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2437A - 의료용 rf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rf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02437A KR20190102437A KR1020180022812A KR20180022812A KR20190102437A KR 20190102437 A KR20190102437 A KR 20190102437A KR 1020180022812 A KR1020180022812 A KR 1020180022812A KR 20180022812 A KR20180022812 A KR 20180022812A KR 20190102437 A KR20190102437 A KR 201901024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ssue
- pulse
- treatment
- test
- chan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61B18/1233—Generators therefor with circuits for assuring patient safe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17—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with leads or electrodes penetrat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58—Deeper parts of the skin, e.g. treatment of vascular disorders or port wine stai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7—Upper parts of the skin, e.g. skin peeling or treatment of wrink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6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using a threshold value
- A61B2018/00678—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using a threshold value upp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02—Power or energ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61—Du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91—Tempera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75—Resistance or impedan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86—Du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16—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22—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by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treatment energy directly within the hand-pie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 A61B2018/143—Needle multiple need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75—Electrodes retractable in or deployable from a hou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 펄스를 이용한 의료용 RF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조직의 특성을 감지하기 위한 테스트 펄스를 발생시키는 RF 발생부, 상기 테스트 펄스가 조직에 전달되는 동안 조직 상태 정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된 값과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환자의 조직 특성을 판단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의료용 RF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RF 펄스를 이용한 의료용 RF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RF 펄스에 의한 조직의 상태 변화 정보에 근거하여 피부 특성을 검사/진단할 수 있는 의료용 RF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RF 에너지를 이용하여 조직을 치료하는 방식은 조직의 외부 표면에 RF 에너지를 전달하여 조직을 치료하는 접촉 치료 방식과, RF 전극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직 내부에 삽입하여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침습 치료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침습 치료 방식은 주로 니들 또는 카테터 등과 세경의 삽입부를 갖는 치료장치를 이용하며, 조직 내부의 타겟 위치까지 삽입한 후 조직 내부에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치료를 진행한다.
이러한 RF 치료 방식은 체내 기관의 병변을 절개하거나 지혈하는 등의 수술적 치료에 주로 이용되어 있다. 최근에는 피부에 니들 형태의 전극을 삽입하여 RF 에너지를 전달함으로써 주름 제거, 흉터 제거, 여드름 치료와 같은 피부 병변 치료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공개특허공보 10-2011-0000790호에도 개시되어 있다.
RF 치료 방식은 전극을 통해 조직으로 RF 전류를 흐르게 하면, 조직이 저항으로 역할하면서 열 에너지가 발생하고 이에 의해 조직의 상태가 변화하면서 치료가 이루어진다. 이때, 동일한 파라미터의 RF를 전달하더라도 조직의 상태 또는 특성에 따라 조직으로 전달되는 에너지가 상이하고, 또한 동일한 에너지가 조직에 전달되더라도 조직의 상태 또는 특성에 따라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과치료가 발생하는 등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조직의 특성에 기초하여 최적 치료를 진행할 수 있도록, 치료를 진행하기에 앞서 조직을 검사하여 조직의 특성을 판단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RF 에너지를 이용하여 조직의 특성을 검사하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조직이 상태 변화하는 정보에 근거하여 조직의 노화 정도 등을 비롯한 조직 특성을 검사할 수 있는 의료용 RF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와 이들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직의 특성을 감지하기 위한 테스트 펄스를 발생시키는 RF 발생부, 상기 테스트 펄스가 조직에 전달되는 동안 조직 상태 정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된 값과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환자의 조직 특성을 판단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의료용 RF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측정부는 상기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상기 조직이 목표한 변화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조직의 특성을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측정부는 상기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상기 조직의 건조화(desiccation)가 진행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조직의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측정부는 상기 소요되는 시간이 길수록 조직의 수분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소요되는 시간이 짧을수록 조직의 수분 함유량이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펄스는 기 설정된 출력 패턴으로 전달되며 상기 조직이 목표한 변화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펄스 지속 시간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조직의 수분 함유량과 상관 관계가 있는 측정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측정된 측정값과 상기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환자의 조직 특성을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부는 상기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조직의 임피던스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모니터링된 임피던스 값이 목표값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근거하여 조직의 특성을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측정부는 상기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상기 조직의 임피던스가 기 설정된 변화율 이상으로 증가하는 시점 또는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근거하여 조직의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조직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값이 목표값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근거하여 조직의 특성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직의 특성을 감지하기 위한 테스트 펄스 및 조직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용 펄스를 발생시키는 RF 발생부, 상기 테스트 펄스 또는 상기 치료용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조직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테스트 펄스가 상기 조직에 전달되는 동안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 되는 조직의 상태 정보 변화에 근거하여, 환자의 조직 특성을 판단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판단된 환자의 조직 특성에 의해 상기 치료용 펄스의 초기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치료용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감지된 조직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치료용 펄스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RF 치료장치에 의해 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치료 위치에 테스트 펄스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치료 위치의 조직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조직에서 목표한 상태 변화가 일어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근거하여 환자의 조직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조직 검사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직 검사 방법은, 상기 판단된 조직 특성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직 검사 방법은, 상기 치료 위치에 조직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용 펄스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치료용 펄스의 초기 파라미터는 상기 조직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판단된 조직 특성에 근거하여 설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테스트 펄스에 의한 조직의 상태 변화를 통해 조직의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조직 상태 정보를 수치화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하는 것이 가능하며, 치료시 이를 고려하여 치료 파라미터를 선택함으로써 최적 치료를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의료용 RF 장치의 핸드피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의료용 RF 장치의 주요 제어 계통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치료 중 하나의 RF 펄스가 인가됨에 따라 나타나는 조직의 임피던스 값과 조직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하나의 RF 펄스에 의한 다양한 조직의 상태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RF 펄스의 파라미터에 따른 조직의 상태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도 3의 설정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3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내용을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도 1의 의료용 RF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도 9의 RF 파라미터 조절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의 주요 제어 계통을 도시한 블록도,
도 12는 테스트 펄스의 출력 패턴의 종류를 도시한 그래프,
도 13은 검사 중 복수의 환자의 조직 변화를 모니터링한 그래프,
도 14는 도 11의 의료용 RF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의 핸드피스 단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6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료용 RF 장치의 핸드피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의료용 RF 장치의 주요 제어 계통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치료 중 하나의 RF 펄스가 인가됨에 따라 나타나는 조직의 임피던스 값과 조직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하나의 RF 펄스에 의한 다양한 조직의 상태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RF 펄스의 파라미터에 따른 조직의 상태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도 3의 설정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3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내용을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도 1의 의료용 RF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도 9의 RF 파라미터 조절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의 주요 제어 계통을 도시한 블록도,
도 12는 테스트 펄스의 출력 패턴의 종류를 도시한 그래프,
도 13은 검사 중 복수의 환자의 조직 변화를 모니터링한 그래프,
도 14는 도 11의 의료용 RF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의 핸드피스 단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6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 관계는 원칙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명의 구조를 단순화하거나 필요할 경우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각종 장치를 부가하거나, 변경 또는 생략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의료용 RF 장치'라함은 의료용 목적으로 RF 에너지를 이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의료용 RF 장치는 조직을 치료하기 위한 RF 치료장치 및 조직의 특성을 검사하기 위한 RF 검사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이외에도 의료용 목적으로 RF 에너지를 이용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RF 치료장치'라 함은 사람을 포함하여 포유류를 치료하기 위한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치료장치는 병변 또는 조직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RF 에너지를 전달하여 치료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 실시예에서는 피부 병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내 기관 병변을 수술적으로 치료하는 장치를 비롯하여, 다양한 환부에 RF 에너지를 전달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에서, 'RF 검사장치'라 함은 사람을 포함하여 포유류의 조직의 특성(예를 들어, 조직의 건강 상태, 콜라겐 함유량, 수분 함유량 등)을 검사하기 위한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RF 검사장치는 RF 펄스를 이용하여 조직의 특성을 검사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하며, 치료 장치와 마찬가지로 피부 조직 이외에도 체내 기관의 다양한 조직의 특성을 검사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검사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에서, '조직'이라 함은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의 다양한 신체 기관을 구성하는 세포의 집합을 의미하며, 피부 조직을 비롯하여, 체내의 다양한 기관을 구성하는 다양한 조직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삽입부'라 함은 치료장치 중 조직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성을 의미한다. 니들, 마이크로 니들, 카테터와 같이 단부가 뾰족하고 가늘고 긴 구조로 구성되어 조직의 표면을 관통하여 조직 내부까지 삽입되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의료용 RF 장치의 핸드피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는 RF 치료장치로 구성되며, 이러한 RF 치료장치(1)는 본체(100), 사용자가 쥐고 치료를 진행할 수 있는 핸드피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RF 발생부(RF generator)(110)가 구비될 수 있다. RF 발생부(110)는 치료에 사용되는 RF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RF 발생부(110)는 연속 파형이 아닌 펄스 형태로 RF 에너지를 발생시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RF 발생부(110)는 환자의 체질, 치료 목적, 치료 부위 등에 따라 다양한 파라미터(예를 들어, 출력, 펄스 지속시간, 펄스 간격, 주파수 등)의 RF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RF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RF 펄스는 조직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치료용 RF 펄스이다.
본체(100)의 외면에는 전원의 온/오프를 비롯하여 치료장치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101) 및 치료장치의 동작 내용을 비롯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02)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표시부(102)를 통해 직접 치료 내용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핸드피스(200)는 연결부(300)에 의해 본체에 연결된다. 연결부(300)는 핸드피스(200)의 각종 장치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원, 제어신호 등을 본체(100)로부터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본체(100)의 RF 발생부(110)에서 발생되는 RF 에너지는 연결부(300)를 통해 핸드피스(200) 측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연결부(300)는 각종 신호선, 전원선 등을 포함하는 케이블로 구성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는 절곡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핸드피스(200)는 RF 치료장치 중 치료 위치와 인접한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치료를 수행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손에 쥐고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개략적으로, 핸드피스(200)는 침습 치료를 수행하도록 조직 내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입부(250), 상기 삽입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210), 그리고 삽입부 및 구동부의 동작 내용을 조작하기 위한 핸드피스의 조작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200)의 몸체(201)를 구성하는 하우징 외면에는 핸드피스 조작부(230) 및 핸드피스 표시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핸드피스 조작부(230)는 핸드피스의 온/오프를 조작하거나, 삽입부(25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거나, 삽입부(250)를 통해 전달되는 에너지의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핸드피스의 표시부(220)는 설정 모드 또는 치료 중 필요한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드피스(200)를 손에 쥔 상태에서 조작부(230)를 조작하여 치료를 진행함과 동시에, 표시부(220)를 통해 치료 내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핸드피스(200)의 내부에는 구동부(210)가 설치된다. 구동부(210)는 삽입부(250)를 이동시켜 조직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동부(210)는 솔레노이드, 유/공압 실린더 등의 다양한 리니어 액추에이터, 리니어 모터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실시예의 구동부는 일단에 구비된 출력단(211)을 길이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출력단(211)의 단부에는 삽입부(250)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니들이 배치되어, 출력단이 선형 이동함에 따라 삽입부가 핸드피스의 일단(치료 위치와 접하는 일단)으로 출몰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삽입부가 전진/후퇴하면서 환자의 조직 내부로 삽입되거나, 조직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삽입부(2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직 표면을 관통하여 조직 내부까지 삽입되는 구성으로, 핸드피스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삽입부(250)는, 조직 삽입이 용이한 마이크로 니들로 구성되나, 이 이외에도 단수의 니들 구조, 카테터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은 수 내지 수천 ㎛ 범위의 직경을 갖는 니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범위의 직경을 갖는 니들을 이용할 수 있다.
삽입부(250)는 환자의 체내 조직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반복하여 사용하게 되면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삽입부는 핸드피스 단부에 착탈 가능한 팁 모듈(202)로 구성되며, 치료 후 팁 모듈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팁 모듈(202)은 복수개의 마이크로 니들로 구성되는 삽입부(250)가 내장 설치되며 구성되며, 핸드피스 몸체 일단에 구비되는 리세스부(24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팁 모듈(202)의 후면에는 전술한 출력단(211)이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홀(미도시)이 구비된다. 따라서, 전술한 출력단(211)이 전진/후퇴에 따라 팁 모듈에 수용된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 또한 전진/후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팁 모듈이 리세스부(240)에 설치되면, 팁 모듈의 마이크로 니들은 핸드피스 내의 RF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마이크로 니들을 통해 치료 위치의 조직 내측으로 RF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드피스 및 팁 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0123호 등 개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의료용 RF 장치의 주요 제어 계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의 제어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40)는 본체(100) 및 핸드피스(200)의 각종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핸드피스의 구동부(2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삽입부(250)를 조직 내부로 삽입시키거나, 조직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삽입부(25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RF 발생부(110)를 제어하여, RF 펄스의 온/오프 동작 및 RF 펄스의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RF 치료장치(1)는 조직 내측으로 마이크로 니들을 삽입한 후, 적절한 파라미터를 갖는 RF 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부(120)는 사용자가 치료 내용을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설정부(120)를 통해 설정한 내용에 근거하여 치료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종 구성을 제어한다. 설정부(120)는 전술한 표시부 및/또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102)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옵션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표시된 옵션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RF 치료장치(1)는 각종 데이터들이 저장된 메모리부(13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140)는 RF 치료장치를 제어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서 제어에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RF 치료장치는 모니터링부(260)를 더 포함한다. 모니터링부(260)는 치료 중 치료 위치에 해당하는 조직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이다. 모니터링부(260)는 조직의 온도를 모니터링하거나, 조직을 경유하여 형성되는 RF 에너지 전달 경로의 임피던스를 모니터링하거나, 핸드피스의 접촉 여부, 가압 상태 등 치료에 필요한 각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 예로서, 본 실시예의 모니터링부(260)는 RF 에너지가 전달되는 경로상에 구비되어, 조직을 경유하여 RF 에너지가 전달되는 경로의 임피던스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모니터링부는 핸드피스 내의 RF 전달 경로 상에 구비될 수도 있고, 본체 내의 RF 전달 경로 상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모니터링부(260)는 별도의 테스트 전류를 삽입부(250)에 흘려서 임피던스 값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고, 치료용 RF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측정되는 임피던스 값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이때, 측정되는 임피던스는 환자의 특성, 조직의 상태 변화 등에 의해 변화하므로, 편의상 '조직의 임피던스'로 해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료를 진행하기에 앞서 또는 치료를 진행하는 동안, 모니터링부(260)에서 조직의 임피던스를 모니터링하고, 이에 근거하여 치료 내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치료 중 하나의 RF 펄스가 인가됨에 따라 나타나는 조직의 임피던스 값과 조직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에서는 RF 에너지가 전달됨에 따라 조직이 변화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조직의 온도가 상승하여 건조화(desiccation) 되는 시점까지 RF 펄스를 지속한 모습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펄스가 인가되기 시작하면,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조직을 구성하는 물질들이 재배치되어 안정화 되는 동안 임피던스가 급격하게 증가한다(구간 I). 그리고, 조직을 구성하는 물질들이 안정화됨에 따라 임피던스 값은 서서히 감소하게 된다(구간 II). 이러한 구간 I 및 구간 II 동안은 조직의 원래 온도(To)로부터 온도가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후, RF 펄스가 지속됨에 따라, 조직의 임피던스 값이 지속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을 갖는다(구간 III). 이러한 구간 III은 임피던스가 안정화되면서 조직의 온도 또한 섭씨 60도 내지 80도 구간(T1)에서 안정화되는 양상을 갖는다. 그리고, 임상 실험 결과, 해당 구간에서 진피층 또는 피하 지방층과 같은 피부 내측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화면서, 실질적인 치료가 이루어지는 구간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후에도 RF 펄스가 지속되게 되면, 조직의 임피던스 값이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급격한 변화율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낸다(구간 IV). 이 구간은, RF 에너지가 지속됨에 따라 조직 내부의 수분이 거의 제거되는 조직 건조화(desiccation)가 이루어진다. 이 때, 전기전도성에 기여하는 조직 내부의 수분이 제거됨에 따라 조직의 임피던스 값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고, 이에 의해 조직의 온도 또한 급격하게 상승하여 조직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상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RF 에너지가 지속됨에 따라 조직의 상태는 구간 I 내지 구간 IV를 거쳐 변화하며, 이에 의해 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하고, 과치료가 이루어져 조직이 손상될 수도 있다.
도 5는 하나의 RF 펄스에 의한 다양한 조직의 상태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는, 동일한 파라미터를 갖는 RF 펄스를 조사했을 때 서로 상이한 3개의 조직에서 나타나는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조직 A의 임피던스 특성은 초기 임피던스가 급격하게 증가한 후 감소하는 가운데 펄스 지속시간이 종료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즉, 전술한 구간 I 및 구간 II에 상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RF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구간 III에 진입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조직 A의 경우, T1에 상응하는 온도까지 도달하지 못한 상태에서 치료가 종료되는 바, 제대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조직 B의 임피던스 특성은 초기 임피던스가 급격하게 증가한 후 점차적으로 감소하다가 일정 구간에서 임피던스 값이 유지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즉, RF 펄스가 조사되는 동안 구간 I, II 를 거쳐, 구간 III에 진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조직 B의 경우, T1에 상응하는 온도에 도달하여 소정 시간 동안 해당 온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치료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조직 C의 임피던스 특성은 조직 B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면서 RF 펄스 지연시간의 후반부에서는 임피던스 값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RF 펄스가 조사되는 동안, 구간 I 내지 III을 거쳐, 구간 IV까지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조직 C의 경우, 조직의 온도가 과하게 상승하여 건조화 상태에 도달하여 조직이 손상되는, 과치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파라미터를 갖는 RF를 전달하는 경우에도, 조직의 상태 및 특성에 따라 치료 효과는 상이하게 나타난다. 즉, 동일한 조건으로 치료를 진행하더라도, 환자의 인종, 연령, 체질과 같은 특성에 따라 치료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나아가 동일한 환자라고 하더라도 몸 상태, 치료 시간 등에 따라 치료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RF 치료장치는 조직의 특성을 모니터링 하고, 이에 근거하여 RF 펄스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최적화된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RF 치료장치(1)는 복수의 치료 위치에 각각 삽입부를 삽입한 후 RF 펄스를 전달하여 치료를 진행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앞선 위치에서 전달된 RF 펄스에 의한 치료 결과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이후의 치료 위치를 치료하는데 반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 제2 위치, 제3 위치부터 제n 위치까지 각각 RF 펄스를 전달하여 치료를 진행하는 경우, 제1 위치에 제1 RF 펄스를 전달하여 치료한 결과를 모니터링한 후, 이에 근거하여 제2 위치에 전달되는 제2 RF 펄스의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위치에 제2 RF 펄스를 전달하여 치료한 결과를 모니터링 하고, 이에 근거하여 제3 위치에 전달되는 제3 RF 펄스의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앞서 치료된 인접 위치의 치료 결과에 근거하여, 조직의 특성에 적합한 최적의 RF 펄스 파라미터를 찾아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행 위치의 치료 결과에 근거하여, 제어부(140)가 RF 펄스의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다. RF 펄스를 구성하는 다양한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시키는 방식으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RF 펄스의 다양한 파라미터 중 RF 펄스의 출력과 펄스 지속시간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RF 펄스가 조직에 전달하는 에너지량은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RF 펄스의 에너지량을 결정하는 출력과 펄스 지속시간은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되는 파라미터가 아니라, 상호 연관되어 조절되는 파라미터의 조합일 수 있다(예를 들어, 출력이 증가하면 펄스 지속시간은 감소).
도 6은 RF 펄스의 파라미터에 따른 조직의 상태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동일한 조직에 상이한 파라미터를 갖는 RF 펄스를 전달했을 때의 조직의 임피던스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각각의 RF 펄스가 조직에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은 동일하며(T1ㅧW1, T2ㅧW2, T3ㅧW3는 모두 동일), 각 RF 펄스의 출력 및 펄스 지속시간만이 상이한 경우이다.
우선, 도 6의 a는 RF 펄스의 출력이 작고 펄스 지속시간이 긴 파형이고, 도 6의 b는 상대적으로 RF 펄스의 출력 및 펄스 지속시간이 중간 정도인 파형이며, 도 6의 c는 RF 펄스의 출력이 크고 펄스 지속시간이 짧은 파형이다.
이때, 각각의 파형에 따른 조직의 임피던스 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RF 펄스가 조직에 동일한 에너지를 전달하는 경우에도, RF 펄스의 파형에 따라서 조직의 치료 결과가 상이할 수 있다. 도 6의 a와 같이 작은 출력의 에너지를 상대적으로 긴 지속시간 동안 제공하는 경우 조직의 치료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이 경우, 출력을 높이고 지속시간을 줄임에 따라 치료가 이루어지는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도 6의 b 참조). 또한, 도 6의 c와 같이 높은 출력의 에너지를 상대적으로 짧은 지속 시간동안 제공하는 경우 조직이 과치료 되어 손상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출력을 낮추고 지속시간을 늘리도록 조절함에 따라 치료가 이루어지는 강도를 낮출수 있다(도 6의 b 참조).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RF 치료장치의 제어부는 각각의 RF 펄스가 조직에 전달하는 에너지의 양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RF 펄스의 출력 및 펄스 지속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파라미터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앞서 치료된 위치의 모니터링 결과에 근거한 최적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다시 도 3을 중심으로 RF 펄스의 최적 제어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설정부(120)는 사용자가 치료 내용을 설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치료에 적용되는 RF 펄스의 에너지량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도 3의 설정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되 바와 같이, 표시부(102)를 통해 사용자에게 복수의 옵션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된 옵션을 선택하여 RF 펄스의 에너지량을 선택할 수 있다. 다만, 도 7에서는 표시되는 옵션으로서 RF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 이외에도 치료 강도 또는 병변 기준으로 선택 옵션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설정부(120)에서는 사용자가 RF 펄스의 에너지량에 해당하는 1개의 파라미터만을 선택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 이외도 다양한 파라미터(예를 들어, 출력 및 펄스 지속시간)를 세부적으로 설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사용자에게 세부 파라미터를 설정하도록 구성하게 되면 사용자의 경험에 따라 치료 내용이 달라질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환자의 대략적인 특성(연령, 인종) 및 치료 병변에 따라 적정한 RF 펄스 에너지량을 가이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에너지량 범위에서 임피던스 모니터링을 통해 RF 펄스의 세부 파라미터를 조절함으로써 최적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의 내용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130)는 RF 펄스 에너지에 따른 다양한 파라미터의 조합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RF 펄스의 파라미터 조합은 펄스 출력과 펄스 지속시간의 조합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부(130)는 RF 펄스가 전달하는 각각의 에너지에 대해, 각 에너지에 상응하는 복수의 RF 펄스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일 예로서, 3J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RF 펄스에 상응하는 복수의 파라미터 조합을 표시하고 있으며, 이 이외에도 각각의 에너지에 대한 파라미터 조합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부(120)를 통해 치료 중 사용하고자 하는 RF 펄스의 에너지량을 설정하면,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해당 에너지량에 상응하는 파라미터의 조합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RF 펄스의 출력을 제어한다. 이때, 각 에너지량에 상응하는 복수의 파라미터 조합 중 적어도 하나는, 임상을 통해 일반적인 조건에서 가장 적합한 치료 결과를 갖는 파라미터 조합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에너지량에 상응하는 파라미터 조합 중 기 설정된 최적 파라미터 조합으로 최초 RF 펄스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에는 최초 RF 펄스에 의한 임피던스 모니터링 결과에 근거하여, 저장된 파라미터 조합 중 적정한 조합으로 조절하여 RF 펄스의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최적 파라미터 조합은 각 에너지에 대해 1개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환자의 연령, 성별, 인종 등에 따라 각각 별도의 최적 파라미터 조합을 갖을 수도 있다.
한편, 모니터링부(2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RF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조직의 임피던스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모니터링된 임피던스 정보에 근거하여, 조직이 유효하게 치료가 되었는지,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는지, 또는 과치료가 되었는지 등의 조직 상태 정보를 판단한다.
제어부(140)가 모니터링된 임피던스 정보에 근거하여 조직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펄스의 펄스 지속 시간동안 임피던스의 변화 패턴을, 기 저장된 레퍼런스 패턴과 비교하여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임피던스 패턴이 도 6의 a와 유사한 경우 치료 부족, b와 유사한 경우 정상 치료, c와 유사한 경우 과치료). 다만, 본 실시예의 제어부는 별도의 레퍼런스 패턴을 이용하지 않고, RF 펄스 지속시간 동안 임피던스의 변화율에 근거하여 조직의 상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피던스 패턴이 초기의 임피던스 안정화 구간(구간 I)을 경과한 후,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이 없다면, 충분하게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도 6의 a 참조). 그리고, 임피던스 패턴이 초기의 임피던스 안정화 구간을 경과한 후, 다시 임피던스가 기 설정된 변화율 이상으로 급등하는 구간이 나타난다면 과하게 치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도 6의 c 참조). 반면, 임피던스 패턴이 기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임피던스 값이 유지되는 구간이 있고, 기 설정된 변화율 이상으로 임피던스 값이 급등하는 구간이 없는 경우에는 치료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도 6의 b 참조).
이처럼, 제어부(140)는 RF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조직의 임피던스 변화에 근거하여 조직의 치료 상태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이후 위치에 전달되는 RF 펄스의 파라미터를 조절한다. 제어부(140)의 판단 결과, 이전 치료시 정상적으로 치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이후 치료 위치에 동일한 파라미터의 RF 펄스를 전달할 수 있다. 반면, 이전 치료시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RF 펄스의 파라미터 중 출력이 증가하고, 펄스 지속시간이 감소하는 파라미터 조합으로 조절하여 이후 위치에 RF 펄스를 전달할 수 있다.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에너지를 전달하는 RF 펄스라고 하더라도 짧은 시간 동안 높은 출력으로 RF 펄스를 전달하는 경우, 조직의 온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상승시켜 치료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전 치료시 치료가 과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RF 펄스의 파라미터 중 출력이 감소하고, 펄스 지속시간이 증가하는 파라미터 조합으로 조절하여, 이후 위치에 RF 펄스를 전달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RF 치료장치(1)는, 선행 치료 결과에 근거하여, 실시간으로 RF 펄스의 파라미터를 조절함으로써, 환자에 따른 조직의 특성, 나아가 치료 위치에 따른 조직의 특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적합한 RF 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도 1의 의료용 RF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RF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치료를 진행하기에 앞서, 사용자는 설정부(120)를 통해 치료 내용을 설정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10). 본 단계를 통해 다양한 정보가 입력되고 치료 내용이 설정될 수 있다. 그 중 하나로써, 치료시 사용되는 RF 펄스의 에너지량이 설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치료시 전달되는 RF 펄스는 제어부(140)에 의해 다른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펄스를 통해 조직에 전달되는 에너지는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RF 펄스 에너지로서 3J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3J에 상응하는 RF 펄스 파라미터의 조합들 중 선택하여 RF 펄스를 제어함으로써(도 8 참조), RF 펄스의 에너지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설정 단계가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치료를 진행하기 위해 핸드피스(200)를 치료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S20). 본 발명에 따른 RF 치료장치를 이용한 치료는 복수의 치료 위치에 삽입부(250)를 삽입시켜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최초 치료 위치로서 제1 위치에 핸드피스를 위치시킬 수 있다.
핸드피스(200)가 제1 위치에 위치하면, 해당 위치를 치료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단계는 제1 위치에서 조직 내측으로 삽입부(250)를 삽입한 후, RF 발생부(110)를 구동하여 제1 RF 펄스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S30). 이때, 제1 위치로 전달되는 제1 RF 펄스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RF 파라미터 조합 중 최적 조합으로 기 설정된 파라미터 조합을 갖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술한 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에너지가 3J이므로,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3J에 상응하는 파라미터 조합 중, 최적 조합으로 저장된 출력 10W 및 펄스 지속시간 300ms의 파라미터로 RF 펄스를 발생시켜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부(260)는 RF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조직의 임피던스 변화를 모니터링한다(S40). 그리고, 제어부(140)는 이에 근거하여 조직의 상태 변화를 판단하여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러한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 위치로 조사되는 RF 펄스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0).
도 9에서는 RF 펄스를 전달하는 단계(S30) 및 임피던스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40)가 별도의 단계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한 것으로,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RF 펄스가 조직으로 인가되는 동안, 조직을 경유하는 회로의 임피던스 정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조직의 임피던스 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임피던스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40) 및 RF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단계(S50) 또한 별도의 단계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된 것으로, 동시에 또는 교차적으로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도 9의 RF 파라미터 조절 단계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RF 파라미터 조절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140)는 모니터링된 임피던스 정보에 근거하여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우선, 모니터링된 임피던스 값을 분석하여, 제1 위치에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1). 치료가 부족한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초기의 임피던스 안정화 구간 후,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임피던스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이 있는지 유무에 근거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임피던스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이 없다고 판단되면, 치료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이후 위치에서는 치료가 유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부(140)는 RF 펄스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2). 본 단계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파라미터 조합들 중(설정된 에너지에 상응하는 파라미터 조합들 중) 제1 RF 펄스의 파라미터 대비 출력값이 보다 크고, 펄스 지속시간이 짧은 파라미터 조합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RF 펄스의 출력이 10W, 펄스 지속시간이 300ms인 경우, 본 단계를 통해 제2 펄스는 출력이 15W, 펄스 지속시간은 200ms의 파라미터 조합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니터링된 임피던스 값 분석 결과, 제1 위치의 치료가 부족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반대로 과잉 치료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3). 과잉 치료 여부에 대한 판단은, 초기의 임피던스 안정화 구간을 경과한 후, 다시 임피던스가 기 설정된 변화율 이상으로 급등하는 구간의 유무에 근거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로부터, 임피던스 값이 펄스 지속시간의 후반부에 기 설정된 변화율 이상으로 급등하는 구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과잉 치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이후 위치에서는 과잉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부는 RF 펄스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4). 본 단계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파라미터 조합들 중, 제1 펄스 파라미터 대비 출력값이 낮고, 펄스 지속시간이 긴 파라미터 조합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RF 펄스의 출력이 10W, 펄스 지속시간이 300ms인 경우, 본 단계를 통해 제2 펄스의 출력은 6W, 펄스 지속시간은 500ms의 파라미터 조합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제1 위치에 대한 치료 상태를 분석한 결과, 치료가 부족하지도 않고, 과잉 치료도 이루어지지 않은, 정상적인 치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RF 펄스의 파라미터를 유지한 상태로 다음 위치의 치료를 진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S55).
전술한 단계를 통해 제1 위치의 치료 결과를 반영하여 이후의 제2 위치에 전달되는 제2 펄스의 파라미터 조절한다(S50). 그리고, 치료 위치를 제2 위치로 변경한 후(S60), 조절된 RF 펄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2 위치의 조직 내측에 제2 RF 펄스를 전달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30). 그리고, 전술한 단계들과 마찬가지로, 제2 위치에서 제2 RF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임피던스를 모니터링하고, 이에 근거하여 제2 RF 펄스의 파라미터를 추가적으로 조절/유지하는 단계를 수행한 후, 제3 위치로 치료 위치를 변경한 후 상기 단계를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RF 치료장치는, 사용자가 에너지 파라미터만을 선택하면, 임피던스 모니터링을 통해 조직의 특성에 따른 치료 상태를 판단하여, 적합한 파라미터의 RF 펄스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이전 치료 위치의 치료 결과에 근거하여 RF 파라미터를 제어하므로, 환자 및 조직의 특성에 맞는 제어가 가능하며, 동일한 조직인 경우에도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는 조직의 특성을 반영하여 치료를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사용자의 경험에 의한 치료 결과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환자의 인종, 연령, 상태 등의 다양한 조건 등을 장치 자체에서 보상하는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최적의 치료를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는 RF 펄스를 이용한 조직 검사 장치(이하에서는, RF 검사장치라 함)로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RF 치료장치는 RF 펄스를 이용하여 조직의 병변을 치료하는 장치임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RF 검사장치(1200)는 RF 펄스를 이용하여 조직의 특성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용도가 상이하다. 다만, RF 검사장치 또한 RF 펄스를 조직에 전달하고 이에 의한 조직의 상태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조직의 특성을 측정하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RF 치료장치와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RF 검사장치(1200)는 전술한 RF 검사장치와 비교하여 일부 제어 및 연산 계통의 구성을 제외하고 유사한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RF 검사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되, 각 구성의 공통된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RF 검사장치의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실시예에 따른 RF 검사장치(1200)는 본체(1100), 핸드피스(1200) 및 본체와 핸드피스를 연결하는 연결부(1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 및 도 2 참조). 그리고, 본체의 내부에는 RF 펄스를 발생시키는 RF 발생부(RF generator)(1110)가 구비되며, 본체의 외면에는 스위치(1101) 및 표시부(디스플레이)(1102)가 구비되어 검사장치의 동작을 조절하거나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드피스(1200)는 피검 대상인 조직과 인접한 위치에서 조직의 특성을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12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삽입부(1250), 구동부(1210) 및 삽입부와 구동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삽입부(12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니들을 포함하는 팁 모듈 구조로 구성되며, RF 발생부와 연결되어 조직 특성 검사에 이용되는 테스트 펄스를 전달한다. 그리고, 구동부(1210)는 조직 검사를 위해 삽입부(1250)가 조직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1250)를 진퇴시킨다.
다만, 본체와 핸드피스의 기계적인 구조, 구동 방식 및 RF 에너지 전달 계통과 같은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에의 RF 치료장치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의 주요 제어 계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RF 검사장치의 제어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14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 및 핸드피스의 각종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제어부(1140)는 구동부(12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삽입부(1250)를 선택적으로 조직 내부에 삽입시키고, RF 발생부(1110)를 제어하여 검사 시 전달되는 테스트 RF 펄스의 온/오프 동작 및 테스트 RF 펄스의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설정부(1120)는 사용자가 검사 내용을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사용자는 설정부(1120)를 통해 검사 패턴, 검사 회수 등을 설정할 수 있고, 제어부(1140)는 설정된 내용에 근거하여 검사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종 구성을 제어한다. 메모리부(1130)는 검사에 이용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따라서, 제어부(1140)는 필요한 정보를 메모리부(1130)에 저장하거나, 메모리부(1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서 제어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부(1260)는 조직의 특성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조직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이다. 모니터링부(126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직의 임피던스 변화를 모니터링하거나, 조직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거나, 이외의 다른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부(1150)는 모니터링부(1260)에서 모니터링된 값에 근거하여 환자의 조직 특성을 판단하는 구성이다. 도 11에서는 측정부(1150)가 제어부 또는 모니터링부와 구분되는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측정부(1150)는 제어부의 하위 구성요소로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모니터링부의 하위 구성요소로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환자의 조직에 RF 펄스가 인가되는 동안, 조직의 상태는 구간 I부터 구간 IV까지 순차적으로 변화한다. 특히, 구간 IV에서는 조직 건조화(desiccation)가 발생하면서 조직의 임피던스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조직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여기서, 복수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피부 조직에 대해 실험을 진행한 결과, 동일한 출력의 RF 펄스를 피부 조직에 전달하더라도 환자에 따라 구간 IV에 진입하는 시점이 각각 상이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환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구간 IV에 도달하데 긴 시간이 소요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유사한 연령대에서도 피부 조직 상태가 양호할수록 구간 IV에 도달하는데 긴 시간이 소요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경향성은 조직의 수분 함유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조직일수록 RF 펄스에 의해 조직 건조화가 발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일반적으로 조직 노화의 대표적인 특성이 탈수(dehydration)인 점을 고려할 때, 노화가 진행된 피부일수록 동일한 조건에서 조직 건조화가 짧은 시간 내에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RF 검사장치는 이와 같은 RF 펄스에 의한 조직 변화에 근거하여, 조직의 특성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제어부(1140)는 구동부(1210)를 구동하여 삽입부(1250)가 피검 대상이 되는 조직 내측으로 삽입되게 하고, RF 발생부(1110)를 구동하여 검사시 조직으로 전달되는 테스트 펄스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펄스는 검사 중 조직으로 전달되는 RF 펄스이며, 조직의 상태 변화를 야기한다. 테스트 펄스가 조직 내측으로 전달되는 동안, 모니터링부(1260)는 조직의 상태 변화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측정부(1150)는 모니터링부에서 감지된 값에 근거하여 조직의 목표한 상태 변화(조직의 건조화)가 발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조직의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2는 테스트 펄스의 출력 패턴의 종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테스트 펄스의 출력 패턴은 도 12의 a와 같이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일정한 크기의 출력을 갖는 패턴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도 12의 b와 같이 테스트 펄스의 초반부에는 상대적으로 큰 출력을 갖고 펄스 시속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출력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의 b와 같은 출력 패턴은 조직의 목표한 변화가 발생하는 시점에서 전달되는 에너지량을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도 12의 a 대비, 작은 조직 특성 차이임에도 상태 변화 시점의 차이를 명확하게 할 수 있어 조직의 특성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RF 검사장치(1001)는 환자의 인종 또는 연령에 따라 다양한 검사 모드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모드에 따른 테스트 펄스의 출력은 해당 인종 또는 연령에서의 조직 특성을 보다 세분화하여 측정하여 등급화시킬 수 있도록 상이하게 구성된다(예를 들어, 피부 노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백인을 대상으로 하는 모드는 테스트 펄스의 출력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피부 노화가 천천히 진행되는 아사이인을 대상으로 하는 모드는 테스트 펄스의 출력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 따라서, 사용자는 설정부(1120)를 통해 복수의 검사 모드 중 환자에 해당하는 검사 모드를 선택하여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링부(1260)는 조직의 상태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구성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조직에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조직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부(1260)는, 구간 I의 임피던스 안정화 이후, 조직의 임피던스가 기 설정된 변화율 이상으로 증가하거나,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증가하면, 조직에서 목표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모니터링부(1260)는 조직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직의 수분 함유량과 관련성이 있는 다양한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부는 핸드피스의 단부에 구비되는 온도 센서로 구성되어, 조직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증가하면 목표한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테스트 펄스의 펄스 지속시간은 일정한 값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조직의 불필요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직의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40)는 RF 발생부(1110)를 제어하여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것을 종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펄스의 펄스 지속시간은 상기 조직이 테스트 펄스에 의해 목표한 변화에 도달하는 시간으로, 피검 조직에 따라 펄스 지속시간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측정부(1150)는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상기 조직이 목표한 변화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하, 소요 시간이라 함)에 근거하여 조직의 특성을 판단한다. 이때, 소요되는 시간을 기산하는 시점은 테스트 펄스가 인가되는 시점이고, 종점은 조직이 목표한 변화에 도달했다고 모니터링된 시점일 수 있다. 측정부(1150)는 메모리부(1130)에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조직의 특성을 등급화할 수 있다. 등급화 방식은 조직의 건강 상태를 점수화하거나, 연령별 조직의 수분 특성 데이터와 비교하여 조직 연령 산출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측정부(1150)에서 등급화한 결과는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가 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3은 테스트 펄스가 인가됨에 따라 복수의 환자의 조직 변화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파라미터의 출력(예를 들어, 10W)을 갖는 테스트 펄스를 복수의 환자의 동일한 환부에 전달하여 조직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환자 A는 테스트 펄스가 인가된 후, t1의 시간이 경과한 후 피검 조직의 건조화가 발생하였고, 환자 B는 테스트 펄스가 인가된 후 t2의 시간이 경과한 후 피검 조직의 건조화가 발생하였으며, 환자 C는 테스트 펄스가 인가된 후 t3의 시간이 경과한 후 피검 조직의 건조화가 발생하였다(t1<t2<t3).
즉, 검사 결과, 가장 짧은 시간에 조직의 건조화가 발생한 환자 A는 피부의 수분 함유량이 낮아 조직의 노화가 가장 많이 진행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조직 건조화까지 가장 긴 시간이 소요된 환자 C는 피부 수분 함유량이 높아 조직의 노화가 가장 덜 진행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RF 검사장치(1001)는 조직에 인가되는 테스트 펄스를 이용하여 조직의 특성을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검사는 한 명의 환자에 대해 한 번의 측정 결과로 조직의 특성을 판단할 수 있으나, 설정부를 통해 사용자가 측정 회수를 설정하여 각각 상이한 위치에서 복수회에 걸쳐 검사를 수행하고, 복수의 검사 결과를 토대로 조직의 특성을 판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도 11의 의료용 RF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의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검사를 진행하기에 앞서, 사용자는 설정부(1120)를 통해 검사 내용을 설정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110). 본 단계를 통해 사용자는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테스트 펄스의 파라미터를 설정하거나, 검사 횟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 단계가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핸드피스(1200)를 피검 대상이 되는 조직 표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S120). 본 실시예에 따른 검사 방법은 복수의 위치에 피검 대상이 되는 조직의 복수 위치에 삽입부를 삽입시켜 검사를 진행하며, 우선 최초 검사 위치로서 제1 검사 위치에 핸드피스(12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핸드피스가 제1 검사 위치에 위치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140)는 구동부(1210)를 구동하여 삽입부(1250)를 조직 내측으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140)는 RF 발생부(1110)를 구동하여, 제1 테스트 펄스를 전달한다(S130). 이에 의해, 피검 대상이 되는 조직 내측으로 RF 에너지가 전달된다.
이때, 모니터링부(1260)는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조직의 임피던스 변화를 모니터링한다(S140). 그리고, 모니터링되는 임피던스 값에 근거하여, 조직이 목표한 상태 변화, 즉 조직의 건조화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50). 이때, 목표한 상태 변화 발생 여부는 모니터링되는 임피던스 값이, 초반 임피던스 안정화 이후, 기 설정된 증가율 이상으로 증가하거나,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증가하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목표한 상태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제1 테스트 펄스를 인가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다만, 목표한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40)는 제1 검사 위치로 인가되는 테스트 펄스를 중지하고(S160), 구동부(1210)를 제어하여 삽입부(1250)를 조직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테스트 펄스 인가 단계(S130), 임피던스 모니터링 단계(S140) 및 상태 변화 여부 판단 단계(S150)가 별도의 단계로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한 것이며, 조직 특성 검사 중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동시에 병렬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전술한 단계를 통해 제1 검사 위치에서 목표한 상태 변화가 발생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측정되면, 측정부(1150)는 이를 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조직의 특성을 판단한다(S170). 이때, 목표한 변화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수록 조직의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위치에 대한 조직 특성 검사가 완료되면, 검사 위치를 제2 위치로 변경하고(S180), 제2 위치에 대한 검사를 진행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식을 반복하여, 복수의 검사 위치에 대한 조직 특성검사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도 9에서는 하나의 위치마다 조직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S170)를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복수의 위치에 대해 조직 특성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복수의 위치에 대한 테스트 펄스 인가 및 임피던스 모니터링을 수행한 후, 종합적으로 환자의 조직 특성을 판단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의 핸드피스 단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는 RF 검사장치로 구성된다. 다만, 전술한 제2 실시예의 RF 검사장치는 전극에 해당하는 삽입부를 조직의 내측에 삽입한 상태에서 테스트 전류를 인가하여 조직의 특성을 측정하는 구성인 것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RF 검사장치는 피검 대상이 되는 조직의 표면에 전극이 접촉한 상태에서 테스트 전류를 인가하여 조직의 특성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조직의 내측이 조직의 표면에 비해 습도와 같은 주변 환경의 영향을 덜 받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 같은 침습 방식의 검사가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검사의 편의성 및 환자의 통증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와 같은 접촉 방식으로 검사하도록 RF 검사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2 실시예에 따른 RF 검사장치와 비교하여, 핸드피스가 별도의 삽입부 및 구동부를 구비하지 않고, 대신에 핸드피스(1200) 단부에 조직 표면과 접촉하는 전극부(127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전극부(1270)를 통해 테스트 펄스를 조직 표면으로 인가하고, 이에 의한 조직 표면의 임피던스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조직의 특성을 검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를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RF 치료장치 및 RF 검사장치가 각각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는 예를 설명하였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RF 치료장치 및 제2 RF 검사장치는 구성요소가 상호 유사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는 전술한 RF 차료장치 및 RF 검사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여 검사 및 치료를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RF 치료장치(본 실시예는 검사 및 치료가 모두 가능한 장치이나, 치료의 사전 단계로서 검사를 진행하도록 사용될 수 있어 RF 치료장치라 함)는 전술한 제2 실시예의 RF 검사장치와 상응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도 1, 도 2 및 도 11 참조). 그리고, 사용자는 설정부(1120)를 통해 검사 모드 및 치료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부(1120)를 통해 치료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설정부(1120), 메모리부(1130), 제어부(1140), RF 발생부(1110), 삽입부(1250), 구동부(1210) 및 모니터링부(1260) 등의 주요 구성요소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설정부(1120)를 통해 검사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각 주요 구성요소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각 구성요소의 구조 및 동작 내용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앞선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조직의 특성 검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조직의 병변 치료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의 사전 단계로서 조직의 특성을 검사한 후, 이에 근거하여 조직의 병변을 치료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우선 사용자는 설정부를 통해 검사 모드를 선택한다(S210).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RF 치료장치를 이용하여 조직의 특성을 검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20). 이때, 조직의 특성을 검사하는 단계는 도 11의 S110 내지 S180의 단계를 거쳐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검사 단계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설정부를 통해 치료 모드를 선택한다(S230). 그리고, RF 치료장치를 이용하여 조직 병변을 치료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40). 이때, 조직 병변을 치료하는 단계는 도 9의 S10 내지 S60의 단계를 거쳐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단계에 대한 설명은 앞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이에 의할 경우, 조직의 치료의 사전 단계로서 조직의 특성 검사를 수행하는바, 측정된 조직의 특성 결과를 조직의 치료에 반영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치료시 제1 위치로 전달되는 RF 펄스의 파라미터는 메모리부(1130)에 저장된 치료 파라미터 조합 중 최적 파라미터 조합으로 결정된다. 이때, 최적 파라미터 조합은 조직의 특성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예를 들어, 수분 함유량이 높은 조직에 대한 최적 파라미터 조합은 [30W, 100ms], 수분 함유량이 낮은 조직에 대한 최적 파라미터 조합은 [10W, 300ms]). 따라서, 제어부(1140)는 검사 단계에서 측정된 조직 특성에 상응하는 최적 파라미터 조합으로 최초 치료 RF 펄스(제1 위치 치료를 위한 RF 펄스)의 파라미터를 제어하여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검사를 통해 측정된 조직의 특성을 치료 단계에 반영함으로써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를 설명한다.
전술한 제4 실시예에서는 RF 검사장치와 RF 치료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면서, 하나의 핸드피스를 이용하여 조직의 검사 및 조직의 치료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는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RF 검사장치와 RF 치료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되, 조직의 검사 단계에서 사용되는 검사 핸드피스(1200)와 조직의 치료 단계에서 사용되는 치료 핸드피스(200)를 별도로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검사 단계 및 치료 단계 중 어느 하나만을 진행하는 경우, 또는 검사와 치료시 사용되는 팁 모듈의 종류 또는 구동부의 구조가 상이한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이 용도에 따라 핸드피스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설정부를 통해 검사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제어부 및 RF 발생부와 같은 본체의 구성요소가 검사 핸드피스와 전기적/신호적으로 연결되고, 치료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치료 핸드피스와 전기적/신호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각각 검사 및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밝혀둔다.
Claims (20)
- 조직의 특성을 감지하기 위한 테스트 펄스를 발생시키는 RF 발생부;
상기 테스트 펄스가 조직에 전달되는 동안 조직 상태 정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된 값과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환자의 조직 특성을 판단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의료용 RF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상기 조직이 목표한 변화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조직의 특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의료용 RF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상기 조직의 건조화(desiccation)가 진행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조직의 특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의료용 RF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소요되는 시간이 길수록 조직의 수분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소요되는 시간이 짧을수록 조직의 수분 함유량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의료용 RF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펄스는 기 설정된 출력 패턴으로 전달되며 상기 조직이 목표한 변화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펄스 지속 시간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의료용 RF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조직의 수분 함유량과 상관 관계가 있는 측정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측정된 측정값과 상기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환자의 조직 특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의료용 RF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조직의 임피던스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모니터링된 임피던스 값이 목표값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근거하여 조직의 특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의료용 RF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상기 조직의 임피던스가 기 설정된 변화율 이상으로 증가하는 시점 또는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근거하여 조직의 특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의료용 RF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조직의 온도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값이 목표값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근거하여 조직의 특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의료용 RF 장치. - 조직의 특성을 감지하기 위한 테스트 펄스 및 조직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용 펄스를 발생시키는 RF 발생부;
상기 테스트 펄스 또는 상기 치료용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조직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테스트 펄스가 상기 조직에 전달되는 동안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 되는 조직의 상태 정보 변화에 근거하여, 환자의 조직 특성을 판단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서 판단된 환자의 조직 특성에 의해 상기 치료용 펄스의 초기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치료용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감지된 조직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치료용 펄스의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RF 장치. - 치료 위치에 테스트 펄스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치료 위치의 조직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조직에서 목표한 상태 변화가 일어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근거하여 환자의 조직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조직 검사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테스트가 전달되는 동안 상기 조직이 건조화(desiccation)이 발생하는 시점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조직 검사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조직의 수분 함유량과 상관 관계가 있는 값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값에 근거하여 조직의 상태 변화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조직 검사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테스트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상기 조직의 임피던스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임피던스가 기 설정된 변화율 이상으로 증가하거나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증가하면 목표한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조직 검사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 변화가 일어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수록 상기 조직의 수분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소요되는 시간이 짧을수록 상기 조직의 수분 함유량이 낮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조직 검사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펄스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치료 위치에 기 설정된 출력 패턴을 갖는 RF 펄스를 전달하며, 상기 조직이 목표한 변화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펄스 지속 시간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조직 검사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조직 특성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조직 검사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위치에 조직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용 펄스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치료용 펄스의 초기 파라미터는 상기 조직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판단된 조직 특성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펄스를 이용한 조직 검사 방법. - RF 발생부를 구동하여 테스트 펄스를 조직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펄스가 조직에 전달되는 동안 모니터링부를 통해 조직의 상태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목표한 상태 변화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된 결과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환자의 조직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용 RF 장치의 제어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의 특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한 상태 변화가 발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환자의 조직 특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RF 장치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2812A KR102038007B1 (ko) | 2018-02-26 | 2018-02-26 | 의료용 rf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US16/041,593 US11523863B2 (en) | 2018-02-26 | 2018-07-20 | Medical RF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PCT/KR2018/013064 WO2019164089A1 (ko) | 2018-02-26 | 2018-10-31 | 의료용 rf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US18/047,594 US20230054321A1 (en) | 2018-02-26 | 2022-10-18 | Medical rf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2812A KR102038007B1 (ko) | 2018-02-26 | 2018-02-26 | 의료용 rf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2437A true KR20190102437A (ko) | 2019-09-04 |
KR102038007B1 KR102038007B1 (ko) | 2019-10-29 |
Family
ID=67685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2812A KR102038007B1 (ko) | 2018-02-26 | 2018-02-26 | 의료용 rf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2) | US11523863B2 (ko) |
KR (1) | KR102038007B1 (ko) |
WO (1) | WO2019164089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41744A1 (ko) * | 2018-12-31 | 2020-07-09 | 주식회사 루트로닉 | Rf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WO2021095889A1 (ko) * | 2019-11-11 | 2021-05-20 | 주식회사 루트로닉 | Rf에너지를 이용하는 치료기기용 피부 패치, 이를 이용하는 rf에너지를 이용한 치료기기, 그 제어방법 및 rf에너지를 이용한 피부치료방법 |
WO2023163370A1 (ko) * | 2022-02-22 | 2023-08-31 |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 전기 수술 장치, 상기 전기 수술 장치의 임피던스 측정 장치, 조직 응고를 위한 에너지 제어 방법 및 임피던스 측정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17679B2 (en) | 2020-05-20 | 2023-08-08 | Pollogen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non-invasive fractional treatment of skin tissue |
KR102616296B1 (ko) * | 2021-11-24 | 2023-12-22 |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 임피던스가 검출되는 니들 전극 깊이 조절 구조를 가진 수술 내비게이션 도구와 이를 이용한 고주파 에너지 제어방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94876A (ko) * | 2002-06-08 | 2003-12-18 | 모승기 | 고주파를 이용한 종양 및 지방 치료 장치 |
JP2011529732A (ja) * | 2008-07-30 | 2011-12-15 | エコーレ ポリテクニーク フェデラーレ デ ローザンヌ (イーピーエフエル) | 神経標的の最適化された刺激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
KR20120099211A (ko) * | 2009-10-24 | 2012-09-07 | 시네론 메디컬 리미티드 | 조직층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1269970B1 (ko) | 2010-11-15 | 2013-05-31 | 주식회사 루트로닉 | 피부 치료용 광학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KR20150096272A (ko) * | 2014-02-14 | 2015-08-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조직의 온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도 제어 장치 |
JP2016529923A (ja) * | 2013-05-06 | 2016-09-29 | パルティ、ヨーラム | 交番電界によって腫瘍を治療し、推定される細胞サイズに基づいて治療周波数を選択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98779B1 (en) * | 1998-10-23 | 2002-06-04 | Sherwood Services Ag | Vessel sealing system |
US7364577B2 (en) * | 2002-02-11 | 2008-04-29 | Sherwood Services Ag | Vessel sealing system |
US20060293731A1 (en) * | 2005-06-24 | 2006-12-28 | Boris Rubinsky |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tumors using electroporation |
CA2574935A1 (en) * | 2006-01-24 | 2007-07-24 | Sherwood Services Ag | A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output of a radio-frequency medical generator having an impedance based control algorithm |
CA2670969C (en) | 2006-12-06 | 2016-01-19 | Boston Scientific Limited | Tissue ablation using pulse modulated radio frequency energy |
US10238447B2 (en) * | 2008-04-29 | 2019-03-26 | Virginia Tech Intellectual Propert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ablating a tissue site by electroporation with real-time monitoring of treatment progress |
EP2413833A1 (en) * | 2009-03-31 | 2012-02-08 | AngioDynamics, Inc. |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 treatment region for a medical treatment device and for interactively planning a treatment of a patient |
KR101172319B1 (ko) | 2009-06-29 | 2012-08-14 | 광주과학기술원 | 침습형 침 및 그 제조 방법 |
-
2018
- 2018-02-26 KR KR1020180022812A patent/KR10203800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7-20 US US16/041,593 patent/US11523863B2/en active Active
- 2018-10-31 WO PCT/KR2018/013064 patent/WO201916408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
- 2022-10-18 US US18/047,594 patent/US20230054321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94876A (ko) * | 2002-06-08 | 2003-12-18 | 모승기 | 고주파를 이용한 종양 및 지방 치료 장치 |
JP2011529732A (ja) * | 2008-07-30 | 2011-12-15 | エコーレ ポリテクニーク フェデラーレ デ ローザンヌ (イーピーエフエル) | 神経標的の最適化された刺激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
KR20120099211A (ko) * | 2009-10-24 | 2012-09-07 | 시네론 메디컬 리미티드 | 조직층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
KR101269970B1 (ko) | 2010-11-15 | 2013-05-31 | 주식회사 루트로닉 | 피부 치료용 광학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JP2016529923A (ja) * | 2013-05-06 | 2016-09-29 | パルティ、ヨーラム | 交番電界によって腫瘍を治療し、推定される細胞サイズに基づいて治療周波数を選択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
KR20150096272A (ko) * | 2014-02-14 | 2015-08-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조직의 온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도 제어 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41744A1 (ko) * | 2018-12-31 | 2020-07-09 | 주식회사 루트로닉 | Rf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KR20200083838A (ko) * | 2018-12-31 | 2020-07-09 | 주식회사 루트로닉 | Rf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US12023511B2 (en) | 2018-12-31 | 2024-07-02 | Lutronic Corporation | RF therapeut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WO2021095889A1 (ko) * | 2019-11-11 | 2021-05-20 | 주식회사 루트로닉 | Rf에너지를 이용하는 치료기기용 피부 패치, 이를 이용하는 rf에너지를 이용한 치료기기, 그 제어방법 및 rf에너지를 이용한 피부치료방법 |
WO2023163370A1 (ko) * | 2022-02-22 | 2023-08-31 |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 전기 수술 장치, 상기 전기 수술 장치의 임피던스 측정 장치, 조직 응고를 위한 에너지 제어 방법 및 임피던스 측정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8007B1 (ko) | 2019-10-29 |
WO2019164089A1 (ko) | 2019-08-29 |
US11523863B2 (en) | 2022-12-13 |
US20230054321A1 (en) | 2023-02-23 |
US20190262066A1 (en) | 2019-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8007B1 (ko) | 의료용 rf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KR102118639B1 (ko) | Rf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JP5582619B2 (ja) | フレキシブルな神経位置判定装置 | |
RU2648213C2 (ru) | Управление мощностью абляции на основе контактной силы | |
JP5162467B2 (ja) | 組織切除のための電極結合の評価 | |
EP2499982B1 (en) | Energy-based ablation completion algorithm | |
KR20170045286A (ko) | 만성 통증의 근원의 식별 및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
KR20120004398A (ko) | 지방흡입 방법 및 장치 | |
WO2019089919A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characterization | |
KR102066046B1 (ko) | Rf 에너지를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치료 방법 | |
EP3202355A1 (en) | Temperature controlled short duration ablation | |
US20210251801A1 (en) | Handpiece for treatment, treatment device including handpiece, and treatment method using treatment device | |
US20240307703A1 (en) | Rf therapeut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KR101918221B1 (ko) |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KR102367867B1 (ko) | Rf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KR102682119B1 (ko) | 의료용 rf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 |
KR102214341B1 (ko) | 핸드 피스, rf 치료 장치 및 rf 치료 장치의 제어 방법 | |
CN116370057A (zh) | 优化身体上用于不可逆电穿孔(ire)规程的返回电极位置的方法和系统 | |
JP7401393B2 (ja) | Rf電流による神経筋刺激の定量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 |
CN115919449A (zh) | 组织治疗装置及电极定位的方法 | |
CN117320650A (zh) | 能够实现单极型电流和双极型电流的依次及连续输出的高频电流输出装置 | |
CN111887973A (zh) | 用于心房纤颤患者的肺静脉隔离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