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3662A - 유화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화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3662A
KR20190103662A KR1020180024354A KR20180024354A KR20190103662A KR 20190103662 A KR20190103662 A KR 20190103662A KR 1020180024354 A KR1020180024354 A KR 1020180024354A KR 20180024354 A KR20180024354 A KR 20180024354A KR 20190103662 A KR20190103662 A KR 20190103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eight
parts
cosmetic composit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2592B1 (ko
Inventor
김기백
우영화
지진구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4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59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3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3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중수형 유화 메이크업 제품에서의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광택력 및 보습력이 뛰어난 타입의 제형을 제공하는 유화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 100 중량부; 및 상기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0.25 내지 400 중량부, 트리데실트리멜리테이트(Tridecyl Trimellitate) 0.15 내지 200 중량부 및 폴리부텐(Polybutene) 0.03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화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Emulsion Typ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유화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 뛰어난 광택력 및 오랜 시간 수분감을 지속하여 주는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는 그 제형의 형태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유성 성분, 색상 부여와 피부 결점을 커버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우더 성분, 경도 및 제형 안정화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왁스 및 오일 성분, 그리고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수용성 성분을 포함한다.
특히 립 메이크업 제품은 왁스 및 오일 성분으로 구성된 제품이 상당수인데, 그 중 일반적인 스틱 타입의 고체형 립 메이크업 제품은 일정 수준의 경도를 얻기 위해 왁스나 에스테르계·탄화수소계 등의 오일류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그러나 이는 조성물을 매트(matt)하고 불투명하게 하며, 제품의 광택력을 떨어뜨리는 경향이 있다.
입술은 신체 부위 중 가장 움직임이 많은 부위이며,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대기조건이나 기후조건 등의 외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입술은 피지선이 없으며, 각질층이 극히 얇고 표층이 각화하지 않는 등 인체의 다른 피부들과는 상당히 다른 특징이 있다. 입술은 인체의 다른 피부에 비하여 수분 증발 속도가 빠르고 수분량이 낮다.
따라서, 수분을 오래 지속시켜 주며, 우수한 광택력을 유지할 수 있는 립 메이크업 제품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유화타입의 제형은 유중수(W/O) 유화형과 수중유(O/W) 유화형으로 분류되는데, 이 두 가지 모두 유상부와 수상부의 장점을 겸비하여 촉촉한 수분감 및 오일 성분의 효과를 지니고 있으므로, 상기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에 적합한 제형이다.
유화타입 제형 중 수중유형의 경우, 외상(outer phase)부인 수상부에 의해 오일을 분산시킨 것으로, 초기 도포시 청량감을 주며 발림성이 가벼운 특징을 지니고 있어 많이 사용되었으나, 내수성이 떨어지며 광택력 및 보습 지속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중수형의 사용이 증가되었다.
유중수형의 경우 외상인 오일에 내상(inner phase)인 물을 분산·유화시킨 것으로, 내수성이 강하고 보습 지속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사용감이 무겁고 번들거리며 유화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어, 통상적으로 유중수형 제형을 립 메이크업용으로 개발 시 안정도가 취약하며 유화 분리 현상, 변색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화 안정도를 향상시키고 분리 및 변색 등의 문제를 해결한 유중수(W/O)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트리데실트리멜리테이트(Tridecyl Trimellitate), 폴리부텐(Polybutene)을 함유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물 100 중량부,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0.25 내지 400 중량부, 트리데실트리멜리테이트 0.15 내지 200 중량부 및 폴리부텐 0.03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트리데실트리멜리테이트, 폴리부텐 외에 실리카(Silica) 및/또는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리카는 0.15 ~ 50 중량부, 안료는 0.025 ~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조성물은 폴리글리세린-3(Polyglycerin-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그 함량은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5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화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유중수형 유화 메이크업 제품에서의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광택력 및 보습력이 뛰어나며, 기존 메이크업 화장료의 상 제형 분리 및 변색 등의 문제를 해결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및 비교예 조성물의 시간에 따른 피부 수분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 및 비교예 조성물의 도포 전, 후의 광택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하기 비교예는 종래의 유중수(W/O) 제형이며,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징을 갖는 개선된 유중수 제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물의 함량이 높아 보습력 및 수분감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트리데실트리멜리테이트 및 폴리부텐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각 성분은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0.25 ~ 400 중량부, 트리데실트리멜리테이트 0.25 ~ 200 중량부, 및 폴리부텐 0.25 ~ 10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이 0.2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유중수(W/O)제형의 특징 중 하나인 광택력과 밀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40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점도가 매우 높아져 발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트리데실트리멜리테이트가 0.15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수분증발로 인해 보습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20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과량 사용으로 인하여 뭉쳐 발리며, 유화 안정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폴리부텐이 0.03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입술 밀착력이 떨어져 뭉쳐 발리며, 화장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100 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무거운 사용감으로 인하여 발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트리데실트리멜리테이트, 폴리부텐 외에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5 ~ 50 중량부의 실리카 및/또는 0.025 ~ 50 중량부의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폴리글리세린-3를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5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1.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및 비교예 1~3의 제조>
실시예 및 비교예 1~3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각 유상부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75~80℃의 온도에서 디스퍼(disper)를 이용하여 1000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또한 수상부 역시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각 수상부를 비이커에 계량하여 혼합한 후 80℃의 온도에서 디스퍼를 이용하여 1000rpm으로 3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후 유·수상부를 혼합 후 호모믹서(Homo Mixer)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20분간 혼합하였다. 그 다음 기포를 제거하고 냉각하여 각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경우, 동일한 제형의 유중수 타입 유화 제형 비교를 진행한 것이다.
비교예 1은 주요 구성 원료의 함량을 달리하여 테스트한 결과이며, 비교예 2 및 3의 경우 기존 자사 유중수 타입 제형으로 테스트한 것이고, 상기 비교예의 제조과정은 실시예와 유사하다.
비교예 3의 경우 제조 후 관능적 평가를 하였을 때 내용물이 뭉치며 발리는 현상이 심하였고, 색소 번짐 현상이 두드러지게 확인되었다. 또한 제형적 안정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제품화에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어 점도 및 pH 측정외에 추가적인 테스트는 제외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사용감, 밀착력, 및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상세한 평가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2.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이용하여 pH 및 점도를 비교 평가 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샘플들을 25℃ 항온조에 24시간 보관 후, 브룩필드사의 LVT 점도계 (brookfield VISCOMETER)를 이용하여 64번 PIN 12RPM으로 점도를 측정 하였으며, pH 미터 측정기(Bench pH meter HI 4221)를 이용하여 pH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2 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 1 내지 3을 비교했을 때 점도의 차이가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pH의 수치는 제형 안정도 및 방부력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pH 부분 역시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점도 및 pH 측정 결과를 볼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 유중수 타입 제형의 제품과 비교할 때 충분한 제형 안정도를 가지며, 기존 유중수 타입 제형의 제품과 유사한 정도의 점도 및 방부력을 갖는다.
3. 시험예
A. 사용감 관능 평가
23-33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 1~3을 립 메이크업 용으로 사용하게 한 후, 바를 때 느끼는 발림성, 보습감, 밀착성 및 전반적인 만족도 등의 사용감을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평가기준 중 발림성은 입술 화장료 타입으로 골낌현상(피부 주름 등에 화장품이 뭉쳐서 끼는 현상) 및 끈적임이 있는지에 대한 것을 포함한다. 보습감은 입술에 도포 시 느껴지는 보습 느낌을 말한다. 밀착성은 피부에 도포 시 조성물이 번짐 없이 고르게 도포되는 성질을 말한다. 이와 같은 세 가지 성질이 뛰어날수록 화장료로서의 사용 가치가 향상되며, 특히 보습감과 밀착성은 립 메이크업 제품 성능 판단의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평가기준>
15명 이상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
10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
5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
5명 이하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X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비교평가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실시예)이 발림성, 보습감, 밀착성, 및 전반적인 만족도가 나머지 조성물(비교예 1~3)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밀착감이 매우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비교예 3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현저하게 떨어진 평가를 받았다.
B. 보습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력을 평가하기 위해 Corneometer CM825 (CK electronic, Germany) 기기를 이용하였다.
건강한 성인 여성 5명 (평균연령26.2세)에 도포 후 상기 기기를 이용해 보습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보습력 측정 시, 먼저 시험부위 (하박 내측, 2×2cm2)의 무도포시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였으며, 제품 20㎕를 시험부위에 도포하여 흡수시킨 후, 제품 도포 30분 후, 2시간 후, 4시간 후, 8시간 후의 피부 수분도를 각각 3회씩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3회 측정한 값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피부수분량과 변화율을 산출한 뒤, 무도포 값과 비교 평가하였다.
보습력 테스트 결과 실시예와 비교예 1의 경우 무도포와 비교 시 보습력이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중 실시예의 보습력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실시예의 경우 8시간까지 피부 보습력이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무포도와 비교 시 약 2.25배 향상된 결과를 보이며, 비교예 1과 비교하였을 때 약 1.6배 높은 보습력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3의 경우 피부 수분 분포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습력 테스트 결과 실시예 > 비교예 1 > 비교예 2 의 순서로 보습력이 좋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유중수형에서도 실시예의 우수한 내수성을 바탕으로 내부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며, 보습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 광택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광택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Micro-TRI-gloss (BYK Gardner, Germany) 기기를 이용하였다.
테스트를 위하여 인조가죽을 사용하였으며, 인조가죽 실험부위(4×8cm2)에 제품 도포 전 광택도를 3번씩 측정한 후, 실험부위에 제품을 120㎕씩 도포 하고 해당 지점의 광택도를 3번씩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60℃ 반사율 측정값을 기준으로 70이상이면 20도 반사율로, 10 이하이면 85도 반사율로 결과를 도출하여 전, 후 값과 비교 평가하였다.
광택력 테스트 결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광택력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포 전과 비교 시 약 4배 가량 향상된 광택력을 지니고 있으며, 비교예 1의 경우 약 2.5배 향상, 비교예 2의 경우 광택력이 소량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 및 2, 즉 기존 유중수형과 비교 시 실시예의 광택력이 상당한 차이로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D. 제형 안정도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하기 표 4에 주어진 온도에 따라 항온조에서 14일 동안 보관하여 외관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안정성 우수 : ○
약간의 제형 변화 : △
제형 분리 및 변색 : X
Figure pat00004
그 결과, 상기 표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경우 전반적으로 고온 안정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비교예 2의 경우 45℃ 조건에서 유화 분리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도는 여러 온도 조건에서 전반적으로 제형의 분리 변색이 없고, 안정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0.25 내지 400 중량부; 트리데실트리멜리테이트(Tridecyl Trimellitate) 0.15 내지 200 중량부; 및 폴리부텐(Polybutene) 0.03 내지 100 중량부 포함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실리카(Silica)를 0.15 내지 5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글리세린-3(Polyglycerin-3)을 0.15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안료를 0.025 내지 5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24354A 2018-02-28 2018-02-28 유화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102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54A KR102102592B1 (ko) 2018-02-28 2018-02-28 유화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54A KR102102592B1 (ko) 2018-02-28 2018-02-28 유화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3662A true KR20190103662A (ko) 2019-09-05
KR102102592B1 KR102102592B1 (ko) 2020-04-21

Family

ID=6794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354A KR102102592B1 (ko) 2018-02-28 2018-02-28 유화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5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954A (ko) * 2019-10-29 2021-05-10 코스맥스 주식회사 유분산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립스틱퀸(Lipstick Queen) *
아이오페 쉬머링 립 오일 누드핑크 *
이니스프리 글로우 틴트 스틱 *
클라란스 구달 동백생기 립오일* *
프레쉬 PEONY WHITENING ESSENCE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954A (ko) * 2019-10-29 2021-05-10 코스맥스 주식회사 유분산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592B1 (ko)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6784B (zh) 唇用固形化妝料
US4699780A (en) Cosmetic composition
TWI685353B (zh) 唇用固形化妝料
JPS6118708A (ja) 非水系メークアップ化粧料
KR101878687B1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13476344B (zh) 化妆品用组合物、化妆品、水包油型唇釉及其制备方法
CN113262178A (zh) 一种滋润的丝缎亮光唇釉及其制备方法
EP3554465A1 (en) Cosmetic preparation in gel form
KR101664514B1 (ko) 입술용 화장료
KR20150076858A (ko) 수용성 보습성분을 고함유한 고형 스틱화장료 조성물
CN113181083A (zh) 一种哑光的泥状唇颊眼三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90103662A (ko) 유화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71153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6496A (ko) 스틱형 립밤 제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로부터 성형되는 편의성과 기능성이 개선된 스틱형 립밤
JP4887459B2 (ja) 唇用化粧料
KR101055164B1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33217B1 (ko) 입술연지용 조성물
KR101114201B1 (ko) 색소 분산제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060070845A (ko) 고점도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TW201936162A (zh) 油包水型化妝料組合物
JP2011121908A (ja) 油中油型化粧料
KR101729534B1 (ko) 폴리글리세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JP4235309B2 (ja) 口紅組成物
KR20150108193A (ko) 겔 타입의 아이라이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