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201B1 - 색소 분산제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색소 분산제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201B1
KR101114201B1 KR1020090106364A KR20090106364A KR101114201B1 KR 101114201 B1 KR101114201 B1 KR 101114201B1 KR 1020090106364 A KR1020090106364 A KR 1020090106364A KR 20090106364 A KR20090106364 A KR 20090106364A KR 101114201 B1 KR101114201 B1 KR 101114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makeup cosmetic
alcohol
dispers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9375A (ko
Inventor
장순희
노영혜
고승용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106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201B1/ko
Publication of KR20110049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소 분산제 및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색소를 유상분산하는 제형에서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레시틴,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린산 및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의 혼합물을 분산제로 사용하여 색소를 작고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C14 이상의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을 함유하여 유상 물질의 입자를 작게 해줌으로써 발림성이 부드럽고 화장지속성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스카라 * 발림성 * 분산제 * 균일도포 * 지속성

Description

색소 분산제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igment dispersing agents}
본 발명은 색소 분산제 및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색소를 유상분산하는 제형에서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레시틴,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린산 및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의 혼합물을 분산제로 사용하여 색소를 작고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C14 이상의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을 함유하여 유상 물질의 입자를 작게 해줌으로써 발림성이 부드럽고 화장지속성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스카라는 여성의 속눈썹을 진하고 또렷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색소를 사용하는 제형이다. 색소를 사용하지 않은 투명 제형이나 흰색의 베이스 제형도 존재하지만 이러한 류의 제품은 마스카라 사용전 속눈썹을 케어해주는 베이스코트 역할이나 마스카라 사용후 속눈썹을 코팅해주는 탑 코트의 역할로 사용되어진다. 속눈썹을 진하게 표현해주기 위해서는 검은 색의 산화철 색소를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색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로션이나 크림 제형인 유중수형 또는 수중유형의 스킨케어 제품과 비교하여 색소의 분산력이 매우 중요한 기술의 하나가 된다.
종래의 특허에서는 일반적으로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레시틴,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린산 등을 사용하여 색소가 고르게 분산되도록 제형화하였으며, 국내특허 제10-2001-0052097호의 “볼륨감과 지속성이 우수한 마스카라 조성물”에서는 유상 분산제로서 소르비탄 올레이트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화장 경향이 내추럴 트렌드에 따라 깔끔하고 깨끗한 화장 표현이 중시되기 때문에 과거에 비해 좀 더 고르고 균일하게 발려 속눈썹이 한 올 한 올 깨끗하게 표현되기 위해서는 색소의 분산 기술력 강화가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색소를 유상분산하는 제형에서 분산제로서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레시틴,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린산 및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하면 색소의 균일 도포가 가능하며, 또한 상기 분산제와 함께 C14 이상의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을 함유하면 유상물질의 입자를 작게 해주어 이를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할 경우 조성물을 부드럽게 도포할 수 있고 화장 지속성이 높으며, 특히 마스카라에 적용할 경우 조성물이 속눈썹에 균일하고 부드럽게 발림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색소를 작고 균일하게 분산시켜 발림성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속눈썹에 균일하고 부드럽게 발리는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상의 색소 분산제인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Polyhydroxystearic acid), 레시틴(Lecithin), 에틸헥실 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이소스테아린산(Isostearic acid) 및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 트(Polyglyceryl-3 polyricinoleate)의 혼합물; 및 C14 이상의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색상을 나타내는 색소가 작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으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마스카라 조성물은 속눈썹에 고르고 균일하게 발려 깨끗한 화장 상태를 연출할 뿐만 아니라 화장 후 시간이 지나도 가루 떨어짐이 없이 화장지속성이 우수하며 발림성이 부드러워 원하는 속눈썹의 형태로 자연스러운 연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색소를 작고 균일하게 분산해주는 분산제, 및 유상 물질의 입자를 작게 해주는 C14 이상의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색소를 유상분산하는 제형이며, 분산제로서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Polyhydroxystearic acid), 레시틴(Lecithin), 에틸헥실 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이소스테아린산(Isostearic acid) 및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Polyglyceryl-3 polyricinoleate)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상기한 분산제는 분산력이 매우 우수하여 색소의 입자 크기를 작게 하고 색소를 균일하게 존재하게 할 수 있어 색소의 균일 도포가 가능하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게 된다.
이 때 색소는 친수성 색소이거나 친유성 색소를 모두 포함한다. 친수성 색소라 함은 색소 표면을 오일이나 왁스 등의 친유성 물질로 코팅하지 않은 원시 상태의 색소를 의미하며, 흑색산화철, 황색산화철, 적색산화철, 울트라마린, 페릭페로시아나이드, 페릭암모늄페로시아나이드, 크로뮴옥사이드그린, 크로뮴하이드록사이드그린,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마이카, 카본 블랙, 망가니즈 바이올렛, 알루미늄가루, 카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친유성 색소라 함은 유성 성분에 녹거나 분산될 수 있도록 색소의 표면을 유성 성분으로 코팅 처리한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분산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색소의 분산 효과가 거의 없어 발림성과 지속성의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으며,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분산력 향상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발림성과 균일성, 화장 지속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의 분산제와 함께 C14 이상의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을 더 함유한다. 탄소수 14 이상의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을 함유하는 것에 의해 조성물의 유상 중 고형분의 입자 크기가 작아지게 되며 균일하게 발리는 효과가 향상됨으로서 화장 지속성 효과 또한 상승될 수 있다.
탄소수 14 이상의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 중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8~22개의 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린산, 스테아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및 베헤닐 알코올이 좋으며,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예를 들면 코그니 스(cognis)사의 라넷트(Lanette) 18, 사솔 저머니 GmbH-함부르크(Sasol germany GmbH-Hamburq)사의 나콜(Nacol) 18-94 알코올, 나콜(Nacol) 18-98 알코올, 나콜(Nacol) 18-99 알코올, 리포 케미컬(Lipo chemical)사의 리포칼(Lipocal) S, 코큐 알코올 코쿄(kokyu alcohol koqyo)사의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시리즈(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60, 70, 80 등), 닛코 케이컬(Nikko chemical)사의 베헤닐 알코올(behenyl alcohol) 시리즈 (닛코 베헤닐 알코올(Nikko behenyl Alcohol) 65, 80), 코그니스(Cognis)사의 라넷트(Lanette) 22등이 있다. 이러한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들은 함량 조성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되어 시판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도 시판되고 있는 탄소수 14개 이상의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탄소수 14개 이상의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3중량%이다.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의 함량이 0.1% 미만이면 부드럽고 균일하게 발리는 사용감이 표현되지 못하며, 10% 초과이면 조성물의 경도가 높아져 오히려 뻑뻑하게 발리는 단점을 갖게 된다.
상기 색소를 유상분산하는 제형은 마스카라, 립스틱, 립글로스, 파운데이션, 아이브라우 펜슬, 아이라이너 펜슬, 아이라이너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과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화제, 왁스, 소포제, 방부제, 점증제, 필름형 성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단위: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1. 칸데릴라납 2.0 2.0 2.0 2.0 2.0
2. 파라핀 5.0 5.0 5.0 5.0 5.0
3. 밀납 4.0 4.0 4.0 4.0 4.0
4.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5.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6.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7. 카르나우바 2.0 2.0 2.0 2.0 2.0
8. 폴리소르베이트 60 1.0 1.0 1.0 1.0 1.0
9.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레시틴, 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린산 및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1.0 1.0 - 1.0 -
10. 베헤닐알코올 1.0 - - - 1.0
11. 스테아린산 - 1.0 - - -
12. 흑색산화철 10.0 10.0 10.0 10.0 10.0
1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4. 글리세린 3.0 3.0 3.0 3.0 3.0
15. 트리에탄올아민 1.5 1.5 1.5 1.5 1.5
16.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2.0 2.0 2.0 2.0 2.0
17. 에탄올 3.0 3.0 3.0 3.0 3.0
18. 아크릴레이트공중합물 5.0 5.0 5.0 5.0 5.0
19.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제조 방법>
1) 성분 1~11를 80℃까지 가열하면서 용해시킨다.
2) 성분 13~16를 80℃까지 가열하면서 교반한다.
3) 상기 1)에 성분 12을 서서히 가하면서 교반 혼합한다.
4) 상기 3)에 상기2)를 서서히 가하면서 유화시킨다.
5) 유화 후 상기 4)에 성분 17~19을 가하면서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6) 이를 마스카라 용기에 충진한다.
[시험예 1] 사용감 테스트 (관능평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실시예 1~2와 기존의 방법으로 제조한 비교예 1,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신규한 색소 분산제 또는 C14 이상의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을 함유한 비교예 2 및 3의 마스카라 조성물에 대하여 마스카라 제품을 매일 또는 자주 사용하는 20~4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실제로 사용하도록 한 후 제품의 효과를 비교하도록 하였다. 시험 항목은 발림성, 균일성, 가루 떨어짐 없음 및 지속성으로 하였다. 각 항목에 대하여 품평을 한 후, 0~15의 점수를 주도록 하여 그 평균 점수를 내었다. 데이터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각각 5회 반복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평균 점수가 4.0 미만이면 “×”, 4.0~8.0이면 “△”, 8.1~12.0이면 “○”, 12.0을 초과하면 “◎”로 표시하였다.
시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발림성
균일성
가루 떨어짐 없음 ×
지속성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마스카라 조성물인 비교예 1은 발림성, 균일성, 가루 떨어짐 없음 및 지속성에서 매우 낮은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된 신규 분산제 또는 C14이상의 지방산 알코올을 함유한 비교예 2~3 및 실시예 1~2는 발림성과 균일성, 가루 떨어짐 없음에서 양호한 만족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신규 분산제와 C14 이상의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을 함께 함유한 실시예 1~2는 발림성, 균일성, 가루 떨어짐 없음 및 지속성의 모든 항목에서 매우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어 비교예 2 및 3보다도 현저하게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가루 떨어짐 없음 시험
상기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가루 떨어짐 없음을 하기의 기기를 이용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가루 떨어짐 없음 시험 방법>
1) 각 조성물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동일 두께로 유리판에 도포 후 완전 건조시킨다. 일반적으로 100㎛로 도포한다.
2) 크로스 커터(CROSS CUTTER)를 사용하여 유리판에 격자무늬를 만든다.
3) 테이프를 사용하여 동일한 힘으로 유리판에서 내용물을 박리시킨다.
각각의 조성물에 대해 3번씩 반복 시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전체 면적의 50% 이상이 테이프에 박리되면 “×”, 전체 면적의 30~50% 가 박리되면 “△”, 전체 면적의 10~30% 박리되면 “○”, 전체 면적10% 이하가 박리되면 “◎”로 표시하였다.
시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가루 떨어짐 없음 ×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2 및 비교예 2~3은 기존의 마스카라 조성물인 비교예 1과 비교하여 가루 떨어짐의 정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비교예 2의 경우 색소 분산제의 사용으로 색소의 입자 크기가 기존보다 작아져서 조성물이 고르게 발라지고, 비교예 3의 경우는 지방산 알코올의 혼합으로 유상의 입자 크기가 작아졌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2가 비교예 2 및 3보다 가루 떨어짐 정도가 적은 결과가 나온 것을 통해 색소 분산제와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을 각각 단독으로 함유하는 것보다는 함께 함유하는 것이 전체적인 내용물의 입자 크기가 더욱 고르게 작아지기 때문에 가루 떨어짐이 없는 정도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발림성 시험
상기한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발림성을 하기의 기기를 이용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발림성 시험 방법>
1) 각 조성물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동일 두께로 유리판에 도포 후 완전 건조시킨다. 일반적으로 100㎛로 도포한다.
2) 유리판에 밀려나간 내용물의 상태 즉 길이를 자로 측정 관찰한다.
각각의 조성물에 대해 3번씩 반복 시행하고, 그 평균값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측정된 길이가 길수록 내용물이 부드럽게 미끄러지듯 발리는 것으로 하여 발림성이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밀려나간 길이 17 18 7 13 16
밀려나간 길이는 측정 수치임 (㎝)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2 및 비교예 2~3은 기존의 마스카라 조성물인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발림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2 및 비교예 3의 경우가 특히 발림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방산 또는 지방산 알코올의 혼합에 의해 유상의 입자 크기가 작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Claims (5)

  1. 유상의 색소 분산제인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Polyhydroxystearic acid), 레시틴(Lecithin), 에틸헥실 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 이소스테아린산(Isostearic acid) 및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Polyglyceryl-3 polyricinoleate)의 혼합물; 및
    C14 이상의 지방산 알코올;
    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 분산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14 이상의 지방산 알코올은 스테아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및 베헤닐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14 이상의 지방산 알코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마스카라, 립스틱, 립글로스, 파운데이션, 아이브라우 펜슬, 아이라이너 펜슬 및 아이라이너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106364A 2009-11-05 2009-11-05 색소 분산제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114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364A KR101114201B1 (ko) 2009-11-05 2009-11-05 색소 분산제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364A KR101114201B1 (ko) 2009-11-05 2009-11-05 색소 분산제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375A KR20110049375A (ko) 2011-05-12
KR101114201B1 true KR101114201B1 (ko) 2012-02-22

Family

ID=44360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364A KR101114201B1 (ko) 2009-11-05 2009-11-05 색소 분산제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2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024A (ko) * 2015-02-27 2016-09-06 (주)아모레퍼시픽 컬링 유지력 및 롱래시 유지력이 우수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462B1 (ko) * 2014-06-30 2020-08-10 (주)아모레퍼시픽 컬링유지력이 우수한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06973B1 (ko) 2015-09-02 2023-03-07 (주)아모레퍼시픽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3238A (ko) 2021-11-01 2023-05-0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메이크업 색상 지속력이 향상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9057A1 (en) * 2007-05-29 2008-12-04 Samuel Qcheng Sun Lin Method and compositions for dispersing particulate solids in oi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9057A1 (en) * 2007-05-29 2008-12-04 Samuel Qcheng Sun Lin Method and compositions for dispersing particulate solids in oi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5024A (ko) * 2015-02-27 2016-09-06 (주)아모레퍼시픽 컬링 유지력 및 롱래시 유지력이 우수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47571B1 (ko) * 2015-02-27 2022-01-10 (주)아모레퍼시픽 컬링 유지력 및 롱래시 유지력이 우수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375A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6040B2 (ja) 油性化粧料
JP3565548B2 (ja) まつ毛用化粧料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330905A (zh) 一种丝绒哑光唇釉及其制备方法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14201B1 (ko) 색소 분산제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1268A (ko)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JP2005247730A (ja) 油性睫毛用化粧料
KR101822003B1 (ko)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20110061676A1 (en) Pencil-Form Cosmetic Composition And Cosmetic Product Thereof
KR102359444B1 (ko) 매트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S63165303A (ja) W/o型の唇用化粧料
KR20090114746A (ko) 지속력이 우수하고 클렌징이 용이한 수중유형 화장료조성물
JP4412673B2 (ja) 水系唇用下地化粧料および化粧方法
KR101780709B1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2002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H01172312A (ja) 化粧料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US20210154108A1 (en) Magn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 blend and high loading of magnetic material
JP2004010496A (ja) 睫用化粧料
JP7036456B2 (ja) 化粧料からなる絵の具材料、絵の具材料用希釈剤、絵の具及び絵の具セット
KR20240056921A (ko)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8856A (ko) 발림성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30094478A (ko) 왁스 레진 베이스를 포함하는 눈 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6124806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