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196A - 안내 렌즈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안내 렌즈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196A
KR20190104196A KR1020197023190A KR20197023190A KR20190104196A KR 20190104196 A KR20190104196 A KR 20190104196A KR 1020197023190 A KR1020197023190 A KR 1020197023190A KR 20197023190 A KR20197023190 A KR 20197023190A KR 20190104196 A KR20190104196 A KR 20190104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aocular lens
support
optical
elastic material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오 이시카와
노리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4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1613Intraocular lenses having special lens configurations, e.g. multipart lense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pseudo-accommodative lenses, lenses having aberration corrections, diffractive lenses, lenses for variably absorb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lenses having variable fo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6Intraocular lenses
    • A61F2002/1681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 A61F2002/1683Intraocular lenses having supporting structure for lens, e.g. haptics having filiform ha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6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eye parts, e.g. intraocular lens, corn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지지부의 굴곡 시의 특성의 관점에서 적용 범위가 종래의 단독 안내 렌즈의 적용 범위보다도 넓은 안내 렌즈를 실현한다. 안내 렌즈를,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 광학부와, 광학부의 안내에 있어서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갖는 안내 렌즈로서, 지지부는, 연성재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탄성재로 형성되는 축부를 갖고, 축부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부에 의해 덮여 있고, 축부의 단부는 광학부로부터 이격하여 마련되어 있는 안내 렌즈로 한다.

Description

안내 렌즈 및 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백내장의 치료에 사용되는 안내 렌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눈이 백내장이 되면 수정체가 백탁되어 시계가 나빠진다. 그래서, 수술에 의해 백탁된 수정체를 제거하고, 원래 수정체가 담당하고 있던 굴절력을 다른 광학 소자로 보충하는 치료가 행해진다. 현재는, 인공 수정체, 소위 안내 렌즈를 수정체낭 내에 삽입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안내 렌즈는, 절곡 가능한 아크릴계 연성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고, 각막 또는 강각막에 마련된 절개창으로부터 안내 렌즈를 절첩하여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난시를 저감시킬 수 있는 토릭 안내 렌즈도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토릭 안내 렌즈는 각막 난시와 동등한 원주 굴절력을 갖는 안내 렌즈이다. 토릭 안내 렌즈는, 렌즈의 원주축을 각막의 난시축에 맞추어 삽입하는 것이나, 수술 후에 있어서도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지 않는 구조가 요구된다.
또한, 안내 렌즈는, 환자의 안구의 증례에 따라서 여러 종류가 존재하지만, 기본적으로 굴절력을 보충하는 광학부와, 안내 렌즈를 안내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로 구성되어 있다. 광학부와 지지부가 일체화된 안내 렌즈를 원피스형, 광학부와는 다른 소재의 지지부가 설치된 안내 렌즈를 멀티피스형이라 칭한다.
그리고, 환자 개체차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여 가능한 한 범용성이 높은 안내 렌즈를 제공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환자의 안구 내의 조직으로의 부담을 가능한 한 경감시키기 위한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8-8650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61-8754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300948호 공보
종래에 있어서는, 지지부의 굴곡 시의 특성을 근거로 하여, 환자의 안구 상태에 맞추어 처방할 수 있도록 원피스형과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를 준비해 둘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각종 안내 렌즈를 보관해두는 경우, 안내 렌즈의 사용 기한이 경과해버리거나, 각 안내 렌즈의 관리가 번잡해지거나, 보관 장소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거나 할 우려가 발생한다. 또한, 제조 회사에 있어서도, 제조하는 안내 렌즈의 종류에 따라서 다른 설비가 필요해지거나, 작업자나 재고가 증가하는 등, 제조 상의 관리나 비용의 관점에서 부담이 증가할 우려도 발생한다.
본건 개시의 기술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의 목적으로 하는 점은, 지지부의 굴곡 시의 특성의 관점에서 적용 범위가 종래의 단독 안내 렌즈의 적용 범위보다도 넓은 안내 렌즈를 실현하는 것이다.
본건 개시의 안내 렌즈는,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 광학부와, 광학부의 안내에 있어서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갖는 안내 렌즈로서, 지지부는, 연성재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탄성재로 형성되는 축부를 갖고, 축부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부에 의해 덮여 있고, 축부의 단부는, 광학부로부터 이격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안내 렌즈의 지지부는,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의 지지부보다도 탄성이 있고, 종래의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의 지지부보다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원피스형 또는 멀티피스형 중 한쪽 안내 렌즈에 비해 환자의 안구에의 적용 범위가 넓은 안내 렌즈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의 단면 2차 모멘트를, 지지부의 굴곡 시의 자연 상태로 복귀할 때의 회복 속도가, 연성재만으로 형성된 지지부의 굴곡 시의 자연 상태로 복귀할 때의 회복 속도와 탄성재만으로 형성된 지지부의 굴곡 시의 자연 상태로 복귀할 때의 회복 속도 사이의 회복 속도가 되는 단면 2차 모멘트로 해도 된다. 또한, 축부는, 지지부의 굴곡 시에 있어서 가장 굴곡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지지부의 선단측과 접합부측으로 연신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체부 중 축부를 덮는 부분에 있어서의 광학부의 광축 방향의 두께를, 지지부의 굴곡 시의 자연 상태로 복귀할 때의 회복 속도가, 연성재만으로 형성된 지지부의 굴곡 시의 자연 상태로 복귀할 때의 회복 속도와 탄성재만으로 형성된 지지부의 굴곡 시의 자연 상태로 복귀할 때의 회복 속도 사이의 회복 속도가 되는 두께로 해도 된다.
또한, 본건 개시의 안내 렌즈의 제조 방법은,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 광학부와, 광학부의 안내에 있어서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갖는 안내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연성재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탄성재로 형성되는 축부에 의해 지지부를 형성하고, 축부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부에 의해 덮여 있고, 축부의 단부는, 광학부로부터 이격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연성재의 모노머를 중합하여 탄성재를 위치 결정하는 가이드를 형성하고, 가이드에 의해 탄성재가 위치 결정된 후에, 연성재의 모노머를 중합하여 본체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는, 탄성재를 가교하는 가교부를 갖는 성형형의 가교부에 탄성재를 적재하고, 가교부에 탄성재가 적재된 후에, 연성재의 모노머를 중합하여 본체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체부를 형성한 후, 탄성재가 지지부에 포함되도록 위치 정렬을 행하여 중합된 연성재의 모노머를 잘라내도 된다.
본건 개시의 기술에 의하면, 지지부의 굴곡 시의 특성의 관점에서 적용 범위가 종래의 단독 안내 렌즈의 적용 범위보다도 넓은 안내 렌즈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의 (a), (b)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안내 렌즈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안내 렌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안내 렌즈의 지지부에 있어서의 압축 시의 응력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의 (a), (b)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안내 렌즈의 지지부에 있어서의 압축 시의 응력을 측정하는 측정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5의 (a) 내지 (c)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안내 렌즈의 제조 방법의 일례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안내 렌즈의 제조 방법의 일례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 (b)는 일 변형예에 관한 안내 렌즈의 제조 방법의 일례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 (b)는 일 변형예에 관한 안내 렌즈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안내 렌즈는, 환자의 안구의 증례에 따라서 여러 종류가 존재하고, 대략 원피스형과 멀티피스형의 2종류의 안내 렌즈로 분류할 수 있다. 광학부와 지지부가 일체화된 안내 렌즈를 원피스형, 광학부와는 다른 소재의 지지부가 설치된 안내 렌즈를 멀티피스형이라 칭한다. 원피스형 안내 렌즈는, 광학부와 지지부가 일체화되어 있는 점에서,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와 비교하여 이하의 장점과 단점이 있다.
(원피스형 안내 렌즈의 장점)
·1종류의 소재로 제조할 수 있다.
·소위 몰드 제법에 의한 생산을 실현하기 쉽다.
·지지부를 후속 공정에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공정의 간소화가 가능하여 생산 비용을 낮추기 쉽다.
·광학부 및 지지부의 두께가 얇은 안내 렌즈를 설계하기 쉽기 때문에, 소절개 창구에 삽입하기 쉽다.
·지지부의 유연성이 높기 때문에, 지지부가 안조직에 상처를 입힐 우려가 작다.
·지지부가 폭이 넓기 때문에, 안내 렌즈를 안구에 삽입하였을 때의, 안내 렌즈와 수정체낭의 접촉 면적이 커서, 낭 내에서 안내 렌즈의 위치가 어긋나기 어렵다.
(원피스형 안내 렌즈의 단점)
·지지부의 탄성이 낮고, 지지부가 굴곡할 때의 반발력에 의해 안조직을 누르는 힘이 작기 때문에, 안내에 있어서 안내 렌즈의 위치를 고정하는 힘이 약하다.
·지지부에 의해 광학부를 후낭에 압박하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광학부의 에지의 후낭에 대한 밀착성이 낮아져, 후발 백내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낮아진다.
·지지부의 점착성이 높기 때문에, 안내 렌즈를 안내에 삽입한 후에 다이얼링 등에 의한 정복(整復)을 행하기 어렵다(다이얼링이란, 안내 렌즈를 안내에 삽입한 후에, 안내 렌즈의 안내에서의 안정성을 높임과 함께, 완충재로서 안내에 주입된 점탄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안내 렌즈를 광학부의 광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것을 말한다.).
·후낭에 균열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지지부에 의해 안내 렌즈를 안내에서 안정시킬 수 없기 때문에, 채용할 수 없다.
·지지부가 파단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꿰매어 고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수정체가 큰 경우, 지지부의 굴곡이 불충분해져 안내 렌즈를 안내에 충분히 고정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안내 렌즈를 안내에 삽입할 때의 절첩 상태로부터의 회복이 늦어져, 시술자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경우가 있다.
·수술 중에 지지부와 수정체낭의 접촉이 불충분해져, 안내에서 안내 렌즈가 예기치 않게 회전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는, 원피스형 안내 렌즈와 비교하여 이하의 장점과 단점이 있다. 또한, 여기에서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는, 하나의 광학부에 2개의 지지부가 접속된 안내 렌즈를 가리킨다.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의 장점)
·지지부의 탄성이 높기 때문에, 지지부의 압축 시의 응력이 크다.
·지지부의 점착성이 낮다.
·지지부를 가는 직경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안내에 있어서 안내 렌즈가 수정체낭에 붙을 우려가 작기 때문에, 다이얼링 등에 의한 정복을 행하기 쉽다.
·지지부가 광학부를 후낭에 압박하는 힘이 크기 때문에, 후발 백내장의 억제 효과가 높다.
·후낭에 균열이 있을 경우나, 수정체낭이나 진소대가 무른 경우에도, 지지부와 안조직을 꿰맬 필요없이 안내에 삽입할 수 있다.
·지지부가 파단될 리스크가 낮아, 꿰매어 고정하기 쉽다.
·수정체가 커도, 지지부가 조금 굴곡되는 것만으로 큰 반발력이 얻어지기 때문에, 안내에 있어서 안내 렌즈를 고정할 수 있다.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의 단점)
·제조 시에 지지부를 광학부에 설치하는 부분의 두께를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소절개 창구에 삽입하는 안내 렌즈로서는 부적합할 가능성이 있다.
·지지부의 광학부로의 설치에는 숙련한 작업자에 의한 작업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지지부를 광학부에 설치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안내 렌즈를 안내에 삽입할 때, 절첩된 지지부가 갑자기 회복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익숙하지 않은 시술자가 안내 렌즈를 취급할 때에 환자의 안조직에 대한 부담이 커질 우려가 있다.
·수정체낭과의 밀착성이 낮기 때문에, 난시 저감용의 소위 토릭 안내 렌즈의 경우, 안내 렌즈를 안내에서 위치 정렬할 때에 회전하여 위치가 어긋나버리기 쉽다.
이상과 같이, 원피스형 안내 렌즈와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에는, 각각 장점과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가능한 한 소절개 창구에 안내 렌즈를 삽입할 것을 요구하는 경우나 수술의 경험이 적은 시술자가 수술을 행하는 경우에는 원피스형 안내 렌즈를 채용하고, 안내 렌즈의 안내에서의 안정성을 요구하는 경우나 상기 단점의 관점에서 수정체낭의 상태가 염려되는 경우에는,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를 채용하도록 하여, 환자의 안구 상태나 수술의 상황에 따라서 안내 렌즈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원피스형 안내 렌즈의 장점과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의 장점을 겸비한, 즉 탄성과 유연성이 모두 높은 안내 렌즈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내 렌즈(10)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의 (a)는, 안내 렌즈(1)를 광학부(11)의 광축 AX에 평행인 방향으로 본 도면이며, 도 1의 (b)는, 안내 렌즈(1)를 광학부(11)의 광축 AX에 수직인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안내 렌즈(10)는,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 광학부(11)와 광학부(11)를 안구 내에서 유지하기 위한 긴 평판 형상의 2개의 지지부(12)를 갖는다. 또한, 지지부(12)는, 광학부(11)와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본체부(121)를 갖는다. 또한, 지지부(12)는 본체부(121)에 덮인 축부(122)를 갖는다. 광학부(11) 및 지지부(12)는, 접합부(13)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축부(122)는, 지지부(12)가 수정체낭에 맞닿거나 하여 압축 하중을 받아 굴곡되었을 때에 가장 굴곡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지지부(12)의 선단측과 접합부(13)측으로 연신되어 있다.
일례로서, 도 1의 (a)에 있어서, 지지부(12)가 압축 하중을 받아서 굴곡되었을 때에 가장 굴곡되는 영역(14)을 점선의 원으로 나타낸다. 안내에 있어서, 지지부(12)에 가해지는 외력은 국소적이지 않고, 역점을 중심으로 한 동심원상으로 동등한 힘이 걸린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생각하면, 지지부(12)에 있어서, 외력이 가해지기 이전부터 가장 굴곡되어 있는 영역이 가장 구부러지기 쉬운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2)에 있어서 가장 구부러지기 쉬운 영역은, 지지부(12)를 구성하는 연성재(상세는 후술)의 단면적이 가장 작아지는 영역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광학부(11) 및 지지부(12)의 본체부(121)의 소재로서는, 연성재가 사용된다. 여기서 연성재란, 유연성이 높고, 변형되어도 용이하게 회복되지 않는 소재를 가리킨다. 일례로서, 연성재는 소수성 아크릴계 소재, 친수성 아크릴계 소재, 실리콘 소재를 들 수 있다. 또한, 축부(122)의 소재로서는, 탄성재가 사용된다. 여기서 탄성재란, 용이하게 변형되지만, 변형 시에 발생하는 반발력이 크고, 형상 기억성이 높은 소재를 가리킨다. 일례로서, 탄성재는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소재, 고무 소재, 폴리이미드 소재를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내 렌즈(10)에 있어서, 축부(122)의 단부(123)가 광학부(11)로부터 이격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축부(122)의 단부(123)가 광학부(11)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면, 광학부(11)의 주변부, 즉 광학부(11)와 지지부(12)의 연결 부분인 접합부(13)에 축부(122)가 연장되지 않도록 마련해도 되고, 축부(122)의 일부가 접합부(13)에 연장되게 마련해도 된다. 종래의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에 있어서는, 지지부를 광학부에 접속하기 위해서, 광학부와 지지부의 접합부(본 실시 형태의 접합부(13)에 상당)의 두께를 확보하는, 즉 광축 AX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적을 크게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내 렌즈(10)에 의하면, 축부(122)를 광학부(11)에 접속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접합부(13)는 광학부(11)와 본체부(121)의 접속이 확보될 만큼의 두께를 가지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내 렌즈(10)에 의하면, 종래의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의 접합부에 비해 보다 박형의 접합부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내 렌즈(10)는 종래의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에 비해 보다 소절개 창구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안내 렌즈라고 할 수 있다.
이어서, 안내 렌즈(10)의 지지부(12)의 압축 시의 응력에 대하여 설명한다. 안내 렌즈를 안내에 있어서 고정하기 위해서는, 안내 렌즈가 안조직을 누르는 힘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안내 렌즈는 자율적으로 이동할 수는 없기 때문에, 외력을 받아서 발생하는 힘, 즉 지지부가 굴곡할 때에 발생하는 지지부의 탄성력이나 지지부의 압축 시의 응력인 지지부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안내 렌즈를 안내에 있어서 고정한다.
도 2에, 안내 렌즈(10)를 안내에 있어서 고정할 때에 발생하는 힘에 대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안내에 있어서, 안내 렌즈(10)의 지지부(12)가 굴곡된 상태로 안조직(수정체낭 등)에 맞닿는다. 이 때, 지지부(12)에는 안조직으로부터 압축 하중이 가해진다. 지지부(12)에는 압축 하중에 대한 응력이 발생함과 함께, 굴곡하는 것에 의한 탄성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지지부(12)로부터 안조직에 대해서는, 이들 응력이나 탄성력이 지지부(12)의 반발력으로서 발생한다. 또한, 일반적인 안내 렌즈와 동일하게, 안내에 있어서 안내 렌즈(10)의 지지부(12)는 광학부(11)로부터 각막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안내 렌즈(10)의 지지부(12)가 직경 방향, 즉 광학부(11)의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압축되면, 상기 지지부(12)의 반발력에 의해 광학부(11)가 후낭 방향으로 부세(付勢)되는 힘이 발생한다. 그리고, 광학부(11)는 지지부(12)의 반발력에 의해 후낭측에 부세됨으로써 안내 렌즈(10)가 안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안내 렌즈(10)가 안내에 있어서 고정하기 쉬운 안내 렌즈인지 여부는, 지지부(12)의 탄성력이나 압축 시의 응력의 크기에 의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지부의 탄성력이나 압축 시의 응력의 크기는, 원피스형 안내 렌즈보다도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 쪽이 크다. 본 실시 형태의 안내 렌즈(10)에 의하면, 지지부(12)가 본체부(121)와 축부(122)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12)의 압축 시의 응력이, 지지부(12)를 본체부(121)만으로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의 지지부의 압축 시의 응력보다도 크고, 지지부(12)를 축부(122)만으로 구성하고, 축부(122)를 광학부에 직접 접속한 경우에 있어서의 지지부의 압축 시의 응력보다도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안내 렌즈(10)에 의하면,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의 지지부에 의한 압축 시의 응력보다도 크고, 종래의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의 지지부에 의한 압축 시의 응력보다도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3에, 상기와 같이 지지부(12)가 본체부(121)와 축부(122)를 갖는 안내 렌즈(10)를 시작(試作)한 샘플에 있어서의 지지부(12)와,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의 샘플에 있어서의 지지부와, 종래의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의 샘플에 있어서의 지지부에서, 압축 시의 압축 하중을 비교한 그래프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한, 도 4의 (a), (b)에, 도 3의 그래프를 작성하기 위해 사용한 측정 방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ISO11979-3의 압축 하중 시험에 준거하여 측정한다. 본 측정에서는, 안내 렌즈(20)의 2개의 지지부(21)를 측정기(30)에 맞닿게 하고, 안내 렌즈(20)를 측정기(30)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기(30)는 일반적인 안내의 수정체낭을 본뜬 원호상의 면(31)을 갖고, 안내 렌즈(20)의 지지부(21)의 일부가 면(31)에 맞닿는다. 또한, 측정기(30)의 본체부(32)는 안내 렌즈(20)의 광축 CX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체부(32)가 이동함으로써, 본체부(32)의 변위에 따른 압축 하중이 면(31)으로부터 지지부(21)에 가해진다. 본체부(32)는 예를 들어 로드셀 등에 접속되어 있고, 본체부(32)의 변위에 따라서 지지부(21)가 변형됨으로써 발생하는 지지부(21)로부터의 응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한 응력부터 도 3에 예시하는 그래프가 얻어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지지부가 외력을 받았을 때에 발생하는 반발력을 압축 하중이라 칭한다.
도 3의 그래프 중, 횡축의 숫자는 샘플의 번호를 나타내고, 샘플 번호 A1 내지 A5는 본 실시예인 축부(122)를 갖는 샘플을, C1 내지 C3은 동일한 제법으로 제작한 축부(122)를 갖지 않는 시작품을, 샘플 번호 「1P」는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의 샘플을, 샘플 번호 「3P」는 종래의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의 샘플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그래프 중, 종축은 압축 하중의 측정값(mN)을 나타낸다. 또한, 안내 렌즈(10)를 시작한 샘플에 있어서의 형상은, 광학부(11)의 렌즈 두께는 0.7mm 내지 0.9mm, 지지부 및 광학부를 포함하는 전체 길이는 13.0mm, 지지부의 두께는 0.35mm, 지지부의 폭은 0.3mm 내지 0.8mm이며,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와 동등하기 때문에,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를 삽입하는 경우와 동등한 크기의 절개창에 본 실시 형태의 안내 렌즈를 삽입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도 3에 나타내는 그래프로부터, 샘플 번호가 A1 내지 A5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내 렌즈(10)의 샘플에 관한 지지부(12)에 의하면,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샘플 번호 「1P」)의 지지부보다 압축 하중의 수치가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샘플 번호가 A1 내지 A5인 샘플에 관한 지지부(12)에 의하면, 종래의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의 지지부보다는 압축 하중의 수치가 작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안내 렌즈(10)의 지지부(12)의 압축 하중은,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의 지지부와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의 지지부 중간 압축 하중으로 되어 있다. 이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축부를 갖는 안내 렌즈는,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와 동일한 외형이지만, 압축 하중이 크고, 안내에서의 고정이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종래의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와 같이 탄성이 너무 강하여 다루기 어렵다는 점도 개선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지지부(12)의 본체부(121)를 형성하는 연성재의 단면 2차 모멘트의 관점에서 보면,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의 지지부에 비교하여 충분한 단면 2차 모멘트를 갖도록 본체부(121)가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단면 2차 모멘트란, 소위 보 부재 등의 부재에 있어서, 굽힘 모멘트에 대한 변형하기 어려움을 나타내는 양이다. 부재의 단면이 변화되면 단면 2차 모멘트의 값도 변화된다. 한편,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제작한 샘플 C1 내지 C3은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와 동등한 압축 하중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 채용하는 제법으로도 축부가 없으면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와 동일한 안내 렌즈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내 렌즈의 각 샘플의 지지부를 실제 수술 시와 같이 절첩된 상태로부터 자연 상태로 회복할 때까지의 시간을 눈으로 보아 확인한 바,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의 지지부보다도 짧고, 종래의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의 지지부보다 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내 렌즈의 각 샘플의 지지부의 회복 속도는, 수술 중이라도 시술자의 시술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없다고 생각되는 속도였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내 렌즈의 각 샘플의 지지부가 자연 상태로 회복되지 않는 현상을 확인할 수 없었다.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에서는, 지지부가 갖는 점착성이 원인으로 자연 상태로 회복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점을 근거로 하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내 렌즈의 안내에서의 안정성은,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보다 높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내 렌즈의 각 샘플에 있어서의 안내 렌즈 전체의 체적은,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와 동등한 점에서,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용 삽입 기구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내 렌즈도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어서, 도 5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내 렌즈(10)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2매의 투명한 평면 유리판, 심링(두께: 0.1mm 내지 0.3mm), 탄성재로서 상기한 소재,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의 제조에 사용되는 수지형(樹脂型), 연성재로서 상기한 소재의 모노머를 사용한다.
먼저, 1매의 평면 유리 상에 심링을 적재하고, 심링의 개구 내에 탄성체를 적재한다. 또한, 심링의 두께는, 탄성재의 두께보다 크고, 안내 렌즈의 제조가 완료될 때에 있어서의 지지부의 두께의 3분의 2 이하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심링은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어서, 연성재의 모노머를 심링의 개구 내에 주입하고, 또 1매의 평면 유리를, 평면 유리로 심링을 사이에 두도록 적재한다. 이 때, 모노머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탄성재가 심링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심링을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평면 유리의 위로부터 자석으로 심링을 이동시켜 위치 정렬할 수도 있다.
이어서, 연성재의 모노머가 중합을 개시하는 온도 환경 하에 보관하고, 모노머를 중합시킨다. 도 5의 (a)에, 모노머를 중합시킬 때의 상기 각 부재의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매의 평면 유리(100, 110) 사이에, 심링(200), 연성재의 모노머(300), 탄성재에 의해 형성된 축부(400)가 각각 끼워져 있다. 또한, 탄성재에 의해 형성된 축부(400)가, 안내 렌즈의 제조 완료 시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의 축부(122)가 된다. 이 때, 2매의 평면 유리(100, 110)를 자석으로 끼워서 고정시킴으로써, 모노머의 중합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모노머의 중합이 완료된 후, 축부를 포함하는 중합한 모노머의 시트를 적당한 형태로 잘라낸다. 일례로서,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합이 완료된 모노머(300)로부터 점선으로 나타내는 형상으로 축부(400)를 포함하는 시트(410)를 잘라낸다. 그리고, 잘라낸 시트(410)를 수지형의 하형 내에 적재한다. 수지형 내에는 안내 렌즈의 지지부용으로 마련된 영역이 있고, 당해 영역에 시트(410)를 적재한다. 여기서, 적재하는 시트(410)의 상하에 대해서는, 지지부가 표면에 폭로되어 있는 면이 위가 되게 시트(410)를 적재한다. 이에 의해, 다음 공정에서 연성재의 모노머를 주입함으로써, 탄성재 전체를 연성재로 덮을 수 있다. 또한, 시트(410)의 상하를 반대가 되게 하여 적재해도 되고, 이 경우, 탄성재가 연성재에 덮여 있지 않은 부분이 아래가 되기 때문에, 다음 공정에서 연성재의 모노머를 주입해도, 탄성재는 연성재에 덮여 있지 않은 부분이 남는 상태가 된다. 시트(410)의 상하를 어떻게 할지는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도 5의 (c)에 수지형(500)에 탄성재(400, 401)를 포함하는 시트(410, 411)를 적재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한, 탄성재(401)와 시트(411)는 탄성재(400)와 시트(410)와 동일하게 제작한다.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 렌즈의 광학부의 제작 영역(510)을 사이에 두도록 탄성재(400)를 포함하는 시트(410)가 적재된다. 또한, 수지형에는, 시트(410)를 적재할 때의 위치 정렬을 지원하기 위해서, 안내 렌즈를 구성하지 않는 부분에 돌기나 둑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안내 렌즈의 외형을 가공할 때에 가공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수지형의 플랜지 영역에 표시가 되는 마크가 붙어 있어도 된다.
이어서, 연성재의 모노머를 수지형 내부에 주입하고, 수지형의 상형을 씌워서 밀폐한다. 이 때, 모노머에 기포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에서 적재한 탄성재의 시트의 위치가 모노머에 눌려서 어긋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연성재의 모노머가 중합하는 온도 환경 하에 보관하고, 중합을 완료시킨다.
모노머의 중합이 완료된 후, 수지형으로부터 안내 렌즈의 형상에 맞추어 잘라낸다. 이 때, 탄성재가 지지부에 포함되도록 위치 정렬을 행한다. 이 위치 정렬은, 상기 위치 정렬용 표시가 수지형에 있으면,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잘라낸 안내 렌즈는,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의 제작 공정을 거쳐, 본 실시 형태의 안내 렌즈가 완성된다.
이어서, 도 6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내 렌즈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본 실시 형태의 안내 렌즈의 제조에 준비된 수지형(상형, 하형), 탄성재로서 상기한 소재, 연성재로서 상기한 소재의 모노머를 사용한다. 또한, 수지형의 하형에는 각 소재의 위치 정렬을 위한 표시가 붙어 있다. 또한, 수지형의 상형에는, 지지부를 형성하는 탄성재의 위치 결정에 사용되는 가이드가 마련되어 있다.
먼저, 수지형의 하형에, 탄성재의 위치 결정용 가이드를 연성재의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형성한다. 상형에는, 하형에 주입되는 모노머를 가이드의 형상으로 중합시키도록 형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의 형상은, 나중에 행하는 연성재의 모노머 중합을 행하기 쉽고, 탄성체의 위치를 한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는 하형 내의 지지부의 제작 영역에 마련된다. 또한, 가이드의 적재면으로부터의 높이는, 탄성재의 두께보다 높고, 제조하는 안내 렌즈의 본체부의 두께보다 낮아지도록 설정한다. 또한, 탄성재를 적재하는 영역에는, 중합하는 연성재의 두께가 예를 들어 0.1mm 이상이 되도록 가이드를 형성한다. 또한, 가이드용 모노머를 중합할 때, 하형 내의 광학부의 제작 영역 내에 연성재가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왜냐하면, 가이드용으로 중합한 모노머도, 나중에 행하는 연성재의 모노머 중합 시에 모노머를 덮는 다른 상형의 표면을 경면으로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광학부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수지형의 하형에, 가이드의 형이 형성된 상형을 중첩하고, 모노머의 중합이 완료되어 가이드가 형성되면, 상형을 하형으로부터 떼어내고, 가이드를 사용하여 탄성체를 하형에 적재한다.
도 6의 (a)에, 상기 수지형의 하형(900)에 연성재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600 내지 603), 하형(900)에 적재된 탄성재(700, 701), 광학부를 형성하는 연성재(800)를 나타낸다.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형의 상면에서 보아 가이드(600 내지 603) 사이에 끼워지도록 탄성재(700, 701)가 적재되어 있으며, 탄성재(700, 701)가 가이드(600 내지 603)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탄성재(700, 701)는, 안내 렌즈(10)의 축부(122)가 되고, 광학부(11)를 형성하는 연성재(80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 후의 안내 렌즈(10)에 있어서 축부(122)가 광학부(11)로부터 이격하여 마련되는 구성이 실현된다.
이어서, 연성재의 모노머를 주입하고, 다른 상형으로 하형을 덮고, 모노머의 중합을 행한다. 도 6의 (b)에, 하형(900)에 있어서, 당해 모노머의 중합이 완료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의 (a)에 있어서 형성된 가이드(600 내지 603)는, 그 주위에 모노머가 주입되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는 소실되어 있다. 모노머의 중합이 완료된 후, 안내 렌즈를 잘라내기 위한 위치 정렬을 하고 나서 안내 렌즈의 외형을 잘라낸다. 도 6의 (c)에, 하형(900)으로부터 잘라내지는 안내 렌즈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형(900)으로부터는, 중합에 의해 형성된 탄성재(700, 701) 및 광학부를 형성하는 연성재(800)를 포함하는 영역의 모노머가 잘라내진다. 또한, 탄성재(700, 701)를 둘러싸는 영역은, 지지부(12) 및 접합부(13)가 형성될 만큼의 여유를 가지고 잘라내진다. 잘라낸 안내 렌즈는,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의 제작 공정을 거쳐, 본 실시 형태의 안내 렌즈가 완성된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안내 렌즈(10)의 지지부(12)는, 탄성재에 의해 형성된 축부(122)와 연성재(800)에 의해 형성된 본체부(121)를 갖고, 본체부(121)는 축부(122)를 덮도록 마련됨과 함께, 지지부(12)와 광학부(11)의 접합부(13)에는, 축부(122)가 광학부(11)로부터 이격하여 마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12)가 굴곡할 때에 발생하는 반발력은,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의 지지부의 반발력과 종래의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의 지지부의 반발력 사이의 크기의 반발력이 된다. 이 결과, 상기에 예시하는 단점을 고려하면 종래의 원피스형 안내 렌즈 또는 종래의 멀티피스형 안내 렌즈의 채용이 어려운 경우에도, 지지부의 탄성력이나 압축 시의 응력 등의 관점에서, 본 실시 형태의 안내 렌즈(10)를 환자의 안구의 조건에 따라서 적합한 안내 렌즈로서 채용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설명이지만, 상기 안내 렌즈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동일성을 잃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 상기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의 변형예에 대하여 도 7의 (a), (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의 (a), (b)에, 하형의 상면에서 볼 때 및 측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도면을 모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가이드(600 내지 603) 대신에 지지부(12)의 축부(122)가 되는 탄성재를 지지하는 가교부(1300 내지 1303)가 하형(1200)에 마련되어 있다. 가교부(1300 내지 1303)는, 예를 들어 가이드(600 내지 603)와 동일하게 연성재의 모노머를 중합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가교부(1300, 1301)에 탄성재(1000)가 적재되고, 가교부(1302, 1303)에 탄성재(1001)가 적재된다. 이렇게 탄성재(1000, 1001)가 가교부(1300 내지 1303)에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와 동일하게 연성재의 모노머를 주입 및 중합함으로써, 안내 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도 8의 (a), (b)에, 본 변형예에 있어서 제조된 안내 렌즈(1500)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탄성재(1000, 1001)의 가교부(1300 내지 1303)에 맞닿는 부분에는, 연성재가 주입되지 않기 때문에, 제조 후의 안내 렌즈(1500)의 지지부(1400)에는, 축부(122)가 본체부(121)에 덮여 있지 않은 부분(1401 내지 1404)을 갖는다. 본 변형예에서는, 축부(122)의 일부에 마련되는 본체부(121)에 덮여 있지 않은 부분의 수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지지부(1400)의 압축 시의 응력 등의 반발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축부(122)의 본체부(121)에 덮여 있지 않은 부분(1401 내지 1404)은, 지지부(1400)가 굴곡할 때에 가장 굴곡하는 부분 이외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광학면을 몰드 제법으로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중합 후에 광학면을 가공함으로써 광학면을 형성해도 된다.
10 안내 렌즈
11 광학부
12 지지부
121 본체부
122 축부
13 접합부
500, 900, 1200 수지형
1300 내지 1303 가교부
1401 내지 1404 본체부에 덮여 있지 않은 부분

Claims (8)

  1.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 광학부와, 상기 광학부의 안내에 있어서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갖는 안내 렌즈로서,
    상기 지지부는, 연성재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탄성재로 형성되는 축부를 갖고,
    상기 축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부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축부의 단부는 상기 광학부로부터 이격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상기 지지부의 굴곡 시의 자연 상태로 복귀할 때의 회복 속도가, 상기 연성재만으로 형성된 지지부의 굴곡 시의 자연 상태로 복귀할 때의 회복 속도와 상기 탄성재만으로 형성된 지지부의 굴곡 시의 자연 상태로 복귀할 때의 회복 속도 사이의 회복 속도가 되는 단면 2차 모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렌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기 지지부의 굴곡 시에 있어서 가장 굴곡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선단측과 상기 광학부측으로 연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렌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중 상기 축부를 덮는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광학부의 광축 방향의 두께가, 상기 지지부의 굴곡 시의 자연 상태로 복귀할 때의 회복 속도가, 상기 연성재만으로 형성된 지지부의 굴곡 시의 자연 상태로 복귀할 때의 회복 속도와 상기 탄성재만으로 형성된 지지부의 굴곡 시의 자연 상태로 복귀할 때의 회복 속도 사이의 회복 속도가 되는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렌즈.
  5. 소정의 굴절력을 갖는 광학부와, 상기 광학부의 안내에 있어서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갖는 안내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연성재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탄성재로 형성되는 축부에 의해 상기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축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부에 의해 덮여 있고,
    상기 축부의 단부는 상기 광학부로부터 이격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렌즈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재의 모노머를 중합하여 상기 탄성재를 위치 결정하는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에 의해 상기 탄성재가 위치 결정된 후에, 상기 연성재의 모노머를 중합하여 상기 본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렌즈의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를 가교하는 가교부를 갖는 성형형의 상기 가교부에 상기 탄성재를 적재하고,
    상기 가교부에 상기 탄성재가 적재된 후에, 상기 연성재의 모노머를 중합하여 상기 본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렌즈의 제조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형성한 후, 상기 탄성재가 상기 지지부에 포함되도록 위치 정렬을 하여 상기 중합된 연성재의 모노머를 잘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렌즈의 제조 방법.
KR1020197023190A 2017-01-20 2018-01-29 안내 렌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901041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08924A JP6937122B2 (ja) 2017-01-20 2017-01-20 眼内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PCT/IB2018/000036 WO2018134674A1 (ja) 2017-01-20 2018-01-29 眼内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196A true KR20190104196A (ko) 2019-09-06

Family

ID=6290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190A KR20190104196A (ko) 2017-01-20 2018-01-29 안내 렌즈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358026A1 (ko)
EP (1) EP3572041A4 (ko)
JP (1) JP6937122B2 (ko)
KR (1) KR20190104196A (ko)
CN (1) CN110325150A (ko)
SG (1) SG11201906674UA (ko)
WO (1) WO2018134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1699B2 (en) 2021-08-05 2024-04-09 Amo Groningen B.V. Method and assembly for forming an intraocular le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7546A (ja) 1984-07-13 1986-05-02 チヤ−ルズ デイ−.ケルマン 眼内レンズ
JPH01300948A (ja) 1988-05-31 1989-12-05 Canon Inc 眼内レンズ
JP2008086508A (ja) 2006-09-29 2008-04-17 Hoya Corp 眼内観察用レンズ装置及び眼内観察用レンズ保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8282A (en) * 1997-06-13 1999-07-27 Bausch & Lomb Surgical, Inc. Intraocular lens
US6942695B1 (en) * 1999-04-05 2005-09-13 Wessley-Jessen Corporation Biomedical devices with polyimide coating
US6200344B1 (en) * 1999-04-29 2001-03-13 Bausch & Lomb Surgical, Inc. Inraocular lenses
US6190410B1 (en) * 1999-04-29 2001-02-20 Bausch & Lomb Surgical, Inc. Intraocular lenses
US20060064162A1 (en) * 2004-09-17 2006-03-23 Klima William L 333Intraocular lens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7546A (ja) 1984-07-13 1986-05-02 チヤ−ルズ デイ−.ケルマン 眼内レンズ
JPH01300948A (ja) 1988-05-31 1989-12-05 Canon Inc 眼内レンズ
JP2008086508A (ja) 2006-09-29 2008-04-17 Hoya Corp 眼内観察用レンズ装置及び眼内観察用レンズ保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83197A (ja) 2018-11-22
JP6937122B2 (ja) 2021-09-22
EP3572041A4 (en) 2020-10-14
WO2018134674A1 (ja) 2018-07-26
CN110325150A (zh) 2019-10-11
WO2018134674A8 (ja) 2018-11-01
EP3572041A1 (en) 2019-11-27
US20190358026A1 (en) 2019-11-28
SG11201906674UA (en)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8442B2 (en)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JP6441815B2 (ja) 調節式軟質コンタクトレンズ
JP4763753B2 (ja) 遠近調節可能な眼内レンズシステム
JP3662256B2 (ja) T字形の結合部を有する遠近調節型の眼内レンズ
JP6466854B2 (ja) 二放射患者インターフェース
EP2221024B1 (en) Intraocular lens configured to offset optical effects caused by optic deformation
JP2019133202A (ja) 調節式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プロセス
TW201632151A (zh) 雙鏡片、曲率變化調節式iol
JPH0723989A (ja) 変形可能な眼内レンズ
KR20090045308A (ko) 다중 렌즈형 안내 렌즈 시스템
CN105250051B (zh) 人工晶体植入器具和人工晶体植入系统
KR102493628B1 (ko) 순응형 안내 렌즈
JP3297685B2 (ja) 軟性眼内レンズ
EP2762951A1 (en) Contact lens having peripheral high modulus zones
KR20190104196A (ko) 안내 렌즈 및 그의 제조 방법
AU201431151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hthalmic lens including ultra-thin optical parts and such lens
CN116056666B (zh) 调节性人工晶状体
WO2009153873A1 (ja) 軟性眼内レンズ
RU2757562C2 (ru) Торическая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за
JP5686486B2 (ja) 軟性眼内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30041330A1 (en) Intraocular secondary lens and application methods thereof that can be adhered on the intraocular lens in pseudophakic eyes
US20220151769A1 (en)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KR20180133451A (ko) 피막절개 고정을 위한 스위블 촉각부를 구비한 후안방 안구내 렌즈
CN114423380A (zh) 人工晶状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