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964A -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활석이 결여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 Google Patents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활석이 결여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964A
KR20190066964A KR1020170166893A KR20170166893A KR20190066964A KR 20190066964 A KR20190066964 A KR 20190066964A KR 1020170166893 A KR1020170166893 A KR 1020170166893A KR 20170166893 A KR20170166893 A KR 20170166893A KR 20190066964 A KR20190066964 A KR 20190066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zinc oxide
dimethicone
sericite
triethoxycaprylylsi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5930B1 (ko
Inventor
김진선
이동원
정민국
원동신
이상길
표형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잇츠한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잇츠한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잇츠한불
Priority to KR1020170166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93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Explicitly spheroidal or spheric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활석이 결여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서 분산성과 사용감이 우수한 산화아연을 사용하고, 소비자 인식이 좋지 않은 활석을 배제함으로써 생기는 성형 안정성 저하 문제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다량 처방에 따른 분산성 저하 문제의 해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파우더 팩트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비교 실험을 통하여 0.035μm TRIETHOXYCAPRYLYLSILANE으로 표면처리한 산화아연, DIMETHICONE 및 METHICONE 표면처리한 견운모, 에스테르 오일과 실리콘 오일의 블랜딩, MAGNESIUM MYRISTATE, NYLON-12을 사용하여 성형 안정성과 분산성이 우수한 프레스타입 파우더 팩트 제형의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는 수분보유능과 사용감, 부착력이 향상된 미백 기능성 파우더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UV B) 차단 효과, 효과적인 미용성분 함유, 보습효과의 극대화, 다양한 기능성분 함유 가능, 파우더 제형상의 수분 보유 극대화, 우수한 발수성, 피부 안전성 우수 등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상기 파우더는 기능성 색조 파우더 제형, 투웨이케?, BB 크림, 페이스 파우더, 아이섀도우 등의 화장 제품으로 활용가능하다.

Description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활석이 결여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Based-powder for make-up having Talc-free, outstanding dispersibility and molding stability}
본 발명은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활석이 결여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함께 인류의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도 더욱 높아지고 화장품 산업이 점차 발달되면서, 특히 각종 미감을 극대화 시켜주는 색조 화장은 피부의 결점을 커버해 주며 색상을 중요시 여기는 외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고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소비자의 추구 패턴도 단순히 결점 커버 및 외적인 화사함을 주는 것 이외에 스킨케어 개념이 도입된 기능성의 색조 화장품을 선호함을 볼 수 있다. 또한, 색조 화장품에서 피부의 결점과 잡티를 숨기기 위해 사용되는 파우더 성분은 화장 후 피부에 화장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러한 파우더의 답답함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촉촉한 사용감의 화장 마무리감을 줄 수 있는 물이 함유된 아쿠아(Aqua) 컨셉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색조 화장품의 개발과 관련하여, 최근 화장품업계들의 개발 동향을 살펴보면 기능성이 첨가된 제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생리에서 본 립스틱의 개발 동향[Fragrance,J, Apr, 1992], 자외선 방지용 메이크업의 개발동향[Fragrance,J, May, 1999], 최근 파운데이션의 연구 동향[Fragrance,J, May, 2000] 등을 보면, 대부분이 자외선 방지용의 색조 화장료의 개발이 활발하며 수분이 함유된 제품은 고형상 및 에멀젼 타입으로 립스틱이나 에멀젼 팩트 등이 제품화되어 시판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파우더 성상의 색조 화장료로서 수분이 함유된 제형은 개발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런 이유로 인해 스킨케어 개념의 성분들을 컨셉으로 하는 화장료에서는 그 성분들을 소량 밖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이러한 스킨케어 성분으로는 예컨대, 물, 글리세린, 알부틴, 레시틴, 감초산, 비타민-C, 토코페롤 성분들이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의 성분 중에 수용성의 액상성분(물)들은 파우더 제형을 엉키게 하여 안정도를 떨어뜨리며 파우더와 물의 상용성이 떨어져 사용시 뭉침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다량을 배합한다는 것이 어려웠으며 소량을 컨셉으로서 배합하는데 만족해야만 했다.
피부 외용으로 사용되는 화장품에서 미백 성분은 주로 그 성분을 잘 녹일 수 있는 가장 강력한 극성 용해제인 물에 혼합하여 제형화된다. 이는 물이 미백 성분의 전달체로서 작용하며 미백성분을 분자 수준으로 분산하고 피부의 미세한 간극이나 지질과의 혼합에 의해 유효성분을 전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색조화장품의 주요 기능인 피부색 보정 및 주름의 커버 정도가 주요 사용 목적이며 기능성 제형에서의 한계점에 봉착되어 있다. 주름 및 미백 기능성 제형은 대부분 기초화장품 또는 수상이 존재하는 유화형 제품에서만 인정되는 형태이다.
한편, 분산이론은 제타 전위로 설명할 수 있는데, 제타 전위는 액체상에 부유하는 콜로이드 입자의 전위차이다. 용액에 분산되어 있는 입자는 표면에 전기적으로 음 (-) 또는 양 (+)의 전하를 띠고 있는데, (-) 전하를 띤 콜로이드 입자 주위에 (+) 이온의 농도가 높아지며 고정층(Stern Layer)을 이루게 된다. 고정층 바깥으로는 확산층(Diffuse Layer)이 있어서 (+) 이온의 농도가 줄어들어 (-), (+) 이온이 서로 균형을 이루게 된다. 확산층의 시작점과 (-), (+) 이온이 균형을 이루는 점 사이의 전위차를 제타 전위라 한다. 이 제타전위는 분산액 내에서 하전된 입자들간의 반발력의 세기 등을 나타내므로 분산된 졸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척도로 사용된다. (-) 혹은 (+)의 제타 전위 값이 높을수록 입자 사이의 전기적인 반발력이 크기 때문에 입자간 거리가 멀어져 응집현상 없이 안정한 상태를 이룬다.
제타 전위의 값으로 분산 안정성의 척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분산된 졸의 농도를 희석시킨 후 측정하기 때문에 실제 농도, 온도에 따라 그 값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안정성의 척도로만 비교해야한다. 용매, 농도, pH, 작용기, 입자의 표면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제타 전위값을 가진다. 이러한 제타 전위를 산업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데 제타전위 값이 크고 분산이 잘 되어 있으면 도료, 제약, 화장품 산업 등에 용이하고, 제타 전위값이 작으면 폐수처리 과정에 용이하다.
또한 파우더 베이스 메이크업의 주기제인 활석(TALC)은 가격이 저렴하며 대량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제지, 섬유, 고무, 의약품, 화장품 등의 산업 전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활석이라는 명칭은 원래는 원석을 가르키는 명칭이었으나, 현재는 분쇄된 파우더도 같이 불리우고 있다. 활석은 그 특성으로서 경도가 낮고(모스경도 1), 백색도가 낮으며 전기전도도가 낮다는 등의 물리적 특성이 있다. 그리고 무미무취로 화학적/열적으로 불활성이며, 유제의 흡수능력이 크다는 등의 사용시 장점이 있다. 활석은 가벼운 커버, 우수한 퍼짐성을 위해 콤팩트에 30~50% 사용된다[F. V. Wells, Cosmetics and the skin, eds, I.I. Lubowe, 216, REINHOLD BOOK Co., New York (1964)].
활석은 Mg3SiO4(OH)2의 이상식을 갖는 점토광물이다. 결정구조는 2장의 실리카층이며 마그네슘층을 사이에 끼운 구조를 기본단위로 하여, 결합력이 다른 점토광물과 비교하여 약하며 깨지기 쉽다. 활석의 매끄러움성은 이 구조에 기인한다. 활석은 그 결정구조가 대단히 매끄러워 지방과 같은 감촉이 있으며 광학특성이 뛰어나다.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굴절율이 있다. 활석은 산화티탄, 산화아연과 같은 백색안료에 비하여 굴절율이 작고 물/유제와의 굴절율과의 차가 작기 때문에 그들 매체가 공기일 경우 백색안료적인 은폐력이 있으나, 피부상에 얇게 도포되어 땀/피지에 젖으면 투명감을 준다. 예를 들어 분제품류에는 피부의 결점을 눈에 띄이지 않게 하거나 피지분비에 의한 T존의 번들거림을 방지할 목적으로 활석이 배합된다.
반사광의 측정에서도 운모(MICA)의 경우는 특이적인 정반사 효과가 있어서 광택을 띠게 되지만 활석의 경우 특이적인 정반사가 없고 광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피부에 소프트한 질감을 부여한다. 활석은 그 독특한 감촉을 살려 베이비 파우더나 분제품류의 기제로 이용된다. 이 감촉은 다른 무기재료에서 얻을 수 없는 대단히 매끄러운 감촉이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무기분체의 동마찰계수와 비교해 활석의 수치는 작으며 입자크기가 큰 것이 동마찰계수가 작은 것으로 보아 어느 정도 입자 크기가 큰 쪽이 보다 매끄러운 감촉이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또한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부형제로 활석이나 유제를 배합한다. 유제만으로 이것을 개선시키는 것은 오일감이 많거나, 끈적임이 있고, 화장 지속성이 떨어지는 일이 있는데 활석을 배합함에 따라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K. Takeda, et. al., Functional Cosmetology, Substantiation of Cosmetic Efficacy: Recent Progress and Future Promise, 280, Yakuji Nippo, Tokyo (2003)]. 이처럼 활석은 파우더 베이스 메이크업에서 중요한 체질 안료로 처방이 되지만, 2009년 ‘석면 활석’ 파동과 더불어, 석면이 포함된 활석이 아니어도 소비자들에게 활석은 화장품엔 위험한 물질이라고 인식되어져 있다[M.S. Choi, et. al., Regulatory research on food , drug & cosmetic , 6(1-2), 19 (2011)].
그 후 활석 파동은 잠잠해지는지 알았지만, 2012년 존슨 앤 존슨 회사의 베이비 파우더를 40년간 꾸준히 이용하여 난소암으로 사망한 피해자의 유족들이 회사를 상대로 징벌적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하였고, 배심원은 피해 여성이 62세이므로 1년당 100만 달러의 징벌적 손해배상액을 책정하여 총 6200만 달러의 징벌적 손해배상이 인정됐다고 한다. 피해 여성이 난소암에 걸린 이유는 “존슨 앤 존슨 베이비 파우더에 암을 유발하는 활석 성분이 포함됐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존슨 앤 존슨 베이비 파우더와 난소암을 둘러싼 논쟁은 진행 중이며 관련 소송건만 2000건이 넘는것으로 드러났다[C. H. Lee, 서강법률논총, 6(1), 163 (2017).].
이처럼 활석 성분은 전 세계적으로 이슈를 계속해서 낳고 있다. 그래서 파우더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에서 매끄러운 사용감의 활석을 배제하고 운모(MICA)와 고령토(KAOLIN) 같은 성분을 사용한 제품도 있지만, 거친 사용감을 나타내는 무기자외선 차단제인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산화아연(ZINC OXIDE)를 처방하지 않고 사용감을 향상시킨 비기능성 제품에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또한 활석 대신 운모를 다량 사용시 충분한 성형 안정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2016년 12월 식약처에서 PA++++등급이 신설됨에 따라 최근 변화하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한 PA 등급이 16 이상인 고효율 제품 처방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등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에 비교적 안전하여 최근 각광을 받고 있지만 제품에 적용시 원료 자체의 굴절률이 높은 특성으로 인하여 커버력이 높아서 백탁현상을 유발하고, 도포시 사용감이 거친 단점 등의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H. S. Lee, Comparative Studies on the Dispersion Properties of Titanium Dioxide by Various Combinations of Oil and Dispersant, Master's Thesis, Ajou National Univ., Seoul, Korea (2010)]. 또한 산화물에서는 문제가 없어도 금속은 미립자화됨에 따라 표면이 활성화되어 응집 산화되기 쉽다[H. J. Chimera, Markets & Prospects of Nano Materials, 223, CMC BOOKS, Tokyo (2008)].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기존의 파우더 베이스 메이크업에서 기존 제형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던 중, 수상을 포함하는 제형이면서 피부에 기능성 물질을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제타 전위차를 이용한 표면 처리 파우더를 이용하였고, 구체적으로 소수성 실리카를 판상안료 표면에 정전기적 인력을 통해 표면 처리하는 제타 전위차를 이용함으로써 미백 기능성 성분을 수상성분에 용해하고, 소수성 실리카 내에 안정하게 포접하여 안정화시킨 파우더를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확인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를 특허출원한 바 있다. 상기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는 Niacinamide, Silica silylate, Mica, Lauroyl Lysine, Silica, Glycerin, Triethoxy caprylylsilane, Hydroxyacetophenone, 1,2-Hexanediol, Centella Asiatica Extract, Di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Caprylyl Glycol, Ethylhexylglycerin 및 Water를 포함하는 친수성 기능성 물질과 수상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를 개량하여 소비자의 인식이 좋지 않은 활석을 배제하고, 파우더 팩트의 구성요소인 무기 자외선 차단제 산화아연, 체질 안료, 오일 바인더, 드라이 바인더, 구상 파우더에 대한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를 개발하고, 상기 제품의 비교 실험을 통하여 성형 안정성과 분산성을 극대화하고 사용감을 향상시킨 자외선 차단 파우더 팩트 제형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우더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에서 수상 성분의 다량 처방시 사용감 및 분말감 저하를 개선하고 수분보유능과 사용감을 향상시킨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로서 MICA, SILICA SILYLATE, TRIEHTOXYCAPRYLYLSILANE,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LAUROYL LYSINE, HYDROXYPROPYL CYCLODEXTRIN, CYCLODEXTRIN, POLYDEXTROSE, RESVERATROL, HYDROXYACETOPHENONE, 1,2HEXANDIOL, CENTELLA ASIATICA EXTRACT, BUTYLENE GLYCOL, CAPRYLYLGLYCOL, DIPROPYLENE GLYCOL, ETHYLHEXYLGLYCERIN, SILICA, GLYCERIN 및 WATER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이용하여 다공성 파우더에 수상 성분을 포접하고 오일로 코팅함으로써 수분 보유능과 분말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 구성 원료들을 조절함으로써 수분보유능이 높고, 사용감과 부착력이 향상된 미백 기능성 파우더 제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써, 분산성과 사용감이 우수한 산화아연을 이용하고, 자외선차단 기능성 파우더 팩트에서 기능성 주성분 함량이 65%를 차지하기 때문에 나머지 35%의 함량에서 소비자의 인식이 좋지 않은 활석을 배제함으로써 생기는 성형 안정성 저하 문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다량 처방에 따른 분산성 저하 문제들의 해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를 위해 파우더 팩트의 구성요소인 무기 자외선 차단제 산화아연, 체질 안료, 오일 바인더, 드라이 바인더, 구상 파우더에 대한 비교 실험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성형 안정성과 분산성을 극대화하고 동시에 사용감을 향상시킴으로써, 자외선 차단 파우더 팩트 제형의 독자적인 처방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친수성 기능성 물질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에 있어서, 1)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산화아연, TRIETHOXYCAPRYLYLSILANE로 표면처리한 산화아연, METHICONE으로 표면처리한 산화아연 및 POLYSORBATE 80으로 표면처리한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산화아연; 2)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운모 또는 견운모, TRIETHOXYCAPRYLYLSILANE로 표면처리한 운모, TRIETHOXYCAPRYLYLSILANE으로 표면처리한 견운모, DIMETHICONE으로 표면처리한 견운모 및 DIMETHICONE 및 METHICONE으로 표면처리한 견운모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체질 안료; 3) 에스테르계 오일 ISOTRIDECYL ISONONANOATE, DIISOSTEARYL MALATE와 실리콘계 오일 PHENYL TRIMETHICONE 및 DIMETHICONE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오일 바인더; 4) MAGNESIUM MYRISTATE, MAGNESIUM STEARATE, ZINC STEARATE 및 POLYETHYLENE 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드라이 바인더; 및 5) PMSQ, PMMA, SILICA 및 NYLON-12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활석이 결여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활석이 결여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를 하지 않거나 표면처리한 산화아연은 0.035μm 내지 1μm의 입자 사이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산화아연은 0.035μm인 TRIETHOXYCAPRYLYLSILANE 표면처리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활석이 결여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에 있어서,상기 체질 안료는 DIMETHICONE 및 METHICONE 표면처리한 견운모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오일 바인더는 에스테르계 오일 ISOTRIDECYL ISONONANOATE, 실리콘계 오일 DIISOSTEARYL MALATE 및 DIMETHICONE의 블랜딩 오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활석이 결여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바인더는 MAGNESIUM MYRISTATE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구상 파우더는 NYLON-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활석이 결여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기능성 물질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는 MICA, SILICA SILYLATE, TRIEHTOXYCAPRYLYLSILANE,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LAUROYL LYSINE, HYDROXYPROPYL CYCLODEXTRIN, CYCLODEXTRIN, POLYDEXTROSE, RESVERATROL, HYDROXYACETOPHENONE, 1,2HEXANDIOL, CENTELLA ASIATICA EXTRACT, BUTYLENE GLYCOL, CAPRYLYLGLYCOL, DIPROPYLENE GLYCOL, ETHYLHEXYLGLYCERIN, SILICA, GLYCERIN 및 WATE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MICA, SILICA SILYLATE, TRIEHTOXYCAPRYLYLSILANE,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LAUROYL LYSINE, HYDROXYPROPYL CYCLODEXTRIN, CYCLODEXTRIN, POLYDEXTROSE, RESVERATROL, HYDROXYACETOPHENONE, 1,2HEXANDIOL, CENTELLA ASIATICA EXTRACT, BUTYLENE GLYCOL, CAPRYLYLGLYCOL, DIPROPYLENE GLYCOL, ETHYLHEXYLGLYCERIN, SILICA, GLYCERIN 및 WATER를 포함하는 친수성 기능성 물질과 수상성분을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로 칭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는, 제타전위를 이용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져 수상 성분의 다량 처방시에 발생하던 사용감 및 분말감 저하를 개선하여 수분보유능과 사용감, 부착력이 향상된 미백 기능성 파우더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UV B) 차단 효과, 효과적인 미용성분 함유, 보습효과의 극대화, 다양한 기능성분 함유 가능, 파우더 제형상의 수분 보유 극대화, 우수한 발수성, 피부 안전성 등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상기 파우더는 기능성 색조 파우더 제형, 투웨이케?, BB 크림, 페이스 파우더, 아이섀도우 등의 화장 제품으로 활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산화아연의 경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A: 산화아연(0.035μm), B: 산화아연(0.3μm), C: 산화아연(0.5μm), D: 산화아연(1μm), E: 산화아연, TRIETHOXYCAPRYLYLSILANE(0.035μm), F: 산화아연, METHICONE(0.16μm), G: 산화아연, POLYSORBATE 80(1μm)).
도 2는 산화아연의 품질 평가 그래프이다(A: 산화아연(0.035μm), B: 산화아연(0.3μm), C: 산화아연(0.5μm), D: 산화아연(1μm), E: 산화아연, TRIETHOXYCAPRYLYLSILANE(0.035μm), F: 산화아연, METHICONE(0.16μm), G: 산화아연, POLYSORBATE 80(1μm)).
도 3은 산화아연의 분산성(a) 및 성형 안정성(b)의 사진이다(A: 산화아연(0.035μm), B: 산화아연(0.3μm), C: 산화아연(0.5μm), D: 산화아연(1μm), E: 산화아연, TRIETHOXYCAPRYLYLSILANE(0.035μm), F: 산화아연, METHICONE(0.16μm), G: 산화아연, POLYSORBATE 80(1μm)).
도 4는 체질 안료의 경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A: 운모, B: 견운모, C: 운모, TRIETHOXYCAPRYLYLSILANE, D: 견운모, TRIETHOXYCAPRYLYLSILANE, E: 견운모, DIMETHICONE, F: 견운모, DIMETHICONE, METHICONE).
도 5는 체질 안료의 품질 평가 그래프이다(A: 운모, B: 견운모, C: 운모, TRIETHOXYCAPRYLYLSILANE, D: 견운모, TRIETHOXYCAPRYLYLSILANE, E: 견운모, DIMETHICONE, F: 견운모, DIMETHICONE, METHICONE).
도 6은 체질 안료의 분산성(a) 및 성형 안정성(b)의 사진이다(A: 운모, B: 견운모, C: 운모, TRIETHOXYCAPRYLYLSILANE, D: 견운모, TRIETHOXYCAPRYLYLSILANE, E: 견운모, DIMETHICONE, F: 견운모, DIMETHICONE, METHICONE).
도 7은 오일 바인더의 경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A: ISOTRIDECYL ISONONANOATE, B: DIISOSTEARYL MALATE, C: PHENYL TRIMETHICONE, D: DIMETHICONE)
도 8은 오일 바인더의 품질 평가 그래프이다(A: ISOTRIDECYL ISONONANOATE, B: DIISOSTEARYL MALATE, C: PHENYL TRIMETHICONE, D: DIMETHICONE).
도 9는 오일 바인더의 분산성(a) 및 성형 안정성(b)의 사진이다(A: ISOTRIDECYL ISONONANOATE, B: DIISOSTEARYL MALATE, C: PHENYL TRIMETHICONE, D: DIMETHICONE).
도 10은 드라이 바인더의 경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A: MAGNESIUM MYRISTATE, B: MAGNESIUM STEARATE, C: ZINC STEARATE, D: POLYETHYLENE).
도 11은 드라이 바이더의 품질 평가 그래프이다(A: MAGNESIUM MYRISTATE, B: MAGNESIUM STEARATE, C: ZINC STEARATE, D: POLYETHYLENE).
도 12는 건조 바인더의 분산성(a) 및 성형 안정성(b)의 사진이다 (A: MAGNESIUM MYRISTATE, B: MAGNESIUM STEARATE, C: ZINC STEARATE, D: POLYETHYLENE).
도 13은 구형 파우더의 경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A: POLYMETHYLSILSESQUIOXANE, B: POLYMETHYL METHACRYLATE, C: SILICA, D: NYLON-12).
도 14는 구형 파우더의 경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A: POLYMETHYLSILSESQUIOXANE, B: POLYMETHYL METHACRYLATE, C: SILICA, D: NYLON-12).
도 15는 구형 파우더의 분산성(a) 및 성형 안정성(b)의 사진이다(A: POLYMETHYLSILSESQUIOXANE, B: POLYMETHYL METHACRYLATE, C: SILICA, D: NYLON-1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산화아연 선정 실험
파우더 팩트 샘플을 제조하기 위해 핸드 믹서기(FM 909W, 한일 전기 Co., 한국)와 유압 프레스기(Powder Press, Interpack Korea Co., 독일)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처방에 따라 실험한 후 지름 53mm, 높이 5.6mm의 늄사라를 금속 몰드에 결합한 후, 12.5g을 칭량하여, 80Bar의 압력을 적용해 유압 프레스기(Powder Press, Interpack Korea co., 독일)로 성형하였다.
가장 분산성이 좋고, 사용감이 우수한 산화아연을 선정하기 위하여 표면처리와 입자사이즈에 따라 7종을 사용하였다.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산화아연 사이즈가 0.035μm인 산화아연(ZANO 10, Umicore Co., 벨기에), 0.3μm인 산화아연(XZ 300F, Sakai Chemical Industry Co., 일본), 0.5μm인 산화아연(XZ 500F, Sakai Chemical Industry Co., 일본), 1μm인 산화아연(HZ-30MD, 한일화학 Co., 한국)를 사용하였다.
표면처리한 산화아연으로는 0.035μm인 TRIETHOXYCAPRYLYLSILANE로 표면처리한 산화아연(ZANO 10 PLUS, Umicore Co., 벨기에), 0.16μm인 METHICONE으로 표면처리한 산화아연(UNZnO-NCO(H), 선진화학 Co., 한국), 1μm인 POLYSORBATE 80으로 표면처리한 산화아연(Candy Zinc 1000/Sakai Chemical Industry Co., 일본)을 사용하였다. 샘플 제조 처방은 표 1과 같다.
Zinc Oxides의 제형에 따른 파우더 샘플 처방
INCI 명칭 농도 (wt%)
A B C D E F G
TALC, TRIETHOXYCAPRYLYLSILANE 21.40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MICA, DIMETHICONE, TRIETHOXYCAPRYLYLSILANE 18.00
MICA, SILICA SILYLATE, TRIEHTOXYCAPRYLYLSILANE,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LAUROYL LYSINE, HYDROXYPROPYL CYCLODEXTRIN, CYCLODEXTRIN, POLYDEXTROSE, RESVERATROL, HYDROXYACETOPHENONE, 1,2HEXANDIOL, CENTELLA ASIATICA EXTRACT, BUTYLENE GLYCOL, CAPRYLYLGLYCOL, DIPROPYLENE GLYCOL, ETHYLHEXYLGLYCERIN, SILICA, GLYCERIN, WATER 17.00
ETHYLHEXYL METHOXYCINNAMATE, SILICA, METHICONE 16.00
ZINC OXIDE(0.035μm) 10.00            
ZINC OXIDE(0.3μm)   10.00          
ZINC OXIDE(0.5μm)     10.00        
ZINC OXIDE(1μm)       10.00      
ZINC OXIDE, TRIETHOXYCAPRYLYLSILANE (0.035μm)         10.00    
ZINC OXIDE, METHICONE(0.16μm)           10.00  
ZINC OXIDE, POLYSORBATE 80(1μm)             10.00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TRIETHOXYCAPRYLYLSILANE 8.00
IOY:IOR:IOB=0.94:0.28:0.08 1.30
CAPRYLYL GLYCOL, ETHYLHEXYLGLYCERIN 0.30
ETHYLHEXYL METHOXYCINNAMATE 1.00
ISOTRIDECYL ISONONANOATE 7.00
합계 100.00
상기 표 1에서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좌측 세번째 셀)의 세부 조성은 다음과 같다. 아래의 조성비는 좌측 셀 하나를 100으로 하였을 때의 조성비를 나타내며, 상기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의 세부 조성은 상기 표 1 이외의 나머지 표에서도 동일하다. 즉,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의 세부 조성은 MICA 23.10wt%, SILICA SILYLATE 6.00wt%, TRIEHTOXYCAPRYLYLSILANE 2.10wt%, TITANIUM DIOXIDE 27.75wt%, ALUMINUM HYDROXIDE 1.05wt%, LAUROYL LYSINE 5.00wt%, HYDROXYPROPYL CYCLODEXTRIN 7.73wt%, CYCLODEXTRIN 2.40wt%, POLYDEXTROSE 1.20wt%, RESVERATROL 0.66wt%, HYDROXYACETOPHENONE 0.30wt%, 1,2-HEXANDIOL 0.26wt%, CENTELLAASIATICA EXTRACT 0.15wt%, BUTYLENE GLYCOL 0.38wt%, CAPRYLYLGLYCOL 0.15wt%, DIPROPYLENE GLYCOL 1.17wt%, ETHYLHEXYLGLYCERIN 0.10wt%, SILICA 5.00wt%, GLYCERIN 5.00wt%, Water 10.50wt%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의 세부 조성을 상기와 같이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의 세부 조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산화아연 선정 실험 결과, 산화아연 표면처리와 입자사이즈에 따른 경도와 품질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 도 1, 2와 같다. 경도 측정은 파우더 경도계(D89079-Ulm, Zwick Co., 독일)를 사용하여, 샘플의 가운데와 바깥 쪽 4군데, 총 5군데의 경도를 측정하였다. 경도 측정시 Point 1은 샘플의 가운데, Point 2는 왼쪽 위, Point 3은 오른쪽 위, Point 4는 왼쪽 아래, Point 5 오른쪽 아래의 경도를 측정하였다. 품질 평가는 샘플의 사용감, 밀착감, 퍼짐성, 도포감, 커버력의 5가지 항목을 ‘5:우수, 4:좋음, 3:보통, 2:부족, 1:나쁨‘으로 점수를 부여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산화아연 표면처리와 입자사이즈에 따라 경도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하지만 품질 평가 결과, 샘플 E인 0.035μm인 TRIETHOXYCAPRYLYLSILANE 표면 처리된 산화아연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좋은 사용감을 나타내었다.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산화아연은 입자사이즈가 커질수록 좋지 않은 사용감과 퍼짐성을 보였다.
또한, 산화아연 표면처리와 입자사이즈에 따른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 결과 사진은 도 3과 같다. 분산성 점검은 샘플의 내용물이 2/3가 될 때까지 퍼프로 문질러 케이킹이 발생하는지 여부로 확인하였다. 샘플의 내용물을 문지를 때의 힘은 메이크업을 할 때와 유사한 힘을 적용하였다. 성형 안정성 점검은 샘플을 높이 1m에서 낙하하여 모서리의 깨짐으로 확인하였다. 측정은 2개 이상의 샘플을 사용하였고, 1회에는 깨짐이 없으며 2회 이상에서 사라 모서리나 사이드부분만 약간 깨져야 안정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상기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을 비교해 보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Model SLT-A35, Sony Co., 일본)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성형 안정성은 샘플 모두 좋은 결과를 나타냈지만, 입자사이즈가 0.1μm 이상인 샘플에서 분산성이 떨어지고 케이킹이 발생하였다. 산화아연 입자사이즈가 0.035μm인 샘플 A, E는 케이킹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이것은 입자가 작을수록 질량당 개체수가 많아지고, 비표면적이 커지면서 바인더 흡유능이 상승하여 케이킹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었다.
결과적으로 사용감과 분산성이 가장 우수?던 샘플 E인 0.035μm인 TRIETHOXYCAPRYLYLSILANE 표면처리한 산화아연을 처방 하였을때,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며 활석을 배합하지 않은 기능성 파우더 팩트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화아연의 실험 결과
Test item A B C D E F G
Point 1의 경도 38 40 39 40 40 39 41
Point 2의 경도 42 41 42 40 41 40 42
Point 3의 경도 41 42 38 41 42 39 40
Point 4의 경도 38 40 41 38 41 41 41
Point 5의 경도 42 40 43 40 40 39 40
사용감 3 2 2 1 4 3 3
밀착감 3 3 2 1 5 3 2
퍼짐성 4 2 2 1 4 5 3
도포감 3 3 3 4 4 4 3
커버력 3 3 3 3 4 3 4
<실시예 2> 체질 안료 선정 실험
활석을 제외한 체질 안료를 선정하기 위해 체질 안료 종류와 표면처리에 따라 6종을 사용하였다.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운모(MICA A-325, 미광운모 Co., 한국), 견운모(SERICITE CSN-35, 엔탑 Co., 한국) 2종과 TRIETHOXYCAPRYLYLSILANE로 표면처리한 운모(MICA AS, 한국합성펄 Co., 한국), TRIETHOXYCAPRYLYLSILANE으로 표면처리한 견운모(SERICITE H-AS, 엔탑 Co., 한국), DIMETHICONE으로 표면처리한 견운모(SERICITE J SDM, 이현에프엔씨 Co., 한국), DIMETHICONE 및 METHICONE으로 표면처리한 견운모(SERICITE J SSM, 케이에스펄 Co., 한국) 4종을 사용하였다. 각 샘플 제조 처방은 표 3과 같다.
체질 안료(Constitution Pigment) 제형에 따른 샘플 처방
INCI 명칭 농도 (wt%)
A B C D E F
MICA 21.40          
SERICITE   21.40        
MICA, TRIETHOXYCAPRYLYLSILANE     21.40  
SERICITE, TRIETHOXYCAPRYLYLSILANE       21.40    
SERICITE, DIMETHICONE       21.40   
SERICITE, DIMETHICONEM METHICONE           21.40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MICA, DIMETHICONE, TRIETHOXYCAPRYLYLSILANE 18.00
MICA, SILICA SILYLATE, TRIEHTOXYCAPRYLYLSILANE,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LAUROYL LYSINE, HYDROXYPROPYL CYCLODEXTRIN, CYCLODEXTRIN, POLYDEXTROSE, RESVERATROL, HYDROXYACETOPHENONE, 1,2HEXANDIOL, CENTELLA ASIATICA EXTRACT, BUTYLENE GLYCOL, CAPRYLYLGLYCOL, DIPROPYLENE GLYCOL, ETHYLHEXYLGLYCERIN, SILICA, GLYCERIN, WATER 17.00
ETHYLHEXYL METHOXYCINNAMATE, SILICA, METHICONE 16.00
ZINC OXIDE, TRIETHOXYCAPRYLYLSILANE 10.00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TRIETHOXYCAPRYLYLSILANE 8.00
IOY:IOR:IOB=0.94:0.28:0.08 1.30
CAPRYLYL GLYCOL, ETHYLHEXYLGLYCERIN 0.30
ETHYLHEXYL METHOXYCINNAMATE 1.00
ISOTRIDECYL ISONONANOATE 7.00
합계 100.00
상기와 같은 체질 안료 선정 실험 결과, 체질 안료 종류 및 표면처리에 따른 경도와 품질평가 결과는 표 4, 도 4 및 도 5와 같다. 샘플 D인 TRIETHOXYCAPRYLYLSILANE으로 표면처리한 견운모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경도가 높았지만, 전반적인 품질은 샘플 F인 DIMETHICONE 및 METHICONE으로 표면처리한 견운모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체질 안료 종류 및 표면처리에 따른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 결과 사진은 도 6과 같다. 분산성은 모두 양호하였지만 성형 안정성은 견운모에 표면처리를 한 샘플 D, E, F만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활석을 처방하지 않고 이산화티타늄과 산화아연의 다량 처방으로 좋지 않은 사용감 및 성형 안정성을 위해 표면처리 복합 분체인 DIMETHICONE 및 METHICONE으로 표면처리한 견운모를 선정하여 다음 실험을 진행하였다.
체질 안료의 실험 결과
시험 항목 A B C D E F
Point 1의 경도 20 24 22 42 36 38
Point 2의 경도 22 25 23 41 36 40
Point 3의 경도 21 23 22 43 35 41
Point 4의 경도 23 24 24 42 38 39
Point 5의 경도 22 25 22 44 37 38
사용감 1 3 3 3 4 5
밀착감 1 3 2 4 3 3
퍼짐성 3 3 3 3 4 5
도포감 3 3 5 4 4 4
커버력 3 3 3 3 4 5
<실시예 3> 오일 바인더 선정 실험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인 ISOTRIDECYL ISONONANOATE(CRODAMOL-TN, CRODA Co., 일본), DIISOSTEARYL MALATE(NEOREX DSM, NISSHIN OILL내셔널 미마츄 Co., 일본)와 실리콘계인 PHENYL TRIMETHICONE(CPF-3300, NUSIL Co., 미국), DIMETHICONE(SF 1000N-5CST, KCC Co., 한국)을 사용하였다. 샘플 제조 처방은 하기 표 5와 같다.
오일 바인더 제형에 따른 샘플 처방
INCI 명칭 농도 (wt%)
A B C D
SERICITE, DIMETHICONE, METHICONE 21.40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MICA, DIMETHICONE, TRIETHOXYCAPRYLYLSILANE 30.00
MICA, SILICA SILYLATE, TRIEHTOXYCAPRYLYLSILANE,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LAUROYL LYSINE, HYDROXYPROPYL CYCLODEXTRIN, CYCLODEXTRIN, POLYDEXTROSE, RESVERATROL, HYDROXYACETOPHENONE, 1,2HEXANDIOL, CENTELLA ASIATICA EXTRACT, BUTYLENE GLYCOL, CAPRYLYLGLYCOL, DIPROPYLENE GLYCOL, ETHYLHEXYLGLYCERIN, SILICA, GLYCERIN, WATER 17.00
ETHYLHEXYL METHOXYCINNAMATE, SILICA, METHICONE 16.00
ZINC OXIDE, TRIETHOXYCAPRYLYLSILANE 10.00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TRIETHOXYCAPRYLYLSILANE 8.00
IOY:IOR:IOB=0.94:0.28:0.08 1.30
CAPRYLYL GLYCOL, ETHYLHEXYLGLYCERIN 0.30
ETHYLHEXYL METHOXYCINNAMATE 1.00
ISOTRIDECYL ISONONANOATE 7.00      
DIISOSTEARYL MALATE   7.00    
PHENYL TRIMETHICONE     7.00  
DIMETHICONE       7.00
합계l 100.00
상기와 같은 오일 바인더 선정 실험 결과, 오일 바인더 종류에 따른 경도와 품질평가 결과는 표 6, 도 7, 8과 같다.
5cps인 DIMETHICONE, 15cps인 PHENYL TRIMETHICONE보다 점도가 5000cps로 확연히 높았던 DIISOSTEARYL MALATE를 사용한 샘플 B의 경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처럼 점도가 높은 물질은 분산성이 떨어지면서 무기 분체들간의 응집현상으로 높은 경도를 발생했다고 판단된다. 사용감은 DIISOSTEARYL MALATE를 사용한 샘플 B의 밀착감이 우수하였고, DIMETHICONE을 사용한 샘플 D의 퍼짐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오일 바인더 종류에 따른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 결과 사진은 도 9와 같다. DIISOSTEARYL MALATE를 사용한 샘플 B는 분산성이 떨어지며 케이킹이 발생하였고, DIMETHICONE을 사용한 샘플 D는 성형 안정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적당한 페이오프와 성형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오일 바인더를 검토한 결과, 앞 선 실험에서 실리콘 오일 표면처리 복합 분체인 DIMETHICONE 및 METHICONE으로 표면처리한 SERICITE를 체질 안료로 선정하였기에, 상용성이 좋은 DIMETHICONE과 밀착감과 사용감이 좋은 에스테르오일인 DIISOSTEARYL MALATE, ISOTRIDECYL ISONONANOATE을 함께 블랜딩하면 퍼짐성도 좋으며, 파우더 입자간 이중층으로 이산화티타늄과 산화아연의 다량 처방에 따른 거친 사용감을 완화시켜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다음 실험을 진행하였다.
오일 바인더의 실험 결과
시험 항목 A B C D
Point 1의 경도 39 43 36 32
Point 2의 경도 40 46 34 33
Point 3의 경도 40 47 36 35
Point 4의 경도 39 50 37 36
Point 5의 경도 38 48 36 33
사용감 3 2 3 3
밀착감 3 5 2 1
퍼짐성 3 1 3 5
도포감 3 2 4 4
커버력 4 3 3 4
<실시예 4> 드라이 바인더 선정 실험
드라이 바인더는 금속염류인 MAGNESIUM MYRISTATE(MAGNESIUM MYRISTATE, SHANGHAI RICHEM Co., 중국), MAGNESIUM STEARATE(MAGNESIUM STEARATE, FACI ASIA PACIFIC PTE Co., 미국), ZINC STEARATE(SONGSTAB SZ-210, 송원산업 Co., 한국), 고분자분체인 POLYETHYLENE(MICROPOLY 200, MICRO POWDERS, Co., 미국)의 4종을 선정하였으며 샘플 제조 처방은 표 7과 같다.
드라이 바인더 제형에 따른 샘플 처방
INCI 멍칭 농도 (wt%)
A B C D
SERICITE, DIMETHICONE, METHICONE 19.90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MICA, DIMETHICONE, TRIETHOXYCAPRYLYLSILANE
18.00
MICA, SILICA SILYLATE, TRIEHTOXYCAPRYLYLSILANE,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LAUROYL LYSINE, HYDROXYPROPYL CYCLODEXTRIN, CYCLODEXTRIN, POLYDEXTROSE, RESVERATROL, HYDROXYACETOPHENONE, 1,2HEXANDIOL, CENTELLA ASIATICA EXTRACT, BUTYLENE GLYCOL, CAPRYLYLGLYCOL, DIPROPYLENE GLYCOL, ETHYLHEXYLGLYCERIN, SILICA, GLYCERIN, WATER 17.00
ETHYLHEXYL METHOXYCINNAMATE, SILICA, METHICONE 16.00
ZINC OXIDE, TRIETHOXYCAPRYLYLSILANE 10.00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TRIETHOXYCAPRYLYLSILANE 8.00
MAGNESIUM MYRISTATE 1.00      
MAGNESIUM STEARATE   1.00    
ZINC STEARATE   1.00  
POLYETHYLENE       1.00
IOY:IOR:IOB=0.94:0.28:0.08 1.30
CAPRYLYL GLYCOL, ETHYLHEXYLGLYCERIN 0.30
ETHYLHEXYL METHOXYCINNAMATE 1.00
ISOTRIDECYL ISONONANOATE 2.50
DIISOSTEARYL MALATE 2.50
DIMETHICONE 2.50
합계 100.00
상기와 같은 드라이 바인더 선정 실험 결과, 부족한 성형 안정성을 세부적으로 조정하고, 적당한 페이오프를 위해 드라이 바인더 종류를 검토하였다. 드라이 바인더 종류에 따른 경도와 품질평가 결과는 표 8, 도 10, 11과 같으며,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 결과 사진은 도 12와 같다. 드라이 바인더 4종류 중 ZINC STEARATE를 사용한 샘플 C만 분산성이 떨어지며, 케이킹이 발생하였다. ZINC STEARATE는 지방산이 14개로 입자가 크기 때문에 비표면적이 적어지면서 바인더 흡유능도 적어져 케이킹이 발생했다고 생각된다. 적당한 페이오프와 퍼짐성, 성형 안정성을 보완해줄 수 있는 MAGNESIUM MYRISTATE를 최종 선정하여 다음 실험을 진행하였다.
드라이 바인더의 실험 결과
시험항목 A B C D
Point 1의 경도 37 40 38 44
Point 2의 경도 38 42 39 50
Point 3의 경도 39 41 41 49
Point 4의 경도 40 43 40 48
Point 5의 경도 38 44 40 51
사용감 4 3 3 1
밀착감 4 3 4 2
퍼짐성 5 3 3 1
도포감 4 3 4 2
커버력 5 3 3 1
<실시예 5> 구상 파우더 선정 실험
구상 파우더는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PMSQ(STAROB SL-500MG, SAMSUNG SILICON Co., 한국), PMMA(MPOL-PMMA, MICROPOL Co., 한국), SILICA(SUNSIL-130, 선진화학 Co., 한국), NYLON-12(ORGASOL 2002 EXD NAT COS, ELF ATOCHEM Co., 프랑스)의 4종을 선정하였으며 샘플 제조 처방은 표 9와 같다.
구상 파우더의 제형에 따른 샘플 처방
INCI 명칭 농도 (wt%)
A B C D
SERICITE, DIMETHICONE, METHICONE 13.90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MICA, DIMETHICONE, TRIETHOXYCAPRYLYLSILANE 18.00
MICA, SILICA SILYLATE, TRIEHTOXYCAPRYLYLSILANE,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LAUROYL LYSINE, HYDROXYPROPYL CYCLODEXTRIN, CYCLODEXTRIN, POLYDEXTROSE, RESVERATROL, HYDROXYACETOPHENONE, 1,2HEXANDIOL, CENTELLA ASIATICA EXTRACT, BUTYLENE GLYCOL, CAPRYLYLGLYCOL, DIPROPYLENE GLYCOL, ETHYLHEXYLGLYCERIN, SILICA, GLYCERIN, WATER 17.00
ETHYLHEXYL METHOXYCINNAMATE, SILICA, METHICONE 16.00
ZINC OXIDE, TRIETHOXYCAPRYLYLSILANE 10.00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TRIETHOXYCAPRYLYLSILANE 8.00
MAGNESIUM MYRISTATE 1.00
POLYMETHYLSILSESQUIOXANE 6.00      
POLYMETHYL METHACRYLATE   6.00    
SILICA   6.00  
NYLON-12       6.00
IOY:IOR:IOB=0.94:0.28:0.08 1.30
CAPRYLYL GLYCOL, ETHYLHEXYLGLYCERIN 0.30
ETHYLHEXYL METHOXYCINNAMATE 1.00
ISOTRIDECYL ISONONANOATE 2.50
DIISOSTEARYL MALATE 2.50
DIMETHICONE 2.50
합계 100.00
상기와 같은 구상 파우더 선정 실험 결과, 적당한 페이오프와 퍼짐성 향상을 위해 구상 파우더를 검토하였다. 구상 파우더 종류에 따른 경도와 품질평가 결과는 표 10, 도 13, 14과 같으며,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 결과 사진은 도 15와 같다. 구상 파우더 4종류를 사용하였을 때 분산성은 모두 양호하였고, 성형 안정성은 NYLON-12를 사용한 샘플 D만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본 발명에 적용된 NYLON-12는 표면굴곡이 있어 다른 구상 파우더보다 비표면적이 상대적으로 높아 파우더에 닿는 면적이 커서 성형 안정성이 커졌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NYLON-12를 최종 구상 파우더로 선정하였다.
구상 파우더의 실험 결과
시험항목 A B C D
Point 1의 경도 34 35 37 32
Point 2의 경도 35 34 38 34
Point 3의 경도 35 33 39 36
Point 4의 경도 37 35 40 33
Point 5의 경도 36 34 38 34
사용감 3 2 1 4
밀착감 3 3 3 4
퍼짐성 3 3 2 5
도포감 3 3 2 4
커버력 3 4 2 4
상기와 같은 실험 결과, 소수성 실리카를 판상안료 표면에 정전기적 인력을 통해 표면 처리하는 제타 전위차를 이용함으로서 미백 기능성 성분을 수상성분에 용해하고, 소수성 실리카 내에 포접하여 안정화 시킨 파우더를 개발하고 이를 파우더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에 적용하였으며, 구성 요소인 무기 자외선 차단제 산화아연, 체질 안료, 오일 바인더, 드라이 바인더, 구상 파우더를 검토하여 소비자 인식이 좋지 않은 활석을 처방하지 않고, 성형 안정성과 분산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미백의 고기능성 파우더 팩트를 개발하기 위해 실험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파우더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에서 무기 자외선 차단제로써,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산화아연은 입자사이즈가 커질수록 좋지 않은 사용감과 퍼짐성을 보였다. 사용감과 분산성이 가장 우수했던 0.035μm인 TRIETHOXYCAPRYLYLSILANE 표면처리한 산화아연을 처방하여, 활석을 처방하지 않으며 성형 안정성과 분산성이 우수한 기능성 파우더 팩트 제품을 개발할 수 있었다.
2) 제타전위 표면처리 파우더를 함유하며, 활석을 처방하지 않은 기능성 파우더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에서 체질 안료로는 DIMETHICONE 및 METHICONE 표면처리한 견운모가 사용감 및 성형 안정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3) 제타전위 표면처리 파우더를 함유하며, 활석을 처방하지 않은 기능성 파우더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에서 오일 바인더로는 DIMETHICONE 및 METHICONE 표면처리한 견운모와 상용성이 좋은 DIMETHICONE과 밀착감과 사용감이 좋은 에스테르오일인 DIISOSTEARYL MALATE, ISOTRIDECYL ISONONANOATE을 함께 블랜딩하면 퍼짐성도 좋으며, 파우더 입자간 이중층으로 이산화티타늄과 산화아연의 다량 처방에 따른 거친 사용감을 완화시켜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제타전위 표면처리 파우더를 함유하며, 활석을 처방하지 않은 기능성 파우더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에서 드라이 바인더로는 MAGNESIUM MYRISTATE가 적당한 페이오프와 퍼짐성, 성형 안정성을 보완시켜주었다.
5) 제타전위 표면처리 파우더를 함유하며, 활석을 처방하지 않은 기능성 파우더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에서 구상 파우더로는 NYLON-12가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페이오프와 퍼짐성 향상에 가장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제타전위 표면처리 파우더를 함유하며, 활석을 처방하지 않은 기능성 파우더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 구성 원료를 조절하여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였고, 최종적으로 소비자의 인식이 좋지 않은 활석을 배제하고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이 우수한 파우더 팩트 제형의 독자적인 처방을 확립할 수 있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9)

  1. 친수성 기능성 물질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에 있어서,
    1)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산화아연, TRIETHOXYCAPRYLYLSILANE로 표면처리한 산화아연, METHICONE으로 표면처리한 산화아연 및 POLYSORBATE 80으로 표면처리한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산화아연;
    2)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운모 또는 견운모, TRIETHOXYCAPRYLYLSILANE로 표면처리한 운모, TRIETHOXYCAPRYLYLSILANE으로 표면처리한 견운모, DIMETHICONE으로 표면처리한 견운모 및 DIMETHICONE 및 METHICONE으로 표면처리한 견운모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체질 안료;
    3) 에스테르계 오일 ISOTRIDECYL ISONONANOATE, DIISOSTEARYL MALATE와 실리콘계 오일 PHENYL TRIMETHICONE 및 DIMETHICONE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오일 바인더;
    4) MAGNESIUM MYRISTATE, MAGNESIUM STEARATE, ZINC STEARATE 및 POLYETHYLENE 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드라이 바인더; 및
    5) PMSQ, PMMA, SILICA 및 NYLON-12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를 하지 않거나 표면처리한 산화아연은 0.035μm 내지 1μm의 입자 사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아연은 0.035μm인 TRIETHOXYCAPRYLYLSILANE 표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질 안료는 DIMETHICONE 및 METHICONE 표면처리한 견운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바인더는 에스테르계 오일 ISOTRIDECYL ISONONANOATE, 실리콘계 오일 DIISOSTEARYL MALATE 및 DIMETHICONE의 블랜딩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바인더는 MAGNESIUM MYRIST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파우더는 NYLON-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기능성 물질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는 MICA, SILICA SILYLATE, TRIEHTOXYCAPRYLYLSILANE,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LAUROYL LYSINE, HYDROXYPROPYL CYCLODEXTRIN, CYCLODEXTRIN, POLYDEXTROSE, RESVERATROL, HYDROXYACETOPHENONE, 1,2HEXANDIOL, CENTELLA ASIATICA EXTRACT, BUTYLENE GLYCOL, CAPRYLYLGLYCOL, DIPROPYLENE GLYCOL, ETHYLHEXYLGLYCERIN, SILICA, GLYCERIN 및 WA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기능성 물질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는 MICA 23.10wt%, SILICA SILYLATE 6.00wt%, TRIEHTOXYCAPRYLYLSILANE 2.10wt%, TITANIUM DIOXIDE 27.75wt%, ALUMINUM HYDROXIDE 1.05wt%, LAUROYL LYSINE 5.00wt%, HYDROXYPROPYL CYCLODEXTRIN 7.73wt%, CYCLODEXTRIN 2.40wt%, POLYDEXTROSE 1.20wt%, RESVERATROL 0.66wt%, HYDROXYACETOPHENONE 0.30wt%, 1,2-HEXANDIOL 0.26wt%, CENTELLAASIATICA EXTRACT 0.15wt%, BUTYLENE GLYCOL 0.38wt%, CAPRYLYLGLYCOL 0.15wt%, DIPROPYLENE GLYCOL 1.17wt%, ETHYLHEXYLGLYCERIN 0.10wt%, SILICA 5.00wt%, GLYCERIN 5.00wt% 및 Water 10.50w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KR1020170166893A 2017-12-06 2017-12-06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활석이 결여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KR102065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893A KR102065930B1 (ko) 2017-12-06 2017-12-06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활석이 결여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893A KR102065930B1 (ko) 2017-12-06 2017-12-06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활석이 결여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964A true KR20190066964A (ko) 2019-06-14
KR102065930B1 KR102065930B1 (ko) 2020-01-14

Family

ID=66846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893A KR102065930B1 (ko) 2017-12-06 2017-12-06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활석이 결여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9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930A (ko) * 2019-10-29 2021-05-10 코스맥스 주식회사 가용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반 고형상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1745A (ko) * 2020-10-19 2022-04-26 코스맥스 주식회사 가용화된 실리콘을 포함하는 반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339A (ko) 2021-09-28 2023-04-04 코스맥스 주식회사 폴리올-오일 유화물을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659134B1 (ko) 2021-10-12 2024-04-19 한국콜마주식회사 자외선 차단용 무기복합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879B1 (en) * 1993-09-01 1997-06-19 Pacific Co Ltd Powdery coloring make-up composition
KR20120005773A (ko) * 2010-07-09 2012-01-17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일라이트를 함유한 탈크 프리 파우더 타입 색조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879B1 (en) * 1993-09-01 1997-06-19 Pacific Co Ltd Powdery coloring make-up composition
KR20120005773A (ko) * 2010-07-09 2012-01-17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일라이트를 함유한 탈크 프리 파우더 타입 색조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0930A (ko) * 2019-10-29 2021-05-10 코스맥스 주식회사 가용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반 고형상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1745A (ko) * 2020-10-19 2022-04-26 코스맥스 주식회사 가용화된 실리콘을 포함하는 반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930B1 (ko)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6662B1 (en) Oil-controlling cosmetic powder
KR102065930B1 (ko)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활석이 결여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JP2007230995A (ja) サブミクロン窒化ホウ素粒子を含む化粧品組成物
JP2008255012A (ja) 口唇化粧料
JP2014141482A (ja) 固形粉末化粧料
WO2008044385A1 (fr) Préparation cosmétique contenant une poudre composite polyfonctionnelle
EP3902608B1 (en) A novel process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gloss and blur
KR101939669B1 (ko) 제타 전위 표면처리 파우더를 이용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WO2019138793A1 (ja) 固形粉末化粧料及び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JP5042540B2 (ja) 複合粒子を含む化粧料の製造方法
JP2004123682A (ja) 着色顔料及びメイクアップ化粧料
US10258545B2 (en) Oily cosmetics
JP3723710B2 (ja) 化粧料
JP2008247757A (ja) 複合粉体及び該複合粉体を含有する化粧料
JP5399052B2 (ja) 油性化粧料および化粧製品
JP2004123681A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2003300831A (ja) 重層メイクアップ化粧料
EP4353218A1 (en) Iron oxide pigment for cosmetic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iron oxide pigment
KR102594172B1 (ko) 타정성 및 낙하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JP4976179B2 (ja) 油性睫毛用化粧料
JPH11209239A (ja) 自然に見えるメークアップ化粧料
WO2020230682A1 (ja) 粉体化粧料
JP2001199827A (ja) 化粧料
JP2020164458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H11217314A (ja) 自然に見えるメークアップ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