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789A -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789A
KR20190101789A KR1020180022182A KR20180022182A KR20190101789A KR 20190101789 A KR20190101789 A KR 20190101789A KR 1020180022182 A KR1020180022182 A KR 1020180022182A KR 20180022182 A KR20180022182 A KR 20180022182A KR 20190101789 A KR20190101789 A KR 20190101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ually impaired
smart
traffic light
cane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좌정우
이승주
장원석
김석훈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2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1789A/ko
Publication of KR20190101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4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 H04M1/2476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for a visually impaired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 신호등 위치정보 탐색을 위한 통신장치, 음향발생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통신장치, 이동 단말기 및 신호등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 발생기를 동작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스마트 지팡이를 사용하여 음향 발생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IR 통신, WiFi, 블루투스 등을 사용한다. 또한, IR 통신 방식의 동작하는 스마트 지팡이는 스마트 지팡이에 IR 송신기, 음향 발생기는 주파수로 구분되는 IR 수신기로 설치하여 구현할 수 있다. 신호등에 대해 비콘을 한정시키는 것이 아닌 시각 장애인이 느낄 수 있는 주요 랜드마크에 설치하고 GPS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현재 진행하고 있는 방향에 대해 랜드마크 혹은 위치에 대한 방향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Smart Cane for the Blind}
본 발명은 비콘으로 신호등의 위치를 파악하여 적외선 통신(Infrared Ray communication)방식으로 원하는 음향 발생기만을 동작시키는 비콘과 IR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흰지팡이(white cane)는 시각장애인이 길을 걸을 때 사용하는 흰 색깔의 지팡이이다. 흰지팡이는 시각장애인의 표지이고 자주성의 상징이다. 즉, 시각장애인이 흰지팡이를 들고 길에 나선 것은 남에게 의존하지 않고 보행할 수 있음을 과시하는 표지이다.
도로교통법에서는 흰지팡이를 가진 시각장애인을 운전자가 발견하면, 차의 속도를 줄이고 서행하게 되어 있으며, 시각장애인이 흰지팡이를 들고 서 있으면 주위 사람들의 도움을 받기가 쉽다. 원래 지팡이는 병약자나 노약자가 약한 몸을 의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었고, 시각장애인은 길을 걸을 때 촉각을 연장하는 도구로 써왔던 것인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실명 상이용사가 많이 생기자 지팡이에 흰색을 칠해서 눈에 잘 띄게 한 것이 흰지팡이라는 명칭이 생긴 연유이다. 나라에 따라서는 시각장애인이 아니면 흰지팡이를 들고 다니지 못하게 법으로 정한 경우도 있다.
흰지팡이는 지면의 변화와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안테나이며, 귀나 코와 같은 감각기로 생각할 수 있다. 이 감각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하여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는 흰지팡이 사용 기술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시각장애인 보행학(peripatology)'이라는 학문이 성립되었고, 미국의 대학에는 '시각장애인 보행훈련사 교양강좌'가 설치되었다.
이와 같은 흰지팡이는 손잡이(grip)와 자루(shaft) 그리고 바닥 부분인 팁(tip)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흰지팡이 규격은 길이 117cm, 지름 1.27cm, 무게 170g이고 시각 장애인의 사용에 효율적인 지팡이의 길이는 시각 장애인이 지팡이를 바닥에 대고 똑바로 섰을 때 지팡이 손잡이 끝이 겨드랑이 정도에 닿는 것이 적합하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아두이노 기반 스마트 시스템을 적용한 시각 장애인 지팡이는 어두운 곳에 대한 밝기 안내, 비콘을 통한 주변 상점 안내,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전방 장애물 감지, 보호자에게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정보를 전달하여 위치 안내 등 아두이노를 이용한 센싱을 통해 주변 정보를 수집하고 스마트폰, 진동,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소리를 통해 주변 사람과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초음파 센서의 문제로 상반신에 대한 장애물 감지가 되지 않고 있고, 다양한 센서를 부착하여 지팡이가 무거워 진다는 단점이 있다.
음향 신호기 리모컨을 이용한 시각 장애인 지팡이는 신호등 지주에 설치된 음향 신호기를 동작시키는 버튼과 별개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를 전송하여 신호기를 동작시킨다. 음향 신호기에서는 신호등에 대한 진행 방향을 안내해주며 신호등 녹색불이 들어왔을 때와 점멸 했을 때에 대한 안내를 해준다. 음향신호기의 신호가 동일하여 주변에 있는 모든 신호발생기를 동작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스마트폰 기반 시각장애인을 위한 햅틱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적용한 시각 장애인 지팡이는 GPS 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 폰에서 모스부호를 진동 형태로 제공하여 방향을 제시하여 길을 안내한다. 모스부호를 글자를 조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높은 학습을 요구한다.
공개특허 제10-2015-0145429호 (2015.12.30.) 등록특허 제10-1390345호 (2014.04.23.)
본 발명은 횡단보도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 발생기를 동작시키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는, 신호등 위치정보 탐색을 위한 통신장치, 음향발생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통신장치, 이동 단말기 및 신호등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는 신호등에 설치된 통신장치로부터 신호를 받고 신호등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신호등을 감지하면 사용자에게 알린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는 이동 단말기가 신호등을 감지하고 이를 알리면 사용자에게 신호등 감지를 알린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는 사용자가 신호등을 지정한 음향 발생기의 통신장치와 연동하여 음향 발생기를 동작시킨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의 스마트 지팡이와 음향 발생기간 통신장치는 적외선 통신(Infrared Ray communication)방식,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및 블루투스(Bluetooth)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는 스마트 지팡이와 이동 단말기간 연동을 위해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 발생기를 동작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스마트 지팡이를 사용하여 음향 발생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IR 통신, WiFi, 블루투스 등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R 통신 방식의 동작하는 스마트 지팡이는 스마트 지팡이에 IR 송신기, 음향 발생기는 주파수로 구분되는 IR 수신기로 설치하여 구현할 수 있다. 신호등에 대해 비콘을 한정시키는 것이 아닌 시각 장애인이 느낄 수 있는 주요 랜드마크에 설치하고 GPS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현재 진행하고 있는 방향에 대해 랜드마크 혹은 위치에 대한 방향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교통 약자를 위한 사업을 하는 국가, 기업과 연계하여 비콘을 감지하여 시각장애인들에게 안내 하는 방법에 대한 부분을 보완하고 스마트 폰 앱을 개발하여 교통 약자를 위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동작 다이어그램.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는, 비콘(Beacon)으로 신호등의 위치를 파악하여 적외선 통신(Infrared Ray communication)방식으로 원하는 음향 발생기만을 동작시킨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는 신호등 지주에 설치되는 비콘, 비콘 ID로 신호등 위치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IR 통신 방식으로 스마트 지팡이와 연동하는 음향 발생기, 스마트 지팡이와 연동되는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 지팡이로 구성된다.
스마트 지팡이를 이용한 횡단보도 도착 알림 서비스와 원하는 신호등의 음향 발생기만 동작시키는 서비스를 제고??ㄴ다.
스마트 지팡이는 비콘 수신기를 이용하여 신호등 비콘을 감지하면 신호등 위치정보 DB로부터 횡단보도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비콘 수신기가 없는 스마트 지팡이는 이동 단말기와 연동하여 이동 단말기가 비콘을 감지하고 스마트 지팡이로 알리면 스마트 지팡이가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제공한다. 스마트 지팡이는 여러 개의 주파수를 갖는 IR 통신방식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 발생기를 동작시킨다. 알림 방법은 진동, 음향, 음성 서비스 등 사용자가 지정한 방식으로 제공한다.
시각 장애인들은 자신이 다니는 길만을 이용해서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주변의 사물이나 사람들이 이동하고 앞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거리와 방향에 대해 알기 어렵다. 이로 인해 교차로와 사고의 위험성이 있는 곳에서 굉장히 취약해진다. 시각 장애인의 보행안전과 편의를 위해 점자 보도블록을 설치하고 횡단보도에 음향 발생기를 설치하고 있다.
스마트 지팡이는 횡단보도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 발생기를 동작시킨다.
스마트 지팡이는 비콘 수신기와 신호등 위치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호등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여기서 신호등 위치 파악을 위해 신호등 지주에 비콘을 설치하고 비콘 ID에 대한 신호등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사용한다. 비콘 수신기가 없는 스마트 지팡이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블루투스, WiFi 등의 통신방식으로 연동하여 신호등 위치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사용 방법은 이동 단말기가 비콘을 감지하여 신호등 위치를 파악하면 이를 스마트 지팡이로 알리면 스마트 지팡이는 사용자에게 알린다. 스마트 지팡이는 비콘이 설치되지 않은 신호등 위치는 GPS 수신기를 사용하여 파악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마트 지팡이는 GPS 수신기를 내장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기와 연동하여 신호등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 발생기를 동작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스마트 지팡이를 사용하여 음향 발생기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IR 통신, WiFi, 블루투스 등을 사용한다.
IR 통신 방식의 동작하는 스마트 지팡이는 스마트 지팡이에 IR 송신기, 음향 발생기는 주파수로 구분되는 IR 수신기로 설치하여 구현할 수 있다. 신호등에 대해 비콘을 한정시키는 것이 아닌 시각 장애인이 느낄 수 있는 주요 랜드마크에 설치하고 GPS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현재 진행하고 있는 방향에 대해 랜드마크 혹은 위치에 대한 방향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교통 약자를 위한 사업을 하는 국가, 기업과 연계하여 비콘을 감지하여 시각장애인들에게 안내 하는 방법에 대한 부분을 보완하고 스마트 폰 앱을 개발하여 교통 약자를 위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신호등 위치정보 탐색을 위한 통신장치,
    음향발생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통신장치,
    이동 단말기 및
    신호등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2. 제1항에서,
    신호등에 설치된 통신장치로부터 신호를 받고 신호등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신호등을 감지하면 사용자에게 알리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3. 제1항에서,
    이동 단말기가 신호등을 감지하고 이를 알리면 사용자에게 신호등 감지를 알리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4. 제1항에서,
    사용자가 신호등을 지정한 음향 발생기의 통신장치와 연동하여 음향 발생기를 동작시키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5. 제1항에서,
    스마트 지팡이와 음향 발생기간 통신장치는 적외선 통신(Infrared Ray communication)방식,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및 블루투스(Bluetooth)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6. 제1항에서,
    스마트 지팡이와 이동 단말기간 연동을 위해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사용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KR1020180022182A 2018-02-23 2018-02-23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KR201901017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182A KR20190101789A (ko) 2018-02-23 2018-02-23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182A KR20190101789A (ko) 2018-02-23 2018-02-23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789A true KR20190101789A (ko) 2019-09-02

Family

ID=6795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182A KR20190101789A (ko) 2018-02-23 2018-02-23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17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379B1 (ko) * 2020-03-13 2020-09-11 한성정보기술주식회사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음파통신 기반 보행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E202022105734U1 (de) 2022-10-11 2022-11-07 Ralph Schulze Warn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345B1 (ko) 2012-06-22 2014-04-30 (주)와이에스씨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 가능한 스마트 지팡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45429A (ko) 2014-06-19 2015-12-30 이정원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스마트지팡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345B1 (ko) 2012-06-22 2014-04-30 (주)와이에스씨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 가능한 스마트 지팡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45429A (ko) 2014-06-19 2015-12-30 이정원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스마트지팡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379B1 (ko) * 2020-03-13 2020-09-11 한성정보기술주식회사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음파통신 기반 보행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E202022105734U1 (de) 2022-10-11 2022-11-07 Ralph Schulze Warn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9893B2 (en) Intelligent blind guiding device
US20090032590A1 (en) Location, orientation, product and color identifi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he blind or visually impaired
JP2022191334A (ja) パーソナル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10441494B2 (en) Route guidance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impaired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side subway station
US20180356233A1 (en) Intelligent navigation assistance device
KR20150079129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05108926A1 (ja) 情報処理装置、携帯機器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30086861A (ko) 전자식지팡이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
US20170165147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KR100846299B1 (ko)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01789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KR101587010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발광 보도블록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71423B1 (ko) 시각 장애인용 센서기반 스마트 벨트 및 그 방법
KR101873489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차로 통행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3596B1 (ko) 사용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50093000A (ko) 능동형 rfid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안내장치
KR20190023017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길안내 서비스 제공방법
JP2015521319A (ja) Gps及びスマートフォンアプリケーションを用いた視覚障害者向け音響信号システム
Takatori et al. Development of voice navig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by using IC tags
KR20160008931A (ko) 음성안내 시스템
KR20190101805A (ko) 비콘과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
JP4396891B2 (ja) 視覚障害者用誘導案内システム
KR102178152B1 (ko)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Coughlan et al. The crosswatch traffic intersection analyzer: a roadmap for the future
KR200414368Y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 신호음 송수신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