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579A -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579A
KR20120091579A KR1020110011426A KR20110011426A KR20120091579A KR 20120091579 A KR20120091579 A KR 20120091579A KR 1020110011426 A KR1020110011426 A KR 1020110011426A KR 20110011426 A KR20110011426 A KR 20110011426A KR 20120091579 A KR20120091579 A KR 20120091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smetic composition
weight
makeup cosmetic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3531B1 (ko
Inventor
권윤성
최재욱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10011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531B1/ko
Publication of KR20120091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체 혼합물과 O/W 또는 W/O형 유화 바인더를 혼합하여 반죽상을 만들고 일정 모양으로 성형한 후 건조 공정을 거쳐 고형의 덩어리상으로 제조되며 사용 시 가하는 물질의 종류를 달리함에 따라 다양한 사용감의 액상 파운데이션으로 변화될 수 있어 높은 활용도를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Baked makeup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체 혼합물과 O/W 또는 W/O형 유화 바인더를 혼합하여 반죽상을 만들고 일정 모양으로 성형한 후 건조 공정을 거쳐 고형의 덩어리상으로 제조되며 사용 시 가하는 물질의 종류를 달리함에 따라 다양한 사용감의 액상 파운데이션으로 변화될 수 있어 높은 활용도를 갖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상 타입의 파운데이션은 효과적으로 피부 결점을 가리며 피부톤을 화사하게 해주는 화장료로서 페이스 메이크업의 필수 제품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용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액상 파운데이션 제품은 일반적으로 휴대가 불편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하나의 제품은 특정 점도와 사용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자들의 취향과 피부특성에 모두 맞춰지지 않으며 사용감의 변화를 위해선 사용자들이 타제품(다른 파운데이션, 로션, 크림)과 직접 섞어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의 커버력 감소와 색상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제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형의 덩어리상을 가지나 물이나 에멀전을 가했을 때 가하는 물질의 점도에 따라 다양한 사용감의 액상 파운데이션으로 변화될 수 있는 메이크업 화장료를 연구한 결과, 체질안료, 색소 등을 포함하는 파우더 분체를 O/W 또는 W/O 유화 바인더와 혼합하여 반죽상으로 만들고 이를 이용해 일정 모양으로 성형한 후 건조하면 휴대성이 좋고 다양한 사용감의 액상 파운데이션으로의 즉석 제조가 가능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목적은 고형의 덩어리 상(구슬 또는 스틱상)을 갖고 물이나 에멀전을 가하여 문질렀을 때 다양한 점도의 액상 파운데이션으로 변화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분체 안료 및 O/W 또는 W/O형 유화 바인더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1) 분체 안료를 혼합하는 단계;
2) O/W 또는 W/O형 유화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1)과 상기 2)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성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는 고형의 덩어리상을 가져 휴대 편리성이 우수하며 물 또는 에멀전을 가해 원하는 점도의 파운데이션으로 즉석 제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성형 안정성이 높아 경도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물 또는 에멀전을 가했을 시 안료의 고른 분산과 우수한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성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사용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성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가하는 물질에 따른 점도 조절을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은 분체 안료 및 O/W 또는 W/O형 유화 바인더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분체 안료를 혼합하는 단계;
2) O/W 또는 W/O형 유화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1)과 상기 2)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성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분체 안료는 화장품원료기준(장원기) 또는 INCI에 등재된 것으로서, 구체적인 예를 들면 탈크, 카올린, 마이카, 세리사이트, 이산화티탄, 산화철, 티타네이티드 마이카, 바륨셀페이트(BaSO4), 알루미나(Al203), 보론나이트라이드, 비스무스옥시클로라이드(BiOCl), 폴리에틸렌 파우더(polyethylene powder),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polymethylmethacrylate powder), 폴리에틸렌터프탈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라미네이트 파우더(polyethyleneterphtalate-polymethylmethacrylate laminate powder) 및 나일론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이나 이들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색상은 3 종류의 산화철(적색산화철, 황색산화철, 흑색산화철)간의 함량비와 양으로 조정되며 커버력은 이산화티탄의 함량으로 조정된다. 펄감을 주기 위해선 티타네이티드 마이카가 배합될 수 있다. 또한 사용감은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나일론 파우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등의 분체 안료들의 배합 양에 의해 조정된다.
본 발명의 분체 안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70~95 중량%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O/W 또는 W/O형 유화 바인더는 물, 보습제, 오일, 왁스, 유화제, 점증제 및 방부제로 구성된다.
상기 유화 바인더 내 물의 함량은 유화바인더 총 중량에 대하여 40~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5~75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는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프로판디올,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및 디프로필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화 바인더 내 보습제의 함량은 1~10 중량%의 범위를 갖는다.
상기 오일은 에스터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트리에틸헥사노인, 헬실라우레이트, 디카프릴카보네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오일; 폴리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스쿠알란 등의 탄화수소계 오일; 페닐트리메치콘, 디메치콘 등의 실리콘계 오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오일의 종류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왁스는 에스터계, 탄화수소계, 실리콘계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파라핀, 디세테아릴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디펜타에리스라이트패티애씨드에스터,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및 천연왁스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왁스의 종류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일과 왁스의 함량의 합은 유화바인더 총 중량에 대하여 16~5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2~40중량%의 범위를 갖는다.
상기 유화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소르베이트 6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SE, 세테아릴알코올 및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로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유화 바인더 내 유화제의 함량은 유화바인더 총 중량에 대하여 2~8 중량 %의 범위를 갖는다.
상기 점증제로는 유화 바인더가 O/W상일 경우에는 수상 점증제, W/O일 경우에는 유상 점증제를 사용한다. 수상 점증제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아크릴레이트-13/폴리이소부텐/폴리소르베이트20 등이 사용 될 수 있으며 유상 점증제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그 함량은 유화바인더 총 중량에 대하여 0.5~1.0 중량 % 의 범위를 갖는다.
상기 방부제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원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함량은 유화바인더 총 중량에 대하여 0.3~0.5중량%의 범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유화 바인더의 물을 제외한 성분은 조성물의 총 중량(본 발명에서 조성물 총 중량은 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들의 중량합이며, 물은 건조 과정에서 증발되므로 조성물의 총 중량에서 제외함)에 대하여 5~30 중량% 이 되도록 한다. 5 중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분체들간의 결합력이 약해 건조 후 성형물이 작은 힘에도 부서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3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성형물이 너무 물러져 형태가 쉽게 뭉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소성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형의 덩어리상으로 휴대 편리성과 높은 활용도를 가지고 물이나 에멀전 상을 가하여 문지르면 다양한 점도를 갖는 액상 파운데이션으로 변화한다.
본 발명의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나타내었으며, 아래에 단계별로 설명한다.
1) 분체를 혼합하는 단계;
분체들을 모두 헨슬믹서에 넣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2) O/W 또는 W/O형 유화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
<O/W 유화 바인더 제조>
오일, 왁스, 유화제 및 방부제 혼합물을 80℃로 가열하여 용해시켜 유상부를 제조한다. 물과 보습제의 혼합물을 80℃에서 용해시켜 수상부를 제조한다. 수상부에 유상부를 서서히 투입하면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유화시킨다. 유화가 완료되면 유화물에 수상 점증제를 투입하여 추가로 호모믹싱한 후, 30℃로 냉각시킨다.
<W/O 유화 바인더 제조>
오일, 왁스, 유화제, 유상 점증제 및 방부제 혼합물을 80℃로 가열하여 용해시켜 유상부를 제조한다. 물과 보습제의 혼합물을 80℃에서 용해시켜 수상부를 제조한다. 유상부에 수상부를 서서히 투입하면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유화시킨다. 유화가 완료되면 30℃로 냉각시킨다.
3) 상기 1)과 상기 2)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분체의 혼합물과 유화 바인더를 만능 혼합기를 이용해 혼합하여 성형하기 좋은 점도를 갖는 반죽상으로 제조한다. 분체 혼합물과 유화 바인더의 비율은 분체의 성분 비율과 유화 바인더의 성분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소성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3)단계에서 혼합하여 제조한 반죽상을 일정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제조된 성형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4) 상기 3)의 반죽상을 일정 모양으로 성형하는 단계;
반죽상이 제조되면 알맞은 크기로 분리하여 만들고자 하는 모양으로 성형한다. 스틱상의 경우는 일정 모양의 사출구를 갖는 사출기를 이용해 스틱 상으로 사출하고, 구슬상의 경우는 반죽을 일정 크기로 떼어낸 후 구상으로 빚어 모양을 만든다.
5) 상기 4)의 성형물을 건조하는 단계;
제조된 성형물을 70℃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하여 물을 모두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물을 비롯하여 다양한 스킨케어 제품(스킨, 로션, 크림)과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가하는 물질에 따라 다양한 점도 조절이 가능하다(도 2). 구슬상의 경우 구슬상의 덩어리를 손바닥 위에 올려놓은 후 물 또는 스킨케어 제품을 덜어 구슬상을 적신 후 힘을 가해 문질러 녹이며 혼합하고, 스틱상의 경우 손바닥에 물 또는 스킨케어 제품을 덜어 놓은 후 그 위에서 스틱을 문질러 스틱 밑부분을 녹여가며 혼합한다. 충분히 혼합한 후에 제조된 파운데이션을 얼굴에 펴 바르며 도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물 또는 에멀전과 혼합하여 리퀴드 파운데이션으로 즉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자가 원하는 보습감, 사용감에 따라 혼합하는 물질의 종류를 달리할 수 있으며, 녹는 양을 조절함에 따라 커버력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혼합하는 물질의 종류 및 점도에 따라서 다양한 사용감과 커버력을 갖는 리퀴드 파운데이션으로 즉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파운데이션 이외에도 다양한 색소와 펄의 사용을 통해 섀도우, 블러셔 등의 컬러 메이크업 화장료로서도 응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판상, 구상파우더의 사용을 통해 다양한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반죽과 성형 과정을 통해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제조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제조예 1] 분체 혼합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을 갖는 분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wt%)
탈크 20.0
티타늄 디옥사이드 42.0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0
적색산화철 1.5
황색산화철 6.0
흑색산화철 0.5
합계 100.0
<분체 혼합물의 제조방법>
상기 표 1의 파우더 분체를 모두 헨슬믹서에 넣고 1200rpm으로 4분간 혼합하였다.
[제조예 2] 유화 바인더의 제조
하기 표 2의 성분 및 함량을 갖는 O/W 유화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성분 성분명 함량(wt%)
정제수 67.0
보습제 부틸렌글라이콜 3.0
오일 트리에틸헥사노인 11.0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7.0
왁스 디세테아릴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7.0

유화제
폴리소르베이트 60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1.0
세테아릴알코올 1.0
수상점증제 폴리아크릴레이트-13/폴리이소부텐/폴리소르베이트 20 0.7
방부제 에틸헥실글리세린 0.3
총 합계 100.0
<유화 바인더의 제조방법>
1) 오일, 왁스, 유화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80℃로 가열하여 아지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2) 물과 보습제의 혼합물을 80℃로 가열하여 아지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3)상기 2)의 혼합물에 1)의 혼합물을 서서히 투입하며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3,600rpm으로 유화시켰다.
4) 상기 3)의 유화물에 수상점증제를 투입하여 3,000rpm으로 호모믹싱한 후, 30℃로 냉각시켰다.
[실시예]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2에서 수득한 분체 혼합물과 유화 바인더를 100:55의 중량비로 만능 혼합기 안에서 120rpm으로 10분간 혼합하였다. 알맞은 점도로 제조된 반죽을 일정 모양의 사출구를 갖는 사출기를 이용해 스틱상으로 성형하였다. 스틱상을 갖춘 성형물을 70℃ 오븐에서 10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비교예] 건식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건식으로 제조했을 때와 소성법으로 제조했을 때의 경도에 따른 성형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소성으로 제조된 조성물과 같은 분체/오일/왁스의 비율로 건식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건식 제조법은 분체 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정, 오일 및 왁스 성분을 용해시키는 과정, 용해된 오일/왁스 혼합물을 분체 혼합물에 고르게 분산 시키는 과정 및 성형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표 1의 조성물을 헨슬믹서에 모두 넣고 2분간 1,200rpm으로 혼합하였다. 분체 혼합물과 오일 및 왁스의 중량비가 87.9:12.1이 되도록 오일 및 왁스(트리에틸헥사노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디세테아릴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5.3:3.4:3.4)를 칭량한 후 70℃에서 용해시켰다. 이어서, 용해된 오일, 왁스 혼합물을 분체 혼합물에 첨가한 후 2분간 1,200rpm으로 혼합하였다. 오일이 분산된 분체를 일정틀에 넣고 20Kgf/cm2로 압축하여 성형하였다.
[시험예 1] 강도 평가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소성법으로 제조된 조성물과 건식으로 제조된 조성물의 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경도계(MODEL: TECLOCK GS 706N TYPE A JIS K 6301)를 이용해 경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소성법) 비교예(건식)
경도 83 52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소성법으로 제조한 조성물이 건식법으로 제조한 조성물보다 높은 경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소성법을 사용해 조성물을 제조했을 경우에 보다 우수한 성형 안정성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성법을 이용하여 오일 및 왁스를 더욱 고르게 분체상에 분산시키고, 건조 과정을 통해 안료 입자간의 결합력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보습감 및 커버력 관능 평가
본 발명의 메이크업 조성물의 메이크업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8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메이크업 조성물과 여러 가지 물질을 혼합하여 파운데이션을 제조한 후 사용하였을 때 사용자가 느끼는 보습감과 커버력을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1점: 매우 적다, 3점: 보통이다, 5점: 매우 높다). 0.5g의 물, 스킨, 로션 또는 크림에 상기 실시예의 스틱상 조성물을 20회 문지른 후 손으로 추가 혼합하여 피부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7에 나타내었다.
물과 혼합하였을 때
사용자1 사용자2 사용자3 사용자4 사용자5 사용자6 사용자7 사용자8 평균
보습감 1 2 1 1 2 2 3 1 1.6
커버력 3 4 4 3 5 4 4 3 3.8
스킨(가용화 제형)과 혼합하였을 때
사용자1 사용자2 사용자3 사용자4 사용자5 사용자6 사용자7 사용자8 평균
보습감 2 2 3 4 1 3 3 2 2.5
커버력 3 3 4 4 4 5 3 4 3.8
로션(저점도 에멀전)과 혼합하였을 때
사용자1 사용자2 사용자3 사용자4 사용자5 사용자6 사용자7 사용자8 평균
보습감 3 5 4 4 3 4 5 4 4.0
커버력 3 4 3 3 3 4 4 4 3.5
크림(고점도 에멀전)과 혼합하였을 때
사용자1 사용자2 사용자3 사용자4 사용자5 사용자6 사용자7 사용자8 평균
보습감 4 5 5 5 4 4 5 4 4.5
커버력 3 4 3 3 3 4 4 3 3.4
상기 표 4~7의 관능 평가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혼합하는 물질의 점도가 증가할수록 피부에 도포했을 시 느끼는 보습감이 증가되었으며, 커버력은 감소되었으나, 4가지 사용예의 경우 모두 보통 이상의 커버력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시험예에서는 평가되지 않았으나, 사용자들은 화장료를 문지르는 횟수가 증가할수록 커버력이 증가된다고 평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혼합하는 물질과 혼합 정도에 따라 보습력과 커버력이 조절될 수 있다.

Claims (9)

  1. 분체 안료 및 O/W 또는 W/O형 유화 바인더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안료는 탈크, 카올린, 마이카, 세리사이트, 이산화티탄, 산화철, 티타네이티드 마이카, 바륨셀페이트(BaSO4), 알루미나(Al203), 보론나이트라이드, 비스무스옥시클로라이드(BiOCl), 폴리에틸렌 파우더(polyethylene powder),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polymethylmethacrylate powder), 폴리에틸렌터프탈레이트-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라미네이트 파우더(polyethyleneterphtalate-polymethylmethacrylate laminate powder) 및 나일론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W 또는 W/O형 유화 바인더는 유화 바인더 총 중량에 대하여 물 40~80중량%, 보습제 1~10중량%, 오일과 왁스 16~55중량%, 유화제 2~8중량%, 점증제 0.5~1.0중량% 및 방부제 0.3~0.5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안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70~9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O/W 또는 W/O형 유화 바인더의 물을 제외한 성분의 중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3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물 또는 에멀전과 혼합하여 리퀴드 파운데이션으로 즉시 제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혼합하는 물질의 종류 및 점도에 따라서 다양한 사용감과 커버력을 갖는 리퀴드 파운데이션으로 즉시 제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소성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9. 1) 분체 안료를 혼합하는 단계;
    2) O/W 또는 W/O형 유화 바인더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1)과 상기 2)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성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10011426A 2011-02-09 2011-02-09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773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426A KR101773531B1 (ko) 2011-02-09 2011-02-09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426A KR101773531B1 (ko) 2011-02-09 2011-02-09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579A true KR20120091579A (ko) 2012-08-20
KR101773531B1 KR101773531B1 (ko) 2017-09-01

Family

ID=46883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426A KR101773531B1 (ko) 2011-02-09 2011-02-09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53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960A1 (ko) * 2013-03-29 2014-10-02 (주)아모레퍼시픽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1427A (ko) * 2014-10-07 2016-04-18 엔프라니 주식회사 금박 적층 화장료 제형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50930A (ko) * 2019-10-29 2021-05-10 코스맥스 주식회사 가용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반 고형상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11065593B2 (en) 2015-09-03 2021-07-20 Tagra Biotechnologies Ltd. Microcapsules encapsulating a reflective agent
WO2022102875A1 (ko) * 2020-11-16 2022-05-19 코스맥스 주식회사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5887247A (zh) * 2022-12-20 2023-04-04 上海臻臣化妆品有限公司 腮红组合物和腮红粉制品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872A (ja) 2001-09-27 2003-04-03 Kose Corp 固形粉末化粧料
JP5314849B2 (ja) 2007-01-16 2013-10-16 株式會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水分散無機増粘剤を含有する油中水型エマルジョンを利用した焼成タイプメーキャップ化粧料組成物及び製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7960A1 (ko) * 2013-03-29 2014-10-02 (주)아모레퍼시픽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1427A (ko) * 2014-10-07 2016-04-18 엔프라니 주식회사 금박 적층 화장료 제형 및 그 제조방법
US11065593B2 (en) 2015-09-03 2021-07-20 Tagra Biotechnologies Ltd. Microcapsules encapsulating a reflective agent
KR20210050930A (ko) * 2019-10-29 2021-05-10 코스맥스 주식회사 가용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반 고형상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22102875A1 (ko) * 2020-11-16 2022-05-19 코스맥스 주식회사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5887247A (zh) * 2022-12-20 2023-04-04 上海臻臣化妆品有限公司 腮红组合物和腮红粉制品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531B1 (ko)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449B1 (ko)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91579A (ko)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7811A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101064504B1 (ko) 반고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269405B1 (ko)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8446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7783B1 (ko) 휘발성 유기 겔을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23365A (ko) 고함량의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199886B1 (ko) 고체 유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12387A (ko) 나노유화물을 함유하면서 파우더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조절형 모델링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48675B1 (ko) 파우더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조용 유화베이스,상기 유화베이스의 제조방법, 상기 유화베이스를 포함하는파우더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49022B1 (ko)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JPS62187405A (ja) 化粧料
JPH02300109A (ja) メイクアップ用皮膚化粧料組成物
KR101055164B1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9844B1 (ko) 무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65617B1 (ko) 지속성 및 제형 안정성이 개선된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1684415B1 (ko) 리포좀화된 헥사카복시메틸 다이펩타이드-1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83974B1 (ko) 실리콘/실리카 복합 파우더를 함유한 유중수 메이크업화장료 조성물
KR101439854B1 (ko) 피부 부착성과 지속성이 높은 소성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조성물 및 제조 방법
JPS60255712A (ja) 固型化粧料
KR102213431B1 (ko) 섬유 성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1581A (ko) 휘발성 오일을 용매로 하는 소성타입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