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8447B1 -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그리고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그리고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8447B1
KR102568447B1 KR1020207027927A KR20207027927A KR102568447B1 KR 102568447 B1 KR102568447 B1 KR 102568447B1 KR 1020207027927 A KR1020207027927 A KR 1020207027927A KR 20207027927 A KR20207027927 A KR 20207027927A KR 102568447 B1 KR102568447 B1 KR 102568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ring
opening
wall por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7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3475A (ko
Inventor
토르스텐 크레이머
뷰 람 응우옌
울프강 페이드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123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6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metal grounding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100)은, 플러그인 커넥터(1)와; 플러그인 커넥터(1)가 그 상에 장착되는 하우징(20)을; 포함하며, 하우징(20)은 제 1 내부 벽부(22)를 구비한 개구부(21)를 포함하며, 플러그인 커넥터(1)는,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개구부(21) 안쪽으로 돌출되는 차폐판(40)을 포함하며, 링(30)은 개구부(21) 내에 배치되고, 개구부(21)의 제 1 내부 벽부(22)는 외부 벽부(31)와 전기 접촉하며, 차폐판(40)은 차폐판(40)의 추가 외부 벽부(41)로 링(30)의 제 2 내부 벽부(32)와 전기 접촉한다.

Description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그리고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그리고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자동차 적용 분야를 위한 종래 기술로부터는, 전기 플러그인 커넥터들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유형의 플러그인 커넥터는 예컨대 차폐된 유형 및 방식으로 하우징 상에 조립될 수 있으며, 하우징의 내부에는 플러그인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컴포넌트들이 배치된다. 상기 유형의 컴포넌트들은, 전자 또는 전기 부품들(ASIC들, 저항기들, 커패시터들, 코일들 등); 또는 전기 연결부를 통해 높은 데이터 스트림(예컨대 100Mbit/s 이상)을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들; 또는 고전류 단자들, 예컨대 전기로 작동되는 자동차의 인버터의 접점들;이 그 상에 배치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제어 장치 컴포넌트들일 수 있으며, 상기 고전류 단자들을 통해서는 예컨대 10A 이상, 또는 50A 이상의 전류가 흐를 수 있고, 12V 이상, 또는 45V 이상, 또는 100V 이상의 전압이 달성된다. 플러그인 커넥터와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조합물은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 및 플러그인 커넥터의 바깥쪽 주변에 하우징의 내부에서 기인하는 전자기 복사선이 최대한 존재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에서도 바깥쪽 주변에서 기인하는 전자기 복사선이 하우징의 내부로 최대한 조사되지 않도록 하는 점도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의 플러그인 커넥터가 상보적인 상대 플러그인 커넥터(mating plug-in connector)와 서로 끼워진다면, 하우징, 플러그인 커넥터 및 상대 플러그인 커넥터로 이루어진 상기 어셈블리는 플러그인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의 하우징이 유리하고 열전도성 및 차폐성이 우수한 재료, 예컨대 금속,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는 지식에서 출발한다. 이 경우, 대응하는 방식으로 연속적인 차폐부를 달성하기 위해, 예컨대 전기 전도성인 하우징과 차폐 요소, 예컨대 플러그인 커넥터의 차폐판(shielding plate)을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높은 차폐 전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에서부터 차폐 요소까지 최대한 낮은 전기 전이 저항(transition resistance)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은 자신의 표면 상에 일반적으로 전기 전도성이 매우 우수한 알루미늄 산화물을 형성할 수 없다. 그러므로 플러그인 커넥터의 상기 유형의 차폐 요소를 위해 구리를 이용하거나, 또는 주로 구리를 함유하는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예시의 재료 쌍 형성의 경우, 하기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으로, 전도성이 우수하지 않은 하우징의 알루미늄 산화물층은 증가된 전이 저항을 야기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알루미늄과 구리의 상이한 전기 화학적 표준 전극 전이로 인해, 예컨대 이미 공기 중 습도가 극미한 조건에서도 하우징과 차폐 요소의 경계면 상에 이른바 접촉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접촉 부식은 국소적으로 전이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밖에도, 예컨대 알루미늄과 같은 연질 재료 상에 작용하는 압력이 높은 경우, 연질 재료는 서서히 변형될 수 있다. 이런 두 결과(접촉력 또는 점 하중이 너무 강한 경우 발생하는 접촉 부식 및 느린 변형)는, 시간이 흐르면서 전이 접촉면 중에 낮은 전이 저항이 존재하는 부분이 감소되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이 저항은 의도하지 않게 상승할 수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7530845호(2009.05.12)
그러므로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고 비용 효과적인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의 계획된 유효수명에 걸쳐서 플러그인 커넥터의 차폐 요소 상에서 하우징의 차폐가 신뢰성 있게 유지되며 플러그인 커넥터의 차폐 요소와 하우징 간의 전이 저항이 유효수명에 걸쳐서 최대한 낮게 유지되는 것인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해야 하는 수요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런 수요는 특히 개별 코어 차폐부(individual core shielding)의 경우에 존재할 수 있다.
발명의 장점.
상기 수요는 독립 청구항들에 따른 본 발명의 대상을 통해 충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라서,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이 제안된다.
본원의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은
-- 플러그인 커넥터와;
-- 플러그인 커넥터가 그 상에 조립되거나 장착되거나 고정되거나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제 1 내부 벽부를 구비한 개구부를 포함하며, 플러그인 커넥터는,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개구부 안쪽으로 돌출되는 차폐판을 포함한다. 링은 개구부 내에 배치되어 외부 벽부로 개구부의 제 1 내부 벽부와 전기 접촉하며, 차폐판은 차폐판의 추가 외부 벽부로 링의 제 2 내부 벽부와 전기 접촉한다.
달리 말하면, 축 방향이 개구부의 중심축을 통해 정의된다면, 반경 방향의 바깥쪽에서부터 고려할 때 요소들의 하기 순서가 달성된다. 요컨대, 맨 처음 개구부의 내부 벽부; 그에 안쪽으로 뒤이어 외부 벽부 및 제 2 내부 벽부를 포함한 링; 그에 뒤이어 가장 안쪽 요소로서 차폐판의 추가 외부 벽부로 링의 내부 벽부와 접촉하는 차폐판의 제 1 섹션;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3개의 요소(개구부 내부 벽부, 링, 차폐판)는 예컨대 상호 간에 직접적으로 인접하는 방식으로, 예컨대 유격 없이 배치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틈새 없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바람직하게는 매우 큰 접촉면, 및 그에 따른 매우 낮은 전이 저항이 달성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바람직하게는, 매우 간단한 조립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그렇게 하여, 매우 큰 접촉면 및 그에 따른 매우 낮은 전이 저항이 달성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상대적으로 작고 간단하게 제조될 부품으로서의 링이 자신의 치수들과 관련하여 훨씬 더 비용 효과적이면서 더 간단하게 고정밀로 제조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우징 내의 개구부는, 상대적으로 대략적으로, 다시 말해 예컨대 개구부 지름의 상대적인 큰 공차로 제조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예컨대 제 1 내부 벽부 상에서는, 예컨대 직접적으로 사출성형 공정에서, 또는 용융 주조 공정에서, 또는 다이 캐스팅 공정(예: 알루 다이 캐스팅)에서 기인하는 큰 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개구부 내에 링을 배치하는 것을 통해, 한편으로 개구부의 제 1 벽부에 대해 적합하고 큰 접촉면이 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그와 동시에 링의 보다 더 정확한 공차 허용도를 통해 차폐판이 항상 확실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링의 제 2 내부 벽부와 접촉하는 점이 보장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링 또는 링의 재료는, 하우징에 대한 자신의 접촉면뿐만 아니라 차폐판에 대한 자신의 접촉면에서도 접촉 부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러그인 커넥터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컴포넌트들에 대해 바깥쪽으로 향하는 일종의 전기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플러그인 커넥터는 예컨대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및/또는 접점 핀(contact pin) 내지 접점 블레이드(contact blade)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인 커넥터는 우선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된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조 공정의 과정에서 비로소 하우징 상에 조립될 수 있으며, 예컨대 부착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그에 뒤이어, 플러그인 커넥터는 예컨대 나사 또는 리벳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접착될 수 있다.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은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열가소성 플라스틱, 예컨대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기타 플라스틱들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차폐판은 왕관(crown)의 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차폐판은 베이스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베이스 요소로부터 복수 개의 아암(arm)이 상대 플러그인 커넥터의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플러그인 커넥터 내로, 또는 플러그인 커넥터 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삽입 방향은 예컨대 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 요소는 환형으로 폐쇄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요소는, 하우징의 개구부 안쪽으로 돌출되는, 차폐판의 제 1 섹션을 형성할 수 있다. 링의 내부 벽부와 전기 접촉하는 차폐판의 추가 외부 벽부는 베이스 요소에 속할 수 있다. 추가 외부 벽부 상에는, 보다 더 적합하고 보다 더 내구성이 강하고 보다 더 신뢰성이 있는 접촉을 위해, 예컨대 스탬핑(stamping)을 통해 접촉점들이 형성될 수 있다. 차폐판은 예컨대 하우징 상에 플러그인 커넥터를 조립할 때 압입 끼워 맞춤을 통해, 또는 강제 끼워 맞춤 또는 마찰 결합 방식으로 링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압입될 수 있다.
자명한 사실로서, 하우징은 복수 개, 즉 적어도 2개의 개구부 역시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개구부 내에는 예컨대 각각 하나의 링이 배치되며, 그리고 플러그인 커넥터는 그에 대응하여 상응하는 개수(또는 그보다 더 적은 개수)의 차폐판을 포함하며, 이들 차폐판은 적어도 제 1 섹션으로 일부 섹션에서 개구부들 중 각각 하나의 개구부 안쪽으로 돌출된다.
링이 개구부 내에 강제 끼워 맞춤 또는 마찰 결합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통해, 또는 링이 개구부 내로 압입되는 것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큰 접촉면으로 유효수명에 걸쳐 링과 하우징 간의 매우 신뢰성이 있는 접촉이 보장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유형의 고정 방식을 통해, 경우에 따라 존재하는 비전도성 표면, 예컨대 산화물층들 또는 오물, 오일, 그리스 등이 관통되고 이렇게 링과 하우징 간의 전이 저항은 감소되는 점도 보장된다. 마지막으로, 그렇게 하여, 개구부의 제 1 내부 벽부와 링 간의 접촉 위치 내로 유체 매체들, 예컨대 공기 내지 산소의 유입 역시도 어려워지거나 방지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전기 연결부는 지속적으로 낮은 저항을 나타내게 된다.
링의 외부 벽부의 제 1 평균 거칠기가 1.0㎛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0.5㎛ 미만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35㎛ 미만이며,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미만이거나, 또는 이를 갖는 것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개구부의 제 1 내부 표면과 링 사이에 매우 큰 접촉면 및 그에 따른 매우 낮은 전이 저항이 형성되는 점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유형으로 제공되는, 링의 외부 벽부의 매끄러운 표면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개구부의 경우에 따라 거친(보다 더 거친) 제 1 표면은 예컨대 10㎛ 이상의 평균 거칠기로 링의 제 1 외부 벽부를 통해 마치 깎이거나 연마되고 이런 방식으로 접촉은 특히 우수하고 전이 저항은 특히 낮은 점이 달성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예컨대 개구부의 제 1 내부 벽부에서 반경 방향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큰 평균 거칠기에 기여하는 "첨단들(tip)"이 깎인다면, 그에 따라 모든 표면 오염물 내지 모든 산화물층 역시도 깎이고 전기 전이 저항은 감소되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상기 유형으로 선택되는, 링의 외부 벽부의 작은 거칠기를 통해, 개구부의 제 1 내부 벽부 상에 혹시라도 존재하는 코팅층을 손상시키거나 스크래치를 내는 위험은 최소화된다. 따라서, 링은 예컨대 그 내부에서 제 1 내부 표면이 고급으로(예컨대 귀금속으로) 코팅되어 있고 스크래치가 발생해서는 안 되는 시스템들을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링은 모듈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제조 동안 치수 효과(scale effect)가 형성될 수 있다.
평균 거칠기는 통상 기호 R a 로 지칭된다.
링의 제 2 내부 벽부의 제 2 평균 거칠기가 1.0㎛ 미만, 또는 0.5㎛ 미만, 또는 0.35㎛ 미만, 또는 0.3㎛미만이거나, 또는 이를 갖는 것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차폐판의 가능한 코팅층을 손상시키거나 파괴하거나 스크래치를 내는 위험은 감소되는 점이 달성된다. 또한, 이렇게, 링의 제 2 내부 벽부와 차폐판 사이의 최대한 크고 매끄러운 접촉면 및 그에 따른 낮은 전기 전이 저항이 달성된다.
차폐판의 추가 외부 벽부의 제 3 평균 거칠기가 1.0㎛ 미만, 또는 0.5㎛ 미만, 또는 0.35㎛ 미만, 또는 0.3㎛ 미만이거나, 또는 이를 갖는 것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링의 제 2 내부 벽부를 손상시키거나 파괴하거나 스크래치를 내는 위험은 감소되는 점이 달성된다. 또한, 이렇게, 링의 제 2 내부 벽부와 차폐판 사이의 최대한 크고 매끄러운 접촉면 및 그에 따른 낮은 전기 전이 저항이 달성된다.
차폐판의 추가 외부 벽부가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통해, 바람직하게 차폐판의 전기 전이 저항은 지속적으로 낮게 유지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차폐판은 예컨대 공기 중 노출로 인한 부식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삽입력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코팅층에 따라서- 표면은, 코팅되지 않은 차폐판의 표면에 비해 경화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코팅층은 예컨대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게, 최외부 층과 차폐판 재료(및/또는 링 재료) 사이에, 예컨대 접착 촉진제로서 이용될 수 있는 재료의 하나의 층 또는 복수의 층이 적층됨으로써, 차폐판(및/또는 링) 상에서 최외부 층의 매우 우수한 접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런 방식으로, 차폐판 재료와 최외부 층 내지 링 사이에서, 그리고 그런 다음 하우징 쪽으로 갈수록 표준 전극 전위에서의 차이는 점차로 소멸될 수 있으며, 이는 접촉 부식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예컨대 코팅층은, 은, 금, 백금, 팔라듐, 니켈, 주석을 포함한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하며, 예컨대 대부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코팅층은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고려할 때 우선 (바로 차폐판 내지 링 상에) 니켈을 포함하고, 그 다음 (바깥쪽으로 향하는 방식으로) 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니켈 상에 은이 적층된다.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로, 기본적으로, 링의 내부 표면 및/또는 외부 표면도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적합한 코팅층 순서에 의해서도, 링 재료와 외부 및/또는 내부 접촉 상대 부재들 사이의 표준 전극 전위의 차이는 소멸될 수 있다.
개구부의 제 1 내부 벽부가 알루미늄을 포함하거나, 또는 대부분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을 통해, 매우 간단하고 비용 효과적인 제조가 가능해지며, 그리고 개구부의 영역에서는 매우 우수한 차폐가 보장된다.
예컨대 하우징의 대부분은 알루미늄으로, 또는 알루미늄을 함유한 합금들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대부분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의 제 1 내부 벽부가 링의 조립 전에 10㎛ 이상이거나, 또는 10㎛와 50㎛ 사이이거나, 또는 15㎛와 30㎛ 사이인 제 4 평균 거칠기를 갖는 것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추가 가공 없이 제조 직후에, 예컨대 하우징의 사출 성형 또는 용융 주조 또는 다이 캐스팅 직후에 이용될 수 있는 점이 달성된다. 이렇게, 그런 다음 재가공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은 매우 비용 효과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개구부 내 링의 배치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제 1 내부 벽부의 표면 상에서 혹시라도 존재하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지 않은 층은 매우 적합하게, 또는 매우 많은 위치에서 긁어내어 지거나 깎일 수 있다. 그런 다음, 개구부 내에 링의 배치(또는 압입) 후에, 전기 절연 층들(예: 산화물 또는 오물)을 포함하지 않는 큰 접촉면이 존재하게 된다. 큰 거칠기를 통해, 상기 깎는 공정에 대한 확률은 적어도 일부 위치에서 강하게 증가된다. 이와 동시에, 그렇게 하여 링은 자신의 외부 벽부 상에 큰 거칠기를 보유하지 않아도 되며, 그리고 매끄러운 제 1 내부 표면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내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링은 예컨대, 그 내부에서 제 1 내부 표면이 고급으로(예컨대 귀금속으로) 코팅되어 있고 스크래치가 발생해서는 안 되는 시스템들을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하우징의 개구부 안쪽으로 돌출되는, 차폐판의 섹션은 구리를 포함하거나, 또는 대부분 구리를 포함하는 것을 통해, 플러그인 커넥터 및 차폐판 각각의 매우 간단하면서도 비용 효과적인 제조가 가능해진다. 그 외에도, 구리(또는 구리의 합금)는 매우 우수한 전기 전도성을 보유하고 그에 따라 매우 낮은 전기 저항을 갖는다. 또한, 구리는 매우 우수한 열 전도성을 보유한다. 따라서, 높은 차폐 전류 역시도 문제없이 방전될 수 있고, 이때 차폐부의 강한 가열도 발생하지 않는다.
링이, 하우징의 개구부의 제 1 내부 벽부의 표준 전극 전위와 특히 코팅층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개구부 안쪽으로 돌출된 차폐판의 섹션의 표준 전극 전위 사이인 표준 전극 전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접촉 부식의 위험은 감소된다. 달리 말하면, 그렇게, 시간이 흐르면서 하우징 내지 개구부의 제 1 내부 벽부와 차폐판 사이에서 전이 저항이 상승하는 위험은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알루미늄(하우징)과 구리(차폐판)의 재료 쌍 형성의 경우, 링의 중간 개재를 통해 차폐부의 내구성은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다.
링이 강재 또는 특수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통해, 또는 링이 대부분 강재 또는 특수강을 포함하는 것을 통해, 특히 비용 효과적인 제조가 가능해진다. 특수강 내지 강재는 예컨대 알루미늄과 구리 사이, 또는 알루미늄과 은 사이인 표준 전극 전위를 갖는다. 이와 동시에, 특수강 내지 강재는 스테인리스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공기 중 습도가 보다 더 높을 때에도 링의 부식은 그 자체로서 저지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강재 내지 특수강은 상대적으로 경질 재료이며, 그럼으로써 상기 유형으로 제조된 링은 문제없이 견고하게, 예컨대 압입 공정을 통해 개구부 내로 삽입되게 된다. 이 경우, 하우징의 개구부는 예컨대 자신의 내경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공차로 허용될 수 있다. -링의 경질 재료를 통해, 상기 링은 예컨대 개구부의 (제조 공차 대역에서) 최대 제 1 내경과 같거나 그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하우징이 링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질 재료를 포함한다면, 링은 항상 확실하면서도 견고하게, 예컨대 압입 공정을 통해 개구부 내에 배치되거나, 조립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서,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된다. 본원의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 제 1 내부 벽부를 구비한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
-- 외부 벽부 및 제 2 내부 벽부를 포함하는 링을 제공하는 단계;
-- 링이 자신의 외부 벽부로 개구부의 제 1 내부 벽부와 전기 접촉하는 방식으로 개구부 내에 링을 배치하는 단계;
-- 차폐판이 추가 외부 벽부를 포함하는 조건에서 차폐판을 포함한 플러그인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
-- 차폐판이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개구부 안쪽으로 돌출되면서 추가 외부 벽부로는 링의 제 2 내부 벽부와 전기 접촉하는 방식으로, 하우징 상에 또는 내에, 또는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그 내에 플러그인 커넥터를 배치하는 단계.
그렇게 하여, 바람직하게는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의 매우 간단한 제조가 가능해지고, 매우 낮은 전기 전이 저항이 달성되며, 접촉 부식을 예방하는 가능성이 제공된다.
링이 개구부 내로 압입되는 것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개구부 내에서 링의 매우 내구성이 있는 안착이 달성된다. 그 밖에도, 링과 개구부의 제 1 내부 표면 사이에 매우 큰 접촉면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의 실시형태들의 하기 구체적인 내용 설명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분명해지지만, 그러나 상기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서로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플러그인 커넥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플러그인 커넥터 어셈블리의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의 하우징을 도시한 상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에서의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을 절단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서의 일부분을 도시한 확대 상세도이다.
도 5는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도 1에서의 플러그인 커넥터 어셈블리를 절단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에는, 예시로서 플러그인 커넥터 어셈블리(200)가 서로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부분 단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인 커넥터 어셈블리(200)는,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100)과, 삽입 방향(E)을 따라서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100)의 플러그인 커넥터(1) 상에 또는 내로 장착되거나 삽입될 수 있는 상대 플러그인 커넥터(60)로 형성된다.
여기서는, 플러그인 커넥터(1) 중에서, 외부 벽부(3)를 포함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만이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으로부터는, 여기서 삽입 방향(E)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 방향(A)에 대해 횡방향인 반경 방향(R)으로, 상호 간에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2개의 볼트(4)가 돌출되어 있다. 축 방향(A)은 원주방향(U)에 의해 에워싸인다.
상대 플러그인 커넥터(60)는, 레버(62)가 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상대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61)을 포함한다. 레버(62)는 자신의 샤프트의 영역에서 양쪽 측면에 각각 하나의 슬롯 링크(63)(slotted link)를 포함하며, 이 슬롯 링크 내에는 삽입 방향(E)을 따라서 플러그인 커넥터(1)와 상대 플러그인 커넥터(60)를 서로 끼울 때 플러그인 커넥터(1)의 각각 하나의 볼트(4)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레버(62)의 회전을 통해, 회전 이동은 삽입 방향(E)을 따르는 삽입 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서로 끼우기 위해 조립자가 인가해야 하는 힘은 감소될 수 있다.
상대 플러그인 커넥터(60)로부터는, 삽입 방향(E)과 반대 방향으로, 2개의 전기 라인(70)이 돌출된다. 상대 플러그인 커넥터(60)의 내부에는 각자의 라인(70)을 위해, 여기서는 볼 수 없는, 라인(70)의 내부 도전체(71)가 여기서는 볼 수 없는 접촉 요소(78)(contacting element)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접촉 요소(78)는, 여기서는 볼 수 없는 플러그인 커넥터(1)의 상응하는 접점 요소(5)와 접촉하도록 적합하게 형성된다(예컨대 도 5 참조).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100)은 하기 특징들을 포함한다.
-- 여기서는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을 포함한 이미 언급한 플러그인 커넥터(1); 및
-- 플러그인 커넥터(1)가 그 상에 조립되는, 예컨대 삽입되고 그런 다음 나사 결합되거나, 또는 리벳 결합을 통해, 또는 접착 또는 용접 결합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또는 분리되지 않게 고정되는 하우징(20).
하우징(20)은,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100)의 또 다른 컴포넌트들 내지 요소들을 보다 더 잘 도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기서는 예시만 되어 있고 절단되어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20)은 여기서는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실시예에서 각각 하나의 제 1 내부 벽부(22)를 구비한 2개의 개구부(21)를 포함한다. 그러나 하우징(20) 내에는 오직 정확히 하나의 개구부(21)만이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2개보다 많은 개구부(21)가 제공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내부(28)를 포함하고, 이 내부에는 추가 컴포넌트들, 예컨대 인쇄회로기판, 제어 장치, 데이터 처리 모듈, 인버터의 전기 단자들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하우징(20)의 내부(28)는 하우징의 바깥쪽 주변(29)에 대해 전기적으로 차폐되어 있다. 하우징(20)의 내부(28) 안쪽으로는 2개의 접점 핀(5)(도 3 ~ 5 참조)의 제 1 말단 단부들(5a)(distal end) 역시도 돌출되며, 이 제 1 말단 단부들은 두 개구부(21) 중 각각 하나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제 2 말단 단부(5b)(도 4 및 도 5 참조) 상에서 전기 라인들(7) 중 각자와 전기 연결되거나 접촉될 수 있다. 접점 핀들(5)은 하우징(20)의 내부(28)에서 예컨대 데이터 라인들 또는 고전류 애플리케이션들 등을 위한 전기 단자들과 연결될 수 있다. 접점 핀들은, 최소한 1A, 또는 최소한 10A, 최소한 50A의 전류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컨대 최소한 1㎟, 또는 최소한 10㎟, 또는 최소한 20㎟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플러그인 커넥터(1)는 본 도면에서는 볼 수 없는 차폐판(40) 포함하며, 이 차폐판은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개구부(21) 안쪽으로 돌출된다(도 3 ~ 5 참조). 개구부(21) 내에는, 링(30)의 외부 벽부(31)로 개구부(21)의 제 1 내부 벽부(22)와 전기 접촉하는 링(30)이 배치된다. 여기서는 볼 수 없는 차폐판(40)은 차폐판(40)의 추가 외부 벽부(41)로 링(30)의 제 2 내부 벽부(32)와 전기 접촉한다. 그렇게 하여, 하우징(20)에서부터 차폐판(40)까지 연속적인 차폐부가 보장된다. 이런 차폐부는, 상대 플러그인 커넥터 차폐판(90)(도 5 참조)과 차폐판 자신의 전기적 연결부를 통해, 그리고 그곳에서부터 라인(70)의 차폐 도전체(73) 상으로 틈새 없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예컨대 개별 코어 차폐부 내지 개별 라인 차폐부가 존재하지만, 공통 차폐부(collective shield)는 존재하지 않는다. 접점 핀들(5)은 각각 하나의 차폐판(40)을 통해 개별적으로 차폐된다.
링(30)은 여기서 예시로서 압입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링은 예컨대 강제 끼워 맞춤 내지 마찰 결합 방식으로 개구부(21) 내에 배치되어 압축될 수 있고, 그렇게 하여 개구부(21)의 제 1 내부 벽부(22)에 대해 큰 접촉면을 가질 수 있으며, 그의 결과로 낮은 전기 전이 저항이 달성된다.
링(3)은 예컨대 강재 또는 특수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 및 개구부(21)의 제 1 내부 벽부(22) 각각은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 쌍 형성의 이용을 통해, 접촉 부식의 위험은 감소된다. 그에 따라, 유효수명에 걸쳐 전기 전이 저항은 낮게 유지된다.
링(30)의 외부 벽부(31)의 제 1 평균 거칠기(RA1)는 1.0㎛ 미만이거나, 바람직하게는 0.5㎛ 미만이거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0.35㎛ 미만이거나,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미만이다. 따라서, 링(30)의 외부 벽부(31)는 매우 매끄럽다.
개구부(21)의 제 1 내부 벽부(22)는 예컨대 링(30)의 조립 전에 10㎛ 이상이거나, 또는 10㎛와 50㎛ 사이이거나, 또는 15㎛와 30㎛ 사이인 제 4 평균 거칠기(RA4)를 갖는다. 예컨대 개구부(21)의 내부 벽부(22)는 하우징의 주조에서 곧바로 형성되며, 다시 말해 가공되지 않는다.
이제 링(30)이 자신의 매끄러운 외부 벽부(31) 및 자신의 경질 재료로 개구부(21) 내로 압입된다면, 링은 개구부(21)의 제 1 내부 벽부(22) 상의 모든 "첨단"을 깎아내거나 깎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예컨대 산화물층들 또는 그리스 또는 오일 또는 오염물들과 같은 모든 비전도성 표면층 역시도 깎아내거나 깎는다. 그렇게 하여, 매우 큰 접촉면이 달성되고, 그에 따라 매우 낮은, 그리고 지속적으로 낮은 전이 저항도 달성된다.
도 2에는, 도 1에서의 플러그인 커넥터 어셈블리(200)의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100)의 하우징(20)이 상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 내에서, 2개의 개구부(21) 둘레에, 그리고 2개의 개구부(21) 사이에는 총 5개의 고정 개구부(25)가 배치되며, 이들 고정 개구부 상에 또는 내에는, 예컨대 나사 결합 또는 리벳 결합을 통해,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이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하우징 벽부(24) 내에 2개의 개구부(21)를 포함한다. 이 경우, 하우징 벽부(24)는 2개의 개구부의 위치에서 각각 완전하게 채널 유형으로 관통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예시로만 원형으로 형성된- 개구부들(21)의 테두리부는 삽입 방향(E) 내지 축 방향(A)을 따라서 고려할 때 2단형(two-stepped)으로 형성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바깥쪽 주변(29)에서부터 고려할 때, 하나의 개구부(21)는 여기서는 우선 제 1 지름(D1)을 갖는다. 그에 뒤이어 개구부(21)의 지름은 극미하게, 예컨대 링(30)의 링 두께(DR)의 절댓값만큼, 제 2 지름(D2)으로 감소된다. 링 두께는 예컨대 100㎛와 3㎜ 사이, 바람직하게는 500㎛와 1.5㎜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21) 내에는 소켓이 형성되고, 이 소켓 상에는, 개구부(21) 내로 삽입되거나 압입된 링(30), 또는 개구부(21) 내에 배치된 링(30)이 안착된다. 이는 개구부(21) 내에서 링(30)의 매우 간단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링(30)이 하우징(20)의 내부(28) 안쪽으로 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링(30)의 외경으로서의 제 3 지름(D3)(여기서는 미도시)은 예컨대 상온에서(특히 약한 압입 조건에서) 개구부(21)의 제 1 지름(D1)과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상온에서 개구부(21)의 제 1 지름(D1)보다 극미하게 더 크며, 예컨대 1㎛ 내지 1000㎛ 더 크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 더 크며,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0㎛ 더 크다. 이런 방식으로, 링(30)은 압입 끼워 맞춤을 통해 개구부(21) 내에서 파지될 수 있다.
상기 도 2에서는, 링(30)의 외부 벽부(31) 및 제 2 내부 벽부(32)뿐만 아니라 개구부(21)의 제 1 내부 벽부(22) 역시도 충분히 확인된다.
도 3에는, 도 1에서의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100)이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접점 핀들(5)은 여전히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 내로 삽입되어 있지 않다. 하우징(20)의 내부(28)로 향해 있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의 단부 상에는 각각 하나의 고정 요소(7)를 위한 2개의 수용부(6)가 형성된다. 고정 요소(7)는 여기서는 예시로서 볼트 너트로서 도시되어 있다. 고정 요소(7)는 수용부(6) 내로 삽입되고, 그에 뒤이어 접점 핀(5)은 자신의 제 1 말단 단부(5a)로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 내로 삽입된다. 고정 요소(7) 상에서는, 플러그인 커넥터(1)가 하우징(20) 상에 배치될 때, 예컨대 인버터의 전기 단자, 또는 하우징(20)의 내부(28)에서 나오는 기타 전기 접점이 견고하게 나사 조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과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0) 사이에는 실링 링의 형태인 실링 요소(50)가 배치된다. 이런 방식으로, 바깥쪽 주변(29)에서부터 하우징(20)의 내부(28) 내로 유체 매체들이 스며드는 점은 방지될 수 있다. 2개의 링(30)은 우선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된 부품들로서 하우징(20)의 2개의 개구부(21) 내로 삽입되고 그 내에 조립되며, 예컨대 압입된다. 자명한 사실로서, 하우징(20) 내에 오직 단일의 개구부(21)만이 제공될 수 있거나, 2개보다 많은 개구부(21)가 제공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3에는 2개의 차폐판(40), 즉 각자의 접점 핀(5)에 대해 하나의 차폐판(40)이 도시되어 있다. 차폐판(40)은 여기서는 오직 예시로서만 왕관의 형태를 갖는다. 달리 말하면, 차폐판은 환형으로 폐쇄된 베이스 요소(44)를 포함한다. 베이스 요소(44) 상에는 복수 개, 예컨대 8개의 아암(43)이 배치되며, 이들 아암은 베이스 요소(44)로부터 고려할 때 삽입 방향(E)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 하나의 자유 단부(46)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아암(43)을 통해, 한편으로 접촉과 관련하여 중복성이 보장되는데, 그 이유는 하나의 아암(43)의 결손 시에도 상대 커넥터 차폐판(90)(도 5)에 대해 차폐부가 보장되기 때문이다. 이와 동시에, 복수 개의 아암(43)을 통해, 상대 커넥터 차폐판(90)으로 향하는 복수의 평행한 전기 회로가 달성되며, 그럼으로써 키르히호프의 법칙에 따라서 오직 하나의 접촉점인 경우에 비해 전기 전이 저항은 감소되게 된다.
베이스 요소(44)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 내에, 그리고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100) 내에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하우징(20)의 대응하는 개구부(21) 안쪽으로 돌출된다. 이는, 예컨대 섹션(45)일 수 있으며, 예컨대 완전한 베이스 요소(44)일 수 있거나, 또는 삽입 방향(E)을 따라서 고려할 때 베이스 요소(44)의 전방 섹션일 수 있다. 베이스 요소(44)는 추가 외부 벽부(41)를 포함하며, 이 추가 외부 벽부에 의해 차폐판(40)은 링(30)의 제 2 내부 벽부(32)와 접촉한다. 차폐판(40)의 추가 외부 벽부(41) 상에는, 이 추가 외부 벽부(41)에서부터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접촉점들(42)이 예컨대 스탬핑을 통해 형성된다. 그렇게 하여, 링(30)의 제 2 내부 벽부(32)에 대한 접촉은 특히 신뢰성이 있게 보장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링(30)에 대한 전기 전이 저항은 복수의 접촉점(42)을 통해 감소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여기서는 접촉점들(42)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의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일종의 병렬 회로가 형성되기 때문이다(키르히호프의 법칙).
차폐판(40)의 추가 외부 벽부(41)는 (예컨대 갈바닉 적층 또는 DVD 또는 PVD 방법을 통해) 예컨대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코팅층은 예컨대 전기 전이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코팅층은 일종의 부식 방지부로서도 이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예컨대 차폐판(40)의 재료가 공기와의 접촉 시 녹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코팅층은 예컨대 표면의 경화 역시도 달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삽입할 때 표면을 보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유형의 코팅층은 삽입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코팅층은 예컨대 은, 금, 백금, 팔라듐, 니켈, 주석을 포함한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특히 대부분 상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코팅층은 예컨대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차폐판(40)의 재료 상에는 니켈로 이루어진 층이 적층되고 그 위에 은으로 이루어진 층이 적층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로, 기본적으로 링(30) 역시도 외부 벽부(31) 및/또는 제 2 내부 벽부(32) 상에 상기 유형의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링(30)의 제 2 내부 벽부(32)는 바람직하게는 매끄럽게 형성된다. 제 2 내부 벽부는 예컨대 1.0㎛ 미만이거나, 또는 0.5㎛ 미만이거나, 또는 0.35㎛ 미만이거나, 또는 심지어 0.3㎛ 미만인 제 2 평균 거칠기(RA2)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개구부(21) 내로 차폐판(40)을 삽입할 때 차폐판(40)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내는 위험은 최소화된다.
차폐판(40)의 추가 외부 벽부(41)의 제 3 평균 거칠기(RA3)는 예컨대 1.0㎛ 미만이거나, 또는 0.5㎛ 미만이거나, 또는 0.35㎛ 미만이거나, 또는 0.3㎛ 미만일 수 있다. 그렇게 하여, 개구부(21) 내로 삽입할 때, 또는 링(30)의 제 2 내부 벽부(32)와 접촉시킬 때 삽입력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그렇게 하여, 차폐판(40)의 표면의 손상 위험도 감소될 수 있다.
도 4a에는, 도 1에서의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100)이 절단된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반경 방향의 바깥쪽에서부터 고려할 때 개구부(21)의 영역에 우선 하우징(20), 그 다음 링(30), 그리고 그 다음 차폐판(40)이 어떻게 연속해서 배치되어 전기 접촉되어 있는지가 확인된다. 축 방향(A)으로 고려할 때, 하우징(20) 내의 소켓 역시도 개구부(21)의 테두리부의 영역에서 충분히 확인된다.
접점 핀(5)은, 자신의 제 2 말단 단부(5b) 상에, 예컨대 전기 비전도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캡(cap)의 유형으로 감전 보호부(8)를 포함한다. 이는 예컨대 고전류 애플리케이션 내지 고출력 애플리케이션 내지 고전압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중요할 수 있다.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은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상대 플러그인 커넥터(60)를 위한 삽입 개구부(9)를 포함한다.
도 4b에는, 도 4a에서의 일부분이 상세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상대 플러그인 커넥터(60)가 플러그인 커넥터(1) 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는, 삽입 개구부(9) 안쪽으로 돌출되어 차폐판(40)의 아암(43)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상대 플러그인 커넥터 차폐판(9) 상에서 볼 수 있다.
도 5에는, 서로 끼워진 상태에서 도 1에서의 플러그인 커넥터 어셈블리가 절단된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전기 라인(70)이 내부 도전체(71)를 포함하고, 이 내부 도전체는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을 향해 고려할 때 내부 절연부(72)에 의해 에워싸여 있고, 내부 절연부는 다시금 차폐 도전체(73)에 의해 에워싸여 있으며, 마지막으로 차폐 도전체는 바깥쪽에서 외부 절연부(74)에 의해 에워싸여 있는 점이 확인된다.
또한, 접촉 요소(78)가 (접점 블레이드로서, 또는 접점 요소 등으로서도 형성될 수 있는) 접점 핀(5)과 전기 라인(70)의 내부 도전체(71) 간의 전기 연결부를 어떻게 형성하는지도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대 플러그인 커넥터 차폐판(9)은 다시금 왕관 유형의 연결 요소(80)에 의해 전기 라인(70)의 차폐 도전체(73)와 연결된다.
이런 방식으로, 플러그인 커넥터 어셈블리(200)는 축 방향(A)을 따라서 고려할 때, 또는 전류 경로를 따라 고려할 때,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을 향해 전면적으로 전기적으로 차폐되며, 그리고 그에 따라 매우 우수한 전자기 호환성(EMC)을 보유한다.

Claims (17)

  1.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은,
    금속 재질의 하우징(20);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단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단자를 수용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및 차폐판(4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0)상에 조립되는 플러그인 커넥터(1);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0)은 제 1 내부 벽부(22)를 구비한 개구부(21)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판(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부(21) 안으로 돌출하고,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은 제 2 내부 벽부(32)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21)내에 배치되는 링(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링(30)의 외부 벽부(31)는 상기 개구부(21)의 상기 제 1 내부 벽부(22)와 전기 접촉하며, 상기 차폐판(40)의 추가 외부 벽부(41)는 상기 링(30)의 상기 제 2 내부 벽부(32)와 전기 접촉하며,
    상기 개구부(21)의 상기 제1 내부 벽부(22), 상기 링(30) 및 상기 차폐판(40)은 반경방향으로 상호간에 유격없이 배치되는,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2.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은,
    금속 재질의 하우징(20);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단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단자를 수용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 및 차폐판(4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0)상에 조립되는 플러그인 커넥터(1);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0)은 제 1 내부 벽부(22)를 구비한 개구부(21)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판(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개구부(21) 안으로 돌출하고,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은 제 2 내부 벽부(32)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21)내에 배치되는 링(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링(30)의 외부 벽부(31)는 상기 개구부(21)의 상기 제 1 내부 벽부(22)와 전기 접촉하며, 상기 차폐판(40)의 추가 외부 벽부(41)는 상기 링(30)의 상기 제 2 내부 벽부(32)와 전기 접촉하며,
    상기 링(30)의 외부 벽부는 상기 개구부(21)의 상기 제 1 내부 벽부의 최대 내경(D1)보다 크거나 같은 외경(D3)를 가지는,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30)은 상기 개구부(21) 내에 강제 끼워 맞춤 또는 마찰 결합 방식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링(30)은 상기 개구부(21) 내로 압입되는,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30)의 외부 벽부(31)의 제 1 평균 거칠기(RA1)는 1.0㎛ 미만이거나, 또는 0.5㎛ 미만이거나, 또는 0.3㎛ 미만인,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30)의 제2 내부 벽부(32)의 제 2 평균 거칠기(RA2)는 1.0㎛ 미만이거나, 또는 0.5㎛ 미만이거나, 또는 0.3㎛ 미만인,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40)의 추가 외부 벽부(41)의 제 3 평균 거칠기(RA3)는 1.0㎛ 미만이거나, 또는 0.5㎛ 미만이거나, 또는 0.3㎛ 미만인,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40)의 추가 외부 벽부(41)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다층으로 형성되는,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은, 금, 백금, 팔라듐, 니켈, 주석을 포함한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1)의 제1 내부 벽부(22)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되는,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1)의 제1 내부 벽부(22)는, 상기 링(30)의 조립 전에, 10㎛ 이상이거나, 또는 10㎛와 50㎛ 사이이거나, 또는 15㎛와 30㎛ 사이인 제 4 평균 거칠기(RA4)를 갖는,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개구부(21) 안쪽으로 돌출되는 상기 차폐판(40)의 섹션은 구리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30)은 상기 하우징(20)의 개구부의 제 1 내부 벽부(22)의 표준 전극 전위와 상기 개구부 안쪽으로 돌출된 상기 차폐판(40)의 섹션의 표준 전극 전위 사이인 표준 전극 전위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링(30)은 강재 또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되는,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15.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 1 내부 벽부(22)를 구비한 개구부(21)를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하우징(20)을 제공하는 단계;
    외부 벽부(31) 및 제 2 내부 벽부(32)를 포함하는 링(30)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링(30)의 외부 벽부(31)가 상기 개구부(21)의 제 1 내부 벽부(22)와 전기 접촉하는 방식으로 상기 개구부(21) 내에 상기 링(30)을 배치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전기 단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단자를 수용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 및 차폐판(40)을 포함하는 플러그인 커넥터(1)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차폐판(4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구부(21) 안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차폐판(40)의 추가 외부 벽부(41)가 상기 링(30)의 제 2 내부 벽부(32)와 전기 접촉하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20) 상에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1)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21)의 상기 제1 내부 벽부(22), 상기 링(30) 및 상기 차폐판(40)은 반경방향으로 상호간에 유격없이 배치되는,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의 제조 방법.
  16.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 1 내부 벽부(22)를 구비한 개구부(21)를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하우징(20)을 제공하는 단계;
    외부 벽부(31) 및 제 2 내부 벽부(32)를 포함하는 링(30)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링(30)의 외부 벽부(31)가 상기 개구부(21)의 제 1 내부 벽부(22)와 전기 접촉하는 방식으로 상기 개구부(21) 내에 상기 링(30)을 배치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전기 단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단자를 수용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2), 및 차폐판(40)을 포함하는 플러그인 커넥터(1)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차폐판(4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구부(21) 안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차폐판(40)의 추가 외부 벽부(41)가 상기 링(30)의 제 2 내부 벽부(32)와 전기 접촉하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20) 상에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1)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링(30)의 외부 벽부는 상기 개구부(21)의 상기 제 1 내부 벽부의 최대 내경(D1)보다 크거나 같은 외경(D3)를 가지는,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의 제조 방법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링(30)은 상기 개구부(21) 내로 압입되는,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의 제조 방법.
KR1020207027927A 2018-02-28 2019-02-26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그리고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의 제조 방법 KR102568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02955.5 2018-02-28
DE102018202955.5A DE102018202955A1 (de) 2018-02-28 2018-02-28 Steckverbinder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eckverbindersystems
PCT/EP2019/054718 WO2019166426A1 (de) 2018-02-28 2019-02-26 Steckverbinder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eckverbinder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475A KR20200123475A (ko) 2020-10-29
KR102568447B1 true KR102568447B1 (ko) 2023-08-22

Family

ID=6559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927A KR102568447B1 (ko) 2018-02-28 2019-02-26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그리고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98695B2 (ko)
EP (1) EP3759767A1 (ko)
JP (2) JP7130758B2 (ko)
KR (1) KR102568447B1 (ko)
CN (1) CN111742448B (ko)
DE (1) DE102018202955A1 (ko)
WO (1) WO20191664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30582A1 (de) * 2019-11-13 2021-05-20 Hanon Systems Dichtanordnung einer Steckverbindung zum Steckverbinden elektrischer Anschlüsse und Vorrichtung zum Antreiben eines Verdichters mit der Dichtanordnung
EP3829000B1 (en) * 2019-11-26 2023-02-15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Bonding resistance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management of a surface mounted connector
DE102019132599B4 (de) * 2019-12-02 2022-02-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Halteanordnung eines Leitungselements zum Übertragen von elektrischer Energie an einem Gehäuse eines Kraftfahrzeugs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Anordnung
CN111129821B (zh) * 2020-01-10 2021-04-06 立讯精密工业(昆山)有限公司 插座
DE102020128341A1 (de) * 2020-10-28 2022-04-28 Profil Verbindungstechnik Gmbh & Co. Kg Elektrisches Anschlusselement zur formschlüssigen oder schweißtechnischen Anbringung an ein Blechteil
DE102020214220A1 (de) 2020-11-12 2022-05-12 Zf Friedrichshafen Ag Gehäuseanordnung, Stromrichter,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häuseanordnung
CN112993688B (zh) * 2021-02-07 2022-06-17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 一种航空用电连接器
US11682853B2 (en) * 2021-05-05 2023-06-20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connector mounting bracket
DE102022208468B3 (de) 2022-08-15 2023-11-1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teckeradapter und elektronische Anordnung
DE102022129431A1 (de) 2022-11-08 2024-05-08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Steckverbinder zur Montage an einem Durchbruch einer Wand
DE102022004518B3 (de) 2022-12-02 2024-02-01 Mercedes-Benz Group AG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 zwischen einer Hochvolt-Leitung und einer Hochvolt-Komponen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64002A1 (en) * 2008-04-22 2009-10-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mi gaske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3529839A (ja) 2010-06-09 2013-07-2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Emiガス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4822A (en) * 1994-11-14 1997-06-03 Augat Inc. Miniature telephone jack and rack system
US5772471A (en) 1996-10-31 1998-06-30 The Whitaker Corporation Panel mount bracket for electrical connector
US6709280B1 (en) * 2002-01-17 2004-03-23 Arlington Industries, Inc. Fitting with improved continuity
US6129563A (en) * 1998-11-18 2000-10-10 The Whitaker Corporation Bulkhead-mountable coaxial connector
US6066001A (en) 1998-11-30 2000-05-23 3Com Corporation Coupler for minimizing EMI emissions
JP3627209B2 (ja) * 1999-04-07 2005-03-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構造
TW421307U (en) 1999-08-06 2001-02-01 Hon Hai Prec Ind Co Ltd Cable connector
US6478622B1 (en) 2001-11-27 2002-11-1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Small form-factor pluggable transceiver cage
JP2008041600A (ja) * 2006-08-10 2008-02-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ルドコネクタ
US7588466B2 (en) * 2006-09-15 2009-09-15 Delphi Technologies, Inc. Filtered electrical connector and combination having same
JP2008130299A (ja) 2006-11-17 2008-06-05 Sumitomo Electric Ind Ltd アース部材および接続構造
DE102008024300A1 (de) * 2008-03-19 2009-09-24 Rohde & Schwarz Gmbh & Co. Kg Hochfrequenz-Abdichtung von Hochfrequenz-Steckverbindern
US7857662B2 (en) * 2008-09-30 2010-12-2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Receptacle cag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8147272B2 (en) * 2010-02-04 2012-04-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eader connector assembly
JP5186528B2 (ja) 2010-04-23 2013-04-17 日本発條株式会社 導電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990454B2 (ja) * 2012-12-25 2016-09-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構造
DE202013006413U1 (de) * 2013-07-17 2014-10-22 Leoni Bordnetz-Systeme Gmbh Vorrichtung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einer Abschirmung eines elektrischen Kabels an einem Gehäuse sowie vorkonfektioniertes elektrisches Kabel
US9450338B2 (en) 2014-08-06 2016-09-20 Molex, Llc High speed connector with ruggedized exterior structure and shielding
DE102015118585A1 (de) * 2015-10-30 2017-05-04 Ims Connector Systems Gmbh Stecker mit Federkorb auf Anschlusssei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64002A1 (en) * 2008-04-22 2009-10-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mi gaske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3529839A (ja) 2010-06-09 2013-07-2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Emiガス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9767A1 (de) 2021-01-06
KR20200123475A (ko) 2020-10-29
JP2022137113A (ja) 2022-09-21
US20210050684A1 (en) 2021-02-18
WO2019166426A1 (de) 2019-09-06
US11398695B2 (en) 2022-07-26
CN111742448B (zh) 2022-09-20
JP2021515364A (ja) 2021-06-17
DE102018202955A1 (de) 2019-08-29
JP7453280B2 (ja) 2024-03-19
CN111742448A (zh) 2020-10-02
JP7130758B2 (ja) 202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8447B1 (ko)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 그리고 플러그인 커넥터 시스템의 제조 방법
US4116516A (en) Multiple layered connector
EP3167512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speed transmission using twisted-pair cable
US7510408B2 (en) Earthing structure and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US10128716B2 (en) Electric direct current motor with flexible rotor assembly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EP1001501B1 (en) Carbon commutator
KR100240114B1 (ko) 평면형 카본 정류자 및 그 제조방법
US734441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1339137B1 (en) Arc discharge suppressive terminal pair
EP3531510B1 (en) Contact assembly for high-current applications
US10886644B2 (en) Method for contacting a contact surface on a flexible circuit with a metal contact, crimping part, connection of flexible circuit and metal contact and control device
EP1983811A2 (en) Electrical Contact
GB2032710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3800743A1 (en) Terminal fitting
US20030176082A1 (en) Rotating electrical transfer components
US6172303B1 (en) Electrical terminal with integral PTC element
US5094629A (en) Electrical connector containing compon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6549210B2 (ja) 車両用アンテナ装置に用いるケーブル接続構造
CN210183162U (zh) 一种电机罩盖端子
EP3565065A1 (en) Multipath electric power connection assembly
EP3849021A1 (en) Splice connector
CN216529449U (zh) 导电端子
EP4372919A1 (en) Terminal and processing method therefor
US7331797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826117A1 (en) Replacement contact-tip for an electrical contact of a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