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930A - 가용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반 고형상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용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반 고형상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930A
KR20210050930A KR1020190135543A KR20190135543A KR20210050930A KR 20210050930 A KR20210050930 A KR 20210050930A KR 1020190135543 A KR1020190135543 A KR 1020190135543A KR 20190135543 A KR20190135543 A KR 20190135543A KR 20210050930 A KR20210050930 A KR 20210050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makeup cosmetic
weight
composit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717B1 (ko
Inventor
임효정
양재호
서은주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5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717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부, 가용화된 실리콘을 포함하는 수상 바인더 및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 고형상 메이크업 화장료가 갖는 탄성감을 유지하면서도, 수상 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사용 시 즉각적인 수분감과 쿨링감을 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용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반 고형상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Makeup cosmetic composition for jelly type comprising solubilized water phase}
본 발명은 수분감을 증진시킨 반 고형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반 고형상의 유분산형 파우더 제품은 통상적으로 분말상 55 ~ 70%에, 실리콘, 에스테르, 탄화수소계 등의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 페이스트 상태인 실리콘 엘라스토머, 또는 고형 왁스 등이 30 ~ 45% 정도 배합된 제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분산형 반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오일 혹은 왁스에 의해 부드러운 사용감과 밀착력은 느낄 수 있지만, 지속력과 수분감을 구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반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배합된 원료들의 분산성 및 성형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일정 함량 이상의 수상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어려우며, 이로 인해 실제 사용 시 수분감을 구현하는 데 더욱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최근 파우더 제품에 대해 전반적으로 촉촉한 사용감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는 추세이고, 실제로 유분산형 고형 팩트에서 정제수를 일부 포함한 제품이 출시되기도 했으나, 그 함량이 매우 낮아 실제 사용 시 수분감을 느끼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일본등록특허 JP P5886599 B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반 고형상 메이크업 화장료가 갖는 탄성감을 유지하면서도, 사용 시 즉각적인 수분감과 쿨링감을 줄 수 있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체부, 수상 바인더 및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 상기 수상 바인더는 가용화된 실리콘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상 바인더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실리콘이 10 내지 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상 바인더는 정제수 및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며, 상기 수상 바인더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분체부 55 내지 75 중량%, 수상 바인더 25 내지 45%, 오일 바인더 5 내지 15 중량% 포함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반 고형상 메이크업 화장료가 갖는 탄성감을 유지하면서도, 수상 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사용 시 즉각적인 수분감과 쿨링감을 줄 수 있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 1 및 실시예 2 동량을 각각 인조 감자에 도포한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1 및 실시예 2 동량을 각각 피부에 도포하고 측정한 UV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1 및 실시예 2의 땀과 물에 대한 지속력을 비교 실험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반 고형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분체부, 수상 바인더 및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는 반 고형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 상기 수상 바인더는 가용화된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분산 형태의 유상 및 수상이 혼합된 반 고형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수상인 정제수나 다가 알코올을 일정량 이상 사용할 경우, 수상이 분체부에 잘 분산되지 않고 제형의 안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실리콘이 가용화된 수상을 적용함으로써, 유분산 형태의 제형 안정도를 저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반 고형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갖는 탄성감과 말랑말랑한 사용감을 유지하면서도 수분감과 쿨링감을 제공하며, 이에 더하여 높은 피부 밀착력과 지속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반 고형상은, 젤리(Jelly)와 같은 탄성감을 갖는 제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반 고형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구성 성분들을 혼합하여 탄성감이 있는 밀가루 반죽 형태로 만든 후 압출기 또는 성형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제조한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가용화(Solubilization)된 실리콘을 포함하는 수상 바인더는, 수분감 부여 및 보습 역할을 하는 정제수 및 다가 알코올에 실리콘 오일을 가용화시킨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가용화를 위해 수상 바인더 내에 유화제가 함유된다. 유화제는 레시틴(Lecithin)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수상 바인더 내에 포함되는 유화제의 함량은 수상 바인더 총 함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상 바인더 중 실리콘의 함량은 총 수상의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25 중량%가 바람직하다. 수상 중 실리콘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 제형의 성형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며, 25 중량% 초과일 경우 수분감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상 바인더 내에 포함되는 실리콘은, 실리콘 오일로 흔히 사용되는 종류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카프릴릴메치콘(Caprylyl methicone), 메치콘(Methicone), 디메치콘(Dimethicone), 페닐디메치콘(Phenyl 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수상 바인더로 포함된 정제수와 다가 알코올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 중량% 미만일 경우 수분감이 매우 떨어지고, 30 중량% 이상일 경우 성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정제수와 다가 알코올은 수분감, 보습감 및 제형 안정성을 동시에 제공하기 위하여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정제수와 다가 알코올은 상기 범위 내에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5 내지 20 중량% 범위에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상 바인더 내에 포함되는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린(Glycerin), 프로판디올(Propanediol), 에칠헥산디올(Ethyl hexanediol), 1,2-헥산디올(1,2-Hexanedi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피이지/피피지/폴리부틸렌글리콜-8/5/3글리세린(PEG/PPG/Polybutylene glycol-8/5/3 glycerin) 및 펜틸렌글리콜(Pentylene glyc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분체부, 수상 바인더 및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분체부 55 내지 75 중량%, 수상 바인더 25 내지 45%, 오일 바인더 5 내지 15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분체부는 파우더 체질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우더 체질 안료는 파우더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희석제로서의 역할을 하며, 색감, 감촉 또는 질감 등을 부여하기 위해 화장료에 첨가하는 체질 안료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체질 안료는 파우더 형태의 필러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파우더 체질 안료는 마이카(Mica), PMMA(Polymethylmethacrylate) 다공성 구상 파우더 및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오일 바인더는 유기계 분산 오일로, 에스테르계 오일 및/또는 탄화수소계 오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스테르(Ester)계 오일은, 분자 내 에스테르(-COO-) 결합이 존재하는 오일로 극성의 성질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화장료로서 사용되는 공지된 에스테르계 오일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로서, 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glyceride),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이소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Isocetyl ethylhexanoate), 이소세틸 미리스테이트(Isocetyl myristat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Neopentyl glycol dicaprate),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 트리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옥타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octanoate), 에틸헥실 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Isononyl isononano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합성 스쿠알란, 폴리부텐 등의 합성계 오일; 식물성의 스쿠알란, 수소 첨가한 스쿠알란 등의 식물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예를 들어 옥틸도데칸올(Octyldodecanol),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Hydrogenated Polydece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Hydrogenated Polyisobutene), 스쿠알란(Squalane, 식물성 스쿠알란), 합성 스쿠알란 등이 있으며,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실리콘이 가용화된 수상을 조성물 내에 함유함으로써 별도의 유화 과정 없이 분산만으로도 유상 및 수상을 동시에 안정적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통상적으로 유분산 형태인 반 고형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서 구현하기 힘든 수분감과 쿨링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정제수가 휘발되며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에 밀착되어, 물과 땀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부여하여 높은 메이크업 지속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윤활제, 방부제, 색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함량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
실험예 1.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제조 및 평가
(1) 반 고형상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은 분산매와 분산물을 변화시켜 제조한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이다.
하기 표 1의 원료 B는 반고형상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만들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페이스트 상태의 원료이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은 이러한 원료의 분산매와 분산물을 변화시켜 제조한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이다.
원료 B의 (a) 디메치콘,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 폴리머는 디메치콘에 분산된 실리콘 엘라스토머로, 기존에 흔히 사용되던 페이스트 원료이다. 원료 B의 (b)와 (c)는 분산물은 동일하나, 분산매가 다른 원료를 적용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d)는 분산매가 (c)와 동일하게 정제수이나, 분산물이 다른 형태의 페이스트 원료이다.
하기 표 1와 같이, 페이스트 원료를 함유하는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수분감의 증대 및 제형의 안정도 부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의 함량에 따라, 원료 A(분체부)를 헨셀 믹서에 투입한 후 저속(400~700 rpm)으로 1차 혼합 및 고속(700~1500 rpm)으로 2차 혼합하였다. 이후 리본믹서 또는 만능 혼합기에 상기 원료 A 67 중량%를 투입하고, 400 rpm으로 혼합하면서 원료 C(유상 바인더) 18 중량%를 고르게 분사하였다.
이후 원료 B가 충분히 분산되었는지 확인한 뒤, 원료 B(유상 혹은 수상의 페이스트)를 15 중량% 투입하여 반죽 형태의 반 고형상 파우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제조된 반죽 형태의 파우더 조성물을 압출기 및 성형기를 이용하여 2 ~ 5 Kgf/cm2의 압력, 1.0 ~ 2.0 sec로 성형하였다.
(2) 사용감 및 성형 안정성 측정
상기 표 1에 표기된 조성으로 제조한 파우더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용감 및 성형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사용감은 수분감, 사용감, 지속력으로 나누어 평가하였으며, 25명의 panel을 선정하여 아래의 시료를 각각 제공하고, 피부에 도포한 후 5점을 만점으로 기준하여 그 수치의 평균을 나타내었다. 상기 기준 중 수분감과 사용감은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의 주관적인 평가를 기준으로 평가되었으며, 특히 수분감의 경우 기존 파우더 제품과의 차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특징이 될 수 있다. 지속력의 경우, 일정량을 팔에 도포 후, 땀과 물을 분사하였을 시 남아있는 잔여량을 적외선 촬영을 하여 그 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성형 안정성은 압력을 가하였을 때 제품의 외관이 파손되지 않은 한도에서 변형되는 것을 의미한다. 성형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낙하 안정성을 함께 측정하였으며, 30 cm 높이에서 성형 제조품을 3 mm 고무판에 3회 수직 낙하시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수분감의 경우 분산매가 정제수일 경우가 높았으며, 또한 제형의 성형 안정성 및 사용감 측면에서 실시예 1이 독보적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
실험예 2. 실시예 2 및 비교예 5 내지 6의 제조 및 평가
(1) 반 고형상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2 및 비교예 5 내지 6은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수상의 구성을 변화시켜 제조한 반 고형상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이다.
하기 표 3에서 원료 A는 파우더 베이스이고, 원료 B는 수상 바인더, 원료 C는 오일 바인더이다. 실시예 2의 원료 B에 포함되는 실리콘이 가용화된 수상은, 실시예 2의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정제수 10 중량%, 글리세린 15 중량%, 디메치콘 5 중량%, 레시틴 0.5 중량%를 포함시켜 가용화시킨 것이다. 또한 원료 C는 유기계 분산 오일로, 카프릴릭/카프릭글리세라이드 2 중량%, 하이드로제니이티드 폴리이소부텐 3 중량%를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3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원료 A를 헨셀 믹서에 투입한 후, 저속(400~700 rpm)으로 1차 혼합 및 고속(700~1500 rpm)으로 2차 혼합하였다. 이후 리본 믹서 또는 만능 혼합기에 상기 혼합된 원료 A을 투입하고, 400rpm으로 혼합하면서 원료 C를 고르게 분산시켰다. 원료 C가 충분히 분산되었는지 확인한 후, 수상 바인더인 원료 B를 투입하여 리본 믹서에서 400 rpm으로 고르게 반죽하였다. 그리고 압출기를 이용하여 성형을 진행해 수분감을 갖는 반 고형상 형태의 파우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사용감 및 성형 안정성 측정
상기 방법에 따라 표 3에 표기된 조성으로 제조한 파우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사용감 및 성형 안정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위의 실험 결과, 수상의 주 구성성분인 정제수 혹은 글리세린을 단독 투입한 경우, 수상이 제대로 분산되지 않아 반죽 성상인 조성물의 표면이 얼룩덜룩해지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말랑말랑한 사용감이 특징인 반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의 특징이 사라지고 오히려 표면이 단단하고 뻣뻣해지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반면 디메치콘이 가용화된 형태의 수상을 적용한 경우, 반 고형상의 화장료 조성물이 가지는 말랑말랑한 반죽 성상 및 사용감을 유지하면서도, 유상과 수상이 적절히 분산되어 표면의 얼룩이 없고, 수분감이 느껴짐과 동시에 높은 페이오프로 피부 결점 커버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비교예 1 및 실시예 2의 평가
(1) 커버력 및 밀착력 비교 실험
상기 비교예 1과 실시예 2에 따라 제조한 반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피부 결점 커버 및 밀착력을 비교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비교예 1은 기존에 널리 알려진 유분산 형태의 반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이며, 실시예 2는 앞선 실험을 통해 얻은 가용화된 수상을 이용한 유/수분산형 화장료 조성물이다.
구체적으로 인조 감자 표면에 NBR 퍼프를 이용하여 동일한 양의 내용물을 도포하였고, 이를 이미지 결과로 얻어 도 1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거친 인조 감자 표면을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 2가 비교예 1에 비해 높은 커버력을 보이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피부 위에 비교예 1 및 실시예 2를 동일량 도포한 후, UV 이미지로 비교한 것이다. 실시예 2가 좀 더 어둡게 표현되는 것을 통해, 동일량 도포 시 실시예 2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커버력 및 밀착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땀과 물에 대한 지속력 비교 실험
비교예 1 및 실시예 2를 시험 부위에 일정량 도포한 후, 땀과 물에 대한 지속력을 비교 실험하고,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땀에 대한 지속력은 시험 부위에 일정량의 내용물을 도포한 뒤 얻은 UV 이미지와 땀과 피지를 일정량 분사한 뒤 얻은 UV 이미지와, 땀과 피지를 일정량 분사한 뒤 얻은 UV 이미지 사이의 L-value값 차이를 분석하여 비교 측정하였다.
물에 대한 지속력은, 시험 부위에 일정량의 내용물을 도포한 뒤 얻은 UV 이미지와, 물로 세정한 후 얻은 UV 이미지 사이의 L-value값 차이를 분석하여 비교 측정하였다.
땀에 대한 지속력의 경우, 비교예 1(기존 베이스의 젤리 팩트)은 땀 분사 후에 내용물이 74.0% 남아있는데 반해, 실시예 2(신규 베이스의 젤리 팩트)는 91.9%까지 남아있어, 약 20% 정도 높은 땀 지속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a) 참조).
물에 대한 지속력의 경우, 비교예 1(기존 베이스의 젤리 팩트)은 물로 세정 후 내용물이 80.5% 남아있는데 반해, 실시예 2(신규 베이스의 젤리 팩트)는 96.7%까지 남아있어, 약 24% 정도 지속력이 높음을 확인하였다(도 3(b) 참조).

Claims (6)

  1. 분체부, 수상 바인더 및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로,
    상기 수상 바인더는 가용화된 실리콘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바인더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실리콘이 10 내지 25 중량% 포함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바인더는 정제수 및 다가 알코올을 포함하며,
    상기 수상 바인더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 포함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분체부 55 내지 75 중량%, 수상 바인더 25 내지 45%, 오일 바인더 5 내지 15 중량% 포함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은 디메치콘(Dimethicone), 카프릴릴메치콘(Caprylyl methicone), 메치콘(Methicone), 디메치콘(Dimethicone), 페닐디메치콘(Phenyl 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글리세린(Glycerin), 프로판디올(Propanediol), 에칠헥산디올(Ethyl hexanediol), 1,2-헥산디올(1,2-Hexanedi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피이지/피피지/폴리부틸렌글리콜-8/5/3글리세린(PEG/PPG/Polybutylene glycol-8/5/3 glycerin) 및 펜틸렌글리콜(Pentylene glyc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35543A 2019-10-29 2019-10-29 가용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반 고형상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34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543A KR102334717B1 (ko) 2019-10-29 2019-10-29 가용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반 고형상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543A KR102334717B1 (ko) 2019-10-29 2019-10-29 가용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반 고형상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930A true KR20210050930A (ko) 2021-05-10
KR102334717B1 KR102334717B1 (ko) 2021-12-03

Family

ID=7591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543A KR102334717B1 (ko) 2019-10-29 2019-10-29 가용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반 고형상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71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5223A (ko) * 2010-11-23 2012-05-31 (주)아모레퍼시픽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91579A (ko) * 2011-02-09 2012-08-20 (주)아모레퍼시픽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5886599B2 (ja) 2011-11-02 2016-03-16 株式会社ダイセル 化粧料用組成物
KR20170062039A (ko) * 2015-11-27 2017-06-07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수중실리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78687B1 (ko) * 2016-11-22 2018-07-17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978827B1 (ko) * 2013-04-02 2019-05-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실리콘 조성물을 배합하여 분사각을 증진시킨 펌프식 분사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6964A (ko) *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잇츠한불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활석이 결여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5223A (ko) * 2010-11-23 2012-05-31 (주)아모레퍼시픽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91579A (ko) * 2011-02-09 2012-08-20 (주)아모레퍼시픽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5886599B2 (ja) 2011-11-02 2016-03-16 株式会社ダイセル 化粧料用組成物
KR101978827B1 (ko) * 2013-04-02 2019-05-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실리콘 조성물을 배합하여 분사각을 증진시킨 펌프식 분사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2039A (ko) * 2015-11-27 2017-06-07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수중실리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78687B1 (ko) * 2016-11-22 2018-07-17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6964A (ko) *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잇츠한불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활석이 결여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717B1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2484C (en)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with improved shine
CN106999369B (zh) 唇用固体化妆品
EP1923047A1 (en) Powder-containing transparent solid cosmetic preparation
JP6896059B2 (ja) 粘着性が改善された、高耐久性、耐移り性を有する化粧品組成物
JP2020505473A (ja) 永続口唇メイクアップ用トップコート
KR102016904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1024A (ko) 실리콘 레진 및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고광택 립 메이크업 조성물
JP6026237B2 (ja) 固形粉末化粧料
KR102211896B1 (ko) 발림성이 우수한 매트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0881B1 (ko) 입술 메이크업용 또는 입술 케어용 무광택 화장료 조성물
KR101055164B1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4717B1 (ko) 가용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반 고형상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9169074A1 (en) Matte lip compositions
KR100983217B1 (ko)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434299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15611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5022140B2 (ja) 固形粉末化粧料
KR20200087385A (ko) 밀착력과 보습감이 향상된 립틴트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2622B1 (ko) 반고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2095A (ko) 립틴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462794B1 (ko) 가용화된 실리콘을 포함하는 반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KR102346765B1 (ko) 습식 성형 화장료 조성물의 특성을 갖는 건식 성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40056921A (ko)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07269678A (ja) 凹凸補正用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