도 IGBT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경우,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에 대해, 역-전도 IGBT의 예시적인 등가 회로 다이어그램이 도시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 디바이스(2)는 제1 스위치(S1)를 포함하며, 제1 스위치(S1)에 의하여,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는 제1 전압 값(UB +)을 갖는 전압(U)에 제1 저항기(R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2)는 제2 스위치(S2)를 포함하며, 제2 스위치(S2)에 의하여,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는 제2 전압 값(UB -)을 갖는 전압(U)에 제2 저항기(R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2)는 제3 스위치(S3)를 포함하며, 제3 스위치(S3)에 의하여,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는 불포화화 값(USat)을 갖는 전압(U)에 제3 저항기(R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시간(t)의 함수로써 도 4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2)의 스위치들(S1, S2 및 S3)의 스위칭 특성들을 도시한다.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를 턴 오프하기 위해, 제1 스위치(S1)는 제1 시점(t1)에 개방된다. 동시에, 제3 스위치(S3)가 폐쇄된다. 이는 포화 펄스가 펄스 지속기간(tP) 동안 개시되게 한다.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에서의 전하 운반체들의 수를 감소시킨 후에, 제2 시간(t2)에 제2 스위치(S2)만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는 감소된 전하 운반체 농도 및 그에 따른 감소된 스위칭 손실들로 턴 오프된다.
도 6은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모듈(3)을 도시한다. 이 경우, 제어 디바이스(2)는 도 4에 따른 스위칭 디바이스(2)와 관련하여 설명된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만을 포함한다. 이 경우, 불포화화 값(USat)의 부가적인 전압 레벨은 요구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게이트-이미터 전압(UGE)의 감소는, 게이트의 짧고 불완전한 방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시간(t)의 함수로써 도 6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2)의 스위치들(S1 및 S2)의 스위칭 특성들을 도시한다. 이 경우, 제1 스위치(S1)를 비활성화하고 제2 스위치(S2)를 짧게 활성화함으로써, 게이트에서의 전압(U)은 불포화화 값(USat)이 된다. 제1 시간(t1)에, 제1 스위치(S1)가 개방되고, 제2 스위치(S2)는 제1 시간 간격(td1) 동안 폐쇄된다. 제1 시간 간격(td1)은 고정된 값으로서 특정될 수 있거나, 또는 게이트-이미터 전압의 측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이 목적을 위해, 콜렉터-이미터 전압의 연관된 증가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불포화화 값(USat)에 도달한 후에,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 둘 모두는 제2 시간 간격(td2) 동안 비활성화되고, 그러므로 제어는 고 임피던스로 세팅된다. 또한, 대안적으로, 고-임피던스 게이트 저항으로 스위칭 오버(switching over)함으로써, 더 작은 게이트 전류가 세팅될 수 있다. 펄스 지속기간(tP) 동안 존재하는 불포화화 값(USat) 후에, 제2 스위치(S2)의 활성화에 따라 제2 시간(t2)에 스위칭 동작이 계속된다.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시간(t)의 함수로써 도 6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2)의 스위치들(S1 및 S2)의 스위칭 특성들을 도시한다. 이 경우, 게이트-이미터 전압(UGE)은 펄스-폭 변조에 의해 달성된다. 적절한 마크-스페이스 비를 사용함으로써, 불포화화 값(USat)이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의 게이트 단자에 세팅된다.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의 게이트가, 제2 스위치(S2)를 사용하여 제2 전압(UB-)으로 방전되기 전에, 펄스-폭 변조에 의하여,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의 활성화에 의해 불포화화 펄스가 개시된다. 이 경우, 불포화화 값(USat)은,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의 대응하는 듀티 사이클을 이용하여 조정된다.
도 9는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모듈(3)을 도시한다. 이 경우, 제어 유닛(2)은 아날로그 증폭기(4) 또는 아날로그 전력 증폭기단을 포함한다. 증폭기(4)는 제1 트랜지스터(T1)를 포함하며, 제1 트랜지스터(T1)를 통해, 제1 전압 값(UB+)을 갖는 전압(U)이 저항기(R)를 통해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에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증폭기(4)는 제2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하며, 제2 트랜지스터(T2)를 통해, 제2 전압 값(UB -)을 갖는 전압(U)이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에 인가될 수 있다. 증폭기(4)를 사용함으로써, 전압(U)은 연속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전압(U)의 파형이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2)의 사용에 의해 또는 턴-오프 특성들을 통해, 디바이스를 턴 오프할 때의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에 대한 필드-강도(field-strength) 부하가 감소되는데, 그 이유는 불포화화 값(USat)에 기인하여,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에서의 전하 운반체 농도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특히, 필드 강도 제한치들을 초과하지 않고, 더 높은 게이트 방전 전류에 의한 더 높은 스위칭 속도들을 설명하는 견고성(robustness) 제한치들 또는 안전 동작 범위를 활용할 때, 스위칭 손실들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이는,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의 주 단자들에서의 전압의 증가율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면, 이용될 수 있다. 설명된 반도체 모듈들(3)은 특히 컨버터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스위칭 손실들의 감소에 기인하여, 컨버터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Claims (8)

  1. 바이폴라 스위칭가능(bipolar switchable)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device)(2)로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2)는, 상기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의 게이트(gate) 단자에 전압(U)을 인가하도록, 그리고 상기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를 턴 오프(turn off)하기 위하여, 제1 전압 값(UB +)으로부터 제2 전압 값(UB -)으로 상기 전압(U)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어 디바이스(2)는, 상기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를 턴 오프하기 위해, 먼저, 상기 제1 전압 값(UB +)으로부터 불포화화(desaturation) 값(Usat)으로 상기 전압(U)을 감소시키도록, 그리고 그런 다음, 상기 불포화화 값(Usat)으로부터 상기 제2 전압 값(UB -)으로 상기 전압(U)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되며, 상기 불포화화 값(Usat)은 상기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의 핀치-오프(pinch-off) 전압(UP)을 초과하며, 상기 제어 디바이스(2)는 상기 제1 전압 값(UB +)을 갖는 전압(U)을 상기 게이트 단자에 인가하기 위한 제1 스위치(switch)(S1) 및 상기 제2 전압 값(UB -)을 갖는 전압(U)을 상기 게이트 단자에 인가하기 위한 제2 스위치(S2)를 가지며,
    상기 제어 디바이스(2)는, 상기 제1 스위치(S1) 및/또는 상기 제2 스위치(S2)를 주기적으로 활성화하도록, 그리고 상기 제1 스위치(S1)의 활성화 및/또는 상기 제2 스위치(S2)의 활성화를 위한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특정함으로써, 상기 전압(U)을 상기 불포화화 값(Usat)으로 세팅(set)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2).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2)는 특정 펄스(pulse) 지속기간(tP) 동안 상기 불포화화 값(USat)을 갖는 전압(U)을 상기 게이트 단자에 인가하도록 설계되는,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2).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2)는 턴-오프 프로세스(turn-off process) 동안 상기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의 상기 게이트 단자와 이미터(emitter) 단자 사이의 게이트-이미터 전압(UGE)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유닛(unit)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디바이스(2)는 상기 게이트-이미터 전압(UGE)에 기초하여 상기 펄스 지속기간(td)을 결정하도록 설계되는,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2).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2)는 상기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의 콜렉터(collector) 단자에서의 콜렉터 전류(IC)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디바이스(2)는 상기 콜렉터 전류(IC)에 기초하여 상기 불포화화 값(USat)을 결정하도록 설계되는,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2).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2)는 상기 제1 전압 값(UB +)을 갖는 전압(U), 상기 불포화화 값(USat)을 갖는 전압(U) 및 상기 제2 전압 값(UB -)을 갖는 전압(U)을 제공하기 위한 아날로그(analog) 증폭기(4)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2).
  6.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 및 상기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를 구동하기 위한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2)를 갖는,
    반도체 모듈(module)(3).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는 절연 게이트 단자를 갖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transistor)인,
    반도체 모듈(3).
  8.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어 디바이스(2)에 의하여, 상기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의 게이트 단자에 전압(U)이 인가되고, 그리고 상기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를 턴 오프하기 위하여, 상기 전압(U)은 제1 전압 값(UB +)으로부터 제2 전압 값(UB -)으로 감소되며, 상기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를 턴 오프하기 위하여, 상기 전압(U)은 먼저, 상기 제1 전압 값(UB +)으로부터 불포화화 값(Usat)으로 감소되고, 상기 전압(U)은 그런 다음, 상기 불포화화 값(Usat)으로부터 상기 제2 전압 값(UB -)으로 감소되며, 상기 불포화화 값(Usat)은 상기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의 핀치-오프 전압(UP)을 초과하며, 상기 제어 디바이스(2)는 상기 제1 전압 값(UB +)을 갖는 전압(U)을 상기 게이트 단자에 인가하기 위한 제1 스위치(S1) 및 상기 제2 전압 값(UB -)을 갖는 전압(U)을 상기 게이트 단자에 인가하기 위한 제2 스위치(S2)를 가지며,
    상기 제1 스위치(S1) 및/또는 상기 제2 스위치(S2)는 주기적으로 활성화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스위치(S1)의 활성화 및/또는 상기 제2 스위치(S2)의 활성화를 위한 듀티 사이클을 특정함으로써, 상기 전압(U)은 상기 불포화화 값(Usat)으로 세팅되는(set)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1)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
KR1020197024076A 2017-01-18 2017-11-07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 반도체 모듈 및 방법 KR102202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51987.9 2017-01-18
EP17151987.9A EP3352375A1 (de) 2017-01-18 2017-01-18 Steuereinrichtung zum ansteuern eines bipolaren schaltbaren leistungshalbleiterbauelements, halbleitermodul sowie verfahren
PCT/EP2017/078420 WO2018133962A1 (de) 2017-01-18 2017-11-07 Steuereinrichtung zum ansteuern eines bipolaren schaltbaren leistungshalbleiterbauelements, halbleitermodul sowie verfahr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412A true KR20190104412A (ko) 2019-09-09
KR102202671B1 KR102202671B1 (ko) 2021-01-12

Family

ID=5789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076A KR102202671B1 (ko) 2017-01-18 2017-11-07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 반도체 모듈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80602B2 (ko)
EP (2) EP3352375A1 (ko)
JP (1) JP6847264B2 (ko)
KR (1) KR102202671B1 (ko)
CN (1) CN110192344B (ko)
RU (1) RU2718412C1 (ko)
WO (1) WO20181339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34287B3 (de) 2022-12-21 2024-01-18 Semikron Elektronik Gmbh & Co. Kg Ansteuereinrichtung, Halbbrückenschaltungsanordnung damit und Verfahren dazu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066A (ko) * 1997-07-21 1999-02-18 윤종용 I g b t 이상 전류 제한회로
KR20150096908A (ko) * 2014-02-17 2015-08-26 삼성전기주식회사 구동 신호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소자의 구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464038A1 (ru) * 1972-06-02 1975-03-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Р-6510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транзисторов от перегрузок
DE3905645A1 (de) * 1989-02-21 1990-08-23 Licentia Gmbh Ansteuerverfahren zur verbesserung des ueberstromabschaltverhaltens von leistungshalbleiterschaltern mit mos-steuereingang
JPH0324818A (ja) * 1989-06-22 1991-02-01 Mitsubishi Electric Corp Fet駆動用ゲート回路
US5343141A (en) * 1992-06-09 1994-08-30 Cherry Semiconductor Corporation Transistor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DE10206392A1 (de) * 2002-02-15 2003-09-04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Optimierung des Abschaltvorgangs eines nichteinrastenden, abschaltbaren Leistungs-Halbleiterschalters
JP5163436B2 (ja) * 2008-11-12 2013-03-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半導体駆動装置
US8395873B2 (en) * 2010-06-09 2013-03-12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SSPC with dual fault detectors
JP5392578B2 (ja) * 2011-01-28 2014-01-2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装置
US9025294B2 (en) * 2012-02-24 2015-05-05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lid state circuit breakers
DE102012207147B4 (de) * 2012-04-27 2016-01-21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Ansteuern von Leistungshalbleiterschaltern
DE102012015787B3 (de) * 2012-08-08 2013-12-12 Fairchild Semiconductor Corp. Gepulster Gate-Treiber
US9172365B2 (en) * 2013-08-31 2015-10-27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circuit for controlling turnoff of a semiconductor switching element
JP6362996B2 (ja) 2014-10-24 2018-07-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駆動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WO2017104077A1 (ja) * 2015-12-18 2017-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デバイス駆動回路
US9748947B1 (en) * 2016-07-12 2017-08-29 Ge Energy Power Conversion Technology Ltd IGBT gate drive circuit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066A (ko) * 1997-07-21 1999-02-18 윤종용 I g b t 이상 전류 제한회로
KR20150096908A (ko) * 2014-02-17 2015-08-26 삼성전기주식회사 구동 신호 생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반도체 소자의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92344B (zh) 2023-07-18
US20190379373A1 (en) 2019-12-12
JP6847264B2 (ja) 2021-03-24
JP2020508015A (ja) 2020-03-12
WO2018133962A1 (de) 2018-07-26
RU2718412C1 (ru) 2020-04-02
EP3552310B1 (de) 2020-12-30
CN110192344A (zh) 2019-08-30
EP3552310A1 (de) 2019-10-16
US10680602B2 (en) 2020-06-09
KR102202671B1 (ko) 2021-01-12
EP3352375A1 (de)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4065B2 (en) Desaturation circuit for an IGBT
US7710187B2 (en) Gate drive circuit
US9397658B2 (en) Gate drive circui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transistor
US7830196B2 (en) Semiconductor device alleviating or preventing surge voltage
US4360744A (en) Semiconductor switching circuits
JP2001352748A (ja) 半導体スイッチング素子のゲート駆動回路
JP3447949B2 (ja) 絶縁ゲート型半導体素子のゲート駆動回路、電力変換装置
EP28011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semiconductor switching devices
KR20170078658A (ko) 이중-베이스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의 최적화된 동작을 갖는 회로, 방법 및 시스템
JP5724397B2 (ja) スイッチング素子の駆動回路
CN111342641A (zh) 一种功率开关器件的驱动电路及驱动系统
CN113507200A (zh) 一种功率变换器及其驱动电路
CN111869068B (zh) 开关装置以及开关装置的控制方法
CN108418187B (zh) 一种功率变换电路及其驱动电路和输出短路保护方法
CN111082791A (zh) 多输出栅极驱动器系统及其操作方法
KR102202671B1 (ko) 바이폴라 스위칭가능 전력 반도체 구성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 반도체 모듈 및 방법
Kim et al. Active clamping circuit to suppress switching stress on a MOS-gate-structure-based power semiconductor for pulsed-power applications
US5017802A (en) Base current regulation circuit for a switching transistor, in particular a bipolar transistor
CN111277120B (zh) 一种SiC MOSFET自适应驱动电路及自适应驱动方法
US20190260368A1 (en) Active gate bias driver
US20180316341A1 (en) Control device for transistors
KR20200143892A (ko) 전력변환장치용 스위칭소자의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5276386B (zh) 一种占空比限制电路、电机驱动电路及电机驱动方法
WO2024009133A1 (en) Short circuit protection of power switches
CN114987148A (zh) 加热系统及其控制方法与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