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954A - 유분산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분산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954A
KR20210050954A KR1020190135596A KR20190135596A KR20210050954A KR 20210050954 A KR20210050954 A KR 20210050954A KR 1020190135596 A KR1020190135596 A KR 1020190135596A KR 20190135596 A KR20190135596 A KR 20190135596A KR 20210050954 A KR20210050954 A KR 20210050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lips
weight
lip
sticki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1533B1 (ko
Inventor
김기백
우영화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5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533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1Preparations for care of the l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분산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디페닐디메티콘 및 C15-19 알케인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발림성, 광택력이 뛰어나고 끈적임이 적어 기존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우수한 사용감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유분산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OIL DISPERSION TYPE COSMETIC COMPOSITION FOR LIPS}
본 발명은 유분산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뛰어난 광택력 및 끈적임이 없다는 특징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립 메이크업 화장료는 그 제형의 형태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유성 성분, 색상 부여와 피부 결점을 커버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우더 성분, 경도 및 제형 안정화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왁스 및 오일 성분, 그리고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수용성 성분을 포함한다.
특히 립 메이크업 제품은 오일 성분으로 구성된 제품이 상당수인데, 그 중 일반적인 리퀴드 타입의 립 메이크업 제품은 일정 수준의 광택을 얻기 위해 에스테르계·탄화수소계 등의 오일류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그러나 이는 조성물을 무겁고 끈적이게 만드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끈적임이나 무거움에 대한 민감도가 뛰어난 피부로서 끈적임이 없이 광택감을 유지 시킬 수 있는 립 메이크업 제품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리퀴드 글로스 타입 제형은 광택력을 부여하기 위해 폴리부텐류의 고분자 중합체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고분자 중합체의 경우 사용감이 무거워 피부 민감도가 뛰어난 입술에 사용시 부담스러우며, 끈적임이 심하게 느껴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뛰어난 광택감 및 낮은 끈적임을 가지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KR등록특허 10-1421049), 아직은 미비한 실정이다.
일 양상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디페닐디메티콘 및 C15-19 알케인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의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 양상에 있어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디페닐디메티콘 및 C15-19 알케인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은 탄화수소계 오일의 종류로써, 다른 종류의 탄화수소계 오일로 대체될 수 있다. 탄화수소계 오일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Ethylene/Propylene Copolymer),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Hydrogenated Polydecene), 메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로지네이트 (methyl hydrogenated rosinate), 스쿠알란 (Squalane, 식물성스쿠알란), 합성 스쿠알란,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 (VP/Hexadecene Copolymer),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 (C6-C14올레핀), 에틸셀룰로오즈 (ethylcellulose), 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 (ethylene/acrylic acid copolymer), 에틸렌/아크릴산/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 (ethylene/acrylic acid/VA copolymer),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ethylene/propylene/styrene copolymer), 부틸렌/에틸렌/스티렌 코폴리머 (butylene ethylene styrene copolymer), 폴리부텐(Polybute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부틸렌/에틸렌/스틸렌 코폴리머 등이 있으며,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디페닐 디메티콘은 페닐화 실리콘 오일의 종류로써, 다른 종류의 탄화수소계 오일로 대체될 수 있다. 페닐화 실리콘 오일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트리메틸실록시 페닐 디메티콘(예를 들면, Wacker사의 Belsil PDM 1000), 페닐 디메티콘 및 페닐트리메틸 실록시디페닐실록산 등이 있으며,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구체예에 있어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60중량%, 디페닐디메티콘은 1 내지 20중량% 및 C15-19 알케인 1 내지 30중량%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1 내지 60, 5 내지 50, 10 내지 45, 15 내지 40, 20 내지 40, 30 내지 4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중량%일 수 있다.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이 2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유분산 제형의 특징 중 하나인 광택력과 밀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60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발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디페닐 디메치콘은 1 내지 20, 1 내지 15, 1 내지 10, 5 내지 1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디페닐 디메티콘(Diphenyl Dimethicone)이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입술 밀착력이 떨어져 뭉쳐 발리며, 화장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10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무거운 사용감으로 인하여 발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C15-19 알켄은 1 내지 30, 10 내지 30, 15 내지 30, 15 내지 25, 20 내지 3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중량%일 수 있다. C15-19 알켄이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광택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30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과량 사용으로 인하여 뭉침이 나타나고, 제형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코폴리머 1 내지 5중량%, 마이크로스탈린왁스 1 내지 5중량% 및 안료 1 내지 10중량%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및 디페닐 디메티콘의 혼합 중량비는 6:1 내지 2:1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합 중량비는 6:1 내지 2:1, 6:1 내지 3:1, 5:1 내지 2:1, 5:1 내지 3:1,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3:1일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 및 페닐화 실리콘 오일을 최적의 혼합비로 혼합함으로써, 끈적임이 적고 산뜻한 사용감을 가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틴트 또는 립락커 중 어느 하나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수치는 명시하지 않아도 "약"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된 수치는 10%, 5%, 2%, 또는 1%로 변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상기 값은 5%, 2%, 또는 1%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의 값은 대략 5의 범위는 갖는 4.5 및 5.5 사이, 4.75 및 5.25 사이, 또는 4.9 및 5.1 사이, 또는 4.95 및 5.05 사이의 임의의 값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화장료 조성물은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 목적에 따라 아이섀도(eye shadow), 치크(cheek), 또는 블러셔(Blusher) 등의 다양한 색조 메이크업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기술수준에 비추어 볼 때, 상기 가열, 혼합 및 냉각을 포함하는 통상의 제조 방법에 의해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 사용된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디페닐디메티콘 및 C15-19 알케인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발림성, 광택력이 뛰어나고 끈적임이 적어 기존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우수한 사용감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택도를 나타낸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명세서의 범주에 포함된다.
1.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각 원료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70~80℃의 온도에서 디스퍼(disper)를 이용하여 2000rpm으로 1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다음 기포를 제거하고 냉각하여 각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영문명(INCI)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35.000 49.000 21.000 31.000 8.000 -
폴리부텐 - - - 35.500 60.000 75.000
C 15-19 알케인 25.000 15.000 35.000 2.000 - -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9.896 9.296 10.496 9.896 10.396 3.396
디페닐 디메티콘 8.500 5.100 11.900 - - -
폴리글리세릴-2 트리소스테아레이트 4.300 4.300 4.300 4.300 4.300 4.300
적색104호 레이크(CI 45410)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코폴리머 3.400 3.400 3.400 3.400 3.400 3.400
마이크로스탈린 왁스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황색 6 레이크 색소(CI 15985)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폴리글리세릴-2 디이소스테아레이트 1.360 1.360 1.360 1.360 1.360 1.360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1.341 1.341 1.341 1.341 1.341 1.341
VP/헥사디센 코폴리머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적색 7호 색소 (CI 15850:1)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부틸렌/에틸렌/스티렌 코폴리머 0.550 0.550 0.550 0.550 0.550 0.550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산 0.430 0.430 0.430 0.430 0.430 0.430
에틸헥실팔미테이트 0.125 0.125 0.125 0.125 0.125 0.125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0.125 0.125 0.125 0.125 0.125 0.125
이소스테아릭 산 0.125 0.125 0.125 0.125 0.125 0.125
레시틴 0.125 0.125 0.125 0.125 0.125 0.125
토코페롤 0.103 0.103 0.103 0.103 0.103 0.103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0.070 0.070 0.070 0.070 0.070 0.070
디히드로아세틱 산 0.050 0.050 0.050 0.050 0.050 0.050
2.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최적 혼합 중량비의 확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디페닐디메티콘, C15-19 알케인의 혼합 중량비를 달리하여 실시예의 최적 비율을 확인 하였다. 실시예 1을 기준으로 실시예 2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의 함량을 40% 증가 시키고, 디페닐디메티콘과 C15-19 알케인의 함량을 40% 줄었으며, 실시예 3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의 함량을 40% 줄였으며, 디페닐디메티콘과 C15-19 알케인의 함량을 40% 증가시켰다.
실시예 2의 경우 하이드로제네이티트 폴리이소부텐의 함량 증가로 인하여 보습감이 뛰어났으나 끈적임이 매우 증가하여 실제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실시예 3의 경우 흐름성이 증가하여 번짐 현상이 발생 되어 밀착력이 실시예 1과 비교 시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화장 지속력 역시 실시예 1과 비교 시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비교예 3의 경우 제조 후 관능적 평가를 하였을 때 내용물이 뭉치며 발리는 현상이 심하였고, 끈적임 현상이 두드러지게 확인되었다. 또한 제형적 안정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제품화에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어 실험예 1 및 2에서 제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화장료 조성물로써 최적의 효과를 보이는 혼합 중량비인 실시예 1과 비교예 간의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실험예 1.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 확인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을 이용하여 경도를 비교 평가 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샘플들을 25℃ 항온조에 24시간 보관 후, 레이미터(Rheometer CR-500DX)를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 하였다. 경도 측정시 속도는 30mm/min 설정 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경도 15 14 17 20.5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이 가장 낮은 경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이 실험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큰 경도 차이를 가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광택력 확인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광택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Micro-TRI-gloss (BYK Gardner, Germany) 기기를 이용하였다. 테스트를 위하여 인조가죽을 사용하였으며, 인조가죽 실험부위(48cm2)에 제품 도포 전 광택도를 3번씩 측정한 후, 실험부위에 제품을 120㎕씩 도포 하고 해당 지점의 광택도를 3번씩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60° 반사율 측정값을 기준으로 70이상이면 20° 반사율로, 10 이하이면 85° 반사율로 결과를 도출하여 전, 후 값과 비교 평가하였다.
광택력 테스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1과 비교예 2의 광택도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포 전과 비교 시 약 60.5 % 가량 향상된 광택력을 지니고 있으며, 비교예 1의 경우 하락, 비교예 2의 경우 약 62.4 % 로 향상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위 결과를 통해 폴리부텐을 함유하지 않은 실시예1이 폴리부텐을 함유한 제형과 동일한 광택력을 지닌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실험예 3.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확인
상기 실시예1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하기 표 3에 주어진 온도에 따라 항온조에서 14일 동안 보관하여 외관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25℃
37℃
45℃
Cycle
평가기준: 안정성 우수 : ○ / 약간의 제형 변화 : △ / 제형 분리 및 변색 : X
그 결과, 상기 표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비교예2의 경우 전반적으로 안정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비교예 1의 경우 45℃ 조건에서 약간의 분리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여러 온도 조건에서 전반적으로 제형의 분리 변색이 없고, 안정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확인
23-35세 여성 25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 1 및 2를 립 메이크업 용으로 사용하게 한 후, 바를 때 느끼는 발림성, 광택감, 끈적임 및 전반적인 만족도 등의 사용감을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평가기준 중 발림성은 입술 화장료 타입으로 골낌현상(피부 주름 등에 화장품이 뭉쳐서 끼는 현상) 및 끈적임이 있는지에 대한 것을 포함한다. 광택감은 입술에 도포 시 느껴지는 광택력을 말한다. 끈적임은 피부에 도포 시 조성물이 입술에 붙는 성질을 말한다. 이와 같은 세 가지 성질을 이용하여 립 메이크업 제품 성능 판단의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발림성 X
광택력
끈적임 X X
전반적인 만족도 X
평가기준: 20명 이상 우수하다고 판정 : ◎ / 10명 이상 우수하다고 판정 : ○ / 5명 이상 우수하다고 판정 : △ / 5명 이하 우수하다고 판정 : X
상기 표 4에 나타낸 결과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의 비교평가 결과 실시예 1이 발림성, 광택력, 끈적임 및 전반적인 만족도가 나머지 조성물(비교예 1 내지 3)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 및 2는 끈적임이 매우 심한 것을 알 수 있었고, 비교예 3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현저하게 떨어진 평가를 받았다.

Claims (5)

  1.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디페닐디메티콘 및 C15-19 알케인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은 1 내지 60중량%, 디페닐디메티콘은 1 내지 20중량% 및 C15-19 알케인 1 내지 30중량%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코폴리머 1 내지 5중량%, 마이크로스탈린왁스 1 내지 5중량% 및 안료 1 내지 10중량%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및 디페닐 디메티콘의 혼합 중량비는 6:1 내지 2:1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틴트 또는 립락커 중 어느 하나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35596A 2019-10-29 2019-10-29 유분산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1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596A KR102321533B1 (ko) 2019-10-29 2019-10-29 유분산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596A KR102321533B1 (ko) 2019-10-29 2019-10-29 유분산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954A true KR20210050954A (ko) 2021-05-10
KR102321533B1 KR102321533B1 (ko) 2021-11-04

Family

ID=7591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596A KR102321533B1 (ko) 2019-10-29 2019-10-29 유분산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5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208A (ko) * 2014-09-09 2017-04-26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입술용 고형 화장료
KR20190098977A (ko) * 2016-12-20 2019-08-23 샤넬 파르퓜 보트 습윤 효과를 갖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3662A (ko) * 2018-02-28 2019-09-05 코스맥스 주식회사 유화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5208A (ko) * 2014-09-09 2017-04-26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입술용 고형 화장료
KR20190098977A (ko) * 2016-12-20 2019-08-23 샤넬 파르퓜 보트 습윤 효과를 갖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3662A (ko) * 2018-02-28 2019-09-05 코스맥스 주식회사 유화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533B1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9950B1 (ko) 입술용 고형 화장료
EP3576845B1 (en) Topcoat for permanent lip make up
EP3493879A1 (en) Long-wearing, transfer-resistant cosmetic composition having improved tackiness
KR20210051024A (ko) 실리콘 레진 및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고광택 립 메이크업 조성물
KR20180118518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1268A (ko)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2371153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1533B1 (ko) 유분산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169074A1 (en) Matte lip compositions
KR20100053812A (ko) 입술 메이크업용 또는 입술 케어용 무광택 화장료 조성물
KR101729534B1 (ko) 폴리글리세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0715611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2929A (ko)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7483686B2 (ja) 油性化粧料
KR102599004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US11160735B1 (en) Long wear lip cosmetic system and topcoat
US9345657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a silicon resin and a tackifying agent
US10786439B2 (en) Satin lip compositions
KR20210043246A (ko) 실리콘 수지와 고굴절 오일을 포함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38999A (ko) 발림성이 향상된 립스틱
EP4171754A1 (en) Long wear lip cosmetic system and topcoat
KR20240056921A (ko)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0930A (ko) 가용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반 고형상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10151345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