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911A - 고전류 인가용 컨택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고전류 인가용 컨택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911A
KR20190101911A KR1020190021465A KR20190021465A KR20190101911A KR 20190101911 A KR20190101911 A KR 20190101911A KR 1020190021465 A KR1020190021465 A KR 1020190021465A KR 20190021465 A KR20190021465 A KR 20190021465A KR 20190101911 A KR20190101911 A KR 20190101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rod
circuit board
receiving member
contact
contac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0358B1 (ko
Inventor
다우스 알렉산더
브라우흘레 게르드
그룬드마이어 라모나
Original Assignee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90101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relating to, driven charging or scavenging pump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33/00 - F02B37/00
    • F02B39/02Drives of pumps; Varying pump drive gear ratio
    • F02B39/08Non-mechanical drives, e.g. fluid drives having variable gear ratio
    • F02B39/10Non-mechanical drives, e.g. fluid drives having variable gear ratio 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01R12/718Contact members provided on the PCB without an insulating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1Surface mounted metallic connector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25Sockets, i.e. female type connectors comprising metallic connector elements integrated in, or bonded to a common dielectric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고전류 인가용 컨택트 어셈블리는, 전기 회로 기판(3);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비가요성 도체 로드(1)로서, 회로 기판(3)과 전기 디바이스 사이에 30 암페어 초과, 특히 50 암페어 초과의 전류를 전송하는, 비가요성 도체 로드(1); 및 회로 기판(3)에 고정되는 수용 부재(2)를 포함하고; 수용 부재(2)는 도체 로드(1)를 보유하며 도체 로드(1)와 회로 기판(3) 사이에 전류를 전송하고; 수용 부재(2)는 복수의 탄성 변형 가능한 설부(5)를 포함하며?, 설부(5)는 도체 로드(1)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기계적 지지뿐만 아니라 도체 로드(1)와 수용 부재(2)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전류 인가용 컨택트 어셈블리{CONTACT ASSEMBLY FOR HIGH-CURRENT APPLICATIONS}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고전류 인가용 컨택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제15항에 따른 연소 기관용 차저(charger)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 제6,700,464 B2호는 회로 기판에 동축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컨택트를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고전류 인가에 적합하지 않다.
연소 기관용 전동 터보차저(electrically driven turbo-charger) 분야에서는 Wurth Elektronik GmbH에 의해 제공되는 유형의 컨택트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컨택트는 중실(solid)의 정사각형 블록을 포함하며, 복수의 각부가 블록으로부터 돌출하고, 각부는 회로 기판에 프레스핏(press-fit)된다. 전기 모터에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도체 로드가 정사각형 블록의 개구 내에 고정하여 수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비용이지만 회로 기판과 도체 로드 사이에 신뢰성 있는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고전류 인가용 컨택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서두에서 언급한 컨택트 어셈블리의 경우, 이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컨택트 로드를 복수의 탄성 변형 가능한 설부(elastically deformable tongue)와 함께 보유하고 전기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충분한 총 접촉 면적의 명확한 접촉이 확립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고전류 인가는, 전형적인 동작 모드에서 수용 부재를 통해 그리고 설부를 통해 도체 로드 내로 흐르는 30 A 초과, 바람직하게는 50 A 초과의 전류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컨택트 어셈블리는 이러한 고전류가 적어도 수 시간의 영구 동작 중에 흐를 수 있게 설계된다.
고전류는 바람직하게는 10 V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V 초과의 전위차 하에서 동작된다. 전형적인 용도는 연소 구동, 전동 또는 하이브리드 구동을 포함하는 현대의 차량 분야이다. 이러한 차량은 표준 12 V 네트보다 높은 전압에 기초한 전력 네트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컨택트 어셈블리의 하나의 바람직한 용도는 48 V 차량 전력 네트와 조합된다.
컨택트 어셈블리를 통해 회로 기판으로부터 전기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전력은 바람직하게는 300 와트(Watt) 초과의 연속 전력, 보다 바람직하게는 1 kW 초과의 연속 전력, 가장 바람직하게는 3 kW 초과의 연속 전력이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용 부재는 일체품으로서 설계된다. 특히, 수용 부재는, 회로 기판에 대한 수용 부재의 고정과 도체 로드에 대한 설부의 전기 접촉 사이에 임의의 중간 투피스(two-piece) 설계 또는 표면 접촉이 결여되어 있다.
도체 로드 주위에 보유력 및 접촉 면적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해서, 탄성 변형 가능한 설부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개이다.
본 발명의 일반적으로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수용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표면 실장 디바이스(SMD)의 형태로 납땜에 의해 회로 기판의 도전로에 접속된다. 특히, SMD 기반 회로 기판에 대한 제공된 표준이 충족될 수 있다. 또 다른 이점으로서, 수용 부재는 자동화된 제조에 의해 회로 기판에 적용될 수 있다.
수용 부재의 특별한 저비용 생산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용 부재는 판금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판금의 두께는 1 m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mm 미만이다. 원래의 판금은 절단, 펀칭, 구부림, 코팅, 열 어닐링 등과 같은 임의의 기지의 수단에 의해 수용 부재에 추가로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경우, 수용 부재는 도체 로드의 길이 방향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구부러진 베이스 링, 베이스 링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설부, 및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링의 반대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접촉 탭을 포함하고, 접촉 탭은 회로 기판에 고정식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설계는, 예를 들어 금속의 시트로부터 수용 부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간단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접촉 탭이 베이스 링에 대해 설부와는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경우, 보다 많은 수의 설부 및 컨택트 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고전류의 효율적인 전달을 제공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도체 로드는 기본적으로 일정한 단면을 가지며, 단면은 8 mm2 초과, 특히 18 mm2 초과의 전기 전도성 크기를 갖는다. 가장 바람직게는, 단면은 원형이다. 전형적으로 바람직한 도체 로드는 고전류에 대한 요구에 따른 직경을 갖는 중실의 실린더일 것이다. 18 mm2의 전도성 단면의 경우, 원통형 도체 로드는 약 4.8 mm의 직경(또는 8 mm2 단면의 경우 3.2 mm 직경)을 가질 것이다. 보다 큰 직경은 또한 보다 많은 수의 설부 및/또는 설부당 보다 큰 컨택트 면적 때문에 수용 부재에 의해 보다 양호한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인 목적으로서, 수용 부재에 의해 야기되는 회로 기판과 도체 로드 사이의 저항은 0.001 옴(Oh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5 옴 미만이다.
조립 시 및 동작 중에, 예를 들어 열팽창 동안 공차(tolerance)를 허용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도체 로드는 탄성적으로 로딩된 설부에 의해 보유되고 접촉되면서 공차의 간격 주위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컨택트 로드는 바람직하게는 설부의 접촉 영역에서 각주 형상(또는 일정한 단면 형상)를 갖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도체 로드는 또한 접촉 면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부에 대한 지지 홈과 같은 특수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충분한 기계적 지지뿐만 아니라 확실한 전기 접촉을 확인하기 위해서, 탄성적으로 로딩된 설부 각각은 도체 로드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제1 단부, 및 도체 로드에 당접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설부는 각 설부에 대해 1 뉴턴(Newton) 초과의 힘으로 도체 로드의 원주면에 대해 로딩되고 및/또는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스프링이다.
대체 실시형태에서, 설부의 제2 단부는 또한 제2 베이스 링에 의해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설부는 만곡된 방식으로 구부러져서, 설부의 중간 부분이 도체 로드와 스프링 로딩 접촉하고, 수용 부재의 최소 내경이 2개의 베이스 링 사이의 중간 정도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경우, 회로 기판은 개구부를 포함하고, 수용 부재는 개구부에 배치되며, 도체 로드는 개구부를 통해 돌출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설부는 회로 기판의 제1 측면 상에서 도체 로드를 보유하고, 수용 부재는 반대 측면 상에서 회로 기판에 고정된다. 전체적으로, 이들 특징은 어셈블리의 높이를 감소하게 할 수 있다.
산화에 덜 민감한 최적화된 전기 접촉를 제공하기 위해서, 적어도 설부, 또는 도체 로드, 가장 바람직하게는 설부 및 도체 로드 둘 다는 적어도 은으로 이루어진 표면을 갖는다. 은은 당 기술분야에 기지의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도체 로드 및/또는 수용 부재 상에 코팅될 수 있다.
전력 손실 및/또는 국소 가열을 최소로 억제하기 위해, 적어도 수용 부재의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구리계 합금, 보다 바람직하게는 IACS(International Annealed Copper Standard)의 적어도 70%의 전도율을 갖는 구리계 합금으로부터 제조된다.
장시간의 작동 시간 후에도 긴 수명과 안전한 기계 및 전기 접촉에 대하여, 합금은 열 응력 완화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80% 초과, 특히 85% 초과의 잔류 응력이 9.0의 라슨 밀러 파라미터(Larson-Miller-parameter)로 달성된다. 라슨 밀러 파라미터는 P = (20 + log(t))* T+273)*0.001로서 정의되고; t는 시(hour) 단위의 시간이고, T는 ℃ 단위의 온도이다. 예를 들어, P = 9는 118℃에서 1000 h의 완화 시간(동작 시간)과 상당한하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전기 디바이스는 특히 연소 기관용 차저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이다. 이러한 용도는 열 및 진동 안정성에 대한 높은 요구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장치를 포함하는 연소 기관용 차저에 의해 달성되며, 여기서 전기 모터는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 어셈블리에 의해 전원에 접속된다. 차저는 특히 터보차저일 수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특히 자동차 및 다른 차량의 연소 기관용 전기구동 터보차저의 적용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컨택트 어셈블리는 동력 전달뿐만 아니라 열 및 기계적 노출의 관점에서 이 적용을 위해 특별히 최적화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은 이하게 기재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뿐만 아니라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이하에서 기술되며, 첨부된 도면에 의해 더 설명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컨택트 어셈블리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어셈블리의 수용 부재의 공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수용 부재를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에서와 같은 종래 기술의 장치는 중실의 정사각형 블록(2')의 개구 내에 고정식으로 수용되는 도체 로드(1')를 나타내고, 복수의 각부(2a')가 블록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각부(2a')는 회로 기판(미도시)에 프레스핏되도록 설계되어, 프레스핏에 의해 기계적 및 전기적 접촉을 제공한다.
도 2는 도체 로드(1), 수용 부재(2) 및 회로 기판(3)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컨택트 어셈블리를 나타내고 있다.
도체 로드(1)는 각주 형상, 본 경우에는 중실의 실린더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를 갖는다. 도체 로드, 또는 적어도 그 단부는 길이 방향(L)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도체 로드(1)의 단면은 중실의 원이다. 일례에서, 도체 로드의 직경은 6 mm이고, 따라서 전기 전도성 단면의 크기는 약 28 mm2이다.
수용 부재(2)는 도체 로드(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베이스 링(4)을 포함하는 튤립(tulip) 또는 바스킷(도 3 및 도 4 참조)의 형태를 갖는다.
복수의 모두 8개의 설부(5)가 베이스 링(4)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설부(5)는 베이스 링의 직경 때문에 베이스 링(4)으로부터 제1 단부(6)을 기점으로 하고, 제1 단부(6)는 도체 로드(1)까지 반경 방향의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설부(5)의 크랭크상의 제2 단부(7)가 도체 로드(1)의 측벽에 당접하도록, 설부(5)는 수용 부재(2)의 중심 축에 대해 경사지게 구부러진다. 중심 축(L)에 대한 경사진 구부림 때문에, 설부(5)는 도체 로드(1)와 당접하면서 기계적으로 프리로딩된다. 각각의 설부(5)는 적어도 1 뉴턴, 예를 들어 약 2 뉴턴의 탄성력으로 도체 로드(1)를 가압한다.
설부(5)에 의해 보유되고 있는 동안, 도체 로드(1)는 적어도 거의 공차 간격으로 그의 길이 방향(L)으로 여전히 이동될 수 있다.
베이스 링(4)의 다른 반대 측면 상에는, 복수의 접촉 탭(8)이 돌출하여 90°의 각도로 구부려져서, 접촉 탭(8)의 납땜면이 회로 기판의 도전로와 당접된다. 접촉 탭(8)은 수용 부재(2)를 표면 실장 디바이스(SMD)로서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표면 실장 방식으로 도전로에 납땜된다.
수용 부재(2)의 조립 공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보조 탭(9)이 베이스 링으로부터 돌출하고 회로 기판(3) 내의 대응하는 리세스와 상호 작용하여, 납땜의 단계가 완료되기 전에 미리 조립된 수용 부재(2)의 규정된 위치 및 배향을 제공한다.
수용 부재(2)는 일체품 아이템으로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그것은 단일의 판금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여기서 판금의 재료는 0.4 mm의 두께를 가지며, 0.5% Cr, 0.2% Ag, 0.06% Ti 및 0.03% Si의 작은 첨가량을 갖는 구리계 합금인 것으로 선택된다. 이 합금은 IACS의 79%의 전도율을 갖는다. 그의 열 완화는 최적화되며, 9.0의 라슨 밀러 파라미터의 경우에 약 90%의 잔류 응력을 나타낸다. 수용 부재(2)가 중심 축(L) 주위에 판금 부품으로부터 구부러질 때, 베이스 링(4)은 폐쇄되지 않고 갭(4a)이 남는다(도 3 참조).
전기 접촉을 향상시키고 산화에 대해 더 양호한 보호를 얻기 위해서, 수용 부재(2) 및 도체 로드(1)는 은으로 표면 코팅될 수 있다.
수용 부재(2)는, 회로 기판(3)의 개구(10)에 배치되도록 회로 기판(3)에 장착된다. 베이스 링(4)은, 설부(5)가 회로 기판의 일 측면 상에 돌출하고 접촉 탭(8)이 회로 기판의 반대 측면에 납땜되는 개구부(10) 내에 주로 위치된다. 이 배치에 의해, 컨택트 어셈블리의 전체 높이가 감소된다. 도체 로드(1)는 회로 기판(3)의 개구(10)를 통해 돌출하고, 회로 기판(3)의 측면 상의 도체 로드(1)의 단부는 설부(5)의 제2 단부(7)에 근접한다.
도체 로드의 대향 단부는 도체 로드(1)에 의해 급전되는 전기 디바이스(미도시)와 접속된다. 도체 로드(1)의 길이 방향(L)은 회로 기판(3)의 평면에 적어도 거의 수직으로 배치된다.
본 경우에, 전기 디바이스는 연소 기관의 전동 터보차저의 모터이다. 회로 기판(3)으로부터 수용 부재(2)를 통해 그리고 도체 로드(1)를 통해 전기 모터에 전달되는 전류는 전형적인 영구 동작 모드에서의 48 V에서 약 100 A이다. 따라서, 전술한 컨택트 어셈블리에 의해 거의 5 kW의 전력이 전달된다.
1'도체 로드(종래 기술)
2'정사각형 블록(종래 기술)
2a'정사각형 블록의 각부(종래 기술)
1도체 로드
2수용 부재
3회로 기판
4베이스 링
4a베이스 링(4)의 갭
5설부
6설부의 제1 단부
7설부의 제2 단부
8접촉 탭
9보조 탭
10회로 기판 내의 개구부
L도체 로드의 길이 방향, 수용 부재의 중심 축

Claims (15)

  1. 고전류 인가용 컨택트 어셈블리로서,
    전기 회로 기판(3);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는 비가요성 도체 로드(1)로서, 상기 회로 기판(3)과 전기 디바이스 사이에 30 암페어(Ampere) 초과, 특히 50 암페어 초과의 전류를 전송하는, 상기 비가요성 도체 로드(1); 및
    상기 회로 기판(3)에 고정되는 수용 부재(2);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부재(2)는 상기 도체 로드(1)를 보유하고 상기 도체 로드(1)와 상기 회로 기판(3) 사이에 상기 전류를 전송하며;
    상기 수용 부재(2)는 복수의 탄성 변형 가능한 설부(5)를 포함하고, 상기 설부(5)는 상기 도체 로드(1)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기계적 지지뿐만 아니라 상기 도체 로드(1)와 상기 수용 부재(2) 사이에 전기 접촉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2)는 일체품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2)는, 특히 표면 실장 디바이스(SMD)의 형태로, 납땜에 의해 상기 회로 기판(3)의 도전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어셈블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2)는 판금 부품으로서 형성되고, 특히 상기 판금의 두께는 1 mm 미만, 더욱 특히 0.6 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어셈블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2)는 상기 도체 로드(1)의 길이 방향(L)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구부러진 베이스 링(4), 상기 베이스 링(4)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설부(tongue)(5), 및 특히 상기 베이스 링(4)의 반대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접촉 탭(8)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탭(8)은 상기 회로 기판(3)에 고정식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어셈블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로드(1)는 특히 원형의 기본적으로 일정한 단면을 가지며, 상기 단면은 8 mm2 초과, 특히 18 mm2 초과의 전기 전도성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어셈블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로드(1)는, 탄성적으로 로딩된 설부(5)에 의해 보유되고 접촉되면서 공차의 간격 주위에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어셈블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적으로 로딩된 설부(5)의 각각은 상기 도체 로드(1)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제1 단부(6), 및 상기 도체 로드(1)와 당접하는 제2 단부(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어셈블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3)은 개구부(10)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부재(2)는 상기 개구부(10)에 배치되며, 상기 도체 로드(1)는 상기 개구부(10)를 통해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부(5)는 상기 회로 기판(3)의 제1 측면 상에서 상기 도체 로드(1)를 보유하고, 상기 수용 부재(2)는 반대 측면 상에서 상기 회로(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어셈블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설부(5), 또는 상기 도체 로드(1), 특히 상기 설부(5) 및 상기 도체 로드(1) 둘 다는 적어도 은으로 이루어진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어셈블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수용 부재(2)의 코어는 구리계 합금, 특히 IACS(International Annealed Copper Standard)의 적어도 70%의 전도율을 갖는 구리계 합금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열 응력 완화를 위해 최적화되고, 80% 초과, 특히 85% 초과의 잔류 응력이 9.0의 라슨 밀러 파라미터(Larson-Miller-parameter)로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어셈블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디바이스는 특히 연소 기관용 차저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트 어셈블리.
  15. 연소 기관용 차저로서,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모터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컨택트 어셈블리에 의해 전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기관용 차저.
KR1020190021465A 2018-02-23 2019-02-22 고전류 인가용 컨택트 어셈블리 KR102660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58374 2018-02-23
EP18158374.1 2018-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911A true KR20190101911A (ko) 2019-09-02
KR102660358B1 KR102660358B1 (ko) 2024-04-26

Family

ID=6138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465A KR102660358B1 (ko) 2018-02-23 2019-02-22 고전류 인가용 컨택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07599B2 (ko)
EP (1) EP3531510B1 (ko)
JP (1) JP2019145504A (ko)
KR (1) KR102660358B1 (ko)
CN (2) CN1101904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1510B1 (en) * 2018-02-23 2023-01-04 Borgwarner Inc. Contact assembly for high-current applications
DE102019131791B8 (de) * 2019-11-25 2022-12-15 Hanon Systems Anordnungen zum Verbinden elektrischer Anschlüsse für eine 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Verdichters sowie Verfahren zum Montieren der Anordnungen und 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Verdichters sowie Verwendung der Vorrichtung
JP2022019423A (ja) 2020-07-17 2022-01-2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ンタク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8389A (ja) * 1985-12-30 1987-07-14 藤好 克聡 プリント基板
JPH10261446A (ja) * 1996-11-05 1998-09-29 Vlt Corp コネクタ
JP3104494U (ja) * 2004-04-07 2004-09-16 株式会社マックエイト プリント基板用ソケット
JP2012214882A (ja) * 2011-03-29 2012-11-08 Kobe Steel Ltd 電気電子部品用銅合金材、めっき付き電気電子部品用銅合金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1387A (en) * 1978-06-21 1980-01-01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Interconnect sockets and assemblies
US4842552A (en) * 1988-03-04 1989-06-27 Amp Incorporated Tolerance forgiving boardlock
JPH06117347A (ja) * 1992-10-06 1994-04-26 Nippondenso Co Ltd 内燃機関の点火装置
US5362244A (en) * 1993-08-19 1994-11-08 The Whitaker Corporation Socket having resilient locking tabs
JP3104494B2 (ja) * 1993-10-22 2000-10-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ーク溶接ロボットの制御装置
JP4329967B2 (ja) * 2000-04-28 2009-09-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基板に設けられるピングリッドアレイ用icリードピンに適した銅合金線材
US6700464B2 (en) 2002-02-21 2004-03-02 Intel Corporation Low cost high speed board-to-board coaxial connector design with co-planar waveguide for PCB launch
EP2184371B1 (en) * 2007-08-07 2016-11-30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Copper alloy sheet
DE102008058204A1 (de) * 2008-11-12 2010-05-20 Würth Elektronik Ics Gmbh & Co. Kg Steckbuchse
US8480412B2 (en) * 2011-06-21 2013-07-09 Lear Corporation Terminal and connector assembly
DE102013102238A1 (de) * 2013-03-06 2014-09-11 Walter Söhner GmbH & Co. KG Klippkontaktelement für eine Leiterplatt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6172255B2 (ja) * 2015-12-22 2017-08-02 第一精工株式会社 プレスフィット端子
EP3531510B1 (en) * 2018-02-23 2023-01-04 Borgwarner Inc. Contact assembly for high-current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8389A (ja) * 1985-12-30 1987-07-14 藤好 克聡 プリント基板
JPH10261446A (ja) * 1996-11-05 1998-09-29 Vlt Corp コネクタ
JP3104494U (ja) * 2004-04-07 2004-09-16 株式会社マックエイト プリント基板用ソケット
JP2012214882A (ja) * 2011-03-29 2012-11-08 Kobe Steel Ltd 電気電子部品用銅合金材、めっき付き電気電子部品用銅合金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0358B1 (ko) 2024-04-26
CN110190426A (zh) 2019-08-30
EP3531510B1 (en) 2023-01-04
JP2019145504A (ja) 2019-08-29
CN110190426B (zh) 2022-11-18
CN209658445U (zh) 2019-11-19
US20190267731A1 (en) 2019-08-29
US10707599B2 (en) 2020-07-07
EP3531510A1 (en)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0358B1 (ko) 고전류 인가용 컨택트 어셈블리
KR102568447B1 (ko)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그리고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의 제조 방법
US20180358721A1 (en) Electrical High-Current Conn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 High-Current Connector
US11081927B2 (en) Busbar assembly for an electric motor
JP4956670B2 (ja) 電気的な差し込みコネクタ
US20130143450A1 (en) Electrical Connection Bus
EP0105766A1 (en) Socket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EP3185364A1 (en) Press-fit terminal
US11251552B2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connecting element
CN111106495B (zh) 连接组装件、母接头以及连接方法
CN113574742A (zh) 单体插座触头
KR20150090089A (ko) 코일 접촉용 전기 접점 장치
CN110380239B (zh) 电磁压接端子、电磁压接端子的制造方法和连接端子
CN110890176A (zh) 同轴电缆及其端部连接方法
EP0675568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connection, both mechanical and electrical, of a terminal
US20230083957A1 (en) Spring connector,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nector
EP3565065A1 (en) Multipath electric power connection assembly
FR3078591B1 (fr) Prise de charge et procede de montage d'une telle prise sur un cable electrique
CN103891048A (zh) 端子压接电线
US7352583B2 (en) Flexible lead for a pressfit diode bridge
US20230344175A1 (en) Grounding device, grounding unit, contact insert and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tact insert
EP3312936B1 (en) Power terminal with crimping wings and a weld area
CN105840391A (zh) 电晕点火装置
JP2004079222A (ja) 摺接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