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669B1 - 제타 전위 표면처리 파우더를 이용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 Google Patents

제타 전위 표면처리 파우더를 이용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669B1
KR101939669B1 KR1020160177958A KR20160177958A KR101939669B1 KR 101939669 B1 KR101939669 B1 KR 101939669B1 KR 1020160177958 A KR1020160177958 A KR 1020160177958A KR 20160177958 A KR20160177958 A KR 20160177958A KR 101939669 B1 KR101939669 B1 KR 101939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mica
zeta potential
water
si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4162A (ko
Inventor
김진선
이동원
서재원
원동신
이상길
표형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잇츠한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잇츠한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잇츠한불
Priority to KR1020160177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669B1/ko
Publication of KR20180074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제타 전위 표면처리 파우더를 이용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는 니아신아미드, 실리카실릴레이트, 운모, 라우로일라이신, 실리카, 글리세린,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2-헥산디올, 병풀추출물,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카프릴릴글리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제타 전위 표면처리 파우더를 이용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Based-powder for make-up using zeta potential surface-treatment powder}
본 발명은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타 전위 표면처리 파우더를 이용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함께 인류의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도 더욱 높아지고 화장품 산업이 점차 발달되면서, 특히 각종 미감을 극대화 시켜주는 색조 화장은 피부의 결점을 커버해 주며 색상을 중요시 여기는 외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고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소비자의 추구 패턴도 단순히 결점 커버 및 외적인 화사함을 주는 것 이외에 스킨케어 개념이 도입된 기능성의 색조 화장품을 선호함을 볼 수 있다. 또한, 색조 화장품에서 피부의 결점과 잡티를 숨기기 위해 사용되는 파우더 성분은 화장 후 피부에 화장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러한 파우더의 답답함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촉촉한 사용감의 화장 마무리감을 줄 수 있는 물이 함유된 아쿠아(Aqua) 컨셉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색조 화장품의 개발과 관련하여, 최근 화장품업계들의 개발 동향을 살펴보면 기능성이 첨가된 제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생리에서 본 립스틱의 개발 동향[Fragrance,J, Apr, 1992], 자외선 방지용 메이크업의 개발동향[Fragrance,J, May, 1999], 최근 파운데이션의 연구 동향[Fragrance,J, Ma y, 2000] 등을 보면, 대부분이 자외선 방지용의 색조 화장료의 개발이 활발하며 수분이 함유된 제품은 고형상 및 에멀젼 타입으로 립스틱이나 에멀젼 팩트 등이 제품화되어 시판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파우더 성상의 색조 화장료로서 수분이 함유된 제형은 개발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런 이유로 인해 스킨케어 개념의 성분들을 컨셉으로 하는 화장료에서는 그 성분들을 소량 밖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이러한 스킨케어 성분으로는 예컨대, 물, 글리세린, 알부틴, 레시틴, 감초산, 비타민-C, 토코페롤 성분들이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의 성분 중에 수용성의 액상성분(물)들은 파우더 제형을 엉키게 하여 안정도를 떨어뜨리며 파우더와 물의 상용성이 떨어져 사용시 뭉침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다량을 배합한다는 것이 어려웠으며 소량을 컨셉으로서 배합하는데 만족해야만 했다.
피부 외용으로 사용되는 화장품에서 미백 성분은 주로 그 성분을 잘 녹일 수 있는 가장 강력한 극성 용해제인 물에 혼합하여 제형화된다. 이는 물이 미백 성분의 전달체로서 작용하며 미백성분을 분자 수준으로 분산하고 피부의 미세한 간극이나 지질과의 혼합에 의해 유효성분을 전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색조화장품의 주요 기능인 피부색 보정 및 주름의 커버 정도가 주요 사용 목적이며 기능성 제형에서의 한계점에 봉착되어 있다. 주름 및 미백 기능성 제형은 대부분 기초화장품 또는 수상이 존재하는 유화형 제품에서만 인정되는 형태이다.
한편, 분산이론은 제타 전위로 설명할 수 있는데, 제타 전위는 액체상에 부유하는 콜로이드 입자의 전위차이다. 용액에 분산되어 있는 입자는 표면에 전기적으로 음 (-) 또는 양 (+)의 전하를 띠고 있는데, (-) 전하를 띤 콜로이드 입자 주위에 (+)이온의 농도가 높아지며 고정층(Stern Layer)을 이루게 된다. 고정층 바깥으로는 확산층(Diffuse Layer)이 있어서 (+) 이온의 농도가 줄어들어 (-), (+) 이온이 서로 균형을 이루게 된다. 확산층의 시작점과 (-), (+) 이온이 균형을 이루는 점 사이의 전위차를 제타 전위라 한다. 이 제타전위는 분산액 내에서 하전된 입자들간의 반발력의 세기 등을 나타내므로 분산된 졸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척도로 사용된다. (-) 혹은 (+)의 제타 전위 값이 높을수록 입자 사이의 전기적인 반발력이 크기 때문에 입자간 거리가 멀어져 응집현상 없이 안정한 상태를 이룬다. 제타 전위의 값으로 분산 안정성의 척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분산된 졸의 농도를 희석시킨 후 측정하기 때문에 실제 농도, 온도에 따라 그 값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안정성의 척도로만 비교해야한다. 용매, 농도, pH, 작용기, 입자의 표면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제타 전위값을 가진다. 이러한 제타 전위를 산업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데 제타전위 값이 크고 분산이 잘 되어 있으면 도료, 제약, 화장품 산업 등에 용이하고, 제타 전위값이 작으면 폐수처리 과정에 용이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기존의 파우더 베이스 메이크업에서 기존 제형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던 중, 수상을 포함하는 제형이면서 피부에 기능성 물질을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제타 전위차를 이용한 표면 처리 파우더를 이용하였고, 구체적으로 소수성 실리카를 판상안료 표면에 정전기적 인력을 통해 표면 처리하는 제타 전위차를 이용함으로써 미백 기능성 성분을 수상성분에 용해하고, 소수성 실리카 내에 안정하게 포접하여 안정화 시킨 파우더를 개발하고, 이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타 전위 표면처리 파우더를 이용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파우더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에서 수상 성분의 다량 처방시 사용감 및 분말감 저하를 개선하고 수분보유능과 사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인 니아신아미드(Niacinamide), 실리카실릴레이트(Silica silylate), 운모(Mica), 라우로일라이신(Lauroyl Lysine), 실리카(Silica), 글리세린(Glycerin),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Triethoxy caprylylsilane),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1,2-헥산디올(Hexanediol), 병풀추출물(Centella Asiatica Extract),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및 물을 이용하여 다공성 파우더에 수상 성분을 포접하고 오일로 코팅함으로써 수분 보유능과 분말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 구성 원료들을 조절함으로써 수분보유능이 높고, 사용감과 부착력이 향상된 미백 기능성 파우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니아신아미드(Niacinamide), 실리카실릴레이트(Silica silylate), 운모(Mica), 라우로일라이신(Lauroyl Lysine), 실리카(Silica), 글리세린(Glycerin),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Triethoxy caprylylsilane),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1,2-헥산디올(Hexanediol), 병풀추출물(Centella Asiatica Extract),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및 물을 포함하는 친수성 기능성 물질과 수상성분을 포함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니아신아미드(Niacinamide), 실리카실릴레이트(Silica silylate), 운모(Mica), 라우로일라이신(Lauroyl Lysine), 실리카(Silica), 글리세린(Glycerin),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Triethoxy caprylylsilane),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1,2-헥산디올(Hexanediol), 병풀추출물(Centella Asiatica Extract),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및 물을 포함하는 친수성 기능성 물질과 수상성분을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로 약칭한다.
본 발명의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는 상기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 이외에 추가적으로, 1)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실리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다공성 파우더; 2) 표면처리 되지 않은 활석(talc); 운모; 견운모(sericite);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활석 및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운모 및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견운모 및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아미노산으로 표면처리한 운모로서, 상기 아미노산은 프롤린, 글루탐산 및 팔미트산(palmitic acid)임;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체질 안료의 기제; 3) 에스테르계인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isotridecyl isononanoate),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실리콘계인 5cs 디메티콘(dimethicone) 및 100cs 디메티콘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오일 바인더; 및 4) 금속염류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징크 스테아레이트(zinc stearate), 고분자분체인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드라이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다공성 파우더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와 수상성분이 65중량% 함유된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는 1 : 3의 중량비로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질 안료는 운모 또는 아미노산을 표면처리한 운모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오일 바인더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드라이 바인더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수상 성분의 다량 처방시에 발생하던 사용감 및 분말감 저하를 개선하고 수분보유능과 사용감, 부착력이 향상된 미백 기능성 파우더 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타 전위 표면처리 파우더를 이용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의 제조 공정의 간략도이다.
도 2는 다공성 파우더를 사용한 실험에서 수상성분의 포접과 코팅 정도를 나타낸 사진으로 왼쪽부터 실험 A, 실험 B, 실험 C이다.
도 3은 다공성 파우더 및 수상성분 비율에 따른 포접과 코팅 정도를 나타낸 사진으로 왼쪽부터 실험 A, 실험 B, 실험 C, 실험 D이다.
도 4는 체질 안료의 수분 보유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오일 바인더의 수분 보유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드라이 바인더의 수분 보유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최종 베이스의 수분 보유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최종 베이스의 설문조사 실험 결과의 평균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최종 베이스의 멜라닌 수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최종 베이스의 임상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다공성 파우더 선정 실험
수상성분 포접을 가장 우수하게 할 수 있는 다공성 파우더를 선정하기 위하여 다공성 파우더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실리카(silica), 이들의 혼합물(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silica) 3종류를 사용하였다. 수상성분을 포접하기 위한 페이스 파우더 시료 제조 처방은 하기 표 1과 같다. 제조 후 시료의 수상 성분 포접 및 코팅상태를 확인하였다.
다공성 파우더를 사용한 수상성분의 포접을 위한 제형
INCI 명칭 농도 (wt%)
A B C
Talc 25.60
Niacinamide, Silica silylate, Mica, Lauroyl Lysine, Silica, Glycerin, Triethoxy caprylylsilane, Hydroxyacetophenone, 1,2-Hexanediol, Centella Asiatica Extract, Di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Caprylyl Glycol, Ethylhexylglycerin, Water 40.00
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15.00    
Silica   15.00  
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Silica     15.00
Titanium Dioxide (CI 77891), Aluminum Hydroxide, Mica, Dimethicone, Triethoxycaprylylsilane 4.00
Titanium Dioxide (CI 77891), Aluminum Hydroxide, Triethoxycaprylylsilane 4.00
Polymethyl Methacrylate 1.00
Nylon-12 1.00
Synthetic Fluorphlogopite, Titanium Dioxide (Ci 77891), Methicone, Aluminum Hydroxide 1.00
Ioy Aes:Ior Aes:Iob Aes=0.35:0.12:0.03 0.50
Ethyl Hexanediol, Acacia Arabica Stem Bark Extract 0.70
Ethylhexyl Methoxycinnamate 2.00
Isotridecyl Isononanoate 3.00
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1.00
Dipentaerythrityl Hexahydroxystearate 1.00
Synthetic Wax,Euphorbia Cerifera (Candelilla) Wax,Copernicia Cerifera (Carnauba) Wax 0.10
Ceresin 0.10
합계 100.00
상기 표 1에서 좌측에 표시된 각 성분의 세부 조성은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좌측에 표시된 각 성분의 세부 조성은 wt%를 의미하며, 상기 표의 좌측 셀 하나를 100으로 하였을 때의 조성비를 나타낸다(상기 표 1 이외의 나머지 표에서도 동일하다) 즉, (1) 니아신아미드(Niacinamide) 8.00, 실리카실릴레이트(Silica silylate) 5.00, 운모(Mica) 5.00, 라우로일라이신(Lauroyl Lysine) 5.00, 실리카(Silica) 5.00, 글리세린(Glycerin) 5.0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Triethoxy caprylylsilane) 0.30,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0.30, 1,2-헥산디올(Hexanediol) 0.25, 병풀추출물(Centella Asiatica Extract) 0.15,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0.50,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0.38,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 0.15,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0.10, 물 64.87 (2)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95.00~98.00, 실리카(Silica) 2.00~5.00 (3)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 47.04,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1.46, 운모(Mica) 48.50, 디메티콘(Dimethicone) 1.5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1.50 (4)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 92.50,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3.5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4.00 (5)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Synthetic Fluorphlogopite) 9.80,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 86.40, 메티콘(Methicone) 2.00,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1.80 (6) 산화철광물(Iron Oxides)(CI 77492)(CI 77491)(CI 77499) 97.0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3.00 (7) 에틸헥산디올(Ethyl Hexanediol) 90.00, 아카시아 아라비아 줄기수피 추출물(Acacia Arabica Stem Bark Extract) 10.00 (8) 합성 왁스(Synthetic Wax) 73.50, 유포리아 세리페라(Euphorbia Cerifera)(칸델리아(Candelilla)) 왁스 3.00, 코페르니시아 세리페라(Copernicia Cerifera)(카르나우바(Carnauba)) 왁스 23.50 이다.
상기와 같이, 가장 우수한 포접 및 코팅력을 지닌 다공성 파우더를 선정하기 위하여 다공성 파우더 3종류를 사용하고 코팅상태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로 포접 및 코팅한 시료는 1일 후에도 물에 침적되지 않아 코팅이 잘 이루어졌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도 2(a)). 그에 반해, 실리카(silica), 이들의 혼합물(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silica)로 포접 및 코팅한 시료는 물에 침적이 되어 코팅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도 2(b)(c)). 포접 및 코팅이 가장 우수했던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를 선정하여 다음 실험에 적용하였다.
<실시예 2> 다공성 파우더와 제타전위 표면처리 파우더의 비율 선정 실험
다공성 파우더에 최대로 수상성분이 포접될 수 있는 비율을 선정하기 위해 니아신아미드(Niacinamide), 실리카실릴레이트(Silica silylate), 운모(Mica), 라우로일라이신(Lauroyl Lysine), 실리카(Silica), 글리세린(Glycerin),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Triethoxy caprylylsilane),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1,2-헥산디올(Hexanediol), 병풀추출물(Centella Asiatica Extract),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물(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의 함량을 10% 증가시키며 실험을 진행하였고, 수상 포접 비율을 선정하기 위한 페이스 파우더 시료 제조 처방은 하기 표 2와 같다. 제조 후 시료의 수상 성분 포접 및 코팅상태를 확인하였다.
다공성 파우더 및 제타 전위 표면처리 파우더의 비율에 따른 제형과 포접
INCI 명칭 농도 (wt%)
A B C D
Talc q.s to 100
Niacinamide, Silica silylate, Mica, Lauroyl Lysine, Silica, Glycerin, Triethoxy caprylylsilane, Hydroxyacetophenone, 1,2-Hexanediol, Centella Asiatica Extract, Di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Caprylyl Glycol, Ethylhexylglycerin, Water 10.00      
  20.00    
    30.00  
      40.00
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10.00
Titanium Dioxide (CI 77891), Aluminum Hydroxide, Mica, Dimethicone, Triethoxycaprylylsilane 4.00
Titanium Dioxide (CI 77891), Aluminum Hydroxide, Triethoxycaprylylsilane 4.00
Polymethyl Methacrylate 1.00
Nylon-12 1.00
Synthetic Fluorphlogopite, Titanium Dioxide (Ci 77891), Methicone, Aluminum Hydroxide 1.00
Ioy Aes:Ior Aes:Iob Aes=0.35:0.12:0.03 0.50
Ethyl Hexanediol, Acacia Arabica Stem Bark Extract 0.70
Ethylhexyl Methoxycinnamate 2.00
Isotridecyl Isononanoate 3.00
Butylene Glycol Dicaprylate, Dicaprate 1.00
Dipentaerythrityl Hexahydroxystearate 1.00
Synthetic Wax, Euphorbia Cerifera (Candelilla) Wax, Copernicia Cerifera (Carnauba) Wax 0.10
Ceresin 0.10
합계 100.00
상기 표 2에서 좌측에 표시된 각 성분의 세부 조성은 다음과 같다. 즉, (1) 니아신아미드(Niacinamide) 8.00, 실리카실릴레이트(Silica silylate) 5.00, 운모(Mica) 5.00, 라우로일라이신(Lauroyl Lysine) 5.00, 실리카(Silica) 5.00, 글리세린(Glycerin) 5.0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Triethoxy caprylylsilane) 0.30,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0.30, 1,2-헥산디올(Hexanediol) 0.25, 병풀추출물(Centella Asiatica Extract) 0.15,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0.50,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0.38,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 0.15,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0.10, 물 64.87 (2)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 47.04,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1.46, 운모(Mica) 48.50, 디메티콘(Dimethicone) 1.5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1.50 (3)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 92.50,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3.5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4.00 (4)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Synthetic Fluorphlogopite) 9.80,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 86.40, 메티콘(Methicone) 2.00, 수산화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1.80 (5) 산화철광물(Iron Oxides)(CI 77492)(CI 77491)(CI 77499) 97.0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3.00 (6) 에틸헥산디올(Ethyl Hexanediol) 90.00, 아카시아 아라비아 줄기수피 추출물(Acacia Arabica Stem Bark Extract) 10.00 (7) 합성 왁스(Synthetic Wax) 73.50, 유포리아 세리페라(Euphorbia Cerifera)(칸델리아(Candelilla)) 왁스 3.00, 코페르니시아 세리페라(Copernicia Cerifera)(카르나우바(Carnauba)) 왁스 23.50이다.
다공성 파우더에 수상 성분이 최대로 포접할 수 있는 다공성 파우더와 제타전위 표면처리 파우더의 비율을 선정하기 위하여 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을 10%로 고정시키고, 운모(mica),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triethoxy caprylylsilane), 실리카 실리레이트(silica silylate), 라우로일라이신(lauroyl lysine), 아르부틴(arbutin), 니아신아미드(niacinamide), 물, 글리세린(glycerin), 클로르페네신(chlorphenesin)을 10%씩 증가시켜 포접 및 코팅한 후, 코팅력을 비교하였다. 운모(mica),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triethoxy caprylylsilane), 실리카 실리레이트(silica silylate), 라우로일라이신(lauroyl lysine), 아르부틴(arbutin), 니아신아미드(niacinamide), 물, 글리세린(glycerin), 클로르페네신(chlorphenesin) 40% 일 때, 포접 및 코팅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최대로 포접 및 코팅을 할 수 있는 비율을 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 니아신아미드(Niacinamide), 실리카 실리레이트(silica silylate), 운모(mica), 라우로일라이신(lauroyl lysine), 실리카(Silica), 글리세린(Glycerin),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triethoxy caprylylsilane),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1,2-헥산디올(Hexanediol), 병풀추출물(Centella Asiatica Extract),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카프릴릴 글리콜(Caprylyl Glycol),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및 물을 1:3 중량비로 선정하여 다음 실험을 진행하였다(도 3 (a)(b)(c)(d)).
<실시예 3> 체질 안료 기제에 따른 수분 보유능 및 분말감
체질 안료의 기제에 따른 수분보유능과 분말감을 확인하기 위하여, 표면처리 되지 않은 활석(talc); 운모; 견운모(sericite)와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활석(talc) 및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견운모(sericite) 및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아미노산으로 표면처리한 운모, 프롤린, 글루탐산 및 팔미트산(palmitic acid)을 선정하였고, 페이스파우더 시료 제조 처방을 표 3에 나타내었다.
체질 안료의 제형
INCI 명칭 농도 (wt%)
A B C D E F G
Talc 40.60            
Mica   40.60          
Sericite     40.60        
Talc, Triethoxycaprylylsilane       40.60      
Mica, Triethoxycaprylylsilane         40.60    
Mica, Proline,Glutamic Acid, Palmitic Acid           40.60  
Sericite, Triethoxycaprylylsilane             40.60
Niacinamide, Silica silylate, Mica, Lauroyl Lysine, Silica, Glycerin, Triethoxy caprylylsilane, Hydroxyacetophenone, 1,2-Hexanediol, Centella Asiatica Extract, Di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Caprylyl Glycol, Ethylhexylglycerin, Water 30.00
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10.00
Titanium Dioxide (CI 77891), Aluminum Hydroxide, Mica, Dimethicone, Triethoxycaprylylsilane 4.00
Titanium Dioxide (CI 77891), Aluminum Hydroxide, Triethoxycaprylylsilane 4.00
Polymethyl Methacrylate 1.00
Nylon-12 1.00
Synthetic Fluorphlogopite, Titanium Dioxide (CI 77891), Methicone, Aluminum Hydroxide 1.00
Ioy Aes:Ior Aes:Iob Aes=0.35:0.12:0.03 0.50
Ethyl Hexanediol, Acacia Arabica Stem Bark Extract 0.70
Ethylhexyl Methoxycinnamate 2.00
Isotridecyl Isononanoate 3.00
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1.00
Dipentaerythrityl Hexahydroxystearate 1.00
Synthetic Wax, Euphorbia Cerifera (Candelilla) Wax, Copernicia Cerifera (Carnauba) Wax 0.10
Ceresin 0.10
합계 100.00
상기 표 3에서 좌측에 표시된 각 성분의 세부 조성은 다음과 같다. 즉, (1) 활석 97.0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3.00 (2) 운모 97.0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3.00 (3) 운모 98.50, 프롤린 0.40, 글루탐산 0.30, 팔미트산 0.80 (4) 운모 97.0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3.00 (5) 니아신아미드 8.00, 실리카 실리레이트 5.00, 운모 5.00, 라우릴라이신 5.00, 실리카 5.00, 글리세린 5.0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0.30,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30, 1,2-헥산디올 0.25, 병풀추출물 0.15, 디프로필렌 글리콜 0.50, 부틸렌 글리콜 0.38, 카프릴릴 글리콜 0.15, 에틸헥실글리세린 0.10, 물 64.87 (6) 이산화티탄 47.04, 수산화알루미늄 1.46, 운모 48.50, 디메티콘 1.5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1.50 (7) 이산화티탄 92.50, 수산화알루미늄 3.5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4.00 (8)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9.80, 이산화티탄 86.40, 메티콘 2.00, 수산화알루미늄 1.80 (9) 산화철광물(CI 77492)(CI 77491)(CI 77499) 97.0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3.00 (10) 에틸 헥산디올 90.00, 아카시아 아라비카 줄기수피 추출물 10.00 (11) 합성 왁스 73.50, 유포리아 세리페라(Euphorbia Cerifera)(칸델리아(Candelilla)) 왁스 3.00, 코페르니시아 세리페라(Copernicia Cerifera)(카르나우바(Carnauba)) 왁스 23.50 이다.
체질 안료 기제에 따른 수분 보유능 및 분말감 결과를 표 4와 도 4에 나타내었으며 수분 보유능이 가장 좋았던 정도는 운모, 견운모, 활석 순이었고, 표면처리를 한 시료의 수분보유능이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시료의 수분보유능 보다 다소 높게 나왔다.
그 중에서도 아미노산으로 표면처리한 운모의 수분 보유능이 가장 높았다. 예상외로 분말감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수분보유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체질안료는 운모 위주로 처방을 구성을 해서 파우더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 개발을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수분보유능이 우수했던 운모, 프롤린, 글루탐산, 팔미트산을 선정하여 다음 실험을 적용하였다.
체질 안료의 수분 보유능과 분말감의 실험 결과
시료 0hr 1hr 2hr 3hr 4hr 5hr 분말감
대조군 5.00 4.42 4.25 4.16 4.12 4.10 B
A(Talc) 5.00 4.53 4.38 4.35 4.28 4.25 A
B(Mica) 5.00 4.60 4.55 4.49 4.37 4.30 A
C(Sericite) 5.00 4.56 4.46 4.40 4.35 4.28 A
D(Talc, Triethoxycaprylylsilane) 5.00 4.72 4.63 4.55 4.40 4.35 A
E(Mica, Triethoxycaprylylsilane) 5.00 4.80 4.72 4.64 4.48 4.42 B
F(Mica, Proline,Glutamic Acid, Palmitic Acid) 5.00 4.81 4.74 4.68 4.51 4.48 B
G(Sericite, Triethoxycaprylylsilane) 5.00 4.77 4.67 4.58 4.46 4.38 B
<실시예 4> 오일 바인더의 종류에 따른 수분 보유능 및 분말감
오일 바인더의 종류에 따른 수분 보유능 및 분말감을 확인하기 위해 에스테르계인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isotridecyl isononanoate),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실리콘계인 5cs 디메티콘(dimethicone), 100cs 디메티콘(dimethicone)을 선정하였고, 페이스파우더 시료 제조 처방을 표 5에 나타내었다.
오일 바인더의 제형
INCI 명칭 농도 (wt%)
A B C D E
Mica, Proline, Glutamic Acid, Palmitic Acid 43.60
Niacinamide, Silica silylate, Mica, Lauroyl Lysine, Silica, Glycerin, Triethoxy caprylylsilane, Hydroxyacetophenone, 1,2-Hexanediol, Centella Asiatica Extract, Di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Caprylyl Glycol, Ethylhexylglycerin, Water 30.00
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10.00
Titanium Dioxide (CI 77891), Aluminum Hydroxide, Mica, Dimethicone, Triethoxycaprylylsilane 4.00
Titanium Dioxide (CI 77891), Aluminum Hydroxide, Triethoxycaprylylsilane 4.00
Ioy Aes:Ior Aes:Iob Aes=0.35:0.12:0.03 0.50
Ethyl Hexanediol, Acacia Arabica Stem Bark Extract 0.70
Ethylhexyl Methoxycinnamate 2.00
Synthetic Wax, Euphorbia Cerifera (Candelilla) Wax, Copernicia Cerifera (Carnauba) Wax 0.10
Ceresin 0.10
Isotridecyl Isononanoate 5.00        
Caprylic 및 Capric Triglyceride   5.00      
Diisostearyl Malate     5.00    
Dimethicone (6Cs)       5.00  
Dimethicone (100Cs)         5.00
합계 100.00
상기 표 5에서 좌측에 표시된 각 성분의 세부 조성은 다음과 같다. 즉, (1) 운모 98.50, 프롤린 0.40, 글루탐산 0.30, 팔미트산 0.80 (2) 니아신아미드 8.00, 실리카 실리레이트 5.00, 운모 5.00, 라우릴라이신 5.00, 실리카 5.00, 글리세린 5.0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0.30,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30, 1,2-헥산디올 0.25, 병풀추출물 0.15, 디프로필렌 글리콜 0.50, 부틸렌 글리콜 0.38, 카프릴릴 글리콜 0.15, 에틸헥실글리세린 0.10, 물 64.87 (3) 이산화티탄 47.04, 수산화알루미늄 1.46, 운모 48.50, 디메티콘 1.5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1.50 (4) 이산화티탄 92.50, 수산화알루미늄 3.5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4.00 (5) 산화철광물(CI 77492)(CI 77491)(CI 77499) 97.0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3.00 (6) 에틸 헥산디올 90.00, 아카시아 아라비카 줄기수피 추출물 10.00 (7) 합성 왁스 73.50, 유포리아 세리페라(Euphorbia Cerifera)(칸델리아(Candelilla)) 왁스 3.00, 코페르니시아 세리페라(Copernicia Cerifera)(카르나우바(Carnauba)) 왁스 23.50 이다.
오일 바인더의 종류에 따른 수분 보유능 및 분말감 결과를 표 6과 도 5에 나타내었다. 오일바인더 중에서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인 시료 b가 가장 좋은 수분 보유능 결과를 나타내었다. 분말감은 시료 A, B, D가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시료 C인 이소트리데실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가 분말감이 가장 좋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다. 오일바인더의 점도가 낮을수록 분말감은 좋았으며, 수분 보유능은 점도와는 관련이 없었다. 수분보유능과 분말감이 우수했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를 다음 실험에 적용하였다.
오일 바인더의 수분 보유능과 분말감의 실험 결과
시료 0hr 1hr 2hr 3hr 4hr 5hr 분말감
대조군 5.00 4.75 4.62 4.55 4.42 4.36 A
A(Isotridecyl Isononanoate) 5.00 4.84 4.78 4.69 4.61 4.51 A
B(Caprylic, Capric Triglyceride) 5.00 4.87 4.82 4.79 4.72 4.71 A
C(Diisostearyl Malate) 5.00 4.83 4.76 4.65 4.52 4.46 C
D(Dimethicone 6Cs) 5.00 4.80 4.72 4.60 4.51 4.45 A
E(Dimethicone 100Cs) 5.00 4.82 4.75 4.67 4.55 4.48 B
<실시예 5> 드라이 바인더의 종류에 따른 수분 보유능 및 분말감
드라이 바인더는 종류에 따른 수분 보유능을 확인하기 위해 금속염류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징크 스테아레이트(zinc stearate), 고분자분체인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의 4종을 선정하였고, 페이스파우더 시료 제조 처방을 표 7에 나타내었다.
드라이 바인더의 제형
INCI 명칭 농도 (wt%)
A B C D
Mica, Proline, Glutamic Acid, Palmitic Acid 35.60
Niacinamide, Silica silylate, Mica, Lauroyl Lysine, Silica, Glycerin, Triethoxy caprylylsilane, Hydroxyacetophenone, 1,2-Hexanediol, Centella Asiatica Extract, Di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Caprylyl Glycol, Ethylhexylglycerin, Water 30.00
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10.00
Titanium Dioxide (CI 77891), Aluminum Hydroxide, Mica, Dimhicone, Triethoxycaprylylsilane 4.00
Titanium Dioxide (CI 77891), Aluminum Hydroxide, Triethoxycaprylylsilane 4.00
Magnesium Stearate 5.00      
Zinc Stearate   5.00    
Ptfe     5.00  
Polyethylene       5.00
Polymethyl Methacrylate 1.00
Nylon-12 1.00
Synthetic Fluorphlogopite, Titanium Dioxide (CI 77891), Methicone, Aluminum Hydroxide 1.00
Ioy Aes:Ior Aes:Iob Aes=0.35:0.12:0.03 0.50
Ethyl Hexanediol, Acacia Arabica Stem Bark Extract 0.70
Ethylhexyl Methoxycinnamate 2.00
Isotridecyl Isononanoate 3.00
Butylene Glycol Dicaprylate, Dicaprate 1.00
Dipentaerythrityl Hexahydroxystearate 1.00
Synthetic Wax, Euphorbia Cerifera (Candelilla) Wax, Copernicia Cerifera (Carnauba) Wax 0.10
Ceresin 0.10
합계 100.00
상기 표 7에서 좌측에 표시된 각 성분의 세부 조성은 다음과 같다. 즉, (1) 운모 98.50, 프롤린 0.40, 글루탐산 0.30, 팔미트산 0.80 (2) 니아신아미드 8.00, 실리카 실리레이트 5.00, 운모 5.00, 라우릴라이신 5.00, 실리카 5.00, 글리세린 5.0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0.30,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30, 1,2-헥산디올 0.25, 병풀추출물 0.15, 디프로필렌 글리콜 0.50, 부틸렌 글리콜 0.38, 카프릴릴 글리콜 0.15, 에틸헥실글리세린 0.10, 물 64.87 (3) 이산화티탄 47.04, 수산화알루미늄 1.46, 운모 48.50, 디메티콘 1.5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1.50 (4) 이산화티탄 92.50, 수산화알루미늄 3.5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4.00 (5)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9.80, 이산화티탄 86.40, 메티콘 2.00, 수산화알루미늄 1.80 (6) 산화철광물(CI 77492)(CI 77491)(CI 77499) 97.0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3.00 (7) 에틸헥산디올 90.00, 아카시아 아라비아 줄기수피 추출물 10.00 (8) 합성 왁스 73.50, 유포리아 세리페라(Euphorbia Cerifera)(칸델리아(Candelilla)) 왁스 3.00, 코페르니시아 세리페라(Copernicia Cerifera)(카르나우바(Carnauba)) 왁스 23.50 이다.
드라이 바인더의 종류에 따른 수분 보유능 및 분말감 결과를 표 8과 도 6에 나타내었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한 시료 A의 수분 보유능이 가장 좋았고, ptfe를 사용한 시료 C가 수분 보유능이 가장 좋지 않았다. 분말감은 차이를 보이지 않고 시료 모두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파우더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의 수분보유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드라이 바인더 중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사용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보이며, 다음 실험에 적용하였다.
드라이 바인더의 수분 보유능과 분말감의 실험 결과
시료 0hr 1hr 2hr 3hr 4hr 5hr 분말감
대조군 5.00 4.85 4.79 4.76 4.70 4.67 A
A(Magnesium Stearate) 5.00 4.88 4.86 4.84 4.83 4.83 A
B(Zinc Stearate) 5.00 4.87 4.85 4.81 4.79 4.74 A
C(Ptfe) 5.00 4.85 4.81 4.78 4.76 4.71 A
D(Polyethylene) 5.00 4.87 4.85 4.79 4.79 4.73 A
<실시예 6> 최종 베이스 시료의 제조 및 평가
상기 실시예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제타전위를 이용한 표면 처리 파우더인 니아신아미드, 실리카실릴레이트, 운모, 라우로일라이신, 실리카, 글리세린,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2-헥산디올, 병풀추출물,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카프릴릴글리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물을 적용하여 각 항목별 수분보유능 및 분말감이 우수했던 원료와 니아신아미드, 실리카실릴레이트, 운모, 라우로일라이신, 실리카, 글리세린,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2-헥산디올, 병풀추출물,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카프릴릴글리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물을 적용하지 않고, 수분 보유능 및 분말감이 좋지 않았던 원료를 선정하여 표 9와 같이 시료를 제조하여 최종 시료의 수분 보유능 향상 및 품질을 평가하였다.
최종 베이스의 제형
INCI 명칭 농도 (wt%)
A(good) B(bad)
Mica, Prolin, Glutamic Acid, Palmitic Acid 26.80 -
Talc - 26.80
Mica,Aloe Barbadensis Leaf Extract, Cocos Nucifera (Coconut) Oil 15.00
Niacinamide, Silica silylate, Mica, Lauroyl Lysine, Silica, Glycerin, Triethoxy caprylylsilane, Hydroxyacetophenone, 1,2-Hexanediol, Centella Asiatica Extract, Di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Caprylyl Glycol, Ethylhexylglycerin, Water 30.00 -
Niacinamide: Silica silylate: Mica: Lauroyl Lysine: Silica: Glycerin: Triethoxy caprylylsilane: Hydroxyacetophenone: 1,2-Hexanediol: Centella Asiatica Extract: Di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Caprylyl Glycol: Ethylhexylglycerin: Water = 2.40:1.50:1.50:1.50:1.50:1.50:0.09:0.09:0.08:0.05:0.15:0.11:0.05:0.03 - 30.00
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10.00 -
Silica - 10.00
Magnesium Stearate 4.00 -
Ptfe - 4.00
Titanium Dioxide (CI 77891), Aluminum Hydroxide, Mica, Dimethicone, Triethoxycaprylylsilane 4.00
Titanium Dioxide (CI 77891), Aluminum Hydroxide, Triethoxycaprylylsilane 4.00
Ioy Aes:Ior Aes:Iob Aes = 0.35:0.12:0.03 0.50
Ethyl Hexanediol, Acacia Arabica Stem Bark Extract 0.70
Ethylhexyl Methoxycinnamate 2.00
Caprylic, Capric Triglyceride 3.00 -
Dimethicone (6cs) - 3.00
합계 100.00
상기 표 9에서 좌측에 표시된 각 성분의 세부 조성은 다음과 같다. 즉, (1) 운모 98.50, 프롤린 0.40, 글루탐산 0.30, 팔미트산 0.80 (2) 운모 92.00, 알로에베라 잎추출물(Aloe Barbadensis Leaf Extract) 1.00, 코코넛(Cocos Nucifera) 오일 7.00 (3) 니아신아미드 8.00, 실리카 실리레이트 5.00, 운모 5.00, 라우릴라이신 5.00, 실리카 5.00, 글리세린 5.0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0.30,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30, 1,2-헥산디올 0.25, 병풀추출물 0.15, 디프로필렌 글리콜 0.50, 부틸렌 글리콜 0.38, 카프릴릴 글리콜 0.15, 에틸헥실글리세린 0.10, 물 64.87 (4) 이산화티탄 47.04, 수산화알루미늄 1.46, 운모 48.50, 디메티콘 1.5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1.50 (5) 이산화티탄 92.50, 수산화알루미늄 3.5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4.00 (6) 산화철광물(CI 77492)(CI 77491)(CI 77499) 97.00,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3.00 (7) 에틸헥산디올 90.00, 아카시아 아라비아 줄기수피 추출물 10.00 이다.
최종 BASE 수분 보유능의 비교 실험 결과를 표 10과 도 7에 나타내었으며 다공성 파우더에 제타표면처리 파우더인 니아신아미드, 실리카실릴레이트, 운모, 라우로일라이신, 실리카, 글리세린,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2-헥산디올, 병풀추출물,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카프릴릴글리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물의 수상성분을 포접하여 페이스 파우더 시료 제조시 수분보유능이 가장 좋았던 원료로 구성된 A 시료가 수분보유능도 높고 전반적으로 품질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같은 함량의 수상성분을 포함하였지만, B 시료는 입자감이 뭉치고, 밀착감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즉, 파우더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에서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를 적용할 경우, 피부 부착력 및 사용감이 향상되고 수분보유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 베이스의 수분 보유능과 분말감의 실험 결과
시료 0hr 1hr 2hr 3hr 4hr 5hr 분말감
A(good) 5.00 4.90 4.87 4.85 4.83 4.83 A
B(bad) 5.00 4.40 4.21 4.12 4.10 4.07 E
<실험예 1> 실험 기기
수능 보유능과 분말감이 향상된 페이스 파우더를 제조하기 위해 핸드 믹서기(FM 909W, 한일 전기, 대한민국), 제조된 페이스 파우더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디지털 카메라(Model SLT-A35, Sony Co., 일본), 수분 보유능 측정을 위한 50℃ 항온조, 분말감 측정을 위한 50mesh, 미백효능평가를 위한 Mexameter(Cutometer MPA 580, CMK Co., 독일), 도포하고 평가 할 인공피부(BIO SKIN PLATE)을 이용하였다.
<실험예 2> 수상포접 및 코팅 확인
수상 포접 및 코팅 확인 방법은 정제수 20g에 시료 0.5g 칭량하고 20번 강하게 쉐이킹을 한후 1일 방치 후 관찰하였다.
<실험예 3> 수분 보유능 측정
가장 우수한 수분 보유능을 가진 성분을 확인하기 위해서 제조된 페이스 파우더 시료 5g과 50℃ 항온조건에서 수분감소량을 시간별로 측정하여 수분을 유지하는 능력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4> 분말감 측정
가장 우수한 분말감을 가진 성분을 확인하기 위해서 제조된 페이스 파우더 시료 20g을 달아 50mesh(300 ㎛)를 통과시킨 후 통과되는 양을 등급으로 표시하였다. 'A : 95% 이상 통과, B : 90 - 95% 통과, C : 85 - 90% 통과, D : 80 - 85% 통과, E : 75 - 80% 통과, F : 75% 이하 통과' 로 점수를 부여하였다.
<실험예 5> 최종 베이스 품질 설문조사
10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설문 항목은 사용감, 밀착감, 발림성, 입자감, 촉촉함으로 측정하였다. 니아신아미드, 실리카실릴레이트, 운모, 라우로일라이신, 실리카, 글리세린,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2-헥산디올, 병풀추출물,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카프릴릴글리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물을 적용하여 각 항목별 수분보유능 및 분말감이 우수했던 원료와 니아신아미드, 실리카실릴레이트, 운모, 라우로일라이신, 실리카, 글리세린,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2-헥산디올, 병풀추출물,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카프릴릴글리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물을 적용하지 않고, 수분 보유능 및 분말감이 가장 좋지 않았던 원료로 구성된 2가지 시료로 품질 평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5:우수, 4:좋음, 3:보통, 2:부족, 1:나쁨'으로 점수를 부여하였다.
품질 설문조사 결과는 표 11과 도 8에 나타내었다.
최종 베이스의 품질 설문조사 결과
실험 항목 A B
Texture 4.3 2.5
Adhesion 3.9 3.0
Spreadability 4.4 3.4
Particle 4.0 2.9
Moisturizing 4.1 3.1
<실험예 6> 최종 베이스 피부 미백 효능 평가
최종 베이스의 피부 미백 효능 평가를 대한 피부 과학 연구소에 분석을 의뢰하여 진행하였다. 피험자 24명을 선정하여 인공 유도된 색소침착 부위에 하루 2회 피험자가 자가 도포하였고, 시료 도포 2주, 4주 후 Mexameter를 이용하여 기기 평가를 하였다.
최종 베이스의 피부 미백 효능 평가를 대한 피부 과학 연구소에 분석을 의뢰한 중간 결과를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었다. 0주에서 4주에 걸쳐 멜라닌 수치 변화를 확인하였고, 4주후 최종시료인 A의 멜라닌 수치가 183.48, B는 190.19로 시료A의 멜라닌 수치가 낮았고, 멜라닌 색소 감소 정도가 4주간 시료 A, B 각각 11.52, 4.63으로 시료 A의 색소 감소 정도가 2.5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 제타전위 표면 처리한 니아신아미드, 실리카실릴레이트, 운모, 라우로일라이신, 실리카, 글리세린,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2-헥산디올, 병풀추출물,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카프릴릴글리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물을 페이스 파우더에 적용한 결과 미백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파우더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 개발에 있어서 운모(mica)에 실리카 실리레이트(silica silylate)를 정전기적 인력을 통해 표면처리를 유도하고 소수성을 갖는 파우더 담체를 통해 친수성 기능성 물질과 수상성분을 담지한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인 니아신아미드, 실리카실릴레이트, 운모, 라우로일라이신, 실리카, 글리세린,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2-헥산디올, 병풀추출물,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카프릴릴글리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물을 이용하여 페이스 파우더 제품에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다공성 파우더 3종을 검토한 결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가 니아신아미드, 실리카실릴레이트, 운모, 라우로일라이신, 실리카, 글리세린,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2-헥산디올, 병풀추출물,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카프릴릴글리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물내의 수상 성분의 포접이 가장 양호하였다.
둘째, 파우더 제품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가 수상성분이 65% 함유된 니아신아미드, 실리카실릴레이트, 운모, 라우로일라이신, 실리카, 글리세린,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2-헥산디올, 병풀추출물,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카프릴릴글리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물r을 최대로 포접할 수 있는 비율은 1:3의 비율이 가장 양호하였다.
셋째, 파우더 제품에서 체질안료 중 운모의 수분보유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수분 보유능이 가장 좋았던 체질안료는 운모, 견운모, 활석 순이었고, 표면처리를 한 체질안료가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체질안료보다 수분보유능이 다소 우수하였다. 이 중 아미노산으로 표면처리한 운모의 수분 보유능이 가장 높았다. 체질안료에 따라 분말감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파우더 제품에서 오일바인더 5종을 적용한 결과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 및 capric triglyceride) 수분보유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오일바인더의 점도가 낮을수록 분말감이 좋았고, 수분 보유능은 점도와는 관련이 없었다.
다섯째, 파우더 제품에서 드라이 바인더 4종을 적용한 결과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의 수분 보유능이 가장 우수하였고, 분말감은 드라이 바인더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드라이 바인더 역시 수분보유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파우더 제품에서 니아신아미드, 실리카실릴레이트, 운모, 라우로일라이신, 실리카, 글리세린,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2-헥산디올, 병풀추출물,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카프릴릴글리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물을 적용한 결과, 사용감과 밀착감이 향상되었고, 멜라닌 수치가 감소하며 미백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파우더 제품에서 제타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인 니아신아미드, 실리카실릴레이트, 운모, 라우로일라이신, 실리카, 글리세린,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2-헥산디올, 병풀추출물,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카프릴릴글리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물을 이용하여 구성 원료들을 조절함으로써 수분 보유능이 향상되어 보습감을 제공하고, 사용감이 향상된 미백 기능성 파우더 제품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7)

  1.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로서, 상기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는 니아신아미드(Niacinamide), 실리카실릴레이트(Silica silylate), 운모(Mica), 라우로일라이신(Lauroyl Lysine), 실리카(Silica), 글리세린(Glycerin),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Triethoxy caprylylsilane),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1,2-헥산디올(Hexanediol), 병풀추출물(Centella Asiatica Extract),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 에틸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및 물을 포함하는 친수성 기능성 물질과 수상성분으로 이루어진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는 상기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 이외에 추가적으로,
    1)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실리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다공성 파우더;
    2) 표면처리 되지 않은 활석(talc); 운모; 견운모(sericite); 알킬실란으로 표면처리된 활석 및 트리에톡시 카프릴릴실란; 운모 및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견운모 및 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아미노산으로 표면처리한 운모로서, 상기 아미노산은 프롤린, 글루탐산 및 팔미트산(palmitic acid)임;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체질 안료의 기제;
    3) 에스테르계인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나노에이트(isotridecyl isononanoate),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실리콘계인 5cs 디메티콘(dimethicone) 및 100cs 디메티콘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오일 바인더; 및
    4) 금속염류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징크 스테아레이트(zinc stearate), 고분자분체인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한 종류 이상의 드라이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파우더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와 수상성분이 65중량% 함유된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는 1 : 3의 중량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질 안료는 운모 또는 아미노산을 표면처리한 운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바인더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바인더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타 전위 표면 처리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KR1020160177958A 2016-12-23 2016-12-23 제타 전위 표면처리 파우더를 이용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KR101939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958A KR101939669B1 (ko) 2016-12-23 2016-12-23 제타 전위 표면처리 파우더를 이용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958A KR101939669B1 (ko) 2016-12-23 2016-12-23 제타 전위 표면처리 파우더를 이용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162A KR20180074162A (ko) 2018-07-03
KR101939669B1 true KR101939669B1 (ko) 2019-01-17

Family

ID=62918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958A KR101939669B1 (ko) 2016-12-23 2016-12-23 제타 전위 표면처리 파우더를 이용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6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866B1 (ko) * 2019-10-24 2020-05-21 윤준식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150B1 (ko) * 2018-12-20 2021-03-12 주식회사 잇츠한불 표면처리 파우더를 함유하는 유분산 미백스틱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020B1 (ko) * 2001-04-02 2004-07-05 한국콜마 주식회사 분말상의 기능성 색조화장료 조성물
KR101516198B1 (ko) * 2013-05-23 2015-05-18 주식회사 큐브앤코 화장품에 사용감 개선 및 지속시간 증가 효과를 부여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84511B1 (ko) * 2013-12-17 2016-01-13 (주)아모레퍼시픽 이중 기능성 물질의 안정성이 개선된 파우더 화장품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866B1 (ko) * 2019-10-24 2020-05-21 윤준식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162A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1163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ovel fractal particle-based gels
EP2109437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novel fractal particle based gels having improved optical properties
EP2229142B1 (en) Gel technology suitable for use in cosmetic compositions
KR102635958B1 (ko) 이산화티탄 분체 및 이를 배합한 화장료
EP1984443B1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responsive particles
KR100768113B1 (ko) 분체 상의 화장료 조성물
EP2229176A1 (en) Optical blurring pigment composition suitable for use in cosmetics
KR102065930B1 (ko) 분산성과 성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활석이 결여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TW200846025A (en) Surface-treated powder coated with specific perfluoropolyether-modified aminosilane, and cosmetic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CN105980429B (zh) 化妆品和个人护理产品中的苯乙烯马来酸酐聚合物
KR101939669B1 (ko) 제타 전위 표면처리 파우더를 이용한 화장용 베이스 파우더
WO2018225310A1 (ja) 粉体改質剤および複合粉体、ならびにメイクアップ化粧料
WO2008044385A1 (fr) Préparation cosmétique contenant une poudre composite polyfonctionnelle
US10470989B2 (en) Surface-treated powder using theanine, and cosmetic preparation containing same
KR102597655B1 (ko) 내수성과 피부 밀착력이 향상된 분체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042540B2 (ja) 複合粒子を含む化粧料の製造方法
EP4029572A1 (en) Powder surface treatment method, surface treating agent composition used therefor, and surface-treated powder
KR101990008B1 (ko) 자외선 차단 복합 안료, 복합 안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JP4733917B2 (ja) 化粧料
EP4353218A1 (en) Iron oxide pigment for cosmetic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iron oxide pigment
KR101472625B1 (ko) 스킨 케어효과를 가지는 화장료용 분체 코팅방법 및 이를 사용한 화장료
JPH11199441A (ja) 粉体化粧料
KR20240106559A (ko) 복합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11209239A (ja) 自然に見える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3976931B2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