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237B1 -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237B1
KR101611237B1 KR1020150022091A KR20150022091A KR101611237B1 KR 101611237 B1 KR101611237 B1 KR 101611237B1 KR 1020150022091 A KR1020150022091 A KR 1020150022091A KR 20150022091 A KR20150022091 A KR 20150022091A KR 101611237 B1 KR101611237 B1 KR 101611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ignal
user
acoustic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두
정승민
Original Assignee
(주)공간파크
황영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공간파크, 황영두 filed Critical (주)공간파크
Priority to KR1020150022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6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5Several programs selec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및 신호등과 연결된 음향신호기와 상호작용하여 음향신호기를 작동시키고, 음향신호기로부터 신호등의 위치 및 보행신호의 상태를 전달받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과 연결된 음향신호기를 작동시키며, 상기 음향신호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직접 출력하는 리모컨 및 상기 리모컨의 탈착을 위한 장착부가 구비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컨은, 상기 음향신호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1RF모듈과, 상기 음향신호기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제2RF모듈과, 상기 제1RF모듈 및 제2RF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신호등의 위치 및 보행신호의 상태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RF모듈 및 제2RF모듈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지팡이{A Stic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및 신호등과 연결된 음향신호기와 상호작용하여 음향신호기를 작동시키고, 음향신호기로부터 신호등의 위치 및 보행신호의 상태를 전달받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단보도에는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돕기 위한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11)는 교통신호제어기(10)와 연결된 신호등 일측에 주로 설치되어 시각장애인이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안전하게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도록 음향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안내하며, 주로 횡단보도의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안내기능과 보행신호의 상태를 알려주는 신호 안내기능을 한다.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11)는 시각장애인이 소지하고 있는 리모컨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거나, 신호등 근처에 구비된 안내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동작한다.
본 출원인은 이와 관련된 기술인 "도시교통정보시스템을 이용하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등록번호 10-1420240)"를 출원하여 이미 등록받은 바 있으며, 실제 제품화하여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도시교통정보시스템을 이용하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는 신호등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음향신호기(11)를 통해 음성이 출력되기에 시각장애인이 보행하는 도로의 주변상황에 따라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이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횡단보도 주변의 공사, 행사, 또는 차량소리 등의 소음에 의해 음향신호기(11)를 통해 출력된 음성이 시각장애인에게까지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여 시각장애인이 정확한 상황판단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횡단보도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는 한 쌍의 음향신호기(11)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구비된 스피커가 고장난 경우 음성이 출력되지 않아 시각장애인이 보행신호 상태 및 횡단보도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420240 (2014. 07. 10)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및 신호등과 연결된 음향신호기와 상호작용하여 음향신호기를 작동시키고, 음향신호기로부터 신호등의 위치 및 보행신호의 상태를 전달받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과 연결된 음향신호기를 작동시키며, 상기 음향신호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직접 출력하는 리모컨 및 상기 리모컨의 탈착을 위한 장착부가 구비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컨은, 상기 음향신호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1RF모듈과, 상기 음향신호기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제2RF모듈과, 상기 제1RF모듈 및 제2RF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신호등의 위치 및 보행신호의 상태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RF모듈 및 제2RF모듈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사용자의 조작시 상기 제2RF모듈을 통해 상기 음향신호기로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전송하는 응급버튼과, 일정 이상의 충격감지시 상기 제2RF모듈을 통해 상기 음향신호기로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전송하는 충격감지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상기 리모컨은, 유선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단자와, 무선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리모컨은, 상기 음향신호기로부터 전송받은 보행신호의 상태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음향신호기로부터 전송받은 무선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보행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부는 보행신호의 상태에 따라 진동 발생 주기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상기 리모컨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장착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의 장착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이 외부로 퍼질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유도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가요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입력부가 구비된 리모컨의 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리모컨과 지팡이를 별도로 소지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둘째, 본 발명은 음향신호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등의 위치 및 보행신호의 상태와 같은 정보를 리모컨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직접 출력함으로써 음향신호기의 고장 및 주변 소음 등에 의해 시각장애인에게 정확한 정보가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셋째,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에게 발생될 수 있는 응급상황에 대비하여 응급버튼을 구비함으로써 응급상황의 발생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응급버튼을 조작할 수 없는 비상상황의 발생시 일정 이상의 충격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측으로 응급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본 발명은 보행신호의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화되는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시각장애인의 보다 안전한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1은 일반적인 횡단보도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의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며, 배경기술 및 이미 설명한 구성의 도면번호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용 지팡이(1)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에 대한 형상 및 크기 등은 대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일 뿐 고정된 것이 아니며,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팡이(1)는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및 신호등과 연결된 음향신호기(11)와 상호작용하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1)이며, 리모컨(100) 및 몸체(200)를 포함한다.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및 신호등과 연결된 음향신호기(11)에 관한 기술은 본 출원인이 "도시교통정보시스템을 이용하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11)(등록번호 10-1420240)"를 통해 이미 등록받은 바 있으며, 본 출원인이 등록한 기술뿐만 아니라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및 신호등과 연결된 음향신호기(11)라면 어떠한 것이든 본 발명과 상호작용하는 대상이 될 수 있다.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 및 신호등과 연결된 음향신호기(11)는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기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리모컨(100)은, 시각장애인(이하 '사용자'라 함)의 조작에 음향신호기(11)와 연동되어 음향신호기(11)를 작동시키며, 음향신호기(11)는 리모컨(100)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전송받아 신호등의 위치 및 보행신호의 상태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음향신호기(11)에 구비된 음성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이와 함께 리모컨(100)은 음향신호기(11)로부터 무선 신호를 전송받아 리모컨(100)에 구비된 스피커(130)를 통해 신호등의 위치 및 보행신호의 상태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직접 출력한다.
즉, 사용자가 리모컨(100)을 조작함에 따라 음향신호기(11)뿐만 아니라 리모컨(100)에서도 다양한 정보를 소리로 알려줌으로써 음향신호기(11)의 고장 또는 주변 소음으로 인해 소리가 정확하게 들리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러한 리모컨(100)은 제1RF모듈(110), 제2RF모듈(115), 메인제어부(120), 스피커(130), 전원부(190) 및 입력부(140)를 포함한다.
제1RF모듈(110)은 음향신호기(11)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제어부(120)로 전달하며, 제2RF모듈(115)은 입력부(140)에 입력된 명령을 음향신호기(11)로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제1RF모듈(110)과 제2RF모듈(115)은 각각 235.3MH, 358.5M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짐으로써 무선 신호의 수신거리 및 수신된 무선 신호의 처리가 보다 안정화될 수 있다.
메인제어부(120)는 제1RF모듈(110) 및 제2RF모듈(115)을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130)를 제어하며, 스피커(130)는 메인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신호등의 위치 및 보행신호의 상태와 같은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한다.
전원부(190)는 리모컨(100)이 작동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별도의 건전지를 삽입하거나, 충전지를 구비하여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며, 두 가지 모두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원부(190)에서 제공된 전력은 메인제어부(120)로 공급되고, 메인제어부(120)에서는 제1RF모듈(110), 제2RF모듈(115), 스피커(130) 및 입력부(140)에 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메인제어부(120)를 통해 제어된다.
입력부(140)는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등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작을 하는 부분으로 각각의 버튼에는 시각장애인을 배려하기 위한 돌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버튼에는 서로 다른 형상 또는 수량의 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리모컨(100)은 시각장애인용이기에 터치스크린을 적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손의 감촉만으로 작동이 용이하도록 버튼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버튼을 적용하는 경우 상술한 돌기뿐만 아니라, 버튼의 형상을 각각 다르게 하여 적용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각 버튼의 기능을 파악하기 쉽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100)은 시각장애인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한 조치를 위한 응급버튼(15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응급버튼(150)을 누르게 되면 메인제어부(120)에서 제2RF모듈(115)을 통해 음향신호기(11) 측으로 응급신호를 전달하며,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과 연결되어 있는 음향신호기(11)에서 응급신호가 수신되면 경찰서, 소방서, 경찰청, 병원 등에서 해당 신호를 인지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했음을 파악함으로써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교통사고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여 시각장애인이 응급버튼(150)을 누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응급버튼(150)과 함께 일정 이상의 충격감지시 자동으로 메인제어부(120) 및 제2RF모듈(115)을 작동시켜 음향신호기(11) 측으로 응급신호를 전달하는 충격감지부(160)를 구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에 연결된 음향신호기(11)에서 응급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음향신호기(11)의 위치를 경찰서와 같은 중요 기관에서 파악하여 신속하게 시각장애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리모컨(100)에 GPS와 같은 위치추적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시각장애인의 성향 및 상황에 따라 스피커(130)가 아닌 이어폰을 통해 신호등의 위치 및 보행신호와 같은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유선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단자(170)와 무선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175)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순히 스피커(130)를 통해 소리가 출력되는 것이 아닌 이어폰을 통해서도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며, 이어폰의 연결시 시각장애인이 주변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것을 대비하여 시판되는 진동이어폰 등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리모컨(100)은, 음향신호기(11)로부터 전송받은 보행신호의 상태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진동부(1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제어부(120)에서는 음향신호기(11)로부터 전송받은 무선 신호를 분석하여 보행신호의 상태에 따라 진동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일 예로 음향신호기(11)로부터 전달받은 보행신호가 녹색인 경우 진동을 발생시켜 시각장애인에게 횡단보도를 건너도 된다는 신호를 소리와 함께 알려주는 것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일반적인 신호등의 경우에는 녹색의 보행신호가 적색으로 바뀔 때까지 남은 시간이 눈금 또는 숫자로 표시되지만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그것을 인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녹색의 보행신호가 적색으로 바뀔 때까지 남은 시간에 따라 진동 발생주기를 가변시킴으로써 시각장애인에게 횡단보도의 신호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행신호의 상태에 따라 진동 발생주기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를 건널 때 더 빠르게 걸어야하는지 아니면 다음 신호에 건널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팡이(1)의 몸체(200)에는 시각장애인이 리모컨(100)과 지팡이(1)를 별도로 소지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장착부(210)가 구비되며, 장착부(210)에는 상술한 리모컨(100)이 탈착된다. 이러한 장착부(210)는 시각장애인이 리모컨(100)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리모컨(100)이 몸체(200)에 장착되었을 때 외부의 먼지, 빗물,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리모컨(100)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별도의 커버(220)를 구비하여 장착부(210)를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버(220)는 장착부(210)에 탈착되거나 장착부(210)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커버(220)가 장착된 상태에서 리모컨(100)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가요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커버(220)의 형상을 입력부(140)가 구비된 리모컨(100)의 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커버(220)에 형성된 버튼 형상을 만지는 것만으로도 어떠한 버튼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시각장애인을 돕는 보호자가 리모컨(100)의 장착 유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렇게 커버(220)를 구비함으로써 우천 등으로부터 리모컨(100)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장착부(210)가 외부로부터 밀폐됨으로써 리모컨(100)의 스피커(130)에서 출력된 소리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장착부(210)의 일측에 홈 또는 홀과 같은 유도부(230)를 형성하여 외부로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스피커(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이 외부로 퍼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우천시 빗물이 유도부(230)를 통해 리모컨(1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도부의 방향은 장착부(210)로부터 몸체(200)의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10 : 교통신호제어기
11 : 음향신호기 100 : 리모컨
110 : 제1RF모듈 115 : 제2RF모듈
120 : 메인제어부 130 : 스피커
140 : 입력부 150 : 응급버튼
160 : 충격감지부 170 : 이어폰 단자
175 : 블루투스 모듈 180 : 진동부
190 : 전원부 200 : 몸체
210 : 장착부 220 : 커버
230 : 유도부

Claims (8)

  1. 삭제
  2.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시교통정보시스템(UTIS)과 연결된 음향신호기를 작동시키며, 상기 음향신호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직접 출력하는 리모컨; 및
    상기 리모컨의 탈착을 위한 장착부가 구비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컨은, 상기 음향신호기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제1RF모듈과, 상기 음향신호기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제2RF모듈과, 상기 제1RF모듈 및 제2RF모듈을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메인제어부와, 상기 메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신호등의 위치 및 보행신호의 상태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RF모듈 및 제2RF모듈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시 상기 제2RF모듈을 통해 상기 음향신호기로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전송하는 응급버튼과, 일정 이상의 충격감지시 상기 제2RF모듈을 통해 상기 음향신호기로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전송하는 충격감지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유선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 단자와, 무선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블루투스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은, 상기 음향신호기로부터 전송받은 보행신호의 상태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음향신호기로부터 전송받은 무선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보행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보행신호의 상태에 따라 진동 발생 주기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리모컨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장착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의 장착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이 외부로 퍼질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유도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가요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입력부가 구비된 리모컨의 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1020150022091A 2015-02-13 2015-02-13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101611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091A KR101611237B1 (ko) 2015-02-13 2015-02-13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091A KR101611237B1 (ko) 2015-02-13 2015-02-13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237B1 true KR101611237B1 (ko) 2016-04-11

Family

ID=55800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091A KR101611237B1 (ko) 2015-02-13 2015-02-13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23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1796A (zh) * 2016-10-28 2017-05-24 浙江工商职业技术学院 智慧导盲杖
CN106691797A (zh) * 2016-10-28 2017-05-24 浙江工商职业技术学院 一种智慧导盲杖
KR101845754B1 (ko) * 2017-01-09 2018-04-05 주식회사 아이트릭스테크놀로지 시각장애인용 독립보행 안내장치
KR101988424B1 (ko) 2017-12-14 2019-06-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Gps 기반 내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20210059104A (ko) 2019-11-14 2021-05-25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
KR20210095500A (ko) 2020-01-23 2021-08-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와 초음파 거리 센서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안내방법
KR102643612B1 (ko) * 2023-06-19 2024-03-05 주식회사 아사달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 보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560Y1 (ko) * 1998-03-20 2000-09-01 채광선 맹인용 지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560Y1 (ko) * 1998-03-20 2000-09-01 채광선 맹인용 지팡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1796A (zh) * 2016-10-28 2017-05-24 浙江工商职业技术学院 智慧导盲杖
CN106691797A (zh) * 2016-10-28 2017-05-24 浙江工商职业技术学院 一种智慧导盲杖
KR101845754B1 (ko) * 2017-01-09 2018-04-05 주식회사 아이트릭스테크놀로지 시각장애인용 독립보행 안내장치
KR101988424B1 (ko) 2017-12-14 2019-06-1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Gps 기반 내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20210059104A (ko) 2019-11-14 2021-05-25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
KR20210095500A (ko) 2020-01-23 2021-08-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와 초음파 거리 센서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안내방법
KR102643612B1 (ko) * 2023-06-19 2024-03-05 주식회사 아사달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 보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237B1 (ko)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20070096028A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관리 및 보조 시스템
KR101713521B1 (ko) 시각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지능형 보행 보조 장치
KR20160085259A (ko)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KR102096462B1 (ko) 전동휠체어 운용시스템
CN107080675A (zh) 一种具有显示盲文的导盲杖
JP5776126B2 (ja) 手荷物警報システム
KR101328865B1 (ko) 청각 장애인용 손목시계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14482B1 (ko)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
JP2019159193A (ja) 視覚障がい者用行動支援装置
TW201731307A (zh) 聽力輔助系統及電子裝置
KR20170004324U (ko) 시각장애인용 내비게이션 스마트지팡이
KR100807097B1 (ko) 시각장애인용 횡단보도 안내시스템
KR20170083921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신호등 위치 및 상태 알람 스마트 손목 밴드
KR20200078786A (ko) 스마트 지팡이 시스템
KR20160013657A (ko) 청각장애인을 위한 손목시계
KR101824527B1 (ko) 위험요소 감지 비상벨 시스템
KR20190101789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
JP2008193533A (ja) 携帯端末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KR101525468B1 (ko) 청각 보조시스템
KR101310082B1 (ko) 청각장애인용 장갑
KR101484955B1 (ko) 이동체 탐지장치
KR101700046B1 (ko) 외부 음향정보 입력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장치
KR200410492Y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자 신호등 안내장치
KR200472738Y1 (ko) 확성기 기능을 갖는 무전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