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574A - 네이커 구조를 갖는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네이커 구조를 갖는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2574A
KR20190102574A KR1020180023106A KR20180023106A KR20190102574A KR 20190102574 A KR20190102574 A KR 20190102574A KR 1020180023106 A KR1020180023106 A KR 1020180023106A KR 20180023106 A KR20180023106 A KR 20180023106A KR 20190102574 A KR20190102574 A KR 20190102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ene
high quality
melamine
quality graphene
polyvinyl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265B1 (ko
Inventor
송성호
서진관
조재우
김현준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3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26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94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84Preparation
    • C01B32/19Preparation by exfol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이커 구조를 갖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단순 적층구조가 아니라 종래 진주 단면층과 같이 네이커(Nacre)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네이커 구조를 갖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멜라민과 그래파이트의 결합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용액 공정법을 이용한 박리법을 채용함으로써, 흠결이 없고 멜라민의 기능기가 유효하도록 하는 고품질 그래핀을 이용하여 복합체를 제조하는, 네이커 구조를 갖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네이커 구조를 갖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MANUFACTURE OD HIGH QUALITY GRAPHENE FOR HUGH STRENGTH NACRE-LIKE NANO COMPOSITES}
본 발명은 네이커 구조를 갖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단순 적층구조가 아니라 종래 진주 단면층과 같이 네이커(Nacre)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네이커 구조를 갖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멜라민과 그래파이트의 결합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용액 공정법을 이용한 박리법을 채용함으로써, 고품질 그래핀을 제조하고, 제조된 그래핀의 흠결이 없이 기능기화를 도입하기 위해 멜라민의 기능기가 유효하도록 하는 고품질 그래핀을 이용하여 복합체를 제조하는, 네이커 구조를 갖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래핀은, 탄소원자로 만들어진 원자크기의 벌집 형태 구조를 가진 소재로서, 흑연(Graphite)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그래핀은 현존하는 소재 중 특성이 가장 뛰어난 소재이다. 두께가 0.34nm로 얇아서 투명성이 높고, 실리콘보다 100배 빨리 전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열전도성이 최고라는 다이아몬드보다 높다. 기계적 강도도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하지만 신축성이 좋아 늘리거나 접어도 전기전도성을 잃지 않는다.
이러한 그래핀의 기계적 특성에 대해서는, [표 1]을 참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 Huai-PingCong et al , SCUENTIFIC , 2012
이러한 그래핀은 다른 첨가물과 결합하여 위와 같은 특성을 효과로 갖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는 산처리 등의 화학처리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실정이다.
이는, 등록특허공보 제10-1660763호(선행기술 1)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6570호(선행기술 2)에 기재되어 있다.
선행기술 1은, 그래핀 플레이크의 가교 결합을 통한 고전도도의 그래핀 시트 및 코팅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Is℃yanate) 화합물, 카르보디라이트계(Carbodilite) 화합물, 아지리딘계(Aziridine) 화합물 또는 멜라민계(Melamine) 화합물과 같은 가교결합제에 의하여 가교결합(Crosslink)된 그래핀옥사이드의 환원 과정을 통하여 고전도도의 그래핀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을 기재하고 있다.
즉, 선행기술 1의 청구항 1 등에서는 '그래핀옥사이드를 환원시키는 것'을 기재하고 있고, 단락번호 [0056]에서는 산처리를 기재하고 있다.
이는 선행기술 2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과 같이 산처리 또는 화학처리 되는 경우, 그래핀에 흠결이 발생되어 그래핀 고유의 특성을 잃어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이러한 경우, 다른 첨가물과 결합되는 경우, 흠결이 있는 영역에 결합되면서 첨가물 고유의 기능이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종래 산처리나 화학처리 방법이 아닌, 층간화합물 방법을 통해 그래핀에 흠결을 발생시키지 않는 고품질의 그래핀을 제공하고, 또한 고품질 그래핀의 고유한 특성을 잃어버리지 않고 기능기화를 위해 비공유 기능기화를 하고자 한다.
또한, 위와 같은 기능기화된 고품질 그래핀을 이용하여 네이커(Nacre) 구조를 형성하려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네이커 구조는 다른 단순 적층구조에 비해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 Francois Barthelat et al. J. Mater. Res., (2011)
그러나 이러한 네이커 구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한 층의 그래핀과 다른 한 층의 그래핀 간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인은 폴리비닐알콜(PVA)를 이용한다.
폴리비닐알콜은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복합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되고 있다(Paul Podsiadlo et al, SCIENCE, 2007).
Figure pat00004
한편, 그래핀을 이용한 적층구조를 갖는 기술에 관련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1275636호에 도핑 폴리머층을 포함하는 그래핀 기반 적층제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도핑 폴리머층을 포함하는 그래핀 기반 적층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기반 적층체는 기판; 상기 기판 상부에 형성되고, 적어도 1층 이상을 구비하는 그래핀(Graphene)층; 및 상기 그래핀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고, 유기계 도펀트를 포함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적층을 수행하는 목적이 투명성 유지라는 점에서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자 하는 본 발명과 상이하고, 그래핀을 제조하는 방법도 CVD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으로 본 발명과 상이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60763호(2016.09.28.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6570호(2014.05.12.) 등록특허공보 제10-1275636호(2013.06.17.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네이커 구조를 갖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단순 적층구조가 아니라 종래 진주 단면층과 같이 네이커(Nacre)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네이커 구조를 갖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멜라민과 그래파이트의 결합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용액 공정법을 이용한 박리법을 채용함으로써, 흠결이 없고 멜라민의 기능기가 유효하도록 하는 고품질 그래핀을 이용하여 복합체를 제조하는, 네이커 구조를 갖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멜라민-그래핀 및 폴리비닐알콜을 이용하여 네이커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은 그라파이트에 층간삽입물을 삽입하여 사이공간을 확대시키는 단계; 솔벤트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층간삽입물을 제거하여 그래핀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그래핀에 멜라민 수지를 기능기화 하는 단계; 상기 기능기화된 그래핀과 폴리비닐알콜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핀과 폴리비닐알콜을 기반으로 진공여과 방식으로 layer-by-layer 형태의 네이커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래핀은 산처리 또는 화학처리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멜라민의 기능기가 유효한 그래핀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이커 구조의 형성은 준비된 그래핀과 폴리비닐알콜을 순차적으로 1종류씩 반복하여 적층하는 방법과, 기능기화된 그래핀과 폴리비닐알콜의 혼합물을 멤브레인 통과시키되, 멤브레인 하측을 진공상태로 하여, 그래핀과 폴리비닐알콜이 layer-by-layer 형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이커 구조를 갖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멜라민과 그래파이트의 결합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용액 공정법을 이용한 박리법을 채용함으로써, 고품질 그래핀을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고품질 그래핀을 이용하여 멜라민의 기능기가 유효하도록 할 수 있으며, 네이커(Nacre)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복합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이커 구조를 갖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네이커 구조를 갖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단순 적층구조가 아니라 종래 진주 단면층과 같이 네이커(Nacre)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네이커 구조를 갖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멜라민과 그래파이트의 결합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용액 공정법을 이용한 박리법을 채용함으로써 고품질 그래핀을 제조하고, 흠결이 없고 그래핀의 고유한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멜라민의 기능기가 유효하도록 하는 기능기화된 고품질 그래핀을 이용하여 복합체를 제조하는, 네이커 구조를 갖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네이커 구조를 갖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이커 구조를 갖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네이커 구조를 갖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은 다음의 과정으로 수행된다.
1. 그라파이트에 층간삽입물을 삽입하는 단계
그라파이트에 층간삽입물을 삽입하는 단계는, 그라파이트를 이루는 사이공간을 확대시키기 위하여 층간삽입물을 삽입하는 단계이다.
그라파이트는, [표 4]와 같이 평면적으로 육각형의 벌집구조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때 벌집구조 내측이 상술된 사이공간이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그라파이트 층간 삽입된 그라파이트
이러한 그라파이트에 금속염이나 금속을 후술되는 단계에서 삽입하는데, 이때 삽입을 통해 상기 사이공간을 확대시키는 단계이다. [표 4]와 같이 금속염 (NaCl, KCl, ZnCl2)과 그라파이트를 300℃에서 반응을 시켜 [표 4]의 층간 삽입된 그라파이트를 제조한다. 층간삽입물은 그라파이트 층간 사이에 삽입이 가능한 모든 금속염과 금속이라면 모두 사용될 수 있을 것이고, 특히 그라파이트에 물리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2. 고품질 그래핀을 제조하는 단계
고품질 그래핀을 제조하는 단계는, 층간에 삽입물이 첨가된 그라파이트를 솔벤트에 침지 후 소니케이션으로 박리를 통해 고품질 그래핀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층간 삽입물이 삽입된 그라파이트를 DMF에 담근 후, 30분 소니케이션을 통해 박리시켜 고품질 그래핀을 제조한다.
이때, [표 5]와 같이 층간삽입물이 삽입된 그라파이트는 용액 공정법을 이용한 박리법으로 수행되며, 솔벤트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층간삽입물은 솔벤트 용액으로 제거될 수 있는 유기물로 이루어지면 충분하다. 다시 말해, 솔벤트 용액은 층간삽입물에 연관되는 것으로서, 층간삽입물을 녹여 제거할 수 있는 용액이라면 모두 사용될 수 있을 것이고, 특히 그라파이트에 물리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3. 고품질 그래핀을 기능기화 하는 단계
제조된 고품질 그래핀에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 비공유 기능기화를 통해 기능기화를 하는 단계이다. DMF에 담겨진 그래핀 (20mg)에 멜라민 (20mg)을 섞은 후 70℃에서 24시간 동안 Stirring을 진행시켜 멜라민 기능기화된 고품질 그래핀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멜라민 수지의 기능기가 유효한 그래핀을 제조할 수 있는데, 등록특허공보 제10-1660763호나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6570호의 경우, 그래핀을 제조하는데 산처리를 수행하고 있는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산처리 중 그라파이트의 조직 일부가 산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어서, 그래핀에 흠결이 발생되고, 이러한 흠결(찢어짐)에 기능기 수지(멜라민 수지)가 결합되는 경우로 산처리를 통해 품질이 저하된 그래핀에 적용된 사례로 본 발명과 상이하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박리된 고품질 그래핀 솔벤트 DMF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산처리 또는 화학처리 하지 않고, 첨가물이 결합된 품질높은 고품질의 그래핀을 제조하는 경우, 흠결이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그래핀의 물리적 특성 저하없이 기능기를 통해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에 대하여, 멜라민 수지의 기능기가 유효함을 아래의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실험예 1. 멜라민 수지의 기능기 평가
(실험방법)
실험방법은 XRD 패턴, FT-IR 스펙트럼, 라만 스펙트럼 및 TGA를 통해 평가되었으며, 그라파이트, 그래핀, 멜라민-그래핀 및 멜라민을 대상으로 실험을 각각 수행하되, 각 그래핀과 멜라민의 기능기가 도출되는지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표 6]에서는 각각 XRD 패턴, FT-IR 스펙트럼, 라만 스펙트럼 및 TGA를 통한 실험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있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XRD 패턴 FT-IR 스펙트럼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라만 스펙트럼 TGA
먼저, XRD 패턴을 보면, 멜라민의 주요 픽(Peak)과 그래핀의 픽이 멜라민-그래핀(이하, '고품질 그래핀'으로 지칭)에서 검출되었기 때문에, 고품질 그래핀에서 멜라민과 그래핀의 기능기가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FT-IR 스펙트럼에서도, 고품질 그래핀에서 멜라민의 주요 픽이 검출되었으므로, 멜라민의 기능기가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라만 스펙트럼에서도 그래핀의 주요 픽이 검출되었으므로, D 픽의 강도가 낮고, 2D 픽의 강도가 크기 때문에 고품질 그래핀이 제조되었으며, 그래핀의 기능기가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GA를 보면, 멜라민(흑색선)의 경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질량손실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500℃에서 완전히 제거됨을 알 수 있다. 멜라민 기능기화된 그래핀의 경우 800℃ 이상에서도 열적 안정성을 보이며, 멜라민으로 13% 기능화 됨을 알 수 있다.
4. 그래핀과 폴리비닐알콜을 준비하는 단계
그래핀과 폴리비닐알콜을 준비하는 단계는, 기능기화된 그래핀을 Di-water에 재분산을 시키고 이 용액에 폴리비닐알콜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때, 고품질 그래핀은 폴리비닐알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중량부 이상 준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를 준비할 수 있다.
5. 네이커 구조를 갖는 복합체 제조 단계
네이커 구조를 갖는 복합체 제조 단계는, 그래핀과 폴리비닐알콜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준비된 고품질 그래핀과 폴리비닐알콜을 이용하여 진공여과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 진공여과장치를 이용하되,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시켜, layer-by-layer 형태의 네이커(Nacre)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진공여과장치 내부 중, 멤브레인 필터의 하측은 진공상태가 됨으로써,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멤브레인을 통과한 고품질 그래핀과 폴리비닐알콜이 layer-by-layer 형태로 적층되어 네이커(Nacre)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시킴에 따라, 그라파이트에서 층간삽입물을 제거할 때 사용됨으로써, 그래핀에 일부 묻어있는 솔벤트까지 멤브레인 필터를 통해 필터링됨으로써, 더욱 품질 높은 네이커(Nacre) 구조의 복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고품질 그래핀과 폴리비닐알콜을 순차적으로 반복시켜 [표 7]에서와 같이 네이커(Nacre)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네이커 구조는 [표 8]을 참조할 수 있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4중량부 5중량부
Figure pat00015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한 기술적 사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4)

  1. 멜라민-그래핀 및 폴리비닐알콜을 이용하여 네이커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이커 구조를 갖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그라파이트에 층간삽입물을 삽입하여 사이공간을 확대시키는 단계;
    솔벤트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층간삽입물을 제거하여 그래핀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그래핀에 멜라민 수지를 기능기화 하는 단계;
    상기 기능기화된 그래핀과 폴리비닐알콜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핀과 폴리비닐알콜을 기반으로 진공여과 방식으로 layer-by-layer 형태의 네이커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은 산처리 또는 화학처리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멜라민의 기능기가 유효한 그래핀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네이커 구조의 형성은,
    준비된 그래핀과 폴리비닐알콜을 순차적으로 1종류씩 반복하여 적층하는 방법과,
    기능기화된 그래핀과 폴리비닐알콜의 혼합물을 멤브레인을 통과시키되, 멤브레인 하측을 진공상태로 하여, 그래핀과 폴리비닐알콜이 layer-by-layer 형태로 적층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20180023106A 2018-02-26 2018-02-26 네이커 구조를 갖는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2030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106A KR102030265B1 (ko) 2018-02-26 2018-02-26 네이커 구조를 갖는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106A KR102030265B1 (ko) 2018-02-26 2018-02-26 네이커 구조를 갖는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574A true KR20190102574A (ko) 2019-09-04
KR102030265B1 KR102030265B1 (ko) 2019-10-08

Family

ID=6795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106A KR102030265B1 (ko) 2018-02-26 2018-02-26 네이커 구조를 갖는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2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1892A (zh) * 2021-07-06 2021-09-17 中国科学院山西煤炭化学研究所 一种超厚型导热石墨烯膜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636B1 (ko) 2011-08-30 2013-06-17 전자부품연구원 도핑 폴리머층을 포함하는 그래핀 기반 적층체
KR20140056570A (ko) 2012-10-29 2014-05-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도핑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KR101660763B1 (ko) 2014-11-14 2016-09-28 (주)에버켐텍 고전도도의 그래핀과 그래핀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5651A (ko) * 2015-04-22 2016-11-01 한국과학기술원 방향족 헤테로 고리와 극성기를 포함하는 기능기로 표면개질된 탄소나노소재, 탄소나노소재-고분자 복합소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636B1 (ko) 2011-08-30 2013-06-17 전자부품연구원 도핑 폴리머층을 포함하는 그래핀 기반 적층체
KR20140056570A (ko) 2012-10-29 2014-05-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도핑된 그래핀의 제조방법
KR101660763B1 (ko) 2014-11-14 2016-09-28 (주)에버켐텍 고전도도의 그래핀과 그래핀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5651A (ko) * 2015-04-22 2016-11-01 한국과학기술원 방향족 헤테로 고리와 극성기를 포함하는 기능기로 표면개질된 탄소나노소재, 탄소나노소재-고분자 복합소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m. Soc. Rev. 2016, Vol. 45, pp. 2378-2395 (2016.04.0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1892A (zh) * 2021-07-06 2021-09-17 中国科学院山西煤炭化学研究所 一种超厚型导热石墨烯膜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265B1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Non-covalently functionalized graphene oxide-based coating to enhance thermal stability and flame retardancy of PVA film
Wang et al. Hierarchical composites of polyaniline nanorod arrays covalently-grafted on the surfaces of graphene@ Fe3O4@ C with high microwave absorption performance
US20170217775A1 (en) Partially oxidized graphen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Ye et al. The effect of sonication treatment of graphene oxid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ssembled films
US20160304351A1 (en) Highly conducting graphitic films from graphene liquid crystals
US9388049B2 (en) Method of producing graphene using surfactant
WO2010023934A1 (ja) グラフェン/SiC複合材料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グラフェン/SiC複合材料
WO2018005002A1 (en) Direct ultrasonication production of graphene sheets from coke or coal
KR102464398B1 (ko) 그래핀 분산액 및 그래핀-고분자 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리어 필름 제조방법
TWI552956B (zh) 石墨烯的製造方法及其應用
KR102030265B1 (ko) 네이커 구조를 갖는 그래핀의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2399147B1 (ko) 고도로 배향된 일체화 할로겐화 그래핀의 모노리식 필름
Bian et al. Effect of graphene oxide on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poly (vinyl alcohol) composite films
KR20130134446A (ko) 관능기화 그래핀 및 고분자-관능기화 그래핀 복합체와 그 제조방법
KR101187095B1 (ko)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하이브리드 그래핀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KR102543105B1 (ko) 맥신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4890B1 (ko) 폴리아닐린-그래핀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폴리아닐린-그래핀 나노복합체 필름
CN113386412B (zh) 一种石墨烯/碳纳米管气凝胶电磁屏蔽复合织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DE112011104931T5 (de) Mesoporöse Siliciumdioxid-Teilchen, Verfahren zur Herstellung mesoporöser Siliciumdioxid-Teilchen und mesoporöser Silicium-Teilchen enthaltender Formgegenstand
KR101253050B1 (ko) 불규칙흑연 및 나노리본상 그라핀을 이용한 그 제조방법
JP7042800B2 (ja) 高配向フミン酸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高導電性黒鉛フィルムならびに同フィルムを含有するデバイス
Wang et al. Strong and conductive polybenzimidazole composites with high graphene contents
KR101514765B1 (ko) 그래핀-산화아연 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압전 소자
KR102049575B1 (ko)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 분산제를 사용하는 그래핀 제조 방법
KR20210003469A (ko) 알루미늄-그래핀 복합소재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