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636A -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 - Google Patents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636A
KR20190102636A KR1020180023356A KR20180023356A KR20190102636A KR 20190102636 A KR20190102636 A KR 20190102636A KR 1020180023356 A KR1020180023356 A KR 1020180023356A KR 20180023356 A KR20180023356 A KR 20180023356A KR 20190102636 A KR20190102636 A KR 20190102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discharge
discharge path
tent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대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스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스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스켐
Priority to KR1020180023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2636A/ko
Priority to PCT/KR2019/002308 priority patent/WO2019168317A1/ko
Publication of KR20190102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65Brushes where the reservoir is specifically intended for being replaced when emp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초보자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 등산화, 등산 배낭 등의 봉제 부분 및 겹쳐진 원단 사이의 부분에 대해 방수 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방수 용액이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 경로부, 상기 배출 경로부에 연속하여 마련되고, 내부가 경사진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용액 도포부, 상기 배출 경로부와 연통되며 상기 용액 도포부에 형성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된 방수 용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 등산화, 등산 배낭 등의 봉제 부분에서 방수 처리시 방수 처리 작업을 정확하며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FLUID DISCHARGING MEMBER AND CONTAINER THEREWITH}
본 발명은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보자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 등산화, 등산 배낭 등의 봉제 부분 및 겹쳐진 원단 사이의 부분에 대해 방수 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투습방수 기능을 하는 아웃도어 의류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투습방수 기능은 수증기 형태의 물은 통과시키고 액체 상태의 물은 투과시키지 않는 기능을 말한다. 투습방수 기능이 의복에 적용되면, 신체활동으로 발생된 수증기 형태의 땀은 외부로 배출되고 빗물과 같은 물방울 형태의 물은 의복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는 효과를 보인다. 이러한 투습방수 기능은 주로 등산복이나 스키복과 같이 야외활동 시에 착용하는 의복에 특별히 요구된다.
투습방수 성질은 다음의 원리로 설명될 수 있다. 물은 기체 상태에서 분자 간 수소결합을 통하여 수증기를 형성하고, 수증기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이다. 반면 액체상태의 물은 기체상태보다 많은 양의 분자가 수소결합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직경이 수백 미크론에 이르는 물방울 형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원단의 표면에 형성된 층이, 수증기는 통과시키고 물방울을 통과시키지 못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 기공을 포함하고 있으면 투습방수 성질을 가지는 것이다.
한편,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는 비나 우박 등이 내리더라도 쉽게 찢어지지 않는 질긴 천으로서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고어텍스 등을 사용하고, 전반적인 방수뿐만 아니라 자외선에도 강한 재질을 사용한다. 또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10)로 사용하기 위해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단(11)과 제2 원단(12)을 하나로 결합하기 위해 봉제를 하며, 봉제선(13)이 있는 부분에서 방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내부 및 외부에 코팅 등을 실행하여 출하를 한다. 그러나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10)를 사용하는 경우,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단(11)과 제2 원단(12)을 재봉하기 위해 봉제사(14)가 관통한 봉제 구멍(15)의 부분이 확장되므로, 이 봉제 구멍(15)을 통해 외부의 습기나 물이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수 기능을 가진 코팅제를 도포하거나 또는 심실링 테이프를 붙여 방수처리를 한다.
이러한 심실링 테이프(seam sealing tape)는 방수 의류나 텐트의 봉제 처리된 부분에 접착시켜 외부에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테이프이다. 방수 의류 등의 봉제선 부분에 심실링 테이프를 접착하면 야외 활동 시 외부에서 빗물이 봉제선의 구멍을 통하여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외측 웨빙(outer webbing)이 바깥쪽으로 노출되도록 텐트 플라이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봉제하는 제1봉제 단계, 상기 제1봉제 단계로부터 만들어진 텐트 플라이의 봉제선을 따라 방수 심테이프(seam tape)를 안쪽에서 부착하는 제1 테이핑 단계, 상기 단계들과 별도로 플라이 패치(Fly patch)를 마련하여 안쪽 면으로 내측 웨빙(inner webbing)을 봉제하는 제2 봉제 단계, 상기 제2 봉제 단계에서 만들어진 플라이 패치(Fly patch)의 바깥쪽 면에 양면 방수 심테이프(seam tape)를 부착하여 상기 텐트 플라이의 안쪽 봉제선에 점착하는 제2 테이핑 단계를 포함하는 텐트 플라이의 웨빙부 방수 처리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봉제작업을 통해 제작된 합성섬유제 반제품을 엔자임(enzyme) 수용액에 투입하여 워싱하는 바이오 가공단계, 상기 바이오가공단계를 마친 반제품을 건조시키는 1차 건조단계, 상기 1차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반제품을 발수액에 침지시켜, 상기 봉제작업에 의해 형성된 재봉부의 봉제 구멍을 발수액으로 메우는 발수액침지단계, 상기 발수액침지단계를 마친 반제품을 불완전 건조시키는 2차 건조단계, 상기 2차 건조단계를 완료한 반제품을 가열하여, 반제품에 발수액을 고착시키는 가열 세팅 단계를 구비한 투습 방수기능을 갖는 합성섬유제품 제작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볼부재, 상기 볼부재가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볼안착부, 상기 볼안착부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볼부재로 유체를 공급하는 출구부 보다 적은 단면적을 가지는 입구부를 구비하는 토출량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량조절부는 상기 볼안착부와 연통되는 상기 출구부에서 상기 입구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관로몸체 및 상기 관로몸체의 측면에 유체가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오일이동공을 포함하는 유체배출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18224호(2004.01.29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5368호(2013.09.30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5606호(2012.09.18 등록)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방수 심 테이프를 사용하는 기술에서는 원단과 심 테이프의 재질 차이 및 일교차에 의한 심 테이프의 수축률의 상이 등에 의해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의 원단에서 심 테이프가 분리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심 테이프로 수선한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의 보관 및 사용을 위한 원단의 반복적인 접힘 등에 의해서도 심 테이프가 원단에서 분리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의 합성섬유제품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의류 등에서 재봉부의 봉제 구멍을 발수액으로 메우는 발수액침지단계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초기의 방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세탁 등을 하면서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부의 봉제 구멍 부분에서 방수 기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방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심 테이프를 사용하여야 하지만 의류 등의 내부에 심 테이프를 부착시킨 경우, 착용 후 활동 과정에서 심테이프가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의 봉제선에서의 방수 처리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심실러(seam sealer)가 판매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심실러는 유기 용제로 이루어진 방수액을 내장하는 본체(20), 상기 본체에서 방수액을 인출하는 인출부(21), 상기 인출부를 덮는 뚜껑(30)과 결합되도록 인출부 외측 둘레에 나사산 형상으로 마련된 제1 나선부(121), 상기 인출부로 이송된 방수액을 부분적으로 인출하도록 다공질로 이루어진 스펀지로 형성된 접촉부(22)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나선부(121)는 뚜껑(30)의 내측 둘레에 마련된 나선부(31)와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심실러는 사용자가 뚜껑을 열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접촉부(22)를 아래 방향으로 향하게 하면 스펀지로 방수액이 묻어나오므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가 필요한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의 봉제선(13)의 부분 등 방수 처리할 곳에 두드리면서 바르고 건조시켜 사용한다.
이와 같은 방수 처리는 일시적으로 방수 기능을 달성할 수 있지만 영구적인 것은 아니다. 즉,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10)의 설치시 방수 기능을 갖도록 한시적으로 사용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촉부(22)를 반복 사용하는 경우, 스펀지 부분이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의 봉제선(13)과의 반복적인 접촉에 의해 스펀지 부분이 파손되어 반복 사용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심실러의 사용시 뚜껑을 곧바로 닫지 않으면 스펀지 부분이 순간접착제와 같이 굳어져 스펀지를 재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스펀지 부분을 강제로 사용하는 경우, 스펀지가 접촉부(22)에서 분리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기 용제로 이루어진 방수 용액은 열에 의해 체적이 팽창하므로, 본체(20)가 야외에 노출되어 방수 용액이 상온 이상의 고온으로 되는 경우 방수 용액의 체적 팽창에 의해 인출부(21) 근방에서 균열이 발생하고, 이러한 균열에 의해 접촉부(22)의 부분에서 스펀지의 박리가 일어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유체배출장치에서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이에 따른 제조 비용이 증가하므로,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의 사용 시 수선을 위해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비경제적이었다. 또한, 유기 용제로 이루어진 방수 용액을 보관하기에는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 등산화, 등산 배낭 등의 봉제 부분 및 겹쳐진 원단 사이의 부분에서 방수 처리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 등산화, 등산 배낭 등의 봉제 부분 및 겹쳐진 원단 사이의 부분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방수 처리할 수 있는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 등산화, 등산 배낭 등의 봉제 부분 및 겹쳐진 원단 사이의 부분에서 방수 처리시 봉제 부분 이외로 과다하게 방수 용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액 배출 부재 내에서 방수 용액이 경화되어도 용이하게 제거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는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액 배출 부재에서 배출되는 방수 용액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액 배출 부재에서 방수 용액의 배출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는 텐트, 텐트 플라이, 등산화, 등산 배낭의 봉제 부분 또는 겹쳐진 원단 사이의 부분에 대해 방수 처리를 실행하는 용액 배출 부재로서, 방수 용액이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 경로부, 상기 배출 경로부에 연속하여 마련되고, 내부가 경사진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용액 도포부, 상기 배출 경로부와 연통 되며 상기 용액 도포부에 형성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된 방수 용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에서, 상기 배출 경로부, 배출구, 한 쌍의 가이드부 및 용액 도포부는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에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는 상기 용액 도포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용액 도포부는 3면이 바깥 방향을 향해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에서, 상기 용액 도포부에는 다수의 솔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에서, 상기 배출구에는 격벽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에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및 용액 도포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에서, 상기 용액 배출 부재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에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은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에 형성된 제1 봉제선 및 제2 봉제선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에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의 높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에서, 상기 배출 경로부는 제1 배출 경로부와 제2 배출 경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배출 경로부와 제2 배출 경로부는 경사지게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에서, 상기 배출 경로부의 내부에는 방수 용액의 과다한 흐름을 저지하는 흐름 저지막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상술한 용액 배출 부재와 용액을 수용하고 상부에 상기 용액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부가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용액 배출 부재는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서, 상기 본체에 마련된 인출부의 외측 둘레에는 제1 나선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나선부는 상기 인출부를 덮는 뚜껑의 내부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배출 경로부의 내측 둘레에는 나사산 형상으로 마련된 제2 나선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나선부는 상기 제1 나선부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서, 상기 인출부의 내측 둘레에는 환형의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배출 경로부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환형의 돌출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환형의 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의하면, 방수 용액을 배출하는 배출구의 양측에 마련되어 방수 용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마련하고,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 등산화, 등산 배낭 등의 봉제 부분 및 겹쳐진 원단 사이의 부분을 따라 용액 배출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방수 처리가 실현되므로, 방수 처리 작업을 정확하며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의하면, 한 쌍의 가이드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 등산화, 등산 배낭 등의 봉제 부분 및 겹쳐진 원단 사이의 부분에서 방수 처리시 봉제 부분 이외로 과다하게 방수 용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의하면, 배출 경로부, 배출구, 한 쌍의 가이드부 및 용액 도포부는 금형 등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지므로, 용액 배출 부재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의하면, 배출구, 한 쌍의 가이드부 및 용액 도포부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봉제 부분에 요철이 있어도 봉제선의 봉제 구멍 부분에 정확하게 방수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의하면, 용액 배출 부재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방수 용액의 배출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의하면, 배출 경로부, 배출구, 한 쌍의 가이드부 및 용액 도포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므로, 용액 배출 부재 내에서 방수 용액이 경화되어도 용이하게 제거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의하면, 배출 경로부의 내부에 흐름 저지막를 마련하여 방수 용액의 과다한 흐름을 저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의하면, 배출구에 격벽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봉제선의 부분을 보다 균일하게 방수함과 동시에 봉제선 이외의 부분으로 방수 용액이 도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의하면, 한 쌍의 가이드부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마련하는 것에 의해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에서 제1 원단과 제2 원단을 재봉한 2줄의 봉제선 부분을 방수 처리함과 동시에 제1 원단과 제2 원단의 단차 부분에서 제1 원단과 제2 원단 사이의 방수 처리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의하면, 용액 도포부의 하부에 다수의 솔 부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봉제선의 부분을 보다 균일하게 방수처리할 수 있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텐트의 재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에 사용된 심실러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용액 배출 부재의 하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한 쌍의 가이드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와 본체의 결합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와 본체의 결합 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출구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출구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한 쌍의 가이드부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도포부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배출 경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의 사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용어 "용기"는 그 상부에 인출부가 마련된 본체와 이 인출부를 통해 인출되는 방수 용액을 배출하도록 인출부에 결합된 용액 배출 부재로 이루어진 구조를 의미하며, 상기 본체가 특정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용제가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방수 용액의 보관을 위해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며, "방수 용액"은 특정 성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 등산화, 등산 배낭 등의 봉제 부분 및 겹쳐진 원단 사이의 부분에서 방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 제1 실시 예 ]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의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용액 배출 부재의 하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한 쌍의 가이드부의 단면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에서 인출되는 방수 용액이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 경로부(110), 상기 배출 경로부(110)의 일단에 형성된 배출구(120), 상기 배출구(120)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부(130), 상기 배출 경로부에 연속하여 마련되고, 내부가 경사진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용액 도포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 경로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1 배출 경로부(111)와 상기 제1 배출 경로부(111)의 일단에 경사지게 연통된 제2 배출 경로부(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배출 경로부(1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체(20)의 인출부(21)와 결합하기 위해 타 단이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배출 경로부(112)는 대략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배출 경로부(111)와 제2 배출 경로부(112)는 금형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다. 또 제1 배출 경로부(111)와 제2 배출 경로부(112)의 경사 각도는 방수 용액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15~75도 정도로 이루어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배출 경로부(111)에 비해 제2 배출 경로부(112)의 용적이 작게 형성되므로, 본체(20)의 인출부(21)에서 과다한 방수 용액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출 경로부(112)와 연통되며 용액 도포부(140)에 형성되고,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삼각형,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방수 용액의 균일한 배출을 위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배출구(120)의 길이 및 폭이 특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배출구(120)의 길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단(11)과 제2 원단(12)을 재봉한 2줄의 봉제선(13) 부분, 즉 제1 원단(11)과 제2 원단(12)을 재봉한 2줄의 봉제선(13)에서 하나의 봉제선과 다른 하나의 봉제선 사이의 간격 부분을 동시에 방수 처리할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지면 충분하며, 배출구(120)의 폭은 방수 용액의 점도 등에 따라 가변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구(120)도 상기 제1 배출 경로부(111)와 제2 배출 경로부(112)의 형성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1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20)의 양측 부분에만 마련되고, 용액 도포부(140)의 양단의 일부 폭에 걸쳐 형성된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로 이루어지며,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 등산화, 등산 배낭 등의 봉제 부분에서 방수 처리시, 방수 용액이 봉제선 부분 이외로 과도하게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 사이의 길이는 2줄의 봉제선(13)을 동시에 방수 처리하는 배출구(12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 사이의 간격이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10)에 형성된 제1 봉제선 및 제2 봉제선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지만, 이 한 쌍의 가이드부(130)에 의해 배출구(120)에서 배출된 방수 용액이 2줄의 봉제선(13) 부분 이외로 과도하게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2줄의 봉제선(13)의 각각의 봉제 구멍(15) 부분으로 모아주는 기능을 한다. 또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의 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용액 배출 부재에 힘을 인가하여 누르는 경우, 바깥 방향을 향해 눌려지게 마련된다. 또한,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의 높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동일한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용액 도포부(140)는 한 쌍의 가이드부(130)와 동일 재질로 동시에 형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경사진 평탄면으로 이루어지며, 배출구(120)에서 배출된 방수 용액이 2줄의 봉제선(13)의 봉제 구멍 부분으로 안내되도록 마련된다. 즉, 용액 도포부(140)의 앞면 부분의 높이가 뒷면 부분의 높이보다 높게 마련된다. 따라서,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 등산화, 등산 배낭 등의 봉제 부분 또는 겹쳐진 원단 사이의 부분을 따라 용액 배출 부재(100)를 이동시키는 방수 처리 작업 과정에서 용액 도포부(140)의 앞면의 내부 부분이 봉제 부분 또는 겹쳐진 원단 부분과 접촉하면서 방수 용액을 도포할 수 있다.
또 상기 용액 도포부(1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경로부(110) 측을 향한 면을 제외하고 3면이 바깥 방향을 향해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용액 도포부(140)는 앞면 및 양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10)에 대한 방수 처리 시, 용액 배출 부재(100)에서 배출구(120)를 통해 봉제선(13) 상에 배출된 방수 용액은 사용자가 용액 배출 부재(100)를 누르면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봉제선(13) 상에 균일하게 도포되게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액 도포부(140)의 앞면의 높이가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므로,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10)에 대한 방수 처리 시, 제1 가이드(131) 및 제2 가이드(132)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100)에서 상술한 배출 경로부(110), 배출구(120), 한 쌍의 가이드부(130) 및 용액 도포부(140)는 예를 들어 금형 등의 제조 방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마련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는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본체(20)의 인출부(21)에서 인출되는 방수 용액의 흐름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100)와 본체(20)의 결합에 의한 용기의 구조 및 결합 관계에 대해 도 6 및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와 본체의 결합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와 본체의 결합 관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100)를 구비한 용기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구조의 용액 배출 부재(100)와 방수 용액을 수용하고 상부에 방수 용액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부(21)가 형성된 본체(20)를 포함하고, 상기 용액 배출 부재(100)는 상기 본체(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인출부(21)를 덮는 뚜껑과 결합되도록 인출부(21) 외부 둘레에 나사산 형상으로 마련된 제1 나선부(121)와 대응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액 배출 부재(100)의 배출 경로부(110)의 타단, 구체적으로 제1 배출 경로부(111)의 타 단의 원통형 내부 둘레에 나사산 형상으로 마련된 제2 나선부(113)가 마련되고, 이 제1 나선부(121)와 제2 나선부(113)를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용액 배출 부재(100)가 본체(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20)에서 뚜껑을 분리하고 용액 배출 부재(100)를 가사 결합한 후, 예를 들어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10)에 형성된 제1 원단(11)과 제2 원단(12)을 재봉한 2줄의 봉제선(13) 부분, 즉 제1 원단(11)과 제2 원단(12)을 재봉한 2줄의 봉제선(13)의 부분에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가 위치하도록 용액 도포부(140)를 위치시키고, 봉제선(13)에 대해 본체(20)의 하부를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본체(20)에 수용된 방수 용액이 인출구(122)를 통해 배출 경로부(110)로 흐르고, 배출구(120)를 거쳐 용액 도포부(140)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방수 용액의 배출 상태는 용액 배출 부재(100)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용액 도포부(140)로 배출된 방수 용액에 대해 봉제선(13)이 형성된 부분에 따라 용액 도포부(140)를 봉제선(13)에 밀착시킨 상태로 유지하면서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도 1의 (b)에 도시된 재봉부의 봉제 구멍(15) 부분을 방수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용액 배출 부재(100)에는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 등산화, 등산 배낭 등의 봉제 부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방수 처리시 봉제선(13) 부분 이외로 과다하게 방수 용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수 처리를 실행한 후, 본체(20)의 하부를 내리는 것에 의해 배출 경로부(110)에 있는 방수 용액은 인출구(122)를 통해 본체(20) 내로 수용되며, 용액 배출 부재(100)를 본체(20)와 분리하고, 본체(20)의 인출부(21)에 뚜껑(30)을 체결하는 것에 의해 방수 용액을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인출구(122)를 통해 배출 경로부(110)로 흐르는 방수 용액은 점도가 있고, 배출구(120)의 용적이 제2 배출 경로부(112)의 용적보다 작으므로 방수 용액이 과도하게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100)에서는 상기 배출구(120), 한 쌍의 가이드부(130) 및 용액 도포부(140)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배출구(120)와 용액 도포부(140)가 눌려진 상태로 사용하므로, 배출구(120)에서 배출되는 방수 용액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제1 배출 경로부(111)와 제2 배출 경로부(112)가 15~75도 정도의 경사 각도를 유지하므로, 사용시 방수 용액의 흐름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용액 배출 부재(100)와 본체(20)가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액 배출 부재(100)와 본체(20)가 끼워 맞추어지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와 본체의 결합 관계의 다른 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인출부(21)의 내측 둘레에는 환형의 돌출부(123)가 마련되고, 상기 배출 경로부(110)의 타 단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환형의 돌출부(123)에 끼워 맞추어지는 환형의 홈(114)이 마련된다. 본체(20)의 인출부(21)의 외측 둘레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의 내측 둘레에 마련된 나선부(31)와 결합되도록 나사산 형상으로 마련된 제1 나선부(121)가 마련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출부(21)와 배출 경로부(110)의 끼워 맞춤 결합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나사식 결합에 비해 더욱 간단한 구조로 방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은 용액 배출 부재(100)와 본체(20)의 끼워 맞춤 구조에서는 본체(20)의 인출부(21)의 내측 둘레에 환형의 돌출부(123)가 마련되고, 배출 경로부(110)의 타 단의 외측 둘레에 환형의 홈(114)이 마련된 구조로 설명을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20)의 인출부(21)의 내측 둘레에 다수의 돌출부를 마련하고, 배출 경로부(110)의 타 단의 외측 둘레에 다수의 홈이 마련된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방수 처리 후, 본체(20)와 분리된 용액 배출 부재(100)의 용액 도포부(140), 한 쌍의 가이드부(130), 배출구(120) 및 배출 경로부(110)에 잔존하는 방수 용액이 경화된 경우, 용액 배출 부재(100)를 고온 상태의 물에 침지하는 것에 의해 방수 용액이 녹으므로, 용액 배출 부재(100)의 내부 상태를 초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 제2 실시 예 ]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100)의 제2 실시 예를 도 8 내지 도 11에 따라 설명한다. 또 제2 실시 예에서도 제1 실시 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출구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출구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한 쌍의 가이드부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제1 실시 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20)의 내부 양끝 부분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제2 실시 예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20)의 내부 양끝 부분을 대략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마련한 것이다. 이와 같이, 배출구(120)의 내부 양끝 부분을 대략 반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1 실시 예에 비해 금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 제2 실시 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20)의 중앙 부분에 격벽(125)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용액 배출 부재(100)에서 배출되는 방수 용액을 양쪽으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원단(11)과 제2 원단(12)을 재봉한 2줄의 봉제선(13)에서 각각의 봉제선(13)의 부분에만 방수 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봉제선 이외의 부분으로 방수 용액이 도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배출구(120)의 중앙 부분에 격벽(125)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봉제선(13)의 부분을 보다 균일하게 방수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20)의 일측 부분에 격벽(125)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용액 배출 부재(100)에서 배출되는 방수 용액을 양쪽으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10)에서 제1 원단(11)과 제2 원단(12)을 재봉한 2줄의 봉제선(13)에서 각각의 봉제선(13)의 부분을 방수 처리함과 동시에 제1 원단(11)과 제2 원단(12)의 단차 부분에서 제1 원단(11)과 제2 원단(12) 사이의 방수 처리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실시 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의 높이가 거의 동일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제2 실시 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마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에서는 제1 가이드(131)의 높이보다 낮은 제2 가이드(132')를 마련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를 갖는 제2 원단(12)의 부분에 제1 가이드(131)를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10)에 형성된 봉제선(13)의 부분에서 평탄하게 방수 처리를 함과 동시에 제1 원단(11)과 제2 원단(12)의 단차 부분에서 봉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제1 원단(11)과 제2 원단(12) 사이의 방수 처리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100)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131)의 높이보다 낮은 제2 가이드(132')를 마련하여 단차를 갖는 제1 원단(11)의 끝 부분에 제1 가이드(131)를 위치시키고,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10)에 형성된 봉제선(13)에서 제1 원단(11)에 의해 형성된 단차를 따라 용액 배출 부재(100)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10)에서의 방수 처리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현할 수도 있다.
[ 제3 실시 예 ]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100)의 제3 실시 예를 도 12에 따라 설명한다. 또 제3 실시 예에서도 제1 실시 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도포부(140)의 정면도이다.
제3 실시 예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액 도포부(140)의 하부에 다수의 솔 부재(141)를 마련한다.
따라서, 용액 도포부(140)의 하부에 다수의 솔 부재(141)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용액 배출 부재(100)에서 배출되는 방수 용액의 처리 시, 봉제선(13)의 부분을 보다 균일하게 방수 처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용액의 처리 시, 사용자가 용액 배출 부재(100)에 힘을 인가하여 누르면서 이동하는 경우, 용액 도포부(140)의 앞면 부분이 봉제선(13)과 접하여 봉제선(13) 부분에 방수 처리를 실행하므로, 다수의 솔 부재(141)가 용액 도포부(140)의 하부에서 방수 용액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봉제선(13)의 부분을 보다 균일하게 방수 처리할 수 있다.
[ 제4 실시 예 ]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의 제4 실시 예를 도 13에 따라 설명한다. 또 제4 실시 예에서 제1 실시 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의 사시도 이다.
상술한 제1 실시 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경로부(110)가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1 배출 경로부(111)와 제1 배출 경로부(111)의 일단에 경사지게 연통 되고 대략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배출 경로부(112)로 이루어진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이 제2 실시 예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1 배출 경로부(111)에 연속하여 제1 배출 경로부(111)에서 배출구(120)를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1 실시 예에 비해 금형을 단순화할 수 있다.
[ 제5 실시 예 ]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100)의 제5 실시 예를 도 14에 따라 설명한다. 또 제4 실시 예에서도 제1 실시 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배출 경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100)에서는 배출구(120)로 배출되는 방수 용액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배출 경로부(110)의 내부에 흐름 저지막(115)이 마련된다.
상기 흐름 저지막(115)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배출 경로부(111)의 내부의 상부 전체에 거쳐서 마련되고, 제1 배출 경로부(111)의 내부의 하부에는 방수 용액이 흐를 수 있는 공간 부분이 마련된다.
상기 흐름 저지막(115)은 예를 들어 제1 배출 경로부(111)의 내부 공간의 2/3 정도를 막는 상태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제1 배출 경로부(111)의 내부에 흐름 저지막(115)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본체(20)의 하부를 급격하게 들어올려 인출구(122)에서 과도하게 방수 용액이 인출되는 경우, 제1 배출 경로부(111)의 타 단을 통해 인출된 방수 용액의 흐름이 흐름 저지막(115)에 의해 일단 저지되고, 이 흐름 저지막(115)의 하부 공간으로만 흐르게 되어 배출구(120)에서는 일정한 양의 방수 용액이 배출되게 된다.
또 도 14도의 구조에서는 제1 배출 경로부(111)의 내부에 흐름 저지막(115)을 마련한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배출 경로부(112)의 내부에 흐름 저지막을 마련한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4도의 구조에서는 하나의 흐름 저지막(115)을 마련한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다단으로 흐름 저지막을 마련할 수도 있다.
[ 제6 실시 예 ]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의 제6 실시 예를 도 15에 따라 설명한다. 또 제6 실시 예에서 제2 실시 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의 사시도 이다.
상술한 제4 실시 예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제1 배출 경로부(111)에 연속하여 제1 배출 경로부(111)에서 배출구(120)를 향해 테이퍼 형상으로 마련한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이 제6 실시 예에서는 제1 배출 경로부(111)가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2 배출 경로부(112)도 제1 배출 경로부(111)에 연속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배출구(120)의 부분에만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6 실시 예에서도 제1 실시 예에 비해 금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 이 제6 실시 예의 구조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흐름 저지막(115)을 마련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 제7 실시 예 ]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의 제7 실시 예를 도 16에 따라 설명한다. 또 제7 실시 예에서 제1 실시 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고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의 사시도 이다.
상술한 제1 실시 예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액 도포부(140)의 양단의 일부 폭에 걸쳐 형성된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로 이루어진 구조를 나타내었지만, 이 제7 실시 예에서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액 도포부(140) 내에서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가 배출구(120)의 양끝 부분에만 대응하여 마련된다.
따라서, 제7 실시 예에 의하면,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10)에서 2줄의 봉제선(13)이 일정한 간격으로만 유지되어 있는 경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방수 용액을 2줄의 봉제선(13)의 각각의 봉제 구멍 부분에 더욱 인접하여 모아줄 수 있다. 또 용액 도포부(140)가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의 각각의 외측 부분에도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시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를 넘치는 방수 용액에 대해서도 제1 원단(11)과 제2 원단(12)에 대해 도포할 수 있다.
또 제7 실시 예에 따른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의 단부도 제1 실시 예와 같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용액 배출 부재(100)에 힘을 인가하여 누르는 경우, 바깥 방향을 향해 눌려지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131)와 제2 가이드(132)의 높이도 제1 실시 예와 같이 서로 동일한 높이로 마련되고, 용액 도포부(140)의 앞면의 높이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7 실시 예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100)를 적용하는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부(130)가 용액 도포부(140)의 후면 부분에만 마련되므로, 용액 도포부(140)의 앞면 부분에서 봉제선(13)과 접하면서 봉제선(13) 부분의 방수 처리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본체 내에 방수 용액이 마련된 구조로 설명을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 내에 방청 용액, 실리콘 수지 등을 수용하여 도포 등을 실행하는 용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 등산화, 등산 배낭 등의 봉제 부분 및 겹쳐진 원단 사이의 부분에서 방수 처리 작업을 정확하며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현할 수 있다.
100 : 용액 배출 부재
110 : 배출 경로부
120 : 배출구
130 : 가이드부
140 : 용액 도포부

Claims (14)

  1. 텐트, 텐트 플라이, 등산화, 등산 배낭의 봉제 부분 또는 겹쳐진 원단 사이의 부분에 대해 방수 처리를 실행하는 용액 배출 부재로서,
    방수 용액이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 경로부,
    상기 배출 경로부에 연속하여 마련되고, 내부가 경사진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용액 도포부,
    상기 배출 경로부와 연통되며 상기 용액 도포부에 형성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된 방수 용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배출 부재.
  2. 제1항에서,
    상기 배출 경로부, 배출구, 한 쌍의 가이드부 및 용액 도포부는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배출 부재.
  3. 제2항에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는 상기 용액 도포부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용액 도포부는 3면이 바깥 방향을 향해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배출 부재.
  4. 제2항에서,
    상기 용액 도포부에는 다수의 솔 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배출 부재.
  5. 제2항에서,
    상기 배출구에는 격벽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배출 부재.
  6. 제2항에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및 용액 도포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배출 부재.
  7. 제2항에서,
    상기 용액 배출 부재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배출 부재.
  8. 제2항에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은 텐트 또는 텐트 플라이에 형성된 제1 봉제선 및 제2 봉제선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배출 부재.
  9. 제2항에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의 높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배출 부재.
  10. 제2항에서,
    상기 배출 경로부는 제1 배출 경로부와 제2 배출 경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배출 경로부와 제2 배출 경로부는 경사지게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배출 부재.
  11. 제2항에서,
    상기 배출 경로부의 내부에는 방수 용액의 과다한 흐름을 저지하는 흐름 저지막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배출 부재.
  12.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1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액 배출 부재와
    용액을 수용하고 상부에 상기 용액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부가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용액 배출 부재는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제12항에서,
    상기 본체에 마련된 인출부의 외측 둘레에는 제1 나선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나선부는 상기 인출부를 덮는 뚜껑의 내부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배출 경로부의 내측 둘레에는 나사산 형상으로 마련된 제2 나선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나선부는 상기 제1 나선부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4. 제12항에서,
    상기 인출부의 내측 둘레에는 환형의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배출 경로부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환형의 돌출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환형의 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180023356A 2018-02-27 2018-02-27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 KR20190102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356A KR20190102636A (ko) 2018-02-27 2018-02-27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
PCT/KR2019/002308 WO2019168317A1 (ko) 2018-02-27 2019-02-26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356A KR20190102636A (ko) 2018-02-27 2018-02-27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636A true KR20190102636A (ko) 2019-09-04

Family

ID=67805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356A KR20190102636A (ko) 2018-02-27 2018-02-27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102636A (ko)
WO (1) WO201916831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224B1 (ko) 2002-02-28 2004-02-11 주식회사 반포텍 텐트 플라이의 웨빙부 방수 처리방법 및 그 구조
KR101185606B1 (ko) 2010-06-25 2012-09-24 고도윤 유체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부재
KR101315368B1 (ko) 2012-02-17 2013-10-08 조은효 투습 방수기능을 갖는 합성섬유제품 및 상기 합성섬유제품의 제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9976A (ja) * 1994-04-28 1995-11-07 Hitachi Zosen Corp 塗装装置
JP2005304628A (ja) * 2004-04-19 2005-11-04 Masao Tanaka 防水性靴の製造
NL2004754C2 (nl) * 2010-05-20 2011-11-22 Mach Innovative Solutions B V Applicator voor voegvulmiddelen, werkwijze voor het gecombineerd aanbrengen en uitstrijken van een voegnaad.
GB201107435D0 (en) * 2011-05-04 2011-06-15 Amontas Ramunas Applicator tool arrangement
JP2016107190A (ja) * 2014-12-04 2016-06-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シーラント適用ノズル及びシーラント適用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224B1 (ko) 2002-02-28 2004-02-11 주식회사 반포텍 텐트 플라이의 웨빙부 방수 처리방법 및 그 구조
KR101185606B1 (ko) 2010-06-25 2012-09-24 고도윤 유체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부재
KR101315368B1 (ko) 2012-02-17 2013-10-08 조은효 투습 방수기능을 갖는 합성섬유제품 및 상기 합성섬유제품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68317A1 (ko) 201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6737B (fi) Laite panosten uuttamiseksi
KR100962836B1 (ko) 액밀 슬라이드 파스너 및 액밀 슬라이드 파스너의 제조방법
KR100875627B1 (ko) 지관 라이닝재 및 지관 라이닝 공법
RU2437601C1 (ru) Шовн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структура, предмет одежды с шовной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структурой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шовной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структуры
ITTV20130023A1 (it) Calzatura impermeabile e traspirante e relativo metodo di realizzazione
ES2250135T3 (es) Calzado con construccion estanca de la suela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US6991700B2 (en) Heat sealed webb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ool covers
CN104223608B (zh) 拉链的一部分的制造方法
CN105077964B (zh) 化妆品容器
US8627777B2 (en) Liquid-resistant connectors and covers for equipment using the same
KR20190102636A (ko) 용액 배출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용기
CN106714943A (zh) 中空纤维膜组件及其制造方法
ITTV20090064A1 (it) Metodo per la produzione di calzature traspiranti ed impermeabili all'acqua.
US20100006590A1 (en) Liquid Dispensing Applicator with Flexible Valve Member
EP3614872B1 (en) Shoe with upper at least partially rendered impermeable
WO2000024282A1 (de) Schuhwerk mit abgedichtetem sohlenaufbau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207767683U (zh) 防漏水伞面布
DE60004238T2 (de) Schuhwerk mit Abdichtungselement
CN208048215U (zh) 可防止伞顶漏水或吸水的伞布
CN105636770B (zh) 用于可充气物品修补的一次性密封剂液体罐和相关生产方法
CN110522140A (zh) 一种雨伞的防漏雨接缝结构及其制造方法
DE20218172U1 (de) Ständer zum Aufspannen von stabförmigen Teilen
US20220266290A1 (en) Applicator
KR101707104B1 (ko) 배기수단
CN104039463B (zh) 具有钟或罩顶和注射按钮的密封剂涂覆喷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